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729B1 -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729B1
KR101476729B1 KR1020140003209A KR20140003209A KR101476729B1 KR 101476729 B1 KR101476729 B1 KR 101476729B1 KR 1020140003209 A KR1020140003209 A KR 1020140003209A KR 20140003209 A KR20140003209 A KR 20140003209A KR 101476729 B1 KR101476729 B1 KR 10147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bushing
adapter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일
이중섭
Original Assignee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축배관은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하거나, 신축파이프를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주배관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역할을 하며,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과 신축배관을 결합해주는 어댑터로 구성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는 어댑터바디와; 상기 어댑터바디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신축파이프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바디와 신축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싱과; 상기 어댑터바디과 상기 고정부싱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바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과; 상기 어댑터바디와 결합된 상기 절연링과 상기 고정부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링과 상기 고정부싱이 결합된 상기 어댑터바디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고정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신축파이프는 스프링쿨러의 주배관의 재질에 따라 어댑터바디의 형태를 바꾸어 주어 스틸배관이나 CPVC배관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고정부싱과 고정링과 절연링의 설치 위치를 적절히 하여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되고 절연링을 두어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하여 배관의 내구성을 향상시켰으며, 제조 시 조립이 쉽고 현장 분해가 필요 시 분해가 쉬운 장점이 있고, 현장 조립이 아니고 제조공정에서 단일품으로 완성되어 나오므로 시공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품분실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주름마디강관을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배관연결 조인트로도 활용 가능하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어 신축배관의 기능 저하없이 시공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Flecxible Joint Pipe Reinforced Union of Flecxible Pipe and Adap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하거나, 신축파이프를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주배관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신축배관은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과 신축배관을 결합해주는 어댑터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는 어댑터바디와; 상기 어댑터바디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신축파이프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바디와 신축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싱과; 상기 어댑터바디과 상기 고정부싱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바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과; 상기 어댑터바디와 결합된 상기 절연링과 상기 고정부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링과 상기 고정부싱이 결합된 상기 어댑터바디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어 주배관의 재질이 스틸 또는 CPVC에 따라 적용 가능한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쿨러(SPRINKLER)는, 공급되는 물을 분산하여 뿌려주도록 한 살수(撒水) 장치로써, 건물의 옥내 등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물을 분무하는 것에 의해 불을 끄도록 하는 데 작용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쿨러가 화재 발생시 자동적으로 물을 뿜어 주도록 하는 데 적용됨이 있어서는, 건물의 각층을 구획하여서 된 각각의 방(房)들이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스프링쿨러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천정의 내부로 용수 공급을 위한 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 주급수관에 다수의 분지급수관를 연결설치하는 것에 의해 그 단부측으로 상기한 스프링쿨러를 설치하여 오고 있다.
이때, 상기한 주급수관과 분지급수관은 각각 금속재로 성형된 것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화재시 발생되는 고열 및 이차적으로 파생되는 각종 압력에 의해 훼손되거나, 파손됨이 없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한 주급수관과 분지급수관을 접속함에 있어서는, 이들의 접속부분을 신속히 접합함과 아울러, 특히 견고히 결합토록 할 수 있는 전기 용접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즉, 천정의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그 작업을 효율적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주급수관과 분지급수관으로 된 모재에 각각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의 양전극들중 일극을 각각 연결한 후, 그 타극에 연결된 용재가 이들의 접합부분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열로 용재(용접봉)와 모재를 융해 융합시켜서 용착 금속을 만들어 모재와 접합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주급수관과 분지급수관들의 설치 방법은 아래와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있다.
즉, 상기한 주급수관과 다수의 분지급수관들을 건물의 천정내로 설치할 때 이들의 접속부분에 많은 용접작업을 필요로 하는 데, 이때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사용되는 전원의 일극을 상기한 스프링쿨러가 접속된 플렉시블 조인트-비교적 얇은 판재로 주름관(管)을 형성하고 있음-에 접속하는 경우, 이 플렉시블조인트가 통전(通電)시의 충격과 스파크 등에 의해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한 플렉시블 조인트가 파손되면 이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때 불필요한 작업시간의 지체와 인건비의 투입으로 인해 설비 원가가 상승되었던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됨에 따라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할 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는 화재진압기구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화재진압기구가 점차적으로 실용화되고 대중화되면서 건물의 각층의 천정부위에서 고압의 물을 급수하여 살포하므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쿨러가 의무적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천장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 주급수관에 다수의 분지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스프링쿨러를 결합하여 화재가 발생한 부분에 용수를 집중적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Sprinkler)를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고 금속재로 제작한 플렉시블조인트(Flexible Joint)가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조인트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나선형상으로 주름져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의 일단부에는 스프링쿨러헤드가 고정되는 레듀샤라고 하는 연결관이 있으며, 이 레듀샤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 고정장치는 레듀샤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배관업계에 소방용 CPVC 배관에 대한 관심이 대두됨에 따라 배관자재 제조업체들의 참여가 늘어나고 있다.
몇몇 업체는 KFI 인증을 획득하고 시장에 뛰어든 상태며 다른 업체들도 시장에 진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소방 배관 시장은 1,600억 원 정도로 예측되고 있다. 그 중 CPVC가 차지하는 비중은 100억 원 내외이나 몇 년 후 400~500억 원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소방용 CPVC 배관에 기존의 플렉시블 조인트는 재질이 상이하여 결합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대처하기 위해 본 발명이 안출되었다.
