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082B1 -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082B1
KR102436082B1 KR1020220034868A KR20220034868A KR102436082B1 KR 102436082 B1 KR102436082 B1 KR 102436082B1 KR 1020220034868 A KR1020220034868 A KR 1020220034868A KR 20220034868 A KR20220034868 A KR 20220034868A KR 102436082 B1 KR102436082 B1 KR 102436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coupled
floating body
module
offshor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코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코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코에너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082B1/ko
Priority to PCT/KR2022/01374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906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05B2230/61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 F05B2230/6102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carried on a floating plat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해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 적재가 가능하고 설치지점과 근접하게 안정적이면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며 저비용으로 제작 및 운용이 가능하도록, 자항능력을 가지지 않으면서 해상에 떠있을 수 있으며 분해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이 적재되는 부양본체; 상기 부양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적재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을 상하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트본체;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부양본체의 각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끔 마련되며, 하방으로 이동되어 하부가 해저면에 고정되는 레그;를 포함하되, 상기 부양본체는, 하부가 해저면에 고정된 레그의 상부를 따라 이동되어 해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Ocean structure for installing offshore wind generator}
본 발명은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설치지점과 근접하게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제작 및 운용이 가능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기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를 말하며,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육상 풍력 발전기와, 해상 풍력 발전기로 분류된다. 그 중 해상 풍력 발전기는, 크게 지주 역할을 하는 타워(tower)와, 타워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나셀(nacelle)과, 나셀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게끔 구성된다.
이러한 해상 풍력 발전기는, 통상 크기 및 적재 안정성에 따라 타워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타워단위체와, 나셀, 복수 개의 블레이드로 분리된 상태로 선박에 적재되어 설치장소에서 조립된다.
현재 운송 바지선에 복수 개의 타워단위체와, 나셀,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적재하여 설치장소로 이동시킨 후, 해저면에 고정될 수 있는 잭업 바지선에 실린 크레인을 이용하여 운송 바지선과 인접한 상태로 설치를 진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작업방식을 위해서는 운송 바지선, 잭업 바지선, 크레인, 예인선이 필요하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의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선(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제작과 운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6390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해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 적재가 가능하고 설치지점과 근접하게 안정적이면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며 저비용으로 제작 및 운용이 가능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은, 자항능력을 가지지 않으면서 해상에 떠있을 수 있으며 분해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이 적재되는 부양본체; 상기 부양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적재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을 상하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트본체;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부양본체의 각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끔 마련되며, 하방으로 이동되어 하부가 해저면에 고정되는 레그;를 포함하되, 상기 부양본체는, 하부가 해저면에 고정된 레그의 상부를 따라 이동되어 해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양본체는, 전방부 중앙에 후방을 향해 설치홀이 함입형성되고, 설치홀을 기준으로 양측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레일 사이의 상면에 구성품이 적재되며, 상기 리프트본체는, 설치홀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에 각각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이동모듈과, 각 전후이동모듈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세워지는 복수 개의 타워모듈과, 복수 개의 타워모듈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이동모듈과, 레일 사이에 위치되는 상하이동모듈 부분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구성품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될 수 있는 좌우이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모듈은, 전후이동모듈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세워지는 내부타워와, 내부타워를 둘러싸게 형성되고 내부타워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하이동모듈이 결합되는 외부타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워모듈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씩 설치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세워지되, 상기 상하이동모듈은, 4개의 타워모듈 각각의 둘레를 둘러싸면서 타워모듈과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4개의 이동프레임 상호 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모듈은,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 중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연결프레임이 관통되게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이동가이드와, 길이가 조절되면서 구성품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될 수 있는 후크가 구비되고 이동가이드로부터 이격된 양측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연결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가이드는, 일체로 이동되게끔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타워모듈보다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끔 형성되며,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카메라가 구비되는 컨트롤룸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룸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양본체에 분해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을 