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266B1 -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266B1
KR101455266B1 KR1020130079534A KR20130079534A KR101455266B1 KR 101455266 B1 KR101455266 B1 KR 101455266B1 KR 1020130079534 A KR1020130079534 A KR 1020130079534A KR 20130079534 A KR20130079534 A KR 20130079534A KR 101455266 B1 KR101455266 B1 KR 101455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elastomer
polyolefin
mixture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수
박선국
박영철
Original Assignee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보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평면상의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물로 형성된 논슬립층을 포함하는 매트용 적층체; 및 상기 매트용 적층체의 적어도 일면에 압착되어 형성된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수지층이 갖는 메쉬구조 사이로 상기 매트용 적층체 표면부가 외부로 돌출된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논슬립층을 포함하고 있어 매트가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오물이 매트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며, 부착되더라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매트의 표면부에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고 있어, 매트의 내구성 및 내스크레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수지층이 갖는 메쉬구조 사이로 논슬립층이 돌출됨으로써 매트의 논슬립성이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M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 방지 및 오염 방지 기능이 있는 실내운동용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산업화 및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현대인들은 대부분이 운동량이 부족하고, 이는 비만과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오십견이라고 하는 어깨결림, VDT증후군 등으로 불리는 신경근 골격계 질환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병의 초기 상태에서는 맨몸 스트레칭이나 단순한 약물요법으로 빠른 시간내에 회복되나, 근육피로가 반복되거나 과도한 긴장으로 발생되는 통증은 근육이완제로도 쉽게 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칫 신체적 활동상 제약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각종 근육 및 골격계 질환들을 치유하기 위한 방안으로 요가, 맨손체조 등의 실내운동들이 행해지고 있으며, 특히 요가는 자세와 호흡을 가다듬어 정신을 통일, 순화시키고, 또는 초자연력을 얻고자 바른 호흡 및 자세를 통한 운동과 함께 정신수련을 병행하여 행하는 인도 고유의 수행법으로서, 오늘날에는 건강증진, 미용 등을 위한 목적으로 수련되고 있다.
이러한 요가 수련은 통상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정적인 자세를 취하거나 또는 동적인 부드러운 동작을 취하는 자세를 취하게 됨에 따라 인체의 하중이 인체의 특정 부위에 쏠리면서 바닥면에 집중적으로 하중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수련자의 인체 특정 부위가 바닥면과 접촉됨에 따라 인체의 하중에 의한 압박을 받는 압력의 정도를 완화시켜 주기 위해서, 푹신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는 평평한 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친환경 소재로서 쿠션성이 우수한 가교 및 무가교 폴리올레핀 발포체로 제조된 매트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바닥에 깔려있는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수련자가 다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매트 바닥면에 논슬립 시트를 별도로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때에는 추가공정으로 인해 가공비가 증가될 수 있으며, 특히 매트를 사용함에 따라 매트부분과 논슬립 시트부분이 서로 분리될 수 있어 적절한 해결책이라 할 수 없다.
