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801B1 -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801B1
KR101464801B1 KR1020107006641A KR20107006641A KR101464801B1 KR 101464801 B1 KR101464801 B1 KR 101464801B1 KR 1020107006641 A KR1020107006641 A KR 1020107006641A KR 20107006641 A KR20107006641 A KR 20107006641A KR 101464801 B1 KR101464801 B1 KR 10146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tight
lid
container
lid body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667A (ko
Inventor
미노루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7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Abstract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에 있어서, 가정용 박엽지 (P) 의 취출구 (12) 를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 (1)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상부 덮개 (3),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상부 덮개 (3) 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a),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용기 본체 (1) 에 걸린 상부 덮개 (3) 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 (4), 조작부 (4) 를 소정 위치로 규제하기 위해 탄성 지지하는 조작 탄성 지지부 (5b), 취출구 (12) 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에 취출구 (12) 를 밀봉하여 수납 공간부 (6) 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 (7) 를 구비하고, 기밀부 (7) 는 용기 본체 (1) 에 형성되고 취출구 (12) 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부 덮개 (3) 에 접촉하여 수납 공간부 (6) 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 (71b) 를 구비하고, 조작 탄성 지지부 (5b) 와 본체측 기밀부 (71b) 와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b) 를 1 개의 부품 (B3) 으로 구성한다. 이로써,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가 보다 적은 부품으로 구성됨과 함께 조립 공정이 간략화되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CONTAINER FOR RECEIVING HOUSEHOLD TISSUE PAPER}
본 발명은, 젖은 시트 등의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옥의 바닥이나 화장실, 또는 인체 등을 닦기 위한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는, 취출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이 취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비사용시에는 덮개체에 의해 취출구를 닫아 덮음으로써, 용기 본체의 기밀성을 확보하고, 용기 본체 내에 수납된 가정용 박엽지에 함침시킨 물이나 알코올 등의 건조를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피복하는 시트 형상의 기밀 부재에 취출구를 형성하고, 또한 이 시트 형상 기밀 부재에 있어서의 취출구를 둘러싸는 위치에 기밀부를 형성하고, 취출구와 기밀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취출구로부터 젖은 시트 약액의 외부로의 증산을 방지하는 젖은 시트 수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용기 본체에 형성된 고정 덮개와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가동 덮개 사이에 기밀 부재를 형성하여, 보존시에 있어서의 젖은 시트의 건조를 방지하는 젖은 시트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76544호 미국특허 제7,021,483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의 수납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취출구를 닫아 덮는 덮개체를 개폐하기 위한 버튼과 기밀 부재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덮개체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한 스프링 등의 탄성 지지 수단과 기밀 부재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부품을 따로 제조해야 함과 함께,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공정이 증가하여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지고, 비용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적은 부품으로 구성함과 함께, 조립 공정을 간략화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내측의 수납 공간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함과 함께, 당해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덮개체와, 상기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상기 덮개체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와, 상기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에 걸린 상기 덮개체를 튕겨 올려 상기 덮개체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소정 위치로 규제하기 위해 탄성 지지하는 조작 탄성 지지부와, 상기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취출구를 밀봉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를 구비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로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덮개체에 접촉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탄성 지지부와 상기 본체측 기밀부가 1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내측의 수납 공간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함과 함께, 당해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덮개체와, 상기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상기 덮개체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와, 상기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에 걸린 상기 덮개체를 튕겨 올려 상기 덮개체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상기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취출구를 밀봉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를 구비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로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덮개체에 접촉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체 탄성 지지부와 상기 본체측 기밀부가 1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내측의 수납 공간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함과 함께, 당해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덮개체와, 상기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상기 덮개체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와, 상기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에 걸린 상기 덮개체를 튕겨 올려 상기 덮개체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소정 위치로 규제하기 위해 탄성 지지하는 조작 탄성 지지부와, 상기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취출구를 밀봉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를 구비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로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덮개체에 접촉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탄성 지지부와 상기 본체측 기밀부와 상기 덮개체 탄성 지지부가 1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부품과 상기 용기 본체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측의 수납 공간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함과 함께,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덮개체와,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덮개체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와,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용기 본체에 걸린 덮개체를 튕겨 올려 덮개체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조작부를 소정 위치로 규제하기 위해 탄성 지지하는 조작 탄성 지지부와,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취출구를 밀봉하여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가 