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412B1 - 그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 Google Patents
그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5412B1 KR101475412B1 KR1020070063974A KR20070063974A KR101475412B1 KR 101475412 B1 KR101475412 B1 KR 101475412B1 KR 1020070063974 A KR1020070063974 A KR 1020070063974A KR 20070063974 A KR20070063974 A KR 20070063974A KR 101475412 B1 KR101475412 B1 KR 1014754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unit
- rotation
- photographing
- gr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자신이 원하는 촬영앵글에 따라 그립을 유지한 상태로 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환시켜 촬영할 수 있는 그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렌즈부와 복수의 조작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유닛을 구비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장치는, 그립부를 가지는 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을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캠코더, 그립, 앵글, 촬영위치, 파지, 회전, 기하중심, 회전중심, 손가락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영상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영상촬영장치의 촬영각도 변화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그립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c는 도 4a 및 도 4b의 회전부재만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영상촬영장치 본체에 그립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영상촬영장치 본체에 대한 그립장치의 회전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7a 및 도 7e는 하이앵글 및 로우앵글 촬영시에 각각 대응하여 사용자의 그립장치 그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영상촬영장치 20: 영상촬영장치 본체
21: 렌즈부 22: 버튼유닛
100: 그립장치 110: 회전유닛
111: 회전부재 115, 118: 제 1 및 제 2 회전케이스
120: 연결유닛 121: 제 1 연결부재
122: 제 2 연결부재 130: 보강브라켓
140: 탄성부재 150: 스토퍼유닛
170: 그립벨트
본 발명은 그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영상촬영장치는 촬영시 영상촬영장치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의 일측면에 손등을 감싸주는 형태의 핸드그립(2)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에는 사용자의 조작신호 입력을 위한 복수의 버튼(3)들이 적소에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영상촬영장치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앵글(High angle) 촬영시 핸드그립(2)에 손(H)을 넣어 손등을 감싸는 형태로 그립하여 본체(1)를 파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로우앵글(Low angle)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이앵글 에 맞추어 마련된 버튼(3)들의 조작을 위해, 핸드그립(2)에서 손(H)을 뺀 후 다시 그립을 잡아야한다. 반대로 로우앵글 촬영에서 하이앵글 촬영으로 자세 변환시에도 핸드그립(2)에서 손(H)을 뺀 후 다시 그립을 잡아야 한다. 따라서, 촬영앵글 변화에 따른 연속적인 촬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신이 원하는 촬영앵글에 따라 그립을 유지한 상태로 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환시켜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렌즈부와 복수의 조작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유닛을 구비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립장치는 서로 다른 위치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그립장치와 함께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장치는, 그립부를 가지는 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을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회전유닛의 기하학적 회전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를 파지하는 사용자 측으로 편심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렌즈부가 설치되는 전면으로 40±5mm의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의 회전각도는 0°~ 150°인 것이 좋다.
상기 회전유닛은,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감싸는 제 1 및 제 2 회전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회전유닛을 상기 본체에 연결시키는 제 1 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 1 연결부재에 연결시키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보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와 제 1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토크를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2 회전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재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회전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걸림돌기; 및 상기 제 1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걸림돌기와 상기 제 2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제 3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서브 스토퍼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위치결정홈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위치결정홈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홈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각기 다른 반경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 1 회전케이스에 설치되는 그립벨트인 것이 좋다.
상기 버튼유닛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같은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제 1 및 제 2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버튼부는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전면에 설치되는 렌즈부와 복수의 조작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유닛을 구비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장치; 및 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그립장치와 함께 원통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그립장치는 상기 본체를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형상인 것이 좋다.
상기 그립장치는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위치와 로우 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1 위치의 회전범위는 0°~ 20°이고 상기 제 2 위치의 회전범위는 130°~ 170°인 것이 좋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본체의 파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곡면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촬영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촬영버튼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읽고 쓰기 가능한 내장형 반도체 메모리와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읽고 쓰기 가능한 착탈형 반도체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장형 반도체 메모리와 착탈형 반도체 메모리 사이에서의 신호를 교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영상촬영장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장치의 회전중심은 상기 본체의 기하학적 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으로 편심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는 피사체 촬영을 위한 렌즈부가 전면에 마련되며, 상기 그립장치의 회전중심은 상기 본체와 그립장치 각각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 측으로 편심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그립장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를 그립하기 위한 그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을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그립장치는, 전면에 렌즈부가 마련된 영상촬영장치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그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본체의 기하학적 회전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후면 측으로 편심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10)는 영상촬영장치 본체(20)와 그립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렌즈부(21)와 복수의 조작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유닛(22)을 가진다.
