KR101478300B1 -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 Google Patents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300B1
KR101478300B1 KR1020120057504A KR20120057504A KR101478300B1 KR 101478300 B1 KR101478300 B1 KR 101478300B1 KR 1020120057504 A KR1020120057504 A KR 1020120057504A KR 20120057504 A KR20120057504 A KR 20120057504A KR 101478300 B1 KR101478300 B1 KR 10147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glass
alignment
aligning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183A (ko
Inventor
최승석
김길호
이대연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57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30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유리가 파손 및 손상되지 않고, 안전하게 적재, 포장 및 운반될 수 있도록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는, 평판 유리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프레임 및 상기 후면 프레임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상기 평판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평판 유리를 적재하고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평판 유리의 측면을 가압하고 지지하여 상기 평판 유리를 정렬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의 전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적재된 평판 유리의 전면을 지지하고 단속하는 전면 단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Crate for flat panel glass}
본 발명은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판 유리가 파손 및 손상되지 않고, 안전하게 적재, 포장 및 운반될 수 있도록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유리, 그 중에서도 평판 유리(flat panel glass)는 창유리, 차량의 윈도 스크린, 거울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 또한 용도에 맞게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LCD나 PDP, 유기 EL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산업 발전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이러한 평판 유리에 대한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요 증가와 더불어 평판 유리에 대하여 요구되는 것은 높은 품질이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평판 유리의 결함은 디스플레이 품질의 급격한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에 대한 불만을 가지게 된다. 특히, 최근 많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고가인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의 디스플레이 품질에 대한 기대 수준은 매우 높고, 사용자들의 불만은 제품 및 제조사에 대한 신뢰도 저하, 환불, 교환, 무상 수리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제조사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평판 유리의 경우, 고품질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우선, 평판 유리의 품질은 제조 단계에서 큰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유리의 제조 원료로서 어떠한 성분이 사용되는지, 각 성분간 배합비는 어느 정도인지, 플로트 배스를 이용한 성형에서 플로트 배스는 어떻게 구성되며, 그 내부의 온도 구배는 어떠한지, 유리의 서냉은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 등과 같이, 유리 제조 단계에 관여되는 여러 요인에 의해 평판 유리의 품질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리 제조 단계와 더불어, 평판 유리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단계 중 하나는, 평판 유리의 포장 및 운송 단계라 할 수 있다.
평판 유리는 유리 제조 시설을 갖춘 장소에서 제조된 후, 차량이나 선박, 비행기 등의 운송 수단을 통해 운송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하지만, 평판 유리의 특성상 충격 등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평판 유리의 운송 과정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움직임 등은 평판 유리를 파손시키거나 흠집과 같은 결함을 생성할 수 있으며, 휨과 같은 변형을 일으킬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포장이나 운송 과정에서의 평판 유리에 대한 손상이나 변형 등은 이전 단계에 이루어진 유리 제조 공정 등을 무용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평판 유리의 포장이나 운송은 평판 유리의 제조 단계 못지 않게 평판 유리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그러므로, 평판 유리의 포장이나 운송은 매우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 이러한 평판 유리를 적재하고 운송하기 위해 크레이트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크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유리를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다수의 평판 유리에 대한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운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등으로부터 평판 유리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평판 유리의 운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크레이트는 다수의 평판 유리가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세워진 형태로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평판 유리의 일면, 즉 후면이 크레이트에 기대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평판 유리의 타면, 즉 전면은 크레이트에 마련된 고정 바 등에 의해 지지되어, 적재된 평판 유리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처럼, 평판 유리가 크레이트에 적재되어 고정되면, 크레이트 자체를 운송 수단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평판 유리를 운반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크레이트의 경우, 다수의 평판 유리를 적재할 때 평판 유리의 측면을 일렬로 정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평판 유리의 측면이 일렬로 정렬되지 않으면 평판 유리의 적재 부피가 커지는 것은 물론, 상층에 위치한 평판 유리의 측면부를 하층에 위치한 평판 유리가 지지해주지 못하므로, 상층에 위치한 평판 유리의 측면부가 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크레이트의 경우 평판 유리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지 못해, 평판 유리가 크레이트에 적재된 상태에서 운반될 때 평판 유리의 좌우 유동으로 인해 평판 유리의 파손 등을 가져올 수 있다.
