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019B1 -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019B1
KR101607019B1 KR1020140144158A KR20140144158A KR101607019B1 KR 101607019 B1 KR101607019 B1 KR 101607019B1 KR 1020140144158 A KR1020140144158 A KR 1020140144158A KR 20140144158 A KR20140144158 A KR 20140144158A KR 101607019 B1 KR101607019 B1 KR 101607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mode
time
controller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지카마와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24D3/082Hot water storage tan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6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regulation in func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7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the system uses a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counting of energy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8Storage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과제)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적절하게 억제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급탕난방장치(10)의 컨트롤러(14)는, 학습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할 경우에는, 과거의 소정기간 내에 있어서의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 열원을 동작시키는 동작시간을 특정하고, 특정된 동작시간의 사이에 열원을 동작시킨다. 컨트롤러(14)는 예약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할 경우에는, 설정된 예약시각까지 저탕 탱크(30) 내에 온수가 저류되도록 열원을 동작시킨다. 컨트롤러(14)는 학습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안에,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되는 상태, 또는,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가, 소정회수 발생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관련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저탕식 온수공급장치{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DEV1CE}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저탕식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히트펌프유닛과 저탕 탱크와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저탕식 온수공급급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저탕식 온수공급장치에서는, 제어장치는 이하의 학습 제어를 실행한다. 즉, 우선, 제어장치는 단위시간(예를 들면 24시간) 내에 있어서, 출탕이 실행되었을 때의 출탕량, 출탕시간 등을 출탕데이터로서 기억한다. 제어장치는 기억된 과거의 소정기간(예를 들면 7일간)분의 출탕데이터로부터 당일의 대출탕(大出湯)의 출탕시각 및 출탕량을 예측하여, 그 예측된 대출탕의 출탕전에 히트펌프유닛을 동작시키고, 히트펌프유닛에서 비등한 탕수를 저탕 탱크에 저탕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7-285607호 공보
상기의 저탕식 온수공급장치에서는, 제어장치는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도래했을 때에, 당일의 대출탕의 출탕시각 및 출탕량의 예측을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의 저탕식 온수공급장치에서는,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될 경우(즉, 출탕이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을 넘어서 실행될 경우) 및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될 경우(즉, 히트펌프유닛에 의한 비등이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을 넘어서 실행될 경우)에는, 상기의 예측이 정확하게 실행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제어장치는 단위시간의 전체 기간에 있어서 계속하여 히트펌프유닛에 의한 비등을 실행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저탕 탱크 내의 탕수의 양이 감소될 때마다 히트펌프유닛에 의한 비등이 실행된다. 그 결과,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가 커지고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적절하게 억제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저탕식 온수공급장치는 전기와 가스의 적어도 하나를 소비함으로써 물을 가열하는 열원과, 열원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를 저류하는 탱크와, 탱크 내의 온수를 온수이용개소로 공급하는 공급로와, 학습모드와 예약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는 학습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과거의 소정기간 내에 있어서의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 열원을 동작시키는 동작시간을 특정하고, 특정된 동작시간의 사이에 열원을 동작시킨다. 컨트롤러는 예약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할 경우에는, 설정된 예약시각까지 탱크 내에 온수가 저류되도록 열원을 동작시킨다. 컨트롤러는 학습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안에,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되는 상태, 또는,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가, 제 1 소정회수 발생하는 제 1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관련되는 전환관련처리를 실행한다.
학습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상기의 저탕식 온수공급장치에서는, 학습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안에,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되는 상태, 또는,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가 발생할 경우, 컨트롤러가 단위시간에 있어서 열원을 동작시키는 동작시간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 단위시간의 전체 기간에 있어서 계속하여 열원을 동작시키는 제어가 실행되어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 점, 상기의 저탕식 온수공급장치에서는, 컨트롤러는 상기의 제 1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관련되는 전환관련처리를 실행한다. 전환관련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약모드에서는 학습모드와 달리, 컨트롤러는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열원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시간을 특정할 필요는 없다. 그로 인해, 제어모드가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되면, 단위시간의 전체 기간에 있어서 계속하여 열원을 동작시키는 제어가 실행되는 것이 없어진다. 따라서, 상기의 저탕식 온수공급장치에 따르면,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리모컨(12)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학습모드에 있어서의 출탕시간과 축열운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1).
도 4는 학습모드에 있어서의 출탕시간과 축열운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2).
도 5는 학습모드에 있어서의 출탕시간과 축열운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3).
도 6은 예약모드에 있어서의 출탕시간과 축열운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컨트롤러(14)가 실행하는 자동변경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을 열기(列記)하여 둔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기술 요소는 각각 독립된 기술 요소로서, 단독으로 혹은 각종의 조합에 의해서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며, 출원시 청구항 기재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징 1)
사용자가 제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수단과, 통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관련처리는, 사용자에 대해서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촉구하는 통지를 통지수단에 실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통지수단에 의한 통지를 받은 사용자가, 설정수단에 있어서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면, 비교적 조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특징 2)
전환관련처리는 제 1 상황이 발생하고 나서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저탕식 온수공급장치는 적절한 타이밍으로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학습모드가 장기간 계속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징 3)
전환관련처리는 제 1 상황이 발생한 후에, 또한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되는 상태, 또는,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가 제 2 소정회수 발생하는 제 2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경우도, 저탕식 온수공급장치는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학습모드가 장기간 계속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는 급탕과 난방의 양자를 실행하는 열공급장치이다. 급탕난방장치(10)는 주로, 히트펌프(40)와, 급탕난방유닛 (50)과, 저탕 탱크(30)와, 난방단말(70)과, 컨트롤러(14)와, 리모컨(12)을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14)는 히트펌프(40) 및 급탕난방유닛(50)을 포함하는 급탕난방장치(1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컨트롤러(14)는 하나의 독립된 유닛은 아니고, 히트펌프(40)나 급탕난방유닛(50)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전자제어유닛과, 각 배관에 배치된 각종의 센서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각종의 센서에는 온도센서 및 유량센서가 포함된다.
