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236B1 -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236B1
KR101478236B1 KR1020087026028A KR20087026028A KR101478236B1 KR 101478236 B1 KR101478236 B1 KR 101478236B1 KR 1020087026028 A KR1020087026028 A KR 1020087026028A KR 20087026028 A KR20087026028 A KR 20087026028A KR 101478236 B1 KR101478236 B1 KR 10147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enzyme
weight
chewing
composition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557A (ko
Inventor
히데유키 오리코시
요시아키 마에다
다이스케 나카무라
다쿠미 도쿠모토
마사키 야나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090020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2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61K9/0058Chewing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for myasthenia gra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 용출성이 높은 저작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 용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구체적으로는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에 대해서 코엔자임 Q10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강 내에 용출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을 포접시켜 이를 코엔자임 Q10성분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특히, 포접물 중의 코엔자임 Q10량을 보다 적게 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엔자임 Q10, 시클로덱스트린, 포접, 구강 내 용출

Description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CHEWING COMPOSITION COMPRISING COENZYME Q10}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에서의 용출성이 향상되어 이루어지는 저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특히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에 대해서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에서의 용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엔자임 Q10은 생체 내에서의 ATP(아데노신 3인산)생산에 빠뜨릴 수 없는 성분으로서 진핵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많이 존재하는 생체 에너지 생산의 필수성분이다.
또한, 코엔자임 Q10은 생체 내에서 뛰어난 항산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고, 생체 내에서 활성 산소가 관여한다고 여겨지고 있는 질환, 예를 들면 심근경색, 고혈압, 협심증 및 암 등의 이른바 생활 습관병이라 불리는 질병에 대해서 예방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또한,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및 우울증 등의 뇌질환, 잇몸 치주병, 및 근디스트로피 등의 각종 질병에 대하여 예방효과가 있는 것 이외에, 신진대사 촉진 작용에 기초하여 비만방지 효과나 노화방지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코엔자임 Q10의 생체 내에서의 수요의 일부는 체내 합성에 의해 조달되고 있지만, 그 이외는 음식물로부터 받고 있다. 체내 합성량은 나이가 들수록 저하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고, 또한 음식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양은 극히 소량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생체 내에서 조달되는 코엔자임 Q10의 총량은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체내 합성량을 보충할 목적으로 현재는 체외로부터, 예를 들면 식품이나 서플러먼트 등으로서 섭취하는 것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코엔자임 Q10은 유용성 물질이다. 이 때문에 현재 시판되고 있는 경구 투여형의 코엔자임 Q10 서플러먼트는 기본적으로 코엔자임 Q10의 결정 분말을 유지에 분산 또는 용해시켜 제제화한 것, 또는 코엔자임 Q10의 결정 분말을 캡슐에 봉입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코엔자임 Q10은 식품 등에 배합하면 다른 첨가물의 영향에 의해 불안정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코엔자임 Q10은 비타민류, 그 중에서도 비타민 E와 공존하는 경우에는 매우 불안정해진다(특허문헌 1 참조). 비타민류는 의약품, 의약 부외품, 식품 및 사료에 통상 배합되어 있는 성분이기 때문에, 이들의 제품에 코엔자임 Q10을 배합하기 위해서는 코엔자임 Q10을 안정화하기 위한 제제상 또는 처방상의 고안이 필요하다.
코엔자임 Q10을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 및 2에는 코엔자임 Q10을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는 코엔자임 Q10을 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함으로써 비타민류나 다른 첨가물의 존재하에서도 코엔자임 Q10을 안정화할 수 있고, 또한 코엔자임 Q10과 병용하는 비타민류 등의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코엔자임 Q10을 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함으로써 코엔자임 Q10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 특히 UV광의 작용에 대해서 안정성을 가지게 할 수 있고, 해당 포접물이 화장용 제제의 성분으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클로덱스트린은 감수성 분자의 보호 코팅으로서 의약품분야, 화장품분야 및 식품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5―200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02―10492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에서의 용출성이 향상되어 이루어지는 저작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특히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에 대해서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에서의 용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해결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 시행하고 있던바, 코엔자임 Q10을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킴으로써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에서의 용출성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은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키는 코엔자임 Q10의 비율을 많게 하는 것보다, 낮게 함으로써 현저하게 향상하는 것을 발견하고, 코엔자임 Q10을 그다지 많지 않은 비율로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한 시클로덱스트린 포접물을 사용함으로써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에서의 용출성이 뛰어난 저작 조성물(예를 들면 츄잉검 등)을 조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태양이 포함된다.
I.코엔자임 Q 10 포접물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
(I―1). 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이 포접되어 이루어지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
(I―2). 코엔자임 Q10 포접물이 코엔자임 Q10을 1∼4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I―1)에 기재된 저작 조성물.
(I―3).시클로덱스트린 100중량부에 대한 코엔자임 Q10의 비율이 1∼80중량부인 (I―1) 또는 (I―2)에 기재된 저작 조성물.
(I―4). 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의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함유 비율이 0.08∼25중량%인 (I―1) 내지 (I―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작 조성물.
(I―5). 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의 코엔자임 Q10의 함유 비율이 0.01∼10중량%가 되는 비율로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I―1) 내지 (I―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작 조성물.
(I―6). 시클로덱스트린이 γ―시클로덱스트린인 (II―1) 내지 (II―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작 조성물.
(I―7). 저작 조성물이 검 베이스를 함유하는 것인 (I―1) 내지 (I―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작 조성물.
