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579B1 -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579B1
KR102195579B1 KR1020200015810A KR20200015810A KR102195579B1 KR 102195579 B1 KR102195579 B1 KR 102195579B1 KR 1020200015810 A KR1020200015810 A KR 1020200015810A KR 20200015810 A KR20200015810 A KR 20200015810A KR 102195579 B1 KR102195579 B1 KR 10219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pendant
plunger
sprinkler head
dry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419A (ko
Inventor
오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스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스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스테코
Priority to JP2021547129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45346B2/ja
Priority to PCT/KR2020/001902 priority patent/WO2020166937A1/ko
Publication of KR2020009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419A/ko
Priority to KR1020200151148A priority patent/KR102306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2Pipe-line systems dry, i.e. empty of extinguishing material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살수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dry pendent)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 펜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벽체가 90°굽어진 부위에 열선을 감지않고도 드라이 펜던트의 설치가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지관(93)과 연결되고, 가지관과 연결되는 지점을 폐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유지하도록 제1 유로개폐수단(20)이 구비된 제1 드라이 펜던트(10)와, 상기 제1 유로개폐수단(20)의 일 측에 압축되게 설치된 인출수단(21)과,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10)의 일단에 결합된 엘보우(30)와, 상기 엘보우(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출수단의 힘을 90°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40)과, 상기 엘보우(30)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며 동력전달수단(40)에 의해 전달된 힘으로 작동되는 제2 유로개폐수단(50)이 구비된 제2 드라이 펜던트(60)와, 상기 제1, 2 드라이 펜던트(10)(60)를 엘보우(30)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하는 제1, 2 부싱(31)(32)과,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60)에 나사 결합되며 출구가 개방된 프레임(61)과, 상기 프레임(61)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플랜지(7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평탄한 바닥면(7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사공간(73)을 갖도록 복수 개의 상향절곡부(74)를 갖는 전방향 디플렉터(70)와, 상기 프레임(61)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전방향 디플렉터(70)가 프레임(6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며, 화재에 감응하는 히트 콜렉터(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angle type dry pendant sprinkler head}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살수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외기의 온도가 낮아 동파 우려가 있는 장소의 벽면에 설치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dry pendent)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건물 내의 상부, 즉 천장이나 벽에 부착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퓨즈(납)가 화재 발생으로 열에 의해 녹으면 프레임에서 히트 콜렉터가 탈락됨에 따라 디플렉터가 하강하게 되므로 가압되어 있던 소방수가 디플렉터에 부딪혀 발화점 전체에 비산되고, 이에 따라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화재통보와 소화가 발화 초기에 자동으로 행하여지도록 제공되고 있으며, 소방수를 분무 상(噴霧 狀)으로 방사시키므로 액체 화재에 효과가 크다.
또한, 화재 발견이나 소화활동이 곤란한 지하 건축물이나 가연물(불에 타는 물질)이 많고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영역의 소화설비로서 적합하며, 야간의 자동소화도 기대할 수 있는 등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다.
그리고 통상의 스프링클러는 보통 67∼180℃에서 작동하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부착 위치나 배치 및 방수량에 대해서는 건물의 종류와 내장(內裝)에 사용된 재질에 따라 소방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예컨대, 스프링클러 헤드를 천장에 설치할 경우에는 보편적으로 천장 뒷면에서 10∼20cm 이격되게 설치하며, 수평 거리로 2.1m 이하(내화구조에는 2.3m 이하)가 되도록 배치한다.
이와 유사한 소화설비로서 지붕 위, 처마끝, 창 가장자리 등 옥외에 헤드가 설치되어 있어 방수 때의 수막(水膜)으로 인접 화재의 연소를 방지하는 드렌처(drencher)가 있다.
한편, 외기의 온도가 낮아 동파 우려가 있는 장소에 드라이 펜던트 타입(dry pendent type)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여 스프링클러가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드라이 펜던트 타입의 스프링클러 헤드는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소방수를 하향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지만, 근래에는 건물의 벽면에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화재의 발생으로 헤드부가 이탈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종단면도로써, 바디부(200), 가이드부(300), 고정부(400), 디플렉터(500), 헤드부(600) 및 가압부(7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바디부(200)는 내부에 배수관(도시는 생략함)과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로써,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며 건물 실내의 측벽에 실내를 향하도록 매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바디부(200)의 타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공간(10)이 형성되며 전방에 바디부(200)의 타단과 이격되고 중심을 향해 수직 연장된 링 형태의 스토퍼(310)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700)는 삽입공간(10)에서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바디부(200)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통공을 차단하고, 바디부(200)에 인접한 위치의 외측면에 걸림턱(7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700)의 일단은 상기 통공을 커버하도록 일단에서 타단으로 외경이 확장되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다시 외경이 축소되도록 연장된 후 일정한 외경을 가지면서 파이프 형태로 타단을 향해 후술 될 디플렉터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600)는 가압부(700) 및 가이드부(3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원형의 플레이트가 바디부(200)의 연장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는 날개 형태로 형성되며,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에 의해 내부의 퓨즈가 녹으면 분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600)의 구조가 분해되면, 헤드부(600)에 의해 상기 통공에서 가해지는 수압이 가압부(700)를 전방을 향해 밀어내고, 가압부(700)는 헤드부(600)를 가이드부(300)에서 이탈시킨다.
