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238B1 - 지폐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238B1
KR101455238B1 KR1020130053037A KR20130053037A KR101455238B1 KR 101455238 B1 KR101455238 B1 KR 101455238B1 KR 1020130053037 A KR1020130053037 A KR 1020130053037A KR 20130053037 A KR20130053037 A KR 20130053037A KR 101455238 B1 KR101455238 B1 KR 10145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ing roller
center line
banknote
centering
convey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김준영
박창호
이용철
황진용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238B1/ko
Priority to PCT/KR2013/011623 priority patent/WO201418194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238B1/ko
Priority to US14/931,038 priority patent/US975833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이 지폐정렬장치는 반송로의 일측에서 센터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테두리부에 반송로의 일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제 1 피동휠이 구비된 제 1 센터링 롤러와, 제 1 센터링 롤러와 대칭되도록 반송로의 타측에서 센터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테두리부에 반송로의 타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제 2 피동휠이 구비된 제 2 센터링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폐정렬장치{APPARATUS FOR ALIGNING BILL}
본 발명은 지폐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연속적으로 이동 및 정렬할 수 있는 지폐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등에는 각종 금융자동화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 중 지폐수납처리기는 낱장의 지폐나 수표와 같은 지폐류를 투입받아 자동으로 수납처리하기도 한다.
예컨대, 고객 또는 은행원이 지폐류를 지폐수납처리기의 투입구에 투입하면, 투입된 지폐류는 지폐수납처리기 내 반송로를 따라 평면상태로 이송하면서 반송로의 일측으로 정렬되고, 지폐의 진위여부가 확인된 후, 지폐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수납 처리되지만 지폐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반출 처리하게 된다.
그런데, 지폐가 반송로의 일측을 기준으로 정렬되는 경우에는, 반송로 상의 지폐 위치에 따라 지폐가 반송로를 이동해야 하는 이동량이 많아질 수 있다.
이에, 지폐의 이동 시간을 줄이면서도 지폐의 이동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등록공보 10-1059143 (2011.08.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의 연속적인 이동 및 정렬을 통해, 지폐의 정렬성을 양호하게 구현할 수 하는 지폐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로서, 상기 반송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로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폐의 일부분에 마찰력을 가해 상기 지폐를 상기 센터 라인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반송로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로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폐의 다른 일부분에 마찰력을 가해 상기 지폐를 상기 센터 라인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 2 센터링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상기 지폐를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센터 라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다수 개가 제공되고, 상기 지폐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상기 지폐의 중심이 상기 센터 라인의 일측 또는 타측에 치우쳐 있을 때, 상기 지폐의 일부분과 상기 지폐의 다른 일부분에 가해지는 마찰력에 차이가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로 제공되는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는, 인접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폐의 반송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다수 개로 제공되는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인접한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폐의 반송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센터링 롤러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반송로의 일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제 1 피동휠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반송로의 타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제 2 피동휠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피동휠 및 상기 제 2 피동휠이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가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의 여각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피동휠 및 상기 제 2 피동휠이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로서, 상기 반송로의 일측에서 상기 센터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반송로의 일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제 1 피동휠이 구비된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대칭되도록 상기 반송로의 타측에서 상기 센터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반송로의 타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제 2 피동휠이 구비된 제 2 센터링 롤러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상기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반송로 상에 열과 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가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가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30°~ 60°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피동휠 및 상기 제 2 피동휠이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가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의 여각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피동휠 및 상기 제 2 피동휠이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는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의 일측에서 상기 센터 라인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회전축; 상기 지폐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보정하는 제 1 피동휠; 및 중심부에 상기 제 1 회전축이 마련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제 1 피동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롤러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의 타측에서 상기 센터 라인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회전축; 상기 지폐가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보정하는 제 2 피동휠; 및 중심부에 상기 제 2 회전축이 마련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제 2 