등록특허 10-1340284로 게시되고 본 발명자가 안출한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서 신축배관은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어 주배관과 신축배관을 결합해주는 어댑터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신축파이프에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의 어댑터가 설치되는 일단에는 상기 주배관 측으로 상기 어댑터가 빠지지 않게 하는 커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신축파이프의 상기 커링부와 주름부 사이의 상기 어댑터 끝부분에는 상기 어댑터가 상기 주름부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벌징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링부와 벌징부 사이에는 상기 어댑터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신축파이프에서 상기 홀더 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의 주배관측 말단과 상기 커링부 내측에 설치되는 메인오링과; 상기 홀더의 내주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에서 상기 홀더 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홀더내부 보조오링과; 상기 메인바디와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급격한 압력이나 응력에 의해 상기 메인오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홀더외부 오링과; 상기 홀더의 상기 주름부 측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링으로 구성되나 구조가 복잡하고 고정링의 고정에 안정성이 떨어지고,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조립과 분해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실 0118091로 게시된 스프링쿨러용 플렉시블 조인트는 양단부측에 형성되는 직선관의 사이로 나선형으로 굴곡지게 성형되어 형태변형이 가능한 주름관과; 상기 직선관에 결합용너트를 설치하여서 된 연결접속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의 외주면에 절연피복층을 고정수단으로 부착하여서 절연되게 한 절연부가 설치되나 CPVC 주배관에 대응할 수 없어 다른 어댑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특1997-0070683로 게시된 스프링쿨러 배관등용(配管等用)의 플렉시블 튜브는 두께가 얇은 튜브본체에 블레이트를 밖으로부터 끼워서 이룬 스프링쿨러 배관등용의 플렉시블 튜브에 있어서, 튜브 본체의 적어도 일단부에 너트(14)가 회전이 자유롭게 밖으로부터 끼워붙여지고, 또한 그 너트에 근접하여, 내면에 오목상부를 갖는 링체가 상기 블레이드를 통하여 튜브본체에 밖으로부터 끼워져 있고, 또한 상기 오목상부 내의 튜브본체를 볼록상으로 팽출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를 링체의 오목상부의 단부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나, 이 또한 CPVC 주배관에 대응할 수 없어 다른 어댑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 20-0378271로 게시된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은 스프링클러설비의 가지배관 연결부에 체결되는 니플부착부와, 스프링 클러 헤드에 체결되는 헤드 레듀셔부, 그리고 이 두부분을 연결하는 호스 주름부가 0.6mm이상의 Stainless 재질의 파이프 호스관으로 하여 주름부와 직관부가 일정하게 형성되나 이 또한 CPVC 주배관에 대응할 수 없어 다른 어댑터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작업의 편의성에 있어 본 발명에 뒤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과 신축배관을 결합해주는 어댑터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는 어댑터바디와; 상기 어댑터바디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신축파이프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바디와 신축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싱과; 상기 어댑터바디과 상기 고정부싱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바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과; 상기 어댑터바디와 결합된 상기 절연링과 상기 고정부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링과 상기 고정부싱이 결합된 상기 어댑터바디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어, 스틸배관이나 CPVC배관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되고, 절연링을 두어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하여 배관의 내구성을 향상시켰으며, 제조 시 조립이 쉽고 현장 분해가 필요 시 분해를 쉬운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신축배관은 스프링쿨러 주배관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하거나, 신축파이프를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주배관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역할을 하며,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과 신축배관을 결합해주는 어댑터로 구성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는 어댑터바디와; 상기 어댑터바디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신축파이프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바디와 신축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싱과; 상기 어댑터바디과 상기 고정부싱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바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과; 상기 어댑터바디와 결합된 상기 절연링과 상기 고정부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링과 상기 고정부싱이 결합된 상기 어댑터바디가 상기 신축파이프의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고정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파이프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신축파이프에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의 주배관 측 일단에는 내부의 유체가 상기 신축파이프에서 상기 어댑터바디의 내주면과 상기 신축파이프의 외주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과, 상기 제1오링에서 누설 발생 시 2차로 누설을 방지하는 제2오링 및 상기 고정링이 각각 설치되는 제1링홈와, 제2링홈과, 제3링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어댑터바디는 용융아연도금된 스틸(Galvanizing Steel) 재질이며, 상기 고정부싱이 내측에 결합되는 부싱결합부와,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는 주배관결합부로 구성되거나, 금속을 가공하여 제작하며 상기 고정부싱이 내측에 결합되는 부싱결합부와, CPVC 재질의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는 CPVC 재질의 주배관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부싱결합부를 미리 주배관결합부용 사출금형에 끼워놓고 상기 주배관결합부를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다.
상기 고정부싱은 이종금속 접촉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고강도 ABS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고정부싱의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게 부싱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싱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어댑터바디와 나사 결합을 위한 어댑터바디결합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링은 수평링과, 상기 수평링의 일단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링이 걸리는 수직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되며, 좌우 동형인 반원이 벌어진 상태로 손으로 조여서 압착하여 설치하면 플랫링(Flat Ring)되게 중앙은 얇아진 중앙홈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제1오링과 제2오링은 부타디엔(Butadiene) 성분이 없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부싱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싱이 삽입되며 나사 결합할 수 있게 암나사가 형성된 부싱중공과, 상기 고정부싱의 말단이 걸리는 부싱걸림턱과, 상기 절연링이 걸리는 절연링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어댑터바디를 파이프렌치나 다른 배관작업공구로 나사를 조이기 위해 팔각부가 형성된다.