(I―8). 저작 조성물이 츄잉검인 (I―7)에 기재된 저작 조성물.
(I―9). 저작 조성물이 상기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포함하는 당의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I―1) 내지 (I―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저작 조성물.
II.코엔자임 Q 10 의 용출성 향상방법
(II―1). 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을 포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 향상방법.
(II―2).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에 대해서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을 향상하는 방법으로서, 코엔자임 Q10 성분으로서 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을 포접시킨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I―3). 코엔자임 Q10 포접물이 코엔자임 Q10을 1∼4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II―2)에 기재된 방법.
(II―4).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시클로덱스트린 100중량부에 대한 코엔자임 Q10의 비율이 1∼80중량부인 (II―2) 또는 (II―3)에 기재된 방법.
(II―5). 저작 조성물 100중량%에 배합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비율이 0.08∼25중량%인 (II―2) 내지 (II―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II―6). 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의 코엔자임 Q10의 함유비율이 0.01∼10중량%가 되는 비율로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배합하는 (II―2) 내지 (II―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II―7). 시클로덱스트린이 γ―시클로덱스트린인 (II―1) 내지 (II―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II―8). 저작 조성물이 검 베이스를 함유하는 것인 (II―2) 내지 (II―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II―9). 저작 조성물이 츄잉검인 (II―8)에 기재된 방법.
(II―10). 저작 조성물로서, 상기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포함하는 당의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저작 조성물을 이용한 (II―2) 내지 (II―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II―11).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에 대해서,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에서의 용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인 (II―2) 내지 (II―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III.사용
(III―1). 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을 포접시킨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사용.
(III―2). 저작 조성물이 츄잉검인 (III―1)에 기재된 사용.
(III―3). 코엔자임 Q10 포접물이 코엔자임 Q10을 1∼4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III―1) 또는 (III―2)에 기재된 사용.
(III―4).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시클로덱스트린 100중량부에 대한 코엔자임 Q10의 비율이 1∼80중량부인 (III―1) 내지 (III―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III―5). 저작 조성물 100중량%에 배합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비율이 0.08∼25중량%인 (III―1) 내지 (III―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III―6). 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의 코엔자임 Q10의 함유 비율이 0.01∼10중량%가 되는 비율로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배합하는 (III―1) 내지 (III―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III―7). 시클로덱스트린이 γ―시클로덱스트린인 (III―1) 내지 (III―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III―8). 저작 조성물이 상기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포함하는 당의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저작 조성물인 (III―1) 내지 (III―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이 뛰어난 코엔자임 Q10 포접물, 특히 그다지 많지 않은 양의 코엔자임 Q10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높은 용출성을 발휘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이용함으로써 구강 내에서 코엔자임 Q10을 대량이고 효율적으로 용출할 수 있는 저작 조성물(예를 들면 츄잉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엔자임 Q10 저함유량의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다량 이용함으로써 코엔자임 Q10 고함유량의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이용하는 것보다 최종 저작 조성물 중의 코엔자임 Q10 함유량은 동일해도 보다 많은 코엔자임 Q10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1)코엔자임 Q 10 을 포함하는 저작 조성물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는 저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저작 조성물은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것, 또는 구강 내에서 저작해서 섭취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츄잉검이나 풍선검 등의 검(판검, 입자 검, 당의검을 포함한다), 구미 및 누가 등의 식품; 저작제, 츄어블정, 과립제, 트로키정, 바칼정 및 치약 등의 의약품; 치약 등의 의부 외품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츄잉검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당의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저작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저작 조성물은 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이 포접되어 이루어지는 형태(코엔자임 Q10 포접물)로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는 것이다. 해당 포접물에 포함되는 코엔자임 Q10의 비율은 1∼80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상한으로서는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또는 10중량%를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하한으로서는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또는 5중량%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중량% 또는 2∼10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코엔자임 Q10 포접물에 이용되는 시클로덱스트린은 6, 7, 8 또는 그 이상의 포도당이 α―1,4결합에 의해 환 형상으로 결합한 구조를 가지는 호스트 분자(포접 화합물)이며, 통상 α, β, γ 및 δ형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α, β, γ 및 δ형의 시클로덱스트린 및 이들 유도체의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γ―시클로덱스트린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코엔자임 Q10은, 2,3―디메톡시―5―메틸―6―폴리프레닐―1,4―벤조퀴논의 측쇄의 이소프레노이드 사슬(n)이 10인 유비키논류이며, 다른 명칭으로는 유비데카레논, 조효소 Q10, CoQ10, 조효소 UQ10이라고도 불리는 지용성 성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엔자임 Q10은 의약품 또는 식품으로서 복용 또는 식용 가능한 것이라면, 그 유래 및 제법은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코엔자임 Q10은 일본국 특개소 54―122795호 공보 또는 일본국 특개소 55―19006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을 포접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엔자임 Q10과 시클로덱스트린을 물로 혼련하는 방법, 혼합 분쇄하는 방법, 동결 건조법, 포화 용액법 및 공침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WO01/054730 및 Journal Acta Poloniae Pharmaceutica 52 (5s) p379―386.1995 등 참조).