저탕 탱크(30)는 온수를 저류하는 밀폐 용기이다. 저탕 탱크(30)의 용량은 일례이지만 50리터이다. 저탕 탱크(30)에는 저탕 탱크(30)에 상수(上水)를 공급하는 급수관(28)과, 저탕 탱크(30)로부터 온수를 출탕하는 출탕관(22)이 접속되어 있다. 출탕관(22)은 급탕난방유닛(50)에 접속되어 있으며, 저탕 탱크(30)로부터의 온수를 급탕난방유닛(50)으로 보낸다. 저탕 탱크(30)에는 복수의 온도센서(도시생략)가 높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온도센서는 컨트롤러(14)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들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컨트롤러(14)는 저탕 탱크(30) 내의 온수온도 및 온수량(즉 열량)을 파악할 수 있다.
출탕관(22)에는 급수 바이패스관(26)을 통해서 급수관(28)이 접속되어 있다. 급수 바이패스관(26)은 출탕관(22)의 온수에 급수관(28)의 상수를 혼합한다. 급수 바이패스관(26)과 출탕관(22)의 접속위치에는 급탕측 혼합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급탕측 혼합밸브(24)는 컨트롤러(14)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동작은 컨트롤러 (14)에 의해서 제어된다. 컨트롤러(14)는 급탕측 혼합밸브(24)를 제어함으로써, 저탕 탱크(30)로부터의 출탕온도를 사용자가 지정한 설정온도까지 저하시킬 수 있다.
히트펌프(40)는 전기식 열원의 일종이다. 히트펌프(40)에는 상용전원이 공급된다. 히트펌프(40)는 대기 중에서 채열하여 저탕 탱크(30)의 온수를 가열한다. 히트펌프(40)는 축열 이송관(32)과 축열 리턴관(34)을 통하여 저탕 탱크(30)에 접속되어 있다. 저탕 탱크(30)의 온수는 축열 이송관(32)을 통해서 히트펌프(40)로 보내진다. 보내진 온수는 히트펌프(40)에 있어서 가열된 후에, 축열 리턴관(34)을 통해서 저탕 탱크(30)로 되돌려진다. 그에 따라, 저탕 탱크(30)에 온수가 저류된다. 또한, 저탕 탱크(30)의 온수는 히트펌프(40)에만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급탕난방유닛(50)이나, 연료전지, 발전기, 태양광, 전기히터라고 하는 다른 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급탕난방유닛(50)은 가스식 열원의 일종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탕난방유닛(50)에는 출탕관(22)을 통해서 저탕 탱크(30)로부터의 온수가 보내진다. 사용자가 지정한 설정온도에 대해서, 저탕 탱크(30)로부터의 온수온도가 낮은 경우, 급탕난방유닛(50)은 버너(도시생략)를 점화하여 해당 온수를 가열한다. 가열된 온수는 급탕관(16)을 통해서 수도전(카란) 등의 온수이용개소로 공급된다. 혹은, 욕조 공급관(84)을 통해서 욕조(90)로 공급된다. 즉, 욕조(90)도 온수이용개소의 하나이다.
급탕관(16)에는 급탕 바이패스관(18)을 통해서 출탕관(22)이 접속되어 있다. 급탕 바이패스관(18)은 출탕관(22)의 온수를 급탕관(16)으로 직접적으로 보낼 수 있다. 또, 급탕 바이패스관(18)에는 바이패스제어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제어밸브(20)는 컨트롤러(14)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동작은 컨트롤러(14)에 의해서 제어된다. 급탕난방유닛(50)에서의 가열이 불필요하면, 컨트롤러(14)는 바이패스제어밸브(20)를 개방하고, 급탕난방유닛(50)을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급탕난방유닛(50)에서의 쓸데없는 방열을 피할 수 있다. 또, 컨트롤러(14)는 바이패스제어밸브(20)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온수의 일부를 급탕난방유닛(50)으로 보냄과 아울러, 다른 부분은 급탕난방유닛(50)을 바이패스시키는 것에 의해, 급탕 온도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급탕난방유닛(50)은 욕조(90)의 온수를 순환 가열(재가열, 보온)할 수도 있다. 급탕난방유닛(50)은 욕조 리턴관(82)과 욕조 공급관(84)을 통하여, 욕조(90)에 접속되어 있다. 욕조(90)의 온수는 욕조 리턴관(82)을 통해서 급탕난방유닛(50)으로 보내지고, 급탕난방유닛(50)에 있어서 가열된 후에, 욕조 공급관(84)을 통해서 욕조(90)로 되돌려진다. 온수의 순환은 급탕난방유닛(50)의 욕조 펌프(도시생략)에 의해서 실행된다. 또한, 급탕난방장치(10)의 내부에 있어서, 욕조(90)의 온수를 순환시키는 경로는, 위생면을 고려하여 상기한 급탕관(16)에 연결되는 경로와는 독립해서 설치되어 있다.
