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089B1 - 급탕 시스템 - Google Patents

급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089B1
KR101467089B1 KR1020130040523A KR20130040523A KR101467089B1 KR 101467089 B1 KR101467089 B1 KR 101467089B1 KR 1020130040523 A KR1020130040523 A KR 1020130040523A KR 20130040523 A KR20130040523 A KR 20130040523A KR 101467089 B1 KR101467089 B1 KR 10146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hot water
water supply
heat pump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776A (ko
Inventor
히데유키 간노
이쿠로 아다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1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4/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eat pumps
    • F24H4/02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4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2Hot 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과제) 24시간(1일)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한 제어에 의해 적당량의 온수를 탱크에 저장해 두는 것이 가능한 급탕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컨트롤러는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최초의 온수 공급이 개시되어야 할 급탕개시시각(S1)과, 욕조에 소정량의 온수 공급이 개시되어야 할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과, 마지막 온수 공급이 종료되어야 할 급탕종료시각(G1)을 특정한다. 컨트롤러는 급탕개시시각(S1)보다 제 1 소정시간(α)만큼 전의 시각인 제 1 히트펌프 작동시각(S0)에 히트펌프를 작동시키고,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보다 제 2 소정시간(β)만큼 전의 시각인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B0)에 히트펌프를 작동시키고, 급탕종료시각(G1)보다 제 3 소정시간(γ)만큼 전의 시각인 히트펌프 정지시각(G0)에 히트펌프를 정지시킨다.

Description

급탕 시스템{HOT WATER SUPPLY SYSTEM}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급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히트펌프와, 히트펌프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저탕 탱크를 구비하는 저탕식 급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저탕식 급탕장치는 과거에 자주 비등운전이 행해지던 시간대에 대하여 그 하나 전(1시간 전)의 시간대의 기동 잔탕량(殘湯量)과 정지 잔탕량의 설정값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즉, 이 저탕식 급탕장치에서는 과거에 자주 비등운전이 행해지던 시간대를 학습하고, 그 하나 전의 시간대에서 비등이 행해지기 쉬워지도록 설정값을 변화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2007-18305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 과거에 자주 비등운전이 행해지던 시간대는 자주 급탕이 행해지던 시간대이다. 과거에 자주 급탕이 행해지던 시간대에 맞춰 적당량의 온수를 미리 탱크에 저장하려면, 급탕이 행해지는 각 시간대에 맞춰 기동 잔탕량과 정지 잔탕량의 설정값을 정확히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급탕이 행해지는 각 시간대에 맞춰 설정값을 정확히 설정하려면, 많은 데이터가 필요함과 아울러 많은 계산 등을 행할 필요가 있어 처리 부하가 높아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24시간(1일)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한 제어에 의해 적당량의 온수를 탱크에 저장해 두는 것이 가능한 급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여러 세대의 생활 사이클을 24시간(1일) 단위로 보는 경우, 어느 세대에서나, 최초로 온수 공급이 행해지는 시간대와 욕조에 소정량의 온수 공급(목욕물 받기)이 행해지는 시간대에 정해진 양의 온수가 공급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어느 세대에서나, 마지막으로 온수 공급이 행해진 후에는 다음날 최초로 온수 공급이 행해지는 시간대까지 온수가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낮은 것도 알게 되었다.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급탕 시스템은 상기한 발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급탕 시스템은, 외기로부터 흡열하는 히트펌프와, 히트펌프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탱크와, 탱크내의 온수를 온수이용개소에 공급하는 공급로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과거의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 온수 공급이 개시된 시각과 온수 공급이 종료된 시각 중 적어도 한쪽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기억하고,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과거의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 최초의 급탕이 개시된 시각 중 가장 빠른 시각을,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최초의 온수 공급이 개시되어야 할 급탕개시시각으로서 특정하고, 급탕개시시각보다 나중의 시각이며,
과거의 소정 시간내에 있어서 욕조의 목욕물 받기 운전이 개시된 시각 중 가장 빠른 시각을,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 욕조에 소정량의 온수 공급이 개시되어야 할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으로서 특정하고, 과거의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 최후의 급탕이 종료한 시각 중 가장 늦은 시각을,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마지막 온수 공급이 종료되어야 할 급탕종료시각으로서 특정하고,
급탕개시시각보다 제 1 소정시간만큼 전의 시각인 제 1 히트펌프 작동시각에 히트펌프를 작동시키고,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보다 제 2 소정시간만큼 전의 시각인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에 히트펌프를 작동시키고,
급탕종료시각보다 제 3 소정시간만큼 전의 시각인 히트펌프 정지시각에, 히트펌프가 작동중인 경우에 히트펌프를 정지시킨다.
상기한 급탕 시스템에서는, 제 1 히트펌프 작동시각 및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에 히트펌프를 작동시켜 탱크내에 온수를 저장하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각 세대에 있어서 정해진 양의 온수가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급탕개시시각과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에 있어서, 탱크내에 급탕에 필요한 양의 온수를 저장해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급탕 시스템에서는 히트펌프정지시각에 히트펌프를 정지시켜 탱크내에 그 이상 온수를 저장하지 않게 한다. 그 때문에, 각 세대에 있어서, 그 이후에 온수가 필요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은 급탕종료시각에 있어서, 탱크내에 과잉의 온수를 저장해 두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급탕 시스템에서는, 온수가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급탕개시시각과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 및 그 이후에 온수가 필요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은 급탕종료시각의 3개의 시각에 주목하고, 이 3개의 시각에 있어서 적당량의 온수를 탱크에 저장해 두도록 제어를 행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온수가 필요하게 되는 모든 시간대에 대하여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한 급탕 시스템에서는 24시간(1일)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한 제어에 의해 적당량의 온수를 탱크에 저장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특정 세대에 있어서, 급탕이 행해지는 시간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 1 히트펌프 작동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제 2 히트펌프 작동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목욕물 받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을 열기해 둔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기술 요소는 각각 독립된 기술 요소이며,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출원시 청구항 기재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징 1) 급탕 시스템은 탱크 하부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측정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컨트롤러는, 제 1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히트펌프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에 히트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에 있어서 제 1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이 되도록 제 2 소정시간을 특정하여도 된다.