상기 디플렉터(500)는 헤드부(600)의 상부를 커버하고, 분리된 일부의 일단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부(30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은 복수의 돌기들이 걸림턱(710) 전방에 위치한 가압부(70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디플렉터(500)는 상단 디플렉터(510), 후방 디플렉터(520) 그리고 전방 디플렉터(5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디플렉터(510)는 일단은 가이드부(30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부(300)의 상부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부(40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확장되도록 연장되어 가이드부(300)의 전방 상부를 커버한다.
상기 후방 디플렉터(520)의 일단은 상단 디플렉터(510)의 일단의 고정부(400)와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부(300)를 향해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가이드부(300)와 상단 디플렉터(510) 사이를 커버한다.
상기 전방 디플렉터(530)는 가이드부(300)의 삽입공간(1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일단은 링 형태로 가이드부(3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일단의 일부는 전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에는 복수의 돌기들이 걸림턱(710)의 전방의 가압부(70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부(600) 내부의 퓨즈가 열에 의해 녹아내리면 헤드부(600)의 구조가 분해되면서 구조를 지탱하는 결합력이 낮아지고, 수압을 차단하는 가압부(700)의 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부(300)에서 이탈한다.
이 경우, 가압부(700)는 삽입공간(10) 내부에 배치되어 있던 전방 디플렉터(530)를 전방을 향해 밀어내고, 전방 디플렉터(530)의 일단은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을 향해 이동한 후 링 형태로 형성된 일단이 가이드부(300)의 스토퍼(310)에 의해 정지되어 물을 분산시키는 디플렉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방 디플렉터(530)는 상단돌기(531), 측면돌기(532), 하단돌기(533), 상단 연결부(534), 측면연결부(535) 및 가이드 링(536)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돌기(531)들은 전방 디플렉터(530) 중앙에 배치된 원통형의 구조 가장자리에서 가장자리와 수직인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측면돌기(532)들은 전방 디플렉터(530)의 양 측면에서 측면을 향해 서로 이격되도록 확장 연장되고, 하단돌기(533)들은 전방 디플렉터(530)의 원통형의 구조 가장자리에서 가장자리와 수직인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536)은 상단, 측면 및 하단 돌기(531, 532, 533)들과 이격되도록 후방에 배치되고, 가이드부(3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며, 가이드부(30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단 연결부(534)는 상단돌기(531)의 끝단과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링(536)과 결합되며, 측면 연결부(535)는 측면돌기(532)들 각각의 하부에 이격 배치된 하단돌기(533)들 각각과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링(536)과 결합된다.
따라서,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의 발생으로 헤드부(600)가 가이드 부(300)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가압부(700)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가압부(7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턱(710)은 도 3b와 같이 가이드링(536)이 스토퍼(310)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전방 디플렉터(530)의 전방에 위치한 상단, 측면 및 하단 돌기(531, 532, 533)들을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밀어낸다.
또한, 전방으로 밀려난 상단, 측면 및 하단 돌기(531, 532, 533)들은 바디부(200)에서 분출되는 소방수를 분산시켜 소방수가 균일하게 분출되도록 하고, 상부로 분출되는 소방수는 상단 디플렉터(510)를 통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상기의 종래기술을 기반으로 한 선행기술로는 아래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로 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43546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70907호가 있으며, 이에 상기한 종래 기술이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 외 다른 선행기술로는 아래 특허문헌 3의 미국 특허등록 US 7,921,928 B2에 개시된 '90도 건조 수평 측벽 스프링클러'가 있다.