피동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롤러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상기 지폐의 접촉시, 상기 지폐가 접촉되는 센터링 롤러의 개수에 따른 힘의 불균형을 이용하여, 상기 지폐를 상기 센터 라인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로를 이동하는 상기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지폐 위치센서; 및 상기 지폐가 상기 반송로의 센터 라인에 정렬되도록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 위치센서는 상기 지폐의 정렬이 시작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 정보를 제공하는 입구 위치센서; 상기 지폐의 정렬이 완료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출구 정보를 제공하는 출구 위치센서; 및 상기 센터라인에 정렬되는 상기 지폐의 폭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폭방향 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두 방향성을 갖는 롤러를 적용하여,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의 정지됨 없는 연속적인 이동 및 정렬을 구현함으로써, 기기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송로 상에서 지폐 정렬을 위한 추가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지폐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폐의 위치를 반송로 상에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지폐가 좌굴되거나 구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결합관계 및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에서는, 반송로(10)에 투입된 지폐(20)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폐(20)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폐(20)를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으로 정렬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기기의 설계환경이나 주변장치의 설계변경에 따라, 지폐(20)를 반송로(10)의 일측에 정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제 1 센터링 롤러(100), 제 2 센터링 롤러(200), 지폐 위치센서(300) 및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도면에서 도시된 피동휠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센터링 롤러(100)는 반송로(10)의 일측에서 센터 라인(C)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반송로(10)의 일측에 위치한 지폐(20)를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센터 라인(C)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센터 라인(C) 방향은, 반송로(10)의 일측/타측에 위치한 지폐(20)를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 방향으로 수렴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도면에서는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센터링 롤러(100)는 반송로(10) 상의 지폐(20)를 센터 라인(C)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센터링 롤러(100)는 지폐(20)를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센터 라인(C)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반송로(10)의 지지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회전축(110)과, 반송로(10)의 일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도록 회전 가능한 제 1 피동휠(120)과, 이들 제 1 회전축(110) 및 제 1 피동휠(120)이 장착되는 제 1 롤러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 1 센터링 롤러(100)는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반송로(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로(10)의 일측에 3개의 제 1 센터링 롤러(100)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송로(10)의 일측에 위치된 지폐(20)는, 3개의 제 1 센터링 롤러(100)의 회전에 의해,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센터 라인(C)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지폐(20),(20')의 이동은 제 1 센터링 롤러(100)의 회전력과 제 2 센터링 롤러(200)의 회전력이 힘의 균형을 이룰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피동휠(120)은 지폐(20)가 제 2 방향 롤러에 의해 힘(마찰력)이 가해질 때, 지폐(20)의 이동이 원활해지도록 지폐(20)의 진행방향을 보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제 1 센터링 롤러(100) 간의 이격 거리(L)이 서로 이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제 1 센터링 롤러(100)를 통해 지폐에 연속적인 힘을 제공하기 위해, 이들 복수의 제 1 센터링 롤러(100) 간의 이격 거리(L)는 적어도 0 이하로 설계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복수의 제 1 센터링 롤러(100)는, 인접한 제 1 센터링 롤러(100)와 적어도 일부가 지폐(20)의 반송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후술하는 복수의 제 2 센터링 롤러(200) 또한, 인접한 제 2 센터링 롤러(200)와 적어도 일부가 지폐의 반송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센터링 롤러(100)의 제 1 피동휠(120)은 럭비공 형태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제 1 피동휠(120)이 제 1 롤러바디(130)의 테두리부를 따라 1열 구조로 배치되지만, 이 제 1 피동휠(120)의 형태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제 1 피동휠(120)은 원형의 롤러를 이루거나 복수의 제 1 피동휠(120)이 제 1 롤러바디(130)의 테두리부를 따라 2열 구조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제 2 피동휠(210)의 형태나 배치 구조 또한, 제 1 피동휠(120)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2 센터링 롤러(200)는 반송로(10)의 타측에서 센터 라인(C)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반송로(10)의 타측에 위치한 지폐(20)를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센터 라인(C)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센터링 롤러(200)는 반송로(10)의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폐(20)를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센터 라인(C)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회전축(210)과, 반송로(10)의 타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도록 회전 가능한 제 2 피동휠(210)과, 이들 제 2 회전축(210) 및 제 2 피동휠(210)이 장착되는 제 2 롤러바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 2 센터링 롤러(200)는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반송로(10)의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로(10)의 일측에 3개의 제 1 센터링 롤러(10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반송로(10)의 타측에 위치한 지폐(20)는, 3개의 제 2 센터링 롤러(200)의 회전에 의해,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센터 라인(C)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지폐(20),(20')의 이동은 제 1 센터링 롤러(100)의 회전력과 제 2 센터링 롤러(200)의 회전력이 힘의 균형을 이룰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 2 피동휠(210)은 지폐(20)가 제 1 방향 롤러에 의해 힘(마찰력)이 가해질 때, 지폐(20)의 이동이 원활해지도록 지폐(20)의 진행방향을 보정할 수 있다.
