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079B1 - 축연결구조 및 축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축연결구조 및 축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079B1
KR101461079B1 KR1020127032281A KR20127032281A KR101461079B1 KR 101461079 B1 KR101461079 B1 KR 101461079B1 KR 1020127032281 A KR1020127032281 A KR 1020127032281A KR 20127032281 A KR20127032281 A KR 20127032281A KR 101461079 B1 KR101461079 B1 KR 10146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pline
spline shaft
centering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248A (ko
Inventor
히로유키 사카이
카즈토시 요시다
노리히로 마에자토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32624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64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82868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4556B2/ja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3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connecting two abutting shaf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8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 F16D11/1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축 연결 구조는, 한쌍의 회전축 각각에 한쌍의 스플라인축 가운데 대응되는 하나씩이 제공되어, 한쌍의 스플라인축의 결합에 의해 한쌍의 회전축을 연결한다. 이 축 연결 구조는 축연결보조장치를 구비한다. 이 축연결보조장치는 하나의 센터링 링과 센터링 핀들을 포함한다. 센터링 링은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외측에 이 스플라인축과 동심상으로 배치된다. 센터링 핀들은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하고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과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그들 사이의 결합을 가능케 하는 범위 이내로 가져온다.

Description

축연결구조 및 축연결방법{shaft connection structure and shaft connection method}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될 한쌍의 회전축의 단부에 스플라인축을 설치하고, 스플라인축 사이의 결합으로 상기 회전축을 서로 연결하는 축연결구조 및 축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전축 상호 간의 연결, 예를 들어, 엔진 등의 공시체(product under test: 시험될 장치)의 회전축이 다이나모미터 등의 시험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경우는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현된다. 페데스탈(101) 상에 러버마운트(102)를 통해 마운트되는 엔진 등의 공시체(103)의 회전축에 스플라인축(104)이 설치된다. 반면, 다이나모미터 등의 시험장치(도시생략)의 회전축(피연결축)(105)에는 유니버설 조인트(106) 등을 통해 상기 스플라인축(104)이 고정되는 스플라인축(107)이 설치된다. 스플라인축(107)은 축지지체(108)에 의해 지지된다.
축지지체(108)를 에어실린더 등의 축지지체구동기구(109)를 통해 공시체(103) 측으로 이동시켜 스플라인축(104)을 스플라인축(107) 내에 삽입함으로써, 공시체의 회전축이 시험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스플라인축(107)과 스플라인축(104) 사이의 축에 편차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106) 등에 의해 편차가 흡수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3을 참조)
실용신안공고공보 제평 1-7853호 실용신안공고공보 제평 2-10432호 일본국특허공개공보 제 2006-300116호
스플라인축을 서로 결합할 시에, 스플라인축 간 축심의 편차를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시체의 회전축의 위치와 시험장치 선단의 스플라인축의 위치를 상술한 결합을 가능케 하는 범위 이내로 정확하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공시체의 회전축과 시험장치의 회전축 간 축심의 편차를 유니버설 조인트 등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축연결장치에서도, 실제 편차를 흡수하여 양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 하는 범위 이내로 만들기 위해, 시험장치측 스플라인축을 상하, 좌우 등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작업은 실제로 많은 작업량이 필요하다. 이러한 많은 작업량은 총시험시간 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심 정렬 작업을 행하고, 스플라인축 연결 후 축흔들림(shaft runout)을 방지할 수 있는 축연결구조 및 축연결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한쌍의 스플라인축 사이의 결합을 통해 한쌍의 회전축을 연결하기 위한 축연결구조로, 한쌍의 회전축 각각에 한쌍의 스플라인축 중 하나가 설치되고,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외측에 스플라인축과 동심상으로 배치되는 센터링 링,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외측에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하여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과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센터링 핀들을 구비하는 축연결보조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제 1 형태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상기 센터링 핀들 각각이 원주부(圓柱部)와 원추부로 구성되고, 상기 원주부는,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하여 센터링 링을 위치시키고, 상기 원추부는, 원주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접하여 한 쌍의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제 2 형태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상기 원주부가, 상기 원주부가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할 때에 상기 센터링 링의 선단면에 접촉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제 1 형태 내지 제 3 형태 중 하나에 기재된 축연결보조장치로, 상기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축 중 일방의 회전축이 공시체의 회전축이고, 타방의 회전축은 상기 공시체의 시험을 위한 시험장치의 회전축이고, 상기 공시체의 회전축에 일방의 스플라인축이 설치되고, 상기 시험장치의 회전축에 타방의 스플라인축이 설치되고, 타방의 스플라인축이 축지지체에 설치되어, 축지지체구동부재에 의해 축지지체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핀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각 센터링 핀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는, 제 4 형태에 기재된 축연결보조장치로, 상기 핀 구동부재가, 3개 이상의 센터링 핀들이 상기 공시체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하여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과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키고, 축지지체구동부재는, 축지지체를 공시체측으로 전진시켜 일방의 스플라인축과 타방의 스플라인 축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는, 제 4 형태 또는 제 5 형태에 기재된 축연결보조장치로, 축지지체구동부재와 핀 구동부재가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는, 제 4 형태 또는 제 5 형태에 기재된 축연결보조장치로, 축지지체구동부재와 핀 구동부재가 서보모터 또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는 축연결방법으로, 공시체의 회전축에 일방의 스플라인축을 설치하고,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외측에 동심상으로 센터링 링을 배치하고, 공시체의 시험을 행하는 시험장치의 회전축에 타방의 스플라인축을 설치하고, 타방의 스플라인축이 설치된 축지지체에 복수의 센터링 핀들을 핀 구동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축지지체가 