상기 렌즈부(21)는 사용자의 조작위치를 기준으로 피사체를 바라보는 방향인 상기 본체(20)의 전면에 마련되어, 피사체를 촬영한다. 상기 렌즈부(2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본체(20)의 일측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29)를 통해 재생된다.
상기 버튼유닛(22)은 상기 본체(20)의 적소에 마련되는 복수의 버튼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버튼유닛(22)은 서로 다른 촬영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버튼부(23)(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버튼부(23)는 제 1 촬영버튼(25)과 제 1 줌버튼(26)을 포함하며, 제 2 버튼부(24)는 제 2 촬영버튼(27)과 제 2 줌버튼(28) 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촬영버튼(25)과 제 1 줌버튼(26)은 본체(20)의 후면과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 2 촬영버튼(27)과 제 2 줌버튼(28)은 디스플레이부(29)에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버튼(25)(27)과 제 1 및 제 2 줌버튼(26)(28)은 상기 본체(20)에 대한 설치위치가 서로 상이할 뿐, 그 기능은 상호 동일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버튼(25)(27)은 조작신호 입력시간 즉, 제 1 및 제 2 촬영버튼(25)(27)을 짧게 눌러 조작하거나 길게 눌러 조작하느냐에 따라,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줌버튼(26)(28)은 조작방향 예컨대, 제 1 및 제 2 줌버튼(26)(28)을 우측으로 조작할 경우에는 줌-아웃신호를 입력하고 좌측으로 조작할 경우에는 줌-인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상기 본체(20)에는 외부로부터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본체(20)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내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20)가 별도의 외부 기록매체를 채용하지 않고, 본체에 내장되어 읽고 쓰기 가능한 내장형 반도체 메모리(미도시)로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거나 기록된 영상을 재생시키는 영상촬영장치의 본체인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이는 꼭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20)에 디스크와 같은 이동식 외부 기록매체나 본체(20)에 착탈 가능한 착탈형 반도체 메모리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가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본체(20)의 기술구성은 도 8에 도시된 영상촬영장치(10)의 내부 블럭도와 함께 자세히 후술한다.
상기 그립장치(100)는 상기 본체(2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그립장치(100)는 본체(20)와 함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이로 인해, 상기 그립장치(100)는 본체(20)의 일측을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본체(20)가 그립장치(100)와 함께 꼭 원통 형상인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각 형상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그립장치(100)는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위치와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 1 위치는 도 6a에 대응되며, 제 2 위치는 도 6d에 대응된다. 그러나,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가 꼭 하이/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높이 촬영 중 어느 위치나 상관없음은 당연하다.
상기 그립장치(100)의 회전중심(C1)은 도 6a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기하학적 중심(C2)과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그립장치(100)의 회전중심(C1)은 그립장치(100)의 기하학적 중심(C3)과 일치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본체(20)의 기하학적 중심(C2)과 그립장치(100)의 기하학적 중심(C3)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부(21)가 마련되는 본체(20)의 전면으로부터, 본체(20)의 기하학적 중심(C2), 그립장치(100)의 기하학적 중심(C3), 그리고, 그립장치(100)의 실제 회전중심(C1)이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장치(100)의 회전중심(C1)은 상기 버튼유닛(22)의 제 1 버튼부(23)의 버튼조작 범위(B)의 대략 중심이다. 이때, 상기 제 1 버튼부(23)의 버튼조작 범위(B)는 버튼 조작시 주로 사용되는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 기준이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유닛(110)의 회전중심(C1)은 상기 본체(20)를 파지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측으로, 즉 본체(20)의 후면 측으로 편심된다.
이러한 그립장치(100)의 회전중심(C1)은 사용자가 그립장치(100)를 그립한 상태로 그립장치(100)의 회전에 의해 본체(20)를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회전범위를 고려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20)의 전체 가로 길이(L1)가 대략 120mm이며, 본체(20)의 기하학적 회전중심(C2)까지의 반경(L2)을 대략 60mm인 것으로 예시한다. 또한,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본체(20)의 후면과 상면에 배치된 버튼유닛(22)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 조작범위(B)의 반경(L3)을 40mm로 예시한다. 이로 인해, 상기 그립장치(100)의 회전중심(C1)은 본체(20)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대략 40±5mm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즉, 상기 그립장치(100)의 회전중심은 본체(20)의 기하학적 회전중심(C2)로부터 대략 20mm가량 본체(20)의 후면인 사용자 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그립장치(100)가 회전되는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의 회전각도는 대략 0°~ 170°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장치(100)의 제 1 위치는 0°~ 20°사이의 회전범위를 가지며, 제 2 위치는 제 1 위치로부터 130°~ 170°회전범위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위치가 0°~ 10°범위를 가지며, 제 2 위치는 제 1 위치로부터 130°~ 140°회전된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의 회전각도는 사용자가 그립장치(100)를 파 지한 상태에서의 조작 및 파지 편의와 본체(20)의 크기를 고려한 범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성인의 손과 본체(20)의 전체 길이(L1)를 고려하여 그립장치(100)의 회전중심(C1)과 회전각도를 결정하여 예시하였으나, 그 회전중심(C1)과 회전각도는 사용자의 손의 크기와 본체(20)의 길이(L1)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장치(100)는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110), 연결유닛(120), 보강브라켓(130), 탄성부재(140) 및 스토퍼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유닛(110)은 상기 본체(20)에 대해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유닛(110)은 본체(20)와 함께 원통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유닛(110)의 회전중심은 그립장치(100)의 회전중심인 도 6a에 도시된 C1과 일치한다.
