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322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322B1
KR101471322B1 KR1020137025205A KR20137025205A KR101471322B1 KR 101471322 B1 KR101471322 B1 KR 101471322B1 KR 1020137025205 A KR1020137025205 A KR 1020137025205A KR 20137025205 A KR20137025205 A KR 20137025205A KR 101471322 B1 KR101471322 B1 KR 10147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mount
vacuum cleaner
dust
clea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390A (ko
Inventor
도모카즈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11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47L9/281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using optica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6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condition of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18)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갖는다.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를 갖는다. 전기 청소기는 피청소면 상을 이동 가능하며, 풍로의 일부를 구획하는 바닥 브러시(23)를 갖는다.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풍로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광 센서(53)를 갖는다. 전기 청소기는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의 적산량, 바닥 브러시(23)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량, 및 바닥 브러시(23)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을 산출하는 청소 능률 산출부(59)를 갖는다. 전기 청소기는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산출한 청소 능률을 표시 가능한 표시 수단(20)을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이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진애가 흡입되는 풍로가 연통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청소기는 사용자의 청소의 번잡함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청소 달성도를 통지할 수 있는 구성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청소 시간이나 청소 장소의 정보에 기초하여 청소 작업을 요금화하여 산출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청소 달성도를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통지하는 구성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7265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청소 달성도를 사용자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통지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피청소면 상을 이동 가능하며, 풍로의 일부를 구획하는 흡입부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풍로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진애량 검출 수단을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진애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의 적산량, 흡입부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량, 및 흡입부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갖는다. 그리고, 이 전기 청소기는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청소 능률을 통지 가능한 통지 수단을 갖는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제어 전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제1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제2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통지 수단에 의한 통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제어 전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통지 수단에 의한 통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제어 전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상기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하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청소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도면 부호 11은 소위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며, 이 전기 청소기(11)는, 청소기 본체(12)와, 이 청소기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청소기 본체(12)와 별체의 관부인 풍로 형성체(13)를 갖고 있다.
청소기 본체(12)는 피청소면 상을 선회 및 주행 가능한 중공 형상의 본체 케이스(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본체 케이스(15)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본체 집진실과 전동 송풍기실이 전후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실에는 전동 송풍기(18)가 수용되어 있고, 이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이 본체 집진실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본체 집진실 내에는 필터, 집진 주머니, 혹은 집진 장치(집진 컵) 등의 집진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5)의 전방부에는, 본체 집진실에 연통됨과 함께 풍로 형성체(13)의 기단측이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19)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5)의 상부에는, 통지 수단으로서의 액정 패널 등의 표시 수단(2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12))의 주행 방향을 따른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하고, 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교차(직교)하는 좌우 방향(양측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또한, 풍로 형성체(13)는, 긴 형상의 호스체(21)와, 이 호스체(2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22)과, 이 연장관(2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부로서의 흡입구체인 바닥 브러시(23)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W)를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풍로 형성체(13)는,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바닥 브러시(23) 및 연장관(22)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호스체(21)는, 긴 통 형상의 호스 본체(25)와, 이 호스 본체(25)의 일단부측인 기단측(하류단측)에 연통하여 형성된 접속관부(26)와, 호스 본체(25)의 타단부측인 선단측(상류단측)에 연통하여 형성되어 예를 들어 풍로 형성체(13)의 파지 조작용 손잡이 조작부(27)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호스 본체(25)는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원통 주름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 조작부(27)측과 청소기 본체(12)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이 내부이며 또한 풍로(W)의 외부에 나선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접속관부(26)는 본체 흡입구(19)에 삽입 접속되는 부분이며, 호스 본체(25)보다도 경질의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관부(26)에는 호스 본체(25) 내에 배치된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단자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단자가 접속관부(26)를 본체 흡입구(19)에 삽입 접속함으로써 청소기 본체(12)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손잡이 조작부(27)는 호스 본체(25)보다도 경질의 합성 수지 등에 의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류단측으로부터 하류단측으로 사용자에게 파지되는 파지부(37)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부(37)에는 전동 송풍기(18) 등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설정 버튼(3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 브러시(23)는 풍로(W)의 일부(상류단)를 구성 가능한 것이며, 연장관(22)의 선단측(상류단측)에 일단부측이 연통 접속되는 접속관(41)과, 이 접속관(41)의 타단부측에, 상하 방향 혹은 주위 방향 등으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가로로 긴 케이스체(42)와, 이 케이스체(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청소면에 접지하여 종동 회전함으로써 바닥 브러시(23)를 피청소면 상에서 이동(주행) 가능하게 하는 도시하지 않은 주행륜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체(42)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하부에는, 접속관(41)의 타단부측과 연통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 브러시(23)에는 흡입구에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회전 브러시를 회전 구동시키는 청소체 구동 수단인 회전 모터 등이 케이스체(42)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어서, 전기 청소기(1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전기 청소기(11)는, 본체 케이스(15)에 출납 가능하게 수납된 전원 코드(44)를 통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전원부인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 급전을 받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 수단(4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원부로서는,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케이스(15)에 내장된 2차 전지 등의 전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수단(45)은, 설정 버튼(3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작 판정 수단인 조작 판정부(51), 이 조작 판정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수단인 전력 제어부(52),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진애량 검출 수단인 광 센서(5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처리 수단인 처리부(54), 이 처리부(5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진애량 적산 수단으로서의 진애량 적산부(55),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시간(전동 송풍기(18)가 구동 개시로부터 연속 구동하고 있는 시간)을 검출하는 운전 시간 적산 수단으로서의 운전 시간 적산부(56), 바닥 브러시(23)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량(이동 거리) 및 그 시간을 적산하는 이동량ㆍ시간 적산 수단으로서의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 실제로 진애를 흡입하고 있는 흡입 시간을 적산하는 흡입 시간 적산부(58), 청소 능률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으로서의 청소 능률 산출부(59), 및 이 청소 능률 산출부(5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표시 수단(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지 제어 수단으로서의 표시 제어부(6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제어 수단(45)은,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3)에 상기 회전 모터 등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회전 모터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청소체 구동 수단 제어부 등을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제어 수단(45)을 구성하는 각 부는 각각 일체이어도 되고 별체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케이스(15)의 내부 등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조작 판정부(51)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 버튼(38)의 조작을 판정함으로써, 이들 설정 버튼(38)의 조작에 따라 전력 제어부(52)에 대하여 전동 송풍기(18)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전력 제어부(52)는, 조작 판정부(51)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제어 소자 등을 통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예를 들어 위상각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광 센서(5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외광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으로서의 발광부(61)와, 이 발광부(61)에 의해 발광된 적외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으로서의 수광부(62)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으며, 발광부(61)로부터의 적외광의 수광부(62)에서의 수광량에 의해, 풍로(W)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처리부(54)에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발광부(61)는, 적외광 등의 광을 출력하는 LED 등의 발광 소자(61a)와, 이 발광 소자(61a)로부터의 발광을 풍로(W) 내로 유도하는 발광측 도광 부재로서의 한쪽 및 다른쪽의 발광측 렌즈(61b, 61c)를 갖고 있다.
