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649B1 -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649B1
KR101458649B1 KR1020080133987A KR20080133987A KR101458649B1 KR 101458649 B1 KR101458649 B1 KR 101458649B1 KR 1020080133987 A KR1020080133987 A KR 1020080133987A KR 20080133987 A KR20080133987 A KR 20080133987A KR 101458649 B1 KR101458649 B1 KR 101458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pressure
fork
signal line
sign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334A (ko
Inventor
허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080133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6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8Shuttl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15B2211/3052Shuttl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05Load sensing circuits
    • F15B2211/6051Load sensing circuits having valve means between output member and the load sensing circuit
    • F15B2211/6054Load sensing circuits having valve means between output member and the load sensing circuit using shuttle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포크(110)(120)와, 상기 제 1 포크(11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와,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 각각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를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좌우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압을 발생시키는 시프트 조작부(170); 및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측 시프트 신호압이 발생하면,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의 제 1 및 제 2 좌측 수압부(130a)(140a)에 동시에 인가하고,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우측 시프트 신호압이 발생하면,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의 제 1 및 제 2 우측 수압부(130b)(140b)에 인가하는 시프트용 밸브 유닛(180)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133987
포크, 시프트, 시프트용 밸브 유닛, 제어밸브, 연결 호스, 실린더

Description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FORK SHIFT HYDRAULIC APPARATUS FOR 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은 지게차와 같은 산업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포크를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차량 중 지게차는 비교적 고중량의 화물을 들어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로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지게차의 차체는 전방 구동륜과 후방 조향륜에 의해 지지되며 전방에는 마스트 조립체가 설치된다. 이 마스트조립체는 그 하단이 상기 전방 구동륜을 지지하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마스트 레일이 구비되며 이 마스트 레일에는 상기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동시에 좌우로 유동되는 사이드 시프트 캐리지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지게차의 일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지게차에는 사이드 시프트 캐리지(1)에 두 개의 포크(2, 3)가 장착된다. 두 개의 포크(2, 3)는 두 개의 유압 실린더(5, 6)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좌우로 이동되며, 사이드 시프트 캐리지(1)는 사이드 시프트용 유압 실린더(7)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두 개의 포크(2, 3)를 동시에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각 유압 실린더(5, 6, 7) 각각은 각 제어밸브(8, 9, 10)에 의해 흐름 방향이 제어된 작동유가 공급되어 구동되며, 각 제어밸브(8, 9, 10)는 조작부(11, 12, 13)의 신호에 의해 변환된다. 결국, 조작부(11, 12, 13)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각 제어밸브(8, 9, 10)가 변환되어 작동유의 흐름 방향이 제어되며, 이에 의해 각 유압 실린더(5, 6, 7)의 구동 방향 및 구동 속도가 조절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지게차는 상기 한 쌍의 포크(2, 3)를 이동시키기 위해 3개의 제어밸브(8, 9, 10)와, 3개의 유압 실린더(5, 6, 7)와, 상기 각 제어밸브(8, 9, 10)와 각 유압 실린더(5, 6, 7)를 연결하는 6개의 연결 호스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고가의 유압 실린더와 제어밸브 및 연결 호스의 개수를 줄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연결 호스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차량의 운전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연결 호스의 개수를 줄이려는 연구는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 시야를 저해하는 연결 호스의 개수를 줄여 차량의 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포크(110)(120)와, 상기 제 1 포크(11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 1 좌측 챔버(111a)와 상기 제 1 포크(11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 1 우측 챔버(111b)를 구비한 제 1 실린더(111)와, 상기 제 2 포크(1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 2 좌측 챔버(121a)와 상기 제 2 포크(1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 2 우측 챔버(121b)를 구비한 제 2 실린더(121)와, 양측 각각에 상기 제 1 좌측 챔버(111a)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1 좌측 수압부(130a)와 상기 제 1 우측 챔버(111b)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1 우측 수압부(130b)를 구비한 제 1 제어밸브(130)와, 양측 각각에 상기 제 2 좌측 챔버(121a)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2 좌측 수압부(140a)와 상기 제 2 우측 챔버(121b)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1 우측 수압부(130b)를 구비한 제 2 제어밸브(140)를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좌우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압을 발생시키는 시프트 조작부(170); 및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측 시프트 신호압이 발생하면,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좌측 수압부(130a)(140a)에 