상기 주배관결합부의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게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배관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주배관(B)과의 결합을 위한 PT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배관의 제조방법은 상기 신축파이프(1)를 제조하는 제1공정과; 상기 어댑터의 어댑터바디를 제조하는 제2공정과; 상기 어댑터의 고정부싱, 절연링 및 고정링을 각각 제조하고, 제1오링 및 제2오링을 준비하는 제3공정과; 상기 신축파이프에 구루빙머신으로 구루핑시켜 상기 링홈을 형성시키는 제4공정과; 상기 신축파이프에 첫째 고정부싱을 끼우고, 둘째 상기 링홈(14)에 고정링에 끼우며, 셋째 절연링 삽입하고, 넷째 상기 링홈(13)에 제2오링을 삽입하고, 다섯째 상기 링홈(12)에 제1오링을 삽입하는 제5공정과; 상기 제1오링, 제2오링, 고정링 및 절연링이 끼워진 신축파이프에 어댑터바디를 삽입시키는 제6공정과; 상기 고정부싱을 돌려 상기 어댑터바디와 고정부싱을 결합시켜 신축배관을 완성하는 제7공정과; 최종적으로 완제품을 검사하는 제8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공정은 평판코일을 조관기에 셋팅하는 제1-1공정과; 상기 평판코일을 서서히 말아 원통으로 만드는 제1-2공정과; 원통을 아르곤 용접으로 접합하여 파이프를 만드는 제1-3공정과; 성형부에서 상기 파이프에 성형기로 일정 길이로 일정 부분에 상기 주름부를 형성시키는 제1-4공정과; 절단부에서 절단기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신축파이프(1)를 제조하는 제1-5공정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용접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수압검사기를 걸어 수압검사를 하는 제1-6공정과; 상기 제1-3공정과 제1-4공정에서 생긴 스트레스를 풀어주기 위해 상기 신축파이프를 열처리하는 공정인 제1-7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공정은 상기 어댑터바디의 부싱결합부를 제조하는 제2-1공정과; 상기 부싱결합부에 바디오링을 끼우는 제2-2공정과; 바디오링이 끼워진 부싱결합부를 주배관결합부용 사출금형에 끼워놓는 제2-3단계와; 주배관결합부를 사출하는 제2-4단계로 구성된다.
상술한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신축파이프는 스프링쿨러의 주배관의 재질에 따라 어댑터바디의 형태를 바꾸어 주어 스틸배관이나 CPVC배관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고정부싱과 고정링과 절연링의 설치 위치를 적절히 하여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되고 절연링을 두어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하여 배관의 내구성을 향상시켰으며, 제조 시 조립이 쉽고 현장 분해가 필요 시 분해가 쉬운 장점이 있고, 현장 조립이 아니고 제조공정에서 단일품으로 완성되어 나오므로 시공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품분실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주름마디강관을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배관연결 조인트로도 활용 가능하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어 신축배관의 기능 저하없이 시공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신축파이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1실시예의 어댑터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1실시예의 어댑터바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전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2실시예의 어댑터 전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2실시예의 어앱터바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2실시예의 부싱결합부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2실시예의 주배관결합부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고정부싱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고정링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절연링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일측에 후레아너트가 있는 제3실시예의 전체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일측에 후레아너트가 있는 제4실시예의 전체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후레아 너트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제조방법에 따른 순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신축파이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1실시예의 어댑터 전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1실시예의 어댑터바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2실시예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2실시예의 어댑터 전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2실시예의 어앱터바디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2실시예의 부싱결합부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제2실시예의 주배관결합부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고정부싱 개략도 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고정링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절연링 개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일측에 후레아너트가 있는 제3실시예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일측에 후레아너트가 있는 제4실시예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에 따른 후레아 너트 개략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제조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신축배관(A)는 스프링쿨러 주배관(B)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하거나, 신축파이프를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주배관(B)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역할을 하며,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1)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B)과 신축배관(A)을 결합해주는 어댑터(2)로 구성된다.
상기 어댑터(2)는 상기 주배관(B)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는 어댑터바디(21)와;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신축파이프(1)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바디와 신축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싱(22)과; 상기 어댑터바디(21)와 상기 고정부싱(22)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바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23)과; 상기 어댑터바디(21)와 결합된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이 결합된 상기 어댑터바디(21)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고정링(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파이프(1)의 주배관 측 일단에는 내부의 유체가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내주면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121)과, 상기 제1오링(121)에서 누설 발생 시 2차로 누설을 방지하는 제2오링(131) 및 상기 고정링(24)이 각각 설치되는 제1링홈(12)과, 제2링홈(13)과, 제3링홈(14)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본 도의 단면도는 상기 주배관(B)의 재질이 스틸이나 CPVC에 상관없이 말단이 수나사나 암나사가 형성된 배관에서 사용하며, 상기 신축파이프(1)의 살두께가 0.6mm 이상일 때 그루빙(Grooving)을 하여 링홈을 형성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신축배관(A)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살두께가 0.6mm 이상일 때 적용되는 것이고, 살두께가 0.3mm인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는 상기 제3링홈의 강도가 약하므로 고정링(24)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신축배관(A)은 도 13과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듀싱 엘보우(D)와 결합하는 후레아 너트(3)가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축배관(A)에 따르면 신축파이프(A)는 스프링쿨러의 주배관(B)의 재질에 따라 어댑터바디(21)의 형태를 바꾸어 주어 스틸배관이나 CPVC배관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고정부싱(22)과 고정링(24)과 절연링(23)의 설치 위치를 적절히 하여 신축파이프(1)와 어댑터(2)의 결합이 강화되고 절연링(23)을 두어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하여 배관의 내구성을 향상시켰으며, 제조 시 조립이 쉽고 현장 분해가 필요 시 분해가 쉬운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신축파이프(1)는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역할을 하며,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며, 