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635A - 해상구조물설치선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설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635A
KR20170133635A KR1020160064645A KR20160064645A KR20170133635A KR 20170133635 A KR20170133635 A KR 20170133635A KR 1020160064645 A KR1020160064645 A KR 1020160064645A KR 20160064645 A KR20160064645 A KR 20160064645A KR 20170133635 A KR20170133635 A KR 2017013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upling
crane
coupling unit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인
김명환
오환엽
전준환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3635A/ko
Publication of KR2017013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02B17/021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supporting construction and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91Offshore structures for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설치선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서 이동가능하며, 후단에 제1 결합유닛이 구비되는 모선모듈, 상기 제1 결합유닛에 전단이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되며, 상부에 적재물을 수용하는 수송모듈 및 상기 수송모듈의 후단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 결합유닛이 구비되며, 해상에서 상기 적재물을 설치하는 크레인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설치선{MARINE STRUCTURE INSTALLATION VESSEL}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설치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자재를 운송하여 공급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설치선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크레인 등과 같은 설치 구조가 포함된 선박을 이용하여 해상에 구조물을 설치한다.
특히, 해상풍력발전을 위한 해상풍력터빈을 설치하기 위하여 해상풍력터빈을 구성하는 자재를 운반하고, 이를 해상에 설치하는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이 그 대표적인 예다.
기존의 해상구조물설치선은 선박에 해상구조물 설치를 위한 자재를 적재하고,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선박의 위치를 고정하고, 크레인을 통해 자재를 설치 및 조립하여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선박에 적재할 수 있는 자재의 양이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동안 선박이 이동할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자재의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해상풍력발전의 경우에는 해당 지역에 다수의 풍력터빈이 설치되는 특징이 있어,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와 자재를 공급하는 지상간을 반복적으로 왕복하며 자재를 이송하고, 해상구조물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과는 별도로 자재를 이송하기 위하여 왕복 이동하는 시간이 필요하여 해상구조물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선박이 자재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자재를 크레인을 통해 해상구조물 설치선으로 하나씩 옮겨야 하므로, 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자재를 운송하여 공급할 수 있는 해상구조물설치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은 해상에서 이동가능하며, 후단에 제1 결합유닛이 구비되는 모선모듈, 상기 제1 결합유닛에 전단이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되며, 상부에 적재물을 수용하는 수송모듈 및 상기 수송모듈의 후단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 결합유닛이 구비되며, 해상에서 상기 적재물을 설치하는 크레인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선모듈은 상기 수송모듈이 삽입되도록 후단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유닛은 상기 모선모듈의 함몰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결합유닛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송모듈은 전단에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레인모듈은 상기 수송모듈이 삽입되도록 전단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상기 크레인모듈의 함몰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송모듈은 후단에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자재를 운송하여 공급할 수 있다.
둘째, 운송된 해상구조물 자재를 설치크레인에 빠르고 쉽게 전달할 수 있다.
셋째,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해상구조물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일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모선모듈이 수송모듈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모선모듈이 수송모듈을 크레인모듈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크레인모듈이 수송모듈을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모선모듈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해상구조물설치선의 구성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일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모듈(100), 수송모듈(200) 및 크레인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선모듈(100)은 해상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이 해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으로, 모선모듈(100)의 후단에 후술하는 수송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선모듈(100)의 후단에는 제1 결합유닛(110)이 구비되어, 제1 결합유닛(110)이 수송모듈(200)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유닛은(110)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결합돌기(112)가 형성되어, 제1 결합돌기(112)가 후술하는 수송모듈(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유닛(110)이 구비되는 모선모듈(100)의 후단은 수송모듈(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수송모듈(20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이 설치하고자 하는 해상구조물의 자재 등과 같은 적재물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술한 모선모듈(100)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송모듈(200)의 전단은 전술한 모선모듈(100)의 제1 결합유닛(110)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송모듈(200)은 전단에 전술한 제1 결합돌기(112)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212)이 형성되어, 제1 결합홈(212)의 내부로 제1 결합돌기(112)가 삽입되며 모선모듈(100) 및 수송모듈(2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유닛(110)은 