특허문헌 3의 선행기술은 플러그 부재 및 캡과 연동되도록 수직세그먼트 내부에 설치된 세로링크와 수평세그먼트 내부에 설치된 가로링크가 하우징을 이루는 수직세그먼트와 수평세그먼트를 90도로 연결하는 엘보 내부에서 다양한 변환수단에 의해 연동되어 동작되게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3은 엘보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변환수단으로, 피봇핀으로 회동되며 양단에 가로링크와 세로링크의 일단이 결착되는 요동부재, 가로링크와 세로링크의 일단이 링크로 결합되는 원판형의 변환메거니즘, 가로링크와 세로링크에 래크를 각각 구비하고 각 래크를 피니언기어에 치합시켜 연동되게 하는 변환기구, 가로링크와 세로링크에 연결된 피스톤이 유압유체로 연동되게 하는 유압형 변환기구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변환수단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43546호(2017.05.30.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70907호(2018.06.19.등록) 미국 특허등록 US 7,921,928 B2 (2011.04.20.등록)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 2의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도 4와 같이 드라이 펜덴트가 설치되는 벽체(94)가 90°굽어진 경우에는 벽체 매립부위에서 소방수가 얼기 때문에 열선(95)을 감아 주어야 되므로 공사가 번거롭고 동절기에 열선에 전원을 인가하여야만 되었으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에 부주의로 열선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파로 인한 누수가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열선의 단선 등에 의해 보수 작업시에는 부득이 벽체를 해체하여야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특허문헌 3은 엘보의 양단에 수직세그먼트와 수평세그먼트의 일단이 단순 조립되는 구조이거나 엘보우 부싱을 이용하여 드라이 펜던트가 엘보우에 조립되어 결합될 경우 원활한 조립을 위한 유격으로 인해 과도한 진동이 가해지면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어서 화재 진압 시 소방수가 헤드로 살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3은 엘보 내부에 요동부재나 변환메커니즘을 피봇핀이나 축으로 설치해야 하고 그 요동부재나 변환메커니즘, 피니언과 래크, 유압과 피스톤을 이용한 변환기구를 구비하고, 그 양단에 가로링크 및 세로링크를 연결해야 하는 설치 구조의 복잡성과 조립성의 난해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출원처럼 가지관과 결합되는 피팅 어댑터 내부에서 플런저를 다수의 볼로 잡아주는 타입의 스프링클러 헤드는 플런저를 잡아주는 다수의 볼 압박력이 가지관의 수압보다 강하면 플런저를 받쳐주고 있는 힘이 해제되더라도 플런저가 볼 압박력을 벗어나지 못함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소방수의 빠른 살수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드라이 펜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벽체가 90°굽어진 부위에 열선을 감지않고도 드라이 펜던트의 설치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의 발생으로 피팅 어댑터의 내부를 밀봉하고 있던 플런저가 이탈하더라도 소방수의 유량 감소 및 플런저의 유동에 따른 난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내부에 가압부를 설치하지 않고도 원하는 살수 패턴을 구현함과 동시에 부품의 간소화로 인해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제2 드라이 팬던트를 제1, 제2 부싱에 의해 엘보우에 조립하여 결합할 때의 유격을 제거하면서 제1, 제2 드라이 팬던트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제1, 제2 드라이 팬던트의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갖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지관과 결합되는 피팅 어댑터 내부에서 플런저를 잡아주는 다수의 볼 압박력이 가지관의 수압보다 강하더라도 화재 발생으로 제1서포트 튜브의 튜브 홀더가 인출수단에 의해 하강되기만 하면 플런저가 볼의 압박력을 강제적으로 벗어나 신속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력전달수단으로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 측에 설치되는 제1 링크 부싱과 제2 드라이 펜던트 측에 설치되는 제2 링크 부싱의 동력 전달이 보다 원활히 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가지관과 연결되고, 가지관과 연결되는 지점을 폐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유지하도록 제1 유로개폐수단이 구비된 제1 드라이 펜던트와, 상기 제1 유로개폐수단의 일 측에 압축되게 설치된 인출수단과,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의 일단에 결합된 엘보우와, 상기 엘보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출수단의 힘을 90°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엘보우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힘으로 작동되는 제2 유로개폐수단이 구비된 제2 드라이 펜던트와, 상기 제1, 2 드라이 펜던트를 엘보우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하는 제1, 2 부싱과,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에 나사 결합되며 출구가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평탄한 바닥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사공간을 갖도록 복수 개의 상향절곡부를 갖는 전방향 디플렉터와, 상기 프레임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전방향 디플렉터가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며, 화재에 감응하는 히트 콜렉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 2부싱으로 제1, 제2 드라이 펜던트를 엘보우에 조립할 때 제1, 제2 부싱에 쐐기 형태로 나사 결합되어 제1, 제2 드라이 펜던트의 외경을 눌러는 테이퍼 부싱을 더 구비하여 유격을 제거해 주고 강도를 높여주도록 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의 제1 유로개폐수단을 구성하는 튜브 홀더 내면에는 단턱을 구비하고, 플런저에는 상기 튜브 홀더의 단턱이 걸리는 로드가 사방에 뻗은 형태의 걸림구를 플런저에 구비하여 제1 플런저 서포트 튜브와 튜브 홀더 하강 시 플런저를 강제적으로 이탈시키도록 구성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링크 부싱과 제2 링크 부싱의 접촉면을 점 접촉이 가능한 원호상 형태로 형성하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가 빈 제 1, 2 드라이 펜던트를 90°직교되게 설치하여 화재의 발생으로 히트 콜렉터가 이탈되면 인출수단의 힘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제2 드라이 펜던트 측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유로를 개방하므로 열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외기의 온도가 차가운 동절기에 스프링클러 헤드가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열선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단선 등의 하자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제2 부싱 일측에 테이퍼 부싱이 쐐기 형태로 결합되어 제1, 제2 아우터 튜브 외경과의 유격을 제거해 주므로 제1, 제2 드라이 팬던트의 결합부위가 진동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인출수단에 의해 튜브 홀더가 하강되기만 하면 플런저가 볼의 압박력을 강제적으로 벗어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므로 소방수의 신속한 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시 제1 드라이 펜던트 측의 제1 링크 부싱과 제2 드라이 펜던트 측의 제2 링크 부싱이 경사면이나 접촉면에 의해 접촉되도록 조립하기만 하면 동력 전달 동작이 보다 원활히 될 수 있다.
