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649B1 -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649B1
KR102039649B1 KR1020190042202A KR20190042202A KR102039649B1 KR 102039649 B1 KR102039649 B1 KR 102039649B1 KR 1020190042202 A KR1020190042202 A KR 1020190042202A KR 20190042202 A KR20190042202 A KR 20190042202A KR 102039649 B1 KR102039649 B1 KR 10203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lift
locking
container
upp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엘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엘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엘트
Priority to KR1020190042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649B1/ko
Priority to PCT/KR2020/004888 priority patent/WO20202096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60P7/132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twist-locks for container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10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the load being plates, case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는, 하부 랙(10); 상기 하부 랙(10)에 랙 힌지를 통하여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랙(20); 상기 상부 랙(20)과 하부 랙(10) 간을 연결한 상태에서 실린더 모듈(5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 랙(20)과 하부 랙(10) 간의 틸팅각을 조절하는 역관절 틸팅 리프트(30); 및 상기 하부 랙(10)과 역관절 틸팅 리프트(30) 간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리프팅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하부 랙(10)에 배치된 핀 블록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핀(435) 상에 슬라이딩 락킹되게 하는 셀프 잠금 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랙(20)을 상기 실린더 모듈(50)을 이용하여 유압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역관절 메커니즘과 상기 셀프 잠금 모듈(40)을 통한 셀프 락킹을 통해 상기 상부 랙(20)의 리프팅 과정에서 락킹 미실시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상기 상부 랙(20)의 급강하 문제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Smart multi rack container}
본 발명은 트레일러에 구비된 컨테이너 인터페이스인 코너 캐스팅을 활용하여 일체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게 하고, 역관절 메커니즘과 셀프 락킹을 통해 틸팅 중 상부 랙의 급강하를 방지하여 안정성을 강화한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철강재 중에서 도로폭의 한계를 벗어나는 규격인 장판 운송용 틸팅 트레일러는 도로교통법상 도로 폭의 한계 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상부 랙 상에 후판을 실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 랙을 경사지게 운행하는 틸팅 트레일러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틸팅 트레일러는 틸팅 랙과 트레일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차체 중량이 무겁고 운행 환경상 영업 수익이 제한적이며, 특히 공차 회차에 따른 연료비 비중이 커지는바 영업 이익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장판의 소재는 대체적으로 중공업 분야 산업군에 대량으로 소요되는 철판재로서 수요처와 공급처간 공급계약에 따라 일정한 경로를 반복적으로 운행하게 되는데, 복화 운송이 어렵고 공차 회차가 많다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전용 트레일러는 전용차량으로서 화물을 제한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즉, 도로 높이 제한 4.5m에 접촉되어 컨테이너 40’HC(하이큐빅 사이즈 높이 2896mm)는운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정 형태의 전용 장비를 탈부착 가능한 랙 컨테이너 방식으로 고안하여 물류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멀티 운송 내지 복합 화물 운송이 가능한 새로운 물류프로세스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용 트레일러로서 화물을 제한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부 랙 상에 가변 스키드를 설치한 복합 형태의 적재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류 특성상 공차 운행 횟수가 증가하고, 차체 중량에 의한 낮은 연비 문제를 극복하고자 탈부착 가능한 랙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는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체를 단순히 상부 랙 상에 조립 설치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정의한 것에 불과한 바, 트레일러에 구비된 컨테이너 인터페이스인 코너 캐스팅을 활용하여 랙 컨테이너 전체를 탈부착하는 개념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부 랙을 유압 상승하는 과정에서, 역관절 메커니즘과 셀프 락킹을 통해 한 동작으로 두가지 기능을 간단하게 작동되게 하고, 틸팅 중 셀프 락킹 장치에서 작동 구간 마다 락킹이 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제공하여 상부 랙의 리프팅 과정에서 락킹되지 않는 파손 사고 시에 상부 랙의 급강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는, 하부 랙(10); 상기 하부 랙(10)에 랙 힌지를 통하여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랙(20); 상기 상부 랙(20)과 하부 랙(10) 간을 연결한 상태에서 실린더 모듈(5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 랙(20)과 하부 랙(10) 간의 틸팅각을 조절하는 역관절 틸팅 리프트(30); 및 상기 하부 랙(10)과 역관절 틸팅 리프트(30) 간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리프팅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하부 랙(10)에 배치된 핀 블록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핀(435) 상에 슬라이딩 락킹되게 하는 셀프 잠금 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랙(20)을 상기 실린더 모듈(50)을 이용하여 유압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역관절 메커니즘과 상기 셀프 잠금 모듈(40)을 통한 셀프 락킹을 통해 상기 상부 랙(20)의 리프팅 과정에서 락킹 미실시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상기 상부 랙(20)의 급강하 문제를 방지한다.