수송모듈(200)이 모선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1 고정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114)는 모선모듈(100)의 함몰된 부위의 측부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돌기(114)가 형성되어, 제1 고정돌기(114)가 돌출되며 수송모듈(200)의 측부에 삽입됨으로써 수송모듈(200)이 모선모듈(100)의 후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수송모듈(200)의 측부에는 전술한 제1 고정돌기(114)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214)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모선모듈(100)이 수송모듈(200)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크레인모듈(300)은 전술한 적재물을 이용하여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적재물을 들어올리고, 이동시키는 크레인이 구비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해상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레인 및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구비되어, 해상에서 프레임을 해저에 고정하고, 플레이트는 해상에 위치하며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모듈(300)은 전술한 수송모듈(200)의 후단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레인모듈(300)의 전단에는 제2 결합유닛(320)이 구비되어, 제2 결합유닛(320)이 수송모듈(200)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결합유닛은(320)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결합돌기(322)가 형성되어, 제2 결합돌기(322)가 전술한 수송모듈(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유닛(320)이 구비되는 크레인모듈(300)의 전단은 수송모듈(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수송모듈(200)은 크레인모듈(300)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수송모듈(200)의 후단은 크레인모듈(300)의 제2 결합유닛(320)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수송모듈(200)은 후단에 전술한 제2 결합돌기(322)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홈(222)이 형성되어, 제2 결합홈(222)의 내부로 제2 결합돌기(322)가 삽입되며 크레인모듈(300) 및 수송모듈(2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유닛(320)은 수송모듈(200)이 크레인모듈(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2 고정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324)는 크레인모듈(300)의 함몰된 부위의 측부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2 고정돌기(324)가 형성되어, 제2 고정돌기(324)가 돌출되며 수송모듈(200)의 측부에 삽입됨으로써 수송모듈(200)이 크레인모듈(300)의 전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수송모듈(200)의 측부에는 전술한 제2 고정돌기(324)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224)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크레인모듈(300)이 수송모듈(200)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제1 결합유닛(110) 및 제2 결합유닛(320)은 서로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유닛(110)의 제1 결합돌기(112) 및 제2 결합유닛(320)의 제2 결합돌기(322)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고, 수송모듈(200)의 제1 결합홈(212) 및 제2 결합홈(222)도 각각 대응되는 결합돌기와 같게 서로 상이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모선모듈(100), 수송모듈(200) 및 크레인모듈(300)이 모두 결합되는 상태에서 제1 결합돌기(112) 및 제2 결합돌기(322)가 수송모듈(200)의 내부에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돌기(112) 및 제2 결합돌기(322)를 수송모듈(200) 길이의 절반 이상까지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수송모듈(200)이 결합되었을 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송모듈(200)의 제1 결합홈(212) 및 제2 결합홈(222)는 수송모듈(200)의 전단 및 후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수송모듈(200)이 결합되는 방향성을 전단 후단을 임의적으로 바꿀 수 있어, 수송모듈(200)의 결합 및 분리에 있어서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을 이용하여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상구조물설치선의 사용양태
이어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사용양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모선모듈이 수송모듈을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모선모듈이 수송모듈을 크레인모듈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크레인모듈이 수송모듈을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 일 실시예의 모선모듈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모선모듈(100) 및 수송모듈(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해상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자재를 운반할 수 있다.
이때, 크레인모듈(300)은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된 상태이며, 크레인모듈(300)은 모선모듈(100) 및 수송모듈(200)과 결합된 상태로 그 위치까지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은 모선모듈(100)의 동력을 통해 해상에서 이동하며, 수송모듈(200)의 상부에는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자재 등과 같은 적재물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모선모듈(100)의 제1 결합돌기(112)는 수송모듈(200)의 제1 결합홈(212)에 삽입된 상태이며, 제1 고정돌기(114)가 수송모듈(200)의 제1 고정홈(214)에 삽입되어 수송모듈(200)이 모선모듈(10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자재를 수용하고 있는 수송모듈(200)은 모선모듈(100)에 의해 크레인모듈(300)의 제2 결합유닛(32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술한 크레인모듈(300)의 제2 결합돌기(322)는 수송모듈(200)의 제2 결합홈(222)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돌기(112) 및 제1 결합홈(212)이 형성된 높이는 제2 결합돌기(322) 및 제2 결합홈(222)이 형성된 높이와 상이하므로, 이 과정에서 제1 결합돌기(112) 및 제2 결합돌기(322)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모선모듈(100), 수송모듈(200) 및 크레인모듈(300)이 모두 결합되면, 크레인모듈(300)은 수송모듈(200)과의 결합을 고정하고, 모선모듈(100)은 수송모듈(200)과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모듈(300)에 형성된 제2 고정돌기(324)가 돌출되며 수송모듈(200)의 제2 고정홈(224)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송모듈(200)이 크레인모듈(300)의 전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모선모듈(100)에 형성된 제1 고정돌기(114)는 모선모듈(1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수송모듈(200)의 제1 고정홈(214)에서 분리될 수 있다.
