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568B1 -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 Google Patents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568B1
KR101470568B1 KR1020130097233A KR20130097233A KR101470568B1 KR 101470568 B1 KR101470568 B1 KR 101470568B1 KR 1020130097233 A KR1020130097233 A KR 1020130097233A KR 20130097233 A KR20130097233 A KR 20130097233A KR 101470568 B1 KR101470568 B1 KR 101470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upport
bottom plate
fixing
cha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이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1020130097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2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71General 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the loading platform, e.g.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바닥면 좌우 양쪽에 다수개의 쳄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쳄버의 상부면 한쪽 또는 양쪽에 상하이동형 리프트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재함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능성 특장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special purpose vehicle}
본 발명은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바닥면 좌우 양쪽에 다수개의 쳄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쳄버의 상부면 한쪽 또는 양쪽에 상하이동형 리프트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의 적재부분을 박스형태로 특수하게 제작하여 부착한 화물차량을 특장차라 부르고 있다. 상기 특장차는 적재함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위한 문을 갖추고 있는데, 문은 주로 특장차량의 뒷쪽에 설치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문을 갖추고 개폐시키기도 하며 또한 양측면과 뒷면모두에 문을 설치하여 개폐시키기도 한다.
종래의 특장차는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마치 날개를 펴고 접듯이 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작된 날개형 구조체의 특장차 적재함으로 이루어져 있고 날개형 구조체의 특장차 적재함은 주로 유압실린더를 특장차 적재함의 전면과 후면의 고정벽체에 각각 설치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종래의 유압실린더만으로 특장차 적재함의 날개형 구조체를 개폐하는 경우 날개형 구조체의 무게에 대응하여 큰 힘을 낼 수 있는 유압실린더가 필요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설치과정이 복잡하다. 또한, 날개형 구조체가 닫힌 상태에서 날개형 구조체를 위로 들어올려 열려고 할 때 매우 큰 힘이 필요하며 이때 유압실린더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적재함의 바닥면 좌우 양쪽에 다수개의 쳄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쳄버의 상부면 한쪽 또는 양쪽에 상하이동형 리프트부가 설치되어 있어 다수개의 쳄버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상하이동형 리프트부차로 사용할 수 있는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재함의 바닥면 좌우 양쪽에 다수개의 쳄버(210, 220, 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쳄버의 상부면 한쪽 또는 양쪽에 상하이동형 리프트부(100, 1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함의 바닥면 좌우 양쪽에 다수개의 쳄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쳄버의 상부면 한쪽 또는 양쪽에 상하이동형 리프트부가 설치되어 있어 다수개의 쳄버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상하이동형 사다리차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의 챔버를 오픈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의 상하이동형 리프트부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하이동형 리프트부의 난간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하이동형 리프트부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챔버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는
적재함의 바닥면 좌우 양쪽에 다수개의 쳄버(210, 220, 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쳄버는 각각 쳄버도어(212, 222, 232)가 부착되어 있으며, 각 쳄버도어는 실린더(240)와 상하이동로드(250)가 설치되어 있어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쳄버도어와 내부면에 서랍(211)을 형성하고, 상기 챔버의 상부면 한쪽 또는 양쪽에 리프트부(100, 100')가 설치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은 적재함의 바닥면 좌우 양쪽에 다수개의 쳄버(210, 220, 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쳄버의 상부면 한쪽 또는 양쪽에 상하이동형 리프트부(100, 1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장차에 있어서 리프트부는 리프트부바닥판(110)의 전면에 전면지지대(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트부바닥판(110)의 후면에 후면지지대(130)가 설치되어 있고, 리프트부바닥판(110)의 바같쪽 측면에 측면지지대(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지지대(120), 후면지지대(130) 및 측면지지대(140)의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고정홀(132)이 형성되어 있고, 리프트부바닥판(110)의 측면에 고정브라켓트(180)이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트(180)에 고정홀(1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지지대(120), 후면지지대(130) 및 측면지지대(140)는 하부가 고정브라켓트(180)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고정브라켓트(180)의 고정홀(182)과 각 지지대(120, 130, 140)의 고정홀(132)에 고정핀(184)이 삽입된 상태로 핀홀(186)에 걸림핀(188)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리프트부바닥판(110)의 밑면 각 모서리에 하부지지대(160, 160-1, 160-2, 160-3)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 사이에 상하이동로드(150, 15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이동로드(150, 150-1)의 상단은 리프트부바닥판(110)의 밑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하이동로드(150, 150-1)의 하단은 유압실린더(170)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 하부지지대(160, 160-1, 160-2, 160-3)는 쳄버의 상부면에 고정된 가이드관(16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특장차에 있어서 각 쳄버는 각각 쳄버도어가 부착되어 있으며, 각 쳄버도어는 유압실린더(240)와 상하이동로드(2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본 발명은 적재함의 바닥면 좌우 양쪽에 다수개의 쳄버(210, 220, 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쳄버의 상부면 한쪽 또는 양쪽에 상하이동형 리프트부(100, 100')가 설치되어 있어 다수개의 쳄버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상하이동형 리프트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특장차에 있어서 리프트부(100, 100')는 리프트부바닥판(110)의 전면에 전면지지대(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트부바닥판(110)의 후면에 후면지지대(130)가 설치되어 있고, 리프트부바닥판(110)의 바같쪽 측면에 측면지지대(140)가 설치되어 있어 리프트부차에 탑승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과 같이 본 발명의 특장차에 있어서 리프트부(100, 100')는 전면지지대(120), 후면지지대(130) 및 측면지지대(140)의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고정홀(132)이 형성되어 있고, 리프트부바닥판(110)의 측면에 고정브라켓트(180)이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트(180)에 고정홀(1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지지대(120), 후면지지대(130) 및 측면지지대(140)는 하부가 고정브라켓트(180)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고정브라켓트(180)의 고정홀(182)과 각 지지대(120, 130, 140)의 고정홀(132)에 고정핀(184)이 삽입된 상태로 핀홀(186)에 걸림핀(188)이 삽입 고정되어 리프트부차에 탑승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특장차에 있어서 리프트부(100, 100')는 리프트부바닥판(110)의 밑면 각 모서리에 하부지지대(160, 160-1, 160-2, 160-3)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 사이에 상하이동로드(150, 15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이동로드(150, 150-1)의 상단은 리프트부바닥판(110)의 밑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하이동로드(150, 150-1)의 하단은 유압실린더(170)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 하부지지대(160, 160-1, 160-2, 160-3)는 쳄버의 상부면에 고정된 가이드관(16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리프트부를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어부(190)를 통하여 작업을 할 수 있고 리프트부차에 탑승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쳄버는 각각 쳄버도어(212, 222, 232)가 부착되어 있으며, 각 쳄버도어는 유압실린더(240)와 상하이동로드(250)가 설치되어 있어 쳄버도어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기능성 특장차는 작업자가 작업시에 공구를 사용하거나 장비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납함을 형성하였다.
리프트부바닥판(110)에 수납공간부(310)와 상기 수납공간부(310)의 상부에 뚜껑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부에는 장금부(320)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100': 상하이동형 리프트부
210, 220, 230: 쳄버