인가하고,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우측 시프트 신호압이 발생하면,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우측 수압부(130b)(140b)에 인가하는 시프트용 밸브 유닛(1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프트용 밸브 유닛(180)은 입력 포트가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압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의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과 제 1 포크용 조작부(171)의 제 1 좌측 이동 신호라인(171a)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 포트는 상기 제 1 좌측 수압부(130a)에 연결되어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의 신호압과 상기 제 1 좌측 이동 신호라인(171a)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1 좌측 수압부(130a)에 인가하는 제 1 셔틀 밸브(181); 입력 포트가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압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의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과 제 1 포크용 조작부(171)의 제 1 우측 이동 신호라인(171b)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 포트는 상기 제 1 우측 수압부(130b)에 연결되어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의 신호압과 상기 제 1 우측 이동 신호라인(171b)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1 우측 수압부(130b)에 인가하는 제 2 셔틀 밸브(182); 입력 포트가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과 제 2 포크용 조작 부(172)의 제 2 좌측 이동 신호라인(172a)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 포트는 상기 제 2 좌측 수압부(140a)에 연결되어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의 신호압과 상기 제 2 좌측 이동 신호라인(172a)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2 좌측 수압부(140a)에 인가하는 제 3 셔틀 밸브(183); 및 입력 포트가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과 제 2 포크용 조작부(172)의 제 2 우측 이동 신호라인(172b)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 포트는 상기 제 2 우측 수압부(140b)에 연결되어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의 신호압과 상기 제 2 우측 이동 신호라인(172b)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2 우측 수압부(140b)에 인가하는 제 4 셔틀 밸브(184)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시프트용 밸브 유닛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시프트 신호압이 개별적이 포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제어밸브에 인가되어 제 1 및 제 2 포크를 시프트 이동시킴으로써, 포크를 시프트시키기 위한 별도의 시프트용 실린더와 별도의 시프트용 제어밸브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산업용 차량의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프트용 실린더와 시프트용 제어밸브를 생략함으로써, 시프트용 실린더와 시프트용 제어밸브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 호스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제조 원가를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어 시야를 가렸던 상기 2개의 연결 호스를 생략 함으로써, 차량의 시야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운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프트용 밸브 유닛을 복수의 셔틀 밸브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는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동작을 시프트(shift)라 일컫는다. 이러한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좌우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압 즉, 시프트 신호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시프트 조작부(170)와,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에 의해 발생한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에 인가하는 시프트용 밸브 유닛(180)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지게차의 포크(110)(120)는 상하 방향 이동과, 전후 방향 경사운동(tilt, 틸트)과, 좌우 방향 개별 이동 및 시프트 이동이 가능해야 한다.
상기 포크(110)(12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리프트 실린더(150)와, 리프트 제어밸브(151)와, 리프트 조작부(152)가 마련된다. 상기 리프트 조작부(152)에 의해 발생하는 리프트 신호에 따라 상기 리프트 제어밸브(151)가 변 환되고, 변환된 상기 리프트 제어밸브(151)는 메인 펌프(P)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리프트 실린더(150)로 공급한다. 이에 의해 상기 포크(110)(120)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제어된다.
상기 포크(110)(120)의 전후 방향 틸트을 위한 구성으로서 틸트 실린더(160)와, 틸트 제어밸브(161)와, 틸트 조작부(162)가 마련된다. 상기 틸트 조작부(162)에 의해 발생하는 틸트 신호는 틸트 제어밸브(161)로 인가되고, 틸트 제어밸브(161)는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변환되며, 메인 펌프(P)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틸트 제어밸브(161)에 의해 그 흐름 방향이 제어되어 상기 틸트 실린더(160)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포크(110)(120)의 틸트 동작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포크(110)(120)가 전후 방향 틸트 및 상하 방향 이동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보다 엄밀하게, 포크(110)(120)가 설치된 마스터 조립체가 전후 방향으로 틸트 동작을 하여 포크(110)(120)가 전후 방향으로 틸트되고, 포크(110)(120)가 설치된 캐리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크(100)(120)의 상하 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의 좌우 방향 개별적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와,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와, 제 1 및 제 2 포크용 조작부(171)(17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 각각을 개별적으로 좌우 방향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각 실린더(111)(121)는 좌측 챔버(111a)(121a)와 우측 챔버(111b)(121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좌측 챔버(111a)(121a)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신축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우측 