상기 회전유닛(110)은 회전부재(111)와 제 1 및 제 2 회전케이스(115)(118)를 가진다.
상기 회전부재(111)는 상기 회전유닛(110)의 회전중심(C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그 회전중심(C1)에는 후술할 연결유닛(120)과의 연결을 위해 관통된 제 1 설치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케이스(115)(118)는 회전부재(1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그립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케이스(115)는 상기 그립장치(100)의 외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회전케이스(118)는 본체(20)의 일측 외면과 마주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케이스(115)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그립벨트(17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회전케이스(115)에는 그립벨트(170)의 일단이 삽입되는 벨트 삽입홈(116)과 그립벨트(170)의 타단을 지지하는 벨트 지지대(117)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제 1 회전케이스(115)와 그립벨트(170) 사이로 손(H)을 삽입한 후 제 1 회전케이스(115)의 외면을 손바닥으로 감싸고 손등을 그립벨트(170)에 지지시킴으로써, 그립장치(100)를 파지하게 된다.
상기 제 2 회전케이스(118)에는 후술할 연결유닛(120)을 본체(20)에 설치시키기 위한 제 2 설치공(119)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회전유닛(110)의 회전력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제 1 회전케이스(115)를 손바닥으로 그립하고 다른 손으로 본체(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둘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제 1 회전케이스(115)를 그립한 손으로 그립장치(100)를 회전시키거나 다른 손으로 파지한 본체(100)를 회전시킴으로써, 본체(20)에 대해 회전유닛(110)이 회전된다. 물론, 사용자가 양손 모두를 이용하여 그립장치(100)와 본체(20) 모두를 회전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연결유닛(120)은 상기 회전유닛(110)을 본체(20)에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21)(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21)(122)는 상기 회전유닛(110)을 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22)는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11)에 마련된 제 1 설치공(112)을 통해 상호 결합된 후, 제 2 회전케이스(118)의 제 2 설치공(119)을 통해 본체(2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연결부재(121)는 상기 제 1 설치공(112)보다 크고 제 2 설치공(119)과 일치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형 플레이트이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재(122)는 상기 제 1 설치공(112)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반원 형상과 제 1 설치공(11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반원 형상이 서로 결합된 플레이트이다.
상기 보강브라켓(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결유닛(120)과 연결된다. 이 보강브라켓(130)은 상기 본체(20)의 일측 내측면에 설치됨으로써, 몰드 재질의 본체(20)에 연결유닛(120)이 설치될 경우의 부족한 강도를 보강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브라켓(130)은 강도가 높은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제 1 연결부재(121)와 회전부재(111)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유닛(110) 회전 시의 마찰토크를 발생시킨다. 상기 탄성부재(140)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위치결정돌기(141)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한다.
상기 위치결정돌기(141)는 상기 회전부재(111)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위치결정홈(113)(114)에 삽입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40)로부터 3개 돌출 형 성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결정홈(113)(114)도 상기 회전부재(111)의 3개소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상기 위치결정돌기(141)와 위치결정홈(113)(114)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및 제 2 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돌기(141)가 상호 이격된 간격은 제 1 및 제 2 위치의 회전각도인 150°이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위치결정홈(113)과 제 2 위치결정홈(114)의 각각 이격된 간격또한, 150°이다.
