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439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5439B1 KR101325439B1 KR1020110010915A KR20110010915A KR101325439B1 KR 101325439 B1 KR101325439 B1 KR 101325439B1 KR 1020110010915 A KR1020110010915 A KR 1020110010915A KR 20110010915 A KR20110010915 A KR 20110010915A KR 101325439 B1 KR101325439 B1 KR 1013254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sensor
- electric blower
- contamination
- control means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47L9/281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using optical de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광센서의 오염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킨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원을 공급한 후 제어 수단(42)이 전동 송풍기(18)를 동작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한다. 전동 송풍기(18)가 정지한 상태에서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하므로,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 등을 오검출하지 않아, 광센서(44)의 오염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전원을 공급한 후 제어 수단(42)이 전동 송풍기(18)를 동작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한다. 전동 송풍기(18)가 정지한 상태에서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하므로,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 등을 오검출하지 않아, 광센서(44)의 오염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광센서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는, 예를 들어 집진실, 호스체, 연장관 및 바닥 브러시 등에 의해 구성되는 풍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이 풍로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를 흡입하여, 집진실에 포집한다.
이와 같은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광센서를 풍로에 구비하고, 이 광센서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에는, 전동 송풍기의 입력(파워)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광센서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소정량 미만인 경우에는, 전동 송풍기의 입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청소 및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광센서는, LED 등의 발광부와, 이 발광부에서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서로 대향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풍로 내는 진애가 통과하므로, 이 풍로 내를 향하는 발광부, 혹은 수광부가 진애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발광부나 수광부가 오염된 경우, 광센서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되고, 필요시에 전동 송풍기의 입력을 상대적으로 증가/감소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광센서의 수광부의 출력 전압의 변화가 오염에 기인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오염에 의해 광센서의 수광부의 출력 전압이 변화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 출력 전압을 일정 전압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오염된 상태에서의 광센서의 검출 정밀도를 확보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술한 전기 청소기에서는, 광센서의 수광부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전동 송풍기가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항상 검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동 송풍기를 구동시킨 상태에서는, 수광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광센서의 오염의 상태뿐만 아니라,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 등에 따라서 빈번히 변화하므로, 이 출력 전압의 변화에 기초하여 광센서의 오염을 판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아, 광센서의 오염의 검출 정밀도가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광센서의 오염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킨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와, 이 풍로 내를 향하여 발광하는 발광부, 및 이 발광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이 발광부로부터의 발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광센서와, 상기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전동 송풍기에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광센서의 오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광센서의 오염에 기초하여 소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동작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와, 이 풍로 내를 향하여 발광하는 발광부, 및 이 발광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이 발광부로부터의 발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광센서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이 설정 수단의 설정 조작에 의해 상기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의 설정 조작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광센서의 오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광센서의 오염에 기초하여 소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동작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송풍기가 정지한 상태에서 검출 수단이 광센서의 오염을 검출하므로,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 등을 검출 수단이 오검출하는 일이 없어, 광센서의 오염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도면 부호‘11’은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청소기 본체(12)와, 이 청소기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관부(13)를 갖고 있다.
청소기 본체(12)는, 피청소면 상을 선회 및 주행 가능한 중공 형상의 본체 케이스(15)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케이스(15)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본체 집진실과 전동 송풍기실이 전후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실에는, 전동 송풍기(18)가 수용되어 있고, 이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이 본체 집진실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본체 집진실 내에는, 필터, 집진 주머니, 혹은 집진 장치(집진 컵) 등의 집진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5)의 전방부에는, 본체 집진실에 연통함과 함께 관부(13)의 기단부측이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19)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부(13)는 본체 흡입구(19)에 접속되는 접속관부(21)와, 이 접속관부(21)의 선단측에 연통하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체(22)와, 이 호스체(22)의 선단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23)와, 이 손잡이 조작부(23)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24)과, 이 연장관(24)의 선단측에 연통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2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관부(13)는,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W)를 내부에 구획하는 풍로 구성체이다.