적재할 수 있으며, 리프트본체를 이용하여 부양본체에 적재된 구성품을 이동시켜 설치지점과 근접한 지점에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바,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레그를 이용하여 해저면에 부양본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부양본체가 해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위치되게끔 하여 구성품에 대한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바, 파도 등과 같은 외부요인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부양본체가 자항능력을 가지지 않음에 따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WTIV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고정적인 전문인력없이도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에 적용되는 레그에 의해 부양본체가 해수면과 이격된 상측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에 적용되는 리프트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에 적용되는 타워모듈이 신장되며 타워단위체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에 적용되는 타워모듈이 신장되며 나셀이 타워에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인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에 적용되는 컨트롤룸이 조립되는 블레이드의 일단에 인접한 상태에서 블레이드가 나셀에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분해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 적재가 가능하고 설치지점과 근접하게 안정적이면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며 저비용으로 제작 및 운용이 가능하도록, 자항능력을 가지지 않으면서 해상에 떠있을 수 있으며 분해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이 적재되는 부양본체; 상기 부양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적재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을 상하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리프트본체;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부양본체의 각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끔 마련되며, 하방으로 이동되어 하부가 해저면에 고정되는 레그;를 포함하되, 상기 부양본체는, 하부가 해저면에 고정된 레그의 상부를 따라 이동되어 해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본체(100), 리프트본체(200) 및 레그(300)를 포함한다.
부양본체(100)는, 자항능력을 가지지 않으면서 부력을 가지게끔 형성되어, 해상에 떠있을 수 있으며, 예인선 등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부양본체(100)가 자항능력을 가지지 않음에 따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 WTIV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고정적인 전문인력없이도 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부양본체(1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리프트본체(200) 및 레그(300)의 설치와, 분해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이하, '구성품'이라 함)의 적재 등을 고려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이나 이와 유사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구성품은, 타워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타워단위체와, 타워의 상단에 결합되는 나셀, 나셀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부양본체(100)는, 설치지점과 근접한 지점에서 구성품의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방부 중앙에 후방을 향해 설치홀(110)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부양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홀(110) 내측에 상측으로 타워가 조립될 바닥구조물이 위치되게끔 예인선 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설치홀(110)이 전방부 중앙에 형성된 부양본체(100)에는, 구성품이 설치홀(110)의 후방 측에 위치되는 상면에 적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타워단위체는, 리프트본체(200)를 구성하는 타워모듈(220) 사이에 세워지게끔 적재될 수 있으며, 나셀은 복수 개의 타워단위체의 후방측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는, 길이방향이 부양본체(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끔 타워모듈(220) 사이에 적재되며, 적재보조프레임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다단을 이루게 적재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는 조립 등의 편의를 위하여 나셀과 결합되는 일단이 부양본체(100)의 전방을 향하게끔 적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양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홀(110)을 기준으로 양측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레일(1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품은, 레일(120) 사이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다. 여기서의 레일(120)은 후술할 리프트본체(2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리프트본체(200)는, 부양본체(100)의 상면에 설치되어 부양본체(100)에 적재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을 상하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리프트본체(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이동모듈(210), 복수 개의 타워모듈(220), 상하이동모듈(230) 및 좌우이동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후이동모듈(210)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홀(110)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120)에 각각 결합되어 레일(12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전후이동모듈(210)은 타워모듈(2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 개의 타워모듈(220)은, 설치홀(110)의 양측 레일(120)에 결합된 각 전후이동모듈(210)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세워져, 상하이동모듈(23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타워모듈(220)은 길이 조절이 되지 않게끔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동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타워모듈(220)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이동모듈(210)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세워지는 내부타워(221)와, 내부타워(221)를 둘러싸게 형성되고 내부타워(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외부타워(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타워(222)에는 상하이동모듈(230)이 결합되는바, 상하이동모듈(230)은 외부타워(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외부타워(222)가 내부타워(221)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하이동모듈(230)의 상하방향 이동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타워모듈(220)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씩 설치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세워질 수 있다. 즉, 길이조절이 가능한 총 4개의 타워모듈(220)이 2개씩 나뉘어져 설치홀(110)의 일측과 타측에 세워지고, 어느 한 편에 세워지는 2개의 타워모듈(220)은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끔 세워진다. 따라서, 4개의 타워모듈(220)은 상호 이격배치된 상태로, 각 타워모듈(220)을 구성하는 외부타워(222)에 상하이동모듈(230)이 결합된다.