구체적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결정홈(113)(114) 사이의 이격간격(α)은 10°이며, 상기 제 1 위치결정홈(113)들 사이의 이격간격(β)은 150°이다. 상기 제 2 위치결정홈(114)들 사이의 이격간격 또한 150°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결정홈(113)(114)의 이격간격(α)이 10°인 이유는, 사용자가 제 1 위치에서 하이앵글 촬영을 할 경우, 사용자에 따라 보다 편한 자세에서 본체(2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부재(111)의 회전에 의해 위치결정돌기(141)가 제 1 위치결정홈(113)에서 제 2 위치결정홈(114)으로 회전된 상태는 도 6b에 도시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위치결정홈(113)(114)의 상기 회전부재(111)의 회전중심(C1)으로부터 반경은 도 4c와 같이, 서로 다른 반경인 d1, d2 및 d3를 가진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부재(111)의 회전중심(C1)을 중심으로 3개소에 위치하는 위치결정홈(113)(114)이 각각의 회전반경(d1)(d2)(d3)을 따라 120°가 아닌 150°로 이 격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결정홈(113)(114)의 서로 다른 반경(d1)(d2)(d3)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부재(140)에 마련되는 위치결정돌기(141)도 서로 다른 회전반경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돌기(141)가 회전부재(111)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결정홈(113)(114)에 삽입됨으로써, 회전부재(111)의 회전시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유닛(150)은 상기 본체(20)에 대한 회전유닛(110)의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걸림돌기(151)와 걸림턱(15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걸림돌기(151)는 상기 회전부재(111)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52)은 제 1 걸림돌기(151)에 대응하여 제 2 연결부재(122)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걸림돌기(151)는 상기 제 1 설치공(112)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2 연결부재(122)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52)은 상기 제 2 연결부재(122)의 서로 다른 외경이 접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52) 사이의 간격은 회전부재(111)의 회전범위에 대응하여 150°이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부재(111)가 회전 시, 제 1 걸림돌기(151)가 걸림턱(152) 사이를 회전함으로써 회전부재(111)의 회전범위를 제한한다.
한편,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재(121)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걸림돌기(161)와 이 제 2 걸림돌기(161)에 대응되도록 회전부재(111) 에 돌출 형성되는 제 3 걸림돌기(162)를 포함하는 서브 스토퍼유닛(1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3 걸림돌기(162)는 상기 제 1 설치공(112)의 외주면에서 제 1 연결부재(121) 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부재(111)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림돌기(161)는 제 3 걸림돌기(162)와 접하도록 제 1 연결부재(121)로부터 회전부재(111)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걸림돌기(161)는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걸림돌기(162)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111)의 회전시 한 쌍의 제 3 걸림돌기(162) 중 어느 하나가 제 2 걸림돌기(161)에 걸림으로써, 회전부재(111)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 3 걸림돌기(162) 사이의 이격간격 또한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의 회전범위에 대응하여 150°이다.
한편, 상기 본체(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장치(100)를 그립하여 본체(20)를 파지하는 사용자 손의 안착을 위해, 상면에 가이드곡면(20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곡면(20a)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장치(100)가 제 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이 안착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장치(100)가 제 2 위치로 회전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곡면(20a)에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안착된다.
이러한 가이드곡면(20a)으로 인해,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상기 그립장치(100)를 통해 본체(20)를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손이 본체(20)로 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의 그립동작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7d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하이앵글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경우 도 6a, 도 7a 및 도 7c와 같이, 상기 본체(20)에 대해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그립장치(100)를 사용자가 그립하여 본체(20)를 파지한다. 이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은 꺽임이 없이 팔목과 일직선인 상태로, 상기 본체(20)를 편안하게 파지한 상태이다.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립장치(100)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0°가량 회전시켜도, 하이앵글의 피사체를 제 1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그립장치(100)를 그립한 상태로 본체(20)에 대해 10°회전시키면, 회전부재(111)가 도 4c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10°회전된다.
상기 회전부재(111)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 1 위치결정홈(113)에 삽입되었던 위치결정돌기(141)가 제 1 위치결정홈(113)으로부터 이탈되어 제 2 위치결정홈(114)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제 1 위치의 그립장치(100)를 이용하여 본체(20)를 파지할 경우, 사용자는 본체(20)를 파지한 손의 검지손가락으로 제 1 버튼부(23)로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한 손만으로 본체(20)를 파지함과 아울러 버튼유닛(22)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후, 사용자가 로우앵글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그립 장치(100)를 그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립장치(100)를 제 2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그립장치(1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심(C1)이 본체(20)와 그립장치(100)의 기하학적 회전중심(C2)(C3)과 일치하지 않고 사용자 측인 본체(20)의 후면 측으로 치우치도록 본체(20)에 연결됨으로써, 도 6c 및 도 6d와 같이 본체(20)에 대해 편심되게 회전된다.
도 6a 또는 도 6b와 같이 제 1 위치에 위치하던 그립장치(100)가 제 2 위치로 회전되는 범위는 150°로써, 그 회전범위는 스토퍼유닛(150)에 의해 제한되며 위치결정돌기(141)와 위치결정홈(113)(114)에 의해 클릭감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재(121)로부터 돌출된 제 2 걸림돌기(161)가 상호 150°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제 3 걸림돌기(162)에 의해 제 1 연결부재(121)에 대한 회전부재(111)의 회전범위가 제한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11)로부터 돌출된 제 1 걸림돌기(151)가 150°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걸림턱(152)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제 2 연결부재(122)에 대한 회전부재(111)의 회전범위가 규제된다.