바닥 브러시(26)는, 좌우 폭 방향으로 길이 형상, 즉 가로로 긴 케이스체(31)와, 이 케이스체(31)의 좌우 폭 방향의 대략 중심 위치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통 접속된 접속관(32)을 구비하고, 피청소면 상을 전후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체(31)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흡입구가 좌우 폭 방향으로 길이 형상으로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관(32)은, 흡입구와 연통됨과 함께, 도 3에 도시하는 관부(13)(연장관(24))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흡입구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 이 회전 브러시는, 예를 들어 전동기, 혹은 에어 터빈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손잡이 조작부(23)에는, 파지부(37)가 호스체(22)측으로 돌출되고, 이 파지부(37)에는, 전동 송풍기(18)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전동 송풍기 조작 수단으로서의 설정 수단인 복수의 설정 버튼(38), 및 전기 청소기(11)를 오프시키기 위한 정지 수단으로서의 정지 버튼(4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파지부(37)에는, 회전 브러시의 회전/정지를 설정하는 스위치를 설치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청소기 본체(12) 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을 예를 들어 트라이액(쌍방향 사이리스터)(Tr1)을 통하여 위상 제어하는 제어 수단(4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어 수단(42)에는, 버튼(38, 40), 통지 수단으로서의 표시 수단(43), 및 풍로(W)에 흡입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진애량 검출 수단으로서의 광센서(44)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수단(42)은, 예를 들어 버튼(38, 40)에 의한 조작을 판정하는 조작 판정 수단, 전동 송풍기(18)의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흡입 풍량을 검출하는 풍량 검출 수단으로서의 전류 검출 수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수단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들과 함께 마이크로컴퓨터를 구성하고 있고,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의 배기 풍로 내 등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수단(42)은, 예를 들어 플러그부(46)(도 3)를 통하여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이 제어 수단(42)은, 광센서(44)로부터의 출력 신호(S1)에 기초하여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의 기능, 및 이 검출한 광센서(44)의 오염에 기초하여 소정 동작, 예를 들어 광센서(44)의 감도를 보정하는 동작 수단의 기능을 갖고 있다.
표시 수단(43)은,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케이스(15)(도 3)의 상부 등에 배치되어 있고, 광센서(44)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표시를 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센서(4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외광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으로서의 발광부(47)와, 이 발광부(47)에 의해 발광된 적외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으로서의 수광부(48)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하고 있다.
발광부(47)로부터의 적외광을 수광부(48)가 수광하는 그 수광량에 의해, 풍로(W) 중을 통과하는 진애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 수단(42)에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출력 신호 S1).
발광부(47)는, 적외광 등의 광을 출력하는 LED(47a)와, 이 LED(47a)로부터의 발광을 풍로(W) 내로 유도하는 발광측 도광 부재로서의 한쪽 및 다른 쪽의 발광측 렌즈(47b, 47c)를 갖고 있다.
LED(47a)는,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흡입구(19)의 상부에, 하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하방으로 적외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LED(47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측이 가변 저항기 등의 저항기(R1)를 통하여 전원부(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캐소드측이 접지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한쪽의 발광측 렌즈(47b)는 LED(47a)의 적외광의 출력측인 하방에서 본체 흡입구(19)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발광측 렌즈(47c)는, 관부(13)의 접속관부(21)를 본체 흡입구(19)에 접속한 상태에서 LED(47a)(발광측 렌즈(47b))의 하방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다른 쪽의 발광측 렌즈(47c)는, 접속관부(21)에 직경 방향을 따라 뚫어져서 형성된 발광측 구멍부(47d) 내에, 이 발광측 구멍부(47d)를 기밀하게 폐색하도록 끼워 맞추고 있고, 일단부측이 LED(47a)측(발광측 렌즈(47b)측)을 향하고, 타단부측이 풍로(W)의 내부를 향하고 있다.
즉, 발광측 구멍부(47d)로부터 풍로(W) 내의 공기가 풍로(W)의 외부로 유출되는 일은 없다.
마찬가지로, 수광부(48)는 발광부(47)로부터 출력된 적외광을 검출하는 포토 트랜지스터(PTr)(48a)와, 발광부(47)로부터 출력된 광을 포토 트랜지스터(48a)로 유도하는 수광측 도광 부재로서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수광측 렌즈(48b, 48c)를 갖고 있다.