또한, 가교 폴리올레핀 발포체는 표면이 마찰됨에 따라 정전기가 발생하여, 미세먼지, 머리카락 등과 같은 오물이 매트에 부착되어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닥에 깔려있는 상태에서 매트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오물이 매트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며, 내구성이 향상된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평면상의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물로 형성된 논슬립층을 포함하는 매트용 적층체; 및 상기 매트용 적층체의 적어도 일면에 압착되어 형성된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수지층이 갖는 메쉬구조 사이로 상기 매트용 적층체 표면부가 외부로 돌출된 매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의 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부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라스토머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 엘라스토머 및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의 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부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전방지제는, 계면활성제; 아이오노머; 전도성 고분자; 및 전도성 필러를 이용한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층은, 상기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3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대전방지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층의 두께는, 20㎛ 내지 10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수지층에 형성된 구멍의 단경은, 0.5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수지층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트의 적어도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파인 복수의 제1 홈부들; 및 상기 제1 홈부들과 교차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파인 복수의 제2 홈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이루는 각이 θ일 때, 0°<θ< 90°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S1)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체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압출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논슬립액을 도포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의 결과물의 적어도 일면에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접합하는 단계; (S4) 상기 (S3) 단계의 결과물을 라미네이팅 하는 단계; 및 (S5)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압출시트를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발포제는,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보로수소화나트륨, 아조디카본아미드,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테트라민, 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프로판, 부탄, 펜탄, 트리클로로 풀루오로메탄, 디클로로 디풀루오로메탄, 및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S1)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체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압출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접합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의 결과물을 라미네이팅 하는 단계; (S4)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압출시트를 발포시키는 단계; 및 (S5) 상기 (S4) 단계의 결과물의 적어도 일면에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논슬립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전방지제가 포함된 논슬립층을 포함하고 있어 매트가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오물이 매트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며, 부착되더라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매트의 표면부에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고 있어, 매트의 내구성 및 내스크레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수지층이 갖는 메쉬구조 사이로 논슬립층이 돌출됨으로써 매트의 논슬립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표면에 논슬립층이 형성된 매트로서,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이 매트의 일면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표면에 논슬립층이 형성된 매트로서,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이 매트의 양면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표면에 논슬립층이 형성된 매트로서, 표면에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는, 평면상의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물로 형성된 논슬립층을 포함하는 매트용 적층체; 및 상기 매트용 적층체의 적어도 일면에 압착되어 형성된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수지층이 갖는 메쉬구조 사이로 상기 매트용 적층체 표면부가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논슬립층은, 미끄럼 방지 물질인 엘라스토머와 대전방지제를 포함하고 있어, 매트가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오물이 매트에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오물이 일시적으로 부착되더라도, 정전기적 인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아 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엘라스토머는 용융점도가 높기 때문에, 가공조건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압출시트 또는 발포된 압출시트로의 도포가 용이하지 않고, 도포장치의 배출구를 막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올레핀 수지를 첨가하여, 코팅액의 용융점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공정성을 향상시키고, 도포장치 탱크내의 오염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의 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매트의 표면부에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고 있어, 매트의 내구성 및 내스크레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수지층이 갖는 메쉬구조 사이로 상기 매트용 적층체 표면부에 형성된 논슬립층이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매트의 논슬립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수지층에 형성된 구멍이 너무 작게 되면, 메쉬구조 사이로 상기 매트용 적층체 표면부가 외부로 돌출되기 어려우며, 상기 고분자 수지층에 형성된 구멍이 너무 크게 되면, 상기 매트의 내구성 향상효과가 미미하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 수지층에 형성된 구멍의 단경은, 0.5 mm 내지 10 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은, 도 1에서와 같이 매트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매트의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층이 상기와 같이 강성이 강한 고분자를 포함하는 경우, 매트를 더욱 단단히 고정시켜 매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사용 용도에 따라 1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폴리올레핀 수지가 발포됨으로써 형성되는데, 상기 폴레올레핀 수지는 성형제품의 강도 및 탄성율을 고려하여,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PDM)의 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비닐알코올(PVA),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라스토머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등의 폴리에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일반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사출, 압출성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가황공정 없이 생산이 가능하고, 에너지 소비도 적으며, 가황고무에 비해 경량화, 재활용 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대전방지제는, 계면활성제; 아이오노머; 전도성 고분자; 및 카본블랙 또는 카본나노튜브 등과 같은 전도성 필러를 이용한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양성(兩性)이온계 계면활성제로 분류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알킬설포네이트(alkylsulfonate), 알킬설페이트(alkylsulfate), 알킬포스파이트(alkylphosphite), 소듐 알킬설포네이트(sodium alkylsulfonate) 등이 있고,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제4급 암모늄 화합물(quaternary ammonium compound) 등이 있으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에톡실레이트화 알킬아민(ethoxylated alkylamine), 지방산 에스테르(fatty acid ester), 글리세라이드 알킬아민(glyceride alkyamine),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polyethylene glycol ester) 등이 있고, 양성(兩性)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알킬베타인(alkylbetain), 알킬알란나인(alkylalanine)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오노머(ionomer)는 주기율표상 1 ~ 16족에 속하는 금속의 이온을 함유하는 폴리머라면, 본 발명에서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이온의 구체적인 예로는 Na+, K+, Li+, Zn2 + 등이 있다.