축지지체구동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복수의 센터링 핀을 핀 구동부재를 통해 공시체측으로 전진시켜,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시켜, 일방의 스플라인축과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킨 후, 타방의 스플라인축을 전진시켜 일방의 스플라인축과 타방의 스플라인축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는, 제 8 형태의 축연결방법으로, 대기위치의 복수개의 센터링 핀을 보조에어실린더를 통해 시험장치측에 설치된 스플라인축의 선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공시체측으로 돌출시키는 스텝, 복수개의 센터링 핀이 공시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주에어실린더를 통해 축지지체를 공시체측으로 이동시켜, 센터링 링과 복수개의 센터링 핀을 통해 양 스플라인축의 축심 간 편차를 해소하는 스텝, 모든 센터링 핀이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양 스플라인축의 축심이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되었는지 검출하는 스텝, 양 스플라인축의 축심 정렬이 종료된 후 보조에어실린더의 밸브를 개방하고, 주에어실린더를 통해 축지지체를 이동시켜, 양 스플라인축을 결합시키고, 시험장치측에 설치된 스플라인축의 선단면이 센터링 링의 저면부와 접촉하도록 하는 스텝, 시험장치측에 설치된 스플라인축의 선단면과 센터링 링의 저면부 간 틈을 발생시켜 양자를 비접촉상태로 만드는 스텝, 센터링 핀과 센터링 링 간에 틈을 발생시켜 양자를 비접촉상태로 만드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는, 제 1 형태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한 쌍의 스플라인축에, 스플라인연결시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는 위치고정핀과 부시로 이루어지는 축흔들림 방지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는, 제 10 형태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일방의 스플라인축이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스플라인치가 설치되고, 타방의 스플라인축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스플라인치와 맞물리는 스플라인치가 설치되고, 위치고정핀은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원주상의 일방 스플라인축의 연결부 선단면에 설치되고, 부시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원통상의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내주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는, 제 10 형태 또는 제 11 형태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위치고정핀이 소경축부와, 소경축부 선단에 연속된 대경축부로 이루어지고, 부시가 소내경부와, 소내경부에 연속된 대내경부로 이루어지고, 위치고정핀이 부시에 삽입되어 위치고정핀의 대경축부 외면이 부시의 소내경부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형태는, 제 10 형태 내지 제 12 형태 중 하나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위치고정핀의 대경축부와 부시의 소내경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선단부가 서로 간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삽입가이드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형태는, 제 10 형태 내지 제 13 형태 중 하나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위치고정핀과 부시 중 적어도 하나가 일방의 스플라인축 선단면과 타방의 스플라인축 내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형태는, 제 10 형태 내지 제 14 형태 중 하나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일방의 스플라인축이 다이나모미터로 시험할 공시체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타방의 스플라인축이 다이나모미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형태는, 제 15 형태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일방의 스플라인축이 한 쌍의 베어링에 의해 축지지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위치고정핀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부시의 소내경부의 내주면이 한 쌍의 베어링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7 형태는, 제 16 형태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축지지체가 플로팅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8 형태는, 제 10 형태 내지 제 17 형태 중 하나에 기재된 축연결구조로, 위치고정핀의 재질이 합성수지 또는 러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9 형태는, 일방의 스플라인축이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스플라인치가 설치되고, 타방의 스플라인축이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스플라인치와 맞물리는 스플라인치가 설치되는 축연결구조로, 원주상의 일방 스플라인축의 연결부 선단면에 원주상의 위치고정핀이 설치되고, 원통상의 타방 스플라인축의 내주부에 원통상의 부시가 설치되고, 한 쌍의 스플라인축에, 스플라인연결시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는 위치고정핀과 부시로 이루어지는 축흔들림 방지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한쌍의 스플라인축의 결합 전에,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센터링 핀이 결합하여, 양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키므로, 양 스플라인축의 결합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2) 제 2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한쌍의 스플라인축의 결합시, 양 스플라인축의 축심에 편차가 있는 경우, 센터링 링의 선단면 외주연부에 센터링 핀의 원추부의 경사면이 접촉하여, 센터링 링이 복수개의 센터링 핀으로 구성된 환상부내에 도입된다. 그 후, 복수개의 센터링 핀의 원주부 외주면이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하여, 양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킨다.
(3) 제 3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플랜지부와 센터링 링 사이의 접촉면에 콘택트스위치 등이 배치되어, 원주부와 센터링 링의 외주면의 결합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4) 제 4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공시체의 회전축, 공시체의 시험을 행하는 시험장치의 회전축, 센터링 링 및 복수개의 센터링 핀을 통해 용이하고, 확실하게 스플라인연결을 행할 수 있다.
(5) 제 5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복수개의 센터링 핀을 핀 구동부재를 통해 공시체측으로 전진시켜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시켜서, 양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킨 후, 축지지체를 축지지체구동부재를 통해 공시체측으로 전진시켜 양 스플라인축을 결합시킨다.
(6) 제 6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핀 구동부재와 축지지체구동부재로 에어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7) 제 7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핀 구동부재와 축지지체구동부재로 에어실린더 대신 서보모터와 유압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센터링 핀과 축지지체의 정지위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그에 따라, 시험장치측에 설치된 스플라인축의 선단과 센터링 링의 저면부 간 틈 등을 발생시키는 데 있어서, 에어실린더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용이하다.
(8) 제 8 형태의 축연결방법에서는, 복수의 센터링 핀을 핀 구동부재를 통해 전진시키고, 센터링 링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양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킨 후, 일방의 스플라인축을 공시체측으로 전진시켜, 양 스플라인축을 결합시킨다.
(9) 제 9 형태의 축연결방법에서는, 시험장치측에 설치된 스플라인축 선단과 센터링 링의 저면부를 비접촉상태로 함으로써, 시험장치측에 설치된 스플라인축과 센터링 링 사이와, 센터링 링과 센터링 핀 간의 마찰저항을 발생시키지 않고 엔진시험을 행할 수 있다.