구비되고, 기밀부에는,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덮개체에 접촉하여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가 구비되고, 조작 탄성 지지부와 본체측 기밀부가 1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부품으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가 구성됨과 함께, 조립 공정이 간략화되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측의 수납 공간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함과 함께,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덮개체와,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덮개체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와,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용기 본체에 걸린 덮개체를 튕겨 올려 덮개체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취출구를 밀봉하여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가 구비되고, 기밀부는,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덮개체에 접촉하여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가 구비되고, 덮개체 탄성 지지부와 본체측 기밀부가 1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부품으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가 구성됨과 함께, 조립 공정이 간략화되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내측의 수납 공간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함과 함께,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덮개체와,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덮개체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와,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용기 본체에 걸린 덮개체를 튕겨 올려 덮개체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조작부를 소정 위치로 규제하기 위해 탄성 지지하는 조작 탄성 지지부와,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취출구를 밀봉하여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가 구비되고, 기밀부는,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덮개체에 접촉하여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가 구비되고, 조작 탄성 지지부와 본체측 기밀부와 덮개체 탄성 지지부가 1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부품으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가 구성됨과 함께, 조립 공정이 간략화되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 부품과 용기 본체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제조 공정의 간략화를 가일층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형태 1 로서 예시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Ⅴ-Ⅴ 선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영역 (A) 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 2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Ⅷ-Ⅷ 선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2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실시형태 3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Ⅹ-Ⅹ 선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3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양태를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먼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에 대해 도 1 ∼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 탄성 지지부 (5) 와 본체측 기밀부 (71) 가 1 개의 부품 (B1) 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형태 1 로서 예시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실시형태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4 는 실시형태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상부 덮개 (3) (덮개체) 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당해 상부 덮개 (3) 를 투과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는 도 4 의 Ⅴ-Ⅴ 선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단면도이며, 수납 공간부 (6) 로부터 가정용 박엽지 (P) 가 1 장 당겨져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 은 도 5 의 영역 (A) 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전후 방향을 X 축 방향으로 하며, 조작부 (4) 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전측 (前側) 으로 하고, 조작부 (4) 와 반대측을 후측으로 한다. 또한, 좌우 방향 (폭 방향) 을 Y 축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을 Z 축 방향으로 한다.
실시형태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는, 예를 들어, 도 1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타원형을 이루고 전체적으로 돔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내측에 젖은 시트 등의 가정용 박엽지 (P) (도 5 참조) 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 (1) 와, 이 용기 본체 (1) 의 바닥면 개구 (11) (도 5 참조) 를 막는 바닥 덮개 (2) 와, 용기 본체 (1) 의 상부에 형성된 가정용 박엽지 (P) 의 취출구 (12) (도 5 참조) 를 개폐하도록 당해 용기 본체 (1)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덮개체로서의 상부 덮개 (3) 와,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용기 본체 (1) 에 걸린 상부 덮개 (3) (덮개체) 를 튕겨 올려 상부 덮개 (3) 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 (4) 와, 조작부 (4) 를 소정 위치로 규제하기 위해 탄성 지지하는 조작 탄성 지지부 (5) 와, 가정용 박엽지 (P) 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부 (6) (도 5 참조) 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 (7) (도 5 참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1) 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상하 양측에 개구를 갖고, 둘레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바닥면 개구 (11) 를 막도록 바닥 덮개 (2) 가 장착됨으로써, 이 바닥 덮개 (2) 와 함께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부 (6) 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 (1) 는, 예를 들어 도 2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부 (下端部) 에 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인 바닥면 개구 (11) 를 갖고, 상부측일수록 작은 직경이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된 둘레면부 (13) 와, 이 둘레면부 (13) 의 상단 (上端) 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수납 공간부 (6) 에 수납된 가정용 박엽지 (P) 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 (12) 를 구비하는 상면 개구부 (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둘레면부 (13) 의 하단부와 바닥 덮개 (2) 의 상단부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바닥면 개구 (11) 를 막을 수 있는 한편, 당해 걸어 맞춤을 해제함으로써 당해 용기 본체 (1) 의 내측을 개방 (노출) 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 공간부 (6) 에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바닥 덮개 (2) 를 둘레면부 (13) 로부터 떼어 내어 당해 용기 본체 (1) 의 내측을 개방시키고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하고, 그 후 둘레면부 (13) 에 바닥 덮개 (2) 를 장착함으로써, 바닥면 개구 (11) 를 막도록 되어 있다.
또, 수납 공간부 (6) 에는, 예를 들어 복수 장의 가정용 박엽지 (P, …) 가 적층된 상태에서 수납되도록 되어 있으며, 계속하여 당해 수납 용기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교대로 접어 포개어져 있다. 즉, 가정용 박엽지 (P) 를 밖으로 당겨 꺼냈을 때, 다음 가정용 박엽지 (P) 의 상단이 취출구 (12) 보다 돌출되는 위치까지 수납 공간부 (6) 로부터 당겨져 꺼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5 참조).