이들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가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30°~ 60°를 만족할 수 있고, 제 1 피동휠(120) 및 제 2 피동휠(210)이 상기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200)가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의 여각을 만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가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45°로 유지되고, 이때, 제 1 피동휠(120) 및 제 2 피동휠(210)이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45°를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는, 지폐(20)와 접촉되는 경우, 지폐를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센터 라인(C)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지폐(20)가 접촉되는 센터링 롤러의 개수에 따라 힘의 크기가 결정되고, 이때, 발생되는 힘의 불균형을 이용하여, 지폐(20)를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지폐정렬장치에서는,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가 반송로(10) 상에 열과 행을 이루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반송로(10) 상에서 열과 행을 이루는 복수의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가, 열과 행을 이루면서 센터 라인(C)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면, 지폐(20)는 반송로(10)를 따라 이동하면서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센터 라인(C) 방향으로 점차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터 라인(C)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3 × 3 형태의 제 1 센터링 롤러(100a),(100b),(100c)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a),(200b),(200c) 배열 구조로 배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반송로(10)를 따라 이동하는 지폐(20)가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센터 라인(C)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배열 구조를 만족한다면, 이들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는 반송로(10) 상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에서,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가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반송로(10)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가 센터 라인(C)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3 × 3 형태의 배열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 2 행에 위치한 제 1 센터링 롤러(100b')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b')의 경사 각도(θ2)는 1 행에 위치한 제 1 센터링 롤러(100a')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b)의 경사 각도(θ1)보다 작고, 3 행에 위치한 제 1 센터링 롤러(100c')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c')의 경사 각도(θ3)는 2 행에 위치한 제 1 센터링 롤러(100b')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b')의 경사 각도(θ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송로(10) 상에 진입한 지폐(20)는 1 행에 위치한 제 1 센터링 롤러(100a')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a')를 거쳐 2행 및 3행에 위치한 제 1 센터링 롤러(100b'),(100c')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b'),(200c')로 이동할수록,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에 가까워지면서 보다 정밀하게 센터 라인(C)에 접근할 수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피동휠(120) 및 제 2 피동휠(210)이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반송로(10)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가 센터 라인(C)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3 × 3 형태의 배열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 2 행에 위치한 제 1 피동휠(120) 및 제 2 피동휠(210)이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2')는 1 행에 위치한 제 1 피동휠(120) 및 제 2 피동휠(210)이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1')보다 작고, 3 행에 위치한 제 1 피동휠(120) 및 제 2 피동휠(210)이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3')는 2 행에 위치한 제 1 피동휠(120) 및 제 2 피동휠(210)이 센터 라인(C)과 이루는 경사각도(θ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반송로(10) 상에 진입한 지폐(20)는, 1 행에 위치한 제 1 센터링 롤러(100a")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a")를 거쳐 2행 및 3행에 위치한 제 1 센터링 롤러(100b"),(100c")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b"),(200c")로 이동할수록,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에 가까워지면서 보다 정밀하게 센터 라인(C)에 접근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지폐정렬장치에서는, 반송로(10) 상의 지폐(20) 위치를 감지하여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 예컨대,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제 1 센터링 롤러(100), 제 2 센터링 롤러(200), 지폐 위치센서(300) 및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폐 위치센서(300)는 반송로(10)를 이동하는 지폐(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지폐(20)의 위치 정보를 컨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지폐 위치센서(300)는 입구 위치센서(310), 출구 위치센서(320) 및 폭방향 위치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 위치센서(310)는 