(10) 제 10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한쌍의 스플라인축이 결합시, 한쌍의 스플라인축에 설치된 위치고정핀과 부시가 결합, 즉, 틈이 없이 결합하여, 축흔들림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11) 제 11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한쌍의 스플라인축이 결합시,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에 설치된 위치고정핀이,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내주부에 설치된 부시로 삽입되어, 상기 위치고정핀과 상기 부시를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축흔들림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12) 제 12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상기 위치고정핀의 대경축부의 외면이 상기 부시의 소내경부의 내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을 통해, 이 부분의 지름과 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대경축부의 외면과 상기 부시의 내면을 밀착시켜, 축흔들림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 구성은 위치고정핀의 외면과 부시의 내면의 전부가 균등하게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접촉면의 가공이 용이하다.
(13) 제 13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상기 위치고정핀의 대경축부 및/또는 상기 부시의 소내경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삽입가이드면을 통해 위치고정핀과 부시의 결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14) 제 14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상기 위치고정핀과 상기 부시 중 적어도 하나를 필요에 따라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부품의 수리 또는 교환이 용이하다.
(15) 제 15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엔진 등의 공시체의 회전축과, 공시체의 시험을 행하는 다이나모미터의 회전축을 연결하는데 사용하여, 엔진 등의 공시체의 성능시험을 축흔들림 및 공진의 발생이 억제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16) 제 16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상기 위치고정핀과 상기 부시의 결합시, 위치고정핀와 접촉하는 부시의 소내경부의 내주면이 한쌍의 베어링 내측에 위치하여, 축흔들림을 감소시킨다.
(17) 제 17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축흔들림 및 공진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플로팅타입 축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축흔들림 및 공진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18) 제 18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위치고정핀이 합성수지 또는 러버와 같은 자기윤활성/탄력성 재질로 형성되어, 금속제로 된 경우와 비교했을 때 원활한 결합이 가능하다.
(19) 제 19 형태의 축연결구조에서는, 암수 스플라인축의 결합시, 스플라인축에 설치된 위치고정핀과 부시가 결합, 즉, 틈이 없이 결합하여, 축흔들림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1은 축연결보조장치가 설치된 축연결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축연결방법의 스텝 1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축연결방법의 스텝 2~4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축연결방법의 스텝 5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축연결방법의 스텝 6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축연결방법의 스텝 7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축연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중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위치고정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부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위치고정핀과 부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암수 스플라인축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위치고정핀과 부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도 7은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회전축 상호가 연결되고 각종 시험이 행해지는 경우,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데스탈(1) 상에 러버마운트(2)를 통해 설치된 공시체로서의 엔진(3)의 회전축(4)에 다이나모미터(5)의 회전축(피연결축)(6)이 연결된다. 엔진(3)의 시험을 행하는 경우, 엔진(3)의 회전축(4)에 일방의 스플라인축(7)이 설치되고, 다이나모미터(5)의 회전축(6)에 신축가능한 유니버설 조인트(8,9,10)를 통해 타방의 스플라인축(11)이 연결된다. 도 1에서, 부호 14, 15는, 스플라인축(7)의 요부(곡)와 스플라인축(11)의 철부(산)를 일치시켜, 스플라인축(11)을 회전시키기 위한 랙과 피니언이다.
스플라인축(11)은 축지지체(12)에 설치된다. 축지지체(12)는, 축지지체구동부재로서의 에어실린더(이하, 주에어실린더라 칭함)(13)의 피스톤로드(13a)의 선단에 연결되어, 축방향(도1중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축지지체(12)는, 스플라인축(11)을 좌우, 상하방향 등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도시생략의 구조(예를 들어, 일본국특허공개공보 제 2006-300116호)를 가지어서, 공시체의 회전축과 시험장치의 회전축에 편차가 있는 경우, 그 편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호 13b는 주에어실린더(13)의 피스톤이다.
도 2~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축연결보조장치(21)는 양 스플라인축(7, 11)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킨다. 축연결보조장치(21)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센터링 핀(23)은 에어실린더(이하, 보조에어실린더라 칭함)(24)에 의해 돌출된다. 그 후,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지지체(12)가 주에어실린더(13)에 의해 엔진(3) 측으로 이동되고, 축연결보조장치(21)의 기능을 사용하여 축심을 일치시킨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플라인축(7)이 스플라인축(11)에 삽입되어 상기 한쌍의 회전축(4, 6)이 연결된다.
다음은 축연결보조장치(21)의 주요구성부재에 대한 설명이다. 축연결보조장치(21)는, 스플라인축(7)과 동심상에 배치되는 센터링 링(22)과, 스플라인축(11)을 중심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센터링 핀(23)으로 구성된다. 4개의 센터링 핀(23)은 모두 센터링 링(22)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스플라인축(7)의 축심 CL1과 스플라인축(11)의 축심 CL2를 일치시킨다. 도 1~도 6에 2개의 센터링 핀(23, 23)만 표시되어 있지만, 나머지 2 개의 센터링 핀(23, 23)도 실제로 배치된다(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센터링 핀은 도시를 생략한다).
센터링 링(22)은, 예를 들어, 원통부(22a)와 저면부(22b)를 포함하는 유저원통상으로 형성된다. 저면부(22b)는 지그(3a)에 설치된다.
센터링 핀(23)은, 상기 센터링 링(22)의 외주면과 결합하여 센터링 링(22)의 위치를 결정하는 원주부(23a)와, 원주부(23a)의 선단에 설치되어 원주부(23a)의 외주면으로 상기 센터링 링(22)의 외주면을 가이드하는 원추부(23b)로 구성된다.