상기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는, 상기 상부 랙(20)의 중앙에 배치되어져 코일 제품을 상차할 수 있는 가변 스키드(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스키드(60)는 상기 상부 랙(20)의 상부 바닥면 중앙에 내삽되어 있고, 상기 가변 스키드(60)의 양측 상에서 연결 로드(615)를 통해 결합된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 내측 상에 배치되는 경사 판넬(620), 상기 경사 판넬(620)의 하부 측에 소정 경사를 유지한채 배치되는 바닥 판넬(630), 상기 경사 판넬(620)과 바닥 판넬(630) 사이에 배치되는 중공형 구조체(640)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는 하단에 형성된 고정 스키드 힌지(611) 및 상기 고정 스키드 힌지(611)에서 이격 배치된 가변 스키드 힌지(613)를 구비한 이중 힌지 구조이며,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를 하방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 판넬(62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고,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를 상방으로 올리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판넬(63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한다.
상기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는, 상기 상부 랙(20)의 측면 상에 배치된 클램프 모듈(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모듈(70)은 상기 상부 랙(20)의 측면 상에 내삽 가능하게 회전 구동하는 회전 로드(710) 및 상기 회전 로드(710)와 상기 상부 랙(20)의 측면을 따라 동시에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 로드(730)를 갖는다.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는 상기 하부 랙(10)에 힌지 결합된 제1 리프트 링크(310), 상기 상부 랙(20)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리프트 링크(310)에 힌지 결합된 제2 리프트 링크(320) 및 상기 제1 리프트 링크(310) 내에 배치되어져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결합각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어 역관절 상태를 갖는 경우에 상기 제2 리프트 링크(320)를 지지하는 기능을 관절 받힘부(330)를 갖는다.
상기 실린더 모듈(50)은, 상기 하부 랙(10)과 상기 제1 리프트 링크(310) 상에 각각 상하단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신축 가능하게 작동한다.
상기 셀프 잠금 모듈(40)은, 상기 제1 리프트 링크(310) 상에 힌지 결합된 연결바(410), 상기 연결바(410)의 하부 측으로 힌지 결합된 락킹 후크(420), 및 상기 하부 랙(10)에 고정배치된 상태에서 소정 간격으로 고정핀(435)이 형성된 핀 블럭(430)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 후크(420)는, 상기 연결바(410)에 힌지 결합된 후크 바디(421), 상기 후크 바디(421)의 전단 상에서 고리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 후크 브라켓(423) 및 상기 후크 브라켓(423) 상에 힌지 결합된 후크 캠(425)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모듈(50)을 이용하여 유압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 브라켓(423)이 상기 고정핀(435) 상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셀프 잠금을 실시한다.
상기 회전 로드(710)의 외측은 이중 회전 클램핑 방식을 통해 상기 상부 랙(20)에 장착되는 판재를 지지한다.
상기 클램프 모듈(70)은 상기 슬라이더 로드(730)의 끝단 상에 결합된 슬라이더 블록(740) 및 상기 상부 랙(2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롤러 레일(7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740)은 상기 롤러 레일(75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블록(740)에 관통 결합된 볼트로 롤러 레일(750)과 구속된다.
상기 하부 랙(10)은 트레일러에 장착된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랙과 하부 랙으로 구분된 틸팅 랙이 회전 힌지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 랙 중앙에 구비된 코일 고정용 가변형 스키드를 활용하여 코일 제품을 안전하게 운송 가능하게 한다.