발광 소자(61a)는,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케이스(15)의 본체 흡입구(19)의 상부에 하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하방으로 적외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발광측 렌즈(61b)는, 발광 소자(61a)의 적외광의 출력측인 하방에서 본체 흡입구(19)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발광측 렌즈(61c)는, 풍로 형성체(13)의 접속관부(26)를 본체 흡입구(19)에 접속한 상태로 발광 소자(61a)(발광측 렌즈(61b))의 하방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다른쪽의 발광측 렌즈(61c)는, 접속관부(26)에 직경 방향을 따라 뚫어 형성된 발광측 구멍부(61d) 내에, 이 발광측 구멍부(61d)를 기밀하게 폐색하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일단부측이 발광 소자(61a)측(발광측 렌즈(61b)측)에 면하고, 타단부측이 풍로(W)의 내부에 면하고 있다. 즉, 발광측 구멍부(61d)로부터 풍로(W) 내의 공기가 풍로(W)의 외부로 유출되는 일은 없다.
마찬가지로, 수광부(62)는, 발광부(61)로부터 출력된 적외광을 검출하는 포토 트랜지스터 등의 수광 소자(62a)와, 발광부(61)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광 소자(62a)로 유도하는 수광측 도광 부재로서의 한쪽 및 다른쪽의 수광측 렌즈(62b, 62c)를 갖고 있다.
수광 소자(62a)는,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케이스(15)의 본체 흡입구(19)의 하부에, 상방 즉 발광 소자(61a)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발광 소자(61a)로부터 출력된 적외광을 수광하며, 이 수광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수광측 렌즈(62b)는, 수광 소자(62a)에 대한 적외광의 입력측인 상방에서 본체 흡입구(19)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수광측 렌즈(62c)는, 풍로 형성체(13)의 접속관부(26)를 본체 흡입구(19)에 접속한 상태로 수광 소자(62a)(수광측 렌즈(62b))의 상방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다른쪽의 수광측 렌즈(62c)는, 접속관부(26)에 직경 방향을 따라 뚫어 형성된 수광측 구멍부(62d) 내에, 이 수광측 구멍부(62d)를 기밀하게 폐색하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일단부측이 수광 소자(62a)측(수광측 렌즈(62b)측)에 면하고, 타단부측이 풍로(W)의 내부에 면하고 있다. 즉, 수광측 구멍부(62d)로부터 풍로(W) 내의 공기가 풍로(W)의 외부로 유출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광 센서(53)는, 풍로(W)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적은) 경우, 발광부(61)의 발광 소자(61a)로부터의 발광을 차단하는 진애가 증가(감소)하기 때문에, 수광부(62)의 수광 소자(62a)에서의 수광량이 상대적으로 감소(증가)하므로, 이 수광량의 증감에 의해 풍로(W)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54)는, 발광부(61)의 발광 소자(61a)의 발광량 등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64)와, 수광부(62)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수광 처리부(65)를 갖고 있으며, 진애량 적산부(5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수광 처리부(65)는, 수광량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수광부(62)의 수광 소자(62a)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하여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애량 적산부(55)는, 처리부(54)의 수광 처리부(65)에 의해 처리된 신호의 적산에 의해, 전동 송풍기(18)가 구동하고 있는 사이의 진애량의 적산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 시간 적산부(56)는, 예를 들어 타이머 등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전동 송풍기(18)의 구동 개시시에 리셋되어, 전동 송풍기(18)가 구동하고 있는 시간, 혹은 전동 송풍기(18)의 정지까지의 시간을 적산하여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는, 바닥 브러시(23)에 배치된 접지 검출부(67) 및 이동량 검출부(6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지 검출부(67)는 바닥 브러시(23)의 케이스체(42)의 하부에 돌출 설치된 스위치 등이며, 피청소면과 접촉함으로써 온 혹은 오프됨으로써 피청소면에의 접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동량 검출부(68)는, 예를 들어 케이스체(42)의 주행륜의 회전수 혹은 회전 속도 등을 검출함으로써 바닥 브러시(23)의 이동 속도 및 거리를 검출 가능한 센서 등이다. 그리고,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는, 접지 검출부(67)에 의해 바닥 브러시(23)의 접지가 검출된 상태에서 이동량 검출부(68)에 의해 검출된 바닥 브러시(23)의 이동 속도 및 거리를 적산함으로써, 바닥 브러시(23)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량을 산출함과 함께, 접지 검출부(67)에 의해 바닥 브러시(23)의 접지가 검출된 시간을 적산함으로써, 바닥 브러시(23)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흡입 시간 적산부(58)는, 예를 들어 타이머 등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전동 송풍기(18)의 구동 개시시에 리셋되어,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 시간을 적산함으로써, 실제(실질적인) 진애의 흡입 시간을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청소 능률 산출부(59)는 풍로(W)(도 3)에 대한 바닥 브러시(23)의 착탈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며, 진애량 적산부(55)에 의해 산출된 진애량의 적산량,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에 의해 산출된 바닥 브러시(23)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량 및 이동 시간, 운전 시간 적산부(56)에 의해 산출된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시간, 및 흡입 시간 적산부(58)에 의해 산출된 흡입 시간 등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을 산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청소 능률 산출부(59)는, 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데이터 기억부(6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 기억부(69)에 기억한 이전의 수회분의 청소시의 청소 능률, 혹은 과거 일정 기간의 청소시의 청소 능률 등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현재의 작업 능률 지표를 산출한다.