이 구성의 급탕 시스템에 의하면,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에 있어서 히트펌프를 정지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욕조에 온수 공급을 개시한 후에도 히트펌프를 계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히트펌프로 물을 가열하여 탱크에 저장하면서 욕조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에 있어서 탱크내의 전체 온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즉 히트펌프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욕조에 온수 공급을 개시한 후, 탱크내의 소정량의 온수를 욕조에 공급한 후에 히트펌프를 재차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구성의 급탕 시스템은 히트펌프의 정지 및 재작동이 자주 행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히트펌프의 정지 및 재작동의 낭비를 줄여 에너지 효율을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히트펌프의 내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징 2) 급탕 시스템은 외기온도와 수돗물의 수온 중 적어도 한쪽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측정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컨트롤러는, 제 2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높을수록 짧은 제 1 소정시간을 특정하고, 제 2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높을수록 짧은 제 2 소정시간을 특정하고, 제 2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높을수록 긴 제 3 소정시간을 특정하여도 된다.
이 구성을 가지는 급탕 시스템은 외기온도와 수돗물의 수온 중 적어도 한쪽의 온도에 기초하여 적절한 각 소정시간을 특정할 수 있다. 외기온도나 수돗물의 수온은 계절이나 지리적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그 때문에, 이 구성의 급탕 시스템은, 계절이나 지리적 상황에 적합한 제 1 히트펌프 작동시각 및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에 히트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계절이나 지리적 상황에 적합한 히트펌프 정지시각에 히트펌프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탕 시스템은 급탕개시시각,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 및 급탕종료시각의 3개의 시각에 있어서 적당량의 온수를 탱크에 저장해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급탕 시스템(2)은 탱크(10), 탱크수 순환로(20), 수돗물 도입로(30), 공급로(40), 히트펌프(50), 버너가열장치(60), 및 컨트롤러(100)를 구비한다.
히트펌프(50)는 외기로부터 흡열하여 탱크수 순환로(20)내의 물을 가열하는 열원이다. 히트펌프(50)는, 도시하지 않지만, 열매체(대체 프레온, 예를 들면 R410A 등)를 순환시키는 열매체 순환로와, 외기와 열매체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증발기와, 열매체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으로 하는 압축기와, 탱크수 순환로(20)내의 물과 고온고압의 열매체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을 끝낸 후의 열매체를 감압시켜 저온저압으로 하는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히트펌프(50)에는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센서(52)가 구비되어 있다.
탱크(10)는 히트펌프(5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저장한다. 탱크(10)는 밀폐형이며, 단열재에 의해 외측이 덮여 있다. 탱크(10)내에는 만수까지 물이 저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10)의 용량은 100L이다. 탱크(10)에는 서미스터(12, 14, 16, 18)가 탱크(10)의 높이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각 서미스터(12, 14, 16, 18)는 그 설치 위치의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각 서미스터(12, 14, 16, 18)는 각각 탱크(10)의 상부로부터 6L, 12L, 30L, 50L 위치의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탱크수 순환로(20)는 상류단이 탱크(10)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류단이 탱크(10)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탱크수 순환로(20)에는 순환펌프(22)가 개재되어 있다. 순환펌프(22)는 탱크수 순환로(20)내의 물을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송출한다. 또한, 탱크수 순환로(20)는 히트펌프(50)의 열교환기(도시 생략)를 통과하고 있다. 그 때문에,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키면, 탱크수 순환로(20)내의 물이 히트펌프(50)의 열교환기로 가열된다. 따라서, 순환펌프(22)와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키면, 탱크(10) 하부의 물이 히트펌프(50)로 가열되고, 가열된 물이 탱크(10)의 상부에 되돌려진다. 즉, 탱크수 순환로(20)는 탱크(10)에 축열하기 위한 수로이다. 또한, 탱크수 순환로(20)의 히트펌프(50)의 상류측에는 서미스터(24)가 개재되어 있다. 서미스터(24)는 탱크(10)의 하부로부터 도출되어 히트펌프(50)를 통과하기 전의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수돗물 도입로(30)는 상류단이 수돗물 공급원(31)에 접속되어 있다. 수돗물 도입로(30)에는 서미스터(32)가 개재되어 있다. 서미스터(32)는 수돗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수돗물 도입로(30)의 하류측은 제 1 도입로(30a)와 제 2 도입로(30b)로 분기되어 있다. 제 1 도입로(30a)의 하류단은 탱크(10)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도입로(30b)의 하류단은 후술하는 공급로(40)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도입로(30b)의 하류단과 공급로(40)의 접속 부분에는 혼합밸브(42)가 설치되어 있다. 혼합밸브(42)는 공급로(40)내를 흐르는 온수에 제 2 도입로(30b)내의 물을 혼합시키는 양을 조정한다.
