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798A - 센터링장치 - Google Patents

센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798A
KR20210002798A KR1020190078522A KR20190078522A KR20210002798A KR 20210002798 A KR20210002798 A KR 20210002798A KR 1020190078522 A KR1020190078522 A KR 1020190078522A KR 20190078522 A KR20190078522 A KR 20190078522A KR 20210002798 A KR20210002798 A KR 20210002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ing
unit
transfer
roller
drive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867B1 (ko
Inventor
차형진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86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852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28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65H9/166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Abstract

센터링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센터링장치는: 이송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및 이송되는 이송체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는 센터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터링장치{CENTERING DEVICE}
본 발명은 센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되는 이송체의 좌우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간단한 구조에 의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센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지폐처리장치는, 투입부, 이송부, 판별부, 집적부로 구성된다. 지폐를 투입부에 복수로 적재하면, 적재된 지폐가 낱장 분리구조를 구비한 투입부의 동작으로 한 번에 한 장씩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다.
내부로 유입된 지폐는 롤러나 벨트로 구성된 이송부의 이송로를 따라 지폐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판별부로 이송된다. 각종 센서를 구비한 판별부는 이송중인 지폐를 감별한다. 감별 결과에 맞게 집적부는 이송이 완료된 지폐를 배출하여 집적한다.
종래에는 배출되는 지폐를 좌우 정렬하기 위한 장치의 부품수가 많으므로 생산비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되는 지폐의 좌우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지폐를 정렬해야 하므로 작업속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03261호(2019.01.09 공개, 발명의 명칭: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되는 이송체의 좌우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간단한 구조에 의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센터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터링장치는: 이송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및 이송되는 이송체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는 센터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터링유닛은, 이송유닛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센터링부 및 이송유닛 및 제1센터링부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센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제2센터링부가 이송체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제1, 제2센터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선택동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센터링부는 이송되는 이송체를 이송체의 일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송하고, 제2센터링부는 이송되는 이송체를 이송체의 타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터링유닛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 센터링유닛과 회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감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부재를 기준으로 센터링유닛은 경사지게 설치되며, 소음감소부재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송유닛과 센터링유닛 중 하나는 이송되는 이송체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체의 좌우 편차를 검출하는 판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별부에서 검출된 좌우 편차에 연동되어 센터링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이송체가 센터링유닛과 접촉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이송체의 이송거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터링장치는, 좌우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은 이송체가 센터링유닛을 통과하며 좌우 정렬이 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체의 좌우 정렬에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가 종래 대비 감소되어 생산비와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와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송부와 센터링유닛이 커버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터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터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덮개가 베이스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부와 센터링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터링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터링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와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송부와 센터링유닛이 커버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터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터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덮개가 베이스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부와 센터링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터링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터링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장치(1)는, 이송체(5)를 이송하는 이송유닛(40) 및 이송되는 이송체(5)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는 센터링유닛(90)을 포함한다.
이송체(5)는 지폐나 지폐와 같은 형상의 직사각형의 부재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송체(5)로 지폐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지폐인 이송체(5)는 센터링장치(1)를 따라 이동한다.
이송체(5)는 이송경로(D)의 중앙 부분을 따라 이송되며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정의 원인들(예: 사용자의 부주의한 투입, 좌우로 시프트된 상태로 투입 또는 이송 등)로 인해 중앙 부분을 따라 이송되지 못하고 좌 또는 우로 시프트되어 이송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시프트된 이송체(5)가 센터링유닛(90)에 의해 좌우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센터링장치(1)는 이송체(5)의 경사(skew) 각도를 보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지폐와 같은 이송체(5)의 중앙부가, 센터링장치(1)에 구비된 이송체(5)의 이송경로(D)의 중앙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센터링유닛(90)이 이송체(5)를 폭방향(W)으로 이송시키므로, 좌우로 정렬되지 않은 지폐를 센터링장치(1)의 중앙으로 정렬시킨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센터링장치(1)는, 베이스부(10)와 커버부(20)와 판별부(30)와 제어부(도시생략)와 선택동작부(120)와 회전부재(130)와 소음감소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센터링장치(1)의 하부 케이스를 형성하며, 이송유닛(40)의 하측과 센터링유닛(90)의 하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는, 폭방향(W) 양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이송유닛(40)과 센터링유닛(9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격벽(12)과, 지지격벽(12)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송유닛(40)의 롤러와 센터링유닛(90)의 롤러가 위치하는 부분에 구멍을 구비하는 제1덮개(14) 및 제1덮개(14)에 연이어 설치되며, 이송유닛(40)의 롤러가 위치하는 부분에 구멍을 구비하는 제2덮개(16)를 포함한다.