상하이동모듈(230)은, 복수 개의 타워모듈(2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타워모듈(220)을 구성하는 외부타워(222)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낮은 높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시, 외부타워(222) 내에 내부타워(221)가 위치된 상태(타워모듈(220)이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타워(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높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시, 외부타워(222)가 내부타워(221)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타워모듈(220)이 신장된 상태)에서 외부타워(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하이동모듈(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상하방향 이동을 위해, 4개의 타워모듈(220) 각각의 둘레를 둘러싸면서 각 타워모듈(220)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231)과, 4개의 이동프레임(231) 상호 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2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타워모듈(220)의 횡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이동프레임(231)은, 횡단면이 사각형인 타워모듈(220)의 둘레를 둘러싸는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4개의 이동프레임(231)은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232)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좌우이동모듈(240)은, 레일(120) 사이에 위치되는 상하이동모듈(230) 부분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구성품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좌우이동모듈(2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241), 고정부재(242) 및 컨트롤룸(2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241)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232) 중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연결프레임(232)이 관통되게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고정부재(242)는 길이가 조절되면서 구성품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될 수 있는 후크가 구비되고 이동가이드(241)로부터 이격된 양측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연결프레임(23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이동가이드(241)는, 고정부재(242)의 이동시 함께 일체로 이동되게끔 고정부재(242)와 연결되고, 타워모듈(220)보다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끔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가이드(241)에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카메라가 구비되는 컨트롤룸(243)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의 컨트롤룸(243)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내부에서 리프트본체(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끔 구성되거나, 카메라가 구비되어 촬영된 영상을 부양본체(100)에 마련된 상황실의 작업자에게 전송할 수 있게끔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구성품의 조립시, 컨트롤룸(243) 내에서 각 구성품 조립을 위해 전후이동모듈(210), 타워모듈(220), 상하이동모듈(230) 및 좌우이동모듈(24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거나, 부양본체(100)에 마련된 상황실의 작업자가 전송된 영사을 보면서, 각 구성품 조립을 위해 전후이동모듈(210), 타워모듈(220), 상하이동모듈(230) 및 좌우이동모듈(24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룸(243)은, 이동가이드(241)를 따라 이동되어 타워모듈(220)보다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는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홀(110)의 상측으로 조립되는 구성품에 근접하게끔 이동된 상태에서 정확한 조립을 위한 제어를 할 수 있다. 특히, 컨트롤룸(243)은,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지는 와이어 등으로 이동가이드(241)와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컨트롤룸(243)은 구성품에 보다 근접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구성품 중 하나인 블레이드를 나셀에 결합시키고자 할 시, 블레이드 일단과 인접한 상측에 컨트롤룸(243)이 안착되게끔 이동되어 전방의 나셀의 결합지점을 작업자가 바라보며 블레이드의 상하전후좌우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양본체(100)에 분해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을 적재할 수 있으며, 리프트본체(200)를 이용하여 부양본체(100)에 적재된 구성품을 이동시켜 설치지점과 근접한 지점에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바,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레그(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를 이루면서 부양본체(100)의 각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그(300)는 부양본체(100)가 이동될 시, 간섭되지 않게끔 부양본체(100)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게끔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이루며, 설치홀(110) 내측에 바닥구조물이 위치되게끔 예인선 등에 의해 부양본체(100)가 이동되면 하방으로 이동되어 하부가 해저면에 고정된다.