포토 트랜지스터(48a)는,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흡입구(19)의 하부에, 상방 즉 LED(47a)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LED(47a)로부터 출력된 적외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포토 트랜지스터(48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부(51)에 대하여 저항기(R1)와 병렬로 접속된 저항기(R2)와 콜렉터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미터측이 접지된, 소위 이미터 접지 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그 출력부인 저항기(R2)와 콜렉터측과의 접속점이, 예를 들어 OP 증폭기 등에 의해 구성된 증폭부(53), 및 제어 수단(42)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수광측 렌즈(48b)는 포토 트랜지스터(48a)의 적외광의 입력측인 상방에서 본체 흡입구(19)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의 수광측 렌즈(48c)는, 관부(13)의 접속관부(21)를 본체 흡입구(19)에 접속한 상태에서 포토 트랜지스터(48a)(수광측 렌즈(48b))의 상방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다른 쪽의 수광측 렌즈(48c)는 접속 헤드부(21)에 직경 방향을 따라 뚫어져서 형성된 수광측 구멍부(48d) 내에, 이 수광측 구멍부(48d)를 기밀하게 폐색하도록 끼워 맞추고 있고, 일단부측이 포토 트랜지스터(48a)측(수광측 렌즈(48b)측)을 향하고, 타단부측이 풍로(W)의 내부를 향하고 있다.
즉, 수광측 구멍부(48d)로부터 풍로(W) 내의 공기가 풍로(W)의 외부로 유출되는 일은 없다.
또한, 전원부(51)는 상용 교류 전원(e)에 플러그부(46)(도 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 즉 전원(전압)이 인가(투입)되었을 때,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소정의 정전압, 예를 들어 5V의 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원이다.
증폭부(53)는, 그 증폭률이 가변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펄스 정형기(55)를 통하여 제어 수단(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4에 나타내는 흐름도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집진부를 청소기 본체(12) 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플러그부(46)를 벽면의 콘센트 등에 접속(플러그인)하면(스텝 1), 제어 수단(42) 및 전원부(51) 등에 대하여,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인가)된다.
그러면, 전원부(51)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발광부(47)의 LED(47a)가 발광하고, 이 LED(47a)로부터의 발광이 각 렌즈(47b, 47c)를 통하여 풍로(W) 내에 조사된다.
풍로(W) 내에 조사된 광이 각 렌즈(48c, 48b)를 통하여 포토 트랜지스터(48a)에 입력되면, 이 수광량에 대응한 전류가 포토 트랜지스터(48a)에 흐르고, 수광부(48)로부터 출력 신호(S1)가 전압값(포토 트랜지스터(48a)의 콜렉터 전압값)으로서 출력된다(스텝 2).
계속해서, 제어 수단(42)은, 출력 신호(S1)를 소정 기간(예를 들어 1초 정도) 판독한다(스텝 3). 이때, 제어 수단(42)은, 전원이 공급된 직후로부터 출력 신호(S1)를 소정 기간 판독해도 되고, 전원이 공급된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1초 정도)이 경과한 후 소정 기간 출력 신호(S1)를 판독해도 된다.
그리고, 스텝 3에서 판독한 값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 TH를 비교함으로써, 광센서(44)가 오염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4).
즉, 전기 청소기(11)를 사용하면, 청소 상태에 있어서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의 일부가, 발광부(47)의 다른 쪽의 발광측 렌즈(47c), 혹은 수광부(48)의 다른 쪽의 수광측 렌즈(48c)에 부착됨으로써, 광센서(44)가 경시적으로 오염되어 간다.
이와 같은 오염의 상태에 대응하여, 수광부(48)(포토 트랜지스터(48a))에서의 수광량이, 발광부(47)(LED(47a))로부터의 발광량에 대응하여 원래 수광해야 할 수광량보다도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포토 트랜지스터(48a)의 수광 전압이 저하된다.