다만, 종래에도 크레이트에 평판 유리가 적재된 상태에서 측면을 정렬하고 전후 유동과 함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자 하는 등의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그에 따른 작업 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적재된 평판 유리의 측면 정렬 및 좌우 유동 방지가 가능할 뿐 아니라, 평판 유리의 좌우 유동 방지 구성과 평판 유리의 전후 유동 방지 구성이 통합되어,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평판 유리의 정렬 및 고정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선된 크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는, 평판 유리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프레임 및 상기 후면 프레임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상기 평판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평판 유리를 적재하고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평판 유리의 측면을 가압하고 지지하여 상기 평판 유리를 정렬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의 전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적재된 평판 유리의 전면을 지지하고 단속하는 전면 단속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정렬 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정렬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좌측 정렬 부재 및 상기 우측 정렬 부재의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평판 유리를 정렬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정렬 부재 및 상기 우측 정렬 부재는 좌우 이동이 상호 연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좌측 정렬 부재의 우측 방향 이동시 상기 우측 정렬 부재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좌측 정렬 부재의 좌측 방향 이동시 상기 우측 정렬 부재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좌우조절 부재, 상기 좌우조절 부재의 회동에 의해 회전하고 양단에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이 형성된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나선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상기 좌측 정렬 부재 또는 상기 우측 정렬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부는, 상기 평판 유리의 적재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부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높이조절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높이조절 부재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정렬부의 높이가 변화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부는 전단에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단속부는, 바 형태로 구성되며, 양 단부에 상기 정렬부의 돌기부가 삽입 체결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단속부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 유리가 안전하게 적재, 포장 및 운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판 유리의 적재, 포장이나 운반 과정에서 평판 유리가 손상,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평판 유리가 크레이트에 적재될 때 평판 유리의 좌우 측면이 일렬로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평판 유리의 좌우 측면 부분이 하층에 위치한 평판 유리로부터 지지받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측면 부분의 휨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평판 유리가 크레이트에 적재된 상태에서, 고정화 작업을 통해, 평판 유리의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은 물론,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된 평판 유리의 정렬 및 좌우 유동 방지를 위한 구성과 전후 유동 방지를 위한 구성이 간단한 구조로 통합되어 평판 유리의 고정화 작업이 용이하게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평판 유리의 고정화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 및 시간 등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평판 유리의 전후 유동 방지를 위한 구성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의 구성을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의 구성을 배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정렬부의 구성만 별도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성을 크레이트의 배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의 작동 형태를 크레이트의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구성에서 전면 단속부의 구성만 별도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와 전면 단속부의 체결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A 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의 구성을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의 구성을 배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는 지지 프레임(100), 정렬부(200) 및 전면 단속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후면 프레임(110) 및 하부 프레임(120)을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평판 유리(G)를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지 프레임(100)은 다수의 평판 유리(G)를 적층한 상태로 적재 및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서 후면 프레임(110)은, 평판 유리(G)의 넓은 면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후면 프레임(110)은 평판 유리의 넓은 면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후면 프레임(110)은, 평판 유리(G)의 넓은 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을 이루는 각도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프레임(110)은 지면과 60° 내지 80°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처럼, 후면 프레임(110)은 지면과 수직을 이루지 않고 다소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평판 유리의 일면은 후면 프레임(110)에 기대어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크레이트의 후면 프레임(110)에 기대어지는 면을 평판 유리의 후면이라 하고, 그 반대 면을 평판 유리의 전면(front surface)이라 한다. 즉, 도 1에서 앞쪽에 위치한 면을 평판 유리의 전면이라 하고, 뒤쪽에 위치한 면을 평판 유리의 후면이라 한다.