틸팅 컨테이너 상에서 기존 방식의 안전장치는 상부 랙이 리프팅 실린더에 의해 틸팅되는 과정에서 리프팅 실린더의 유압 라인이 파손되면 상부 랙에 거치된 철판의 무게로 장치가 급추락하는 문제점이 있는바, 본 발명은 상부 랙의 리프팅 경로에서 셀프 락킹 모듈이 연동되어 진행됨으로써 상부 랙의 최종 리프팅 위치에 도달 하기 전 경로에서는 락킹 후크와 핀 블럭에서 연속적으로 락킹이 이루어지고 최종 위치에서는 역관절 틸팅 리프트를 통해 역관절로 락킹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부 랙의 내부 상에 구비된 틸팅 리프트를 이용하여 상부 랙을 틸팅한 상태에서 거치된 장판을 운송하게 하고, 틸팅 랙 전체를 트레일러에서 탈부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복수의 장치로 확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거리 운송방식에서 회차시 랙 컨테이너 장치를 탈거해 풀링 회사에 반납하고 순수 트레일러인 공차 상태로 회차할 수 있어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복화 화물(40’HC)수용이 가능해 운송수익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 새로운 사업군인 풀링사는 순차적으로 탈거한 랙 컨테이너 장치를 일시에 공급처로 재배치하는 새로운 물류프로세스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의 일측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의 타측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의 펼쳐진 상태에서의 역관절 틸팅 리프트와 셀프 잠금 모듈의 구조를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역관절 틸팅 리프트 및 셀프 잠금 모듈을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하부 랙에 대해 상부 랙을 틸팅하는 과정을 보인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변 스키드 구조를 보인다.
도 7은 셀프 잠금 모듈의 구조 및 작동을 보인다.
도 8은 셀프 잠금 모듈을 이루는 락킹 후크 및 핀 블럭 간의 관계를 보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의 접힌 상태를 보인다.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프 모듈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다.
도 11은 클램프 모듈을 이루는 회전 로드 및 클램프부 간의 결합 관계를 보인다.
도 12는 클램프 모듈을 이루는 회전 로드 및 슬라이더 로드 간의 결합 관계를 보인다.
도 13은 클램프 모듈을 이루는 슬라이더 블록 및 롤러 레일 간의 결합 관계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를 설명한다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는 트레일러에 구비된 컨테이너 인터페이스인 코너 캐스팅(2)을 활용하여 상기 랙 컨테이너 전체를 탈부착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는 트레일러의 상단 상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랙(10); 상기 하부 랙(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랙 힌지를 통하여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랙(20); 상부 랙(20)과 하부 랙(10) 간을 연결한 상태에서 실린더 모듈(5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 랙(20)과 하부 랙(10) 간의 틸팅각을 조절하는 역관절 틸팅 리프트(30); 상기 상부 랙(20)의 측면 상에 내삽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펼침 가능한 구조를 갖는 클램프 모듈(70);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와 하부 랙(10) 상에 각각 상하단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신축 가능하게 작동하는 실린더 모듈(50) 및 상기 하부 랙(10)과 역관절 틸팅 리프트(30) 간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리프팅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하부 랙(10)에 배치된 핀 블록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핀(435) 상에 슬라이딩 락킹되게 하는 셀프 잠금 모듈(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부 랙(20)을 실린더 모듈(50)을 이용하여 유압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역관절 메커니즘과 상기 셀프 잠금 모듈(40)을 통한 셀프 락킹을 통해 상기 상부 랙(20)의 리프팅 과정에서 락킹 미실시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상기 상부 랙(20)의 급강하 문제를 방지한다.
하부 랙(10)은 4각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데, 각 코너 부위에는 코너 캐스팅(2)이 구비되고, 예를 들어 4개의 모서리를 따라 직사각 판넬(11)이 테두리를 형성한다. 하부 랙(10)의 내측 상에서는 폭 방향으로 다수의 크로스 멤버(13)가 설치되고, 크로스 멤버(13)의 내측 공간에는 역관절 틸팅 리프트(30) 및 셀프 잠금 모듈(40)이 구비된다.