챔버(111b)(121b)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신축운동을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는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와 캐리지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의 설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공지된 구성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는 컨트롤 블록(CB)의 내부에 유로와 스풀 및 수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밸브(130)는 제 1 실린더(111)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포크(11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1 좌측 수압부(130a)와, 제 1 포크(110)를 우측을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1 우측 수압부(130b)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 1 좌측 수압부(130a)에 신호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제어밸브(130)는 상기 제 1 포크(110)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작동유를 상기 제 1 실린더(111)의 제 1 좌측 챔버(111a)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우측 수압부(130b)에 신호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 2 제어밸브(140)는 상기 제 2 포크(120)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작동유를 상기 제 2 실린더(121)의 제 1 우측 챔버(121a)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 2 제어밸브(140)는 제 2 실린더(121)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 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포크(1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2 좌측 수압부(140a)와, 제 2 포크(1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2 우측 수압부(140b)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좌측 수압부(140a) 및 상기 제 2 우측 수압부(140b)에 인가되는 신호압에 의해 상기 제 2 제어밸브(140)가 변환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실린더(121)가 구동하는 동작은 전술한 제 1 제어밸브(130) 및 상기 제 1 실린더(11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는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및 제 2 포크(110)(120)의 시프트 동작을 위한 별도의 실린더나 제어밸브를 마련하지 않고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와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를 이용한다. 이에 의해 기존에 시프트 동작을 위한 시프트용 실린더와 시프트용 제어밸브를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프트용 실린더와 시프트용 제어밸브를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 호스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산업용 차량의 부품수를 절감하여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에 배치되어야 하는 연결 호스를 생략하여 시야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는 시프트 조작부(170)와,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로부터 발생한 시프트 신호압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가 시프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에 시프트 신호압을 인가하는 시프트용 밸브 유 닛(1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는 다른 조작부와 같이 운전실에 마련된 레버 조립체로 구현되며,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에 의해 파일럿 펌프(PP)로부터 토출되는 파일럿 작동유의 흐름 방향이 제어되어 상기 시프트용 밸브 유닛(180)에 신호압으로 전달된다.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는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과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을 통해 상기 시프트용 밸브 유닛(180)과 연결된다.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압은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좌측으로 시프트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좌측 시프트 신호압이라 일컫는다. 한편,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압은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우측으로 시프트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우측 시프트 신호압이라 일컫는다.
상기 시프트용 밸브 유닛(180)은 제 1 내지 제 4 셔틀 밸브(181)(182)(183)(184)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셔틀 밸브(181)(182)(183)(184)는 제 1 및 제 2 포크(110)(120)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가 구동되도록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에 의해 발생한 시프트 신호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에 인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기 위해 상기 제 1 내지 제 4 셔틀 밸브(181)(182)(183)(184)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1 셔틀 밸브(181)는 그 입력 포트가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의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과 상기 제 1 포크용 조작부(171)의 제 1 좌측 이동 신호 라인(171a)에 각각 연결되고, 그 출력 포트는 상기 제 1 좌측 수압부(130a)에 연결되어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의 신호압과 상기 제 1 좌측 이동 신호라인(171a)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1 좌측 수압부(130a)에 인가한다.
상기 제 2 셔틀 밸브(182)는 그 입력 포트가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의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과 제 1 포크용 조작부(171)의 제 1 우측 이동 신호라인(171b)에 각각 연결되고, 그 출력 포트는 상기 제 1 우측 수압부(130b)에 연결되어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의 신호압과 상기 제 1 우측 이동 신호라인(171b)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1 우측 수압부(130b)에 인가한다.
상기 제 3 셔틀 밸브(183)는 그 입력 포트가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과 제 2 포크용 조작부(172)의 제 2 좌측 이동 신호라인(172a)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 포트는 상기 제 2 좌측 수압부(140a)에 연결되어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의 신호압과 상기 제 2 좌측 이동 신호라인(172a)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2 좌측 수압부(140a)에 인가한다.