상기 탄성부재(140)로부터 돌출된 위치결정돌기(141)가 제 1 위치에서 삽입되었던 제 1 위치결정홈(113)을 벗어나 150°이격된 다른 제 1 위치결정홈(113)으로 삽입됨으로써, 클릭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재(121)와 회전부재(111)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140)가 회전부재(111)의 회전 시 마찰토크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제 2 위치로 상기 그립장치(100)가 회전되면, 사용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곡면(20a)에 안착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이 본체(20)의 하면을 지지한 상태로 본체(20)를 그립하여 파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본체(20)에 마련된 제 1 버튼부(23)가 아닌 디스플레이부(29)에 마련된 제 2 버튼부(24)를 본체(20)를 그립한 손이 아닌 다른 손으로 조작한다.
상기 본체(20)에 대해 그립장치(100)가 제 2 위치에 위치하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목과 손목이 상호 일직선을 이룬 상태로 손목의 꺽임 없이 편안한 자세로 로우앵글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그립장치(100)를 그립한 상태로 하이앵글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손을 들어올려도, 도 7e와 같이 사용자는 팔목을 중심으로 손목 꺽임 없이 손을 들어올릴 수 있다. 즉, 손목에 힘이 가해지지 않고 팔목의 힘만으로 상기 본체(100)를 그립하여,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다양한 위치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손목의 무리 없이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10)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영상촬영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20)와 그립장치(100)와 더불어, 촬영부(210), 제1 메모리(220), 영상 입력부(225), DSP(Digital Signal Processor)(230), 제어부(235), 버튼유닛(240), 제2 메모리(245), 백엔드부(250), USB 인터페이스(255), 영상 출력부(260), 오디오 처리부(265), 디스플레이부(270),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280) 및 기록부(290)를 구비한다.
상기 촬영부(2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전기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부(210)는, 렌즈부(211), CCD(Charge Coupled Device)(213), CDS/AGC/ADC (Correlated Double Sampler / Auto Gain Controller / Analog-to-Digital converter)(215), CCD 구동부(217) 및 렌즈 구동부(219)를 구비한다.
상기 렌즈부(211)는 촬영대상에 대한 광학상을 후술할 CCD(213)의 광학면 상에 결상시킨다. 이 렌즈부(211)는 도 3에 도시된 렌즈부(102)에 해당한다.
상기 렌즈 구동부(219)는 렌즈부(211)를 구동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렌즈부(211)를 줌-모터(미도시)로 구동시켜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렌즈부(211)를 포커스-모터로 구동시켜 초점을 조절하며, 아이리스-모터를 구동시켜 렌즈부(2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상기 CCD(213)는 CCD 구동부(217)에 의해 구동되며, 렌즈부(211)에 의해 광학면 상에 결상된 광학상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촬상소자의 일종이다.
상기 CDS/AGC/ADC(217)는 CCD(215)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해 상관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자동이득제어(Auto Gain Controlling), A/D 변환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 1 메모리(220)는 DSP(230)가 영상 신호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기록공간을 제공하는 버퍼이다. 상기 제1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입력부(225)는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DSP(230) 및/또는 백엔드부(250)로 전달한다.
상기 DSP(230)는 촬영부(210) 또는 영상 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백엔드부(250)로 출력하는 소자이다. 상기 DSP(230)가 신호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제 1 메모리(220)를 버퍼로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DSP(230)는 촬영부(21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한 포맷변환과 영상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디지털 줌, AWB(Auto White Balance) 등을 수행하여, 상기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DSP(230)는 렌즈 구동부(217)를 제어하여 AF(Auto Focus), AE(Auto Exposure) 등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DSP(230)는 촬영부(21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정지영상에 적합한 압축포맷인 JPEG 포맷의 파일로 압축하여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DSP(230)는 백엔드부(250)로 입력받은 JPEG 포맷의 파일을 신장하여 생성한 영상 신호를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35)는 버튼유닛(2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DSP(230)의 신호처리/신호전달 동작과 백엔드부(250)의 신호처리/신호전달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버튼유닛(240)에는 도 3에 도시된 제 1 및 2 버튼부(23)(24)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촬영버튼(25)(27)촬영버튼(110) 및 제 1 및 제 2 줌버튼(28)들을 비롯하여, 다수의 조작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메모리(245)는 백엔드부(250)가 신호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기록공간을 제공하는 버퍼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메모리(245)에는 백엔드부(250)가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그래픽, 메뉴, 텍스트 등이 기록되어 있다. 상기 제 2 메모리(245)는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SDRAM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백엔드부(250)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에 대한 압축, 신장, 재생처리 등의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소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백엔드부(250)는 DSP(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인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270) 또는 영상 출력부(26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백엔드부(250)는 DSP(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그래픽, 메뉴, 텍스트 등을 OSD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백엔드부(250)는 제 2 메모리(245)에 OSD 정보로 기록되어 있는 그래픽, 메뉴, 텍스트 등을 읽어들여 OSD 처리에 이용한다.