또한, 도 5 에 있어서는, 가정용 박엽지 (P) 가 적층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면 개구부 (14) 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고, 그 거의 중앙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취출구 (12) 가 형성되고, 취출구 (12) 보다 X 축 방향 후측에 상부 덮개 (3) 를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힌지 장착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 (12) 는,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개구부 (14) 의 거의 중앙부에 장착된 기밀부 (7) 를 구성하는 고리형의 본체측 기밀부 (71) 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기밀부 (71) 는,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12) 의 연장 방향 (수평 방향) 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상면 개구부 (14) 의 내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면 개구부 (14) 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덮개 (3) 에 형성되고, 본체측 기밀부 (71) 에 걸어 맞춰지는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힌지 장착부 (15) 는, 예를 들어, 상부 덮개 (3) 를 Y 축 방향의 회전 운동축 (311, 311) (후술) 을 따라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Y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형의 베어링부 (151) (도 3 및 도 4 참조) 와, 상부 덮개 (3) 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구성된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부 (151) 는, 예를 들어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 (3) 에 형성된 2 개의 회전 운동축 (311, 311) 에 대응시켜 Y 축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상면 개구부 (14) 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서, 취출구 (12) 와 거의 동등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로써, 상부 덮개 (3) 를 닫힘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 경우, 상부 덮개 (3) 를 거의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취출구 (12) 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본체측 기밀부 (71) 와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를 적정하게 걸어 맞춰 수납 공간부 (6) 의 기밀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부 덮개 (3) 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취출구 (12) 를 폐색하도록 용기 본체 (1) 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 (1) 의 둘레면부 (13) 와 함께 돔 형상을 이루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덮개 (3) 는, 예를 들어 용기 본체 (1) 의 힌지 장착부 (15) 에 장착되는 회전 운동축 (311, 311) 을 갖는 축 부분 (31) 과, 이 축 부분 (31) 에서 전방 및 측방으로 연장된 곡면 형상의 천장면부 (32) 와, 이 천장면부 (32) 의 전단부 (前端部) 에서 거의 바로 아래로 연장된 전단면부 (33) 등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 운동축 (311, 311) 은,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부분 (31) 의 Y 축 방향 양측 단부 (端部) 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천장면부 (32) 는, 예를 들어 용기 본체 (1) 의 둘레면부 (13) 의 곡률에 맞춰 소정 곡률을 갖고, 상부측일수록 작은 직경이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천장면부 (32) 는 예를 들어 그 거의 중심 부분이 가장 높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천장면부 (32) 의 내면 (하면) 으로부터는, 본체측 기밀부 (71) 와 걸어 맞춰지는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가 돌출되고, 그 내측에 가정용 박엽지 (P) 를 하측 (용기 본체 (1) 측) 으로 누르는 누름부 (321) 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는, 예를 들어, 본체측 기밀부 (71) 선단의 내측 및 외측에 접촉하도록 고리형부가 2 중으로 형성되고, 상부 덮개 (3) 를 전측으로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본체측 기밀부 (71) 가 고리형부 사이에 끼워져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는 취출구 (12) 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누름부 (321) 는, 예를 들어, 천장면부 (32) 의 내면에서 용기 본체 (1) 측 (하측) 으로 돌출되어 고리형으로 형성되고, 당해 상부 덮개 (3) 를 닫은 상태에서 취출구 (12) 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취출구 (12) 에 걸리는 가정용 박엽지 (P) 를 당해 취출구 (12) 의 내측에 적정하게 밀어 넣을 수 있어, 상부 덮개 (3) 와 용기 본체 (1) 사이에 가정용 박엽지 (P) 가 끼인 상태가 되는 것을 보다 적정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누름부 (321) 의 돌출 길이는,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의 선단부보다 용기 본체 (1) 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로 되어 있다.
이로써, 상부 덮개 (3) 를 닫을 때, 누름부 (321) 쪽이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보다 먼저 취출구 (12) 에 걸리는 가정용 박엽지 (P) 에 접촉하여, 당해 가정용 박엽지 (P) 를 누름부 (321) 에 의해 용기 본체 (1) 측으로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덮개 (3) 를 닫아도 가정용 박엽지 (P) 가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와 본체측 기밀부 (71) 사이에 끼거나 비어져 나오지 않고, 본체측 기밀부 (71) 와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를 적정하게 걸어 맞춰 수납 공간부 (6) 내를 적정하게 기밀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 (321) 의 돌출 길이는, 예를 들어, 당해 누름부 (321) 의 선단부가 취출구 (12) 와 동일한 높이이거나, 또는 그것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정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천장면부 (32) 는, 예를 들어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및 누름부 (321) 보다 내측으로서 취출구 (12) 에 대향하는 부분이 가장 높게 되어 있다.