급탕난방유닛(50)은 난방단말(70)에 접속되어 있으며, 가열한 난방용 열매를 난방단말(70)로 보낸다. 난방단말(70)이란, 일례이지만, 온수바닥난방패널이나 욕실난방기이다. 또, 난방용 열매는, 일례이지만, 부동액이다. 또한, 부동액 등의 난방용 열매는 엄밀하게는 물(상수)과는 다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부동액 등의 난방용 열매도 열원{급탕난방유닛(50)}에 의해서 가열되는 물의 일종으로서 취급한다. 난방용 열매는 급탕난방유닛(50)의 버너에 의해 가열된 후, 난방 이송관 (60)을 통해서 난방단말(70)로 보내진다. 난방단말(70)에서 방열한 난방용 열매는 제 1 난방 리턴관(62)을 통해서 히트펌프(40)로 보내진 후, 제 2 난방 리턴관(64)을 통해서 급탕난방유닛(50)으로 되돌려진다. 즉, 히트펌프(40)에 있어서 난방용 열매의 1차 가열이 실행된다. 또한, 제 2 난방 리턴관(64)에는 난방 바이패스관 (66)을 통해서 제 1 난방 리턴관(62)이 접속되어 있다. 난방 바이패스관(66)과 제 2 난방 리턴관(64)의 접속위치에는 난방측 혼합밸브(68)가 설치되어 있다. 난방측 혼합밸브(68)는 컨트롤러(14)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동작은 컨트롤러(14)에 의해서 제어된다. 예를 들면 히트펌프(40)의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14)는 난방측 혼합밸브(68)를 제어함으로써, 난방단말(70)로부터의 난방용 열매를 급탕난방유닛(50)에 직접적으로 되돌려 보낼 수 있다.
도 2는 리모컨(12)을 나타낸다. 리모컨(12)은 사용자가 각종의 조작을 실행하는 조작단말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모컨(12)은 전원버튼(102) 및 체크버튼(104)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버튼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원버튼(102)을 누르면, 급탕난방장치(10)의 전원이 온(ON)된다. 재차, 사용자가 전원버튼(102)을 누르면, 급탕난방장치(10)의 전원이 오프(OFF)된다. 그 밖에, 사용자는 리모컨(12)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현재시각의 설정, 급탕설정온도의 지정, 욕조(90)로의 자동급탕(이른바 탕수공급) 및 그 설정온도 및 설정 탕수량의 지정, 욕조(90)의 온수의 가열(이른바 재가열), 다른 리모컨(도시생략)과의 사이에서의 통화라고 하는 각종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체크버튼(104)은 후술하는 조언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조작버튼이다.
리모컨(12)은 표시패널(100)을 가지고 있다. 표시패널(100)은 일례이지만, 액정패널이다. 표시패널(100)은 현재시각, 온수의 설정온도(급탕설정온도, 욕조설정온도, 반신욕 설정온도), 2개의 열원{히트펌프(40) 및 급탕난방유닛(50)}의 가동 상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급탕난방장치(10)의 전원을 오프하는 조작을 실행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리모컨(12)의 체크버튼(104)을 누른 경우에, 컨트롤러(14)는 표시패널(100)에 조언정보를 표시시킨다. 조언정보는 컨트롤러(14) 내의 메모리(도시생략)에 기억되어 있다. 조언정보의 내용은 나중에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급탕난방장치 (10)의 전원을 오프하는 조작, 및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12)의 체크버튼(104)을 누르는 조작을 일괄로 「표시허가」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급탕난방장치(10)의 제어모드}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는 학습모드와 예약모드의 2개의 제어모드에 따라서 운전 가능하다. 사용자는 리모컨(12)을 조작하여 학습모드와 예약모드의 2개의 제어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러(14)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제어모드에 따라서, 급탕난방장치(10)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학습모드)
학습모드는 과거의 소정기간 내(예를 들면 7일간)에 있어서의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 열원{히트펌프(40) 및 급탕난방유닛(50)}을 동작시키는 동작시간을 특정하고, 특정된 동작시간의 사이에 열원을 동작시키는 제어모드이다. 사용자에 의해서 학습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14)는 급탕이 실행될 때마다, 급탕이 개시된 시각 및 급탕이 종료된 시각(이하에서는 「시각정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과, 공급된 온수의 양(이하에서는 「공급량 정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을 기억한다. 컨트롤러(14)는 1일분 (24시간분)의 시각정보 및 공급량 정보를 1일분의 출탕이력정보로서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4)는 급탕난방장치(10)가 설치된 세대(이하에서는 「특정 세대」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의 과거 7일분의 출탕이력정보를 기억한다. 출탕이력정보는 컨트롤러(14)의 메모리(도시생략)에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4)는 2:00을 시점으로 하는 24시간을, 1일을 특정하기 위한 단위시간으로 하고 있다.
계속해서, 학습모드에 있어서, 컨트롤러(14)가 24시간마다(시각이 2:00가 될때마다)에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4)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출탕이력정보를 기억한다. 그로 인해, 컨트롤러(14)는 24시간마다, 8일전의 출탕이력정보를 소거하여 전날의 출탕이력정보를 새롭게 기억한다.