공급로(40)는 상류단이 탱크(10)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로(40)의 도중에는 수돗물 도입로(30)의 제 2 도입로(30b)가 접속되어 있고, 접속 부분에는 혼합밸브(42)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도입로(30b)와의 접속부보다 하류측의 공급로(40)에는 버너가열장치(60)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버너가열장치(60)보다 하류측의 공급로(40)에는 서미스터(44)가 개재되어 있다. 서미스터(44)는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버너가열장치(60)는 서미스터(44)가 측정하는 온수의 온도가 급탕설정온도와 일치하도록 공급로(40)내의 물을 가열한다. 공급로(40)의 하류단은 온수이용개소(예를 들면 부엌, 욕조 등)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100)는 각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급탕 시스템(2)은 축열운전 및 급탕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각 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축열운전)
축열운전은 히트펌프(50)에서 생성된 열에 의해 탱크(10)내의 물을 가열하는 운전이다. 컨트롤러(100)에 의해 축열운전의 실행이 지시되면, 히트펌프(50)가 작동함과 아울러 순환펌프(22)가 회전한다. 순환펌프(22)가 회전하면, 탱크수 순환로(20)내를 탱크(10)내의 물이 순환한다. 즉, 탱크(1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이 탱크수 순환로(20)내에 도입되고, 도입된 물이 히트펌프(50)내의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에 열매체의 열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물이 탱크(10)의 상부에 되돌려진다. 이에 의해, 탱크(10)에 고온의 물이 저장된다. 탱크(10)의 상부에는 고온의 수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저온의 수층이 형성된다.
(급탕운전)
급탕운전은 탱크(10)내의 물을 온수이용개소에 공급하는 운전이다. 또한, 특히 온수이용개소가 욕조인 경우의 급탕운전을 이하에서는 「목욕물 받기 운전」이라고 한다. 급탕운전은 상기한 축열운전 중에도 실행할 수 있다. 온수이용개소의 급탕전이 열리면, 컨트롤러(100)는 수돗물 공급원(31)으로부터의 수압에 의해 수돗물 도입로(30)(제 1 도입로(30a))로부터 탱크(10)의 하부에 수돗물을 유입한다. 동시에 탱크(10) 상부의 온수가 공급로(40)를 통하여 온수이용개소에 공급된다.
컨트롤러(100)는, 탱크(10)로부터 공급로(40)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즉, 서미스터(12)의 측정온도)가 급탕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혼합밸브(42)를 열어 제 2 도입로(30b)로부터 공급로(40)에 수돗물을 도입한다. 따라서, 탱크(10)로부터 공급된 물과 제 2 도입로(30b)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이 공급로(40)내에서 혼합된다. 컨트롤러(100)는 온수이용개소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급탕설정온도와 일치하도록 혼합밸브(42)의 개도를 조정한다. 한편, 컨트롤러(100)는, 탱크(10)로부터 공급로(40)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급탕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버너가열장치(6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공급로(40)를 통과하는 물이 버너가열장치(60)에 의해 가열된다. 컨트롤러(100)는 온수이용개소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급탕설정온도와 일치하도록 버너가열장치(60)의 출력을 제어한다.
(특정 세대에 있어서의 급탕의 경향)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특정 세대의 생활 사이클을 24시간(1일) 단위로 보는 경우에 있어서의 특정 세대에서의 급탕의 경향을 설명한다. 도 2는 어느 1일 동안에 특정 세대에서 급탕이 행해지는 시간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컨트롤러(100)는 2:00를 시점으로 하는 24시간을, 1일을 특정하기 위한 단위시간으로 하고 있다.
특정 세대에서는 예를 들면 6:00∼7:00에 최초로 급탕이 행해진다(도 2의 예에서는 6:00). 최초의 급탕은 예를 들면 아침 식사 준비나 세면을 위한 급탕이다. 최초의 급탕에서는 5L∼20L 정도의 온수가 공급된다. 특정 세대에서는 예를 들면 11:00∼12:00에 두번째 급탕이 행해진다(도 2의 예에서는 11:00). 두번째 급탕은 예를 들면 점심 식사 준비를 위한 급탕이다. 두번째 급탕에서도 5L∼20L 정도의 온수가 공급된다. 특정 세대에서는 예를 들면 20:00에 세번째 급탕이 행해진다(도 2의 예에서는 20:00). 세번째 급탕은 욕조에 목욕물을 받는 운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세대는 매일 20:00에 목욕물 받기 운전을 개시하도록 미리 설정하고 있다. 목욕물 받기 운전에서는 150L∼180L 정도의 온수가 공급된다. 특정 세대에서는 예를 들면 23:00∼0:00에 마지막 급탕이 행해진다(도 2의 예에서는 대략 23:00). 마지막 급탕은 예를 들면 양치 등을 위한 급탕이다. 마지막 급탕에서는 5L∼10L 정도의 온수가 공급된다. 마지막 급탕은 0:00경에 종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00)는, 특정 세대에 있어서 급탕이 행해질 때마다 급탕이 개시된 시각과 급탕이 종료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와, 공급된 온수의 양을 나타내는 공급량 정보를 기억한다. 컨트롤러(100)는 1일분의 시각 정보 및 공급량 정보를 특정 세대의 1일분의 운전 이력으로서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00)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운전 이력을 기억한다.
(컨트롤러(100)가 24시간마다 행하는 처리)
계속해서, 컨트롤러(100)가 24시간마다(시각이 2:00가 될 때마다)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00)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운전 이력을 기억한다. 그 때문에, 컨트롤러(100)는 24시간마다 8일전의 운전 이력을 소거하고, 전날의 운전 이력을 새롭게 기억한다.