이 결과, 저항기(R2)와 포토 트랜지스터(48a)의 분압에 의해 발생하는 출력 신호(S1)가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이 출력 신호(S1)의 증가량은 광센서(44)(렌즈(47c, 48c))의 오염 상태의 정도, 즉 광센서(44)의 감도 저하에 대응하므로, 전동 송풍기(18)(전기 청소기(11))를 정지시킨 상태, 즉 풍로(W) 내를 진애가 공기와 함께 통과하지 않는 상태에서, 출력 신호(S1)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 TH를 비교함으로써, 광센서(44)의 오염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 수단(42)은, 예를 들어 소정 기간 판독한 출력 신호(S1)의 최대값, 혹은 소정 기간에서의 평균값 등을 사용하여 임계값 TH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 3에서 제어 수단(42)이 판독한(검출한) 값이 임계값 TH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4)에는, 제어 수단(42)은 광센서(44)가 오염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예를 들어 저항기(R1)의 저항값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LED(47a)(발광부(47))의 발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광센서(44)의 감도 저하를 보정한다(스텝 5).
즉, 제어 수단(42)은, 광센서(44)가 오염되어 있을수록 LED(47a)(발광부(47))의 발광량을 증가시킨다.
그 후, 제어 수단(42)은, 이 LED(47a)(발광부(47))의 발광량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검출한 출력 신호(S1)와 임계값 TH를 비교한다(스텝 6).
출력 신호(S1)가 아직 임계값 TH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6)에는, 광센서(44)(렌즈(47c, 48c))의 오염이 상당히 큰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 수단(42)은, 표시 수단(43)에 광센서(44)가 오염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여 통지하고(스텝 7), 제어를 종료한다.
즉, 광센서(44)가 상당히 오염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을 허가하지 않고, 광센서(44)의 청소(손질)를 사용자에게 재촉한다.
또한, 스텝 6에 있어서, 출력 신호(S1)가 아직 임계값 TH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광센서(44)(렌즈(47c, 48c))의 오염에 기인하는 감도 저하를 충분히 보정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 수단(42)은 스텝 8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4에 있어서, 스텝 3에서 제어 수단(42)이 판독한(검출한) 값이 임계값 TH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2)은 광센서(44)가 오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42)은, 버튼(38, 40)의 조작 입력 대기로 되고, 설정 버튼(38)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8), 설정 버튼(38)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동 송풍기(18)를, 그 설정 버튼(38)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로 구동하고(스텝 9), 스텝 8로 복귀한다.
사용자는, 파지부(37)(도 3)를 통하여 바닥 브러시(26)를 피청소면 상에서 전후로 주행시켜, 피청소면의 진애를, 구동한 전동 송풍기(18)의 부압에 의해 풍로(W)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집진부에 포집한다.
또한, 이 청소 상태에 있어서, 제어 수단(42)은, 예를 들어 광센서(44)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S1)를 증폭기(53)에 의해 증폭하여 펄스 정형기(55)에서 펄스 정형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S2)에 의해, 풍로(W)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감시하고 있다.
입력 신호(S2)가 미리 설정된 소정 임계값 이상(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 진애량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을, 동작 모드에 대응하여 설정된 소정량 증가시킨다.
입력 신호(S2)가 미리 설정된 소정 임계값 미만(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 진애량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을, 동작 모드에 대응하여 설정된 소정값으로 저하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 수단(42)은,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피청소면의 진애량)의 광센서(44)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즉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킨다.
그리고,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즉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제어 수단(42)은, 광센서(44)에 의해 검출한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에 기초하여 판단한 피청소면의 진애량을, 표시 수단(43)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텝 8에 있어서, 설정 버튼(38)이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2)이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2)은, 정지 버튼(40)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
그리고, 정지 버튼(40)이 조작되었다고 제어 수단(42)이 판단한 경우(스텝 10)에는, 이 제어 수단(42)이 전동 송풍기(18)의 입력을 제어하여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키고(스텝(11)), 스텝 8로 복귀한다.