또한, 바닥 브러시(23)의 착탈을 검출하는 기능은, 전용의 검출부를 제어 수단(45)에 설치하여도 되고, 제어 수단(45)의 다른 각 부 중 어느 하나 등에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60)는,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산출된 청소 능률 및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하도록 표시 수단(2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을 도 4에 도시하는 흐름도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집진부를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케이스(15) 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전원 코드(44)를 벽면의 콘센트 등에 접속(플러그인)하면, 제어 수단(45)에 대하여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인가)된다.
그리고, 제어 수단(45)은 설정 버튼(38)의 조작 입력 대기로 된다. 즉, 제어 수단(45)은, 전기 청소기(11)를 기동시켰는지, 바꾸어 말하면 전동 송풍기(18)를 기동시키는 설정 버튼(38)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조작 판정부(51)에 의해) 판단한다(스텝 1).
이 스텝 1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11)를 기동시키지 않았다고(설정 버튼(38)이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1을 반복하고, 전기 청소기(11)를 기동시켰다(설정 버튼(38)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설정된 동작 모드로 (전력 제어부(52)에 의해) 전기 청소기(11)(전동 송풍기(18))를 기동시켜(스텝 2), 풍로(W)(연장관(22)의 선단(상류단))에 바닥 브러시(23)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판단한다(스텝 3).
이 스텝 3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접속되어 있다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하는 제1 제어를 행하고(스텝 4), 바닥 브러시(23)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제2 제어를 행한다(스텝 5).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풍로(W) 내에 흡입된 진애는, 풍로 형성체(13) 및 본체 흡입구(19)를 통과하여 집진부로 유입되고, 이 집진부에 포집된다. 진애가 포집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18)에 흡입되고, 이 전동 송풍기(18)를 냉각하면서 이 전동 송풍기(18)로부터 배기되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케이스(15)의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스텝 4 및 스텝 5의 후, 제어 수단(45)은 전기 청소기(11)(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켰는지, 바꾸어 말하면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키는 설정 버튼(38)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조작 판정부(51)에 의해) 판단한다(스텝 6). 그리고, 이 스텝 6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11)를 정지시키지 않았다고(설정 버튼(38)이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3으로 복귀하고, 전기 청소기(11)를 정지시켰다(설정 버튼(38)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이 전동 송풍기(18)를 (전력 제어부(52)에 의해) 정지시켜(스텝 7), 청소를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청소기(11)의 기동시에만 바닥 브러시(23)의 접속 혹은 분리를 판정하고 있지만, 이 판정은 제1 제어 및 제2 제어 중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인터럽트할 수 있으며, 그 때 판정한 바닥 브러시(23)의 접속 혹은 분리에 따라 제1 제어와 제2 제어를 전환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제어에 대하여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어 수단(45)은 표시 수단(20)의 표시를 (표시 제어부(60)에 의해) 클리어하고(스텝 11), 계속해서 전기 청소기(11)가 공기를 적절하게 흡입하고 있는지, 바꾸어 말하면 전동 송풍기(18)가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2).
이 스텝 12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18)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예를 들어 집진부의 막힘 등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고 있지 않았거나, 풍로(W)가 이물 등에 의해 폐색되거나 하는 경우라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12로 복귀하고, 전동 송풍기(18)가 기능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바닥 브러시(23)가 피청소면에 접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접지 검출부(67)에 의해) 판단한다(스텝 13).
이 스텝 13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피청소면에 접지하고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13(또는 스텝 12)으로 복귀하고, 바닥 브러시(23)가 피청소면에 접지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바닥 브러시(23)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이동량 검출부(68)에 의해) 판단한다(스텝 14).
그리고, 이 스텝 14에 있어서, 바닥 브러시(23)가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13(또는 스텝 12)으로 복귀하고, 바닥 브러시(23)가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바닥 브러시(23)의 피청소면 상에서의 이동량 및 이동 시간을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에 의해) 적산한다(스텝 15).