이어서, 컨트롤러(100)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운전 이력으로부터 과거 7일간에 있어서 최초의 급탕이 개시된 시각 중 가장 빠른 시각을 특정한다. 이하에서는 이 시각을 「급탕개시시각(S1)」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00)는 6:00를 급탕개시시각(S1)으로서 특정한다(도 2 참조).
또한, 컨트롤러(100)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운전 이력으로부터 과거 7일간에 있어서 목욕물 받기 운전이 개시된 시각 중 가장 빠른 시각을 특정한다. 이하에서는 이 시각을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이라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세대는 매일 20:00에 목욕물 받기 운전을 개시하도록 미리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00)는 20:00를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으로서 특정한다(도 2 참조).
또한, 컨트롤러(100)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운전 이력으로부터 과거 7일간에 있어서 마지막 급탕이 종료된 시각 중 가장 늦은 시각을 특정한다. 이하에서는 이 시각을 「급탕종료시각(G1)」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00)는 0:00를 급탕종료시각(G1)으로서 특정한다(도 2 참조).
또한, 컨트롤러(100)는, 서미스터(32)가 측정하는 온도(TW)(즉, 수돗물의 수온)에 기초하여 제 1 소정시간(α), 제 2 소정시간(β), 및 제 3 소정시간(γ)을 특정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TW)가 21℃ 이상인 경우, 컨트롤러(100)는 제 1 소정시간(α)으로서 「20분」을 특정한다. 온도(TW)가 13℃ 이상 21℃ 미만인 경우, 컨트롤러(100)는 제 1 소정시간(α)으로서 「30분」을 특정한다. 온도(TW)가 13℃ 미만인 경우, 컨트롤러(100)는 제 1 소정시간(α)으로서 「45분」을 특정한다. 컨트롤러(100)는 온도(TW)가 높을수록 제 1 소정시간(α)으로서 짧은 시간을 특정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TW)가 21℃ 이상인 경우, 컨트롤러(100)는 제 2 소정시간(β)으로서 「40분」을 특정한다. 온도(TW)가 13℃ 이상 21℃ 미만인 경우, 컨트롤러(100)는 제 2 소정시간(β)으로서 「50분」을 특정한다. 온도(TW)가 13℃ 미만인 경우, 컨트롤러(100)는 제 2 소정시간(β)으로서 「60분」을 특정한다. 컨트롤러(100)는 온도(TW)가 높을수록 제 2 소정시간(β)으로서 짧은 시간을 특정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TW)가 21℃ 이상인 경우, 컨트롤러(100)는 제 3 소정시간(γ)으로서 「80분」을 특정한다. 온도(TW)가 13℃ 이상 21℃ 미만인 경우, 컨트롤러(100)는 제 3 소정시간(γ)으로서 「50분」을 특정한다. 온도(TW)가 13℃ 미만인 경우, 컨트롤러(100)는 제 3 소정시간(γ)으로서 「40분」을 특정한다. 컨트롤러(100)는 온도(TW)가 높을수록 제 3 소정시간(γ)으로서 긴 시간을 특정한다.
그 다음에, 컨트롤러(100)는 급탕개시시각(S1)으로부터 특정된 제 1 소정시간(α)만큼 전의 시각인 제 1 히트펌프 작동시각(S0)을 특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00)는 제 1 히트펌프 작동시각(S0)이 도래하면, 후술하는 제 1 히트펌프 작동처리(도 3 참조)를 개시한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으로부터 특정된 제 2 소정시간(β)만큼 전의 시각인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B0)을 특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00)는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B0)이 도래하면, 후술하는 제 2 히트펌프 작동처리(도 4 참조)를 개시한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급탕종료시각(G1)으로부터 특정된 제 3 소정시간(γ)만큼 전의 시각인 히트펌프 정지시각(G0)을 특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 정지시각(G0)이 도래하면, 후술하는 히트펌프 정지 처리를 개시한다.
(제 1 히트펌프 작동처리)
도 3은 컨트롤러(100)가 실행하는 제 1 히트펌프 작동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히트펌프 작동시각(S0)이 도래하면, 컨트롤러(100)는 도 3의 처리를 개시한다. 우선, S10에서는,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히트펌프(50)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 컨트롤러(100)는 S10에서 YES라고 판단하고, S12를 스킵하여 S14에 진행한다. 한편, 히트펌프(50)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100)는 S10에서 NO라고 판단하고, S12에 진행한다.
S12에서는, 컨트롤러(100)는 서미스터(16)가 측정하는 온도(즉, 탱크(10)의 상부로부터 30L 위치의 수온)가 소정의 임계값(TA)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임계값(TA)은 「비등설정온도-10℃」이다. 비등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47℃이다. 그 때문에, 소정의 임계값(TA)은 예를 들면 37℃이다. S12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 적어도 탱크(10)의 상부로부터 30L 위치의 수온은 임계값(TA)(예를 들면 37℃)보다 높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탱크(10)의 상부에는 고온의 수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저온의 수층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S12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탱크(10)의 30L 위치로부터 탱크 상부까지의 사이에는 비등설정온도(예를 들면 47℃)에 가까운 고온의 온수가 저장되어 있다. 즉, S12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급탕개시시각(S1) 근방의 시각에 행해질 예정인 최초의 급탕에 필요한 양(5L∼20L 정도)의 온수가 탱크(10)내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S12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 S18에 진행한다. 한편, S12에서 NO라고 판단되는 경우, S14에 진행한다.