상부 랙(20)은 4각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데, 상부 랙(20)의 중앙에는 코일 제품을 상차할 수 있는 가변 스키드(60)를 구비한다.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는 하부 랙(10)에 대해 상부 랙(20)을 틸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랙(20)이 기 설정된 기준 각도를 넘어서는 경우에 연결된 링크의 구부러진 형태가 반대로 형성되어진다. 하부 랙(10)의 초기 상승 과정에서는 예를 들어 하부 랙(10)과 상부 랙(20) 간의 경사각이 45인 경우엔 랙 힌지 측으로 꺽여진 링크 형태를 유지하지만 소정 각도를 지나면서부터는 랙 힌지의 바깥 측으로 꺽여진 링크 형태를 유지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랙(10)과 상부 랙(20)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는 연결된 링크 구조가 랙 힌지 측을 향하도록 접힌 상태를 유지하지만, 하부 랙(10)에 대해 상부 랙(20)을 틸팅시키는 과정 중 하부 랙(10)과 상부 랙(20) 간의 경사각이 기 설정된 기준 각도인 50로써 하부 랙(10)과 상부 랙(20)이 일직선을 이룬 이후에, 하부 랙(10)과 상부 랙(20) 간의 경사각이 45도를 이루면서 연결된 링크 구조가 역방향을 향하면서 랙 힌지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역관절 틸팅 리프트(30)는 하부 랙(10)에 제1 리프트 힌지(311)를 통해 힌지 결합된 제1 리프트 링크(310), 상기 상부 랙(20)에 제2 리프트 힌지(321)를 통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리프트 링크(310)에 리프트 연결 힌지(323)를 통해 결합된 제2 리프트 링크(320) 및 상기 제1 리프트 링크(310) 내에 배치되어져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결합각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어 역관절 상태를 갖는 경우에 상기 제2 리프트 링크(320)를 지지하는 기능을 관절 받힘부(330)를 갖는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셀프 잠금 모듈(40)은, 제1 리프트 링크(310) 상에 그 일측 끝단이 제1 연결 힌지(411)를 통해 힌지 결합된 연결바(410), 상기 연결바(410)의 타측 끝단 상에 그 후방 부분이 제2 연결 힌지(412)를 통해 힌지 결합된 락킹 후크(420), 및 상기 하부 랙(10)에 고정배치된 상태에서 소정 간격으로 고정핀(435)이 형성된 핀 블럭(430)을 포함한다.
상기 락킹 후크(420)는 제2 연결 힌지(412)를 통해 연결바(410)에 힌지 결합된 후크 바디(421), 상기 후크 바디(421)의 전단 상에서 고리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 후크 브라켓(423) 및 상기 후크 브라켓(423) 상에 후크 캠 힌지(424)를 통해 결합된 후크 캠(425)을 포함한다. 후크 캠(425)은 후크 브라켓(423) 상에 후크 캠 힌지(42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후크 캠(425)의 끝단은 후크 브라켓(423)의 하단 외측을 소정 거리 벗어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연결바(410)와 후크 바디(421)의 결합 부분인 제2 연결 힌지(412)는 하부 랙(1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한다. 즉, 연결바(410)와 후크 바디(421)의 결합 부분은 하부 랙(1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에서 전후방을 따른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후크 브라켓(423)은 충분한 자중을 갖도록 설계됨으로써 전후방을 따라 핀 블럭(430)의 상단을 이동하는 과정 상에서 고정핀(435) 상에 자동으로 하강하게 한다.
핀 블럭(430)은 후크 바디(42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배치된 것으로서,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핀(435)이 형성된 형태이다. 복수의 고정핀(435)은 후크 브라켓(423)의 걸림을 용이하게 하도록 단턱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3,4,7,8을 참조하여 셀프 잠금 모듈(4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상부 랙(20)을 틸팅시키는 과정에 따라 역관절 틸팅 리프트(30)가 상승될 때, 제1 연결 힌지(411)를 통해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에 연결된 셀프 잠금 모듈(40)의 연결바(410)는 제1 리프트 링크(310) 측으로 당겨진다.