또한, 상기 백엔드부(250)는 DSP(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처리부(265)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고, 압축을 통해 생성한 압축 파일을 기록부(29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백엔드부(250)는 기록부(29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신장하여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복원하며, 복원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9)로 출력하고, 복원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265)로 출력한다.
복원된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70)로 출력함에 있어, 백엔드부(250)는 복원된 영상에 OSD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백엔드부(250)는 DSP(230)로부터 입력받은 JPEG 포맷의 파일을 기록부(290)로 전달하며, 상기 기록부(290)로부터 입력받은 JPEG 포맷의 파일을 DSP(230)로 전달한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255)는 PC, 프린터 등과 같은 USB 기기와 디지털 캠코더 간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영상 출력부(260)는 백엔드부(2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연결된 외부기기(예를 들면, TV)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65)는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소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ting)하여 백엔드부(2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처리부(265)는 백엔드부(25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Digital to Analog Converting)하여 스피커나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70)는 백엔드부(25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종인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표시한다.
상기 EEPROM(280)은 백엔드부(250)가 신호처리/신호전달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기록된 메모리이다.
상기 기록부(290)는 백엔드부(250)에서 출력되는 압축 파일을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기록부(290)는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291), 멀티슬롯(293), 메모리 컨트롤러(295) 및 플래시 메모리(297)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291)는 백엔드부(25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멀티슬롯(293)에 장착되는 다양한 메모리카드에 기록한다. 멀티슬롯(293)은 도 3에 도시된 본체(20)의 후면 내부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291)는 장착된 다양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압축 파일을 읽어들여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 카드로서 MMC(MultiMedia Card), SD(Secure Digital)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95)는 백엔드부(250)로부터 입력되는 압축 파일을 내장된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297)에 기록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95)는 플래시 메모리(297)에 기록된 압축 파일을 읽어들여 백엔드부(250)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35)는 백엔드부(250)에서 출력되는 압축 파일이 디스크, 메모리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299)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되도록 백엔드부(250)와 기록부(290)를 제어한다. 이때, 기록될 기록매체는 상기 백엔드부(250)가 OSD 처리를 통해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35)는 기록부(290)에 내장/장착되는 기록매체들간의 파일복사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235)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297)에 기록된 파일을 메모리카드로 복사하거나 메모리카드에 기록된 파일을 플래시 메모리(297)로 복사 등을 제어한다. 이때, 수행될 복사의 종류는 백엔드부(250)가 OSD 처리를 통해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이 원하는 촬영앵글에 따 라 그립을 유지한 상태로 손목 무리없이 팔목 회전에 의해 손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환시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그립장치의 회전중심이 사용자의 사용범위를 고려하여 기하학적 회전중심과 불일치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5)
-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렌즈부와 복수의 조작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유닛을 구비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 및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장치;를 포함하며,상기 그립장치는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위치와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버튼유닛은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버튼유닛 및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버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상기 그립장치와 함께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그립장치는 서로 다른 위치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장치는,그립부를 가지는 회전유닛; 및상기 회전유닛을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회전유닛의 기하학적 회전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를 파지하는 사용자 측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렌즈부가 설치되는 전면으로 40±5mm의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의 회전각도는 0°~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회전부재; 및상기 회전부재를 감싸는 제 1 및 제 2 회전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상기 회전유닛을 상기 본체에 연결시키는 제 1 연결부재; 및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 1 연결부재에 연결시키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보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부재와 제 1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토크를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회전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재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닛은,상기 회전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걸림돌기; 및상기 제 1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연결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걸림돌기와 상기 제 2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제 3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서브 스토퍼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위치결정홈이 마련되며,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위치결정홈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위치결정홈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각기 다른 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 1 회전케이스에 설치되는 그립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유닛은,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같은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제 1 및 제 2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며,상기 제 1 및 제 2 버튼부는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영상촬영장치 본체를 그립하기 위한 그립장치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유닛; 및상기 회전유닛을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며,상기 