제1덮개(14)와 제2덮개(16)는 베이스부(10)에 설치된 이송유닛(40)과 센터링유닛(90)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송유닛(40)에 구비된 롤러와 센터링유닛(90)에 구비된 롤러만이 제1덮개(14)와 제2덮개(16)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이송체(5)를 지지한다.
이러한 베이스부(10)의 상측에 커버부(20)가 설치된다. 커버부(20)는 센터링장치(1)의 상부 케이스를 형성하며, 이송유닛(40)의 상측과 센터링유닛(90)의 상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커버부(20)의 내측에는 이송유닛(40)과 센터링유닛(90)을 동작시키는 선택동작부(120)가 설치된다.
베이스부(10)에 연이어 설치되는 판별부(30)는, 베이스부(10)와 커버부(20)의 사이로 이송되는 이송체(5)의 좌우 편차를 검출한다. 판별부(30)에는 이송체(5)의 좌우 편차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는 판별부(3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선택동작부(120)를 동작시키므로 이송체(5)로 사용되는 지폐의 좌우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판별부(30)에서 검출된 좌우 편차에 연동하여 센터링유닛(9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판별부(3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판별부(30)와 떨어진 곳에 설치되어 무선이나 유선을 통해 판별부(30)와 연결된다.
이송유닛(40)은 이송경로(D)를 따라 이송체(5)를 이송하기 위해 회전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며, 이러한 롤러는 이송체(5)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송유닛(40)과 센터링유닛(90)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구동롤러에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롤러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40)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이송부(50)와 제2이송부(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부(50)는 하측에 위치하며 제2이송부(60)는 상측에 위치한다. 제1이송부(50)는 베이스부(10)에 설치되며, 제2이송부(60)는 커버부(20)에 설치된다.
제1이송부(50)는 이송구동롤러(52)와 롤러회전축(54)과 벨트부재(56)를 포함하며 베이스부(10)에 설치된다. 롤러회전축(54)은 베이스부(10)의 폭방향(W)을 따라 설치되며, 베이스부(10)의 지지격벽(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롤러회전축(54)에 이송구동롤러(52)가 고정되어 롤러회전축(54)과 함께 회전되며 이송체(5)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송구동롤러(52)는 롤러회전축(54)의 폭방향(W)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지지격벽(12)의 외측으로 돌출된 롤러회전축(54)의 외주면에는 풀리가 형성된다.
지지격벽(12)의 외측으로 돌출된 롤러회전축(54)은 이웃한 롤러회전축(54)과 벨트부재(56)로 연결되므로, 이송구동롤러(52)와 롤러회전축(54)은 외부동력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베이스부(1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송구동롤러(52)가 복수로 설치된다. 이송구동롤러(52)의 설치간격은 이송체(5)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또한 이송체(5)를 폭방향(W)으로 이송시키며 이송체(5)를 중앙으로 정렬하기 위한 센터링유닛(90)은 롤러회전축(54)과 이웃한 롤러회전축(54)의 사이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장치(1)는 롤러회전축(54)에 이송구동롤러(52)가 2개씩 연결되며, 이송구동롤러(52)는 이송체(5)의 이송경로(D)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2이송부(60)는 제1이송부(50)와 마주하는 커버부(20)에 설치되며, 제1이송부(50)가 이송체(5)의 하부를 지지할 때, 제2이송부(60)는 제1이송부(50)에 의해 지지되는 이송체(5)의 상부를 가압하므로 이송체(5)가 이동경로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송부(60)는 이송종동롤러(62)와 고정안내부(70)와 작동안내부(80)를 포함한다.
이송종동롤러(62)는 이송구동롤러(52)와 마주하는 상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송구동롤러(52)가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이송체(5)의 하부를 지지하며, 이송구동롤러(52)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이송종동롤러(62)가 이송체(5)의 상부에 접하므로 이송구동롤러(52)와 함께 회전을 한다.