또한, 선단에 제1 링크 부싱과 제2 링크 부싱이 조립된 상태로 제1 드라이 펜던트와 제2 드라이 펜던트를 엘보우에 90도로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끼워 조립하는 것이므로 조립에 따른 작업성과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고, 동작성이 명확하여 생산원가 절감 및 품질 향상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화재의 발생으로 헤드부가 이탈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종단면도로써,
도 3a는 종래의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b는 화재의 발생으로 헤드부가 이탈된 상태도
도 4는 벽체가 90°굽어진 부위에 드라이 펜던트가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종단면도로써,
도 7a는 초기상태도
도 7b는 화재의 발생으로 히트 콜렉터가 이탈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동력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를 하향식으로 설치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엘보우 양단에 조립되는 제1, 제2 부싱과 테이퍼 부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1, 제2 아우터 튜브를 엘보우에 조립할 때의 유격을 테이퍼 부싱으로 제거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플런저 이동을 위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12a는 평상 시의 상태도
도 12b는 작동 시 하강되는 튜브 홀더의 단턱이 플런저 로드에 걸린 상태도
도 12c는 가압수에 의해 플런저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링크 부싱을 다른 실시예로 보인 도면으로서
도 13a는 제1, 제2 링크 부싱의 동작 전 상태의 종단면도
도 13b는 제1, 제2 링크 부싱의 동작 후 상태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가지관(93)과 연결되고, 가지관(93)과 연결되는 지점을 폐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유지하도록 제1 유로개폐수단(20)이 구비된 제1 드라이 펜던트(10)와, 상기 제1 유로개폐수단(20)의 일 측에 압축되게 설치된 인출수단(21)과,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10)의 일단에 결합된 엘보우(30)와, 상기 엘보우(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출수단(21)의 힘을 90°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40)과, 상기 엘보우(30)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며 동력전달수단(40)에 의해 전달된 힘으로 작동되는 제2 유로개폐수단(50)이 구비된 제2 드라이 펜던트(60)와, 상기 제1, 2 드라이 펜던트(10)(60)를 엘보우(30)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하는 제1, 2 부싱(31)(32)과,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60)에 나사 결합되며 출구가 개방된 프레임(61)과, 상기 프레임(61)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플랜지(7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평탄한 바닥면(7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사공간(73)을 갖도록 복수 개의 상향절곡부(74)를 갖는 전방향 디플렉터(70)와, 상기 프레임(61)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전방향 디플렉터(70)가 프레임(6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며, 화재에 감응하는 히트 콜렉터(8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40)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10) 측에 설치되며, 외측면 45°경사면(41a)을 갖는 제1 링크 부싱(41)과,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60) 측에 설치되며 외측면 45°경사면(42a)을 갖는 제2 링크 부싱(42)으로 구성하여, 상기 인출수단(21)의 힘이 제1, 2 드라이 펜던트(10)(60)측의 외측면에 형성된 경사면(41a)(42a)에 의해 제2 드라이 펜던트(60) 측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동력전달수단(40)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8과 같이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10) 측에 설치되며, 일단에 45°각도의 가이드레일(43a)을 갖는 캠판(43)과,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60) 측에 설치되며 가이드레일(43a)에 끼워지는 베어링(44a)을 갖는 가동편(44)으로 구성하여, 상기 인출수단(21)의 힘이 캠판(43)에 의해 제2 드라이 펜던트(60) 측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수단(40)을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10)에 구비된 제1 유로개폐수단(20)은, 상기 제1 부싱(31)에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형상의 제1 아우터 튜브(11)와, 상기 제1 아우터 튜브(1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동력전달수단(40)에 지지되는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와,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에 결합되는 튜브 홀더(13)와, 상기 제1 아우터 튜브(11)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소방수 통공(14a)이 형성된 피팅 어댑터(14)와, 상기 피팅 어댑터(14)의 통공에 설치되어 소방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플런저(15)와,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의 내부에 고정되어 플런저(15)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핀(16)과, 상기 플런저(15)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튜브 홀더(13)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볼(17)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런저(15)의 일단에는 플런저(15)가 화재의 발생으로 피팅 어댑터(14)의 통공(14a)이 개방되도록 이탈하여 스톱 핀(16)에 걸렸을 때,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용 바(15a)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15)에 의해 소방수의 유량이 저하되지 않도록 상기 스톱 핀(16)이 설치된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의 양측으로 제1, 2 바이패스공(12a)(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60)에 구비된 제2 유로개폐수단(50)은, 상기 제2 부싱(32)에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형상의 제2 아우터 튜브(51)와, 상기 제2 아우터 튜브(5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히트 콜렉터(80)에 지지되는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5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52)는, 상기 일단이 동력전달수단(40)에 지지되는 파이프형상의 지지봉(53)과. 