회전유닛은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위치와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영상촬영장치 본체는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버튼유닛 및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버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본체와 함께 원통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유닛은 서로 다른 위치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회전유닛의 기하학적 회전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를 파지하는 사용자 측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렌즈부가 설치되는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40±5mm의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의 회전각도는 0°~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회전부재; 및상기 회전부재를 감싸는 제 1 및 제 2 회전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상기 회전유닛을 상기 본체에 연결시키는 제 1 연결부재; 및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 1 연결부재에 연결시키는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그립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보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부재와 제 1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토크를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회전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연결부재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유닛은,상기 회전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걸림돌기; 및상기 제 1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3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연결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걸림돌기와 상기 제 2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제 3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서브 스토퍼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위치결정홈이 마련되며,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위치결정홈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35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위치결정홈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각기 다른 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유닛은 그립부를 가지며,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 1 회전케이스에 설치되는 그립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같은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제 1 및 제 2 버튼부를 포함하는 버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38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며,상기 제 1 및 제 2 버튼부는 상기 본체 및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전면에 설치되는 렌즈부와 복수의 조작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유닛을 구비하는 영상촬영장치 본체;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장치; 및상기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며,상기 그립장치는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위치와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버튼유닛은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버튼유닛 및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버튼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상기 그립장치의 회전중심은 상기 본체의 기하학적 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 측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상기 그립장치의 회전중심은 상기 그립장치의 기하학적 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그립장치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측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상기 그립장치와 함께 원통형상을 형성하며,상기 그립장치는 상기 본체를 수직방향으로 절개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상기 그립장치는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위치와 로우 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위치의 회전범위는 0°~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위치의 회전범위는 130°~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본체의 파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곡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촬영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촬영버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읽고 쓰기 가능한 내장형 반도체 메모리와 상기 본체 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읽고 쓰기 가능한 착탈형 반도체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49 항에 있어서,상기 내장형 반도체 메모리와 착탈형 반도체 메모리 사이에서의 신호를 교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영상촬영장치 본체; 및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장치;를 포함하며,상기 영상촬영장치 본체는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버튼유닛 및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버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장치는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위치와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그립장치의 회전중심은 상기 본체의 기하학적 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일면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5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에는 피사체 촬영을 위한 렌즈부가 전면에 마련되며,상기 그립장치의 회전중심은 상기 본체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 측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제 52 항에 있어서,상기 그립장치의 회전중심은 상기 그립장치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 측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 전면에 렌즈부가 마련된 영상촬영장치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그립장치에 있어서,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유닛; 및상기 연결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상기 영상촬영장치 본체는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버튼유닛 및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버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장치는 하이앵글 촬영을 위한 제 1 위치와 로우앵글 촬영을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연결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본체의 기하학적 회전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후면 측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 제 54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유닛의 회전중심은 상기 연결유닛의 기하학적 회전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후면 측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3974A KR101475412B1 (ko) | 2007-06-27 | 2007-06-27 | 그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