이어서, 컨트롤러(14)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출탕이력정보로부터 당일에 출탕이 개시되는 시각(이하에서는 「출탕개시시각」이라고 부른다)을 예측한다. 출탕개시시각의 예측시에는, 컨트롤러(14)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출탕이력정보로부터 과거 7일간 중, 특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출탕이 개시된 시각 중 가장 빠른 시각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4)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출탕이력정보로부터 과거 7일간에 있어서 최초의 출탕이 개시된 시각 중, 가장 빠른 시각을 특정한다. 이하에서는, 이 시각을 「제 1 출탕개시시각」이라고 부른다. 또, 예를 들면, 컨트롤러(14)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출탕이력정보로부터 과거 7일간에 있어서 욕조(90)로의 탕수공급운전이 개시된 시각 중, 가장 빠른 시각을 특정한다. 이하에서는, 이 시각을 「제 2 출탕개시시각」이라고 부른다. 상기의 제 1, 제 2 출탕개시시각은 특정되는 출탕개시시각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컨트롤러(14)는 상기 이외의 출탕개시시각을 특정해도 좋다.
이어서, 컨트롤러(14)는 특정된 출탕개시시각까지 저탕 탱크 내에 출탕용의 온수가 저류되도록 열원{히트펌프(40), 급탕난방유닛(50)}을 동작시키기 위한 열원의 동작개시시각(이하에서는 「동작개시시각」이라고 부른다)을 특정한다. 동작개시시각을 특정할 경우, 우선, 컨트롤러(14)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출탕이력정보로부터 특정된 각각의 출탕개시시각에 있어서 필요하게 되는 출탕량(예를 들면, 과거 7일분의 평균출탕량)을 산출한다. 이어서, 컨트롤러(14)는 그 출탕량의 온수를 저탕 탱크(30) 내에 저류하기 위해 필요한 열원의 동작시간을 특정한다. 이어서, 컨트롤러(14)는 특정된 각각의 출탕개시시각과 대응하는 동작시간을 이용하여 각 동작개시시각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4)는 상기의 제 1 출탕개시시각까지 저탕 탱크(30) 내에 온수가 저류되도록 열원을 동작시키기 위한 열원의 동작개시시각(제 1 동작개시시각)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4)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출탕이력정보로부터 특정 세대에 있어서의 최초의 출탕시의 평균출탕량을 산출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열원의 동작시간(제 1 동작시간)을 산출하며, 제 1 출탕개시시각과 제 1 동작시간을 이용하여 상기의 제 1 동작개시시각을 특정한다. 마찬가지로, 컨트롤러(14)는 상기의 제 2 출탕개시시각까지 저탕 탱크(30) 내에 온수가 저류되도록 열원을 동작시키기 위한 열원의 동작개시시각(제 2 동작개시시각)을 특정한다. 이 경우도, 컨트롤러(14)는 특정 세대의 과거 7일분의 출탕이력정보로부터 특정 세대에 있어서의 탕수공급시의 평균출탕량을 산출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열원의 동작시간(제 2 동작시간)을 산출하며, 제 2 출탕개시시각과 제 2 동작시간을 이용하여 상기의 제 2 동작개시시각을 특정한다.
컨트롤러(14)는 상기와 같이 특정된 동작개시시각(예를 들면, 상기의 제 1 동작개시시각)이 도래되면, 열원을 동작시킨다. 그 결과, 대응하는 출탕개시시각(예를 들면, 상기의 제 1 출탕개시시각)까지, 저탕 탱크(30) 내에는, 필요한 양의 온수가 저류된다. 그 후, 그 출탕개시시각(예를 들면, 제 1 출탕개시시각) 근방의 시각에 출탕이 실행되면, 저탕 탱크(30) 내의 온수가 출탕관(22)을 통하여 온수이용개소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를 학습모드에 따라서 운전함으로써, 과거 7일분의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특정된 출탕개시시각에 있어서, 저탕 탱크(30) 내에 필요한 양의 온수를 저류하여 둘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도 5를 참조하여 학습모드에 따라서 급탕난방장치(10)를 운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출탕시간과 저탕 탱크(30) 내의 축열상태{즉, 저탕 탱크 (30) 내의 온수량}의 관계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3∼도 5의 예에서는, 컨트롤러 (14)는 단위시간(24시간)의 개시시각(2:00)에 있어서, 과거 7일간의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6:00 및 21:00을 출탕개시시각으로서 특정하고, 5:00 및 20:00을 열원의 동작개시시각으로서 특정하고 있다.
(학습모드: 정상: 도 3)
도 3을 참조하여 학습모드에 따라서 급탕난방장치(10)를 운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정상으로 출탕이 실행되는 경우의 출탕시간과 저탕 탱크(30) 내의 축열상태의 관계의 예를 설명한다. 도 3 중의 상측의 그래프는 2:00∼26:00의 24시간에 있어서의, 실제의 출탕시간을 나타낸다. 도 3 중의 하측의 그래프는 2:00∼24:00의 24시간에 있어서의, 저탕 탱크(30) 내의 축열상태{저탕 탱크(30) 내의 온수량}를 나타낸다.
도 3의 예에서는 동작개시시각인 5:00 이전의 시간대에서는 저탕 탱크(30) 내에는 온수가 저류되어 있지 않다(축열 없음). 컨트롤러(14)는 동작개시시각인 5:00에 열원의 동작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열원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가 저탕 탱크(30)에 저류되는 운전(이하에서는 「축열운전」이라고 부른다)이 개시된다. 축열운전은 6:00에 종료된다. 이에 따라, 6:00(출탕개시시각)의 시점에서 저탕 탱크 (30) 내에는 출탕에 필요한 온수가 저류된다.