한편, 상기 후면 프레임(110)은 평판 유리의 후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평판 유리의 후면이 접촉하는 부분에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의 후면 패드(1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패드(111)는 평판 유리의 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후면에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평판 유리의 후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후면 패드(111)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패드(111)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면 패드(111)는, 평판 유리의 후면에 정전기로 인한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무정전 PVC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서 하부 프레임(120)은, 후면 프레임(110)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평판 유리의 하부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프레임(120)은 후면 프레임(110)과 직각을 이루는 것이 좋다. 하부 프레임(120)과 후면 프레임(110)이 직각을 이루는 경우, 후면 프레임(110)에 기대어진 평판 유리의 하부 모서리 면이 전체적으로 하부 프레임(120)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모서리 면의 파손 위험이 낮아지고 마찰력이 높아져 평판 유리의 안정적인 하부 지지가 가능하다. 더욱이, 크레이트에 다수의 평판 유리가 적층되어 적재되는 경우, 하부 프레임(120)과 후면 프레임(110)이 직각을 이룰 때, 평판 유리의 높이가 같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를 달리하는 인접층의 평판 유리에 의해 평판 유리의 상단이나 하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평판 유리를 적재하더라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상기 하부 프레임(120)은 평판 유리의 하단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의 하부 패드(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패드(121)는 평판 유리의 하단부를 보호하고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패드(121)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 무정전 PVC와 같은 무정전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수직 프레임(130) 및 수평 프레임(1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레임(130)은, 후면 프레임(110)의 후방에 위치하여 지면과 수직한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수직 프레임(130)과 후면 프레임(110) 사이에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150)이 구비되어, 지면의 수직 각도로부터 소정 각도 기울어진 후면 프레임(110)을 수직 프레임(130)이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140)은, 지면과 평행한 형태로 하부 프레임(1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하부 프레임(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프레임(140)은, 크레이트의 바닥부를 구성하여, 지면이나 운송 수단의 바닥에 놓여지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각 프레임의 구성은 일례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러한 도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렬부(200)는, 지지 프레임(100)에 적재된 평판 유리의 측면을 가압하고 지지한다. 특히, 정렬부(200)는 지지 프레임(100)에 다수의 평판 유리가 적재된 경우, 평판 유리의 측면을 가압하여 평판 유리의 측면을 일렬로 정렬시키고 평판 유리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평판 유리의 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은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서 정렬부(200)의 구성만 별도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을 크레이트의 배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정렬부(200)는 지지 프레임(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평판 유리의 측면부를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정렬부(200)는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지지 프레임(100)에 다수의 평판 유리가 적재된 경우, 적재된 모든 평판 유리의 측면부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평판 유리의 좌우 측면을 일렬로 정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정렬부(200)는, 지지 프레임(100)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지지 프레임(100)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정렬 부재(22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러한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는 각각,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 즉 지지 프레임(100)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의 좌우 이동을 통해 평판 유리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평판 유리를 정렬하고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부(200)의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는 각각에 대한 좌우 이동이 상호 연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즉, 좌측 정렬 부재(2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와 동시에 우측 정렬 부재(22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좌측 정렬 부재(21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와 동시에 우측 정렬 부재(22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좌측 정렬 부재(2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측 정렬 부재(22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 사이의 간격은 좁아질 수 있다. 반대로, 좌측 정렬 부재(21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측 정렬 부재(22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 사이의 간격은 넓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가 함께 이동될 수 있으므로, 측면 가압에 의한 평판 유리의 측면 정렬 및 고정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렬부(200)는, 좌우조절 부재(230), 회전 부재(240), 이동 부재(250) 및 연결 부재(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좌우조절 부재(230)는, 지지 프레임(100)의 적어도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좌우조절 부재(2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핸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핸들 형태의 좌우조절 부재(230)를 돌림으로써 정렬부(200)의 좌우 폭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형태 이외에도 상기 좌우조절 부재(230)는, 모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회전축은 회전 부재(240)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으로 회전 부재(2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240)는, 좌우조절 부재(230)의 회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좌우조절 부재(230)가 회전하게 되면, 축 형태의 회전 부재(240), 즉 회전축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 부재(240)는 양단에 나선(2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전 