이때, 하부가 해저면에 고정된 레그(300)는 해상에 떠있는 부양본체(100)의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끔 구비된다. 이에 따라, 부양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측으로 돌출된 레그(300)의 상부를 따라 이동되어, 해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위치되며, 해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구성품에 대한 조립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바, 파도 등과 같은 외부요인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100 : 부양본체 110 : 설치홀
120 : 레일
200 : 리프트본체 210 : 전후이동모듈
220 : 타워모듈 221 : 내부타워
222 : 외부타워 230 : 상하이동모듈
231 : 이동프레임 232 : 연결프레임
240 : 좌우이동모듈 241 : 이동가이드
242 : 고정부재 243 : 컨트롤룸
300 : 레그

Claims (6)

  1. 자항능력을 가지지 않으면서 해상에 떠있을 수 있으며, 전방부 중앙에 후방을 향해 설치홀(110)이 함입형성되고, 설치홀(110)을 기준으로 양측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레일(120)이 구비되며, 타워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타워단위체, 상기 타워의 상단에 결합되는 나셀, 상기 나셀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 발전기의 구성품이 분해되어 설치홀(110)의 후방 측 상면에 적재되는 부양본체(100);
    상기 설치홀(110)의 양측에 구비된 레일(120)에 각각 결합되어 레일(12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이동모듈(210)과, 각 전후이동모듈(210)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세워지는 복수 개의 타워모듈(220)과, 복수 개의 타워모듈(22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이동모듈(230)과, 레일(120) 사이에 위치되는 상하이동모듈(230) 부분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해상 발전기의 구성품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될 수 있는 좌우이동모듈(240)을 포함하는 리프트본체(200);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부양본체(100)의 각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끔 마련되며, 하방으로 이동되어 하부가 해저면에 고정되는 레그(300);를 포함하되,
    상기 부양본체(100)는, 복수 개의 타워단위체가 타워모듈(220) 사이에 세워지게끔 적재되고, 나셀이 복수 개의 타워단위체의 후방측에 적재되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부양본체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면서 나셀과 결합되는 일단이 부양본체(100)의 전방을 향하게끔 타워모듈(220) 사이에 적재됨과 더불어, 하부가 해저면에 고정된 레그(300)의 상부를 따라 이동되어 해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는 한편,
    상기 타워모듈(220)은, 횡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면서 전후이동모듈(210)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방을 향해 세워지는 내부타워(221)와, 횡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면서 내부타워(221)를 둘러싸게 형성되고 내부타워(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하이동모듈(230)이 결합되는 외부타워(222)를 포함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한 쌍씩 설치홀(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세워지며,
    상기 상하이동모듈(230)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4개의 타워모듈(220) 각각의 둘레를 둘러싸면서 타워모듈(220)과 결합되는 이동프레임(231)과, 4개의 이동프레임(231) 상호 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232)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이동모듈(240)은,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232) 중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연결프레임(232)이 관통되게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이동가이드(241)와, 길이가 조절되면서 구성품과 연결 또는 연결해제될 수 있는 후크가 구비되고 이동가이드(241)로부터 이격된 양측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연결프레임(23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242)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이드(241)는, 일체로 이동되게끔 고정부재(242)와 연결되고, 타워모듈(220)보다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끔 형성되며,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카메라가 구비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컨트롤룸(243)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34868A 2021-11-18 2022-03-21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KR10243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3747 WO2023090607A1 (ko) 2021-11-18 2022-09-15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002 2021-11-18
KR20210159002 2021-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082B1 true KR102436082B1 (ko) 2022-09-01

Family

ID=832820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868A KR102436082B1 (ko) 2021-11-18 2022-03-21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KR1020220034869A KR102437203B1 (ko) 2021-11-18 2022-03-21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을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869A KR102437203B1 (ko) 2021-11-18 2022-03-21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을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36082B1 (ko)