이로써, 상부 덮개 (3) 의 내측에 수납 공간부 (6) 로부터 당겨 꺼내어져 취출구 (12) 에 걸리는 가정용 박엽지 (P) 를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의 내측에 기밀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즉, 당해 상부 덮개 (3) 를 닫아도 가정용 박엽지 (P) 가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와 본체측 기밀부 (71) 사이에 끼거나 비어져 나오지 않고, 당해 가정용 박엽지 (P) 를 기밀 공간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취출구 (12) 에 걸리는 가정용 박엽지 (P) 는, 상부 덮개 (3) 의 하면이나 용기 본체 (1) 의 상면 개구부 (14) 등에 의해 압압되지 않게 되어, 당해 가정용 박엽지 (P) 를 사용할 때에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천장면부 (32) 의 X 축 방향 전측의 부분은, 예를 들어, 후측으로 파고들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 전단면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전단면부 (33) 는, 예를 들어 천장면부 (32) 의 전측 부분의 곡선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단면부 (33) 의 하단부에는, 예를 들어, X 축 방향 후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된 상부 덮개측 볼록부 (331)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면 개구부 (14) 의 취출구 (12) 보다 전측으로서, 전단면부 (33) 에 대향하는 대향면부 (16) 에는, X 축 방향 전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 돌출된 본체측 볼록부 (161)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덮개 (3) 를 취출구 (12) 를 폐색하도록 X 축 방향 전측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당해 상부 덮개 (3) 의 상부 덮개측 볼록부 (331) 가 상면 개구부 (14) 의 대향면부 (16) 에 형성된 본체측 볼록부 (161) 에 걸린 상태가 되고, 상부 덮개 (3) 의 취출구 (12) 를 개방시키는 X 축 방향 후측에 대한 회전 운동이 규제된다 (도 5 참조).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 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 덮개 (3) 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으로 구성해도 되고,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부 (4) 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부 덮개 (3) 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용기 본체 (1) 에 걸린 상부 덮개 (3) 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부 덮개 (3) 가 회전 운동하여 취출구 (12) 를 노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대향면부 (16) 의 하측에는, 예를 들어 조작부 (4) 의 접촉부 (43) 가 걸어 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 (17) 가 형성되어 있다.
피걸어맞춤부 (17) 는, 예를 들어, 대향면부 (16) 의 표면에서 X 축 방향의 후측으로 소정 깊이 스폿 페이싱되고, 또한 Y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걸어맞춤부 (17) 에 접촉부 (43) 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당해 조작부 (4) 의 회전 운동축부 (42) (후술) 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둘레면부 (13) 의 X 축 방향 전측에는, 예를 들어 조작부 (4) 를 장착하기 위한 조작부 장착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 (4) 는, 예를 들어, 취출구 (12) 를 폐색하도록 상부 덮개 (3) 를 닫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레버부 (41) 가 X 축 방향 전측으로서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부 (4) 는, 예를 들어 용기 본체 (1) 의 조작부 장착부 (18)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용기 본체 (1) 에 대한 회전 운동의 중심축을 구성하는 회전 운동축부 (42) 와, 상부 덮개 (3) 의 전단면부 (33) 의 하단부 (일 단부) 에 접촉하여 당해 상부 덮개 (3) 를 튕겨 올리는 접촉부 (43) 를 갖고 있다.
즉, 조작부 (4) 는, 예를 들어 조작 레버부 (41) 와, 이 조작 레버부 (41) 의 후측 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회전 운동축부 (42) 와, 이 회전 운동축부 (42) 의 후측 하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회전 운동축부 (42)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접촉부 (4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 (43) 는,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 축 방향으로 나란히 소정 간격을 두고 2 개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부 (4) 의 조작 레버부 (41) 의 선단부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봤을 때에 있어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의 둘레면부 (13) 의 곡률에 맞추도록 소정 곡률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조작 탄성 지지부 (5) 는, 예를 들어 조작부 (4) 의 하측에 위치하고, 용기 본체 (1) 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탄성 지지부 (5) 의 선단부는, 조작부 (4) 의 조작 레버부 (41) 의 하면부에 접촉하도록 소정 곡률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 (4) 의 조작 레버부 (41) 가 비스듬히 상방향을 향한 위치 (소정의 위치) 로 규제되도록 작용한다. 즉, 조작 탄성 지지부 (5) 의 선단부가 조작부 (4) 의 조작 레버부 (41) 의 하면부에 접촉하여 Z 방향 상측으로 탄성 지지력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조작부 (4) 에 접촉부 (43) 를 Z 방향 하측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 운동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조작부 (4) 의 접촉부 (43) 가 당해 조작 탄성 지지부 (5) 의 X 방향 후측에 맞닿아 조작부 (4) 의 회전 운동이 규제되고, 조작부 (4) 의 조작 레버부 (41) 가 비스듬히 상측을 향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탄성 지지부 (5) 와 본체측 기밀부 (71) 가 1 개의 부품 (B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탄성 지지부 (5) 와 본체측 기밀부 (71) 는 연결부 (C1)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들 조작 탄성 지지부 (5) 와 본체측 기밀부 (71) 와 연결부 (C1) 는 1 개의 부품 (B1) 으로 구성된다. 즉, 조작 탄성 지지부 (5) 및 본체측 기밀부 (71) 는 그 기능상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1 개의 부품 (B1) 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품 (B1) 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탄성 재료인 폴리프로필렌 (PP), 실리콘 고무 (Silicon Rubber) 등의 합성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 용기 본체 (1) 와 부품 (B1) 은,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즉, 예를 들어 먼저 폴리프로필렌 (PP), ABS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 (1) 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고, 금형에 장전한다. 다음으로, 금형에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 수지를 주입하고 고화시킨다.