계속해서, 제어 수단(45)은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6). 이 스텝 16에 있어서,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진애량을 (진애량 적산부(55)에 의해) 적산하고(스텝 17), 스텝 18로 진행한다. 또한, 이 스텝 16에 있어서,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이 아니라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18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45)은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시간을 (운전 시간 적산부(56)에 의해) 적산하고(스텝 18), 스텝 15에서 적산한 바닥 브러시(23)의 피청소면 상에서의 이동량 및 이동 시간과, 스텝 17에서 적산한 진애량의 적산량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청소 능률을 산출한다(스텝 19). 구체적으로, 진애량 적산부(55)에 의해 산출된 진애량의 적산량을 D,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에 의해 산출된 바닥 브러시(23)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량을 L, 이동 시간을 T1이라고 하였을 때, 청소 능률 H=D/(LㆍT1)로 산출한다. 이후, 제어 수단(45)은 데이터 기억부(69)에 평균값이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0). 이 스텝 20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부(69)에 평균값이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작업 능률 지표를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산출하고, 표시 수단(20)을 (표시 제어부(60)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 능률과 함께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하고(스텝 21), 스텝 6으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청소 능률 산출부(59)는 데이터 기억부(69)에 기억한 이전의 수회분의 청소시의 청소 능률, 혹은 과거 일정 기간의 청소시의 청소 능률 등의 평균값을 A라고 하였을 때, 작업 능률 지표 K=H/A로 산출한다. 한편, 스텝 20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부(69)에 평균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표시 수단(20)을 (표시 제어부(60)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청소 능률만을 표시하고(스텝 22), 스텝 6으로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스텝 5에 나타내는 제2 제어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흐름도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어 수단(45)은 스텝 11 및 스텝 12와 마찬가지의 스텝 31 및 스텝 32의 처리 후, 제어 수단(45)은 실제 진애의 흡입 시간을 (흡입 시간 적산부(58)에 의해) 적산한다(스텝 33).
계속해서, 제어 수단(45)은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지 여부를 (처리부(54)를 통하여) 판단한다(스텝 34). 이 스텝 34에 있어서,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진애량을 (진애량 적산부(55)에 의해) 적산하고(스텝 35), 스텝 36으로 진행한다. 또한, 이 스텝 34에 있어서,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이 아니라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3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45)은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시간을 (운전 시간 적산부(56)에 의해) 적산하고(스텝 36), 스텝 33에서 적산한 흡입 시간과, 스텝 35에서 적산한 진애량의 적산량과, 스텝 36에 의해 적산한 운전 시간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청소 능률을 산출한다(스텝 37). 구체적으로, 청소 능률 산출부(59)는 진애량 적산부(55)에 의해 산출된 진애량의 적산량을 D, 운전 시간 적산부(56)에 의해 산출된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시간을 T2, 흡입 시간 적산부(58)에 의해 산출된 흡입 시간을 T3이라고 하였을 때, 청소 능률 H=D/(T2ㆍT3)으로 산출한다. 이후, 제어 수단(45)은, 상기 스텝 20 내지 스텝 22와 마찬가지의 스텝 38 내지 스텝 40의 제어를 행한 후, 스텝 6으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소 능률 산출부(59)는 진애량의 적산량을 바닥 브러시(23)의 이동량과 이동 시간의 곱에 의해 나누어 청소 능률을 산출함으로써, 진애량의 적산량에 대하여, 바닥 브러시(23)의 이동량 혹은 이동 시간이 적을수록 산출된 청소 능률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청소 영역을 청소할 때에는, 진애량의 적산량에는 큰 변동이 없기 때문에, 상기 산출한 청소 능률을 청소 영역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었는지의 지표로 할 수 있다.
또한, 청소 능률 산출부(59)는 진애량의 적산량을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시간과 실제 흡입 시간의 곱에 의해 나누어 청소 능률을 산출함으로써, 진애량의 적산량에 대하여,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시간 혹은 실제 흡입 시간이 적을수록 산출된 청소 능률이 커지므로, 바닥 브러시(23)를 분리하여 청소하는 경우에도, 상기 산출한 청소 능률을 청소 영역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지표로 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실시 형태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11)가 청소 영역(청소 에리어)의 종류를 검출 가능한 검출 수단(71)(도 8)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검출 수단(71)은, 예를 들어 방 등의 청소 영역마다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피검출 부재, 예를 들어 바코드 혹은 IC 태그 등을 통과시에 판독함으로써, 청소 영역의 종류를 검출하는 센서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이 검출 수단(71)은 제어 수단(45)의 판정부로서의 청소 영역 판정부(7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청소 영역 판정부(72)는 청소 능률 산출부(5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검출 수단(71)에 의해 검출된 청소 영역의 종류를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를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출력 가능하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같이, 스텝 2와 스텝 3의 사이에 있어서, 제어 수단(45)은 검출 수단(71)에 의해 청소 영역의 종류를 검출하여, (청소 영역 판정부(72)에 의해) 그 종류를 판정한다(스텝 45). 이 결과, 제1 제어 및 제2 제어의 각각에 있어서, 청소 영역의 종류마다 청소 능률 혹은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는 각 청소 영역의 청소 능률 및 작업 능률 지표를 상하로 배열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검출 수단(71)에 의해 검출한 청소 영역의 종류마다 청소 능률 혹은 작업 능률 지표를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산출하고, 이 산출한 청소 능률 혹은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 수단(20)으로 표시함으로써, 개개의 청소 영역마다의 데이터를 축적하여 청소 달성도를 보다 확실하게 평가 및 통지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수단(71)은 사용자가 청소를 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청소 영역의 종류를 검출하므로, 입력 작업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검출 수단(71)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종류, 예를 들어 피청소면이 플로어링, 융단 혹은 다다미 등 중 어느 것인지를 검출하여도 되고, 이 피청소면의 종류와 청소 영역의 각각을 검출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들 검출한 피청소면의 종류와 청소 영역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각각에 대응하여 표시 수단(20)에 의해 청소 능률 혹은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어서, 제3 실시 형태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11)가 청소 영역(청소 에리어)의 종류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 가능한 설정 수단(75)(도 11)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설정 수단(75)은, 예를 들어 손잡이 조작부(27), 혹은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케이스(15)의 상부 등에 배치되어 있고, 제어 수단(45)의 조작 판정부(5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조작 판정부(51)는, 설정 버튼(38) 및 설정 수단(75)의 각각의 설정 조작을 판정하여, 설정 버튼(38)의 설정 조작 결과는 전력 제어부(52)에 출력하고, 설정 수단(75)의 설정 조작 결과는 청소 영역 판정부(72)에 출력한다. 