이러한 아이오노머의 예로는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스티렌계 아이오노머, 고무계 아이오노머, 불소계 아이오노머, 술폰산화 EPDM계 아이오노머, 카복실화 니트릴계 아이오노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co-메타크릴산)아이오노머[poly(ethylene-co-methacrylic acid)ionomer], 폴리(부타디엔-co-아크릴산) 아이오노머[poly(butadiene-co-acrylic acid)ionomer], 퍼플루오로설포네이트 아이오노머[perfluorosulfonate ionomer], 퍼플루오로카르복시레이트 아이오노머[perfluorocarboxylate ionomer], 텔레케릭 폴리부타디엔 아이오노머[telechelic polybutadidne ionomer], 설폰화 에틸렌-프로필렌 터폴리머 아이오노머[sulfonated ethylene-propylene terpolymer ionomer], 폴리(스티렌-co-아크릴산) 아이오노머[poly(styrene-co-acrylic acid)ionomer], 설폰화 부틸 엘라스토머 아이오노머[sulfonated butyl elastomer ionomer], 설폰화 폴리펜텐아머 아이오노머[sulfonated polypentenamer ionomer], 폴리(스티렌-co-부타디엔-co-아크릴산) 아이오노머[poly(styrene-co-butadiene-co-acrylic acid)ionomer], 폴리(부타디엔-co-아크릴로니트릴-co-아크릴산)아이오노머[poly(butadiene-co-acrylonitrile-co-acrylic acid)ionomer]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고분자로서, IDP(Inherently Dissipative Polymer),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층은, 상기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3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대전방지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논슬립층의 두께는, 20㎛ 내지 100㎛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미끄럼 방지 및 대전 방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두께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매트의 적어도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파인 복수의 제1 홈부들; 및 상기 제1 홈부들과 교차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파인 복수의 제2 홈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이루는 각이 θ일 때, 0°<θ< 90°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실내운동용 매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실내공간 확보를 위해 통상적으로 접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권취하여 보관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매트를 권취한 상태로 보관하였다가 사용을 위해 펼치게 되면, 권취된 방향으로 말려 올라가는 컬(curl)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전술한 바처럼, 매트의 표면에 제1 홈부들과 제2 홈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면, 길이방향으로 권취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다시 펼치더라도, 컬(curl)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체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한다 (S1).
이때,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전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발포제는, 다양한 종류가 이미 공지되어 있지만 미세하고 균일한 기포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하며, 압출시에 발생될 수 있는 조기분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발포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보로수소화나트륨 등의 무기 발포제가 있고,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carbonamide),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테트라민(N,N'-dinitrosopentamethylene tetramine), 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benz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설포닐 하이드라지드(toluenesulfonyl hydrazide), 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toluenesulfonyl semicarbazide),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P,P'-oxybis(benzenesulfonyl hydrazide)) 등의 유기 발포제가 있다.
그리고, 무가교 발포체에 사용되는 발포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프로판, 부탄, 펜탄, 트리클로로 풀루오로메탄, 디클로로 디풀루오로메탄, 및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 발포제가 있다.
