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152B1 - 해상구조물설치선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설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152B1
KR101792152B1 KR1020160081001A KR20160081001A KR101792152B1 KR 101792152 B1 KR101792152 B1 KR 101792152B1 KR 1020160081001 A KR1020160081001 A KR 1020160081001A KR 20160081001 A KR20160081001 A KR 20160081001A KR 101792152 B1 KR101792152 B1 KR 101792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rane
transport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환엽
정성훈
김명환
전준환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설치선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서 이동가능한 모선모듈 및 상기 모션모듈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크레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모듈은, 복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일단이 고정된 채 바닥에서 이격된 받침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모선모듈로부터 적재물을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전달 받는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설치선{MARINE STRUCTURE INSTALLATION VESSEL}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설치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자재를 운송하여 공급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설치선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크레인 등과 같은 설치 구조가 포함된 선박을 이용하여 해상에 구조물을 설치한다.
특히, 해상풍력발전을 위한 해상풍력터빈을 설치하기 위하여 해상풍력터빈을 구성하는 자재를 운반하고, 이를 해상에 설치하는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이 그 대표적인 예다.
기존의 해상구조물설치선은 선박에 해상구조물 설치를 위한 자재를 적재하고,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선박의 위치를 고정하고, 크레인을 통해 자재를 설치 및 조립하여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선박에 적재할 수 있는 자재의 양이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동안 선박이 이동할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자재의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해상풍력발전의 경우에는 해당 지역에 다수의 풍력터빈이 설치되는 특징이 있어,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와 자재를 공급하는 지상간을 반복적으로 왕복하며 자재를 이송하고, 해상구조물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과는 별도로 자재를 이송하기 위하여 왕복 이동하는 시간이 필요하여 해상구조물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선박이 자재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자재를 크레인을 통해 해상구조물 설치선으로 하나씩 옮겨야 하므로, 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자재를 운송하여 공급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설치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은 해상에서 이동가능한 모선모듈 및 상기 모션모듈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크레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모듈은, 복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일단이 고정된 채 바닥에서 이격된 받침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모선모듈로부터 적재물을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전달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은 상기 모선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물을 상기 크레인모듈로 전달하는 수송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송모듈은 하부에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 상부에는 수송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수송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태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송모듈은 상기 수송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수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자키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자키를 이용해 상기 수송플레이트의 높이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송모듈은 상기 수송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두께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레인모듈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부 양측에서 지지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이동하는 물체에 의해 외력을 전달받아 함께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레인모듈은 상기 크레인모듈을 관통하여 해저까지 연장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자재를 운송하여 공급할 수 있다.
둘째, 운송된 해상구조물 자재를 설치크레인에 빠르고 쉽게 전달할 수 있다.
셋째,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해상구조물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수송모듈 및 받침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크레인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수송모듈이 크레인모듈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수송모듈이 크레인모듈의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수송모듈에서 받침플레이트로 적재물이 이송되고, 수송모듈이 회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해상구조물설치선의 구성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수송모듈 및 받침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크레인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모듈(100), 수송모듈(200) 및 크레인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선모듈(100)은 해상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이 해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선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선모듈(100)의 후단 상면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송모듈(200)이 적재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선모듈(100)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크레인모듈(300)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모선모듈(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송모듈(200)이 이동하며 모선모듈(100) 및 크레인모듈(300)의 상부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수송모듈(200)은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이 설치하고자 하는 해상구조물의 자재 등과 같은 적재물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동수단(210) 및 수송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210)은 수송모듈(2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궤도 등 수송모듈(2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구성 및 형태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수송플레이트(220)는 전술한 이동수단(2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적재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수송플레이트(220)는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의 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송플레이트(22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222)은 그 폭이 해상구조물 설치를 위한 적재물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동시에, 복수개의 홈(222)은 각 홈(222) 간의 간격이 해상구조물 설치를 위한 적재물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슬라이딩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수용되는 적재물이 슬라이딩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홈 사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수송모듈(200)은 수송플레이트(220)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송모듈(200)은 이동수단(210) 및 