이 청소 영역 판정부(72)는, 설정 수단(75)에 의해 검출된 청소 영역의 종류를 판정하여, 그 판정 결과를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출력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 설정 수단(75)은 사용자가 청소 영역마다 특정할 수 있는 명칭을 번호 등으로 정하고, 그것을 입력하는 조작 키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같이, 스텝 2와 스텝 3의 사이에 있어서, 설정 수단(75)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청소면의 종류를 제어 수단(45)이 (조작 판정부(51) 및 청소 영역 판정부(72)에 의해) 판정한다(스텝 47). 이 결과, 제1 제어 및 제2 제어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청소 영역의 종류마다 청소 능률 혹은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설정 수단(75)에 의해 입력한 청소 영역의 종류마다 청소 능률 혹은 작업 능률 지표를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산출하고, 이 산출한 청소 능률 혹은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 수단(20)으로 표시함으로써, 개개의 청소 영역마다의 데이터를 축적하여 청소 달성도를 보다 확실하게 평가 및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수단(75)은, 사용자가 청소 영역을 직접 입력하므로, 청소 영역을 보다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정 수단(75)은, 예를 들어 피청소면의 종류, 예를 들어 피청소면이 플로어링, 융단, 혹은 다다미 등 중 어느 것인지를 입력 가능하게 하여도 되고, 이 피청소면의 종류와 청소 영역의 각각을 입력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들 설정한 피청소면의 종류와 청소 영역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각각에 대응하여 표시 수단(20)에 의해 청소 능률 혹은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텝 13 내지 스텝 15의 처리보다도 먼저 스텝 16 및 스텝 17의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즉, 이들 스텝 13 내지 스텝 15의 처리와, 스텝 16 및 스텝 17의 처리는 순서를 불문한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소 능률 산출부(59)는, 바닥 브러시(23)를 풍로(W)에 대하여 분리한 상태에서는,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시간,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의 진애를 풍로(W)에 흡입한 실제 흡입 시간, 및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의 적산량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을 산출함으로써, 바닥 브러시(23)를 분리하여 청소하는 경우에도, 바닥 브러시(23)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청소 달성도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 능률 및 작업 능률 지표에 의해 사용자의 청소 달성도를 표현할 수 있어 달성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청소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 능률 등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어서, 제4 실시 형태를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4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11)는,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청소기 본체(12) 및 풍로 형성체(13)(바닥 브러시(23)) 대신에, 흡입부로서의 청소기 본체(77)를 구비하는, 소위 로봇형(자율 이동(자율 주행)형)의 전기 청소기이다.
즉, 이 청소기 본체(77)는,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중공 형상의 본체 케이스(81)와, 이 본체 케이스(81) 내에 수용된 전동 송풍기(18)와, 이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하여 본체 케이스(81)에 설치된 집진부(82)와, 청소기 본체(77)를 자율 주행시키는, 즉 자율 주행용의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부로서의 구동륜(83)과, 이들 구동륜(83)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모터(84)와, 본체 케이스(81)의 하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륜(85)과, 본체 케이스(81)에 설치된 복수의 검출 수단으로서의 센서(86)와, 제어 수단(45)과, 전원부를 구성하는 전지인 2차 전지(8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77)에는, 본체 케이스(81)의 하부에, 선회 청소부로서의 사이드 브러시 등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청소기 본체(77)는,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의 상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본체 케이스(8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평탄한 원기둥 형상(원반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 형상의 하면(81a)의 후방부 근처의 폭 방향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긴 형상, 즉 가로로 긴 집진구로서의 흡입구(91)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81)의 상부의 예를 들어 중앙부에는, 표시 수단(20) 및 조작부(92)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92)는 사용자가 외부 입력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흡입구(91)는 집진부(82)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흡입구(91)에는 회전 청소체로서의 축 형상의 회전 브러시(93)가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고, 이 회전 브러시(93)는 본체 케이스(81) 내에 설치된 청소체 구동 수단으로서의 회전 모터(94)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회전 브러시(93)는, 예를 들어 긴 축부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으로 나선 형상의 복수의 청소체부가 벽 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 브러시(93)는, 하측이 흡입구(91)로부터 본체 케이스(81)의 하면(81a)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전기 청소기(11)를 피청소면 상에 적재한 상태로 하측에 위치하는 청소체부의 선단이 피청소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집진부(82)는,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흡입구(91)로부터 흡입된 진애를 포집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종이 팩 등의 집진 주머니나 필터에 의해 진애를 여과 포집하는 구성, 혹은 원심 분리(사이클론 분리)나 직진 분리 등의 관성 분리에 의해 진애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구성 등 임의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집진부(82)는 흡입구(91)의 상방인 본체 케이스(81)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있고, 본체 케이스(8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집진부(82)와 흡입구(91)의 사이의 위치에는 광 센서(53)가 배치되어 있다.
각 구동륜(83)은, 적어도 하측이 본체 케이스(81)의 하면(81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전기 청소기(11)를 피청소면 상에 적재한 상태로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구동륜(83)은, 예를 들어 흡입구(91)의 전방인 본체 케이스(81)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부의 양측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모터(84)는, 예를 들어 구동륜(83)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각 구동륜(83)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모터(84)는 각 구동륜(83)에 직접 접속되어도 되고, 기어 혹은 벨트 등의 도시하지 않은 전달 수단을 통하여 각 구동륜(83)과 접속되어도 된다.