상기 제 4 셔틀 밸브(184)는 그 입력 포트가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과 제 2 포크용 조작부(172)의 제 2 우측 이동 신호라인(172b)에 각각 연결되고, 그 출력 포트는 상기 제 2 우측 수압부(140b)에 연결되어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의 신호압과 상기 제 2 우측 이동 신호라인(172b)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2 우측 수압부(140b)에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내지 제 4 셔틀 밸브(181)(182)(183)(184)에 의해, 시프트 조작부(170)가 좌측 시프트 신호압이 발생하도록 조작되면, 상기 좌측 시프 트 신호압은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을 통해 상기 제 1 셔틀 밸브(181)와 상기 제 3 셔틀 밸브(183)로 입력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포크용 조작부(171)(172)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좌측 이동 신호라인(171a)과 상기 제 2 좌측 이동 신호라인(172a)에는 고압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셔틀 밸브(181)와 제 3 셔틀 밸브(183)의 출력 압력은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의 신호압이 된다. 상기 제 1 및 제 3 셔틀 밸브(181)(183)로부터 출력되는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의 신호압은 각각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의 제 1 및 제 2 좌측 수압부(130a)(140a)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제어밸브(130)는 도 3의 우측으로 변환되고, 제 2 제어밸브(140)는 도 3의 좌측으로 변환되어, 센터바이패스 라인(CBL)이 차단되게 된다. 이에 의해 메인 펌프(P)의 작동유는 병렬 라인(PL, parallel line)과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를 통해 상기 제 1 실린더(111)의 제 1 좌측 챔버(111a)와 상기 제 2 실린더(121)의 제 2 좌측 챔버(121a)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는 좌측으로 동일하게 거리만큼 구동되어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는 좌측 방향으로 시프트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가 우측 시프트 신호압이 발생하도록 조작되면,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압은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을 통해 상기 제 2 셔틀 밸브(182)와 상기 제 4 셔틀 밸브(184)로 입력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포크용 조작부(171)(172)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우측 이동 신호라인(171b)과 상기 제 2 우측 이동 신호라인(172b)에는 고압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2 셔틀 밸브(182)와 제 4 셔틀 밸브(184)의 출력 압력은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의 신호압이 된다. 상기 제 2 및 제 4 셔틀 밸브(182)(184)로부터 출력되는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의 신호압은 각각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의 제 1 및 제 2 우측 수압부(130b)(140b)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제어밸브(130)는 도 3의 좌측으로 변환되고, 제 2 제어밸브(140)는 도 3의 우측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는 센터바이패스 라인(CBL)을 차단하게 되어 메인 펌프(P)의 작동유는 병렬 라인(PL)과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를 통해 상기 제 1 실린더(111)의 제 1 우측 챔버(111b)와 상기 제 2 실린더(121)의 제 2 우측 챔버(121b)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는 우측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구동되어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는 우측 방향으로 시프트된다.
한편, 시프트 조작부(170)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용 조작부(171)(172)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할 경우, 발생된 신호압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셔틀 밸브(181)(182)(183)(184)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밸브(130)(140) 중 어느 하나의 수압부에 인가되어 제 1 및 제 2 실린더(111)(121)는 조작부(171)(172)에 의해 발생한 신호압에 해당하는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용 조작부(171)(172)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제 1 및 제 2 포크(110)(120)가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은 복수의 셔틀 밸브(181)(182)(183)(184)를 통과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포크 및 캐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산업용 차량의 유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유압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가 적용된 산업용 차량의 유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유압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110, 120; 제 1 및 제 2 포크 111, 121; 제 1 및 제 2 실린더
111a, 121a; 제1 및 제 2 좌측 챔버 111b, 121b; 제 1 및 제 2 우측 챔버
130, 140; 제 1 및 제 2 제어밸브 130a, 140a; 제 1 및 제 2 좌측 수압부
130b, 140b; 제 1 및 제 2 우측 수압부 170; 시프트 조작부
180; 시프트용 밸브 유닛
181, 182, 183, 184; 제 1 내지 제 4 셔틀 밸브

Claims (2)

  1.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포크(110)(120)와, 상기 제 1 포크(11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 1 좌측 챔버(111a)와 상기 제 1 포크(11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 1 우측 챔버(111b)를 구비한 제 1 실린더(111)와, 상기 제 2 포크(1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 2 좌측 챔버(121a)와 상기 제 2 포크(1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유가 공급되는 제 2 우측 챔버(121b)를 구비한 제 2 실린더(121)와, 양측 각각에 상기 제 1 좌측 챔버(111a)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1 좌측 수압부(130a)와 상기 제 1 우측 챔버(111b)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1 우측 수압부(130b)를 구비한 제 1 제어밸브(130)와, 양측 각각에 상기 제 2 좌측 챔버(121a)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2 좌측 수압부(140a)와 상기 제 2 우측 챔버(121b)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압이 인가되는 제 2 우측 수압부(140b)를 구비한 제 2 제어밸브(140)를 포함하는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좌우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압을 발생시키는 시프트 조작부(170); 및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좌측 시프트 신호압이 발생하면,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좌측 수압부(130a)(140a)에 인가하고,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포크(110)(1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우측 시프트 신호압이 발생하면,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우측 수압부(130b)(140b)에 인가하는 시프트용 밸브 유닛(180)를 포함하며,