상기 지지봉(53)의 다른 일단이 걸리는 단턱(54a) 및 걸림 턱(54b)이 구비되며 제2 아우터 튜브(51)에 수용되는 가동부재(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40)에 압축되게 엘보우(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으로 프레임(61)에서 히트 콜렉터(80)가 이탈 시, 동력전달수단에 힘을 가하는 인출수단(21)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치에 따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원추형 코일스프링을 적용하였으나, 판 스프링 등을 적용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61)의 상부에 소방수가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측방향 디플렉터(9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61)의 출구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가 상측으로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막아주도록 출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측방향 디플렉터(90)에 프레임(61)의 둘레를 감싸는 감압부(9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방향 디플렉터(90)를 프레임(61)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92)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62)은 일단에 프레임(61)이 나사 결합되고 타단에는 제2 아우터 튜브(51)가 나사 고정되며 내부에 단턱(62a)이 형성된 프레임 홀더이고, (63)는 플런저(15)의 외주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오링이다.
본 발명의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를 도 7a와 같이 측벽형으로 설치하여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보우(30)의 일단에 제2 링크 부싱(41)과 제2 부싱(32)을 차례로 조립한 다음 상기 제2 부싱(32)에 제2 아우터 튜브(51)를 나사 결합한 후 상기 제2 아우터 튜브(51)의 내부에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52)를 구성하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봉(53)의 일단이 가동부재(54)에 걸리도록 차례로 조립하고 나면 제2 아우터 튜브(51)의 타단에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52)가 이탈되지 않도록 프레임 홀더(62)를 나사 조립하게 된다.
그 후, 상기 프레임 홀더(62)에 프레임(61)을 나사 결합한 다음 상기 프레임(61)의 내부에 전방향 디플렉터(70)를 수납한 후 히트 콜렉터(80)를 조립하면 상기 가동부재(54)의 걸림 턱(54b)이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홀더(62)의 단턱(62a)과 소정의 간격(s)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레임(61)의 외주면에 측방향 디플렉터(90)의 감압부(91)를 감싸고 체결부재(92)로 상기 측방향 디플렉터(9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엘보우(30)의 일단에 제2 드라이 펜던트(60) 및 전방향 디플렉터(70) 그리고 히트 콜렉터(80)와 측방향 디플렉터(90)를 조립한 다음 엘보우(30)의 타단에 제1 링크 부싱(41) 및 인출수단(21)을 수납하고 제1 부싱(31)를 조립하면 상기 제1 부싱(31)에 의해 인출수단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싱(31)에 제1 아우터 튜브(11)를 나사 조립한 다음 상기 제1 아우터 튜브(11)의 내부에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를 삽입하면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의 선단이 제1 링크 부싱(41)에 접속되므로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의 삽입이 제한되는데, 이때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에 형성된 제1, 2 바이패스공(12a)(12b)의 사이에는 플런저(15)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핀(16)이 관통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아우터 튜브(11)에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를 조립하고 나면 피팅 어댑터(14)의 통공(14a)에 플런저(15)를 끼운 다음 플런저(15)의 외주면에 위치되게 복수 개의 볼(17)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에 튜브 홀더(13)를 위치시키고 상기 피팅 어댑터(14)를 제1 아우터 튜브(11)에 나사 조립함으로써, 도 7a와 같은 측벽형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를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엘보우(30)의 일단에 제2 아우터 튜브(51)를 조립한 다음 다른 일단에 제1 아우터 튜브(11)를 조립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순서를 반대로 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벽형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이를 도 4와 같은 형태로 벽체(94)에 매립한 다음 상기 피팅 어댑터(14)를 건물의 측벽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지관(93)에 나사 결합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가 가지관(93)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에 조립된 튜브 홀더(13)가 복수 개의 볼(17)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피팅 어댑터(14)의 통공(14a)을 폐쇄하고 있던 플런저(15)가 피팅 어댑터(14)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2 플런저 써포트 튜브(12)(52) 및 제1, 2 아우터 튜브(11)(51)에는 소방수가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 상태이므로 외기의 온도가 떨어지더라도 스프링클러 헤드가 동파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고열에 의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트 콜렉터(80)의 퓨즈(도시는 생략함)가 용융되어 프레임(61)에서 이탈되면 제1 링크 부싱(41)을 밀어주고 있던 제2 링크 부싱(42)의 힘이 상실되어 인출수단(21)의 복원력에 의해 제1 링크 부싱(41)이 이동되면서 제2 링크 