살두께 0.6mm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신축파이프(1)에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신축파이프(1)의 주배관 측 일단에는 내부의 유체가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내주면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121)과, 상기 제1오링(121)에서 누설 발생 시 2차로 누설을 방지하는 제2오링(131) 및 상기 고정링(24)이 각각 설치되는 제1링홈(12)과, 제2링홈(13)과, 제3링홈(14)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1오링(121)과 제2오링(131)은 부타디엔(Butadiene) 성분이 없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부(11)은 성형부에서 파이프에 성형기로 일정 길이로 일정 부분에 형성시키며, 링홈은 그루빙 머신으로 그루빙시켜 형성시킨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실시예의 상기 어댑터(2)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B)과 신축배관(A)을 결합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주배관(B)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는 어댑터바디(21)와;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신축파이프(1)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바디와 신축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싱(22)과; 상기 어댑터바디(21)와 상기 고정부싱(22)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바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23)과; 상기 어댑터바디(21)와 결합된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이 결합된 상기 어댑터바디(21)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고정링(24)으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실시예의 상기 어댑터바디(21)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B)과 신축배관(A)을 결합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주배관(B)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며, 용융아연도금된 스틸(Galvanizing Steel) 재질이며, 상기 고정부싱(22)이 내측에 결합되는 부싱결합부(211)와, 상기 주배관(B)과 결합되는 주배관결합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부싱결합부(211)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싱(22)이 삽입되며 나사 결합할 수 있게 암나사(21111)가 형성된 부싱중공(2111)과, 상기 고정부싱(22)의 말단이 걸리는 부싱걸림턱(2112)과, 상기 절연링(23)이 걸리는 절연링걸림턱(2113)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결합부(211)의 외주면에는 상기 어댑터바디(21)를 파이프렌치나 다른 배관작업공구로 나사를 조이기 위해 팔각부(2114)가 형성된다.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의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게 중공(2121)이 형성된다.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의 외주면에는 상기 주배관(B)과의 결합을 위한 PT나사(212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제1실시예의 상기 어댑터바디(21)는 스틸배관이나 CPVC배관에 관계없이 나사 결합이 가능한 때 즉, 배관의 말단이 수나사로 되어 있을 시 커프링을 사용하고, 배관의 말단이 암나사로 되어 있을 때는 직접 연결을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신축배관(A)는 스프링쿨러 주배관(B)과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 사이에 설치하거나, 신축파이프를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주배관(B)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역할을 하며,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1)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B)과 신축배관(A)을 결합해주는 어댑터(2)로 구성된다.
상기 어댑터(2)는 상기 주배관(B)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는 어댑터바디(21)와;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신축파이프(1)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바디와 신축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싱(22)과; 상기 어댑터바디(21)와 상기 고정부싱(22)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바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23)과; 상기 어댑터바디(21)와 결합된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이 결합된 상기 어댑터바디(21)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고정링(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파이프(1)의 주배관 측 일단에는 내부의 유체가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내주면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121)과, 상기 제1오링(121)에서 누설 발생 시 2차로 누설을 방지하는 제2오링(131) 및 상기 고정링(24)이 각각 설치되는 제1링홈(12)과, 제2링홈(13)과, 제3링홈(14)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본 도의 단면도는 상기 주배관(B)의 재질이 CPVC이고, 상기 어댑터(2)와의 연결을 접착제로 할 때의 배관에서 사용하며, 상기 신축파이프(1)의 살두께가 0.6mm 이상일 때 그루빙(Grooving)을 하여 링홈을 형성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신축배관(A)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살두께가 0.6mm 이상일 때 적용되는 것이고, 살두께가 0.3mm인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는 상기 제3링홈의 강도가 약하므로 고정링(24)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신축배관(A)은 도 13과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듀싱 엘보우(D)와 결합하는 후레아 너트(3)가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오링(121)은 CPVC 재질로 된 주배관결합부(212)에 기밀되고, 제2오링(131)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된 신축파이프(1)의 제2오링홈(13)에 기밀되게 하여 두 소재에 각각 기밀성을 유지케 하여 기밀성을 향상시켰다.
제2실시예의 신축배관(A)과 제1실시예의 신축배관(A)의 차이점은 상기 어댑터바디(21)가 제1실시예에서는 전체가 스틸 재질이고, 제2실시예에서는 부싱결합부(211)은 금속 재질이고, 주배관결합부(212)는 CPVC 재질이며 상기 부싱결합부(211)를 미리 주배관결합부용 사출금형에 끼워놓고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를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2실시예의 상기 어댑터(2)는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B)과 신축배관(A)을 결합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주배관(B)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는 어댑터바디(21)와;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신축파이프(1)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바디와 신축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싱(22)과; 상기 어댑터바디(21)와 상기 고정부싱(22)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바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23)과; 상기 어댑터바디(21)와 결합된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이 결합된 상기 어댑터바디(21)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고정링(24)으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2실시예의 상기 어댑터바디(21)는 상기 주배관(B)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고, 금속을 가공하여 제작하며 상기 고정부싱(22)이 내측에 결합되는 부싱결합부(211)와, CPVC 재질의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는 CPVC 재질의 주배관결합부(212)로 구성되며, 상기 부싱결합부(211)를 미리 주배관결합부용 사출금형에 끼워놓고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를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다.
상기 어댑터바디(21)를 제조하는 공정은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부싱결합부(211)를 제조한 후, 상기 부싱결합부(211)에 상기 바디오링(2115)을 끼우고, 상기 바디오링(2115)이 끼워진 상기 부싱결합부(211)를 주배관결합부용 사출금형에 끼워놓은 후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를 사출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부싱결합부(211)는 상기 주배관(B)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고, 금속을 가공하여 제작하며 상기 고정부싱(22)이 내측에 결합된다.