수송플레이트(22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자키(230)를 포함하여 유압을 이용하여 유압자키(230) 길이를 가변하여, 수송플레이트(220) 상면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수송모듈(200)의 구성은 수송모듈(200)이 후술하는 크레인모듈(300)로 이동할 때, 적재물을 크레인모듈(300)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역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크레인모듈(300)은 전술한 적재물을 이용하여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적재물을 들어올리고 이동시키는 크레인이 구비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해상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레인 및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프레임(310)이 구비되어, 해상에서 해저까지 연장되는 프레임(310)을 해저에 고정하고, 플레이트는 해상에 위치하며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는 프레임(310)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모듈(300)은 전술한 모선모듈(100)의 후단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선모듈(100) 및 크레인모듈(300)에는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크레인모듈(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모선모듈(100) 및 수송모듈(200)이 운반한 해상구조물 설치를 위한 적재물을 받을 수 있는 받침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플레이트(32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수송모듈(200)의 홈(222)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받침플레이트(320)는 수송모듈(20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222)을 채울 수 있는 형태로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수송모듈(200)의 수송플레이트(220)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모선모듈(100)로부터 크레인모듈(300)로 이동하는 수송모듈(200)이 받침플레이트(320)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받침플레이트(320)의 전단은 크레인모듈(30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받침플레이트(320)의 하부에는 수송모듈(2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3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선모듈(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송모듈(200)이 크레인모듈(300)의 삽입공간(33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크레인모듈(300)은 삽입공간(330)의 하면이 모선모듈(1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모선모듈(100)과 결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송모듈(200)이 모선모듈(100)로부터 크레인모듈(300)로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수송모듈(200)이 크레인모듈(300)의 삽입공간(330)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송모듈(200)의 수송플레이트(220)의 상면은 크레인모듈(300)의 받침플레이트(320)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송플레이트(22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222)은 받침플레이트(320)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역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크레인모듈(300)은 삽입공간(330)의 내부에 받침플레이트(3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플레이트(320)는 하부에 크레인모듈(300)의 전단부로 수송모듈(200)이 이동할 수 있게끔 개방되는 삽입공간(330)이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상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크레인모듈(300)의 후단부만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모듈(300)의 전단부 및 중앙부에서 받침플레이트(320)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유닛(340)의 구성을 통해 받침플레이트(32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유닛(340)은 삽입공간(330) 내부에 받침플레이트(3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는 크레인모듈(300)의 삽입공간(330) 내부의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거나, 받침플레이트(320)의 하부에서 전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체, 즉 수송모듈(200)의 이동에 따른 외력을 받아, 수송모듈(20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사용양태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을 이용하여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상구조물설치선의 사용양태
이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사용양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수송모듈이 크레인모듈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수송모듈이 크레인모듈의 상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수송모듈에서 받침플레이트로 적재물이 이송되고, 수송모듈이 회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모선모듈(100)이 수송모듈(200)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때, 크레인모듈(300)은 모선모듈(100)의 후단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상태일 수도 있고, 또는 크레인모듈(300)이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될 상태일 수 있다.
크레인모듈(300)이 위치가 고정된 상태라면, 크레인모듈(300)은 프레임(3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모선모듈(100)과 대응되는 높이를 맞춰 모선모듈(100)과 결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여기서, 수송모듈(200)은 모선모듈(100)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배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적재물은 수송모듈(200)의 수송플레이트(220)의 상부에 적재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어서, 모선모듈(100) 및 크레인모듈(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송모듈(200)이 모선모듈(100)의 후단으로 이동하며, 크레인모듈(300)의 삽입공간(33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수송모듈(200)은 이동수단(210)의 구동을 통해 모선모듈(100)로부터 크레인모듈(3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송모듈(200)의 수송플레이트(220)의 상부에 수용되어 있는 적재물은 크레인모듈(300)의 상부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송모듈(200)이 크레인모듈(300)의 삽입공간(330)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삽입공간(330)의 내부에는 지지유닛(340)이 받침플레이트(320)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유닛(340)은 수송모듈(200)이 삽입되는 경로를 가로막는 형태로 배치되게 되므로, 수송모듈(200)의 이동에 따라 지지유닛(340)이 이동할 수 있다.
지지유닛(3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모듈(300)의 삽입공간(330) 양측에 형성된 홈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수송모듈(200)이 이동하는 경로를 가로막지 않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340)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틸팅되도록 구비되어, 수송모듈(200)이 이동하는 외력을 받아 밀려나는 형태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유닛(340)이 이동하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수송모듈(200)의 이동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수송모듈(200)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나도록 이동한 지지유닛(340)은 이후에 수송모듈(200)이 다시 빠져나가는 경우, 다시 삽입공간(330)의 내부로 삽입되어 받침플레이트(3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모듈(200)이 크레인모듈(300)의 삽입공간(330) 내부로 이동하면 수송플레이트(220)에 형성된 홈(222)에 받침플레이트(3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수송모듈(200)의 유압자키(230)는 수송플레이트(220) 상면의 높이를 받침플레이트(320)의 상면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유지하여, 받침플레이트(320)에 의해 수송모듈(200)에 적재되어 있는 적재물이 밀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모듈(200)이 크레인모듈(300)의 삽입공간(330) 내부로 이동을 완료하면, 유압자키(230)를 이용하여 수송플레이트(22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수송플레이트(220)의 높이가 낮아지면, 수송플레이트(220)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는 적재물은 자연스럽게 받침플레이트(320)의 상부로 옮겨질 수 있다.
