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273B1 - 라이저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라이저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273B1
KR101475273B1 KR20130071333A KR20130071333A KR101475273B1 KR 101475273 B1 KR101475273 B1 KR 101475273B1 KR 20130071333 A KR20130071333 A KR 20130071333A KR 20130071333 A KR20130071333 A KR 20130071333A KR 101475273 B1 KR101475273 B1 KR 101475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riser
rack
plate
lif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2Rod or cable suspensions
    • E21B19/06Elevators, i.e. rod- or tube-grip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4Racks, ramps, troughs or bins, for holding the lengths of rod singly or connected; Handling between storage place and bore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라이저 리프팅 장치가 개시된다. 라이저 리프팅 장치는, 복수개의 라이저를 보관하는 라이저 랙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라이저가 안착되는 승강랙과, 승강랙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이저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FOR LI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의 시추에 사용되는 라이저의 이송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라이저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선에는 시추 작업시 분출되는 진흙, 모래 자갈과 같은 머드럼프를 회수하고 시추 파이프를 보호하는 라이저가 사용된다.
이러한 라이저는 시추 작업시에는 적재 장소로부터 문풀로 운반되고, 시추 작업이 종료되면 그 반대의 경로를 통해 다시 적재 장소로 운반된다. 여기서 라이저의 적재 장소에서 라이저의 인출은 한번의 승강 테이블의 작동으로 하나의 라이저가 인출된다.
따라서, 적재 장소에 적재된 라이저를 대량으로 인출해야 하는 경우에는 라이저의 이송과 관련한 작업 효율이 떨어져 작업 소요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0-000469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라이저를 한번의 구동으로 이송이 가능한 라이저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라이저를 보관하는 라이저 랙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라이저가 안착되는 승강랙과, 승강랙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라이저 랙은 라이저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부는 구획부들의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랙은, 가이드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라이저가 안착되는 제1 승강 플레이트와, 제1 승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와, 제1 승강 플레이트와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바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라이저가 안착되는 제2 승강 플레이트와, 일단은 제1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로드는 제2 승강 플레이트 연결되어 로드 작동에 따라 제1 승강 플레이트에 회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재는 제1 승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부재의 로드는 제2 승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가이드부를 따라 설치되는 랙기어와, 승강랙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구획부들의 사이에 일단이 설치되고 로드는 승강랙의 저면에 연결되어 승강랙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저를 적재하는 라이저 랙에서 한번의 구동으로 복수의 라이저의 인출이 가능하여 시추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추 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이저 리프팅 장치가 라이저 랙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라이저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라이저 리프팅 장치의 실린더부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저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저 리프팅 장치가 라이저 랙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라이저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라이저 리프팅 장치(100)는, 복수개의 라이저(101)를 보관하는 라이저 랙(103)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110)와, 가이드부(11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라이저(101)가 안착되는 승강랙(120)과, 승강랙(120)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라이저(101)는 시추 선박에서 핵심적인 구성 부분이며 수십톤의 대중량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라이저(101)는 시추 선박에 설치되는 라이저 랙(103)에 복수개로 적재된다. 라이저 랙(103)은 복수개의 포스트(103a)의 사이에 구획부 마련되어 복수의 라이저(101)가 적재되는 것이며 공지된 것으로서 이하에서 그 자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부(110)는 라이저 랙(103)의 구획부(103b)의 사이 공간에서 라이저 랙(103)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부(110)는, 구획부(103b)들의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110, 이하 가이드부와 참조번호 동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10)는 가이드 프레임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라이저 랙(103)에 형성되는 구획부(103b)들의 사이 부분을 구획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110)에는 승강랙(120)이 라이저 랙(103)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랙(120)은, 가이드 프레임(1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승강 플레이트(121)와, 제1 승강 플레이트(121)에 돌출되는 지지바(123)와, 지지바(12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승강 플레이트(125)와, 제2 승강 플레이트(125)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재(127)를 포함한다.
제1 승강 플레이트(121)는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승강 플레이트(1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구동부(130)의 구동력에 따라 승강 구동력을 제공받아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승강 플레이트(121)의 상부에는 라이저(101)가 안착된다. 한편, 제1 승강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에는 안착된 라이저(101)가 제1 승강 플레이트(121)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부재(미도시)가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승강 플레이트(121)에는 복수개의 지지바(123)가 돌출된다.