4개의 센터링 핀(23)은, 스플라인축(1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핀 구동부재의 역할을 하는 보조에어실린더(24)의 피스톤로드(24a) 선단에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플라인축(7)의 축심 CL1과 스플라인축(11)의 축심 CL2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센터링 핀(23)의 화살표 A방향 이동으로, 센터링 핀(23) 중 하나의 원추부(23b)의 경사면이 센터링 링(22)의 선단면 외주연부(22c)에 접촉하여, 축심의 편차를 해소한다. 그 후,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센터링 핀(23)의 원주부(23a)의 원주면이, 센터링 링(22)의 외주면과 결합(접촉)하면, 스플라인축(7)의 축심과 스플라인축(11)의 축심이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된다. 4개의 센터링 핀 모두가 결합된 상태는 각 센터링 핀에 설치된 근접 센서(25)에 의해 검출된다. 그 후,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 스플라인축(7, 11)이 결합된다.
도 1~도 6에서, S1은, 축지지체(12)의 최후방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센서를 나타내고, S2는, 축지지체(12)의 최전방 위치를 검출하고 리미터(안전장치) 기능으로 이용되는 제2 센서를 나타내고, S3는, 센터링 핀(23)의 최후방 위치를 검출하는 제3 센서를 나타내고, S4는, 센터링 핀(23)의 최전방 위치를 검출하는 제4 센서를 나타내고, S5는, 제 3 센서(S3)와 제 4 센서(S4)의 중간에 배치되는 제5 센서를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 축연결보조장치(21)를 사용하여 엔진(3)의 회전축(4)에 다이나모미터(5)의 회전축(6)을 연결하는 방법을 도 1~6 및 도 7의 플로우도를 참조하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의 스텝 0은, 도 1에 나타난 대기상태를 나타낸다. 축지지체(12)는 주에어실린더(13)에 의해 최후방 위치, 즉, 엔진(3)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다. 4개의 센터링 핀(23)은 보조에어실린더(24)에 의해 최후방 위치, 즉 엔진(3)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다.
도 7의 스텝 1에서는, 4개의 센터링 핀(23)이 보조에어실린더(24)에 의해 상기 스플라인축(11)의 선단면에 대해 공시체(3)측으로 돌출되어, 센서(S4)에 의해 피스톤(24b)이 검출(최전방 위치가 검출)될 때까지 이동한다.
도 3은 도 7의 스텝 2~3을 나타난다. 스텝 2에서, 4개의 센터링 핀(23)이 공시체(3)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주에어실린더(13)에 의해 축지지체(12)가 공시체(3)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스플라인축(7)의 축심과 스플라인축(11)의 축심이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4개의 센터링 핀(23) 중 적어도 하나의 원추부(23b)의 경사면이 센터링 링(22)의 선단면의 외주연부(22c)와 접촉하고, 축지지체(12)가 이동함에 따라, 축심의 편차가 해소된다.
스텝 3에서, 모든 센터링 핀(23)의 원주부(23a)의 외주면이 센터링 링(22)의 외주면과 결합(접촉)된 것이 근접 센서(25) 전부에 의해 검출되면, 스플라인축(7)의 축심과 스플라인축(11)의 축심이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된 것이 확인된다. 주실린더의 센서(S2)의 위치로 이동(최대 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근접센서(25)에서 결합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센터링 실패로 간주되어,
축지지체(12)가 센서(S1)의 위치로 후진하고, 각 센터링 핀(23)이 센서(S3)의 위치로 후진하여, 스텝 1부터 다시 시도한다. 센터링 작업이 2회 이상 실패하는 경우, 연결작업이 중지된다.
도 7의 스텝 4는, 도 3과 도 4의 중간상태를 나타낸다. 스텝 4에서는, 도 3의 상태에서 4개의 보조에어실린더(24)의 밸브가 개방된다. 그 후, 스플라인축의 결합을 위해, 랙(14) 및 피니온(15)에 의해 스플라인축에 회전력이 가해지고, 회전축이 관성에 의해 미속으로 회전하고, 주에어실린더(13)에 의해 축지지체(12)가 이동한다. 이 스텝에서, 스플라인축(11)이 축지지체(12)와 함께 공시체(3) 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4개의 각 센터링 핀(23)의 원추부(23b)의 선단이 돌출되어 지그(3a)의 표면에 접촉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에어실린더(24)가 개방되므로, 축지지체(12)를 주에어실린더(13)를 통해 공시체(3)측으로 더 가까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7의 스텝 5를 나타낸다. 스텝 5에서, 피스톤(24b)이 센서(S5)의 위치를 통과하는 것이 검출된다. 이 검출에서, 스플라인축의 연결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그러나, 피스톤(24b)이 센서(S5)의 위치를 통과한 것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각 실린더가 대기위치로 복귀하고, 스텝 1부터 자동결합이 재시도된다. 축지지체(12)의 중량(관성)이 크기 때문에, 센서(S5)에 의해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축지지체(12)를 완전히 정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스플라인축(11)의 선단면이 센터링 링(22)의 저면부(22)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상태에서 스플라인축이 회전하는 경우, 스플라인축(11)의 선단면이 센터링 링(22)의 저면부(22b)에 슬라이드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스텝 6(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에어실린더(13)의 밸브를 개방하고, 스텝 4에서 개방되었던 보조에어실린더(24)의 밸브에 다시 에어를 공급하여, 축지지체(12)와 스플라인축(11)이 공시체(3)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센서(S5)에 의해 피스톤(24b)이 다시 검출될 때까지 이동한다. 이 동작은 스플라인축(11)의 선단면과 센터링 링(22)의 저면부(22b) 간에 틈(G1)을 발생시켜, 스플라인축(11)과 센터링 링(22)을 비접촉상태로 만든다.