이송종동롤러(62)는 이송체(5)의 이송경로(D)와 평행하게 설치되므로, 이송구동롤러(52)와 이송종동롤러(62)의 사이를 통과하는 이송체(5)는 이송경로(D)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송종동롤러(62)의 일부는 커버부(20)를 관통하며 커버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이송구동롤러(52)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송종동롤러(62)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이송종동롤러(63)와 제2이송종동롤러(64)와 제3이송종동롤러(65)로 구분된다. 제1이송종동롤러(63)는 커버부(2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송경로(D)의 입구와 출구에 위치한 이송구동롤러(52)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이송종동롤러(64)는 작동안내부(80)에 설치되어 작동안내부(80)와 함께 이동된다. 제1이송종동롤러(63)는 센터링유닛(90)에 설치되어 센터링유닛(90)과 함게 이동된다.
고정안내부(70)는 커버부(20)에 고정되며 제1이송종동롤러(6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안내부(70)는, 커버부(20)에 고정되며 2개의 제1이송종동롤러(63)가 1개의 열을 이루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케이스부(72)를 포함한다.
작동안내부(80)는 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택동작부(12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작동안내부(80)에는 제2이송종동롤러(6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안내부(80)는, 제2이송종동롤러(64)가 설치되며 커버부(20)의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회전케이스부(82)와, 회전케이스부(82)에서 연장되어 선택동작부(120)에 연결되는 연장편(84) 및 회전케이스부(8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케이스부(82)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면돌기(86)를 포함한다.
측면돌기(86)는 커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커버부(20)에 고정되는 별도의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회전케이스부(82)의 하측에 제2이송종동롤러(6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케이스부(82)의 회전에 의해 제2이송종동롤러(64)가 커버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는 동작이 제어되거나, 또는 제2이송종동롤러(64)가 대향되는 이송구동롤러(52)와 맞물리거나 이격되게 동작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회전케이스부(82)의 양측에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되므로, 선택동작부(12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된 회전케이스부(82)를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링유닛(90)은 이송되는 이송체(5)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센터링유닛(90)은 상하부 유닛으로 구성되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종동롤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유닛(90)은, 이송유닛(40)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센터링부(100) 및 이송유닛(40) 및 제1센터링부(100)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센터링부(110)를 포함한다. 제1센터링부(100)는 이송되는 이송체(5)를 이송체(5)의 일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송하고, 제2센터링부(110)는 이송되는 이송체(5)를 이송체(5)의 타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센터링부(100)는 이송경로(D)의 일측(도 9기준 좌측)으로 치우진 이송체(5)를 이송경로(D)의 중앙부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제2센터링부(110)는 이송경로(D)의 타측(도 9기준 우측)으로 치우진 이송체(5)를 이송경로(D)의 중앙부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센터링부(100)는 제1방향(T1)(도 9기준 우측방향)으로 이송체(5)를 이송시키며, 제2센터링부(110)는 제2방향(T2)(도 9기준 좌측방향)으로 이송체(5)를 이송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터링부(100)는, 베이스부(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경로(D)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와,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와 마주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1센터링종동롤러(104)와, 제1센터링종동롤러(10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센터링케이스(106)와, 제1센터링케이스(106)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커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작동축(107) 및 제1작동축(107)에서 연장되어 선택동작부(120)에 연결되는 제1브라켓(108)을 포함한다.
제1센터링케이스(106)와 제1작동축(107)은 같이 회전되며, 제1작동축(107)의 양측에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외력이 제거된 제1작동축(107)은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회전된다.
제1센터링케이스(106)는 커버부(20)의 하부면 상측에 위치하며,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센터링케이스(106)의 전방에는 제3이송종동롤러(65)가 설치되며, 제1센터링케이스(106)의 후방에는 제1센터링종동롤러(104)가 설치된다. 평소에는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센터링케이스(10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3이송종동롤러(65)가 커버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선택동작부(120)의 동작에 의해 제1센터링케이스(10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3이송종동롤러(65)는 커버부(20)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제1센터링종동롤러(104)가 커버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터링부(110)는, 베이스부(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경로(D)를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센터링구동롤러(112)와, 제2센터링구동롤러(112)와 마주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2센터링종동롤러(114)와, 제2센터링종동롤러(1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센터링케이스(116)와, 제2센터링케이스(116)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커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작동축(117) 및 제2작동축(117)에서 연장되어 선택동작부(120)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118)을 포함한다.
제2센터링케이스(116)와 제2작동축(117)은 같이 회전되며, 제2작동축(117)의 양측에는 스프링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외력이 제거된 제2작동축(117)은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회전된다.