위의 과정이 완료된 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선모듈(100)이 전단으로 이동하며, 모선모듈(100)의 후단에 구비된 제1 결합돌기(112)가 수송모듈(200)로부터 빠지면서 모선모듈(100) 및 수송모듈(200)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송모듈(200)의 상부에 수용된 해양구조물 설치에 필요한 자재가 단번에 크레인모듈(300)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해양구조물 자재를 크레인모듈(300)에 옮기기 위한 고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크레인모듈(300)이 해상에서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 동안 모선모듈(100)은 다시 이동하며 지속적으로 추가적인 자재를 운송할 수 있으므로,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설치선의 모선모듈(100), 수송모듈(200) 및 크레인모듈(300) 각각의 갯수는 복수개로 운영될 수도 있으며, 본 구성을 통해 해상구조물 자재를 운송하며 해상구조물을 설치하도록 마련된다면, 그 구성 및 운용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모선모듈
110 : 제1 결합유닛
112 : 제1 결합돌기 114 : 제1 고정돌기
200 : 수송모듈
212 : 제1 결합홈 214 : 제1 고정홈
222 : 제2 결합홈 224 : 제2 고정홈
300 : 크레인모듈
320 : 제2 결합유닛
322 : 제2 결합돌기 324 : 제2 고정돌기

Claims (5)

  1. 해상에서 이동가능하며, 후단에 제1 결합유닛이 구비되는 모선모듈;
    상기 제1 결합유닛에 전단이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되며, 상부에 적재물을 수용하는 수송모듈; 및
    상기 수송모듈의 후단과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 결합유닛이 구비되며, 해상에서 상기 적재물을 설치하는 크레인모듈;
    을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설치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모듈은,
    상기 수송모듈이 삽입되도록 후단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유닛은 상기 모선모듈의 함몰된 부위에 구비되는 해상구조물설치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유닛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송모듈은,
    전단에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는 해상구조물설치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모듈은,
    상기 수송모듈이 삽입되도록 전단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상기 크레인모듈의 함몰된 부위에 구비되는 해상구조물설치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수송모듈은,
    후단에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는 해상구조물설치선.
KR1020160064645A 2016-05-26 2016-05-26 해상구조물설치선 KR20170133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645A KR20170133635A (ko) 2016-05-26 2016-05-26 해상구조물설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645A KR20170133635A (ko) 2016-05-26 2016-05-26 해상구조물설치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635A true KR20170133635A (ko) 2017-12-06

Family

ID=6092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645A KR20170133635A (ko) 2016-05-26 2016-05-26 해상구조물설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36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856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KR101774854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US20130139374A1 (en) Attachment arrangement, a connecting device, and also a method
KR102436082B1 (ko)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JP2013169916A (ja) バンパー固定クリップ
WO2009017079A1 (ja) ソケット及びこのソケットを備えたバーンインボード
KR20170133635A (ko) 해상구조물설치선
US20170080881A1 (en) Circuit assembl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792152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KR101985198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KR20180072673A (ko) 해상 부체 구조물
CN102544785B (zh) 用于定位至少一个圆形插头的装置
KR101985194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KR101774853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CN216762714U (zh) 一种墙板运输架
CN211417956U (zh) 用于运输光伏组件的托盘组件
KR20120064148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사이드 지지구조체
KR20120008976A (ko) 선박 거주구와 선박 몸체의 결합 구조
KR102455882B1 (ko) 대상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KR101294389B1 (ko) 선박용 컨테이너 래싱장치
KR101073758B1 (ko) 선박의 화물창 지지구
KR20150025407A (ko) 컨테이너 스툴 탑 추락 방지장치
JP2013091338A (ja) 板骨構造及び建造物
KR20140005555U (ko)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CN204578023U (zh) 一种载荷舱电缆接插件固定支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