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453B1 -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453B1
KR101468453B1 KR1020140074740A KR20140074740A KR101468453B1 KR 101468453 B1 KR101468453 B1 KR 101468453B1 KR 1020140074740 A KR1020140074740 A KR 1020140074740A KR 20140074740 A KR20140074740 A KR 20140074740A KR 101468453 B1 KR101468453 B1 KR 10146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peripheral
peripheral surface
grinding apparatu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차섭
Original Assignee
변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차섭 filed Critical 변차섭
Priority to KR102014007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1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 B24B5/185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for in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1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 B24B5/307Means for suppor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내주면을 간편하게 연삭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파이프를 올린 상태에서 굴리도록 형성된 안착부; 및 상기 파이프 내부로 디스크가 전후진 하면서 연삭하도록 형성된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파이프 내주면의 연삭에 따른 작업 효율과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Pipe gr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롤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내경을 자동으로 이송 및 회전하면서 내경 전체를 균일하게 조도값(거칠기)을 맞추어 연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연결을 통해 유체나 기체를 이송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외면 보다는 내면에 대한 품질관리가 더 중요하다. 특히, 음료나 식품을 이송하는 파이프의 경우 내면의 품질관리는 더욱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음료나 식품을 이송하는 파이프의 경우 내면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보통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된 파이프를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파이프는 일정 폭을 갖는 판재를 소재로 하여 제조되고 있다. 즉,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는 판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과정과 공급되는 판재를 다수의 롤러로 말아주는 과정과 말린 양단의 서로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는 과정 및 용접된 부분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를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형성된 용접 비드는 연삭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나, 파이프의 내면에 형성된 용접 비드는 제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파이프의 지름이 작고 길게 형성된 경우 사람이 직접 들어가거나 장비의 투입이 어려워지므로 이런 파이프의 내면 연삭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용접관 파이프외경 공차가 일정하지 않아도 파이프 내주면 거칠기(조도값)을 맞출 수 있으며 일정한 품질과 작업시간단축 소모자재 등을 줄이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파이프를 고정시켜 내면 연마작업시 고르게 연마가 되지 않아서 두께불량이 많았으나 파이프를 회전시켜 내주면 전체를 고르게 연마하여 두께편차 불량을 막을 수 있는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면서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의 연삭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속 분말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의 내주면을 연삭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올려 안착하도록 하되, 상기 파이프의 외면을 받친 상태로 굴릴 수 있도록 한 쌍의 구동 바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바 중 어느 하나의 축에는 제1 모터가 연결된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된 파이프를 향해 전후진을 안내하도록 한 쌍의 레일이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는 스크루 바가 나란하게 축 설치되며, 상기 스크루 바의 일측 끝단에는 정역 회전하는 제2 모터가 축 연결되고, 상기 양측 레일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루 바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루 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 하는 대차가 설치되며, 상기 대차 위에는 제3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3 모터의 축에는 상기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된 회전축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는 상기 파이프의 내면을 연삭하기 위한 디스크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안착부와 근접한 위치에는 상기 회전축의 전후진을 잡아주기 위한 축 지지수단이 설치된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의 양측 구동 바 중 다른 하나는 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이동 설치된다.
상기 안착부의 타측 단부에는 파이프의 단면에 밀착되면서 파이프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말을 흡수하기 위한 흡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는 상기 디스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상하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회전축의 전후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상하 한 쌍의 롤러 샤프트; 상기 롤러 샤프트의 양측 단부가 축 결합되는 승강 블럭; 상기 양측 승강 블럭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블럭; 및 상기 양측 가이드 블록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승강 블럭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에 의하면 파이프의 내주면을 간편하게 연삭할 수 있게 됨으로써, 파이프 내주면의 연삭에 따른 작업 효율과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에 의하면 파이프의 크기에 따라 간편한 조절을 통해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호환성과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에 의하면 파이프의 연삭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속 분말을 수거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를 회전시켜서 연마 작업시 내주면에 열발생을 골고루 전달하여 열발생으로 인한 파이프 변형을 막을 수 있으며, 대형 강관은 기존 사람이 파이프 안에 들어가서 작업을 하였으나 위와 같은 장치로 작업조절로 자동화 기계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자동화하여 작업시간단축으로 대량생산과 균일한 고품질을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의 다른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를 올린 상태에서 굴리도록 형성된 안착부(100) 및 상기 파이프 내부로 디스크가 전후진 하면서 연삭하도록 형성된 작동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00)는 상기 파이프(10)를 올려 안착하도록 하되, 상기 파이프의 외면을 받친 상태로 굴릴 수 있도록 한 쌍의 구동 바(110a, 100b)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바(110) 중 어느 하나의 축에는 제1 모터(12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바(110a, 10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의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파이프가 헛도는 것을 막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커버를 일정간격으로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100)는 실시 예로서 양측 구동 바(110a, 100b) 중 다른 하나는 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의 지름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양측 구동 바(110a, 100b) 사이의 간격이 좁아야 하고, 파이프(10)의 지름이 큰 경우에는 상기 양측 구동 바(110a, 100b) 사이의 간격이 더 넓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양측 구동 바(110a, 100b) 중 제1 모터(120)가 연결된 하나의 구동 바(110a)로부터 제1 모터(120)가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구동 바(100b)를 일정거리 내에서 이동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구동 바(100b)를 일정거리 이동하고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바(100b)가 설치되는 무빙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무빙 패널을 조여 고정하는 볼트 또는 지그를 구성한다.