제2센터링케이스(116)는 커버부(20)의 하부면 상측에 위치하며,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센터링케이스(116)의 전방에는 제3이송종동롤러(65)가 설치되며, 제2센터링케이스(116)의 후방에는 제2센터링종동롤러(114)가 설치된다. 평소에는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2센터링케이스(1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3이송종동롤러(65)가 커버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선택동작부(120)의 동작에 의해 제2센터링케이스(11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3이송종동롤러(65)는 커버부(20)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제2센터링종동롤러(114)가 커버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에는 이송체(5)를 직선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구동롤러(52)가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지폐인 이송체(5)를 제1방향(T1)인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센터링구동롤러(102)가 설치되며, 이송체(5)를 제2방향(T2)인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센터링구동롤러(112)가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에 연이어 설치된다.
제1센터링구동롤러(102)는 길이방향(L)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이송구동롤러(52)와 이웃한 이송구동롤러(52)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2센터링구동롤러(112)도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이송구동롤러(52)와 이웃한 이송구동롤러(52)의 사이에 설치된다.
커버부(20)에는 이송구동롤러(52)와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와 제2센터링구동롤러(112)에 맞물리며 지폐인 이송체(5)를 이송시키는 아이들 롤러인 이송종동롤러(62)와 제1센터링종동롤러(104)와 제2센터링종동롤러(114)가 구비된다.
이송종동롤러(62)는 좌우 편차가 없는 지폐를 이송시킬 때, 베이스부(10)의 이송구동롤러(52)에 맞물리며 지폐를 이송시킨다.
제1센터링종동롤러(104)는 베이스부(10)의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에 맞물리며 지폐를 제1방향(T1)인 우측으로 이송시킨다. 제2센터링종동롤러(114)는 베이스부(10)의 제2센터링구동롤러(112)에 맞물리며 지폐를 제2방향(T2)인 좌측으로 이송시킨다.
지폐 이송을 이송종동롤러(62)로 할 경우와, 제1센터링종동롤러(104)와 제2센터링종동롤러(114)로 할 경우를 구분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제1작동축(107)이 연결된 제1센터링케이스(106)와, 제2작동축(117)이 연결된 제2센터링케이스(116)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이송유닛(40)과 센터링유닛(90) 중 하나는 이송되는 이송체(5)를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선택동작부(120)는 제1센터링부(100)와 제2센터링부(110)가 이송체(5)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제1센터링부(100)와 제2센터링부(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선택동작부(120)는 이송유닛(40)의 작동안내부(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동작부(120)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며, 제1센터링종동롤러(104)가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거나, 제2센터링종동롤러(114)가 제2센터링구동롤러(112)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동작된다. 이러한 선택동작부(120)는, 제1센터링케이스(106)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121)와, 회전케이스부(82)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123)와, 제2센터링케이스(116)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부(125)를 포함한다.
제1구동부(121)에 연결된 제1로드(122)는 제1작동축(107)과 함께 회전되는 제1브라켓(108)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구동부(121)의 동작에 의해 제1로드(122)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작동축(107)과 함께 제1센터링케이스(106)를 회전시킨다.
제2구동부(123)에 연결된 제2로드(124)는 제2작동축(117)과 함께 회전되는 제2브라켓(118)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구동부(123)의 동작에 의해 제2로드(124)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작동축(117)과 함께 제2센터링케이스(116)를 회전시킨다.
제3구동부(125)에 연결된 제3로드(126)는 연장편(84)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3구동부(125)의 동작에 의해 제3로드(126)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측면돌기(86)를 중심으로 회전케이스부(82)를 회전시킨다.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선택동작부(120)는, 판별부(30)에서 검출한 지폐의 좌우 편차량을 기반으로, 제1센터링종동롤러(104) 또는 제2센터링종동롤러(114)를 이송 중인 지폐와 일정시간 동안 맞물리도록 동작한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와 제2센터링구동롤러(11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러한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와 제2센터링구동롤러(112)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유니버셜조인트를 사용하는 소음감소부재(140)와 회전부재(130)를 설치한다.
회전부재(130)는 센터링유닛(90)과 함께 회전되며, 센터링유닛(90)과 회전부재(130) 사이에 소음감소부재(140)가 배치되어 소음을 감소시킨다. 또한 회전부재(130)를 기준으로 센터링유닛(90)은 경사지게 설치되며, 소음감소부재(140)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소부재(140)는, 제1회전부재(132)와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조인트(142)와, 제2회전부재(134)와 제2센터링구동롤러(112)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조인트(144)를 포함한다.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와 마주하는 측면에 봉 형상의 제1회전부재(132)가 설치된다. 제1회전부재(132)는 베이스부(10)의 폭방향(W)으로 설치되며, 제1회전부재(132)와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의 사이에는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터인 제1조인트(142)가 설치된다. 제1회전부재(132)의 일측은 제1조인트(142)에 연결되며 타측은 벨트부재(56)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롤러회전축(54)과 함께 회전한다.