이 예에서는 6:00에서 7:00의 사이에 실제로 출탕이 실행된다. 즉, 저탕 탱크(30) 내의 온수가 출탕관(22)을 통하여 온수이용개소로 공급된다. 그 결과, 저탕 탱크(30)는 재차 온수가 저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축열 없음)로 리턴한다. 도 3의 예에서는, 다음의 동작개시시각인 20:00에 재차 열원의 동작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재차 축열운전이 개시된다. 축열운전은 21:00에 종료된다. 이에 따라, 21:00(다음의 출탕개시시각)의 시점에서 저탕 탱크(30) 내에는 출탕에 필요한 온수가 저류된다.
이 예에서는 그 후, 21:00에서 22:00의 사이에 실제로 출탕이 실행된다. 즉, 저탕 탱크(30) 내의 온수가 출탕관(22)을 통하여 온수이용개소로 공급된다. 그 결과, 저탕 탱크(30)는 재차 온수가 저류되어 있지 않은 상태(축열 없음)로 리턴한다.
(학습모드: 일간 출탕: 도 4)
도 4의 예에서는 전날의 1:30에서 당일의 2:30에 걸쳐서 출탕이 실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인 2:00를 넘어서 출탕이 실행되는 것을 이하에서는 「일간 출탕」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학습모드에 따라서 급탕난방장치(10)를 운전할 경우에, 상기의 일간 출탕이 실행되면, 본 실시예의 컨트롤러(14)는 과거 7일간의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특정되는 출탕개시시각(6:00, 21:00) 및 동작개시시각(5:00, 20:00)과는 무관계로 상시 저탕 탱크(30) 내의 전체량에 온수가 저류되어 있는 상태(이하에서는 「만축상태」라고 부른다)를 유지하도록 제어를 실행한다. 즉, 컨트롤러(14)는 저탕 탱크 (30) 내의 축열량(온수의 양)이 감소할 때마다 축열운전을 실행한다. 그로 인해, 도 3의 경우와 비교하여 축열운전을 실행하는 빈도가 많아진다. 저탕 탱크(30)로부터의 방열량도 커진다. 그 결과,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가 커진다.
(학습모드: 직후 출탕: 도 5)
도 5의 예에서는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인 2:00에서 10분 후인 2:10부터 3:10에 걸쳐서 출탕이 실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인 2:00의 직후(구체적으로는, 2:00∼3:00의 사이)에 출탕이 개시되는 것을, 이하에서는 「직후 출탕」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열원에 의한 축열운전이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인 2:00를 넘어서 실행된다.
학습모드에 따라서 급탕난방장치(10)를 운전할 경우에, 상기의 직후 출탕이 실행되면, 상기 도 4의 일간 출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컨트롤러 (14)는 과거 7일간의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특정되는 출탕개시시각(6:00, 21:00) 및 동작개시시각(5:00, 20:00)은 무관계로, 상시 만축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를 실행한다. 이 경우도, 상기의 일간 출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가 커진다.
(예약모드: 도 6)
이어서, 예약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약모드는 미리 설정된 예약시각까지 저탕 탱크(30) 내에 온수가 저류되도록 열원을 동작시키는 제어모드이다. 사용자는 리모컨(12)을 조작하여 예약시각을 설정하여 둘 수 있다. 예약모드에서는 컨트롤러 (14)는 학습모드와 달리,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출탕개시시각이나 동작개시시각을 특정할 필요는 없다. 예약모드에서는, 임시로 상기의 일간 출탕이나 직후 출탕이 실행되었다고 해도, 학습모드와는 달리, 컨트롤러(14)가 상시 만축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일은 없다. 그로 인해, 상기의 도 4, 도 5의 경우와 같이,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가 커지는 일은 없다.
도 6을 참조하여 예약모드에 따라서 급탕난방장치(10)를 운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출탕시간과 저탕 탱크(30) 내의 축열상태의 관계의 예를 설명한다. 도 6의 예에서는 2:00와 13:00가 예약시각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컨트롤러(14)는 예약시각보다 전(예를 들면 예약시각의 약 1시간 전)에 열원의 동작을 개시하고, 축열운전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2:00, 13:00(예약시각)의 시점에서 저탕 탱크(30) 내에는 출탕에 필요한 온수가 저류된다.
(자동변경처리: 도 7)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학습모드에 따라서 급탕난방장치(10)를 운전하는 경우에, 컨트롤러(14)가 실행하는 자동변경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동변경처리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 급탕난방장치(10)의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자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처리이다. 사용자가 리모컨(12)을 조작하여 학습모드를 선택하면, 컨트롤러(14)는 도 7의 자동변경처리를 개시한다.
S10에서는 컨트롤러(14)는 과거 7일간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S10에서는 컨트롤러 (14)는 과거 7일간의 출탕이력정보를 참조하고, 과거 7일간 중의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과거 7일 중의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컨트롤러(14)는 S10에서 YES라고 판단하고, S12로 진행한다. 한편, S10에서 NO인 경우에는 감시를 계속한다.
S12에서는 컨트롤러(14)는 조언정보를 표시대기시킨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S12에서는 컨트롤러(14)는 조언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를 메모리의 소정영역 내에 기억시킨다.