정지 버튼(40)이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2)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8로 복귀한다. 또한, 이 스텝 11 후, 스텝 2로 복귀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이 공급된 후, 즉 플러그부(46)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된 후, 제어 수단(42)이 전동 송풍기(18)를 동작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즉, 전동 송풍기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광센서의 오염을 검출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수반하여 풍로에 흡입된 진애를 광센서가 검출함으로써 수광부에서의 수광 전압(광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이 변화하므로, 광센서의 오염에 의해 수광 전압이 변화하였는지, 풍로를 진애가 통과함으로써 수광 전압이 변화하였는지를 구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정원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은 항상 변화하고 있으므로, 이를 검출하는 광센서의 수광 전압도 항상 변화하고, 풍로를 진애가 통과한 상태에서 광센서의 오염을 검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하므로,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 등을 오검출하는 일이 없어, 광센서(44)의 오염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검출한 광센서(44)의 오염 상태에 대응하여, 이 광센서(44)로부터 출력되어 제어 수단(42)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S2)를 보정, 즉, 발광부(47)(LED(47a))의 발광량, 바꾸어 말하면 출력 신호(S1)를 변화시켜 입력 신호(S2)를 보정함으로써, 광센서(44)의 오염에 기인하는 감도 저하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공급된 후, 즉 플러그부(46)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또한 제어 수단(42)이 전동 송풍기(18)를 동작시키기 전에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출력 신호(S1)의 전압값이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광센서(44)의 오염의 검출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센서(44)의 오염 상태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 수단(42)이 표시 수단(43)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광센서(44)가 과잉으로 오염되어 있는 경우, 청소를 개시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광센서(44)의 청소를 재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5 대신에, 제어 수단(42)이, 증폭기(53)에서의 증폭률을 변화시키는 점이 상이하다.
즉, 광센서(44)로부터 제어 수단(42)에 출력되는 출력 신호(S1)의 증폭률을 변화시키는, 구체적으로는, 광센서(44)가 오염되어 있을수록 증폭률을 저하시키는 증폭률의 제어(스텝 15)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플러그부(46)가 상용 교류 전원(e)에 접속되어 전원이 공급된 후, 제어 수단(42)이 전동 송풍기(18)를 동작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한다.
그리고, 이 검출한 광센서(44)의 오염 상태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S2)를 보정하는 등,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S2)를 보정할 때에, 증폭기(53)에서의 증폭률을 변화시킴으로써, 광센서(44)의 오염에 기인하는 감도 저하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전기 청소기(11)가, 플러그부(46)를 통하여 상용 교류 전원(e)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청소기 본체(12) 등에 설치한 이차 전지 등의 전지(E)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송풍기(18)는, 전지(E)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 수단(42)은, 트랜지스터 등의 제어 소자(Tr2)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을 위상 제어한다.
또한, 제어 수단(42) 및 전원부(51)는, 전지(E)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전기 청소기(11)는, 전지(E)가 방전 종지 상태로 될 때까지, 전지(E)로부터 항상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1 대신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42)은, 설정 버튼(38)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1).
이 스텝 21에 있어서, 설정 버튼(38)이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2)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21을 반복하고, 설정 버튼(38)이 조작되었다고 제어 수단(42)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2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4에 있어서, 스텝 3에서 제어 수단(42)이 판독한(검출한) 값이 임계값 TH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2)은 광센서(44)가 오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제어 수단(42)은, 스텝 21에서 조작된 설정 버튼(38)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로 전동 송풍기(18)를 구동시킨다(스텝 22).
이 후, 제어 수단(42)은, 정지 버튼(40)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23), 정지 버튼(40)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켜(스텝(24)), 스텝 21로 복귀한다.
정지 버튼(40)이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42)은, 조작 버튼(38)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5).
이 스텝 25에 있어서, 설정 버튼(38)이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2)이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23으로 복귀한다.
설정 버튼(38)이 조작되었다고 제어 수단(42)이 판단한 경우에는, 이 설정 버튼(38)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로 전동 송풍기(18)를 구동시켜(스텝 26), 스텝 23으로 복귀하다.