상기 부싱결합부(211)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싱(22)이 삽입되며 나사결합할 수 있게 암나사(21111)가 형성된 부싱중공(2111)과, 상기 고정부싱(22)의 말단이 걸리는 부싱걸림턱(2112)과, 상기 절연링(23)이 걸리는 절연링걸림턱(2113)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결합부(211)의 외주면에는 상기 어댑터바디(21)를 파이프렌치나 다른 배관작업공구로 나사를 조이기 위해 팔각부(2114)가 형성된다.
상기 부싱결합부(211)의 주배관결합부 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1오링(121)에서 누설 발생 시 상기 부싱결합부(211)와 주배관결합부(212)가 맞닿는 부분을 통해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2개의 바디오링(2115)이 설치되는 2개의 바디 오링홈(21151)과, 상기 주배관결합부(212)가 상기 부싱결합부(211)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주배관결합부 결합홈(2116)이 형성되어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의 걸림턱(2123)이 걸리게 한다.
상기 바디오링(2115)는 상기 오링홈(21151)의 내측으로 파묻혀서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를 사출 시 CPVC 재료가 상기 오링홈(21151) 내측으로 삽입되어 돌기링 형태의 오링홈 메움부(2124)가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는 CPVC 재질의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며, CPVC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의 상기 주배관(B)이 결합되는 부분의 내부는 상기 주배관(B)과 접착제로 결합할 수 있게 주배관접착부(21211)를 가진 주배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중공(2121)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는 상기 부싱결합부(211)를 미리 주배관결합부용 사출금형에 끼워놓고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를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다. 즉,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부싱결합부(211)를 제조한 후, 상기 부싱결합부(211)에 상기 바디오링(2115)을 끼우고, 상기 바디오링(2115)이 끼워진 상기 부싱결합부(211)를 주배관결합부용 사출금형에 끼워놓은 후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를 사출한다.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에는 사출 후 상기 부싱결합부(211)가 빠지지 않게 상기 걸림턱(212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123)이 상기 주배관결합부 결합홈(2116)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바디오링(2115)이 상기 오링홈(21151)의 내측으로 파묻혀 있기 때문에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를 사출 시 CPVC 재료가 상기 오링홈(21151) 내측으로 삽입되어 돌기링 형태의 오링홈 메움부(2124)가 형성되어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와 부싱결합부(211)과의 기밀 유지가 되고 상기 부싱결합부(211)와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진다.
즉, 상기 주배관결합부(212) 사출 시 상기 바디오링(2115)는 사출 압력에 의해 밀폐력이 생긴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고정부싱(22)은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신축파이프(1)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바디와 신축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부싱(22)은 이종금속 접촉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고강도 ABS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싱(22)의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될 수 있게 부싱중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싱(22)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어댑터바디와 나사 결합을 위한 어댑터바디결합나사(222)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내부로 상기 고정부싱(22) 삽입시키기 조이기 위해 회전 시 파이프렌치와 같은 공구로 작업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팔각부(223)가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고정링(24)은 상기 어댑터바디(21)와 결합된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이 결합된 상기 어댑터바디(21)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한다.
상기 고정링(24)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되며, 좌우 동형인 반원(241)이 벌어진 상태로 손으로 조여서 압착하여 설치하면 플랫링(Flat Ring)되게 중앙은 얇아진 중앙홈(242)이 형성된 구조이다.
도 11-1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제3링홈(14)에 끼우기 전의 모습이며 반원(241)이 벌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신축파이프(1)의 제3링홈(14)에 끼울 수 있고, 도 11-2는 상기 반원(241)로 벌어진 상태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제3링홈(14)에 끼운 후 손으로 조여서 상기 신축파이프(1)의 제3링홈(14)에 압착했을 때의 모습이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절연링(23)은 상기 어댑터바디(21)와 상기 고정부싱(22)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바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수평링(231)과, 상기 수평링(231)의 일단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링(24)이 걸리는 수직링(232)으로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상기 신축배관(A)은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1)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B)과 신축배관(A)을 결합해주는 어댑터(2)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듀싱 엘보우(D)와 결합하는 후레아 너트(3)로 구성되며, 상기 어댑터(2)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신축파이프(1)의 상기 후레아 너트(3)가 설치되는 일단에는 상기 레듀싱 엘보우(D) 측으로 상기 후레아 너트(3)가 빠지지 않게 하는 확관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1)의 상기 확관부(15)와 주름부(11) 사이의 상기 후레아 너트(3) 끝부분에는 상기 후레아 너트(3)가 상기 주름부(11)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15)가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상기 신축배관(A)은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1)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B)과 신축배관(A)을 결합해주는 어댑터(2)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듀싱 엘보우(D)와 결합하는 후레아 너트(3)로 구성되며, 상기 어댑터(2)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신축파이프(1)의 상기 후레아 너트(3)가 설치되는 일단에는 상기 레듀싱 엘보우(D) 측으로 상기 후레아 너트(3)가 빠지지 않게 하는 확관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1)의 상기 확관부(15)와 주름부(11) 사이의 상기 후레아 너트(3) 끝부분에는 상기 후레아 너트(3)가 상기 주름부(11)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15)가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레아 너트(3)는 너트본체(31)와, 접합되는 상기 신축파이프(1)와 상기 후레어 너트(3)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제2절연링(32)과, 상기 신축파이프(1)와 상기 후레어 너트(3)와의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패킹(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너트본체(31)의 상기 신축파이프(1) 측 내부에는 상기 절연링(32)이 접합되는 절연링시트면(311)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본체(31)의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상기 레듀싱 엘보우(D) 측에는 상기 레듀싱 엘보우(D)와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1인치 직경의 PF나사(31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너트본체(31)의 상기 신축파이프(1) 측 내부에는 상기 절연링(32)이 접합되는 절연링시트면(311)과 절연링 확관부 패킹 삽입홈(313)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본체(31)는 황동 또는 철금속 재질이다.