이어서, S14에서는 컨트롤러(14)는 표시허가가 실행되는 것을 감시한다. S14의 시점에서, 표시허가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즉, 전원오프조작과 리모컨(12)의 체크버튼(104)을 누르는 조작의 어느 하나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 컨트롤러(14)는 S14에서 YES라고 판단하고, S16으로 진행한다. 한편, S14의 시점에서 표시허가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14)는 S14에서 NO라고 판단하고, S10으로 리턴한다. 이때, 컨트롤러(14)는 S12에서 메모리에 기억시킨 조언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를 메모리로부터 삭제한다.
S16에서는 컨트롤러(14)는 조언정보를 표시패널(100)에 표시한다. 즉, 표시패널(100)에는 조언정보가 나타내는 메시지통신 「탱크비등모드의 [타이머]를 이용하면, 설정시각에 맞추어서 탱크비등합니다」(도 7 참조)가 표시된다. 컨트롤러 (14)는 조언정보를 표시패널(100)에 표시시키면, 조언정보를 표시패널(100)에 표시시킨 일시(日時)를 포함하는 표시이력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컨트롤러(14)는 소정시간에 걸쳐서 조언정보를 표시시키면, 조언정보의 표시를 종료한다. 또한, 조언정보의 표시가 종료되면, S12에서 메모리에 기억된 조언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는 메모리로부터 삭제된다. S14에서 전원오프조작이 실행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14)는 급탕난방장치(10)의 진원을 오프한다. 이 경우, 도 7의 자동변경처리는 일단 종료된다. 단, 급탕난방장치(1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라도, 컨트롤러(14)의 메모리에는 출탕이력정보가 기억된다. 그로 인해, 다음번 전원이 온 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4)는 메모리에 기억된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도 7의 자동변경처리를 재차 실행한다.
이어서, S18에서는 조언정보를 1개월 이내에 2회 표시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4)는 조언정보를 표시패널(100)에 표시시키면, 조언정보를 표시패널(100)에 표시시킨 일시를 포함하는 표시이력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컨트롤러(14)는 메모리를 체크하고, 1개월 이내에 표시이력데이터가 2개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메모리 내에, 1개월 이내에 표시이력데이터가 2개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4)는 S18에서 YES라고 판단하고, S20으로 진행한다. 1개월 이내에 표시이력데이터가 2개 기억되어 있는 경우(S18에서 YES)는, 조언정보가 한 번 표시패널(100)에 표시된 후, 1개월 이내에, 재차 조언정보가 표시패널(100)에 표시된 것을 의미한다. 즉, 조언정보를 한 번 표시한 후, 1개월 이내에,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S10에서 YES)이 재차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반면에, S18에서 NO인 경우에는, S10으로 리턴한다.
S20에서는 컨트롤러(14)는 자동변경설정이 온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사용자는 리모컨(12)을 조작하여 미리 자동변경설정을 온 또는 오프로 설정하여 둘 수 있다. 자동변경설정이 온인 경우, 컨트롤러(14)는 S20에서 YES라고 판단하고, S22로 진행한다.
S22에서는 컨트롤러(14)는 급탕난방장치(10)의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변경한다. 계속해서 S24에서는 컨트롤러(14)는 제어모드의 변경이 완료된 취지의 메시지통신을 표시패널(100)에 표시시킨다. 컨트롤러(14)는 소정시간에 걸쳐서 메시지통신을 표시시키면, 메시지통신의 표시를 종료한다. 그 경우, 도 7의 자동변경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자동변경설정이 오프인 경우, 컨트롤러(14)는 S20에서 NO라고 판단하고, S1O으로 리턴한다. 즉, 자동변경설정이 오프인 경우, 급탕난방장치(10)의 제어모드가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일은 없다. 이것은, 설정한 제어모드가 컨트롤러(14)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 사용자에게 배려한 처리이다.
이상, 자동변경처리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했다. 도 7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표시허가가 실행된 경우(즉, 전원오프조작과 리모컨(12)의 체크버튼(104)을 누르는 조작의 어느 하나가 실행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의 조언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즉, 도 7의 S10에서 NO라고 판단되고 있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4)는 상기의 조언정보에 대신하여 당일과 전날의 광열비를 나타내는 메시지통신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4)는 「오늘과 어제의 광열비입니다 어제***엔, 오늘***엔」이라고 하는 메시지통신을 표시패널 (100)에 표시시킨다. 「***엔」으로 표시되는 부분에는, 실제로 산출된 어제의 광열비와 오늘의 광열비가 기술(記述)된다. 이 메시지통신을 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실제의 광열비를 의식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효율이 좋은 운전을 유의함으로써, 사용자의 비용면의 메리트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의 구성 및 컨트롤러(14)가 실행하는 자동변경처리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학습모드에 따라서 급탕난방장치(10)가 운전되는 경우에 있어서,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도 7의 S10에서 YES)에는,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탕난방장치(10)는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도 7의 S10에서 YES)에는, 도 7의 S12 이후의 각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약모드에서는 학습모드와 달리, 컨트롤러는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열원을 동작시킬 필요는 없다. 그로 인해, 제어모드가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되면, 상시 만축상태를 유지하도록 열원을 동작시키는 제어가 실행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에 따르면,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는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도 7의 S10에서 YES)에, 조언정보를 표시패널(100)에 표시한다(S16). 조언정보를 본 사용자가 리모컨(12)을 조작하여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면, 비교적 조기에 제어모드를 예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에 따르면,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는 조언정보를 1개월 이내에 2회 표시한 경우에는(도 7의 S20에서 YES), 급탕난방장치(10)의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자동적으로 변경한다(S22). 조언정보를 1개월 이내에 2회 표시하는 경우는, 조언정보를 한 번 표시한 후, 1개월 이내에,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S10에서 YES)이 재차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경우에, 급탕난방장치(10)의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는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학습모드가 장기간 계속되는 것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청구항 기재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여 둔다. 급탕난방장치(10)가 「저탕식 온수공급장치」의 일례이다. 급탕난방유닛(50), 히트펌프(40)가 「열원」의 일례이다. 출탕관(22)이 「공급로」의 일례이다. 리모컨(12)이 「설정수단」의 일례이다. 리모컨(12)의 표시패널(100)이 「통지수단」의 일례이다. 도 7의 S12 이후의 각 처리가 「전환관련처리」의 일례이다. 일간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가, 각각,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되는 상태」,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 )의 일례이다. 도 7의 S10에서 YES인 경우가, 「제 1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의 일례이다. 조언정보를 표시패널(100)에 표시시키는 것이 「통지」의 일례이다. 조언정보를 한 번 표시한 후에,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S10에서 YES)이 재차 발생하고 있는 경우가, 「제 2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의 일례이다.