또한,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조제시 코엔자임 Q10에 더하여 다른 성분을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l―멘톨, dl―멘톨 또는 오렌지 정유 등의 향료;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또는 비타민 K 등의 비타민; 칼슘, 칼륨 또는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 효모 또는 그 추출물; 마늘이나 녹차 등의 식물 추출물; 카로티노이드류, α리포산, 스테린, 이소플라본, 콜라겐, 펩티드, 아미노산, L―카르니틴, γ―아미노 낙산, 타우린, 글루쿠론산염, 대두 이소플라본, 레시틴, 히알루론산, 콘드로이친 황산,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 또는 식물섬유 등의 기능성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조제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은 코엔자임 Q10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비교적 소량의 코엔자임 Q10으로 현저하게 뛰어난 코엔자임 Q10 용출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코엔자임 Q10 함유량으로서, 바람직한 상한은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또는 10중량%이다. 또한 바람직한 하한은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또는 5중량%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중량% 또는 2∼10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한에 있어서 코엔자임 Q10 포접물에 있어서의 코엔자임 Q10과 시클로덱스트린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시클로덱스트린 100중량부에 대한 코엔자임 Q10의 비율로서 1∼80중량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4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저작 조성물은 코엔자임 Q10을 상기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형태로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작 조성물은 저작 조성물의 종류나 형상 에 따라 종래 공지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작 조성물에 배합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 통상 0.08∼25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저작 조성물에 배합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비율을 코엔자임 Q10의 비율로 환산한 경우, 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4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2중량%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작 조성물에 배합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 이외의 성분으로서는, 검 베이스, 증점제, 광택제, 유화제, 향신료 추출물, 당류, 유지, 향료, 감미료, 산미료, 착색료, 연화제, 산화 방지제, 조미료 및 강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검 베이스로서는, 통상 츄잉검에 배합되는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옻나무 왁스(urushi wax), 에스테르 검(ester gum), 에레미 수지(elemi resin),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오포파낙스 수지(opopanax resin),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구아이아컴 수지(guaiacum wood resin), 구아율(guayule), 구타 항 캉(gutta hang kang), 구타페르카(gutta percha),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glycerin fatty acid esters), 코파이바발삼(copaiba balsam), 코펄 수지(copal resin), 고무(rubber), 고무 분해물(rubber decomposites), 쌀겨 왁스(rice bran wax), 초산 비닐 수지(vinyl acetate resin), 사탕수수 왁스(sugarcane wax), 샌드락 수지(sandarac resin), 셸락 셸락 왁스(shella wax), 젤루통(jelutong), 자당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s), 소르바(sorva),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s), 소르빈하(sorvinha), 활석(talc),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단마르 수지(damar resin), 치클(chicle), 칠테(chilte), 투누(tunu), 저분자 고무(depolymerized natural rubber), 니가 구타(niger gutta), 유향(olibanum), 파라핀왁스(paraffin wax),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s), 분말 펄프(powdered pulp), 분말 왕겨(powdered chaff), 베네수엘라 치클(Venezuelan chicle), 벤조인 검(benzoin gum), 호호바 왁스(jojoba wax),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폴리부텐(polybutene),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매스틱(mastic), 마사란두바 초콜릿(massaranduba chocolate), 마사란두바 발라타(massaranduba balata), 밀랍(bees wax), 미르라(myrrh), 목랍(Japan wax), 몬탄 왁스(montan wax), 라놀린(lanolin), 인산 3칼슘(tricalcium phosphate), 인산 1수소 칼슘(calcium monohydrogen phosphate), 레체 데 바카(leche de vaca), 로지딘하(rosidinha) 및 로진(rosin) 등의 식품 첨가물의 검 베이스로서 인가된 각종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검 베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저작 조성물에 배합되는 해당 검 베이스의 비율로서는, 통상 10∼35중량%, 바람직하게는 20∼30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감미료로서는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당알코올류, 고감미도 감미료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당, 과당, 액당, 포도당 및 올리고당 등의 당류; 아스파르테임, 수크랄로스, 아세설팜K, 소마틴, 스테비아, 알리탐, 네오탐, 크실리톨, 사카린염 및 글리시리진 등의 고감도 감미료를 들 수 있다.
착색료로서는 β카로틴, 카로티노이드 색소, 고추 색소, 아나토 색소, 아카네 색소, 오렌지 색소, 카카오 색소, 쿠치난 색소, 클로로필, 시콘 색소, 에리쓰로신, 타트라진, 양파 색소, 토마토 색소, 매리골드 색소, 루테인, 카라멜 색소, 동 클로로필, 포도 과피 색소, 리보플라빈 및 리보플라빈5’인산 에스테르 나트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아라비아 검, 카라기난, 카라야 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크산탄 검, 구아 검, 글루코사민, 겔란 검, 타라 검, 덱스트란, 트라간트 검, 시드 검, 풀루란, 펙틴 및 람산 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산미료로서는 아디핀산, 이타콘산, 구연산, 구연산 1칼륨, 구연산 3칼륨, 구연산 3나트륨, 글루코노델타락톤, 글루콘산, 글루콘산 칼륨, 글루콘산 나트륨, 호박산, 호박산 1나트륨, 호박산 2나트륨, 초산 나트륨, DL―주석산, L―주석산, DL―주석산 나트륨, L―주석산 나트륨, 이산화탄소, 유산, 유산 나트륨, 빙초산, 피틴 산, 푸마르산, 푸마르산 1나트륨, DL―말산, DL―말산 나트륨 및 인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연화제로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예시할 수 있다.