또한, 스텝 6에 있어서, 제어 수단(42)이 판독한(검출한) 값이 임계값 TH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22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버튼(38)의 설정 조작으로부터 제어 수단(42)이 전동 송풍기(18)를 동작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함으로써,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하므로,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 등을 오검출하는 일이 없어, 광센서(44)의 오염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킨 상태로부터, 설정 버튼(38)을 조작할 때마다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하므로, 전동 송풍기(18)를 동작시킬 때마다 오염되는 광센서(44)의 오염 상태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4 실시 형태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발광량 증가 스텝(스텝 5) 대신에, 제어 수단(42)이 증폭기(53)에서의 증폭률을 증가시킴으로써 광센서(44)의 감도를 보정하는 도 5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스텝 15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설정 버튼(38)의 설정 조작으로부터 제어 수단(42)이 전동 송풍기(18)를 동작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함과 함께, 이 검출한 광센서(44)의 오염 상태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S2)를 보정하는 등,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입력 신호(S2)의 보정시에, 증폭기(53)에서의 증폭률을 변화시킴으로써, 광센서(44)의 오염에 기인하는 감도 저하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센서(44)의 오염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후, 이 광센서(44)의 오염에 기초하여, 임의의 동작 수단을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기 청소기(11)로서는, 캐니스터형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6)를 세로로 긴 청소기 본체(12)의 하부에 접속한 업라이트형, 혹은 핸디형 등이어도 대응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전기 청소기(11)의 세부는, 상기 각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 전기 청소기
12: 청소기 본체
18: 전동 송풍기
38: 설정 수단으로서의 설정 버튼
42: 검출 수단 및 동작 수단의 기능을 갖는 제어 수단
44: 광센서
47: 발광부
48: 수광부
W: 풍로
12: 청소기 본체
18: 전동 송풍기
38: 설정 수단으로서의 설정 버튼
42: 검출 수단 및 동작 수단의 기능을 갖는 제어 수단
44: 광센서
47: 발광부
48: 수광부
W: 풍로
Claims (7)
-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와,
이 풍로 내를 향하여 발광하는 발광부, 및 이 발광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이 발광부로부터의 발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광센서와,
상기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 전원이 공급된 후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광센서의 오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풍로 내를 진애가 공기와 함께 통과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광센서의 오염에 기초하여 소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동작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전원이 공급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이며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광센서의 오염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풍로와,
이 풍로 내를 향하여 발광하는 발광부, 및 이 발광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이 발광부로부터의 발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광센서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동작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이 설정 수단의 설정 조작에 의해 상기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키는 제어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의 설정 조작으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전동 송풍기를 동작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광센서의 오염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풍로 내를 진애가 공기와 함께 통과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광센서의 오염에 기초하여 소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동작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광센서의 오염 상태에 대응하여 이 광센서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제어 수단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광센서의 오염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의 발광량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광센서의 오염 상태에 대응하여 이 광센서로부터 상기 제어 수단에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증폭률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은, 상기 광센서의 오염 상태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55827 | 2010-03-12 | ||
JP2010055827A JP5620127B2 (ja) | 2010-03-12 | 2010-03-12 | 電気掃除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3317A KR20110103317A (ko) | 2011-09-20 |
KR101325439B1 true KR101325439B1 (ko) | 2013-11-04 |
Family
ID=4459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0915A KR101325439B1 (ko) | 2010-03-12 | 2011-02-08 | 전기 청소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620127B2 (ko) |
KR (1) | KR101325439B1 (ko) |