조작부 장착부 (18) 는, 예를 들어 둘레면부 (13) 의 X 축 방향 전측에 있어서의 X 축 방향 거의 중앙부에서 상단부에 걸쳐 후측으로 소정 깊이 절결되어 이루어지고, 상단부는 상면 개구부 (14) 에 연속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조작부 장착부 (18) 는, 예를 들어 용기 본체 (1) 의 취출구 (12) 보다 전방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조작부 (4) 가 장착되는 좌우의 벽부 (181, 181) 등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벽부 (181, 181) 각각은, 예를 들어, 수납 공간부 (6) 의 외측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Y 축 방향을 따르도록 거의 수직으로, 또한 X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기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좌우의 벽부 (181, 181) 각각에는, 예를 들어, 조작부 (4) 의 회전 운동축부 (42) 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부 (183) 가 형성되고, 장착 구멍부 (183) 의 위치 규제 볼록부 (184) (후술) 의 하측에, 당해 벽부 (181) 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스폿 페이싱되어 이루어지는 하측 구멍부 (18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 참조).
장착 구멍부 (183) 는, 예를 들어, 벽부 (181) 로부터 Y 축 방향으로 소정 깊이 스폿 페이싱되어 이루어지고, X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부 (183) 의 X 축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조작부 (4) 를 X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조작부 (4) 에 의한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한 조작을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언로크하는 언로크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정도로 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부 (4) 의 로크 위치란, 접촉부 (43) 가 피걸어맞춤부 (17) 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회전 운동축부 (42) 를 중심으로 하는 조작부 (4) 의 회전 운동을 규제하는 위치이며, 언로크 위치란, 접촉부 (43) 와 피걸어맞춤부 (17) 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상부 덮개 (3) 를 튕겨 올릴 수 있게 되도록 전단면부 (33) 의 하단부 하측에 접촉부 (43) 가 배치된 위치 (접촉 위치) 를 말한다. 즉, 조작부 (4) 가 언로크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5 참조), 장착 구멍부 (183) 내주면의 전측 부분에 조작부 (4) 의 회전 운동축부 (42) 의 외면이 접촉한 상태가 되는 한편, 조작부 (4) 가 로크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장착 구멍부 (183) 내주면의 후측 부분에 조작부 (4) 의 회전 운동축부 (42) 의 외면이 접촉한 상태가 된다.
또, 장착 구멍부 (183) 의 내주면 중, X 축 방향의 거의 중앙이 되는 하측 부분에는, 예를 들어 위치 규제 볼록부 (184) 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규제 볼록부 (184) 는, 예를 들어, 장착 구멍부 (183) 내주면의 전측 부분 또는 후측 부분에 접촉하는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한 회전 운동축부 (42) 의 X 축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다. 즉, 조작부 (4) 를 로크 위치와 언로크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회전 운동축부 (42) 가 위치 규제 볼록부 (184) 를 타고 넘도록 하여 X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측 구멍부 (185) 는, 예를 들어, 위치 규제 볼록부 (184) 를 사이에 두도록 장착 구멍부 (183) 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장착 구멍부 (183) 내를 회전 운동축부 (42) 가 X 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회전 운동축부 (42) 에 의해 위치 규제 볼록부 (184) 가 하측 구멍부 (185) 측으로 밀어 넣어져 장착 구멍부 (183) 가 탄성 변형되게 된다.
다음으로,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한 조작부 (4) 의 조작 및 당해 조작의 로크 기구에 대해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부 덮개 (3) 가 닫혀진 상태에서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는 경우, 조작부 (4) 를 회전 운동축부 (42) 가 장착 구멍부 (183) 를 따라 슬라이드하도록 당겨서 꺼내고 언로크 위치에 배치 형성한다 (도 5 참조). 이 때, 회전 운동축부 (42) 가 X 축 방향 전측으로 이동하여 위치 규제 볼록부 (184) 를 타고 넘을 때에는, 위치 규제 볼록부 (184) 의 하측에 하측 구멍부 (185)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구멍부 (183) 가 탄성 변형되게 되어, 조작부 (4) 를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조작부 (4) 는, 접촉부 (43) 가 상부 덮개 (3) 의 전단면부 (33) 하단부의 하측이 되는 접촉 위치, 즉 언로크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 (4) 의 조작 레버부 (41) 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 (4) 는 회전 운동축부 (42) 를 중심으로 하여 접촉부 (43) 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운동하고, 당해 접촉부 (43) 가 전단면부 (33) 의 하단부에 접촉한다. 이 때, 전단면부 (33) 의 하단부에, 본체측 볼록부 (161) 와 상부 덮개측 볼록부 (331) 의 걸림력보다 큰 힘이 가해짐으로써 상부 덮개 (3) 를 튕겨 올리고, 이로써 본체측 볼록부 (161) 와 상부 덮개측 볼록부 (331)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어,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 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상부 덮개 (3) 는, X 축 방향의 후측으로 회전 운동하여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작부 (4) 를 로크 위치에 배치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언로크 위치에 배치 형성된 조작부 (4) 를 로크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당해 조작부 (4) 를 회전 운동축부 (42) 가 장착 구멍부 (183) 를 따라 슬라이드하도록 밀어 넣는다. 이 때, 회전 운동축부 (42) 가 X 축 방향 후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언로크 위치에 배치 형성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하측 구멍부 (185) 에 의해 장착 구멍부 (183) 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회전 운동축부 (42) 가 위치 규제 볼록부 (184) 를 타고 넘어 조작부 (4) 를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X 축 방향 후측으로 이동하는 접촉부 (43) 는, 피걸어맞춤부 (17) 에 걸어 맞춰져 Y 축 방향을 축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되고, 당해 접촉부 (43) 를 전단면부 (33) 의 하단부에 접촉할 수 없는 접촉 불가 위치, 즉 로크 위치에 배치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1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에 의하면, 내측의 수납 공간부 (6) 에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함과 함께, 가정용 박엽지 (P) 의 취출구 (12) 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 (1) 와, 취출구 (12) 를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 (1)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상부 덮개 (3) (덮개체) 와,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상부 덮개 (3) (덮개체) 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 와,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용기 본체 (1) 에 걸린 상부 덮개 (3) (덮개체) 를 튕겨 올려 상부 덮개 (3) (덮개체) 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 (4) 와, 조작부 (4) 를 소정 위치로 규제하기 위해 탄성 지지하는 조작 탄성 지지부 (5) 와, 취출구 (12) 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취출구 (12) 를 밀봉하여 수납 공간부 (6) 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 (7) 가 구비되고, 기밀부 (7) 에는, 용기 본체 (1) 에 형성되고, 취출구 (12) 