향료로서는 멘톨, dl―멘톨, 멘톤, 바닐린, 에틸바닐린, 계피산, 피페로날, d―보르네올, 말톨, 에틸말톨, 캠퍼, 안트라닐산 메틸, 계피산 메틸, 신나믹 알코올, N―메틸안트라닐산 메틸, 메틸β―나프틸케톤, 리모넨, 리나롤 및 이소티오시안산 알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작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츄잉검, 특히 당의 검이다. 예를 들면, 츄잉검의 조제는 「검·베이스·앤드·검·프로덕트·테크놀로지(Gum Base and Gum Products Technology)」 및 「더·그레이트·아메리칸·츄잉검·북(The Great American Chewing Gum Book)」 (로버트 헨드릭슨 저, CAFOSA·검 S/A사 발행(1974년)에 기재되는 방법 및 조작에 따라서 행할 수 있다. 이때, 코엔자임 Q10 포접물은 임의의 공정으로 배합할 수 있지만, 가열에 의한 코엔자임 Q10의 변질이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조공정의 끝 가까운 시점에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저작 조성물은 예를 들면, 표면이 당의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해당 당의 중에 상기의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검, 구미 및 누가 등의 핵성분이 당의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당의 검, 당의 구미 및 당의 누가 등의 식품; 저작제, 츄어블정, 과립제, 트로키정 및 바칼정 등의 핵성분이 당의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당의 저작제, 당의 츄어블정, 당의 과립제, 당의 트로키정 및 당의 바칼정 등의 의약품이나 의약 부외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당의물은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함유하는 당의 재료를 이용하여 정법에 따라 피복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함유하는 당의 재료는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정제 백당, 포도당, 과당, 자당, 유당, 맥아당 또는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에리스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또는 크실리톨 등의 당알코올; 및 아라비아 검, 풀루란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다당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당류를 1종 또는 혼합하여 물에 가열 용해해서 당의 용액을 조제하고, 이를 코팅팬이나 자동 당의기를 이용하여 각종의 핵성분에 피복하고, 또한 피복과 건조를 반복함으로써 희망하는 당의물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당의 중에 배합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비율은 최종의 저작 조성물(당의 저작 조성물)에 코엔자임 Q10 포접물이 0.01∼25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비율이면 좋고, 당의 저작 조성물을 구성하는 핵성분과 당의의 중량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핵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의 비율로 당의를 가지는 당의 저작 조성물의 경우, 당의 100중량% 중에 배합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비율로서, 1.5∼75중량%, 바람직하게는 3∼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15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코엔자임 Q10을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형태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저작 조성물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엔자임 Q10 함유량이 40중량%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또는 10중량%이하의, 이른바 코엔자임 Q10 저함유량의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이용함으로써, 현저히 높은 효율로 구강 내에 코엔자임 Q10을 용출할 수 있다. 즉, 코엔자임 Q10 함유량이 40중량%보다도 많은, 이른바 코엔자임 Q10 고함유량의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소량 이용하는 것보다 상기의 코엔자임 Q10 저함유량의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다량 이용함으로써 최종 저작 조성물 중의 코엔자임 Q10 함유량은 동일하여도 보다 많은 코엔자임 Q10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저작 조성물은, 저작에 의해 효율적으로 코엔자임 Q10을 섭취할 수 있는 코엔자임 Q10 함유식품(예를 들면, 당의되어 있어도 좋은 츄잉검, 구미젤리 또는 누가 등) 또는 코엔자임 Q10 함유 의약품이나 의약 부외품(예를 들면 당의되어 있어도 좋은 저작제, 츄어블정, 과립제, 트로키정, 바칼정 또는 치약 등)으로서 유용하다.
(2)코엔자임 Q 10 의 용출성 향상방법
본 발명은 또한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 향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당 방법은 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을 포접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키는 코엔자임 Q10의 양은 통상 1∼80중량%의 범위에서 선택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상한으로서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또는 10중량%를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하한으로서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또는 5중량%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40중량%, 바람직하게는 2∼20중량% 또는 2∼10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40중량%보다도 30중량%, 30중량%보다도 20중량%, 20중량%보다도 10중량%로, 보다 소량의 코엔자임 Q10을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함으로써 현저히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서 시클로덱스트린은, α, β, γ 및 δ형의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γ―시클로덱스트린이다.
또한, 상기의 한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코엔자임 Q10 포접물에 있어서의 시클로덱스트린 100중량부에 대한 코엔자임 Q10의 비율로서는 1∼80중량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4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구강 내에서의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면, 츄잉검, 구미젤리 또는 누가 등의 식품, 또는 저작제, 츄어블정, 과립제, 트로키정, 바칼정 및 치약 등의 의약품 또는 의약 부외품 등과 같이, 특히 구강 내에서 저작되는 것, 또는 저작해서 섭취되는 조성물(저작 조성물)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에 대해서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에서의 용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기도 한다.
해당 방법은 저작 조성물에 배합하는 코엔자임 Q10성분으로서, 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을 포접시킨 조성물(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이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키는 코엔자임 Q10의 양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1∼80중량%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상한으로서는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또는 10중량%를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하한으로서는 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또는 5중량%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중량% 또는 2∼10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코엔자임 Q10 포접물에 있어서의 시클로덱스트린과 코엔자임 Q10의 배합 비율도 상술한 바와 같이 시클로덱스트린 100중량부에 대해서 코엔자임 Q10 1∼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4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저작 조성물에 배합하는 코엔자임 Q10성분으로서, 상기의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이용하면 좋고, 그 한정에 있어서 저작 조성물에는 그 밖의 성분으로서 저작 조성물의 종류나 그 형상에 적응하는 종래 공지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저작 조성물에 배합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 통상 0.08∼25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이다. 또한 이들의 비율은 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 코엔자임 Q10이 통상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4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2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의 저작 조성물로서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함유하는 당의로 표면이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당의 저작 조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당의 및 당의 저작 조성물의 조제방법 및 당의 중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함유량은 상기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그 기재를 원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하의 시험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에 기재하는 처방의 단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는 「중량부」를, 또한 「%」는 「중량%」를 의 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글 중의 「*」표시는 산에이겐(三榮源) 에프·에프·아이 주식회사 제품인 것을 의미한다. 글 중의 「※」표시는 산에이겐 에프·에프·아이 주식회사의 등록상표인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1)코엔자임 Q10 함유 시료의 조제
하기 표 1에 기재된 처방에 따라 코엔자임 Q10 함유 시료(시료 1, 2, 3, 4)를 조제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시료 5로서 코엔자임 Q10 그 자체를 사용하였다.