이때, 수송모듈(200)을 다시 모선모듈(100)의 상부로 이동하여 회수하면, 적재물은 크레인모듈(300)의 받침플레이트(320) 상부에 남게되고, 높이가 낮아진 수송모듈(200)만 모선모듈(100)의 상부로 회수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수송모듈(200)이 회수되는 동안 크레인모듈(300)의 지지유닛(340)은 삽입공간(330)의 내부로 삽입되어 받침플레이트(3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후, 모선모듈(100) 및 크레인모듈(300)을 서로 분리하여, 크레인모듈(300)은 전달받은 적재물을 이용하여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고, 동시에 모선모듈(100)은 추가적인 해상구조물 설치를 위한 적재물을 운송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모선모듈(100)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는 해상구조물 설치를 위한 적재물을 한꺼번에 빠르고 간편하게 이동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해양구조물 자재를 크레인모듈(300)에 옮기기 위한 고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크레인모듈(300)이 해상에서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동안 모선모듈(100)은 다시 이동하며 지속적으로 추가적인 자재를 운송할 수 있으므로,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모선모듈(100) 및 크레인모듈(300) 각각의 갯수는 복수개로 운영될 수도 있으며, 본 구성을 통해 해상구조물 자재를 운송하며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도록 마련된다면, 그 구성 및 운용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모선모듈
200 : 수송모듈
210 : 이동수단
220 : 수송플레이트
222 : 홈
230 : 유압자키
300 : 크레인모듈
310 : 프레임
320 : 받침플레이트
330 : 삽입공간
340 : 지지유닛

Claims (8)

  1. 해상에서 이동가능한 모선모듈; 및
    상기 모선모듈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크레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모듈은, 복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일단이 고정된 채 바닥에서 이격된 받침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모선모듈로부터 적재물을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전달 받고,
    상기 모선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물을 상기 크레인모듈로 전달하는 수송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송모듈은 하부에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 상부에는 수송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수송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형태로 홈이 형성되는 해상구조물설치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모듈은,
    상기 수송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수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자키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자키를 이용해 상기 수송플레이트의 높이가 조절 가능한 해상구조물설치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모듈은,
    상기 수송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두께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해상구조물설치선.
  5. 해상에서 이동가능한 모선모듈; 및
    상기 모선모듈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크레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모듈은, 복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일단이 고정된 채 바닥에서 이격된 받침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모선모듈로부터 적재물을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전달 받고,
    상기 크레인모듈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부에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부 양측에서 지지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해상구조물설치선.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81001A 2016-06-28 2016-06-28 해상구조물설치선 KR101792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01A KR101792152B1 (ko) 2016-06-28 2016-06-28 해상구조물설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01A KR101792152B1 (ko) 2016-06-28 2016-06-28 해상구조물설치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152B1 true KR101792152B1 (ko) 2017-11-20

Family

ID=6080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001A KR101792152B1 (ko) 2016-06-28 2016-06-28 해상구조물설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6417A (zh) * 2022-04-21 2022-05-17 江苏道达风电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薄壁钢筒的滚装上船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6417A (zh) * 2022-04-21 2022-05-17 江苏道达风电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薄壁钢筒的滚装上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854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US10356970B2 (en) Feeder exchanging carriage
KR101792152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JP5306837B2 (ja) 腹盤木及び船舶の支持方法
KR101985198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KR101774856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CN110925146B (zh) 一种海上风电导管架支承座
KR20140144983A (ko) 해양 플랫폼의 탑사이드 장착 장치
GB2538085A (en) Gravity anchor device
CN216762714U (zh) 一种墙板运输架
TWI777528B (zh) 用於運輸風力渦輪機之組件的方法
KR101774853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JP2011057333A (ja) エスカレーターのコンテナ専用ラック及びそのコンテナ専用ラックの積み込み方法
KR102455882B1 (ko) 대상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KR102332458B1 (ko) 부력을 이용한 케이슨의 해상 설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케이슨 결합체
KR101903393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KR20170133635A (ko) 해상구조물설치선
KR20150043782A (ko) 타워, 나셀 및 로터 결합체의 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CN112027027A (zh) 一种海工模块安装装置和海工模块安装系统
KR20130050600A (ko) 선박용 컨테이너 래싱장치
KR20140053372A (ko) 연안 기초 구조물
KR101497486B1 (ko) 바지선용 잭업시스템
KR101475273B1 (ko) 라이저 리프팅 장치
KR101556240B1 (ko) 가이드 레일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용 선박
JP2010196439A (ja) プレキャストカルバート運搬装置と運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