연결바(410)의 당겨짐에 따라 후크 바디(421)도 핀 블럭(430) 측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후크 바디(421)의 전방을 구성하는 후크 브라켓(423)은 핀 블럭(430) 상으로 이동을 시작하면서 복수의 고정핀(435) 상에 순서대로 락킹 또는 풀림을 반복한다. 실린더 모듈(50)을 이용하여 유압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 브라켓(423)이 고정핀(435) 상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셀프 잠금을 실시한다.
후크 캠 힌지(424)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구조인 후크 캠(425)은 후크 브라켓(423)과 후크 캠(425) 사이의 공간 상으로 고정핀(435)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갖는다.
상부 랙(20)의 상승 과정 중에 역관절 링크 구조의 각은 45도를 경유하고 50도를 지나 다시 45도가 되면 역관절이 되어 자체 락킹이 되는데, 상기 각 단계에서 셀프 락킹을 위해서 핀 블럭(430)은 3개의 고정핀(435)을 갖는다.
한편, 다시 실린더 모듈(50)을 수축시키면 역관절 틸팅 리프트(30)가 45도, 50도, 45도, 0도로 순차적으로 접힌다. 이 때 후크 캠(425)의 후방은 핀 블럭(430)의 고정핀(435)에 부딪혀 후크 브라켓(423)과 후크 캠(425) 간의 진입 공간이 메꿔진 상태에서 락킹의 풀림을 유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는 상부 랙(20)의 중앙에 배치되어져 코일 제품을 상차할 수 있는 가변 스키드(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변 스키드(60)는 상부 랙(20)의 상부면으로부터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파인 스키드 홈(21) 상에 내삽되어 있고, 상기 가변 스키드(60)의 양측 상에서 연결 로드(615)를 통해 결합된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 내측 상에 배치되는 경사 판넬(620), 상기 경사 판넬(620)의 하부 측에 소정 경사를 유지한채 배치되는 바닥 판넬(630), 상기 경사 판넬(620)과 바닥 판넬(630) 사이에 배치되는 중공형 구조체(640)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는 스키드 홈 하단 상에 배치된 고정 스키드 힌지(611) 및 상기 고정 스키드 힌지(611)에서 이격 배치된 가변 스키드 힌지(613)를 구비한 이중 힌지 구조이다. 즉, 고정 스키드 힌지(611)는 스키드 홈의 저면에 고정 형성된 고정 스키드 힌지(611)를 갖는 상태에서, 경사 판넬(620)은 상기 가변 스키드 힌지(613)를 통해서 바닥 판넬(630) 상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를 하방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 판넬(62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고,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를 상방으로 올리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판넬(63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한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 모듈(70)은 상부 랙(20)을 이루는 4면 테두리 상에 각각 대칭적으로 한쌍이 배치된다.
상기 클램프 모듈(70)은 각각 상부 랙(20)의 측면에 형성된 클램퍼 수용홈(23) 상에 내삽 가능하게 회전 구동하는 회전 로드(710), 회전 로드(710)의 외측단에 이중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부(720), 회전 로드(710)와 클램퍼 수용홈(23)을 따라 각각 동시에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 로드(730), 슬라이더 로드(730)의 끝단 상에 결합된 슬라이더 블록(740) 및 상기 클램퍼 수용홈(23)을 따라 형성된 롤러 레일(750)을 포함한다.
회전 로드(710)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서, 내측 일단이 클램퍼 수용홈(23) 상에 힌지 결합된다.
슬라이더 로드(730)는 인출 가능한 한쌍의 로드 결합 구조를 통해서 신축 가능한 길이 변환 구조를 갖는다. 슬라이더 로드(730)의 일측은 회전 로드(710)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하고 타측은 슬라이더 블록(7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롤러 레일(750)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클램프부(720)는 회전 로드(710)의 외측 상에 이중 회전 클램핑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
클램프부(720)는 회전 로드(7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제1 축(7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클램프 고정 바디(722) 및 클램프 고정 바디(7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제2 축(72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클램프(724)를 포함한다. 클램프 고정 바디(722) 상에는 클램프(724)의 위치 고정을 위한 클램프 너트(725)가 배치된다. 한편, 클램프(724) 상에는 클램프 패드(726)가 배치된다.