선회륜(85)은, 본체 케이스(81)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이며 또한 전방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피청소면을 따라 선회 가능한 종동륜이다.
또한, 센서(86)는,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혹은 적외선 센서 등의 측거 센서, 혹은 장해물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범퍼가 되는 접촉 센서 등이며, 청소기 본체(77)(본체 케이스(81))의 전방부, 측부 혹은 하부 등에 배치되고, 청소기 본체(77)(본체 케이스(81))의 전방의 장해물(벽), 측방의 장해물(벽) 혹은 하부의 장해물(단차) 등의 유무, 및 그들과 청소기 본체(77)(본체 케이스(81))의 거리 등을 각각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 수단(45)은 전동 송풍기(18), 회전 모터(94), 각 모터(84) 및 센서(86)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센서(86)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동 송풍기(18), 회전 모터(94) 및 각 모터(84) 등의 구동을 제어 가능하다. 또한, 이 제어 수단(45)에는 전기 청소기(11)의 복수의 청소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이들 청소 모드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92)의 외부 입력에 의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청소 모드로서는, 예를 들어 청소 영역 전체를 자율 이동(자율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주 청소 모드인 통상 청소 모드, 청소 영역 전체를 자율 이동(자율 주행)하면서 복수회, 예를 들어 2회 청소하는 강화 청소 모드인 정성 청소 모드, 및 청소 영역의 소정 개소만을 스폿적으로 청소하는 부분 청소 모드 등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정성 청소 모드에 있어서는, 청소시마다(1회째의 청소시와 2회째의 청소시에서)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의 이동(주행) 패턴을 예를 들어 서로 교차(직교)하는 방향 등으로 바꾸어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 수단(45)은, 상기 전력 제어부(52), 처리부(54), 진애량 적산부(55), 운전 시간 적산부(56),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 흡입 시간 적산부(58), 청소 능률 산출부(59), 표시 제어부(60), 데이터 기억부(69) 등 외에, 조작부(9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작 판정부(96), 회전 모터(94)의 동작을 제어하는 청소체 구동 수단 제어부로서의 회전 모터 제어부(97), 각 모터(8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의 이동(주행)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인 주행 제어부(98), 및 센서(8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주행 처리부(9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 수단(45)을 구성하는 각 부는 각각 일체이어도 되고 별체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케이스(15)의 내부 등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조작 판정부(96)는, 조작부(92)의 조작을 판정함으로써, 전력 제어부(52), 회전 모터 제어부(97) 및 주행 제어부(98)에 대하여 청소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 모터 제어부(97)는, 조작 판정부(96)에 의해 설정된 청소 모드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제어 소자 등을 통하여 회전 모터(94)를 예를 들어 위상각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는, 예를 들어 회전 모터 제어부(9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피청소면에 접지한 상태에서 이 회전 모터 제어부(97)에 의해 구동된 회전 모터(94)(구동륜(83))의 회전수 혹은 회전 속도 등을 검출함으로써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의 이동 속도 및 거리를 검출 가능한 회전수 검출 수단으로서의 센서 등이다. 그리고,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는, 검출된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의 이동 속도 및 거리를 적산함으로써,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각 구동륜(83)이 피청소면에 대하여 접지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회전 모터(94)의 부하 전류값을 검출하는 것 등에 의해 검출하거나, 접지 검출부를 본체 케이스(81)의 하면(81a) 등에 별개로 설치하여 검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소 능률 산출부(59)는, 진애량 적산부(55)에 의해 산출된 진애량의 적산량,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에 의해 산출된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량 및 이동 시간, 운전 시간 적산부(56)에 의해 산출된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시간, 및 흡입 시간 적산부(58)에 의해 산출된 흡입 시간 등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을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2차 전지(87)는 제어 수단(45), 전동 송풍기(18), 회전 모터(94), 각 모터(84) 및 센서(86) 등에 급전하는 것이다. 이 2차 전지(87)는, 예를 들어 선회륜(85)의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2차 전지(87)는 선회륜(85)의 양측에서 본체 케이스(81)의 하면(81a)에 위치하는 충전 단자(101, 10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실내(방)의 소정 위치 등에 설치된 소정의 도시하지 않은 충전대에 대하여 충전 단자(101, 101)가 접속됨으로써 충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동작을 도 16에 나타내는 흐름도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시하지 않은 전원 스위치를 온한 상태, 혹은 이 전원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각이 된 경우 등, 전기 청소기(11)가 기동하는 상태가 되면, 제어 수단(45)은 설정된 청소 모드로 (전력 제어부(52)에 의해) 전동 송풍기(18)를 기동시키고(스텝 51), 센서(86)에 의해 검출한 장해물과의 거리 등의 정보를 (주행 처리부(99)에 의해) 처리하면서, (주행 제어부(98)에 의해) 모터(84, 84)를 구동시킴으로써 구동륜(83, 83)을 구동시켜, 설정된 청소 모드에 대응하여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를 자율 이동(자율 주행)시킨다(스텝 52).
계속해서, 제어 수단(45)은 표시 수단(20)의 표시를 (표시 제어부(60)에 의해) 클리어하고(스텝 53), 전기 청소기(11)가 공기를 적절하게 흡입하고 있는지, 바꾸어 말하면 전동 송풍기(18)가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54).