(중량%)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시료 5
코엔자임 Q10 10 20 40 40 100
γ―시클로덱스트린 90 80 60 - -
아라비아 검 - - - 30 -
덱스트린 - - - 30 -
합계 100 100 100 100 100
(1―1)시료 1의 조제
γ―시클로덱스트린의 270부를 물 3000부에 가열 용해하고, 70℃로 유지하였다. 코엔자임 Q10 30부를 가열용융 후, 상기 용해액 3270부에 첨가하고, 70℃로 24시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 290부를 획득하였다(시료 1, 코엔자임 Q10 :γ―시클로덱스트린=10:90 [중량비]).
(1―2)시료 2의 조제
γ―시클로덱스트린을 240부, 물을 3000부, 코엔자임 Q10을 60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1―1)과 같은 방법으로 분말 290부를 획득하였다 (시료 2, 코엔자임 Q10:γ―시클로덱스트린=20:80 [중량비]).
(1―3)시료 3의 조제
γ―시클로덱스트린을 180부, 물을 3000부, 코엔자임 Q10을 40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1―1)과 같은 방법으로 분말 290부를 획득하였다 (시료 3, 코엔자임 Q10:γ―시클로덱스트린=40:60 [중량비]).
(1―4)시료 4의 조제
아라비아 검 90부 및 덱스트린 90부를 물 700부에 넣어서 가열 용해하고, 70℃로 유지하였다. 이 용액 880부에 코엔자임 Q10 120부를 가열 용융한 것을 첨가하여 7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를 호모지나이저에서 400㎏/㎠로 유화한 후, 분무 건조하여 분말 290부를 획득하였다 (시료 4, 코엔자임 Q10: 아라비아 검: 덱스트린=40:30:30 [중량비]).
(1―5)시료 5의 조제
시료 5는 코엔자임 Q10으로서 코엔자임 Q10 결정 분말 (산에이겐 에프·에프·아이 주식회사)을 이용하였다.
(2)판 검의 조제
상기의 각 시료 1∼5를 이용해서 판 검100g 중 코엔자임 Q10이 48㎎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기의 처방에 따라 각 원료를 혼합하고 성형하여 판 검을 조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70℃에서 검 베이스에 설탕, 콘 시럽 및 글리세린을 혼련하고, 이에 레몬오일 NO.2451*(향료)과 산 옐로우(San Yellow) ※NO. 3*(착색료)를 혼합하였다. 이어서 시료 1∼5를 각각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전연한 후 성형해서 츄잉검(판 검)을 작성하였다. 여기에서, 하기의 처방 중 검 베이스는 주식회사 롯데로부터 구입하였다 (검 베이스 LT1).
<검 처방>
시료 1∼5 표 2 참조(중량%)
레몬오일NO.2451* 1.0
산 옐로우※NO.3* 0.1
설탕 62.0
콘 시럽 10.0
글리세린 1.0
검 베이스 잔부
합계 100.0 중량%
표 2에 각 시료 1∼5에 포함되는 코엔자임 Q10의 양(CoQ10 함량), 그 판 검으로의 배합량(시료 첨가량) 및 판 검 중의 CoQ10 함량을 나타낸다(모두 중량%).
(중량%)
시료 시료중의 CoQ10 함량 시료 첨가량 검 중의 CoQ10 함량
시료 1 9.7 0.495 0.048
시료 2 21.4 0.224 0.048
시료 3 42.0 0.115 0.048
시료 4 42.2 0.114 0.048
시료 5 100.0 0.048 0.048
(3)코엔자임 함량의 분석
(3―1)검 중의 코엔자임 Q10 함량의 분석
상기에서 조제한 각종 판 검 4g을 정량하여 스토퍼 부착 원심관(stoppered centrifuge tube)에 넣었다. 이에 20%(v/v)테트라히드로푸란 수용액을 10㎖ 첨가하고, 딤로드 냉각관을 장착하여 82℃의 탕욕안에서 가끔씩 흔들어 혼합하면서 30분간 환류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실온까지 냉각한 후, 디에틸에테르 15㎖을 첨가하고, 10분간 흔들어 추출을 행하였다. 4000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디에틸에테르층)을 50㎖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일측의 하층에 디에틸에테르를 10㎖ 첨가하여 10분간 흔든 후, 원심하였다(추출 조작). 이 추출 조작을 합계 3회 행하여 마지막에 디에틸에테르에서 50㎖에 가득 채웠다. 이를 3㎖ 취하여 무수 에탄올로 50㎖에 가득 채운 후, 0.45㎛의 PTFE필터로 여과하고 회수한 여액을 분석용 시액으로 하였다. 이를 후술하는 조건의 HPLC에 걸쳐서 검 중의 코엔자임 Q10 함량(검 중의 CoQ10 함량)을 구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판검 중에 0.048중량%의 비율로 코엔자임 Q10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3―2)타액으로의 코엔자임 Q10 용출률의 분석
상기에서 조제한 검 1g(4인분으로 합계 4g)을 정량한 후, 4명의 피험자에 1g씩 하기의 조건에서 저작하게 하고 4인분의 저작 후의 검을 스토퍼 부착 원심관에 넣었다. 그 후는 저작 전과 동일한 방법((3―1)참조)으로 추출을 행하여 회수한 여액을, 저작 후의 검 중의 코엔자임 Q10 함량(저작 후 검 중의 CoQ10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HPLC 분석용 시액으로 하였다.