부싱(42)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켜 주므로 동력전달수단(40)인 제1, 2 링크 부싱(41)(42)의 위치 이동에 의해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52)를 구성하는 지지봉(53) 및 가동부재(54)가 함께 프레임(61)의 출구 측으로 이동하고, 가동부재(54)는 걸림 턱(54b)이 프레임 홀더(62)의 단턱(62a)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동시에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의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튜브 홀더(13)에 의한 복수 개의 볼(17)의 지지력이 상실되므로 피팅 어댑터(14)의 통공(14a)을 폐쇄하고 있던 플런저(15)가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통공(14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스톱 핀(16)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톱 핀(16)에 걸린 플런저(15)는 스톱 핀(15)에 회전방지용 바(15a)가 고정되어 있어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으므로 소방수가 분출하는 과정에서 플런저(15)에 의한 난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피팅 어댑터(14)에 형성된 통공(14a)을 통해 소방수가 빠져나오면 스톱 핀(16)이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에 위치되어 있어 유량이 감소되지만, 본 발명은 소방수의 일부가 플런저(15)가 걸린 전방의 제1 바이패스공(12a)을 통해 제1 아우터 튜브(11)의 공간을 거쳐 제2 바이패스공(12b)으로 유입되어 플런저(15)를 통과한 소방수와 함께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52)를 거쳐 프레임(61)을 출구로 분사되어 전방향 디플렉터(70)의 바닥면(72)에 부딪힌 다음 분사공간(73)으로 비산되고, 일부는 측방향 디플렉터(90)에 부딪혀 상방향으로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2부싱(31)(32)으로 제1, 제2 드라이 펜던트(10)(60)를 엘보우(30)에 조립할 때의 유격을 제거해 주는 테이퍼 부싱(33)(34)을 제1, 제2 부싱(31)(32) 일측에 나사 결합식의 쐐기 형태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 부싱(33)(34)은 제1, 제2 드라이 펜던트(10)(60)의 제1, 제2 유로개폐수단(20)(50)과 제1, 제2 부싱(31)(32)과의 원활한 조립을 위해 구비된 유격 부위에 쐐기 형태로 결합되어 제1, 제2 유로개폐수단(20)(50)의 외경을 눌러 잡아주므로 제1, 제2 드라이 팬던트(10)(60)의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제1, 제2 드라이 팬던트(10)(60)의 결합부위에 진동 등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테이퍼 부싱(33)(34)에 의한 강도 보강으로 제1, 제2 드라이 팬던트(10)(60)의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10)의 제1 유로개폐수단(20)은 아래의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싱(31)에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형상의 제1 아우터 튜브(11)와, 상기 제1 아우터 튜브(1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동력전달수단(40)에 지지되는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와, 상기 제1 아우터 튜브(11)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소방수 통공이 형성된 피팅 어댑터(14)와,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에 결합되며 내면에 단턱(13a)이 구비된 튜브 홀더(13)와, 상기 피팅 어댑터(14)의 통공(14a)에 설치되어 소방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플런저(15) 및,
상기 튜브 홀더(13)의 단턱(13a)이 걸리는 로드(18a)가 사방에 뻗은 형태로 플런저(15)에 구비되어 튜브 홀더(13) 하강 시 플런저(15)를 강제적으로 이탈시키는 걸림구(18)와,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12)의 내부에 고정되어 플런저(15)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핀(16)과, 상기 플런저(15)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튜브 홀더(13)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볼(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튜브 홀더(13)의 단턱(13a)은 튜브 홀더(13) 성형 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단턱(13a)을 별도 부품으로 만든 후 튜브 홀더(13) 내주면에 구비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18a)는 탄성과 강성이 있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하여 걸림구(18) 사방에 구비시킬 수도 있고, 또는 걸림구(18)와 로드(18a) 전체를 한 몸체의 탄성과 강성있는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의 다른 실시예로 구성된 제1 유로개폐수단(20)은 아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볼(17)을 튜브 홀더(13)가 눌러서 플런저()의 밀폐력을 유지시켜 주다가 화재 발생에 의한 튜브 홀더(13)의 이동으로 볼(17)을 눌러주던 지지력이 없어질 때 플런저(15)를 잡아주는 다수의 볼(17) 압박력이 가지관(93)의 수압보다 강하면 플런저(15)는 볼(17)의 압박력으로 인해 피팅 어댑터(14)의 통공(14a)을 폐쇄를 해제하지 못하므로 신속한 소방수의 살수가 어렵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다른 실시예의 제1 유로개폐수단(20)은 화재 발생으로 인출수단(21)에 의한 제1 플런저 서포트 튜브(12)의 이동을 따라 튜브 홀더(13)가 이동될 때 튜브 홀더(13)의 단턱(13a)이 걸림구(18)의 로드(18a)를 당겨주므로 플런저(15)는 볼(17)의 압력력을 강제적으로 벗어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해 지며, 이로 인해 소방수의 신속한 살수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40)은 아래의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10) 측에 설치되며, 일단에 원호상의 접촉면(41b)을 갖는 제1 링크 부싱(41)과,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60) 측에 설치되며 제1 링크 부싱(41)의 접촉면과 접촉되도록 일단에 원호상의 접촉면(42b)을 갖는 제2 링크 부싱(42)으로 구성하여,
상기 인출수단(21)의 힘이 마찰계수가 적은 점 접촉 방식에 의해 제2 드라이 펜던트(60) 측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기 동력전달수단(40)으로 구비되는 제1 부싱과 제2 부싱은 서로의 경사면(41a)(42a)이나 접촉면(41b)(42b) 크기를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양쪽을 같은 크기로 형성하여도 되고, 도 13a 및 도 13b와 같이 일측의 경사면(41a)이나 접촉면(41b) 크기를 타측 경사면(42a)이나 접촉면(42b)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유로개폐수단(20)과 제2 유로개폐수단(50) 간의 이동 거리 조절을 위해 가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드라이 펜던트 11 : 제1 아우터 튜브