클램프부(720)의 작동 과정을 보면, 회전 로드(710)를 클램퍼 수용홈(23)에서 회전 구동하여 펼친 후에 클램프 고정 바디(722) 및 클램프(724)를 순차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상부 랙(20)에 장착되는 판재를 지지한다. 클램프 너트(725)를 회전하여 판재의 두께에 맞게 고정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더 블록(740)은 롤러 레일(75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블록(740)에 관통 결합된 볼트(742)로 롤러 레일(750)과 구속된다.
상기 클램프 모듈(70)은 상부 랙(20)을 이루는 테두리의 길이에 따라 회전 로드(710) 및 클램프부(720)의 길이 크기를 조절한다.
본 발명은 상부 랙(20)과 하부 랙(10)으로 구분된 틸팅 랙이 회전 힌지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 랙(20) 중앙에 구비된 코일 고정용 가변형 스키드를 활용하여 코일 제품을 안전하게 운송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하부 랙
20 : 상부 랙
30 : 역관절 틸팅 리프트
40 : 셀프 잠금 모듈
50 : 실린더 모듈
60 : 가변 스키드
70 : 클램프 모듈

Claims (10)

  1. 하부 랙(10);
    상기 하부 랙(10)에 랙 힌지를 통하여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랙(20);
    상기 상부 랙(20)과 하부 랙(10) 간을 연결한 상태에서 실린더 모듈(5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 랙(20)과 하부 랙(10) 간의 틸팅각을 조절하는 역관절 틸팅 리프트(30); 및
    상기 하부 랙(10)과 역관절 틸팅 리프트(30) 간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리프팅 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하부 랙(10)에 배치된 핀 블록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핀(435) 상에 슬라이딩 락킹되게 하는 셀프 잠금 모듈(4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랙(20)을 상기 실린더 모듈(50)을 이용하여 유압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역관절 메커니즘과 상기 셀프 잠금 모듈(40)을 통한 셀프 락킹을 통해 상기 상부 랙(20)의 리프팅 과정에서 락킹 미실시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상기 상부 랙(20)의 급강하 문제를 방지하는,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는,
    상기 상부 랙(20)의 중앙에 배치되어져 코일 제품을 상차할 수 있는 가변 스키드(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스키드(60)는 상기 상부 랙(20)의 상부 바닥면 중앙에 내삽되어 있고,
    상기 가변 스키드(60)의 양측 상에서 연결 로드(615)를 통해 결합된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 내측 상에 배치되는 경사 판넬(620), 상기 경사 판넬(620)의 하부 측에 소정 경사를 유지한채 배치되는 바닥 판넬(630), 상기 경사 판넬(620)과 바닥 판넬(630) 사이에 배치되는 중공형 구조체(640)를 포함하는,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는 하단에 형성된 고정 스키드 힌지(611) 및 상기 고정 스키드 힌지(611)에서 이격 배치된 가변 스키드 힌지(613)를 구비한 이중 힌지 구조이며,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를 하방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 판넬(62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고, 상기 한쌍의 회전형 손잡이(610)를 상방으로 올리는 경우에는, 상기 바닥 판넬(63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는,
    상기 상부 랙(20)의 측면 상에 배치된 클램프 모듈(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모듈(70)은 상기 상부 랙(20)의 측면 상에 내삽 가능하게 회전 구동하는 회전 로드(710) 및 상기 회전 로드(710)와 상기 상부 랙(20)의 측면을 따라 동시에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 로드(730)를 갖는,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는 상기 하부 랙(10)에 힌지 결합된 제1 리프트 링크(310), 상기 상부 랙(20)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리프트 링크(310)에 힌지 결합된 제2 리프트 링크(320) 및 상기 제1 리프트 링크(310) 내에 배치되어져 상기 역관절 틸팅 리프트(30)의 결합각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어 역관절 상태를 갖는 경우에 상기 제2 리프트 링크(320)를 지지하는 기능을 관절 받힘부(330)를 갖는,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모듈(50)은,
    상기 하부 랙(10)과 상기 제1 리프트 링크(310) 상에 각각 상하단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신축 가능하게 작동하는,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잠금 모듈(40)은,
    상기 제1 리프트 링크(310) 상에 힌지 결합된 연결바(410),
    상기 연결바(410)의 하부 측으로 힌지 결합된 락킹 후크(420), 및
    상기 하부 랙(10)에 고정배치된 상태에서 소정 간격으로 고정핀(435)이 형성된 핀 블럭(430)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 후크(420)는, 상기 연결바(410)에 힌지 결합된 후크 바디(421), 상기 후크 바디(421)의 전단 상에서 고리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 후크 브라켓(423) 및 상기 후크 브라켓(423) 상에 힌지 결합된 후크 캠(425)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모듈(50)을 이용하여 유압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 브라켓(423)이 상기 고정핀(435) 상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셀프 잠금을 실시하는,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로드(710)의 외측은 이중 회전 클램핑 방식을 통해 상기 상부 랙(20)에 장착되는 판재를 지지하는,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모듈(70)은