지폐(20)의 정렬이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되며, 반송로(10)를 따라 이동하던 지폐(20)가 정렬이 시작되는 위치에 다다르면, 해당 위치의 지폐(20)를 감지한 후 컨트롤러에 정렬 입구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출구 위치센서(320)는 지폐(20)의 정렬이 종료되는 반송로(10) 상에 위치되며, 반송로(10) 상의 지폐(20)가 정렬이 종료되는 위치에 다다르면, 해당 위치의 지폐(20)를 감지한 후 컨트롤러에 정렬 출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폭방향 위치센서(330)는 센터 라인(C)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위치되며, 지폐(20)의 양단부가 반송로(10)의 폭방향에서 정렬되는 위치에 다다르면, 해당 위치의 지폐(20)를 감지한 후 컨트롤러에 정렬 폭방향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폐 위치센서(300)는 입구 위치센서(310), 출구 위치센서(320) 및 폭방향 위치센서(330)를 통해, 지폐(20)의 정렬이 시작 및 종료되는 위치와 지폐(20)의 폭방향 이동이 종료되는 위치를 감지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반송로(10) 상에서 지폐(20)의 정확한 위치 감지를 위해서, 지폐 위치센서(300)는 반송로(10)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거나, 여러 가지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는 지폐 위치센서(300)로부터 지폐(20)의 위치정보를 인가받아, 지폐(20)가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으로 정렬되도록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는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에 연속적인 작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이들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가 연동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의 회전에 의해, 반송로(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지폐(20)는 반송로(10) 상에서 센터 라인(C)을 향해 사선 형태로 이동되고, 이후 제 1 센터링 롤러(100) 및 제 2 센터링 롤러(200)간의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위치인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컨트롤러는 반송로(10) 상의 지폐(20) 위치나 상태에 따라 제 1 센터링 롤러(100)나 제 2 센터링 롤러(200)의 회전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지폐(20)의 좌굴이나 비틀어짐(skew)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방향성을 갖는 롤러를 적용하여,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의 정지됨 없는 연속적인 이동 및 정렬을 구현함으로써, 기기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송로 상에서 지폐 정렬을 위한 추가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지폐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으며, 지폐의 위치를 반송로 상에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지폐가 좌굴되거나 구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 1 센터링 롤러 110 :제 1 회전축
120 :제 1 피동휠 200 :제 2 센터링 롤러
210 :제 2 회전축 220 :제 2 피동휠
300 :지폐 위치센서 310 :입구 위치센서
320 :출구 위치센서 330 :폭방향 위치센서

Claims (21)

  1.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로서,
    상기 반송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로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폐의 일부분에 마찰력을 가해 상기 지폐를 상기 센터 라인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반송로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송로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폐의 다른 일부분에 마찰력을 가해 상기 지폐를 상기 센터 라인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 2 센터링 롤러를 포함하고,
    제 1 센터링 롤러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반송로의 일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제 1 피동휠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반송로의 타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제 2 피동휠이 구비되는 지폐정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동시에 구동되는 지폐정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상기 지폐를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센터 라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폐정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다수 개가 제공되고, 상기 지폐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나열되는 지폐정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상기 지폐의 중심이 상기 센터 라인의 일측 또는 타측에 치우쳐 있을 때, 상기 지폐의 일부분과 상기 지폐의 다른 일부분에 가해지는 마찰력에 차이가 있도록 배치되는 지폐정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다수 개로 제공되는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는, 인접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폐의 반송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고,
    다수 개로 제공되는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인접한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폐의 반송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지폐정렬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지폐정렬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동휠 및 상기 제 2 피동휠이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가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의 여각을 만족하는 지폐정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동휠 및 상기 제 2 피동휠이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지폐정렬장치.