이 스텝 54에 있어서, 전동 송풍기(18)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예를 들어 집진부(82)의 막힘 등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고 있지 않았거나, 흡입구(91)가 이물 등에 의해 폐색되거나 하는 경우 등이라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54로 복귀하고, 전동 송풍기(18)가 기능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가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이동량 검출부(68)에 의해) 판단한다(스텝 55). 또한,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흡입구(91)로부터 흡입된 진애는 집진부(82)에 포집된다. 진애가 포집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18)에 흡입되고, 이 전동 송풍기(18)를 냉각하면서 이 전동 송풍기(18)로부터 배기되어 청소기 본체(77)의 본체 케이스(81)의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스텝 55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가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55(또는 스텝 54)로 복귀하고,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가 미리 설정된 소정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의 피청소면 상에서의 이동량 및 이동 시간을 (이동량ㆍ시간 적산부(57)에 의해) 적산한다(스텝 56).
계속해서, 제어 수단(45)은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57). 이 스텝 57에 있어서,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진애량을 (진애량 적산부(55)에 의해) 적산하고(스텝 58),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시간을 (운전 시간 적산부(56)에 의해) 적산한다(스텝 59). 또한, 이 스텝 57에 있어서,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이 아니라고 제어 수단(45)이 판단한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59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45)은 전기 청소기(11)(전동 송풍기(18))를 계속해서 운전시킬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60), 운전시킨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54로 복귀한다. 또한, 이 스텝 60에서 운전을 종료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킴과 함께,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를 충전대까지 이동시켜 충전 단자(101, 101)를 충전대에 접속한 상태에서 청소를 종료한다(스텝 61). 계속해서, 제어 수단(45)은, 스텝 56에서 적산한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의 피청소면 상에서의 이동량 및 이동 시간과, 스텝 58에서 적산한 진애량의 적산량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청소 능률을 산출한다(스텝 62). 이 스텝 62에서의 청소 능률의 산출 방법은, 상기 스텝 19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후, 제어 수단(45)은 데이터 기억부(69)에 평균값이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63). 이 스텝 63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부(69)에 평균값이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작업 능률 지표를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산출하고, 표시 수단(20)을 (표시 제어부(60)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청소 능률과 함께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한다(스텝 64). 이 스텝 64에서의 작업 능률 지표의 산출 방법은, 상기 스텝 2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한편, 스텝 63에 있어서, 데이터 기억부(69)에 평균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5)은 표시 수단(20)을 (표시 제어부(60)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청소 능률만을 표시한다(스텝 65).
이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소 능률 산출부(59)는, 진애량의 적산량을 청소기 본체(77)의 이동량과 이동 시간의 곱에 의해 나누어 청소 능률을 산출함으로써, 진애량의 적산량에 대하여, 청소기 본체(77)의 이동량 혹은 이동 시간이 적을수록 산출된 청소 능률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청소 영역을 청소할 때에는, 진애량의 적산량에는 큰 변동이 없기 때문에, 상기 산출한 청소 능률을 청소 영역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지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 능률 및 작업 능률 지표에 의해 청소 달성도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대하여 청소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한 청소 능률 등의 개선을 촉진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에 기여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정성 청소 모드에서의 청소 능률이 비교적 낮은 경우, 혹은 통상 청소 모드에서의 청소 능률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77)의 자율 이동 거리에 낭비가 발생한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통상 청소 모드로 설정하거나, 혹은 부분 청소 모드로 설정하는 등 청소 모드의 설정 변경에 의해 청소 능률을 높일 수 있고, 적절한 청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청소 모드는 미리 기억된 것에서 선택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청소 모드의 설정에는 청소기 본체(77)의 이동(주행) 패턴의 설정뿐만 아니라, 전동 송풍기(18)의 입력(동작 모드)의 설정 등을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청소 영역(청소 에리어)의 종류를 자동으로 검출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하도록 구성하여, 청소 영역의 종류마다 청소 능률 혹은 작업 능률 지표를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산출하고, 이 산출한 청소 능률 혹은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 수단(20)으로 표시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 및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가 자율 이동(자율 주행)하는 구성이란, 센서(86)에 의해 장해물 등을 검출하면서 이동(주행)하는 구성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미리 설정한 이동(주행) 패턴을 따라 자동적으로 이동(주행)하는 구성(자동 주행하는 구성)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자율 이동(자율 주행)하는 전기 청소기(11)(청소기 본체(77))는, 리모콘 등을 사용하여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의 적산량, 바닥 브러시(23) 혹은 청소기 본체(77)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량, 및 바닥 브러시(23) 혹은 청소기 본체(77)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 산출부(59)에 의해 청소 능률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청소 능률을 표시 수단(20)에 의해 표시함으로써, 이 청소 능률에 의해 사용자에게 청소 달성도를 효과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청소 능률 산출부(59)는, 데이터 기억부(69)에 기억한 이전의 수회분의 청소시의 청소 능률, 혹은 과거 일정 기간의 청소시의 청소 능률 등의 평균값이 있는 경우에는, 이 평균값으로 청소 능률을 나눔으로써 작업 능률 지표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작업 능률 지표를 표시 수단(20)에 의해 표시함으로써, 과거의 청소시와 비교하여 청소 능률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청소 달성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수단(20)은 청소 능률 및 작업 능률 지표를 각각 청소 중에 리얼타임으로 표시하였지만, 청소 종료시, 즉 전동 송풍기(18)(전기 청소기(11))를 정지시켰을 때 표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통지 수단은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수단(20) 이외라도, 예를 들어 음성 등에 의해 청각적으로 통지하는 통지 수단, 혹은 그들의 조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45)은,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에 대응하여 전동 송풍기(18) 혹은 바닥 브러시(23)의 모터 등의 입력을 자동 제어하여도 된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18)의 운전 중 등에, 광 센서(53)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의 많고 적음을 표시 수단(20) 등에 표시하여도 된다.