필요에 따라, 카드뮴 화합물(cadmium compound), 칼슘 화합물(calsium compound), 아연 화합물(zinc compound), 마그네슘 화합물(magnesium compound), 철 화합물(iron compound), 구리 화합물(copper compound)과 같은 발포조제 등을 더 첨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압출시트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선을 조사하거나 화학 가교제를 첨가하여 수지 성분을 가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수지는 기계적 물성과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다. 전자선 조사, 예를 들어 1 내지 10 Mrad의 조사선량에 의해 셀 사이즈가 균일하고 작게 되며, 열적 안정성과 형태 안정성이 더욱 양호해진다.
이때, 가교제는, 발포시 최적의 수지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성분으로서, 유기 과산화물, 불포화 수지 가교제 및 폴리우레탄 가교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유기 과산화물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알킬-아릴퍼옥사이드(디큐밀 퍼옥사이드), 디아실 퍼옥사이드, 퍼옥시 케탈, 퍼옥시 에스테르, 퍼옥시 카보네이트, 케톤 퍼옥사이드 등을 포함하며, 불포화수지 가교제는 비닐 모노머, 아크릴계 화합물, 메타크릴계 화합물 및 에폭시계 화합물 등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압출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논슬립액을 도포한다 (S2). 여기서,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상기 (S2) 단계의 결과물의 적어도 일면에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접합한 후 (S3), 상기 (S3) 단계의 결과물을 라미네이팅 한다 (S4). 이때, 상기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은 논슬립액이 도포된 압출시트에 압착되어, 추후 매트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매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압출시트를 발포시킨다 (S5). 상기 압출시트에 내재된 발포제가 발포됨에 따라, 압출시트는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로 변화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트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압출시트에 논슬립액을 도포하기 전에, 먼저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접합하여 형성한 후에, 논슬립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하더라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S1)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체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압출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접합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의 결과물을 라미네이팅 하는 단계; (S4)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압출시트를 발포시키는 단계; 및 (S5) 상기 (S4) 단계의 결과물의 적어도 일면에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논슬립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평면상의 폴리올레핀계 발포체,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물로 형성된 논슬립층을 포함하는 매트용 적층체; 및
    상기 매트용 적층체의 적어도 일면에 압착되어 형성된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수지층이 갖는 메쉬구조 사이로 상기 매트용 적층체 표면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적어도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파인 복수의 제1 홈부들 및 상기 제1 홈부들과 교차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파인 복수의 제2 홈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이루는 각이 θ일 때, 0°<θ< 90°를 만족하는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의 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부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 엘라스토머 및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의 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부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계면활성제; 아이오노머; 전도성 고분자; 및 전도성 필러를 이용한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층은, 상기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3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대전방지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층의 두께는, 2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층에 형성된 구멍의 단경은, 0.5 mm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층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11. 삭제
  12. (S1)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체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압출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논슬립액을 도포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의 결과물의 적어도 일면에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접합하는 단계;
    (S4) 상기 (S3) 단계의 결과물을 라미네이팅 하는 단계; 및
    (S5)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압출시트를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적어도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파인 복수의 제1 홈부들 및 상기 제1 홈부들과 교차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파인 복수의 제2 홈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이루는 각이 θ일 때, 0°<θ< 90°를 만족하는 매트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의 중합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부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보로수소화나트륨, 아조디카본아미드, 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 테트라민, 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프로판, 부탄, 펜탄, 트리클로로 풀루오로메탄, 디클로로 디풀루오로메탄, 및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 엘라스토머 및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계면활성제; 아이오노머; 전도성 고분자; 및 전도성 필러를 이용한 대전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액은, 상기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3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대전방지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의 제조방법.
  18. (S1) 폴리올레핀 수지와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체 원료 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압출하여 압출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압출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메쉬구조를 갖는 고분자 수지층을 접합하는 단계;
    (S3) 상기 (S2) 단계의 결과물을 라미네이팅 하는 단계;
    (S4) 상기 발포제를 발포시켜 압출시트를 발포시키는 단계; 및
    (S5) 상기 (S4) 단계의 결과물의 적어도 일면에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수지 및 대전방지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논슬립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적어도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파인 복수의 제1 홈부들 및 상기 제1 홈부들과 교차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파인 복수의 제2 홈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이루는 각이 θ일 때, 0°<θ< 90°를 만족하는 매트의 제조방법.