상기 너트본체(31)는 황동 또는 철금속 재질이고 상기 신축파이프(1)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므로 이종금속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링(3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본체(31)의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상기 레듀싱 엘보우(B) 측에는 상기 레듀싱 엘보우(B)와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1인치 직경의 PF나사(31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신축배관(A)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신축파이프(1)를 제조하는 제1공정과; 상기 어댑터(2)의 어댑터바디(21)를 제조하는 제2공정과; 상기 어댑터(2)의 고정부싱(22), 절연링(23) 및 고정링(24)을 각각 제조하고, 상기 제1오링(121) 및 제2오링(131)을 준비하는 제3공정과; 상기 신축파이프(1)에 구루빙머신으로 구루핑시켜 상기 제1링홈(12), 제2링홈(13) 및 제3링홈(14)을 형성시키는 제4공정과; 상기 신축파이프(1)에 첫째 상기 고정부싱(22)을 끼우고, 둘째 상기 제3링홈(14)에 상기 고정링(24)에 끼우며, 셋째 상기 절연링(23)을 삽입하고, 넷째 상기 제2링홈(13)에 제2오링(131)을 삽입하고, 다섯째 상기 제1링홈(12)에 제1오링(121)을 삽입하는 제5공정과; 상기 제1오링(121), 제2오링(131), 고정링(24) 및 절연링(23)이 끼워진 상기 신축파이프(1)에 상기 어댑터바디(21)를 삽입시키는 제6공정과; 상기 고정부싱(22)을 돌려 상기 어댑터바디(21)와 고정부싱(22)을 결합시켜 신축배관을 완성하는 제7공정과; 최종적으로 완제품을 검사하는 제8공정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배관(A)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본 도 16의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제1공정은 평판코일을 조관기에 셋팅하는 제1-1공정과; 상기 평판코일을 서서히 말아 원통으로 만드는 제1-2공정과; 원통을 아르곤 용접으로 접합하여 파이프를 만드는 제1-3공정과; 성형부에서 상기 파이프에 성형기로 일정 길이로 일정 부분에 상기 주름부(11)를 형성시키는 제1-4공정과; 절단부에서 절단기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신축파이프(1)를 제조하는 제1-5공정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용접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수압검사기를 걸어 수압검사를 하는 제1-6공정과; 상기 제1-3공정과 제1-4공정에서 생긴 스트레스를 풀어주기 위해 상기 신축파이프(1)를 열처리하는 공정인 제1-7공정으로 구성된다.
제2실시예와 제4실시예에서의 어댑터를 제조할 때의 상기 제2공정은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부싱결합부(211)를 제조하는 제2-1공정과; 상기 부싱결합부(211)에 상기 바디오링(2115)을 끼우는 제2-2공정과; 상기 바디오링(2115)이 끼워진 상기 부싱결합부(211)를 주배관결합부용 사출금형에 끼워놓는 제2-3단계와;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를 사출하는 제2-4단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에는 사출 후 상기 부싱결합부(211)가 빠지지 않게 상기 걸림턱(212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123)이 상기 주배관결합부 결합홈(2116)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되며, 상기 바디오링(2115)이 상기 오링홈(21151)의 내측으로 파묻혀 있기 때문에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를 사출 시 CPVC 재료가 상기 오링홈(21151) 내측으로 삽입되어 돌기링 형태의 오링홈 메움부(2124)가 형성되어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와 부싱결합부(211)과의 기밀 유지가 되고 상기 부싱결합부(211)와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진다.
상기 제5공정은 상기 신축파이프(1)에 상기 고정부싱(22)을 끼우는 제5-1공정과; 상기 제3링홈(14)에 상기 고정링(24)에 끼우는 제5-2공정과; 상기 신축파이프(1)에 상기 절연링(23)을 삽입하는 제5-3공정과; 상기 신축파이프(1)에 상기 제2링홈(13)에 제2오링(131)을 삽입하는 제5-4공정과; 상기 신축파이프(1)에 상기 제1링홈(12)에 제1오링(121)을 삽입하는 제5-5공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신축파이프(A)는 스프링쿨러의 주배관(B)의 재질에 따라 어댑터바디(21)의 형태를 바꾸어 주어 스틸배관이나 CPVC배관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고정부싱(22)과 고정링(24)과 절연링(23)의 설치 위치를 적절히 하여 신축파이프(1)와 어댑터(2)의 결합이 강화되고 절연링(23)을 두어 이종금속 간의 부식을 방지하여 배관의 내구성을 향상시켰으며, 제조 시 조립이 쉽고 현장 분해가 필요 시 분해가 쉬운 장점이 있고, 현장 조립이 아니고 제조공정에서 단일품으로 완성되어 나오므로 시공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품분실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주름마디강관을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배관연결 조인트로도 활용 가능하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어 신축배관의 기능 저하없이 시공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 신축배관 B : 주배관
C : 스프링쿨러 헤드 D : 레듀싱 엘보우
1 : 신축파이프 11 : 주름부
12 : 제1링홈 121 : 제1오링
13 : 제2링홈 131 : 제2오링
14 : 제3링홈 15 : 돌출부
16 : 확관부
2 : 어댑터 21 : 어댑터바디
211 : 부싱결합부 2111 : 부싱중공
21111 : 암나사 2112 : 부싱걸림턱
2113 : 절연링걸림턱 2114 : 팔각부
2115 : 바디오링 21151 : 오링홈
2116 : 주배관결합부 결합홈 212 : 주배관결합부
2121 : 중공 2122 : PT나사
2123 : 걸림턱 2124 : 오링홈 메움부
22 : 고정부싱
221 : 부싱중공 222 : 어댑터바디결합나사
223 : 팔각부
23 : 절연링 231 : 수평링
232 : 수직링 24 : 고정링
241 : 반원 242 : 중앙홈
3: 후레아 너트
31 : 너트본체 311 : 절연링시트면
312 : PF나사 313 : 절연링 확관부 패킹 삽입홈
32 : 제2절연링 321 : 돌출부
33 : 너트패킹

Claims (6)

  1. 스프링쿨러 주배관(B)과 스프링쿨러 헤드(C) 설치용 레듀싱 엘보우(D) 사이에 설치하거나, 신축파이프를 단일 마디로 제작하여 주배관(B)의 배관연결 조인트로 사용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 주는 신축배관(A)에 있어서,
    상기 신축배관(A)은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신축파이프(1)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주배관(B)과 신축배관(A)을 결합해주는 어댑터(2)로 구성되며,
    상기 어댑터(2)는 상기 주배관(B)과 결합되며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되게 중공이고 외형을 이루는 어댑터바디(21)와;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신축파이프(1)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바디와 신축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고정부싱(22)과;
    상기 어댑터바디(21)와 상기 고정부싱(22)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신축파이프와 어댑터바디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링(23)과;