(제 2 실시예)
이어서, 제 2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에 대해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도, 그 기본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 도 1, 도 2)와 공통된다.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에서는 컨트롤러(14)가 실행하는 자동변경처리의 내용이 제 1 실시예와는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4)는 S16에서 조언정보를 표시한 후,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는 것을 감시한다. 컨트롤러(14)는,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기까지의 사이에 사용자가 리모컨(12)을 조작하여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변경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경우도, 급탕난방장치(10)는 적절한 타이밍으로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학습모드가 장기간 계속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어서, 제 3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에 대해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도, 컨트롤러(14)가 실행하는 자동변경처리의 내용의 일부가 제 1 실시예와는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 (14)는 S16에서 조언정보를 표시한 후, 1개월 이내에 조언정보를 2회 표시했는지 아닌지의 판단(S18)을 실행함과 아울러, 조언정보를 표시하고 나서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기까지의 사이에, 사용자가 리모컨(12)을 조작하여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변경했는지 아닌지의 감시를 아울러 실시한다.
S18에서 YES라고 판단된 경우의 각 처리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S16에서 조언정보를 표시한 후,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되기까지의 사이에, 사용자가 리모컨(12)을 조작하여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변경하지 않았던 경우의 처리는,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급탕난방장치(10)에 의한 경우도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를 발생시킬 수 있는 학습모드가 장기간 계속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각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으로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변형예 1)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4)는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도 7의 S10에서 YES)에, 조언정보를 표시패널 (100)에 표시한다(S16). 상기한 바와 같이, 조언정보는 사용자에 대해서 제어모드를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통신을 포함한다. 사용자에 대해서, 제어모드의 전환을 촉구하는 통지의 방법은, 조언정보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방법에 따를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컨트롤러(14)는 리모컨(12)에 내장되어 있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해서, 제어모드를 학습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촉구하기 위한 음성메시지를 발생하도록 해도 좋다.
(변형예 2)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4)는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도 7의 S10에서 YES)에, 제어모드를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관한 각종 처리(도 7의 S12 이후의 처리 등)를 실행하고 있다. 컨트롤러(14)가 제어모드를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관한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은,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컨트롤러(14)는 기간을 불문하고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통산 7회 실행된 경우에, 제어모드를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관한 각종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컨트롤러 (14)는 학습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안에,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되는 상태, 또는,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가, 제 1 소정회수 발생하는 제 1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관련되는 전환관련처리를 실행하면 좋다.
(변형예 3)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단위시간의 개시시각(2:00)으로부터 1시간 이내 (2:00∼3:00의 사이)에 출탕이 개시되는 것을 「직후 출탕」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직후 출탕」은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임의의 소정시간 내(예를 들면, 30분 이내, 2시간 이내, 등)에 출탕이 개시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변형예 4)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4)는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도 7의 S10에서 YES)에, 조언정보를 표시패널 (100)에 표시하고 있지만(S16), 조언정보를 표시하는 처리를 생략해도 좋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컨트롤러(14)는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도 7의 S10에서 YES)에, 조언정보를 표시하는 일없이, 즉시 제어모드를 자동적으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컨트롤러(14)는 학습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안에,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되는 상태, 또는,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가, 제 1 소정회수 발생하는 제 1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관련되는 전환관련처리를 실행하면 좋다.
(변형예 5)
상기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14)는 도 7의 S16에서 조언정보를 표시한 후, 조언정보를 1개월 이내에 2회 표시한 경우(S18에서 YES)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S18의 판단을 생략해도 좋다. 즉, 컨트롤러(14)는 조언정보를 1개월 이내에 2회 표시했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도 7의 S16에서 조언정보를 표시한 후, 7일 중 5일에 일간 출탕 또는 직후 출탕이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도 7의 S10에서 YES)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전환관련처리는 제 1 상황이 발생한 후에, 또한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되는 상태, 또는,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가, 제 2 소정회수 발생하는 제 2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면 좋다.
(변형예 6)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급탕난방장치(10)가 전기식 열원으로서 히트펌프 (40)를 가지고 있는 예를 설명했다. 전기식 열원은 히트펌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기히터라도 좋다.