12 :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 12a, 12b : 바이패스공
13 : 튜브 홀더 13a : 단턱
14 : 피팅 어댑터 14a : 통공
15 : 플런저 15a : 회전방지용 바
16 : 스톱 핀 17 : 볼
18 : 걸림구 18a : 로드
20 : 제1 유로개폐수단 21 : 인출수단
30 : 엘보우 31 : 제1 부싱
32 : 제2 부싱 33, 34 : 테이퍼 부싱
40 : 동력전달수단 41 : 제1 링크 부싱
41a, 42a : 경사면 41b, 42b : 접촉면
42 : 제2 링크 부싱 50 : 제2 유로개폐수단
51 : 제2 아우터 튜브 52 :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
53 : 지지봉 54 : 가동부재
54b : 걸림 턱 60 : 제2 드라이 펜던트
61 : 프레임 70 : 전방향 디플렉터
72 : 바닥면 73 : 분사공간
80 : 히트 콜렉터 90 : 측방향 디플렉터
91 : 감압부 93 : 가지관

Claims (18)

  1. 가지관과 연결되고, 가지관과 연결되는 지점을 폐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유지하도록 제1 유로개폐수단이 구비된 제1 드라이 펜던트와,
    상기 제1 유로개폐수단의 일 측에 압축되게 설치된 인출수단과,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의 일단에 결합된 엘보우와,
    상기 엘보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출수단의 힘을 90°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엘보우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힘으로 작동되는 제2 유로개폐수단이 구비된 제2 드라이 펜던트와,
    상기 제1, 2 드라이 펜던트를 엘보우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하는 제1, 2부싱과,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에 나사 결합되며 출구가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평탄한 바닥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사공간을 갖도록 복수 개의 상향절 곡부를 갖는 전방향 디플렉터와,
    상기 프레임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전방향 디플렉터가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며, 화재에 감응하는 히트 콜렉터와,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 측에 설치되며, 외측면에 45°경사면을 갖는 제1 링크 부싱과,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 측에 설치되며 외측면에 45°경사면을 갖는 제2 링크 부싱으로 구성하여,
    상기 인출수단의 힘이 제1, 2 드라이 펜던트 측의 외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제2 드라이 펜던트 측으로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소방수가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측방향 디플렉터에 프레임의 둘레를 감싸는 감압부를 형성하여 상기 측방향 디플렉터를 상기 프레임에 체결부재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의 제1 유로개폐수단은,
    상기 제1 부싱에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형상의 제1 아우터 튜브와,
    상기 제1 아우터 튜브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동력전달수단에 지지되는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와,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에 결합되는 튜브 홀더와,
    상기 제1 아우터 튜브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소방수 통공이 형성된 피팅 어댑터와,
    상기 피팅 어댑터의 통공에 설치되어 소방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플런저와,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의 내부에 고정되어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핀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튜브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의 제2 유로개폐수단은,
    상기 제2 부싱에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형상의 제2 아우터 튜브와,
    상기 제2 아우터 튜브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히트 콜렉터에 지지되는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런저 서포트 튜브를,
    상기 일단이 동력전달수단에 지지되는 파이프형상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다른 일단이 걸리는 단턱 및 걸림 턱이 구비되며 제2 아우터 튜브에 수용되는 가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회전방지용 바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톱 핀이 설치된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의 양측으로 제1, 2 바이패스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압축되게 엘보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히트 콜렉터의 이탈 시, 동력전달수단에 힘을 가하는 원추형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제2 드라이 펜던트의 외경을 눌러주면서 제1, 제2 부싱에 쐐기 형태로 나사 결합되어 유격을 제거해 주는 테이퍼 부싱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의 제1 유로개폐수단은,
    상기 제1 부싱에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형상의 제1 아우터 튜브와,
    상기 제1 아우터 튜브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동력전달수단에 지지되는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와,
    상기 제1 아우터 튜브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소방수 통공이 형성된 피팅 어댑터와,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에 결합되며 내면에 단턱이 구비된 튜브 홀더와,
    상기 피팅 어댑터의 통공에 설치되어 소방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플런저와,