    상기 슬라이더 로드(730)의 끝단 상에 결합된 슬라이더 블록(740) 및 상기 상부 랙(2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롤러 레일(7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740)은 상기 롤러 레일(75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블록(740)에 관통 결합된 볼트로 롤러 레일(750)과 구속되는,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랙(10)은 트레일러에 장착된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KR1020190042202A 2019-04-10 2019-04-10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KR102039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02A KR102039649B1 (ko) 2019-04-10 2019-04-10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PCT/KR2020/004888 WO2020209663A1 (ko) 2019-04-10 2020-04-10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202A KR102039649B1 (ko) 2019-04-10 2019-04-10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649B1 true KR102039649B1 (ko) 2019-11-01

Family

ID=6853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202A KR102039649B1 (ko) 2019-04-10 2019-04-10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9649B1 (ko)
WO (1) WO20202096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63A1 (ko) * 2019-04-10 2020-10-15 주식회사 코엘트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283B1 (ko) * 2009-06-15 2011-12-13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장치
KR20140021657A (ko) * 2011-04-07 2014-02-20 오와이 랑그 쉽 에이비 컨테이너
KR101672976B1 (ko) * 2015-07-16 2016-11-04 주식회사 대성엘앤에스 착탈식 트레일러 복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188B2 (ja) * 1994-10-18 2000-11-06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トラックの荷台覆い
KR102039649B1 (ko) * 2019-04-10 2019-11-01 주식회사 코엘트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283B1 (ko) * 2009-06-15 2011-12-13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각도가변장치
KR20140021657A (ko) * 2011-04-07 2014-02-20 오와이 랑그 쉽 에이비 컨테이너
KR101672976B1 (ko) * 2015-07-16 2016-11-04 주식회사 대성엘앤에스 착탈식 트레일러 복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63A1 (ko) * 2019-04-10 2020-10-15 주식회사 코엘트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663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7707B1 (en) Container trailer
US5460460A (en) Scissors lift dock leveler
US7140821B2 (en) Roll on/roll off ramp-deck transport platform
AU2018271285B2 (en) Transport trailer
JPS63212140A (ja) 自動車包囲装置及び自動車を積み込む方法
JP2000500096A (ja) 可動性の補助床を付与する道路車両用の構造装置
US20100266376A1 (en) Tiltloader for transferring cargo
JP7211813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
US3521780A (en) Truck-mounted lifting device
JP2012530016A (ja) 輸送システム
ZA200603713B (en) Rack for freight
SU878188A3 (ru) Грузовой автомобиль дл перевозки грузов на поддонах
AU2017203020B2 (en) Platform lifting arrangement
KR102039649B1 (ko) 스마트 멀티 랙 컨테이너
KR10137212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CN105584492A (zh) 一种驮背式运输用新型铁路货车
US8950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loads in vehicles
JPS6253379B2 (ko)
WO2010041946A2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US5851099A (en) Adjustable cargo platform assembly
JP6863871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用のアダプタ
US20160159266A1 (en) Vehicle, facility and station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container
JP4429225B2 (ja) トラックおよび鉄道輸送兼用コンテナーならびに該コンテナー用のトラック車両
CN218287571U (zh) 一种用于石油作业的自动液压调平装置
AU2004213060B2 (en) Transport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