    상기 어댑터바디(21)와 결합된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링(23)과 상기 고정부싱(22)이 결합된 상기 어댑터바디(21)가 상기 신축파이프(1)의 일정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고정링(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1)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신축파이프(1)에는 양측 말단의 일정 길이를 제외하고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배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해주는 주름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1)의 주배관 측 일단에는 내부의 유체가 상기 신축파이프(1)에서 상기 어댑터바디(21)의 내주면과 상기 신축파이프(1)의 외주면 사이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오링(121)과, 상기 제1오링(121)에서 누설 발생 시 2차로 누설을 방지하는 제2오링(131) 및 상기 고정링(24)이 각각 설치되는 제1링홈(12)과, 제2링홈(13)과, 제3링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어댑터바디(21)는 금속을 가공하여 제작하며 상기 고정부싱(22)이 내측에 결합되는 부싱결합부(211)와, CPVC 재질의 상기 주배관과 결합되는 CPVC 재질의 주배관결합부(212)로 구성되며, 상기 부싱결합부(211)를 미리 주배관결합부용 사출금형에 끼워놓고 상기 주배관결합부(212)를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고,
    상기 고정부싱(22)은 이종금속 접촉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ABS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고정부싱(22)의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될 수 있게 부싱중공(22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싱(22)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어댑터바디(21)와 나사 결합을 하는 어댑터바디결합나사(222)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링(23)은 수평링(231)과, 상기 수평링(231)의 일단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링(24)이 걸리는 수직링(23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링(24)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되며, 좌우 동형인 반원(241)이 벌어진 상태로 손으로 조여서 압착하여 설치하면 플랫링(Flat Ring)이 되게 중앙은 중앙홈(242)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제1오링(121)과 제2오링(131)은 부타디엔(Butadiene) 성분이 없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부싱결합부(211)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싱(22)이 삽입되며, 나사결합할 수 있게 암나사(21111)가 형성된 부싱중공(2111)과, 상기 고정부싱(22)의 말단이 걸리는 부싱걸림턱(2112)과, 상기 절연링(23)이 걸리는 절연링걸림턱(2113)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결합부(211)의 외주면에는 상기 어댑터바디(21)를 파이프렌치로 나사를 조이기 위해 팔각부(2114)가 형성되며,
    상기 부싱결합부(211)의 주배관결합부 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1오링(121)에서 누설 발생 시 상기 부싱결합부(211)와 주배관결합부(212)가 맞닿는 부분을 통해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2개의 바디오링(2115)이 설치되는 2개의 바디 오링홈(21151)과, 상기 주배관결합부(212)가 상기 부싱결합부(211)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주배관결합부 결합홈(2116)이 형성되고,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의 상기 주배관(B)이 결합되는 부분의 내부는 상기 주배관(B)과 접착제로 결합할 수 있게 주배관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중공(2121)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바디(21)는 용융아연도금된 스틸(Galvanizing Steel) 재질이며, 상기 고정부싱(22)이 내측에 결합되는 부싱결합부(211)와, 상기 주배관(B)과 결합되는 주배관결합부(212)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싱(22)의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1)가 삽입될 수 있게 부싱중공(22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싱(22)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어댑터바디(21)와 나사 결합을 하는 어댑터바디결합나사(222)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링(23)은 수평링(231)과, 상기 수평링(231)의 일단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링(24)이 걸리는 수직링(232)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링(24)은 좌우 동형인 반원(241)이 벌어진 상태로 손으로 조여서 압착하여 설치하면 플랫링(Flat Ring)이 되게 중앙은 얇아진 중앙홈(242)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제1오링(121)과 제2오링(131)은 부타디엔(Butadiene) 성분이 없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부싱결합부(211)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싱(22)이 삽입되며 나사 결합할 수 있게 암나사(21111)가 형성된 부싱중공(2111)과, 상기 고정부싱(22)의 말단이 걸리는 부싱걸림턱(2112)과, 상기 절연링(23)이 걸리는 절연링걸림턱(2113)이 형성되고,
    상기 부싱결합부(211)의 외주면에는 상기 어댑터바디(21)를 파이프렌치로 나사를 조이기 위해 팔각부(2114)가 형성되며,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의 내부는 상기 신축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게 중공(2121)이 형성되고,
    상기 주배관결합부(212)의 외주면에는 상기 주배관(B)과의 결합을 위한 PT나사(2122)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배관(A)은 상기 신축파이프(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듀싱 엘보우(D)와 결합하는 후레아 너트(3)가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파이프(1)의 상기 후레아 너트(3)가 설치되는 일단에는 상기 레듀싱 엘보우(D) 측으로 상기 후레아 너트(3)가 빠지지 않게 하는 확관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파이프(1)의 상기 확관부(15)와 주름부(11) 사이의 상기 후레아 너트(3) 끝부분에는 상기 후레아 너트(3)가 상기 주름부(11) 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15)가 형성되며,
    상기 후레어 너트(3)는 너트본체(31)와, 접합되는 상기 신축파이프(1)와 상기 후레어 너트(3)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종금속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제2절연링(32)과, 상기 신축파이프(1)와 상기 후레어 너트(3)와의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패킹(33)으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본체(31)의 상기 신축파이프(1) 측 내부에는 상기 절연링(32)이 접합되는 절연링시트면(311)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본체(31)의 스프링쿨러 헤드 설치용 상기 레듀싱 엘보우(D) 측에는 상기 레듀싱 엘보우(D)와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1인치 직경의 PF나사(312)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5. 삭제