KR1020130079534A 2013-07-08 2013-07-08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55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534A KR101455266B1 (ko) 2013-07-08 2013-07-08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534A KR101455266B1 (ko) 2013-07-08 2013-07-08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266B1 true KR101455266B1 (ko) 2014-10-31

Family

ID=5199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534A KR101455266B1 (ko) 2013-07-08 2013-07-08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2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449B1 (ko) * 2015-10-30 2016-10-28 신봉관 놀이매트 시스템
KR101676686B1 (ko) * 2015-10-30 2016-11-16 신봉관 멀티침대 시스템
CN115052744A (zh) * 2020-05-19 2022-09-13 韩华思路信株式会社 粘合性和导电性优秀的多层成型品及通过其输送的电子产品
CN115066461A (zh) * 2020-04-28 2022-09-16 韩华思路信株式会社 粘合性和导电性优异的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63Y1 (ko) * 2004-07-08 2004-09-22 조남은 휴대용 매트
KR20090026094A (ko) * 2007-09-06 2009-03-1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싱용 감압성 접착 시트 및 다이싱 방법
JP2009131350A (ja) * 2007-11-29 2009-06-18 Suminoe Textile Co Ltd 滑り止め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17985A (ko) * 2009-04-27 2010-11-04 영보화학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용 매트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63Y1 (ko) * 2004-07-08 2004-09-22 조남은 휴대용 매트
KR20090026094A (ko) * 2007-09-06 2009-03-1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싱용 감압성 접착 시트 및 다이싱 방법
JP2009131350A (ja) * 2007-11-29 2009-06-18 Suminoe Textile Co Ltd 滑り止め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17985A (ko) * 2009-04-27 2010-11-04 영보화학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용 매트 및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449B1 (ko) * 2015-10-30 2016-10-28 신봉관 놀이매트 시스템
KR101676686B1 (ko) * 2015-10-30 2016-11-16 신봉관 멀티침대 시스템
CN115066461A (zh) * 2020-04-28 2022-09-16 韩华思路信株式会社 粘合性和导电性优异的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CN115052744A (zh) * 2020-05-19 2022-09-13 韩华思路信株式会社 粘合性和导电性优秀的多层成型品及通过其输送的电子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266B1 (ko)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4673919B2 (ja) シール材
US20120328889A1 (en) Thermally foamable resin composition, thermally foamable resin sheet, thermally foamable laminate, and foamed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WO2002016124A1 (ja) 発泡性熱可塑性樹脂成形体、発泡性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熱可塑性樹脂発泡体
JP7240448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発泡体、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TW201840687A (zh) 發泡體及其製造方法
KR101409971B1 (ko)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6764102B1 (ja) 滑り止めジョイント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248084B2 (ja) 発泡ポリオレフィン系レザー
JP6535032B2 (ja) 複合シート、並びに、pvc及び可塑剤フリーの発泡装飾シートの製造方法
US20070071961A1 (en) Exercise mat
JP3145073B2 (ja) 装飾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100635A (zh) 聚烯烴系樹脂發泡薄片
JP3949797B2 (ja) 発泡積層シート
JP2002317548A (ja) 衝撃吸収床材
JP7078381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成形体
JP2009023549A (ja) 自動車内装用樹脂部材、および自動車内装用樹脂部品
JP7215932B2 (ja) 発泡複合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JP2002146072A (ja) ゴム系加硫発泡組成物及びその発泡体
JP3615662B2 (ja) 床材
JPH0327016B2 (ko)
JP5330713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壁紙
JP2932497B2 (ja) 車輌用内装材
KR101961549B1 (ko) 자동차 내장재용 멀티폼 쉬트의 제조방법
JP6993155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