도 7의 스텝 7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보조에어실린더에 에어를 공급하여 센터링 핀(23)이 센터링 링(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센서(S3)에 의해 피스톤(24b)이 검출될 때까지 이동한다. 이 동작은 센터링 핀(23)과 센터링 링(22) 간에 틈(G2)을 발생시켜, 각 센터링 핀(23)과 센터링 링(22)을 비접촉상태로 만든다.
그 후, 스텝 8에서 시험이 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틈(G1)은 스플라인축(11)의 선단면과 센터링 링(22)의 저면부(22b)를 비접촉상태로 만들고, 틈(G2)은 각 센터링 핀(23)과 센터링 링(22)을 비접촉상태로 만든다. 이는 마찰저항을 발생시키지 않고 엔진의 시험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센터링 핀(23)의 선단부가 엔진커버(3a)에 접촉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터링 핀(23)의 원주부(23a)에 플랜지부(23c)가 형성되어, 이 플랜지부(23c)가 센터링 링(22)의 원통부(22a)의 선단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센터링 핀(23)의 선단부가 엔진커버(3a)에 접촉하는 경우, 센터링 핀(23)의 선단부에 접촉압이 집중되어 센터링 핀(23)의 선단부 또는 엔진커버(3a)에 데미지를 줄 우려가 있다. 반면, 플랜지부(23c)가 센터링 링(22)의 원통부(22a)의 선단면에 접하는 경우, 접촉압이 센터링 링(22)의 선단면 전체에 분산될 수 있다. 플랜지부(23c)와 센터링 링(22) 사이의 접촉면에 콘택트센서(26)를 배치하여, 스플라인축(7)의 스플라인축(11) 내로의 삽입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 제2 실시예는 축지지체구동부재 및 핀 구동부재로 에어실린더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축지지체구동부재 및 핀 구동부재 양방 또는 일방으로 서보모터 또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센터링 핀(23)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면 된다.
도 9~도 14는 제 3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축연결보조장치(21)를 사용하여 스플라인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플라인연결 후에 축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제3 실시예는, 축연결보조장치(21)를 사용하여 스플라인연결을 용이하게 행하고, 스플라인연결 후에 축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축흔들림 방지기구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스플라인을 기반으로 한 축연결구조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한다.
(1) 스플라인축(104)과 스플라인축(107)의 결합시, 스플라인축(104)의 스플라인구(spline groove)와 스플라인축(107)의 스플라인구 사이의 간극(유)에 의해 축흔들림 등이 발생한다. 이 간극은 스플라인축(104)과 스플라인축(107)이 원활히 결합되는 데 필수적이다. 상기 간극이 증가함에 따라, 스플라인축(104)과 스플라인축(107)의 결합이 용이해지는 반면, 축흔들림은 증대된다. 특히, 스플라인연결되는 모터, 엔진 등의 회전체가 러버마운트부재와 같은 탄성체를 통해 고정되는 경우, 공시체의 축위치가 불안정해지거나 변화하여, 암수 스플라인축(104, 107)의 결합의 오차가 진동 및 공진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생긴다. 이는 스플라인연결이 회전축방향으로 힘을 전달하지만, 스플라인연결 결합의 오차로 인해 축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고정하는 것은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특히, 다이나모미터측 스플라인축(107)을 지지하는 축지지체(108)가 특허문헌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플로팅베어링인 경우에 축흔들림 또는 공진이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2) 상기 (1)의 경우에 반해, 상기 간극이 축소되면, 축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스플라인축(104)과 스플라인축(107)의 결합이 어려워진다. 상기 간극을 축소시키지 않고 축흔들림 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스플라인축의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를 늘리고, 간극을 축소시켜, 축에 대해 직각방향으로의 고정을 강고히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결합축의 길이를 증대시키고, 도 15의 축지지체구동부재(109)의 스트로크량을 필요로 하게 되어,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3 실시예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간극을 축소시켜 스플라인축의 결합을 곤란하게 하지 않고, 스플라인축을 길게 하여 스플라인연결구조를 기반으로 한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축흔들림을 확실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축연결구조의 중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의 축연결구조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축연결보조장치와 같은 모양의 축연결보조장치와, 축연결보조장치를 통해 스플라인연결되는 암수 스플라인축(7, 11)의 축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축흔들림 방지기구(31)로 이루어진다.
도시는 생략되었지만, 제3 실시예의 축연결구조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다음과 같다.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외측에, 일방의 스플라인축과 동심상으로 센터링 링이 배치된다. 반면,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외측에,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하고,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과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키기 위한 센터링 핀이 설치된다. 다음에 축흔들림 방지기구(31)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흔들림 방지기구(31)는 암수 스플라인축(7, 11)과, 스플라인연결시, 엄밀하게는 암수 스플라인축(7, 11)의 스플라인연결 후에, 서로 결합되는 위치고정핀(32)과 부시(33)로 구성된다.
상기 수 스플라인축(7)은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플라인치(34)가 설치된다.
상기 암 스플라인축(11)은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수 스플라인축(7)의 스플라인치(34)와 맞물리는 스플라인치(35)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핀(32)은,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주상의 수 스플라인축(7)의 선단면에 위치고정핀고정볼트(36)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부시(33)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상의 암 스플라인연결부(11)의 내주부에 부시고정볼트(37)에 의해 설치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핀(32)은, 소경축부(32a)와, 소경축부(32a)의 선단에 연속되고 소경축부(32a)보다 지름이 약간 큰 대경축부(32b)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경축부(32b)의 선단에는, 상기 부시(33)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 선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형태의 삽입가이드면(32c)이 설치된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부시(33)는, 대내경부(33a)와, 대내경부(33a)의 선단에 연속되는 소내경부(33b)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시(33)의 소내경부(33b)의 선단은, 상기 위치고정핀(32)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 선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형태의 삽입가이드면(33c)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핀(32)은, 합성수지 또는 러버 등과 같은 자기윤활성/탄력성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금속제로 된 경우와 비교했을 때, 원활한 결합이 가능하다.