  6. 삭제
KR1020140003209A 2014-01-10 2014-01-10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47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09A KR101476729B1 (ko) 2014-01-10 2014-01-10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09A KR101476729B1 (ko) 2014-01-10 2014-01-10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729B1 true KR101476729B1 (ko) 2014-12-26

Family

ID=5268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209A KR101476729B1 (ko) 2014-01-10 2014-01-10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72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856A (ko) * 2015-03-23 2016-10-04 정운택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KR20170025150A (ko) * 2015-08-27 2017-03-08 (주)다산테크 관 이음쇠
KR20170032168A (ko) * 2015-09-14 2017-03-22 박미순 플렉시블 조인트의 연결구 결합구조
KR20170112620A (ko) 2016-04-01 2017-10-12 임원일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KR101917671B1 (ko) * 2018-03-26 2018-11-13 (주)광운기업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KR20200098419A (ko) *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마스테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102249360B1 (ko) 2019-12-24 2021-05-13 주식회사 마당이엔씨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연결 소켓 조립체
KR20220048656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삼진호스 배관 연결용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876A (ja) * 1991-08-12 1993-02-23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巻下げ配管ユニツト
KR101340284B1 (ko) * 2013-01-29 2013-12-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346722B1 (ko) * 2012-10-22 2014-01-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876A (ja) * 1991-08-12 1993-02-23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巻下げ配管ユニツト
KR101346722B1 (ko) * 2012-10-22 2014-01-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340284B1 (ko) * 2013-01-29 2013-12-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856A (ko) * 2015-03-23 2016-10-04 정운택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KR101707943B1 (ko) * 2015-03-23 2017-02-17 정운택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KR20170025150A (ko) * 2015-08-27 2017-03-08 (주)다산테크 관 이음쇠
KR101716476B1 (ko) 2015-08-27 2017-03-16 (주)다산테크 관 이음쇠
KR102229309B1 (ko) * 2015-09-14 2021-03-18 박미순 플렉시블 조인트의 연결구 결합구조
KR20170032168A (ko) * 2015-09-14 2017-03-22 박미순 플렉시블 조인트의 연결구 결합구조
KR20170112620A (ko) 2016-04-01 2017-10-12 임원일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KR101917671B1 (ko) * 2018-03-26 2018-11-13 (주)광운기업 소방용 배관 결속장치
KR20200098419A (ko) *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마스테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95579B1 (ko) * 2019-02-12 2020-12-29 주식회사 마스테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20210102040A (ko) * 2019-02-12 2021-08-19 주식회사 마스테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102306477B1 (ko) 2019-02-12 2021-09-30 주식회사 마스테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102249360B1 (ko) 2019-12-24 2021-05-13 주식회사 마당이엔씨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연결 소켓 조립체
KR20220048656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삼진호스 배관 연결용 구조
KR102417642B1 (ko) * 2020-10-13 2022-07-06 주식회사 삼진호스 배관 연결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729B1 (ko)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346722B1 (ko)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82920B1 (ko) 고정브래킷 이동장치를 갖춘 가지배관의 cpvc 접착용 신축배관
KR101340284B1 (ko)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645282B1 (ko) Cpvc 가지배관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US9416897B2 (en) Press fitting device, components and method
KR101865460B1 (ko)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KR101780894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조립체
CA2927095C (en) Press fitting device, components and method
JP3210602U (ja) 小径配管用継手
KR100988279B1 (ko) 방폭용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KR101538337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KR101993806B1 (ko) 안정적 결합과 편심에 의한 휘어짐을 방지하는 신축배관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US9664318B2 (en) Fitting adapter with integrated mounting assembly and device
KR102383855B1 (ko) 플렉시블 조인트
KR0118091Y1 (ko) 스프링쿨러용 플렉시블 조인트
KR101821649B1 (ko) 내진용 주름부와 연결조인트를 가진 스테인레스 강관 및 그 제조방법
JP2013029169A (ja) 樹脂被覆金属三層管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KR101712144B1 (ko) 소방용 플렉시블 조인트
KR10177810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CN210424139U (zh) 一种应用于烟道的波纹补偿器
KR200378271Y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
CN209100831U (zh) 管道连接装置
KR20170033679A (ko) 플렉시블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