WO (2) WO20230906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607A1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제이에코에너지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KR102592606B1 (ko) * 2023-04-13 2023-10-23 주식회사 오에스아이랩 초대형 풍력 발전기용 크레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01999B (zh) * 2022-12-12 2024-03-01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海上浮式平台装置以及施工方法和工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338A (ko) * 2013-11-21 2015-02-23 이레엔지니어링(주)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US9080299B2 (en) * 2009-09-09 2015-07-14 National Oilwell Varco, L.P. Windmill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160016390A (ko) 2014-08-05 2016-02-15 이레엔지니어링(주)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KR20190047348A (ko) * 2017-10-27 2019-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KR20200002831A (ko) * 2017-04-03 2020-01-08 라거웨이 윈드 비브이 풍력 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호이스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019B1 (ko) * 2012-01-17 2013-10-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풍력발전기 설치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50186A (ko) * 2012-10-18 2014-04-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상 풍력 발전장치 및 이의 급속 설치방법
KR101297669B1 (ko) 2013-01-22 2013-08-21 문용석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전용선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JP6270527B2 (ja) * 2014-02-20 2018-01-31 戸田建設株式会社 洋上風力発電設備の施工方法
JP6484078B2 (ja) * 2015-03-18 2019-03-13 鹿島建設株式会社 洋上風車の設置方法
KR101814436B1 (ko) * 2015-10-29 2018-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기의 설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2436082B1 (ko) * 2021-11-18 2022-09-01 주식회사 제이에코에너지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0299B2 (en) * 2009-09-09 2015-07-14 National Oilwell Varco, L.P. Windmill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150018338A (ko) * 2013-11-21 2015-02-23 이레엔지니어링(주) 이동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 고정유닛 및 그를 구비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
KR20160016390A (ko) 2014-08-05 2016-02-15 이레엔지니어링(주)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KR20200002831A (ko) * 2017-04-03 2020-01-08 라거웨이 윈드 비브이 풍력 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호이스팅 시스템
KR20190047348A (ko) * 2017-10-27 2019-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607A1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제이에코에너지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KR102592606B1 (ko) * 2023-04-13 2023-10-23 주식회사 오에스아이랩 초대형 풍력 발전기용 크레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607A1 (ko) 2023-05-25
WO2023090737A1 (ko) 2023-05-25
KR102437203B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082B1 (ko)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용 해상 구조물
RU2591970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гидроэлектрической турбины
KR101236940B1 (ko)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KR101281175B1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박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방법
JP6484078B2 (ja) 洋上風車の設置方法
KR101865164B1 (ko) 분리형 해상 구조물 설치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JP3881902B2 (ja) 自己昇降式作業台を用いた水上杭打ち装置
JP5820953B1 (ja) 風力発電装置の組み付け方法、風力発電装置の分解方法、風力発電装置の設置方法、及び風力発電装置の作業用船舶
KR20140050186A (ko) 해상 풍력 발전장치 및 이의 급속 설치방법
KR101864144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KR20140144983A (ko) 해양 플랫폼의 탑사이드 장착 장치
JP2012112370A (ja) 洋上風車設置用船舶およびこれを用いた洋上風車設置方法
KR101619246B1 (ko) 타워, 나셀 및 로터 결합체의 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KR101814623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풍력 발전설비의 설치 방법
KR20160063643A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GB2580103A (en) Underwater pedestal synchronous sinking and posture fixing and solid releas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985198B1 (ko) 해상구조물설치선
KR20140118470A (ko) 풍력타워 설치용 해상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풍력타워 설치방법
KR101608010B1 (ko)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KR102438693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KR20160066265A (ko)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KR101635164B1 (ko) 해상파일 설치용 작업선
JP2014148261A (ja) 作業台船の固定方法、保守方法、設置方法、浮体及び浮体式風力設備
KR101683154B1 (ko) 해양 구조물의 제작 방법
KR20170030200A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