<저작 조건>
저작자:4명
저작 시간:5분
저작 빈도:60회/분 (매초 1회)
저작량:1g
또한, 타액으로의 코엔자임 Q10 용출률을 하기 식에 의해 구하였다:
Figure 112008073785428-pct00001
(3―3)HPLC분석
상기 HPLC분석은 하기의 조건에서 행해진다.
컬럼: Wakosil―II 5C18HG (와코 순약) 4.6×250 ㎜
컬럼 온도: 35℃
이동상: 메탄올/에탄올=12/8
유속: 2.0 ㎖/min
검출 파장: UV 275 ㎚ (코엔자임 Q10의 극대파장)
주입량: 60㎕
또한, HPLC용의 코엔자임 Q10 표준용액(표준액)은 아래와 같이 조제하였다.
<코엔자임 Q10 표준용액>
코엔자임 Q10(와코 순약)을 0.05 g 정량하고, 무수 에탄올을 소량 첨가하여 녹여서 50℃까지 가온해서 완전하게 용해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무수 에탄올을 첨가해서 50㎖로 하고, 이를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무수 에탄올로 희석하고, HPLC용의 코엔자임 Q10 표준용액으로 하였다.
(4)결과
시료 1∼5를 이용하여 조제한 검에 대해서, 상기의 방법에 따라 타액으로의 코엔자임 Q10의 용출률을 조사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료 용출률 (%)
시료 1 33.5
시료 2 13.3
시료 3 11.5
시료 4 8.2
시료 5 0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시료 5(CoQ10 그 자체)를 이용하여 조제한 검의 타액으로의 코엔자임 Q10 용출률은 0%이었던 것인데 비해, 코엔자임 Q10을 포접시킨 시료 1∼4를 이용함으로써 타액으로의 코엔자임 Q10 용출률은 향상하였다. 그러나, 시료 1∼4의 결과로부터 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을 포접시킴으로써 타액으로의 코엔자임 Q10 용출률이 향상하는 것(시료 1∼3), 또한 시료 1∼3간의 대비로부터 코엔자임 Q10의 포접량이 적은 쪽이 타액으로의 코엔자임 Q10 용출률은 높아지는 것을 알았다. 이로부터 검에서 코엔자임 Q10을 효율적이고 다량으로 용출시키기 위해서는, 코엔자임 Q10을 다량 포함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보다 코엔자임 Q10을 소량 포함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당의 검의 조제
코엔자임 Q10 함유 시료를 당의부에 포함하는 당의 검을 조제하고, 타액으로의 코엔자임 Q10의 용출률을 평가하였다. 당의 검은 구체적으로는, 코엔자임 Q10 함유 시료로서 상기 시험예 1에 기재하는 시료 1∼2 및 4∼5 또는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시료 6을 이용하여 당의 재료를 조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입자 검을 코팅해서 조제하였다.
(1)코엔자임 Q10 함유 시료(시료6)의 조제
표 4에 기재된 처방에 따라 코엔자임 Q10 함유 시료(시료 6)를 조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아라비아 검 90부 및 덱스트린 150부를 물 700부에 가열 용해하여 70℃로 유지하였다. 해당 용해액 880부에 코엔자임 Q10의 가열 용융물 60부를 첨가하여 7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를 호모지나이저에서 400㎏/㎠로 유화한 후, 분무 건조해서 분말 290부를 획득하였다 (시료 6, 코엔자임 Q10:아라비아 검:덱스트린=20:30:50(중량부)).
(중량%)
시료 6
코엔자임 Q10 20
아라비아 검 30
덱스트린 50
합계 100
(2)당의 검의 조제
당의 검 100g중에 코엔자임 Q10이 20㎎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기의 방법에 따라서 당의 중에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는 당의 검(1.5g/입자)을 조제하였다.
(2―1)센터 검의 조제
70℃로 검 베이스(상품명:검 베이스 LT2, 주식회사 롯데제)에 크실리톨, 콘 시럽 및 글리세린을 배합해서 혼련하고, 레몬오일 NO. 2451*(향료)을 혼합 후, 실온까지 냉각해서 입상으로 성형하였다.
<센터 검의 처방> (중량%)
크실리톨 30
콘 시럽 5
글리세린 1
레몬오일NO. 2451* 1
검 베이스 잔부
합계 100.0중량%
(2―2)당의의 조제
말티톨 및 아라비아 검을 물에 첨가하여 가열 용해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이에 시료 1∼2 및 4∼6을 첨가하여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였다.
<당의의 처방>
시료 1∼2 및 4∼6 표 5 참조(중량%)
말티톨 70.0
아라비아 검 3.0
잔부
합계 100.0중량%
코팅팬을 이용하여 상기 당액을 센터 검에 분무하여 건조해서 당의를 코팅 하였다. 또한, 당의층 비율은 센터 검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로 하였다.