위치고정핀(32)과 부시(33)가 결합되는 때에, 위치고정핀(32)의 대경축부(32b)의 외면과 부시(33)의 소내경부(33b)의 내면이 접촉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암 스플라인축(11)은, 한쌍의 베어링(38, 39)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지지체(40)에 대해 지지된다. 상기 축지지체(40)로는 플로팅타입 축지지체가 사용된다. 상기 수 스플라인축(7)은, 베어링(41)에 의해 지지부재(42)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핀(32)이 부시(33)에 삽입되는 때에, 위치고정핀(32)의 대경축부(32b)와 접촉하는 부시(33)의 소내경부(33b)의 내면이 상기 한쌍의 베어링(38, 39) 사이에 위치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수 스플라인축(7)이, 다이나모미터에 의해 시험되는 공시체의 회전축(43)에 접속되고, 상기 암 스플라인축(11)은, 상기 다이나모미터의 회전축(44)에 접속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3 실시예의 축연결구조에서, 제1 실시예의 축연결보조장치(21)와 같은 모양의 도시가 생략된 축연결보조장치가 사용되어, 스플라인축(7)의 축심과 스플라인축(11)의 축심을 일치시키고,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암 스플라인축(11)을 도 9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켜, 암 스플라인축(11) 내에 수 스플라인축(7)을 삽입시킨다.
암 스플라인축(11) 내에 수 스플라인축(7)이 소정량 도입되면, 위치고정핀(32)의 선단에 있는 대경축부(32b)가 상기 삽입가이드면(32c, 33c)을 따라 부시(33) 내에 원활히 삽입되고, 위치고정핀(32)의 대경축부(32b)와 부시(33)의 소내경부(33b) 사이에 틈이 없이 결합된다.
그 후,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암 스플라인축(11)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부재(42)와 접촉하여 스플라인연결을 완료하는 시점에, 위치고정핀(32)의 대경축부(32b)의 외면이 부시(33)의 소내경부(33b)의 내면과 접촉하여, 상기 암수 스플라인축(7, 11) 사이의 축흔들림 내지 상기 공시체의 회전축(43)과 다이나모미터의 회전축(44) 사이의 축흔들림을 방지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다이나모미터로 시험할 공시체의 회전축(43)에 수 스플라인축(7)이 접속되고, 다이나모미터의 회전축(44)에 암 스플라인축(11)이 접속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공시체의 회전축(43)에 암 스플라인축(11)이 접속되고, 다이나모미터의 회전축(44)에 수 스플라인축(7)이 접속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 스플라인축(7)의 선단에 위치고정핀(32)이 위치고정핀고정볼트(36)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지만, 수 스플라인축(7)의 선단에 위치고정핀(32)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고정핀(32)이, 소경축부(32a)와, 소경축부(32a)의 선단에 연속되고 소경축부(32a)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는 대경축부(32b)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33)가, 대내경부(33a)와, 대내경부(33a)의 선단에 연속되는 소내경부(33b)로 이루어지고, 위치고정핀(32)과 부시(33)의 결합시, 위치고정핀(32)의 대경축부(32b)의 외면이, 부시(33)의 소내경부(33b)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부시(33)의 내부 지름이 단일하게 형성되고, 위치고정핀(32)이, 소경축부(32a)와, 소경축부(32a)의 선단에 연속되고 소경축부(32a)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는 대경축부(32b)로 이루어져, 대경축부(32b)의 외면이 부시(33)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반대로, 위치고정핀(32)의 외부 지름이 단일하게 형성되고, 부시(33)가, 대내경부(33a)와, 대내경부(33a)의 선단에 연속되는 소내경부(33b)로 이루어져, 위치고정핀(32)의 외면이 상기 소내경부(33b)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치고정핀(32)과 부시(33)의 양방에 삽입가이드면(32c, 33c)이 설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위치고정핀(32)과 부시(33)의 일방에 삽입가이드면이 설치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엔진이 다이나모미터에 연결되는 특정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축연결보조장치 및 축연결방법은, 엔진이 다이나모미터에 연결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두 회전축이 스플라인축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다양한 경우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1 : 페데스탈 (Pedestal)
2 : 러버마운트 (Rubber Mount)
3 : 엔진 (Engine(Product Under Test))
4 : 회전축 (Rotating Shaft)
5 : 다이나모미터 (Dynamometer)
6 : 회전축 (Rotating Shaft)
7 : 스플라인축 (Spline Shaft)
8 : 제1 유니버설 조인트 (First Universal Joint)
9 : 신축가능축 (Telescopic Shaft)
10 : 제2 유니버설 조인트 (Second Universal Joint)
11 : 스플라인축 (Spline Shaft)
12 : 축지지체 (Shaft Support Member)
13 : 축지지체구동부재(주 에어실린더) (Shaft Support Member Drive Member (Main Air Cylinder))
21 : 축 연결 보조장치 (Shaft Connection Assist Device)
22 : 센터링 링 (Centering Ring)
23 : 센터링 핀 (Centering Pin)
23a : 원주부 (Cylindrical Part)
23b : 원추부 (Conical Part)
23c : 플랜지부 (Flange Part)
24 : 핀 구동부재(보조 에어실린더) (Pin Drive Member (Auxiliary Air Cylinder))
24a : (보조 에어실린더) 로드 ((Auxiliary Air Cylinder) Rod)
24b : (보조 에어실린더) 피스톤 ((Auxiliary Air Cylinder) Piston)
31 : 축 흔들림 방지기구 (Shaft Runout Prevention Mechanism)
32 : 위치고정핀 (Locating Pin)
32a : 소경축부 (Small-Diameter Shaft Part)
32b : 대경축부 (Large-Diameter Shaft Part)
32c : 삽입가이드면 (Insertion Guide Surface)
33 : 부시 (Bush)
33a : 대내경부 (Large-Inner-Diameter Part)
33b : 소내경부 (Small-Inner-Diameter Part)
33c : 삽입가이드면 (Insertion Guide Surface)
34, 35 : 스플라인치 (Spline Teeth)
36 : 위치고정핀 고정볼트 (Locating Pin Fixing Bolt)
37 : 부시 고정볼트 (Bush Fixing Bolt)
38, 39 : 베어링 (Bearing)
40 : 축 지지부재 (Shaft Support Member)
41 : 베어링 (Bearing)
42 : 지지부재 (Support Member)

Claims (19)

  1. 한쌍의 스플라인축 사이의 결합을 통해 한쌍의 회전축을 연결하기 위해 한쌍의 회전축 각각에 한쌍의 스플라인축 중 하나씩이 설치되며,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외측에 스플라인축과 동심상으로 배치되는 센터링 링; 및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외측에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하여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과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그들 사이의 결합을 가능케 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센터링 핀들을 포함하는 축연결보조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핀들의 각각은 원주부와 원추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주부는,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하여 센터링 링을 위치시키고;