상기 작동부(200)는 상기 안착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착된 파이프(10)를 향해 전후진을 안내하도록 한 쌍의 레일(210)이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210) 사이에는 스크루 바(220)가 나란하게 축 설치되며, 상기 스크루 바(200)의 일측 끝단에는 정역 회전하는 제2 모터(230)가 축 연결되고, 상기 양측 레일(210)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루 바(220)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루 바(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 하는 대차(240)가 설치되며, 상기 대차(240) 위에는 제3 모터(250)가 설치되고, 상기 제3 모터(250)의 축에는 상기 파이프(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된 회전축(260)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60)의 끝단에는 상기 파이프(10)의 내면을 연삭하기 위한 디스크(270)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안착부(200)와 근접한 위치에는 상기 회전축(260)의 전후진을 잡아주기 위한 축 지지수단(28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모터가 정역 회전을 통해 스크루 바(220)을 정역 회전시키면 상기 디스크(270)이 파이프(10) 내부로 전후진 하고, 상기 제3 모터(250)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크(270)이 회전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내면을 연삭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260)의 끝단에는 상기 디스크(27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디스크(270)은 회전축(260)에 키 결합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으로 조여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280)은 실시 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60)의 상하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60)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회전축(260)의 전후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상하 한 쌍의 롤러 샤프트(281)와 상기 롤러 샤프트(281)의 양측 단부가 축 결합되는 승강 블럭(282)와 상기 양측 승강 블럭(282)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블럭(283) 및 상기 양측 가이드 블록(283)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승강 블럭(282)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2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60)이 상기 상하의 롤러 샤프트(281) 사이에 지지된 상태로 전후진과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안착부(10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면서 파이프(10)의 단면에 밀착되어 파이프(10) 내부에서 연삭시 발생하는 분말을 흡수하기 위한 흡진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연삭시 발생하는 분말이 외부로 날리지 않고 모두 회수되는데, 이렇게 회수된 분말은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10)의 내주면을 간편하게 연삭할 수 있게 됨으로써, 파이프(10) 내주면의 연삭에 따른 작업 효율과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10)의 크기에 따라 간편한 조절을 통해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호완성과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0)의 연삭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속 분말을 수거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파이프
100: 안착부 110a, 110b: 구동 바
120: 제1 모터
200: 작동부 210: 레일
220: 스크루 바 230: 제2 모터
240: 대차 250: 제3 모터
260: 회전축 270: 디스크
280: 지지수단 281: 롤러 샤프트
282: 승강 블럭 283: 가이드 블럭
284: 스토퍼
300: 흡진수단

Claims (5)

  1. 파이프의 내주면을 연삭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올려 안착하도록 하되, 상기 파이프의 외면을 받친 상태로 굴릴 수 있도록 한 쌍의 구동 바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바 중 어느 하나의 축에는 제1 모터가 연결된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된 파이프를 향해 전후진을 안내하도록 한 쌍의 레일이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는 스크루 바가 나란하게 축 설치되며, 상기 스크루 바의 일측 끝단에는 정역 회전하는 제2 모터가 축 연결되고, 상기 양측 레일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루 바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루 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 하는 대차가 설치되며, 상기 대차 위에는 제3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3 모터의 축에는 상기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된 회전축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는 상기 파이프의 내면을 연삭하기 위한 디스크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안착부와 근접한 위치에는 상기 회전축의 전후진을 잡아주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상하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회전축의 전후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상하 한 쌍의 롤러 샤프트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양측 단부가 축 결합되는 승강 블럭과, 상기 양측 승강 블럭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블럭 및 상기 양측 가이드 블록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승강 블럭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형성한 축 지지수단이 설치된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양측 구동 바 중 다른 하나는 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이동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타측 단부에는 파이프의 단면에 밀착되면서 파이프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말을 흡수하기 위한 흡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는 상기 디스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5. 삭제