표 5에 각 시료 1∼2 및 4∼6에 포함되는 CoQ10의 양(CoQ10 함량), 당의 중의 시료 배합량, 당의 검 중의 시료 배합량 및 당의 검 중의 CoQ10 함량을 나타낸다 (전부 중량%).
(중량%)
시료 시료 중의
CoQ10 함량
당의 중의
시료배합량
당의 검 중의
시료배합량
당의 검 중의
CoQ10 함량
시료 1 9.7 0.618 0.206 0.020
시료 2 21.4 0.279 0.093 0.020
시료 4 42.2 0.141 0.047 0.020
시료 5 100.0 0.060 0.020 0.020
시료 6 20.0 0.300 0.100 0.020
(3)코엔자임 함량의 분석
(3―1)검 중의 코엔자임 Q10 함량의 분석
상기에서 조제한 당의 검 6g(4 입자의 합계)을 정량하고, 스토퍼 부착 원심관에 넣어 시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HPLC분석용 시액을 조제하였다. 이를 시험예 1과 동일한 조건의 HPLC에 걸쳐 당의 검 중의 코엔자임 Q10 함량(검 중의 CoQ10 함량)을 구하였다. 그 결과,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당의 검 중에 0.02중량%의 비율로 코엔자임 Q10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3―2)타액으로의 용출률의 분석
상기에서 조제한 당의 검 6g(4 입자의 합계)을 정량한 후, 4명의 피험자에게 1 입자씩 시험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저작하게 하여 4인분의 저작 후의 검을 스토퍼 부착 원심관에 넣었다. 그 후, 시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저작 후의 검 중의 코엔자임 Q10 함량(저작 후 검 중의 CoQ10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HPLC분석용 시액으로 하였다. 이를 시험예 1과 동일한 조건의 HPLC에 걸쳐 저작 후 검 중의 코엔자임 Q10 함량을 구하고, 시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타액으로의 코엔자임 Q10 용출률을 구하였다.
(4)결과
시료 1∼2 또는 4∼6을 이용하여 조제한 당의 검에 대해서, 코엔자임 Q10의 용출률을 조사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시료 용출률(%)
시료 1 100.0
시료 2 94.7
시료 4 50.2
시료 5 30.0
시료 6 48.3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시료 4, 5 및 6을 이용해서 조제한 검의 타액으로의 용출률은 각각 약 50%, 약 30% 및 약 50%이었던 것인데 비해, 시료 1 및 시료 2를 이용해서 조제한 검의 타액으로의 용출률은 100% 및 약 95%로 현저하게 높았다. 이로부터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은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함으로써 향상하는 것, 특히 보다 적은 양의 코엔자임 Q10을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함으로써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
시험예에서 조제한 코엔자임 Q10 함유시료 1∼5를 사용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당의 검을 조제하였다.
(1)당의 검의 조제
당의 검 100g중에 코엔자임 Q10이 20㎎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코엔자임 Q10 함유 시료 1을 사용하고, 하기의 방법에 따라서 당의 중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는 당의 검(1.5g/입자)을 조제하였다.
(1―1)센터 검의 조제
70℃에서 검 베이스(상품명:검 베이스 LT2, 주식회사 롯데제)에 콘 시럽 및 글리세린을 배합해서 혼련하고, 레몬오일NO. 2451*(향료)을 혼합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입상으로 성형하였다.
<센터 검의 처방> (중량%)
콘 시럽 5
글리세린 1
레몬오일NO. 2451* 1
검 베이스 잔부
합계 100.0
(1―2)당의의 조제
말티톨 및 아라비아 검을 물에 첨가하고 가열 용해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이에 시료 1, 4 또는 5를 첨가하여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였다.
<당의의 처방> (중량%)
시료 1, 4 또는 5 표 7 참조
말티톨 70.0
아라비아 검 3.0
잔부
합계 100.0
코팅팬을 이용하여 상기 당의 수용액을 센터 검에 분무하고 건조해서 당의를 코팅하였다. 또한, 당의 층 비율은 센터 검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로 하였다.
실시예 사용시료 당의 검 중의 시료 배합량(중량%)
1 시료 1 0.206
2 시료 4 0.047
3 시료 5 0.020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엔자임 Q10 함유량이 가장 낮은 시료 1을 사용한 당의 검이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이 제일 높았다. 또한, 실시예 1∼3에 있어서 각각 검 베이스로서, 검 베이스 LT2((주) 롯데제)에 설탕 또는 당 알코올을 첨가한 것을 사용해서 동일하게 하여 당의 검을 조제한 것에 대해서, 동일하게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설탕 또는 당 알코올의 사용에 상관없이 상기와 동일하게 코엔자임 Q10 함유량이 가장 낮은 시료 1을 사용한 당의 검이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이 제일 높았다.

Claims (22)

  1. γ-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이 포접되어 이루어지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로서,
    해당 코엔자임 Q10 포접물이 코엔자임 Q10을 1∼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저작 조성물이 상기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포함하는 당의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저작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γ-시클로덱스트린 100중량부에 대한 코엔자임 Q10의 비율이 5∼20중량부인
    저작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γ-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의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함유 비율이 0.08∼25중량%인
    저작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의 코엔자임 Q10의 함유 비율이 0.01∼10중량%가 되는 비율로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저작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작 조성물이 검 베이스를 함유하는 것인
    저작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저작 조성물이 츄잉검인
    저작 조성물.