(변형예 7)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급탕난방장치(10)는 축열수단으로서 온수를 저류하는 저탕 탱크(30)를 가지고 있는 예를 설명했다. 축열수단은 저탕 탱크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른 열매를 저류하는 탱크나 용기라도 좋다. 또, 축열수단은 전기식 열원이나 가스식 열원이 발생한 열에 더불어서 지열, 태양열, 발전열이라고 하는 다른 열을 축열하는 것이라도 좋다.
(변형예 8)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실현하기 위한 급탕난방장치(10)를 예로서 설명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실현하기 위한 장치는, 난방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급탕장치, 또는, 급탕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난방장치라도 좋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의 조합에 의해서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며, 출원시의 청구항 기재의 조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며, 그 중의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가지는 것이다.
10: 급탕난방장치 12: 리모컨
14: 컨트롤러 16: 급탕관
18: 급탕 바이패스관 20: 바이패스제어밸브
22: 출탕관 24: 급탕측 혼합밸브
26: 급수 바이패스관 28: 급수관
30: 저탕 탱크 32: 축열 이송관
34: 축열 리턴관 40: 히트펌프
50: 급탕난방유닛 60: 난방 이송관
62: 제 1 난방 리턴관 64: 제 2 난방 리턴관
66: 난방 바이패스관 68: 난방측 혼합밸브
70: 난방단말기 82: 욕조 리턴관
84: 욕조 공급관 90: 욕조
100: 표시패널 102: 전원버튼
104: 체크버튼

Claims (5)

  1. 저탕식 온수공급장치로서,
    전기와 가스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비함으로써 물을 가열하는 열원과,
    열원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를 저류하는 탱크와,
    탱크 내의 온수를 온수이용개소로 공급하는 공급로와,
    학습모드와 예약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컨트롤러는,
    학습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할 경우에는, 과거의 소정기간 내에 있어서의 출탕이력정보에 의거하여 24시간을 단위로 하는 단위시간에 있어서 열원을 동작시키는 동작시간을 특정하고, 특정된 동작시간의 사이에 열원을 동작시키며,
    예약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할 경우에는, 설정된 예약시각까지 탱크 내에 온수가 저류되도록 열원을 동작시키고,
    학습모드에 따라서 열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안에,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되는 상태, 또는,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가, 제 1 소정회수 발생하는 제 1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관련되는 전환관련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수단과,
    통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전환관련처리는, 사용자에 대해서,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촉구하는 통지를 통지수단에 실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환관련처리는, 제 1 상황이 발생하고 나서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전환관련처리는, 제 1 상황이 발생하고 나서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환관련처리는, 제 1 상황이 발생한 후에, 또한 (a) 출탕중에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이 경과되는 상태, 또는, (b) 단위시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소정시간 내에 출탕이 실행되는 상태가, 제 2 소정회수 발생하는 제 2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제어모드를 학습모드에서 예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KR1020140144158A 2014-10-23 2014-10-23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KR101607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58A KR101607019B1 (ko) 2014-10-23 2014-10-23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58A KR101607019B1 (ko) 2014-10-23 2014-10-23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019B1 true KR101607019B1 (ko) 2016-03-28

Family

ID=5700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158A KR101607019B1 (ko) 2014-10-23 2014-10-23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8063A (zh) * 2019-07-05 2019-11-01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热水器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3905A (ja) * 2003-02-28 2004-09-24 Noritz Corp 熱源制御装置
JP2006183939A (ja) * 2004-12-27 2006-07-13 Denso Corp 給湯装置のリモコン装置
JP2007285607A (ja) 2006-04-17 2007-11-01 Denso Corp 貯湯式給湯装置
KR20130118776A (ko) * 2012-04-20 2013-10-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탕 시스템
JP5577423B1 (ja) * 2013-04-19 2014-08-20 リンナイ株式会社 温水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3905A (ja) * 2003-02-28 2004-09-24 Noritz Corp 熱源制御装置
JP2006183939A (ja) * 2004-12-27 2006-07-13 Denso Corp 給湯装置のリモコン装置
JP2007285607A (ja) 2006-04-17 2007-11-01 Denso Corp 貯湯式給湯装置
KR20130118776A (ko) * 2012-04-20 2013-10-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탕 시스템
JP5577423B1 (ja) * 2013-04-19 2014-08-20 リンナイ株式会社 温水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8063A (zh) * 2019-07-05 2019-11-01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热水器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2853B2 (en) Water heater having a supplemental photovoltaic heating arrangement
JP5874502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JP2014149094A (ja) 給湯装置
KR101436251B1 (ko) 열 공급장치
JP5862465B2 (ja) 貯湯式給湯機
JP2000051074A (ja) 炊飯器
JP2006023064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6015926B2 (ja) 貯湯式給湯装置
KR101607019B1 (ko) 저탕식 온수공급장치
JP5222100B2 (ja) 貯湯式の給湯装置
KR101436253B1 (ko) 열 공급장치
JP2007212057A (ja) 電気給湯機
JP5894961B2 (ja) 貯湯式温水供給装置
JP2022001811A (ja) ヒートポンプ給湯システム
JP2013224765A (ja) 熱供給装置
JP7467822B2 (ja) 貯湯給湯システム
JP5352555B2 (ja) 給湯機
JP5577423B1 (ja) 温水供給装置
JP2012149785A (ja) 貯湯式給湯機
JP7005309B2 (ja) 貯湯式給湯装置
JP6561311B2 (ja) 給湯装置
JP2014179168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2017203577A (ja) 給湯システム
JP2005300102A (ja) 熱源システム
JP5347928B2 (ja) 貯湯式給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