US11/970,078 US8035736B2 (en) | 2007-06-27 | 2008-01-07 | Grip device an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EP08103223.7A EP2009495B1 (en) | 2007-06-27 | 2008-03-31 | Grip Device an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3974A KR101475412B1 (ko) | 2007-06-27 | 2007-06-27 | 그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4435A KR20080114435A (ko) | 2008-12-31 |
KR101475412B1 true KR101475412B1 (ko) | 2014-12-22 |
Family
ID=3976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3974A KR101475412B1 (ko) | 2007-06-27 | 2007-06-27 | 그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035736B2 (ko) |
EP (1) | EP2009495B1 (ko) |
KR (1) | KR1014754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562216T3 (es) * | 2007-04-17 | 2016-03-03 | Black Rapid, Inc. | Método y sistema mejorados de transporte de cámara |
TWI402601B (zh) * | 2010-01-21 | 2013-07-21 | Ability Entpr Co Ltd | 人體工學攝影裝置 |
JP2013033234A (ja) * | 2011-07-01 | 2013-02-14 | Panasonic Corp | 筐体構造及び撮像装置 |
JP5917087B2 (ja) * | 2011-10-26 | 2016-05-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グリップ及び撮像システム |
US8628257B2 (en) * | 2011-10-26 | 2014-01-14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pickup apparatus, camera grip, and image-pickup system |
US20140055633A1 (en) * | 2012-08-27 | 2014-02-27 | Richard E. MARLIN | Device and method for photo and video capture |
AU2015201313A1 (en) * | 2014-03-14 | 2015-10-01 | Wilcox Industries Corp. | Modular camera system |
JP6289190B2 (ja) * | 2014-03-19 | 2018-03-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US9551915B2 (en) | 2014-11-07 | 2017-01-24 | Gopro, Inc. | Swivel wrist mount |
US9904148B1 (en) | 2016-08-29 | 2018-02-27 | Gopro, Inc. | Swivel camera mount locking mechanism |
USD890835S1 (en) | 2017-12-28 | 2020-07-21 | Gopro, Inc. | Camera |
WO2020033389A1 (en) | 2018-08-07 | 2020-02-13 | Gopro, Inc. | Camera and camera mount |
USD894256S1 (en) | 2018-08-31 | 2020-08-25 | Gopro, Inc. | Camera mount |
USD905786S1 (en) | 2018-08-31 | 2020-12-22 | Gopro, Inc. | Camera mount |
USD921095S1 (en) | 2019-06-19 | 2021-06-01 | Gopro, Inc. | Camera mount |
USD920419S1 (en) | 2019-09-17 | 2021-05-25 | Gopro, Inc. | Camera |
USD946074S1 (en) | 2020-08-14 | 2022-03-15 | Gopro, Inc. | Camera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94665A (ja) * | 2003-09-19 | 2005-04-07 | Hitachi Ltd | ビデオカメラ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72327A (en) * | 1981-04-16 | 1982-10-23 | Canon Inc | Video camera equipped with electronic view finder |
US5043822A (en) * | 1987-11-06 | 1991-08-27 | Canon Kabushiki Kaisha | Video camera apparatus |
DE3852926T2 (de) * | 1987-11-25 | 1995-05-24 | Fuji Photo Film Co Ltd | Videokamera. |
JPH03208475A (ja) | 1990-01-11 | 1991-09-11 | Canon Inc | カメラ |
JP4352610B2 (ja) | 2000-12-21 | 2009-10-28 | ソニー株式会社 | カメラ装置 |
JP3799602B2 (ja) * | 2002-02-13 | 2006-07-19 | ソニー株式会社 | 磁気記録再生装置 |
US7583317B2 (en) * | 2003-03-04 | 2009-09-01 | Sanyo Electric Co., Ltd. | Foldable electronic image pickup apparatus |
JP2005000592A (ja) | 2003-06-16 | 2005-01-06 | Sanyo Product Co Ltd | 遊技機 |
JP4036164B2 (ja) * | 2003-08-19 | 2008-01-23 | 船井電機株式会社 |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スイッチ装置 |
JP2005192011A (ja) * | 2003-12-26 | 2005-07-14 | Sony Corp | カメラ |
DE602005013348D1 (de) * | 2004-01-23 | 2009-04-30 | Sony Corp | Drehenscharnier-mechanismus und vorrichtung zur bildaufnahme |
JP4323974B2 (ja) * | 2004-02-06 | 2009-09-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4481673B2 (ja) * | 2004-02-10 | 2010-06-16 | Hoya株式会社 | デジタルカメラ |
JP4429071B2 (ja) * | 2004-05-12 | 2010-03-10 | Hoya株式会社 | カメラのグリップ回動進退軸構造及び回動進退軸構造 |
CN2705975Y (zh) * | 2004-05-24 | 2005-06-22 | 天瀚科技股份有限公司 | 具有至少二轴转向功能的电子装置 |
US20060088315A1 (en) * | 2004-10-21 | 2006-04-27 | Kappali Basavaraj R | Camera housing and method of forming camera housing |
-
2007
- 2007-06-27 KR KR1020070063974A patent/KR10147541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1-07 US US11/970,078 patent/US803573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3-31 EP EP08103223.7A patent/EP2009495B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94665A (ja) * | 2003-09-19 | 2005-04-07 | Hitachi Ltd | ビデオカメ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009495A1 (en) | 2008-12-31 |
US8035736B2 (en) | 2011-10-11 |
US20090003821A1 (en) | 2009-01-01 |
KR20080114435A (ko) | 2008-12-31 |
EP2009495B1 (en) | 2013-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5412B1 (ko) | 그립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 |
EP1901548B1 (en) | Photography apparatus | |
JP4657977B2 (ja) | 撮像装置 | |
JP2002123333A (ja) | 携帯型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 |
JP4730270B2 (ja) | 携帯機器 | |
JP2003309756A (ja) | ズームレンズ付き携帯電話 | |
JP2015177334A (ja) | 撮像装置 | |
KR101446552B1 (ko) | 영상촬영장치 | |
JP6334256B2 (ja) | 撮像表示装置及び撮像表示方法 | |
JP4274172B2 (ja) |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 |
US20060087936A1 (en) | Data capture device and method of storing data | |
JP2011130298A (ja) | 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カメラ | |
EP1944965A1 (en) | Imaging device | |
US7982780B2 (en) |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ontrol button sets and display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 |
JP2007288493A (ja) | 情報記録システム、情報記録装置、情報提供装置および撮像装置 | |
JP2007201574A (ja) | 撮像装置 | |
JP4436783B2 (ja) | 電子機器、電子機器の表示方法、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 |
JP2005286654A (ja) |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ファイル送信プログラム | |
JP2005229538A (ja) |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 |
JP2004274514A (ja) | データ記録再生システム、データ記録再生方法、データ記録再生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JP2000156811A (ja) | カメラ | |
JP4632857B2 (ja) | 情報処理装置 | |
JP2007110182A (ja) | 撮像装置 | |
JP2006254220A (ja) | カメラ、カメラの動作制御方法、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 |
JP2010054598A (ja) | 撮像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