    상기 원추부는, 원주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접하여 한쌍의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부가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원주부가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할 때에 상기 센터링 링의 선단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상기 한쌍의 회전축 중 일방의 회전축이 공시체의 회전축이고;
    서로 연결되는 상기 한쌍의 회전축 중 타방의 회전축은 상기 공시체의 시험을 위한 시험장치의 회전축이고;
    상기 공시체의 회전축에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이 설치되고;
    상기 시험장치의 회전축에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이 설치되고;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이 축지지체에 설치되고;
    축지지체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축지지체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센터링 핀들의 각각은 핀 구동부재에 의해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 구동부재가, 3개 이상의 상기 센터링 핀들이 상기 공시체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하여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과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키고;
    상기 축지지체구동부재는, 상기 축지지체를 상기 공시체측으로 전진시켜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과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 축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체구동부재와 상기 핀 구동부재가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체구동부재와 상기 핀 구동부재가 서보모터 또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8. 공시체의 회전축에 일방의 스플라인축을 설치하고;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외측에 동심상으로 센터링 링을 배치하고;
    상기 공시체의 시험을 행하는 시험장치의 회전축에 타방의 스플라인축을 설치하고;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이 설치된 축지지체에 복수개의 센터링 핀들을 핀 구동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축지지체가 축지지체구동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센터링 핀들을 핀 구동부재를 통해 상기 공시체측으로 전진시켜,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시켜,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과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축심을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시킨 후;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을 전진시켜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과 타방의 스플라인축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대기위치에 있을 때 복수개의 센터링 핀들을 보조에어실린더를 통해 상기 시험장치측에 설치된 스플라인축의 선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공시체 측으로 돌출시키는 스텝;
    상기 복수개의 센터링 핀들이 상기 공시체 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주에어실린더를 통해 상기 축지지체를 상기 공시체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센터링 링과 복수개의 센터링 핀을 통해 상기 스플라인축들의 축심 간 편차를 해소하는 스텝;
    모든 센터링 핀이 상기 센터링 링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스플라인축들의 축심이 결합을 가능케하는 범위 이내로 일치되었는지 검출하는 스텝;
    상기 스플라인축들의 축심 정렬이 종료된 후 상기 보조에어실린더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주에어실린더를 통해 상기 축지지체를 이동시켜, 상기 스플라인축들을 결합시키고, 상기 시험장치 측에 설치된 스플라인축의 선단면이 상기 센터링 링의 저면부와 접촉하도록 하는 스텝,
    상기 시험장치 측에 설치된 스플라인축의 선단면과 상기 센터링 링의 저면부 간 틈을 발생시켜 양자를 비접촉상태로 만드는 스텝;
    상기 센터링 핀과 상기 센터링 링 간에 틈을 발생시켜 양자를 비접촉상태로 만드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스플라인축에 축흔들림 방지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축흔들림 방지기구는 위치고정핀과 부시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고정핀과 상기 부시가 스플라인연결시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이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스플라인치가 설치되고;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스플라인치가 설치되고;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 축의 스플라인치는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스플라인치와 맞물리고;
    상기 위치고정핀은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원주상의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연결부 선단면에 설치되고;
    상기 부시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원통상의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내주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핀이 소경축부와 대경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경축부가 상기 소경축부의 선단에 연속되고;
    상기 부시가 소내경부와 대내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내경부가 상기 소내경부에 연속되고;
    상기 위치고정핀이 상기 부시에 삽입되어 상기 위치고정핀의 대경축부 외면이, 상기 부시의 소내경부의 내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핀의 대경축부와 상기 부시의 소내경부 중 적어도 하나의 선단부가 서로 간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삽입가이드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핀과 상기 부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의 선단면과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이 다이나모미터로 시험할 공시체(product under test)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타방의 스플라인축이 상기 다이나모미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스플라인축이 한 쌍의 베어링에 의해 축지지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위치고정핀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상기 부시의 소내경부의 내주면이 상기 한 쌍의 베어링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체가 플로팅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18.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핀의 재질이 합성수지 또는 러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연결구조.