KR1020140074740A 2014-06-19 2014-06-19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KR10146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740A KR101468453B1 (ko) 2014-06-19 2014-06-19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740A KR101468453B1 (ko) 2014-06-19 2014-06-19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453B1 true KR101468453B1 (ko) 2014-12-04

Family

ID=5267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740A KR101468453B1 (ko) 2014-06-19 2014-06-19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4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5747A (zh) * 2018-06-28 2018-10-16 浙江青山钢管有限公司 用于制作大型钢管的钢板修边机
KR20230045445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지 레일 이송 구조를 갖는 튜브용 내경 연마장치
KR20230052734A (ko)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지 가이드관체의 수평상태 유지 구조를 갖는 튜브용 내경 연마장치
KR20230133110A (ko) * 2022-03-10 2023-09-19 (주)우성기계공업 파이프 내면 연마장치
CN117066996A (zh) * 2023-10-12 2023-11-17 烟台百财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液压破碎锤前缸体内孔磨削定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251A (ja) * 2002-03-26 2003-10-07 Kurimoto Ltd 管内面研削方法及び装置
KR100909013B1 (ko) * 2008-10-23 2009-07-22 신우씨앤엠솔루션(주) 주철관 내주면 가공장치
KR101173494B1 (ko) * 2012-06-01 2012-08-20 김문선 내경 연삭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251A (ja) * 2002-03-26 2003-10-07 Kurimoto Ltd 管内面研削方法及び装置
KR100909013B1 (ko) * 2008-10-23 2009-07-22 신우씨앤엠솔루션(주) 주철관 내주면 가공장치
KR101173494B1 (ko) * 2012-06-01 2012-08-20 김문선 내경 연삭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5747A (zh) * 2018-06-28 2018-10-16 浙江青山钢管有限公司 用于制作大型钢管的钢板修边机
CN108655747B (zh) * 2018-06-28 2023-09-08 青山钢管有限公司 用于制作大型钢管的钢板修边机
KR20230045445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지 레일 이송 구조를 갖는 튜브용 내경 연마장치
KR102563249B1 (ko) * 2021-09-28 2023-08-03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지 레일 이송 구조를 갖는 튜브용 내경 연마장치
KR20230052734A (ko) * 2021-10-13 2023-04-20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지 가이드관체의 수평상태 유지 구조를 갖는 튜브용 내경 연마장치
KR102563253B1 (ko) * 2021-10-13 2023-08-03 주식회사 더블유에스지 가이드관체의 수평상태 유지 구조를 갖는 튜브용 내경 연마장치
KR20230133110A (ko) * 2022-03-10 2023-09-19 (주)우성기계공업 파이프 내면 연마장치
KR102658137B1 (ko) * 2022-03-10 2024-04-18 (주)우성기계공업 파이프 내면 연마장치
CN117066996A (zh) * 2023-10-12 2023-11-17 烟台百财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液压破碎锤前缸体内孔磨削定位装置
CN117066996B (zh) * 2023-10-12 2023-12-15 烟台百财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液压破碎锤前缸体内孔磨削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453B1 (ko) 강관 내주면 기능성 연삭장치
CN101954560B (zh) 容器筒节水平组对装置及其使用方法
CN207900821U (zh) 一种可对管道内壁进行抛光的打磨机
WO2022077655A1 (zh) 一种机电加工用金属管段除毛刺装置
CN104440490A (zh) 一种钢管自动除锈机
CN202137673U (zh) 一种钢管抛光装置
KR101022771B1 (ko) 대형 가공물 용접장치
KR20110002316A (ko) 파이프 샌딩 장치
CN107900875A (zh) 圆形工件打磨装置
CN106927207A (zh) 一种用于型号壳体无损探伤的转运车
KR102344477B1 (ko) 배관용 용접 비드 그라인딩 장치
JP5800775B2 (ja) レール頭部削正機および自走式レール頭部削正装置
CN105437010A (zh) 一种钢管高频预焊后内焊缝打磨除锈机构
KR102628739B1 (ko) 파이프 내경 연마장치
KR101715173B1 (ko) 휠 연마를 위한 휠 이송 및 고정장치
CN208086600U (zh) 一种钢管运输装置
CN104029092B (zh) 一种型钢钢坯表面砂磨方法
CN110666660A (zh) 一种建材钢板用的表面除锈设备
CN102951422B (zh) 一种焊管焊缝拍片双层送料装置
CN215768320U (zh) 一种x射线探伤检测装置
CN107932424A (zh) 一种滑动丝杠副上调隙螺母的拆卸装置和方法
CN109706306B (zh) 一种回转支承固定装置
CN103612171B (zh) 双砂轮结构磨床
JP6249984B2 (ja) ベルト式レール頭部削正機および自走式レール頭部削正装置
CN214351306U (zh) 耐磨铸铁管内外圆磨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