    상기 튜브 홀더의 단턱이 걸리는 로드가 사방에 뻗은 형태로 플런저에 구비되어 튜브 홀더 하강 시 플런저를 강제적으로 이탈시키는 걸림구와,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의 내부에 고정되어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핀과,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튜브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튜브 홀더의 단턱은 튜브 홀더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부품으로 만들어져 구비되며,
    플런저에 조립되는 걸림구의 사방으로 뻗은 로드는 탄성과 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 드라이 펜던트 측에 설치되며, 외측면에 원호상의 접촉면을 갖는 제1 링크 부싱과,
    상기 제2 드라이 펜던트 측에 설치되며 제1 링크 부싱의 접촉면과 접촉되도록 외측면에 원호상의 접촉면을 갖는 제2 링크 부싱으로 구성하여,
    상기 인출수단의 힘이 마찰계수가 적은 점 접촉 방식으로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1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싱과 제2 링크부싱은,
    제1 유로개폐수단과 제2 유로개폐수단 간의 이동 거리 조절을 위해 일측의 경사면이나 접촉면 크기를 타측의 경사면이나 접촉면과 동일하게 하거나 타측의 경사면이나 접촉면 보다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200015810A 2019-02-12 2020-02-10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9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47129A JP7245346B2 (ja) 2019-02-12 2020-02-11 アングル型ドライペンダント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PCT/KR2020/001902 WO2020166937A1 (ko) 2019-02-12 2020-02-11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200151148A KR102306477B1 (ko) 2019-02-12 2020-11-12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15 2019-02-12
KR20190016215 2019-02-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148A Division KR102306477B1 (ko) 2019-02-12 2020-11-12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419A KR20200098419A (ko) 2020-08-20
KR102195579B1 true KR102195579B1 (ko) 2020-12-29

Family

ID=722930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810A KR102195579B1 (ko) 2019-02-12 2020-02-10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200151148A KR102306477B1 (ko) 2019-02-12 2020-11-12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148A KR102306477B1 (ko) 2019-02-12 2020-11-12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955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134Y1 (ko) * 2001-11-06 2002-03-09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프렉터 변형방지장치
US20100038099A1 (en) * 2008-08-18 2010-02-18 The Viking Corporation 90 Degree Dry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KR101476729B1 (ko) * 2014-01-10 2014-12-26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870907B1 (ko) * 2017-03-16 2018-06-28 최영표 삽입형 건식 드라이펜던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621B1 (ko) * 2010-04-14 2012-11-12 서울메트로 동파방지용 스프링클러
KR101743546B1 (ko) 2015-10-23 2017-06-07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134Y1 (ko) * 2001-11-06 2002-03-09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프렉터 변형방지장치
US20100038099A1 (en) * 2008-08-18 2010-02-18 The Viking Corporation 90 Degree Dry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KR101476729B1 (ko) * 2014-01-10 2014-12-26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신축파이프와 어댑터의 결합이 강화된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870907B1 (ko) * 2017-03-16 2018-06-28 최영표 삽입형 건식 드라이펜던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477B1 (ko) 2021-09-30
KR20210102040A (ko) 2021-08-19
KR20200098419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877B1 (ko)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US10195473B1 (en) Dry sprinkler
KR102243552B1 (ko) 앵글형 스프링클러 헤드
EP2602521B1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opening mechanism for fire and explosion protection
KR101069939B1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102195579B1 (ko)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08362Y1 (ko) 플러시형 드라이 팬턴트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WO2019187473A1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01340485A (ja) 差圧式開放弁および開放式スプリンクラー設備
JP2004141647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7245346B2 (ja) アングル型ドライペンダント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1926695B1 (ko) 스프링클러 헤드
US20220118299A1 (en) Dry sprinkler
CN216418143U (zh) 一种喷粉室消防用喷淋装置
RU71551U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KR10104702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20110084465A (ko) 스프링클러
KR102607196B1 (ko) 소방용수 분사장치
CN112218690A (zh) 用于灭火喷洒器的智能材料机构
JP604906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RU56823U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KR20140141318A (ko) 스프링클러
KR101067245B1 (ko) 소방용 매니퓰레이터
CN117398643A (zh) 消防设备夹持装置
WO2011108825A2 (ko) 패널형 소화기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