  19. 삭제
KR1020127032281A 2010-06-10 2011-06-10 축연결구조 및 축연결방법 KR101461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2624A JP5556402B2 (ja) 2010-06-10 2010-06-10 軸連結補助装置および軸連結方法
JPJP-P-2010-132624 2010-06-10
JP2011082868A JP5724556B2 (ja) 2011-04-04 2011-04-04 スプライン連結構造
JPJP-P-2011-082868 2011-04-04
PCT/JP2011/063373 WO2011155601A1 (ja) 2010-06-10 2011-06-10 軸連結構造および軸連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248A KR20130036248A (ko) 2013-04-11
KR101461079B1 true KR101461079B1 (ko) 2014-11-13

Family

ID=4509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281A KR101461079B1 (ko) 2010-06-10 2011-06-10 축연결구조 및 축연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38798B2 (ko)
KR (1) KR101461079B1 (ko)
CN (1) CN102947686B (ko)
WO (1) WO20111556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604A (ko) * 2020-06-26 2022-01-04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스플라인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플라인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543B1 (ko) 2015-02-05 2016-11-29 (주)에이디티 축 연결 기구
AT517764B1 (de) * 2015-07-23 2017-12-15 Avl List Gmbh Wellenverbindungsvorrichtung und Anordnung zur Drehverbindung einer Belastungsmaschine eines Prüfstandes mit einem Prüfling
CN106679609A (zh) * 2016-11-23 2017-05-17 广东韶钢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提高轴对中测量精准度的组合装置的应用
JP7048731B2 (ja) * 2018-05-10 2022-04-05 東洋電機製造株式会社 シャシダイナモ装置
TWI690699B (zh) * 2019-07-09 2020-04-11 致茂電子股份有限公司 馬達測試平台的自動裝卸裝置及系統
CN112213635A (zh) * 2019-07-09 2021-01-12 致茂电子(苏州)有限公司 马达测试平台的自动装卸装置及系统
CN111458134B (zh) * 2020-05-27 2021-11-09 中国航发湖南动力机械研究所 转子试验转接机构
DE102021211510B3 (de) 2021-10-13 2023-03-30 Zf Friedrichshafen Ag Kopplungssystem für einen Getriebeprüfstand
CN114544179A (zh) * 2022-04-01 2022-05-27 李斯特测试设备(上海)有限公司 驱动轴对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2653U (ja) * 1983-12-16 1985-07-12 株式会社明電舎 エンジンの試験装置
JP2000257647A (ja) 1999-03-09 2000-09-19 Sumitomo Heavy Ind Ltd 自動着脱カップリング装置
JP2006300116A (ja) 2005-04-18 2006-11-02 Meidensha Corp 軸連結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3527A (en) * 1955-05-16 1958-02-18 Ajax Flexible Coupling Co Inc Gear type couplings
FR2268187B1 (ko) * 1974-04-17 1977-10-14 Ferodo Sa
FR2278986A1 (fr) * 1974-06-27 1976-02-13 Alsacienne Constr Meca Accouplement pour la liaison de deux arbres en rotation et en direction axiale
JPH017853Y2 (ko) 1981-06-25 1989-03-02
JP2550295B2 (ja) * 1994-05-17 1996-11-06 株式会社湘南エンジニアリング 伝導カップリング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る軸部材
US6390925B1 (en) * 2000-10-16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Retainer assembly
JP2003294583A (ja) * 2002-03-29 2003-10-15 Daifuku Co Ltd エンジンテスト用の回転駆動装置
JP2009204002A (ja) * 2008-02-26 2009-09-1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カップリング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2653U (ja) * 1983-12-16 1985-07-12 株式会社明電舎 エンジンの試験装置
JP2000257647A (ja) 1999-03-09 2000-09-19 Sumitomo Heavy Ind Ltd 自動着脱カップリング装置
JP2006300116A (ja) 2005-04-18 2006-11-02 Meidensha Corp 軸連結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604A (ko) * 2020-06-26 2022-01-04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스플라인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플라인 조립방법
KR102378445B1 (ko) 2020-06-26 2022-03-25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스플라인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플라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47686B (zh) 2016-08-24
KR20130036248A (ko) 2013-04-11
US20130081919A1 (en) 2013-04-04
US9038798B2 (en) 2015-05-26
CN102947686A (zh) 2013-02-27
WO2011155601A1 (ja)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079B1 (ko) 축연결구조 및 축연결방법
US7882608B2 (en) Method of positioning movable body
US20010024044A1 (en) Work chucking/inserting apparatus and assembling unit
JP2008073842A (ja) 工作機械の工具を回転駆動するためのモータスピンドル
CN101829996A (zh) 机械接口及使用该接口的机械手
CN200988176Y (zh) 法兰对口器
CN105855981B (zh) 一种机械手浮动抓取手爪
WO2016140226A1 (ja) 軸受挿入装置
CN110967155A (zh) 一种用于自动变速器柔性盘的刚度测试装置
CN101658697B (zh) 注射泵注射器的识别机构
CN105465203B (zh) 具有支撑作用的高弹联轴器
JP5556402B2 (ja) 軸連結補助装置および軸連結方法
CN101733679A (zh) 寻边器
JP5225819B2 (ja) 揺動回転試験装置
JP5724556B2 (ja) スプライン連結構造
JP2009509773A5 (ko)
KR20100087201A (ko) 자동 변속기의 시험 장치
JP5354172B2 (ja) 内面加工装置
JP5316136B2 (ja) 内面加工検査装置
CN204755464U (zh) 一种后段旋转连接的液压缸
CN110711941A (zh) 波纹管焊接装置以及焊接方法
BR112014030488B1 (pt) Dispositivo de aperto
CN211276979U (zh) 波纹管焊接装置
CN113787473B (zh) 一种薄壁隔套定向及后检测机构
JP2015121475A (ja) 磁気ヨークアセンブリ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磁気ヨーク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