S14에서는, 컨트롤러(100)는 서미스터(24)가 측정하는 온도(즉, 탱크(10)의 하부로부터 도출되고, 히트펌프(50)를 통과하기 전의 물의 수온)가 소정의 임계값(TB)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임계값(TB)은 「비등설정온도-5℃」이다. 비등설정온도는 예를 들면 47℃이다. 그 때문에, 소정의 임계값(TB)은 예를 들면 42℃이다. S14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 탱크(10)의 하부에는 임계값(TB)(예를 들면 42℃)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즉, 탱크(10)내의 거의 전체에 비등설정온도에 가까운 고온의 온수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탱크(10)의 상태를 「만축(滿蓄) 상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S14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 S18에 진행한다. 한편, S14에서 NO라고 판단되는 경우, S16에 진행한다.
S16에서는,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킨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순환펌프(22)를 회전시킨다. 즉, 컨트롤러(100)는 상기한 축열운전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탱크(1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이 탱크수 순환로(20)내에 도입되고, 도입된 물이 히트펌프(50)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물이 탱크(10)의 상부에 되돌려진다. 이에 의해, 탱크(10)에 고온의 물이 저장된다. 또한, S16의 시점에서 이미 히트펌프(50) 및 순환펌프(22)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 및 순환펌프(22)를 계속해서 작동시킨다. S16을 끝내면, S10에 되돌아가서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100)는 S10에서 YES라고 판단하고, S14에 진행한다. 즉, S16에서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킨 후에는, 컨트롤러(100)는 서미스터(24)가 측정하는 온도가 소정의 임계값(TB)보다 높아지는 것(즉, 탱크(10)가 만축 상태가 되는 것)을 감시한다. 서미스터(24)가 측정하는 온도가 소정의 임계값(TB)보다 높아지는 경우(S14에서 YES), S18에 진행한다.
S18에서는,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 및 순환펌프(22)를 정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S12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탱크(10)내에는 이미 최초의 급탕에 필요한 양(5L∼20L 정도)의 온수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S14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탱크(10)가 만축 상태이며, 탱크(10)내에는 당연히 최초의 급탕에 필요한 양(5L∼20L 정도)의 온수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S18을 끝내면, S10에 되돌아가서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100)는 S10에서 NO라고 판단하고, S12에 진행한다. 즉, S18에서 히트펌프(50)를 정지시킨 후에는, 컨트롤러(100)는 서미스터(16)가 측정하는 온도가 소정의 임계값(TA) 이하가 되는 것(즉, S12에서 NO가 되는 것)을 감시한다. 서미스터(16)가 측정하는 온도가 소정의 임계값(TA) 이하가 되는 경우(S12에서 NO), 다시 S14에 진행한다.
도 3의 제 1 히트펌프 작동처리를 개시한 후, 급탕개시시각(S1) 근방의 시각에 최초의 급탕운전이 실행되면, 탱크(10) 상부의 온수가 공급로(40)를 통하여 온수이용개소에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에서는, 급탕개시시각(S1)에 있어서 탱크(10)내에 급탕에 필요한 양의 온수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즉, 제 1 소정시간(α)은 그 시간 동안만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킴으로써, 급탕개시시각(S1)의 시점에서 탱크(10)내에 급탕에 필요한 양의 온수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시간이다.
(제 2 히트펌프 작동처리)
도 4는 컨트롤러(100)가 실행하는 제 2 히트펌프 작동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B0)이 도래하면, 컨트롤러(100)는 도 4의 처리를 개시한다. 우선, S30에서는, 컨트롤러(100)는 서미스터(24)가 측정하는 온도(즉, 탱크(10)의 하부로부터 도출되고, 히트펌프(50)를 통과하기 전의 물의 수온)가, 소정의 임계값(TB)보다 높은지의 여부(즉, 탱크(10)가 만축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30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 S38에 진행한다. 한편, S30에서 NO라고 판단되는 경우, S32에 진행한다.
S32에서는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킨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순환펌프(22)를 회전시킨다. 즉, 컨트롤러(100)는 상기한 축열운전을 개시한다. 또한, S32의 시점에서 이미 히트펌프(50) 및 순환펌프(22)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 및 순환펌프(22)를 계속해서 작동시킨다. S32를 끝내면, S34에 진행한다.
한편, S38에서는 히트펌프(50) 및 순환펌프(22)를 정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S30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탱크(10)는 만축 상태이다. 그 때문에, 그 이상, 히트펌프(50) 및 순환펌프(22)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S38을 끝내면, S34에 진행한다.
S34에서는, 컨트롤러(100)는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이 도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34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 S36에 진행하여 목욕물 받기 처리(도 4 참조)를 개시한다. 한편, S34에서 NO인 경우, S30에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제 2 히트펌프 작동처리가 개시된 시점에서, 탱크(10)내에 비등설정온도의 온수가 충분히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서미스터(12)의 측정온도가 급탕설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한 S32에서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킨 후, 탱크(10)가 만축 상태가 되기 전에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이 도래한다(S34에서 YES). 즉,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00)는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B0)에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키면(S32),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에 있어서 서미스터(24)가 측정하는 온도가 소정의 임계값(TB) 미만이 되도록 제 2 소정시간(β)을 특정하고 있다.
(목욕물 받기 처리)
상기한 바와 같이,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이 도래하면, S36에 있어서 컨트롤러(100)는 목욕물 받기 처리를 개시한다. 도 5는 목욕물 받기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이 도래하면, 자동적으로 목욕물 받기 처리가 개시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변형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목욕물 받기 개시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 목욕물 받기 처리를 개시하여도 된다.