CN (1) | CN102188213B (ko) |
RU (1) | RU2454917C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28670A (ja) * | 2011-12-21 | 2013-07-04 | Toshiba Corp | 電気掃除機 |
JP2015107440A (ja) * | 2013-12-03 | 2015-06-11 |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 シュレッダ |
CN105686760A (zh) * | 2016-04-06 | 2016-06-22 | 柳州定店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扫地机器人的控制方法 |
JP6731273B2 (ja) * | 2016-04-18 | 2020-07-29 | シャープ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CN106725104B (zh) * | 2017-01-03 | 2024-08-13 |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 具有感应区清洁机构的吸尘器地刷 |
RU2715042C1 (ru) * | 2019-01-21 | 2020-02-21 | Андрей Андреевич Бычков | Пылесос электроакустический |
US11493336B2 (en) * | 2020-06-22 | 2022-11-08 | Pixart Imaging Inc. | Optical navigation device which can determine dirtiness level of cover or fix multi light pattern issue |
CN113545696B (zh) * | 2021-07-26 | 2022-11-29 | 北京小狗吸尘器集团股份有限公司 | 灰尘信息获取组件的装配组件和方法及集尘杯、清洁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0584B1 (ko) * | 1994-06-21 | 1997-01-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광센서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먼지 검출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6887B1 (ko) * | 1988-06-15 | 1991-09-10 |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 전기소제기의 쓰레기 검지장치 |
JPH03186243A (ja) * | 1989-12-15 | 1991-08-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
JP3149430B2 (ja) * | 1990-02-22 | 2001-03-2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
JP2956235B2 (ja) * | 1991-03-04 | 1999-10-0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電気掃除機の塵埃検知装置 |
JPH04276226A (ja) * | 1991-03-04 | 1992-10-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気掃除機の塵埃検知装置 |
US6023814A (en) * | 1997-09-15 | 2000-02-15 | Imamura; Nobuo | Vacuum cleaner |
AU2000274685A1 (en) * | 2000-08-07 | 2002-02-18 | Arcelik, A.S. | A cleaning device for a sensor an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such a cleaning device |
JP2005211493A (ja) * | 2004-01-30 | 2005-08-11 | Funai Electric Co Ltd | 自走式掃除機 |
JP2007057360A (ja) * | 2005-08-24 | 2007-03-08 | Agilent Technol Inc | 粒子検出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粒子検出方法 |
JP4315146B2 (ja) * | 2005-10-25 | 2009-08-1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JP4788296B2 (ja) * | 2005-11-02 | 2011-10-0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JP5006091B2 (ja) * | 2007-03-30 | 2012-08-22 | 株式会社東芝 | 電気掃除機 |
JP5240083B2 (ja) * | 2009-06-12 | 2013-07-1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
2010
- 2010-03-12 JP JP2010055827A patent/JP5620127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2-08 KR KR1020110010915A patent/KR1013254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3-11 RU RU2011109240/12A patent/RU2454917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3-11 CN CN201110060106.7A patent/CN102188213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0584B1 (ko) * | 1994-06-21 | 1997-01-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광센서를 이용한 진공청소기의 먼지 검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3317A (ko) | 2011-09-20 |
JP2011188916A (ja) | 2011-09-29 |
CN102188213A (zh) | 2011-09-21 |
CN102188213B (zh) | 2015-11-04 |
JP5620127B2 (ja) | 2014-11-05 |
RU2454917C1 (ru) | 2012-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5439B1 (ko) | 전기 청소기 | |
KR101471322B1 (ko) | 전기 청소기 | |
KR101411028B1 (ko) | 전기 청소기 | |
JP5006091B2 (ja) | 電気掃除機 | |
JP5840424B2 (ja) | 電気掃除機 | |
JP2012200462A (ja) | 電気掃除機 | |
JP2011183100A (ja) | 電気掃除機 | |
JP5620131B2 (ja) | 電気掃除機 | |
KR20000001763A (ko) | 로봇청소기 및 그 구동제어방법 | |
JP5722170B2 (ja) | 電気掃除機 | |
KR20060063426A (ko) | 로봇청소기의 제어방법 | |
KR100556836B1 (ko) | 로봇 청소기의 센서 보호창 청소장치 | |
JP2008110167A (ja) | 電気掃除機 | |
JP2011092445A (ja) | 電気掃除機 | |
JP2011206356A (ja) | 電気掃除機 | |
JP2010046171A (ja) | 電気掃除機 | |
JP2011183030A (ja) | 電気掃除機 | |
JP2014171667A (ja) | 電気掃除機 | |
JP2012115604A (ja) | 電気掃除機 | |
KR0136755B1 (ko) | 진공청소기의 먼지감지장치 | |
JP2014161542A (ja) | 電気掃除機 | |
JP2010269044A (ja) | 電気掃除機 | |
KR20000002309A (ko) | 로봇 청소기의 청소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JP2012050572A (ja) | 電気掃除機 | |
JP2014226288A (ja) | 掃除機用塵埃検出装置及びそれを具備する電気掃除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