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부 덮개 (3) (덮개체) 에 접촉하여 수납 공간부 (6) 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 (71) 가 구비되고, 조작 탄성 지지부 (5) 와 본체측 기밀부 (71) 가 1 개의 부품 (B1) 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부품으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가 구성됨과 함께, 조립 공정이 간략화되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00) 에 대해 도 1 ∼ 도 3, 도 7,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00) 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a) 와 본체측 기밀부 (71a) 가 1 개의 부품 (B2)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은 실시형태 2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00)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상부 덮개 (3) 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당해 상부 덮개 (3) 를 투과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8 은 도 7 의 Ⅷ-Ⅷ 선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2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00) 의 단면도이며, 수납 공간부 (6) 로부터 가정용 박엽지 (P) 가 1 장 당겨져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 2 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취출구 (12) 는,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개구부 (14) 의 거의 중앙부에 장착된 기밀부 (7) 를 구성하는 고리형의 본체측 기밀부 (71a) 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기밀부 (71a) 는,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12) 의 연장 방향 (수평 방향) 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상면 개구부 (14) 의 내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면 개구부 (14) 에 장착되어 있다.
힌지 장착부 (15) 는, 예를 들어, 상부 덮개 (3) 를 Y 축 방향의 회전 운동축 (311, 311) (후술) 을 따라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Y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형의 베어링부 (151) (도 3 및 도 7 참조) 와, 상부 덮개 (3) 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판 스프링 등의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a)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 2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00) 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1) 의 상면부에 장착된 고리형의 본체측 기밀부 (71a) 와, 상부 덮개 (3) 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a) 가 1 개의 부품 (B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a) 와 본체측 기밀부 (71a) 는 연결부 (C2)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들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a) 와 본체측 기밀부 (71a) 와 연결부 (C2) 는 1 개의 부품 (B2) 으로 구성된다. 즉,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a) 및 본체측 기밀부 (71a) 는 그 기능상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1 개의 부품 (B2) 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품 (B2) 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탄성 재료인 폴리프로필렌 (PP), 실리콘 고무 (Silicon Rubber) 등의 합성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 용기 본체 (1) 와 부품 (B2) 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즉, 예를 들어 먼저 폴리프로필렌 (PP), ABS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 (1) 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고, 금형에 장전한다. 다음으로, 금형에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 수지를 주입하고 고화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2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00) 에 의하면, 내측의 수납 공간부 (6) 에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함과 함께, 가정용 박엽지 (P) 의 취출구 (12) 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 (1) 와, 취출구 (12) 를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 (1)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상부 덮개 (3) (덮개체) 와,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상부 덮개 (3) (덮개체) 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a) 와,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용기 본체 (1) 에 걸린 상부 덮개 (3) (덮개체) 를 튕겨 올려 덮개체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 (4) 와, 취출구 (12) 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취출구 (12) 를 밀봉하여 수납 공간부 (6) 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 (7) 가 구비되고, 기밀부 (7) 는, 용기 본체 (1) 에 형성되고, 취출구 (12) 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부 덮개 (3) (덮개체) 에 접촉하여 수납 공간부 (6) 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 (71a) 가 구비되고,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a) 와 본체측 기밀부 (71a) 가 1 개의 부품 (B2) 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부품으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00) 가 구성됨과 함께, 조립 공정이 간략화되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2 에 있어서, 조작 탄성 지지부 (5a) 는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300) 에 대해 도 1 ∼ 도 3, 도 9,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3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300) 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 탄성 지지부 (5b) 와 본체측 기밀부 (71b) 와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b) 가 1 개의 부품 (B3)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9 는 실시형태 3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300) 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상부 덮개 (3) 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당해 상부 덮개 (3) 를 투과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10 은 도 9 의 Ⅹ-Ⅹ 선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3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300) 의 단면도이며, 수납 공간부 (6) 로부터 가정용 박엽지 (P) 가 1 장 당겨져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 3 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취출구 (12) 는,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개구부 (14) 의 거의 중앙부에 장착된 기밀부 (7) 를 구성하는 고리형의 본체측 기밀부 (71b) 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측 기밀부 (71b) 는,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12) 의 연장 방향 (수평 방향) 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상면 개구부 (14) 의 내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면 개구부 (14) 에 장착되어 있다.