제2센터링구동롤러(112)와 마주하는 측면에 봉 형상의 제2회전부재(134)가 설치된다. 제2회전부재(134)는 베이스부(10)의 폭방향(W)으로 설치되며, 제2회전부재(134)와 제2센터링구동롤러(112)의 사이에는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터인 제2조인트(144)가 설치된다. 제2회전부재(134)의 일측은 제2조인트(144)에 연결되며 타측은 벨트부재(56)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롤러회전축(54)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와 제2센터링구동롤러(112)를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모터를 설치하거나, 베벨기어 방식으로 동력전달을 하지 않고 유니버셜조인트를 사용하는 소음감소부재(140)를 설치하므로 설치비와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소음이 저감된 작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이송체(5)가 센터링유닛(90)과 접촉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이송체(5)의 이송거리를 제어한다. 즉 이송체(5)가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침이 심하여 이송체(5)의 폭방향(W) 이송거리가 비교적 길 경우, 제어부는 이송체(5)가 센터링유닛(90)에 접하는 시간을 증가시켜 이송체(5)의 폭방향(W) 이송거리를 증가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센터링장치(1)는 지폐인 이송체(5)를 폭방향(W)으로만 이송시켜 이송체(5)의 좌우 정렬을 하므로 이송체(5)의 센터링 작업만 한다. 센터링 작업을 하기 위한 이송체(5)는 적층된 상태로 공급되어 낱장 분리되어 1매씩 투입되며, 각 이송체(5)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판별부(30)를 통과하여 커버부(20)와 베이스부(10)의 사이로 이동한다.
판별부(30)에서 검출된 각 이송체(5)의 편차정보는 제어부로 전달되며, 제어부는 선택동작부(120)에 구비된 제1구동부(121)와 제2구동부(123)와 제3구동부(125)를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번갈아 동작시키므로 센터링유닛(90)을 동작킨다. 센터링유닛(90)의 동작으로 이송체(5)는 제1방향(T1) 또는 제2방향(T2)으로 이동되며 이송경로(D)의 가운데를 향하여 모아진다.
베이스부(10)에 설치된 이송유닛(40)의 롤러회전축(54)과 센터링유닛(90)과 연결된 회전부재(130)는 벨트부재(56)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므로 회전된다. 따라서 베이스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이송구동롤러(52)와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와 제2센터링구동롤러(112)는 항상 회전을 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송체(5)가 제1방향(T1)이나 제2방향(T2)으로 이동되기 위한 구간에 설치된 이송종동롤러(62)는, 선택동작부(120)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이송구동롤러(52)에 접하거나 접하지 않는 동작을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인 이송체(5)를 제1방향(T1)인 우측으로 이송시킬 경우, 제1구동부(121)를 동작시켜 제1로드(122)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제1작동축(107)을 중심으로 제1센터링케이스(106)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1센터링케이스(10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이송종동롤러(65)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제1센터링종동롤러(104)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센터링구동롤러(102)의 상측을 이동하는 이송체(5)의 상측에 제1센터링종동롤러(104)가 접하면서 이송체(5)를 제1방향(T1)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제3구동부(125)도 동작되어 측면돌기(86)를 중심으로 회전케이스부(82)를 회전시키므로 제2이송종동롤러(64)도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제1센터링부(100)에 의해 제1방향(T1)으로 이동되는 이송체(5)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인 이송체(5)를 제2방향(T2)인 좌측으로 이송시킬 경우, 제2구동부(123)를 동작시켜 제2로드(124)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제2작동축(117)을 중심으로 제2센터링케이스(116)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2센터링케이스(1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이송종동롤러(65)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제2센터링종동롤러(114)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2센터링구동롤러(112)의 상측을 이동하는 이송체(5)의 상측에 제2센터링종동롤러(114)가 접하면서 이송체(5)를 제2방향(T2)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제3구동부(125)도 동작되어 측면돌기(86)를 중심으로 회전케이스부(82)를 회전시키므로 제2이송종동롤러(64)도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제2센터링부(110)에 의해 제2방향(T2)으로 이동되는 이송체(5)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송체(5)인 지폐를 제1방향(T1) 또는 제2방향(T2)으로 이송시키는 거리의 조정은, 제1구동부(121)와 제2구동부(123)와 제3구동부(125)의 작동시간을 조정하여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좌우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은 이송체(5)가 센터링유닛(90)을 통과하며 좌우 정렬이 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체(5)의 좌우 정렬에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가 종래 대비 감소되어 생산비와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지게 설치되는 센터링유닛(90)으로 동력전달을 하기 위해 유니버셜조인트를 사용하는 소음감소부재(140)를 사용하므로 기존 베벨기어 방식 대비 작동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좌우가 정렬되지 않은 지폐를 투입해도 배출되는 지폐는 좌우로 가지런히 자동으로 정렬되며, 지폐 바인딩 장치와 연동시 지폐가 정렬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바인딩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센터링장치 5: 이송체