부재(240)의 양단에 형성된 나선(24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실시예에서, 회전축의 좌측 단부에 시계 방향으로 나선(241)이 형성되어 있다면, 우측 단부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나선(24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회전 부재(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250)는, 회전 부재(240)에 형성된 나선(241)에 결합되어 회전 부재(240)의 회전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좌측에 위치한 이동 부재(250)는, 회전 부재(240)의 나선(241)에 결합되어, 회전 부재(2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 부재(2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회전 부재(240)는 양단에 나선(24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부재(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회전 부재(240)에 대하여 좌측과 우측에 2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부재(240)의 양단에 형성된 나선(241)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 부재(240)의 회전으로 그 양단에 결합된 회전 부재(2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실시예에서, 회전 부재(2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좌측에 위치한 이동 부재(25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우측에 위치한 이동 부재(25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만일, 회전 부재(2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좌측에 위치한 이동 부재(250)는 좌측 방향으로, 우측에 위치한 이동 부재(25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는 회전 부재(240)와 이동 부재(250)는 볼 스크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260)는, 이동 부재(250)를 좌측 정렬 부재(210) 또는 우측 정렬 부재(220)와 연결시킨다. 즉, 지지 프레임(100)의 좌측에 위치한 연결 부재(260)는 지지 프레임(100)의 좌측에 위치한 이동 부재(250)와 좌측 정렬 부재(210)를 연결하고, 지지 프레임(100)의 우측에 위치한 연결 부재(260)는 지지 프레임(100)의 우측에 위치한 이동 부재(250)와 우측 정렬 부재(220)를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 부재(260)는, 이동 부재(250)의 이동으로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가 이동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좌측 이동 부재(25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좌측 연결 부재(260)로 인해 좌측 정렬 부재(21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우측 이동 부재(25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우측 연결 부재(260)로 인해 우측 정렬 부재(22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좌우조절 부재(230)를 회동시키면, 회전 부재(240)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이동 부재(250)가 이동하게 되어 이동 부재(250)에 연결 부재(260)로 연결된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200)의 작동 형태를 크레이트의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에 다수의 평판 유리가 적재된 경우, 사용자는 지지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된 핸들 형태의 좌우조절 부재(230)를 일 방향, 이를테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정렬 부재(21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우측 정렬 부재(22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좌측 정렬 부재(210)와 우측 정렬 부재(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에 적재된 다수의 평판 유리에 대하여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평판 유리의 측면이 좌우 정렬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정렬 부재(210)와 우측 정렬 부재(220)는 정렬된 평판 유리의 측면을 계속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적재된 평판 유리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송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지지 프레임(100)의 일측에 구비된 핸들 형태의 좌우조절 부재(230)를 반대 방향, 이를테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측 정렬 부재(21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우측 정렬 부재(22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렬부(200)가 다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에 의한 평판 유리의 측면 가압 상태가 해제되고, 크레이트로부터 평판 유리를 내리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렬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봉(27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 봉(270)은 좌우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부(200)의 가이드 봉(270)은 좌우 이동 가능한 형태로 관에 삽입될 수 있고, 이러한 관이 후면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정렬부(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한편, 정렬부(200)의 좌우 이동이 일정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정렬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좌측 정렬 부재(210)는 2개의 좌측 정렬 플레이트(211)를 구비할 수 있고, 우측 정렬 부재(220)는 2개의 우측 정렬 플레이트(2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플레이트는 내측면이 평판 유리의 측면에 접촉하여, 이를 가압한다. 예를 들어, 좌측 정렬 부재(210)에 구비된 2개의 정렬 플레이트는 내측면, 즉 우측면이 평판 유리의 좌측면을 가압하고, 우측 정렬 부재(220)에 구비된 2개의 정렬 플레이트는 내측면인 좌측면이 평판 유리의 우측면을 가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에 각각 구비된 2개의 정렬 플레이트는 1개의 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정렬 부재(210)에 구비된 2개의 좌측 정렬 플레이트(211)는 1개의 좌측 연결 플레이트(212)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우측 정렬 부재(220)에 구비된 2개의 우측 정렬 플레이트(221)는 1개의 우측 연결 플레이트(222)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좌측 정렬 플레이트(211) 및 2개의 우측 정렬 플레이트(221)는 각각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우측 정렬 부재(220)가 동시에 움직이는 실시예에서는 2개의 좌측 정렬 플레이트(211) 및 2개의 우측 정렬 플레이트(221)가 모두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연결 플레이트(212)와 우측 연결 플레이트(222)는 회전 부재(24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한 번의 작동으로 4개의 정렬 플레이트가 동시에 움직일 수 있어, 작동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 단속부(300)는, 정렬부(20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을 통해, 상기 전면 단속부(300)는 지지 프레임(100)에 적재된 평판 유리의 전면을 지지하고 단속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단속부(300)는 지지 프레임(100)에 적재된 평판 유리의 전면을 후면 방향, 다시 말해 지지 프레임(100) 방향으로 밀착 지지하여, 후면 프레임(110)에 기대어지고 있는 평판 유리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평판 유리의 하단부가 전면 방향으로 미끄러져 쓰러지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구성에서 