힌지 장착부 (15) 는, 예를 들어, 상부 덮개 (3) 를 Y 축 방향의 회전 운동축 (311, 311) 을 따라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Y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형의 베어링부 (151) (도 3 및 도 9 참조) 와, 상부 덮개 (3) 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판 스프링 등의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b) 등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 탄성 지지부 (5b) 는, 예를 들어 조작부 (4) 의 하측에 위치하고, 용기 본체 (1) 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탄성 지지부 (5b) 의 선단부는, 조작부 (4) 의 조작 레버부 (41) 의 하면부에 접촉하도록 소정 곡률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 (4) 의 조작 레버부 (41) 가 비스듬히 상방향을 향한 위치 (소정의 위치) 로 규제되도록 작용한다. 즉, 조작 탄성 지지부 (5b) 의 선단부가 조작부 (4) 의 조작 레버부 (41) 의 하면부에 접촉하여 Z 방향 상측으로 탄성 지지력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조작부 (4) 에 접촉부 (43) 를 Z 방향 하측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 운동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조작부 (4) 의 접촉부 (43) 가 당해 조작 탄성 지지부 (5b) 의 X 방향 후측에 맞닿아 조작부 (4) 의 회전 운동이 규제되고, 조작부 (4) 의 조작 레버부 (41) 가 비스듬히 상측을 향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 3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300) 에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탄성 지지부 (5b) 와 본체측 기밀부 (71b) 와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b) 가 1 개의 부품 (B3)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탄성 지지부 (5b) 와 본체측 기밀부 (71b) 와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b) 는 연결부 (C3) 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들 조작 탄성 지지부 (5b) 와 본체측 기밀부 (71b) 와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b) 와 연결부 (C3) 는 1 개의 부품 (B3) 으로 구성된다. 즉, 조작 탄성 지지부 (5b), 본체측 기밀부 (71b) 및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b) 는 그 기능상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1 개의 부품 (B3) 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품 (B3) 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탄성 재료인 폴리프로필렌 (PP), 실리콘 고무 (Silicon Rubber) 등의 합성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 용기 본체 (1) 와 부품 (B3) 은,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즉, 예를 들어 먼저 폴리프로필렌 (PP), ABS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 (1) 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고, 금형에 장전한다. 다음으로, 금형에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 수지를 주입하고 고화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3 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300) 에 의하면, 내측의 수납 공간부 (6) 에 가정용 박엽지 (P) 를 수납함과 함께, 가정용 박엽지 (P) 의 취출구 (12) 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 (1) 와, 취출구 (12) 를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 (1)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상부 덮개 (3) (덮개체) 와,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상부 덮개 (3) (덮개체) 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b) 와, 취출구 (12) 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용기 본체 (1) 에 걸린 상부 덮개 (3) (덮개체) 를 튕겨 올려 상부 덮개 (3) (덮개체) 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 (4) 와, 조작부 (4) 를 소정 위치로 규제하기 위해 탄성 지지하는 조작 탄성 지지부 (5b) 와, 취출구 (12) 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취출구 (12) 를 밀봉하여 수납 공간부 (6) 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 (7) 가 구비되고, 기밀부 (7) 는, 용기 본체 (1) 에 형성되고, 취출구 (12) 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부 덮개 (3) (덮개체) 에 접촉하여 수납 공간부 (6) 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 (71b) 가 구비되고, 조작 탄성 지지부 (5b) 와 본체측 기밀부 (71b) 와 덮개체 탄성 지지부 (152b) 가 1 개의 부품 (B3) 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부품으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300) 가 구성됨과 함께, 조립 공정이 간략화되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량 그리고 설계의 변경을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덮개체로서 상부 덮개 (3) 를 예시하고, 덮개체측 기밀부로서 상부 덮개측 기밀부 (72) 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덮개체를 수납 용기의 측방에 형성하고, 당해 덮개체에 덮개체측 기밀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부품 (B1, B2, B3) 을 제조하여 금형에 장전한 후, 이 금형에 용기 본체 (1) 를 주입하고 고화시키는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추가하여,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0, 200, 300) 의 구성이나 각 부의 형상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예시한 것은 일례이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제조업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100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용기 본체
12 취출구
152 덮개체 탄성 지지부
3 상부 덮개 (덮개체)
4 조작부
5 조작 탄성 지지부
6 수납 공간부
7 기밀부
71 본체측 기밀부
B1 부품
200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52a 덮개체 탄성 지지부
71a 본체측 탄성 지지부
B2 부품
300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52b 덮개체 탄성 지지부
5b 조작 탄성 지지부
71b 본체측 기밀부
B3 부품
P 가정용 박엽지

Claims (4)