10: 베이스부 12: 지지격벽
14: 제1덮개 16: 제2덮개
20: 커버부 30: 판별부
40: 이송유닛 50: 제1이송부
52: 이송구동롤러 54: 롤러회전축
56: 벨트부재 60: 제2이송부
62: 이송종동롤러 63: 제1이송종동롤러
64: 제2이송종동롤러 65: 제3이송종동롤러
70: 고정안내부 72: 고정케이스부
80: 작동안내부 82: 회전케이스부
84: 연장편 86: 측면돌기
90: 센터링유닛 100: 제1센터링부
102: 제1센터링구동롤러 104: 제1센터링종동롤러
106: 제1센터링케이스 107: 제1작동축
108: 제1브라켓 110: 제2센터링부
112: 제2센터링구동롤러 114: 제2센터링종동롤러
116: 제2센터링케이스 117: 제2작동축
118: 제2브라켓 120: 선택동작부
121:제1구동부 122: 제1로드
123: 제2구동부 124: 제2로드
125: 제3구동부 126: 제3로드
130: 회전부재 132: 제1회전부재
134: 제2회전부재 140: 소음감소부재
142: 제1조인트 144: 제2조인트
L: 길이방향 W: 폭방향
T1: 제1방향 T2: 제2방향
D: 이송경로

Claims (10)

  1. 이송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및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는 센터링유닛;을 포함하는 센터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유닛은,
    상기 이송유닛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센터링부; 및
    상기 이송유닛 및 상기 제1센터링부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센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센터링부가 상기 이송체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제2센터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선택동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터링부는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를 상기 이송체의 일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2센터링부는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를 상기 이송체의 타측 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유닛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센터링유닛과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감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센터링유닛은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소음감소부재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과 상기 센터링유닛 중 하나는 이송되는 상기 이송체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의 좌우 편차를 검출하는 판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에서 검출된 좌우 편차에 연동되어 상기 센터링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센터링유닛과 접촉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이송체의 이송거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링장치.
KR1020190078522A 2019-07-01 지폐 처리 장치 KR102662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22A KR102662867B1 (ko) 2019-07-01 지폐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22A KR102662867B1 (ko) 2019-07-01 지폐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798A true KR20210002798A (ko) 2021-01-11
KR102662867B1 KR102662867B1 (ko) 2024-05-0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83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장력 조절장치
CN107265150B (zh) 纸币运送装置
CN107871357B (zh) 纸币堆积装置
US8567775B2 (en) Translatable roller media aligning mechanism
KR101681503B1 (ko)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WO2005087634A1 (ja) 紙葉類の繰出装置
JPH10226442A (ja) 紙幣処理機の紙幣整列装置
KR100656809B1 (ko) 지폐 방출 장치
KR20210002798A (ko) 센터링장치
KR102662867B1 (ko) 지폐 처리 장치
KR101062614B1 (ko) 매체자동지급기,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분리방법
JP3524427B2 (ja) 紙幣処理機の紙幣整列装置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US9296584B2 (en) Translatable roller media aligning mechanism
WO2018192336A1 (zh) 纸币分离机构、币箱及纸币处理装置
JP5612414B2 (ja) 紙幣の姿勢変換装置
KR10155822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장치
KR10217776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매체 이송장치
KR101403475B1 (ko) 원단의 사행방지장치
KR950007850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 방출장치
JP2002083341A (ja) 紙幣搬送装置
KR101857424B1 (ko) 매체처리기의 방출조절 장치
WO2018163649A1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044057B1 (ko) 매체 감지장치
KR200308688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스탬프모듈부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