Claims (3)

  1. 적재함의 바닥면 좌우 양쪽에 다수개의 쳄버(210, 220, 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쳄버는 각각 쳄버도어(212, 222, 232)가 부착되어 있으며, 각 쳄버도어는 실린더(240)와 상하이동로드(250)가 설치되어 있어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챔버의 상부면 한쪽 또는 양쪽에 리프트부(100, 1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리프트부바닥판(110)의 전면에 전면지지대(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트부바닥판(110)의 후면에 후면지지대(130)가 설치되어 있고, 리프트부바닥판(110)의 바같쪽 측면에 측면지지대(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지지대(120), 후면지지대(130) 및 측면지지대(140)의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고정홀(132)이 형성되어 있고, 리프트부바닥판(110)의 측면에 고정브라켓트(180)이 부착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트(180)에 고정홀(1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지지대(120), 후면지지대(130) 및 측면지지대(140)는 하부가 고정브라켓트(180)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고정브라켓트(180)의 고정홀(182)과 각 지지대(120, 130, 140)의 고정홀(132)에 고정핀(184)이 삽입된 상태로 핀홀(186)에 걸림핀(188)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리프트부바닥판(110)의 밑면 각 모서리에 하부지지대(160, 160-1, 160-2, 160-3)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 사이에 상하이동로드(150, 15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이동로드(150, 150-1)의 상단은 리프트부바닥판(110)의 밑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하이동로드(150, 150-1)의 하단은 유압실린더(170)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 하부지지대(160, 160-1, 160-2, 160-3)는 쳄버의 상부면에 고정된 가이드관(16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리프트부바닥판(110)에 형성된 수납공간부(310)와 상기 수납공간부(310)의 상부에 뚜껑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부에는 장금부(3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KR1020130097233A 2013-08-16 2013-08-16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KR101470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233A KR101470568B1 (ko) 2013-08-16 2013-08-16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233A KR101470568B1 (ko) 2013-08-16 2013-08-16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568B1 true KR101470568B1 (ko) 2014-12-10

Family

ID=5267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233A KR101470568B1 (ko) 2013-08-16 2013-08-16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5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538U (ko) * 1990-03-14 1991-11-29
JP2002326792A (ja) * 2001-03-02 2002-11-12 Aichi Corp 高所作業車
KR20020094114A (ko) * 2001-06-09 2002-12-18 김기주 적재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윙바디 트럭
KR100846224B1 (ko) * 2007-12-20 2008-07-15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시설물 점검용 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538U (ko) * 1990-03-14 1991-11-29
JP2002326792A (ja) * 2001-03-02 2002-11-12 Aichi Corp 高所作業車
KR20020094114A (ko) * 2001-06-09 2002-12-18 김기주 적재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윙바디 트럭
KR100846224B1 (ko) * 2007-12-20 2008-07-15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시설물 점검용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9098B2 (ja) エレベータかご及びエレベータかごを備え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10481294B2 (en) Inspection system
CN103879464A (zh) 动力驱动的后挡板支架
KR930010337A (ko) 입체 주차장
JP2008221963A (ja) 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卸し装置
KR101470568B1 (ko) 적재함이 형성된 기능성 특장차
JP6735483B2 (ja) 搬入装置
JP2009209535A (ja) スライド式吊り荷台装置
RU2015131386A (ru) Транспортабельный бортовой подъёмник
JP2009067175A (ja) 荷台スライド装置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KR20160051958A (ko)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JP2016222077A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
RU2671588C2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нос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1605480B1 (ko)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KR101475273B1 (ko) 라이저 리프팅 장치
JP6302495B2 (ja) 側あおり水平保持装置付トラック
JP6993204B2 (ja) 搬送車
KR20150029894A (ko) 지게차의 슬라이딩 도어 구조
JP5586940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における人荷搭載割合の調節装置
KR101950321B1 (ko)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춘 특장차
CN207276141U (zh) 一种叉车驾校监控装置
JP4457974B2 (ja) 車両のステップ装置
ITFI20090194A1 (it) "auto-negozio"
EP3078618B1 (en) Goods mov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