도 5의 S50에서는, 컨트롤러(100)는 목욕물 받기 운전을 개시한다. 즉, 컨트롤러(100)는 욕조의 급탕전을 열고, 욕조에 대한 온수 공급을 개시한다. 이어서, S52에서는,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이 도래한 시점에서 탱크(10)가 만축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히트펌프(50)는 계속해서 작동하고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00)는 S52에서 YES라고 판단하고, S58에 진행한다. 한편,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이 도래한 시점에서, 탱크(10)가 만축 상태인 경우에는 히트펌프(50)는 정지하고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00)는 S52에서 NO라고 판단하고, S54에 진행한다.
S54에서는, 컨트롤러(100)는 서미스터(16)가 측정하는 온도가 소정의 임계값(TA) 이하가 되는 것을 감시한다. S54에서 YES인 경우, S56에 진행한다. S54에서 YES인 경우, 목욕물 받기 운전의 결과, 탱크(10)내에 저장되어 있던 온수(임계값(TA)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의 양이 나머지 30L 이하까지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 S56에서는,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순환펌프(22)를 회전시킨다.
계속되는 S58에서는, 컨트롤러(100)는, 서미스터(12)가 측정하는 온도(즉, 탱크(10)의 상부로부터 6L 위치의 수온)가 급탕설정온도 이하가 되는 것을 감시한다. S58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탱크(10)내에 저장되어 있던 온수(급탕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의 양이 나머지 6L 이하까지 감소한 것을 의미한다.이하에서는, 이 상태를 「목욕물 부족 상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목욕물 받기 운전에 있어서 150L∼180L의 온수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10)의 용량이 100L이기 때문에, 목욕물 받기 운전 도중에 반드시 목욕물 부족 상태(S58에서 YES)가 발생한다. S58에서 YES라고 판단되는 경우(즉, 목욕물 부족 상태의 경우), S60에 진행한다.
S60에서는, 컨트롤러(100)는 버너가열장치(60)를 작동시킨다. 또한, 이 경우에도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 및 순환펌프(22)를 계속해서 작동시킨다. 그 결과, 욕조에는 히트펌프(50) 및 버너가열장치(60)로 가열된 온수가 공급된다.
이어서, S62에서는, 컨트롤러(100)는 목욕물 받기 운전이 완료되는 것을 감시한다. 소정량(예를 들면 150L)의 온수를 욕조에 모두 공급하면, 컨트롤러(100)는 S62에서 YES라고 판단하고, S64에 진행한다.
S64에서는, 컨트롤러(100)는 S60에서 작동시킨 버너가열장치(60)를 정지시킨다. 또한, 이 경우에도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50) 및 순환펌프(22)를 소정시간 계속해서 작동시킨다. S64를 끝내면, 도 5의 목욕물 받기 처리가 종료된다. 동시에 도 4의 처리도 종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에서는,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에 있어서 탱크(10)내에 목욕물을 받기 위해서 필요한 양의 일부의 온수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즉, 제 2 소정시간(β)은 그 시간 동안만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킴으로써,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의 시점에서 탱크(10)내에 필요한 양의 온수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시간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00)는,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B0)에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키면(S32),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에 있어서 서미스터(24)가 측정하는 온도가 소정의 임계값(TB) 미만이 되도록 제 2 소정시간(β)을 특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이 도래한 시점에서 탱크(10)가 만축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욕조에 온수 공급을 개시한 후에도(도 5의 S50) 히트펌프(50)를 계속해서 작동시킨다(도 5의 S52에서 YES). 이 경우, 히트펌프(50)로 물을 가열하여 탱크(10)에 저장하면서 욕조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에 있어서 히트펌프(50)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도 5의 S52에서 NO), 나중에 히트펌프(50)를 재차 작동시킬 필요가 있어 시간이 걸린다(도 5의 S56). 또한,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에 있어서 히트펌프(50)가 계속해서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도 5의 S52에서 YES),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에 있어서 히트펌프(50)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도 5의 S52에서 NO)와 비교하여, 히트펌프(50)의 정지 및 재작동이 자주 행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히트펌프(50)의 정지 및 재작동에 의한 낭비를 줄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히트펌프(50)의 내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히트펌프 정지처리)
히트펌프 정지시각(G0)이 도래하면,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 정지처리(도시 생략)를 개시한다. 즉,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 정지시각(G0)의 시점에서 히트펌프(50)가 작동중인 경우, 히트펌프(50)를 정지시킨다. 또한, 히트펌프(50)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100)는 그대로 히트펌프(50)를 정지시켜 둔다. 컨트롤러(100)는, 히트펌프 정지시각(G0)에서 히트펌프(50)를 정지시키면, 다음날까지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그 후, 급탕종료시각(G1) 근방의 시각에 마지막 급탕운전이 종료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에서는, 급탕종료시각(G1)에 있어서 탱크(10)내에 과잉의 온수를 저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3 소정시간(γ)은 그 시간 동안에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급탕종료시각(G1)의 시점에서 탱크(10)내에 과잉의 온수를 저장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시간이다.