지지바(123)는 제1 승강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개로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바(123)는 후술하는 제2 승강 플레이트(125)를 회동 작동을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제1 승강 플레이트(121)와 제2 승강 플레이트(125)의 사이에 라이저(101)가 안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제2 승강 플레이트(1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바(123)의 단부에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2 승강 플레이트(125)는 지지바(123)에 연결되는 가장자리 부분에 힌지축(125a)이 설치됨으로써, 제2 승강 플레이트(125)는 힌지축(125a)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승강 플레이트(12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제1 승강 플레이트(121)의 상부에 라이저(101)를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제2 승강 플레이트(125)에 간섭되지 않고 라이저(101)를 제1 승강 플레이트(121)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승강 플레이트(125)의 상측에는 라이저(101)가 안착된다. 따라서, 제1 승강 플레이트(121) 및 제2 승강 플레이트(125) 각각의 상측으로 라이저(101)를 안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한번의 승강랙(120)의 구동에 의하여 복수개의 라이저(101)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승강 플레이트(125)의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안착된 라이저(10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미도시)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제2 승강 플레이트(125)에는 라이저(10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걸림턱(미도시)만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승강 플레이트(125)의 표면을 오목하게 변형하여 라이저(101)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승강 플레이트(125)는 실린더부재(127)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선택적으로 회동된다.
실린더부재(127)는 몸체 부분은 제1 승강 플레이트(121)에 설치되고 로드(127a)는 제2 승강 플레이트(125)에 연결된다. 실린더부재(127)는 지지바(123)가 설치되지 않은 제1 승강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된다. 따라서 실린더부재(127)는 지지바(123)와 함께 제2 승강 플레이트(125)를 제1 승강 플레이트(121)의 상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부재(127)는 제2 승강 플레이트(125)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제2 승강 플레이트(125)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실린더부재(127)의 로드(127a) 작동이 이루어지면 제2 승강 플레이트(125)는 힌지축(125a)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제1 승강 플레이트(121)에 라이저(101)를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인접 설비 간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안착이 가능하다.
구동부(130)는 라이저 랙(103)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랙 기어(131)와, 승강랙(120)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133)와, 피니언 기어(13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모터(135)를 포함한다. 랙 기어(131)는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라이저 랙(103)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133)는 제1 승강 플레이트(121)에 몸체 부분이 연결되며, 랙 기어(131)에 치합 구동된다. 승강 모터(135)는 제1 승강 플레이트(121) 상에 설치되며 구동축이 피니언 기어(133)에 연결됨으로써, 구동부(130)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라이저 랙(103)의 한번의 작동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라이저(101)를 라이저 랙(103)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라이저(101) 인출에 따른 작업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라이저 리프팅 장치의 작용을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승강랙(120)은 라이저 랙(103)에 형성된 구획부(103b)들의 사이에서 라이저 랙(103)의 저면 위치에 위치된다.
이어서, 승강랙(120)에는 제1 승강 플레이트(121)의 상측과 제2 승강 플레이트(125)의 상측에 라이저(101)가 라이저 랙(103)으로부터 이탈되어 각각 안착된다.
다음, 구동부(130)를 구성하는 승강 모터(135)의 구동 작동이 이루어지면, 승강랙(120)은 가이드부(110)에 설치된 랙 기어(131) 및 피니언 기어(133)의 치합 구동에 의해 라이저 랙(103)의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라이저(101)의 인출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라이저 랙(103)의 상부에서 승강랙(120)에 안착된 라이저(101)는 소정의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해 이송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저(101)는 승강랙(120)의 한번의 구동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라이저(101)의 인출이 가능함으로써, 라이저(101)의 인출 및 이송 과정에서 작업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저 리프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이저 리프팅 장치(200)의 구동부(230)는 로드(231)에 승강랙(120)의 저면이 연결되며 몸체 부분은 선체에 연결되는 승강 실린더(230, 이하 구동부와 동일 참조번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승강 실린더(230)는 라이저 랙(103)에서 라이저(101)를 인출하는 경우 작동됨으로써, 승강랙(120)에 안착된 라이저(101)를 라이저 랙(103)의 상부로 이송하여 시추 작업 위치로 라이저(101)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시추 작업 과정에서 라이저 랙(103)으로부터 라이저(101)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시추 작업을 위한 라이저 이송 작업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1...라이저 103...라이저 랙
103a..포스트 103b..구획부
110...가이드부 120...승강랙
121...제1 승강 플레이트 123...지지바
125...제2 승강 플레이트 125a..힌지축
127...실린더부재 127a..로드
130...구동부 131...랙 기어
133...피니언 기어 135...승강 모터

Claims (6)

  1. 복수개의 라이저를 보관하는 라이저 랙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라이저가 안착되는 승강랙; 및
    상기 승강랙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랙은,
    상기 가이드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라이저가 안착되는 제1 승강 플레이트;
    상기 제1 승강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
    상기 제1 승강 플레이트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라이저가 안착되는 제2 승강 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제1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로드는 상기 제2 승강 플레이트 연결되어 상기 로드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승강 플레이트에 회동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재
    를 포함하는 라이저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 랙은 상기 라이저를 적재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구획부들의 사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라이저 리프팅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제1 승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로드는 상기 제2 승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라이저 리프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설치되는 랙기어;
    상기 승강랙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모터
    를 포함하는 라이저 리프팅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획부들의 사이에 일단이 설치되고 로드는 상기 승강랙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랙에 승강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라이저 리프팅 장치.