전면 단속부(300)의 구성만 별도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면 단속부(300)는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 방향이 지면과 수평하게 되도록 한 상태로 크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면 단속부(300)는 정렬부(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렬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즉 앞쪽 끝 부분에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28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바 형태의 전면 단속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에 정렬부(200)의 돌기부(280)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단속부(300)의 체결홈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 정렬부(200)의 돌기부(280)가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개구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딩 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기준으로 할 때,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320)는 좌우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여, 개구부를 통해 정렬부(200)의 돌기부(280)가 삽입되면 슬라이딩 부재(32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정렬부(200)의 돌기부(280)가 다시 하부 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렬부(200)와 전면 단속부(300)는 서로 체결될 수 있게 되며, 전면 단속부(300)에 의해 평판 유리의 전면을 지지하고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이후 전면 단속부(300)를 정렬부(200)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전면 단속부(300)의 슬라이딩 부재(32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구부가 오픈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 7에서는 슬라이딩 부재(320)가 전면 단속부(300)의 우측 단부에만 구비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좌측 단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면 단속부(300)가 정렬부(200)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200)와 전면 단속부(300)의 체결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단면도이다. 이를테면, 도 9는, 도 1의 A 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확대 단면도라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렬부(200)의 전단에 구비된 돌기부(280)는, 이외의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로 구성되어, 돌기부(280)에 삽입 체결된 전면 단속부(300)가 후단 방향(도 9에서 우측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렬부(200)의 전단에 구비된 돌기부(280)는, 전면의 끝 부분이 볼록하게, 즉 두껍게 구성되어, 돌기부(280)에 삽입 체결된 전면 단속부(300)가 전단 방향(도 9에서 좌측 상부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A 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정렬부(200)는 평판 유리의 적재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렬부(200)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높이조절 부재(29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정렬부(200)의 높이조절 부재(290)는, 도 11에서 화살표 C1 방향, 또는 그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러면, 정렬부(200)의 전단은 C2 방향, 또는 그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렬부(2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 부재(290)가 C1 방향으로 회전하면, 정렬부(200)의 전단은 C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렬부(200)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여기서, 정렬부(200)의 높이란 평판 유리의 적재 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 정렬부(200)의 전단에 결합 배치된 전면 단속부(300)는, 평판 유리의 전면 측으로 내려오게 되며, 평판 유리의 전면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면 단속부(300)와 평판 유리의 전면 사이에는, 전면 단속부(30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평판 유리의 전면에 고루 전달되고 평판 유리를 보호하기 위해 완충재가 개재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실시예에서, 높이조절 부재(290)가 화살표 C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정렬부(200)의 전단은 화살표 C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렬부(200)의 높이는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전면 단속부(300)가 평판 유리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전면 단속부(300)에 의한 평판 유리의 가압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정렬부(200)의 높이는 높이조절 부재(290)의 회동 각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 부재(290)를 C1 방향으로 10° 회전시키면 정렬부(200)의 높이는 5mm 낮아지고, 높이조절 부재(290)를 C1 방향으로 20° 회전시키면 정렬부(200)의 높이는 10mm 낮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 부재(290)가 C1 방향으로 10° 회전하면 전면 단속부(300)는 평판 유리의 전면 방향으로 5mm 이동하고, 높이조절 부재(290)가 C1 방향으로 20° 회전하면 전면 단속부(300)는 평판 유리의 전면 방향으로 10mm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단속부(300)에 의한 압력이 평판 유리의 전면에 한 번에 무리하게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평판 유리의 적재 수에 따라 전면 단속부(300)의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단속부(300)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단속부(300)가 바 형태로 구현된 경우, 전면 단속부(300)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 단속부(300)의 일부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평판 유리의 크기, 특히 평판 유리의 좌우 폭이 다양한 경우에도, 전면 단속부(300)의 길이 조절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이트에 적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단속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이트에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렬부(200)의 전단에는 전면 단속부(300)의 양단이 결합되기 위한 돌기부(280) 쌍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정렬부(200)의 전단에는 상부와 하부, 2개의 돌기부(280) 쌍이 구비되어 2개의 전면 단속부(300)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단속부(300)의 넓이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평판 유리의 전면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단속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단속부(300)는 크레이트에 하나만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2개의 전면 단속부(300)만 도시되어 있으나, 3개 이상의 전면 단속부(300)가 크레이트에 구비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하, 좌우, 전후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일 뿐, 관측자의 관측 위치나 크레이트의 배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 지지 프레임