이상,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특정 세대에 있어서 온수가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급탕개시시각과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 및 그 이후에 온수가 필요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은 급탕종료시각의 3개의 시각에 주목하고, 이 3개의 시각에 있어서 적당량의 온수를 탱크에 저장해 두도록 제어를 행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종래와 같이, 온수가 필요하게 되는 모든 시간대에 대하여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한 급탕 시스템(2)에서는, 24시간(1일)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한 제어에 의해 적당량의 온수를 탱크에 저장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서미스터(32)가 측정하는 온도(TW)(즉, 수돗물의 수온)에 기초하여 제 1 소정시간(α), 제 2 소정시간(β), 및 제 3 소정시간(γ)을 적절히 특정할 수 있다. 수돗물의 수온은 계절이나 지리적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수돗물의 수온이 낮아지는 경우(예를 들면 겨울), 탱크(10)에 급탕에 필요한 양의 온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히트펌프(50)를 비교적 장시간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서미스터(32)가 측정하는 온도(TW)가 낮은 경우, 비교적 긴 제 1 소정시간(α) 및 제 2 소정시간(β)을 특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돗물의 수온이 낮아지는 경우, 급탕종료시각(G1)에 있어서 필요하게 되는 온수의 가열량은 수돗물의 수온이 높은 경우에 비하여 많아지는 것이 예상된다.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서미스터(32)가 측정하는 온도(TW)가 낮은 경우, 비교적 짧은 제 3 소정시간(γ)을 특정할 수 있다.
반대로, 수돗물의 수온이 높아지는 경우(예를 들면 여름), 탱크(10)에 급탕에 필요한 양의 온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히트펌프(50)를 비교적 단시간 작동시키면 된다.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서미스터(32)가 측정하는 온도(TW)가 높은 경우, 비교적 짧은 제 1 소정시간(α) 및 제 2 소정시간(β)을 특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돗물의 수온이 높아지는 경우, 급탕종료시각(G1)에 있어서 필요하게 되는 온수의 가열량은 수돗물의 수온이 낮은 경우에 비하여 적어지는 것이 예상된다.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서미스터(32)가 측정하는 온도(TW)가 높은 경우, 비교적 긴 제 3 소정시간(γ)을 특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제 1 소정시간(α), 제 2 소정시간(β), 및 제 3 소정시간(γ)을 적절히 특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급탕 시스템(2)은, 계절이나 지리적 상황에 적합한 제 1 히트펌프 작동시각(S0) 및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B0)에 히트펌프(50)를 작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계절이나 지리적 상황에 적합한 히트펌프 정지시각(G0)에 히트펌프(5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탕 시스템(2)은 급탕개시시각(S1),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 및 급탕종료시각(G1)의 3개의 시각에 있어서 적당량의 온수를 탱크(10)에 저장해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서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변형예 1) 컨트롤러(100)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운전 이력으로부터, 과거 7일간에 있어서 최초로 급탕이 개시된 시각의 평균 시각을 급탕 개시시기(S1)로서 특정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컨트롤러(100)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운전 이력으로부터, 과거 7일간에 있어서 목욕물 받기가 개시된 시각의 평균 시각을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B1)으로서 특정하여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운전 이력으로부터, 과거 7일간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급탕운전이 종료된 시각의 평균 시각을 급탕종료시각(G1)으로서 특정하여도 된다.
(변형예 2) 컨트롤러(100)는, 온도(TW)가 높아질수록 짧은 시간을 특정하는 것이면,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 1 소정시간(α)을 특정하여도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컨트롤러(100)는 온도(TW)를 이용하여 소정의 계산을 행하여 제 1 소정시간(α)을 산출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컨트롤러(100)는 온도(TW)가 높아질수록 짧은 시간을 특정하는 것이면,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 2 소정시간(β)을 특정하여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온도(TW)가 높아질수록 긴 시간을 특정하는 것이면,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 3 소정시간(γ)을 특정하여도 된다.
(변형예 3) 컨트롤러(100)는, 서미스터(32)가 측정하는 수온(TW) 대신에 외기온도센서(52)가 측정하는 외기온도에 기초하여 제 1 소정시간(α), 제 2 소정시간(β), 제 3 소정시간(γ)을 특정하여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서미스터(32)가 측정하는 수온과 외기온도센서(52)가 측정하는 외기온도에 기초하여 제 1 소정시간(α), 제 2 소정시간(β), 제 3 소정시간(γ)을 특정하여도 된다.
2 - 급탕 시스템 10 - 탱크
12 - 서미스터 14 - 서미스터
16 - 서미스터 18 - 서미스터
20 - 탱크수 순환로 22 - 순환펌프
24 - 서미스터 30 - 수돗물 도입로
30a - 제 1 도입로 30b - 제 2 도입로
31 - 수돗물 공급원 32 - 서미스터
40 - 공급로 42 - 혼합밸브
44 - 서미스터 50 - 히트펌프
52 - 외기온도센서 60 - 버너가열장치
100 - 컨트롤러

Claims (3)

  1. 급탕 시스템으로서,
    외기로부터 흡열하는 히트펌프와,
    히트펌프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탱크와,
    탱크내의 온수를 온수이용개소에 공급하는 공급로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과거의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 온수 공급이 개시된 시각과 온수 공급이 종료된 시각 중 적어도 한쪽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기억하고,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과거의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 최초의 급탕이 개시된 시각 중 가장 빠른 시각을,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최초의 온수 공급이 개시되어야 할 급탕개시시각으로서 특정하고, 급탕개시시각보다 나중의 시각이며,
    과거의 소정 시간내에 있어서 욕조의 목욕물 받기 운전이 개시된 시각 중 가장 빠른 시각을,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 욕조에 소정량의 온수 공급이 개시되어야 할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으로서 특정하고, 과거의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 최후의 급탕이 종료한 시각 중 가장 늦은 시각을,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마지막 온수 공급이 종료되어야 할 급탕종료시각으로서 특정하고,
    급탕개시시각보다 제 1 소정시간만큼 전의 시각인 제 1 히트펌프 작동시각에 히트펌프를 작동시키고,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보다 제 2 소정시간만큼 전의 시각인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에 히트펌프를 작동시키고,
    급탕종료시각보다 제 3 소정시간만큼 전의 시각인 히트펌프 정지시각에, 히트펌프가 작동중인 경우에 히트펌프를 정지시키는 급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탱크 하부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측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제 1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히트펌프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제 2 히트펌프 작동시각에 히트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목욕물 받기 개시시각에 있어서 제 1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이 되도록 제 2 소정시간을 특정하는 급탕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외기온도와 수돗물의 수온 중 적어도 한쪽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측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제 2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높을수록 짧은 제 1 소정시간을 특정하고,
    제 2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높을수록 짧은 제 2 소정시간을 특정하고,
    제 2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높을수록 긴 제 3 소정시간을 특정하는 급탕 시스템.