  1. 내측의 수납 공간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함과 함께, 당해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덮개체와, 상기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상기 덮개체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와, 상기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에 걸린 상기 덮개체를 튕겨 올려 상기 덮개체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소정 위치로 규제하기 위해 탄성 지지하는 조작 탄성 지지부와, 상기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취출구를 밀봉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를 구비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로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덮개체에 접촉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탄성 지지부와 상기 본체측 기밀부가 1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 내측의 수납 공간부에 가정용 박엽지를 수납함과 함께, 당해 가정용 박엽지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취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덮개체와, 상기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도록 상기 덮개체를 탄성 지지하는 덮개체 탄성 지지부와, 상기 취출구를 열림 상태로 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에 걸린 상기 덮개체를 튕겨 올려 상기 덮개체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소정 위치로 규제하기 위해 탄성 지지하는 조작 탄성 지지부와, 상기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취출구를 밀봉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기밀부를 구비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로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가 닫힘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덮개체에 접촉하여 상기 수납 공간부를 기밀 상태로 하는 본체측 기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탄성 지지부와 상기 본체측 기밀부와 상기 덮개체 탄성 지지부가 1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과 상기 용기 본체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4. 삭제
KR1020107006641A 2007-09-28 2008-09-25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101464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55627 2007-09-28
JP2007255627A JP4456627B2 (ja) 2007-09-28 2007-09-28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PCT/JP2008/067221 WO2009041451A1 (ja) 2007-09-28 2008-09-25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667A KR20100057667A (ko) 2010-05-31
KR101464801B1 true KR101464801B1 (ko) 2014-11-24

Family

ID=4051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641A KR101464801B1 (ko) 2007-09-28 2008-09-25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56627B2 (ko)
KR (1) KR101464801B1 (ko)
CN (1) CN101808911B (ko)
WO (1) WO20090414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9145B2 (en) 2017-10-30 2022-06-2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detachable vaporiz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6752A (ja) * 2011-12-02 2013-06-13 Lec Inc ウェットシート収納容器
TWI531354B (zh) * 2015-11-16 2016-05-01 泰博科技股份有限公司 開蓋結構及生理檢測裝置
US10278552B2 (en) * 2016-12-08 2019-05-07 The Clorox Company Disinfecting wipes flex pack closure
JP7206068B2 (ja) * 2018-07-31 2023-01-17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6975693B2 (ja) * 2018-07-31 2021-1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237548B2 (ja) * 2018-11-30 2023-03-13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299039B2 (ja) * 2019-02-28 2023-06-27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
JP7157705B2 (ja) * 2019-06-03 2022-10-20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241607B2 (ja) * 2019-06-03 2023-03-17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102A (ja) * 1999-06-25 2001-01-09 Toppan Printing Co Ltd ウェットシート用容器
JP2002068335A (ja) * 1997-10-15 2002-03-08 Uni Charm Corp 開閉自在容器
JP2006282245A (ja) * 2005-04-01 2006-10-19 Uni Charm Corp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5351B2 (ja) * 1999-12-10 2004-12-22 中村 憲司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の取出し部構造
JP4898218B2 (ja) * 2005-12-27 2012-03-14 大王製紙株式会社 ウエットシート収容容器
JP4387418B2 (ja) * 2006-09-29 2009-12-16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335A (ja) * 1997-10-15 2002-03-08 Uni Charm Corp 開閉自在容器
JP2001002102A (ja) * 1999-06-25 2001-01-09 Toppan Printing Co Ltd ウェットシート用容器
JP2006282245A (ja) * 2005-04-01 2006-10-19 Uni Charm Corp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9145B2 (en) 2017-10-30 2022-06-28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detachable vapor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83901A (ja) 2009-04-23
KR20100057667A (ko) 2010-05-31
JP4456627B2 (ja) 2010-04-28
WO2009041451A1 (ja) 2009-04-02
CN101808911A (zh) 2010-08-18
CN101808911B (zh)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801B1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100490872B1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KR101424018B1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EP2440087B1 (en) Sifter device for container
KR200478494Y1 (ko) 물티슈 포장팩용 반자동 개폐 뚜껑
JP7060410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11434064B2 (en) Household thin paper sheet storing container
US11261020B2 (en) Container for housing household tissue paper
JP5840759B1 (ja) 蓋部開閉構造が使用されている収納容器
JP5252965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4833811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4864666B2 (ja) ウェットティシュー収納容器及びウェットティシュー収納容器の梱包構造
JP5060883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5037986B2 (ja) 気密化粧料容器
JP4515058B2 (ja) 化粧料容器
JP5087357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及び薄葉紙包装体
JP3645515B2 (ja) 弁当箱
JP7300837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5117111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20220135284A1 (en) Household tissue paper container
JP5629141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3075117U (ja) ウエット紙ケース
JPH10101107A (ja) 密閉容器
JPH10101106A (ja) 密閉容器
JP3060258U (ja) 容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