  7.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에 대해서 코엔자임 Q10의 용출성을 향상하는 방법으로서,
    코엔자임 Q10성분으로서 γ-시클로덱스트린에 코엔자임 Q10을 포접시킨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배합하고,
    해당 코엔자임 Q10 포접물이 코엔자임 Q10을 1∼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고,
    저작 조성물로서, 상기 코엔자임(Q10) 포접물을 포함하는 당의로 피복되어 이루어지는 저작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γ-시클로덱스트린 100중량부에 대한 코엔자임 Q10의 비율이 5∼20중량부인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저작 조성물 100중량%에 배합하는 코엔자임 Q10 포접물의 비율이 0.08∼25중량%인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저작 조성물 100중량% 중의 코엔자임 Q10의 함유 비율이 0.01∼10중량%가 되는 비율로 코엔자임 Q10 포접물을 배합하는
    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저작 조성물이 검 베이스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저작 조성물이 츄잉검인
    방법.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에 대해서 코엔자임 Q10의 구강 내에서의 용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저작 조성물이 츄잉검인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87026028A 2006-04-11 2008-10-23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 KR101478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9072 2006-04-11
JPJP-P-2006-109072 2006-04-11
PCT/JP2007/057954 WO2007117022A1 (ja) 2006-04-11 2007-04-11 コエンザイムq10を含有する咀嚼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557A KR20090020557A (ko) 2009-02-26
KR101478236B1 true KR101478236B1 (ko) 2014-12-31

Family

ID=3858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028A KR101478236B1 (ko) 2006-04-11 2008-10-23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008971A1 (ko)
KR (1) KR101478236B1 (ko)
CN (1) CN101420943B (ko)
HK (1) HK1129848A1 (ko)
WO (1) WO2007117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8284B (zh) * 2012-05-31 2014-09-10 沈阳药科大学 辅酶q10/直链淀粉包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561329A (zh) * 2016-01-22 2016-05-11 辽宁万嘉医药科技有限公司 水溶性辅酶Q10与α-硫辛酸复配的环糊精三元超分子包合物及制备方法
CN105920202A (zh) * 2016-03-26 2016-09-07 广东润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组护齿益智除臭的辅酶q10口香糖
CN113041191A (zh) * 2021-03-23 2021-06-29 上海极爱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辅酶q10预包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246A (ja) * 2002-10-16 2004-05-13 Zeria Healthway Co Ltd ユビデカレノン含有ガ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9442A (ja) * 1983-10-21 1985-05-20 M S C:Kk ユビデカレノン包接化合物
DE10003493A1 (de) * 2000-01-27 2001-08-09 Wacker 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ezym Q10-/y-Cyclodextrin Komplexes
US7030102B1 (en) * 2003-05-06 2006-04-18 Bioactives, Llc Highly bioavailable coenzyme Q-10 cyclodextrin complex
JP2005002005A (ja) * 2003-06-10 2005-01-06 Nisshin Pharma Inc コエンザイムq10含有組成物
US7390518B2 (en) * 2003-07-11 2008-06-24 Cadbury Adams Usa, Llc Stain removing chewing gum composition
WO2005041945A1 (ja) * 2003-10-31 2005-05-12 Kaneka Corporation 還元型補酵素q含有組成物
JP2006001917A (ja) * 2004-06-17 2006-01-05 Taro Tamura コエンザイムq10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7246A (ja) * 2002-10-16 2004-05-13 Zeria Healthway Co Ltd ユビデカレノン含有ガ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 Industry, 22(9), 2005, pp.52-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7022A1 (ja) 2007-10-18
CN101420943A (zh) 2009-04-29
KR20090020557A (ko) 2009-02-26
HK1129848A1 (en) 2009-12-11
CN101420943B (zh) 2012-09-26
US20100008971A1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346B1 (ko) 복용성을 개량한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JP5147239B2 (ja) コエンザイムq10含有乳化組成物
EP1782803B1 (en) Coenzyme q10-containing composition
WO2010110328A1 (ja) 水易溶性イソクエルシトリン組成物
CN101056547B (zh) 包封型组合物和制备方法
RU2455974C2 (ru) Продукт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жевательная резинка (варианты)
JP2005527591A (ja) 機能性成分の送達システム
JP6459206B2 (ja) 高吸収型ユビキノール製剤
US9757332B2 (en) Gel-like composition having high ubiquinol content
KR101478236B1 (ko)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저작 조성물
US20180192677A1 (en) Edible compositions containing stabilized natural colorants
JP2006016390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ES2759797T3 (es) Mezclas de sustancias
KR101376198B1 (ko) 다시마를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당뇨용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및 기능성 음료 조성물
JP5252825B2 (ja) コエンザイムq10を含有する咀嚼組成物
JP5617077B2 (ja) 水易溶性ミリシトリン組成物
WO2010010894A1 (ja) メントールの風味改善剤及び風味改善方法
Rajabi et al. Characterization of microencapsulated spinach extract obtained by spray-drying and freeze-drying techniques and its use as a source of chlorophyll in a chewing gum based on Pistacia atlantica
JP6667500B2 (ja) 食欲増進剤としてのヒドロキシフラバノン
JP4955974B2 (ja) 錠菓
JP2016067300A (ja) 飲料組成物及び飲料組成物の製造方法
CN112292040A (zh) 低血糖组合物及其制备和使用方法
JP2011055777A (ja) メントール含有タブレット食品
EP4233828A1 (en) Cannabidiol-containing seamless soft capsule
JP5004198B2 (ja) 粉末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