또한, 전기 청소기(11)는 캐니스터형 혹은 로봇형에 한정되지 않고, 청소기 본체(12)의 하부에 바닥 브러시(23)가 접속된 업라이트형의 것이나 핸디형의 것 등이라도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와,
    피청소면 상을 이동 가능하며, 상기 풍로의 일부를 구획하는 흡입부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풍로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진애량 검출 수단과,
    상기 진애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의 적산량, 상기 흡입부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량, 및 상기 흡입부의 피청소면 상의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청소 능률을 통지 가능한 통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흡입부는, 피청소면 상을 자율 이동 가능한 상기 청소기 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흡입부는, 청소기 본체와 별체로 풍로의 일부를 구획하고, 피청소면 상을 이동 가능한 흡입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흡입구체는 풍로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산출 수단은, 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풍로에 대하여 분리한 상태에서는, 전동 송풍기의 운전 시간,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의 진애를 상기 풍로에 흡입한 흡입 시간, 및 진애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의 적산량에 기초하여 청소 능률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피청소면의 종류와 청소 영역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검출 가능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산출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피청소면의 종류와 청소 영역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각각에 대응하여 청소 능률을 산출하고,
    통지 수단은,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각 청소 능률을 통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피청소면의 종류와 청소 영역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설정 가능한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산출 수단은,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피청소면의 종류와 청소 영역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각각에 대응하여 청소 능률을 산출하고,
    통지 수단은,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한 각 청소 능률을 통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KR1020137025205A 2011-03-28 2012-03-28 전기 청소기 KR101471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0745 2011-03-28
JPJP-P-2011-070745 2011-03-28
PCT/JP2012/058215 WO2012133571A1 (ja) 2011-03-28 2012-03-28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390A KR20130115390A (ko) 2013-10-21
KR101471322B1 true KR101471322B1 (ko) 2014-12-09

Family

ID=4693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205A KR101471322B1 (ko) 2011-03-28 2012-03-28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92271B1 (ko)
JP (1) JP5321869B2 (ko)
KR (1) KR101471322B1 (ko)
CN (1) CN103476314B (ko)
RU (1) RU2552763C2 (ko)
WO (1) WO2012133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6902B2 (ja) * 2012-11-20 2016-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JP6325946B2 (ja) * 2014-08-27 2018-05-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自律走行体装置
JP6706882B2 (ja) * 2015-01-20 2020-06-10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JP2019088543A (ja) * 2017-11-15 2019-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2455228B1 (ko) 2017-12-04 2022-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JP7058173B2 (ja) * 2018-05-14 2022-04-2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9106031A (zh) * 2018-08-30 2019-01-01 新我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清洁功能的化妆间盒子及自动清洁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986A (ja) * 1992-10-01 1994-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掃除機
JP2002085306A (ja) * 2000-09-20 2002-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2007117146A (ja) * 2005-10-25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掃除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000390A (ja) * 2006-06-23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6242B2 (ja) * 1991-02-28 1999-09-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006145B2 (ja) * 1991-05-21 2000-02-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00254055A (ja) * 1999-03-11 2000-09-19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KR100466321B1 (ko) * 2002-10-31 2005-01-1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그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4272650A (ja) 2003-03-10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211361A (ja)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自走式掃除機
JP2005211365A (ja)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自律走行ロボットクリーナー
JP2005211493A (ja)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自走式掃除機
JP4654793B2 (ja) * 2005-06-28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塵埃検知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EP1836941B1 (en) * 2006-03-14 2014-02-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ic vacuum cleaner
EP2380475B1 (en) * 2007-03-27 2015-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with improved dust collector
KR101055124B1 (ko) * 2008-06-02 2011-08-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시스템 및 로봇 청소기 제어 방법
JP2011092453A (ja) * 2009-10-30 2011-05-12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
JP2012200462A (ja) * 2011-03-25 2012-10-22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986A (ja) * 1992-10-01 1994-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掃除機
JP2002085306A (ja) * 2000-09-20 2002-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2007117146A (ja) * 2005-10-25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掃除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000390A (ja) * 2006-06-23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2271A4 (en) 2014-10-08
RU2013143794A (ru) 2015-05-10
CN103476314A (zh) 2013-12-25
CN103476314B (zh) 2015-11-25
KR20130115390A (ko) 2013-10-21
JP5321869B2 (ja) 2013-10-23
RU2552763C2 (ru) 2015-06-10
EP2692271B1 (en) 2017-11-01
WO2012133571A1 (ja) 2012-10-04
JPWO2012133571A1 (ja) 2014-07-28
EP2692271A1 (en)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322B1 (ko) 전기 청소기
US20220022709A1 (en) Autonomous vacuum
KR101484940B1 (ko) 로봇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JP6207388B2 (ja) 自走式電気掃除機
JP2013052238A (ja) ロボット掃除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5707243B2 (ja) 電気掃除機
WO2013179715A1 (ja) 充電式電気掃除機
KR101325439B1 (ko) 전기 청소기
KR101411028B1 (ko) 전기 청소기
JP2012200462A (ja) 電気掃除機
JP6105886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0947364B1 (ko) 로봇 청소기
JP2011183100A (ja) 電気掃除機
KR102332241B1 (ko) 청소 로봇 및 그 제어방법
JP5722170B2 (ja) 電気掃除機
KR20060063426A (ko) 로봇청소기의 제어방법
KR100556836B1 (ko) 로봇 청소기의 센서 보호창 청소장치
KR100928411B1 (ko) 자동 청소기
KR101043535B1 (ko) 자동 청소기
JP2006099481A (ja) 電気掃除機
KR20000002309A (ko) 로봇 청소기의 청소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53096A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2070883A (ja) 電気掃除機
KR20050063549A (ko) 로봇 청소기의 구석청소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