    상기 시프트용 밸브 유닛(180)은,
    입력 포트가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압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의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과 제 1 포크용 조작부(171)의 제 1 좌측 이동 신호라인(171a)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 포트는 상기 제 1 좌측 수압부(130a)에 연결되어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의 신호압과 상기 제 1 좌측 이동 신호라인(171a)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1 좌측 수압부(130a)에 인가하는 제 1 셔틀 밸브(181);
    입력 포트가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압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시프트 조작부(170)의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과 제 1 포크용 조작부(171)의 제 1 우측 이동 신호라인(171b)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 포트는 상기 제 1 우측 수압부(130b)에 연결되어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의 신호압과 상기 제 1 우측 이동 신호라인(171b)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1 우측 수압부(130b)에 인가하는 제 2 셔틀 밸브(182);
    입력 포트가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과 제 2 포크용 조작부(172)의 제 2 좌측 이동 신호라인(172a)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 포트는 상기 제 2 좌측 수압부(140a)에 연결되어 상기 좌측 시프트 신호라인(170a)의 신호압과 상기 제 2 좌측 이동 신호라인(172a)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2 좌측 수압부(140a)에 인가하는 제 3 셔틀 밸브(183); 및
    입력 포트가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과 제 2 포크용 조작부(172)의 제 2 우측 이동 신호라인(172b)에 각각 연결되고 출력 포트는 상기 제 2 우측 수압부(140b)에 연결되어 상기 우측 시프트 신호라인(170b)의 신호압과 상기 제 2 우측 이동 신호라인(172b)의 신호압 중 큰 신호압을 상기 제 2 우측 수압부(140b)에 인가하는 제 4 셔틀 밸브(1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
  2. 삭제
KR1020080133987A 2008-12-24 2008-12-24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 KR101458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987A KR101458649B1 (ko) 2008-12-24 2008-12-24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987A KR101458649B1 (ko) 2008-12-24 2008-12-24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334A KR20100075334A (ko) 2010-07-02
KR101458649B1 true KR101458649B1 (ko) 2014-11-05

Family

ID=4263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987A KR101458649B1 (ko) 2008-12-24 2008-12-24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6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1196A (ja) * 1990-01-16 1991-09-13 Showa Concrete Kogyo Kk フォークリフト
JPH07257895A (ja) * 1994-03-17 1995-10-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移動装置
KR20040033547A (ko) * 2002-10-15 2004-04-2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용 포크 이송장치를 구비한 사이드 시프트 캐리지
KR20060070263A (ko) * 2004-12-20 2006-06-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간격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1196A (ja) * 1990-01-16 1991-09-13 Showa Concrete Kogyo Kk フォークリフト
JPH07257895A (ja) * 1994-03-17 1995-10-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移動装置
KR20040033547A (ko) * 2002-10-15 2004-04-2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용 포크 이송장치를 구비한 사이드 시프트 캐리지
KR20060070263A (ko) * 2004-12-20 2006-06-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간격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334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1648B (zh) 液压驱动系统
EP2123541B1 (en) Steering system for working vehicle
KR101382861B1 (ko) 작업 차량의 스티어링 시스템
US7222484B1 (en) Hydraulic system with multiple pressure relief levels
US20060277905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US10814924B2 (en) Excavator track tensioning
KR100720900B1 (ko)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
JP6656913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CN109072957B (zh) 作业机
JP6537962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及び作業機
JP2017226492A5 (ko)
EP1600419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hydraulic working machine
KR101529330B1 (ko) 지게차의 포크 작동 유압장치
US9340954B2 (en) Regenerative circuit for articulated joint
KR101458649B1 (ko) 산업용 차량의 포크 시프트용 유압장치
JP4944537B2 (ja) 油圧駆動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5832193B2 (ja) 作業機のアンロード装置
CN113950554B (zh) 作业设备的液压控制装置
JP2007117037A (ja) 作業車両の油圧装置
KR101971237B1 (ko)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JP7290619B2 (ja) 作業用車両
JP5858748B2 (ja) 作業機の油圧駆動装置
JP2009035087A (ja) 作業車両
JP6503874B2 (ja) 作業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449014B1 (ko) 건설기계의 직진주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