KR1020130040523A 2012-04-20 2013-04-12 급탕 시스템 KR101467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6395 2012-04-20
JP2012096395A JP5899037B2 (ja) 2012-04-20 2012-04-20 給湯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776A KR20130118776A (ko) 2013-10-30
KR101467089B1 true KR101467089B1 (ko) 2014-12-01

Family

ID=4959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523A KR101467089B1 (ko) 2012-04-20 2013-04-12 급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99037B2 (ko)
KR (1) KR101467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2537B (zh) * 2013-11-01 2016-09-2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热水机的恒温补水控制方法及系统
KR101607019B1 (ko) * 2014-10-23 2016-03-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JP6594094B2 (ja) * 2015-08-07 2019-10-23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6594093B2 (ja) * 2015-08-07 2019-10-23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6507954B2 (ja) * 2015-09-08 2019-05-08 株式会社デンソー 給湯装置
JP6539572B2 (ja) * 2015-11-26 2019-07-03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6531035B2 (ja) * 2015-11-27 2019-06-12 リンナイ株式会社 熱機器
JP6628643B2 (ja) * 2016-03-04 2020-01-15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6628642B2 (ja) * 2016-03-04 2020-01-15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6811050B2 (ja) * 2016-07-26 2021-01-13 リンナイ株式会社 熱機器
JP6741524B2 (ja) * 2016-08-26 2020-08-19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2018096658A (ja) * 2016-12-16 2018-06-21 株式会社デンソー 給湯装置
JP6902405B2 (ja) * 2017-06-14 2021-07-14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7161882B2 (ja) * 2017-09-20 2022-10-27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6913584B2 (ja) * 2017-09-25 2021-08-04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6986412B2 (ja) * 2017-10-18 2021-12-22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6963969B2 (ja) * 2017-10-31 2021-11-10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JP7116907B2 (ja) * 2018-03-26 2022-08-12 株式会社ノーリツ 貯湯給湯システム
JP7217102B2 (ja) * 2018-07-27 2023-02-02 リンナイ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
CN110207403A (zh) * 2019-06-05 2019-09-06 广东信合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热水器智能控制方法及控制电路板
CN110398063B (zh) * 2019-07-05 2021-06-22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热水器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398067B (zh) * 2019-07-05 2022-07-15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热水器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486929B (zh) * 2019-09-27 2024-03-22 中山市共智新能源科技有限公司 相变热水器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9701A (ja) * 2009-10-22 2011-05-06 Rinnai Corp 給湯システム
JP2011242040A (ja) * 2010-05-17 2011-12-01 Sharp Corp 給湯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5470A (ja) * 1994-11-25 1996-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貯湯式電気温水器
JP2006010284A (ja) * 2004-06-29 2006-01-1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ヒートポンプ給湯機
JP2007285607A (ja) * 2006-04-17 2007-11-01 Denso Corp 貯湯式給湯装置
JP4879287B2 (ja) * 2009-01-29 2012-02-22 三菱電機株式会社 貯湯式給湯システム
JP5225444B2 (ja) * 2011-09-13 2013-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貯湯式給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9701A (ja) * 2009-10-22 2011-05-06 Rinnai Corp 給湯システム
JP2011242040A (ja) * 2010-05-17 2011-12-01 Sharp Corp 給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99037B2 (ja) 2016-04-06
JP2013224762A (ja) 2013-10-31
KR20130118776A (ko)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089B1 (ko) 급탕 시스템
KR101572439B1 (ko) 급탕 시스템
JP5724418B2 (ja) 給湯装置及びその加熱処理実行方法
JP4324154B2 (ja) 貯湯式給湯装置
KR20170061596A (ko) 급탕시스템
JP2007285659A (ja) 給湯装置
JP2009150639A (ja) 給湯装置
JP2010007891A (ja) ヒートポンプ貯湯式給湯暖房装置
JP5192406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の沸き上げ目標温度決定方法
JP2017036842A (ja) 給湯システム
JP2013032863A (ja) 給湯装置
JP7161882B2 (ja) 給湯システム
JP6164241B2 (ja) 給湯装置
JP2015038397A (ja) 給湯システム
JP2007085651A (ja) 貯湯式給湯機
JP6594094B2 (ja) 給湯システム
JP6594093B2 (ja) 給湯システム
JP2013036708A (ja) 給湯装置
JP3857951B2 (ja) 風呂装置
CN102016439A (zh) 热泵热水器
JP2014173808A (ja) 給湯装置
JP6111409B2 (ja) 給湯装置
JP2013181686A (ja) 給湯装置
JP7217102B2 (ja) 給湯システム
JP2012215361A (ja) 貯湯式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