KR20130071333A 2013-06-21 2013-06-21 라이저 리프팅 장치 KR101475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333A KR101475273B1 (ko) 2013-06-21 2013-06-21 라이저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333A KR101475273B1 (ko) 2013-06-21 2013-06-21 라이저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273B1 true KR101475273B1 (ko) 2014-12-22

Family

ID=5267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333A KR101475273B1 (ko) 2013-06-21 2013-06-21 라이저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9256A (zh) * 2018-05-30 2018-10-12 西伯瀚(上海)海洋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平台登艇装置及海洋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7836A (ja) * 2006-04-03 2007-10-25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ラック昇降機構及び作業装置付杭打機
KR20120035989A (ko) * 2010-10-07 2012-04-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
KR101217902B1 (ko) * 2010-07-09 2013-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라이저 이송장치
KR20130043773A (ko) * 2011-10-21 2013-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중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시추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7836A (ja) * 2006-04-03 2007-10-25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ラック昇降機構及び作業装置付杭打機
KR101217902B1 (ko) * 2010-07-09 2013-0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라이저 이송장치
KR20120035989A (ko) * 2010-10-07 2012-04-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
KR20130043773A (ko) * 2011-10-21 2013-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중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시추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9256A (zh) * 2018-05-30 2018-10-12 西伯瀚(上海)海洋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平台登艇装置及海洋平台
WO2019227965A1 (zh) * 2018-05-30 2019-12-05 西伯瀚(上海)海洋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平台登艇装置及海洋平台
US11214937B2 (en) 2018-05-30 2022-01-04 Siebenhaar (Shanghai) Offshore Equipment Technology Co., Ltd. Offshore platform embarkation facility and offshore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5164B1 (ko) 반송차 및 반송 설비
KR101982031B1 (ko) 자동창고
TWI625290B (zh) 將高架倉中的貨櫃入倉、出倉或轉倉的方法與裝置
TWI418505B (zh) Items storage equipment
WO2019007318A1 (zh) 集装箱扭锁自动拆装系统
EP3048067B1 (en) Rack for freight
KR101299814B1 (ko) 드릴십 라이저 풀가이딩 시스템
AU2004279631A1 (en) Rack for freight
KR101475273B1 (ko) 라이저 리프팅 장치
CN105129271A (zh) 集装箱旋锁自动拆卸装置及包括其的系统和拆卸方法
JP2007320727A (ja) コンテナ用ガントリークレーン、コンテナ輸送用パレット、コンテナ搬送車、および、コンテナ輸送方法
JP2009143651A (ja) 自動倉庫における荷物の移動方法
KR101669867B1 (ko) 천공기용 본체에 적재한 로드 장착장치
JP2016185846A (ja) 搬入装置
US10062461B2 (en) Spent fuel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spent fuel between storage pools
US20090129905A1 (en) Portable end-to-end installation and removal service lift tool for rack mounted it equipment
JP5107160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102442560B1 (ko) 라이저 이송 장치
KR102039649B1 (ko)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EP2586735A1 (en) Ship to shore crane with dual trolleys.
JP5472180B2 (ja) ロール体用収納設備
KR101792152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JP5348478B2 (ja) 保管設備
KR20150025407A (ko) 컨테이너 스툴 탑 추락 방지장치
KR20140120538A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