110: 후면 프레임
111: 후면 패드
120: 하부 프레임
121: 하부 패드
130: 수직 프레임
140: 수평 프레임
150: 연결 프레임
200: 정렬부
210: 좌측 정렬 부재
220: 우측 정렬 부재
230: 좌우조절 부재
300: 전면 단속부

Claims (11)

  1. 평판 유리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 프레임(110) 및 상기 후면 프레임(110)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 상기 평판 유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20)을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평판 유리를 적재하고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0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평판 유리의 측면을 가압하고 지지하여 상기 평판 유리를 정렬하는 정렬부(200); 및
    상기 정렬부(200)의 전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 적재된 평판 유리의 전면을 지지하고 단속하는 전면 단속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정렬 부재(220)를 구비하여, 상기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상기 우측 정렬 부재(220)의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평판 유리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상기 우측 정렬 부재(220)는 좌우 이동이 상호 연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좌측 정렬 부재(210)의 우측 방향 이동시 상기 우측 정렬 부재(22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좌측 정렬 부재(210)의 좌측 방향 이동시 상기 우측 정렬 부재(22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적어도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좌우조절 부재(230), 상기 좌우조절 부재(230)의 회동에 의해 회전하고 양단에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이 형성된 회전 부재(240), 상기 회전 부재(240)의 나선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부재(240)의 회전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250), 및 상기 이동 부재(250)와 상기 좌측 정렬 부재(210) 또는 상기 우측 정렬 부재(22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정렬 부재(210) 및 상기 우측 정렬 부재(220)는, 각각 2개의 정렬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정렬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평판 유리의 측면을 접촉하여 가압하고, 상기 2개의 정렬 플레이트는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평판 유리의 적재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높이조절 부재(290)를 구비하여, 상기 높이조절 부재(29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정렬부(200)의 높이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전단에 돌출된 형태의 돌기부(280)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단속부(300)는, 바 형태로 구성되며, 양 단부에 상기 정렬부(200)의 돌기부(280)가 삽입 체결되도록 체결홈(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단속부(300)의 체결홈(310)에는 상기 정렬부(200)의 돌기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부재(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단속부(300)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단속부(300)는, 둘 이상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KR1020120057504A 2012-05-30 2012-05-30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KR10147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04A KR101478300B1 (ko) 2012-05-30 2012-05-30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04A KR101478300B1 (ko) 2012-05-30 2012-05-30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83A KR20130134183A (ko) 2013-12-10
KR101478300B1 true KR101478300B1 (ko) 2014-12-31

Family

ID=4998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504A KR101478300B1 (ko) 2012-05-30 2012-05-30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6820A (zh) * 2017-08-11 2019-02-22 杨培成 固化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684A (ja) * 1999-03-24 2000-10-03 Nippon Sheet Glass Co Ltd 大型ガラス板等の板状物立て掛け梱包式lラック型物流具
KR20060131626A (ko) * 2005-06-16 2006-12-20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곤포 장치
JP2009298479A (ja) * 2008-04-16 2009-12-24 Corning Inc ガラスシートの梱包
KR101091020B1 (ko) * 2011-07-05 2011-12-09 주식회사 코아테크시스템 엘시디글라스 운반용 크레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684A (ja) * 1999-03-24 2000-10-03 Nippon Sheet Glass Co Ltd 大型ガラス板等の板状物立て掛け梱包式lラック型物流具
KR20060131626A (ko) * 2005-06-16 2006-12-20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곤포 장치
JP2009298479A (ja) * 2008-04-16 2009-12-24 Corning Inc ガラスシートの梱包
KR101091020B1 (ko) * 2011-07-05 2011-12-09 주식회사 코아테크시스템 엘시디글라스 운반용 크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83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889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1211841B1 (ko) 초청정실 내에서의 충격에 민감한 유리 플레이트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201309573A (zh) 具有翻轉裝置的上料架
KR101091020B1 (ko) 엘시디글라스 운반용 크레이트
KR101478300B1 (ko)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KR102192276B1 (ko) 몰드 장치, 압축 성형 장치 및 압축 성형 방법
KR101182375B1 (ko) 패널 자세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JP2010111399A (ja) ガラス板梱包体の側方押え装置
TW201332860A (zh) 玻璃板捆包體之玻璃板按壓裝置
US20090050769A1 (en) Flat display supporting apparatus
KR20140108782A (ko) 패널 운반용 적재대
KR101470551B1 (ko)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JP5406370B2 (ja) パネルの平衡度調節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パネル貼合装置
KR101571010B1 (ko) 글라스패널 전면 클램프 및 그것을 구비한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20130140119A (ko) 곤포 용기 및 곤포체
KR101571818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적재장치
KR10141603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정글래스의 정렬장치
KR200400641Y1 (ko) 디스플레이장치 테스트용 팔렛트
KR10072839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팔레트
JP2012096893A (ja) 基板搬送台車
CN100388074C (zh) 基板装载装置
CN104276352A (zh) 板状体包装用货盘
JP2016033030A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
KR200436944Y1 (ko) 이송시스템
JP6652418B2 (ja) ガラス板保持具及びガラス板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