  11.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로서,
    상기 반송로의 일측에서 상기 센터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반송로의 일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제 1 피동휠이 구비된 제 1 센터링 롤러와,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와 대칭되도록 상기 반송로의 타측에서 상기 센터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반송로의 타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제 2 피동휠이 구비된 제 2 센터링 롤러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상기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반송로 상에 열과 행을 이루는 지폐정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가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지폐정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가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30°~ 60°를 만족하는 지폐정렬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동휠 및 상기 제 2 피동휠이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가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의 여각을 만족하는 지폐정렬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동휠 및 상기 제 2 피동휠이 상기 센터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지폐정렬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는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의 일측에서 상기 센터 라인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회전축;
    상기 지폐가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보정하는 제 1 피동휠; 및
    중심부에 상기 제 1 회전축이 마련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제 1 피동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롤러바디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의 타측에서 상기 센터 라인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회전축;
    상기 지폐가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보정하는 제 2 피동휠; 및
    중심부에 상기 제 2 회전축이 마련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제 2 피동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롤러바디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는, 상기 지폐의 접촉시, 상기 지폐가 접촉되는 센터링 롤러의 개수에 따른 힘의 불균형을 이용하여, 상기 지폐를 상기 센터 라인으로 이동시키는 지폐정렬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를 이동하는 상기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지폐 위치센서; 및
    상기 지폐가 상기 반송로의 센터 라인에 정렬되도록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센터링 롤러 및 상기 제 2 센터링 롤러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위치센서는
    상기 지폐의 정렬이 시작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 정보를 제공하는 입구 위치센서;
    상기 지폐의 정렬이 완료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출구 정보를 제공하는 출구 위치센서; 및
    상기 센터라인에 정렬되는 상기 지폐의 폭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폭방향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KR1020130053037A 2013-05-10 2013-05-10 지폐정렬장치 KR10145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037A KR101455238B1 (ko) 2013-05-10 2013-05-10 지폐정렬장치
PCT/KR2013/011623 WO2014181945A1 (ko) 2013-05-10 2013-12-16 지폐정렬장치
US14/931,038 US9758330B2 (en) 2013-05-10 2015-11-03 Bill alig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037A KR101455238B1 (ko) 2013-05-10 2013-05-10 지폐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238B1 true KR101455238B1 (ko) 2014-10-27

Family

ID=5199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037A KR101455238B1 (ko) 2013-05-10 2013-05-10 지폐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8759A (zh) * 2018-03-13 2019-09-2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集积装置、限位机构及现金循环处理设备
KR102662867B1 (ko) 2019-07-01 2024-05-07 기산전자(주) 지폐 처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243B1 (ko) * 1985-05-29 1991-02-26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입출 금전기
JPH09194081A (ja) * 1995-06-01 1997-07-29 Omron Corp 媒体集積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243B1 (ko) * 1985-05-29 1991-02-26 오끼뎅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입출 금전기
JPH09194081A (ja) * 1995-06-01 1997-07-29 Omron Corp 媒体集積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8759A (zh) * 2018-03-13 2019-09-2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集积装置、限位机构及现金循环处理设备
KR102662867B1 (ko) 2019-07-01 2024-05-07 기산전자(주) 지폐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330B2 (en) Bill aligning apparatus
JP4580602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4601792B2 (ja) 紙葉類処理装置
US20100314217A1 (en) Posture converting device and paper-like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EP2801542B1 (en) Apparatus for aligning bill and method for aligning bill using the same
US20080315512A1 (en) Sheet processing device
KR20160041538A (ko)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KR101258773B1 (ko) 매체 정렬 장치
KR101094512B1 (ko) 매체두께 감지장치 및 금융 자동화 기기
KR101455238B1 (ko) 지폐정렬장치
KR10241703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KR20150000136A (ko) 지폐정렬장치
KR20140088958A (ko) 지폐 반송방향 절환 게이트의 위치 감지장치
KR20110101664A (ko) 금융 자동화 기기 및 매체감지장치
US20140236344A1 (en) Media alignment
KR20160001063A (ko) 금융자동화기기용 지폐 정렬 장치
CN105492355A (zh) 纸页类蓄积装置和纸页类处理装置
KR20140133220A (ko) 지폐정렬장치
KR101314388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
KR20140057124A (ko) 지엽류 속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JP2014069896A (ja) 姿勢補正装置
KR101153639B1 (ko) 매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
KR20140142922A (ko) 지폐정렬장치
KR10093575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8772B1 (ko) 방향전환이 가능한 회전롤러를 이용한 매체정렬장치 및 매체정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