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809B1 - 지폐 방출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방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809B1
KR100656809B1 KR1020050107282A KR20050107282A KR100656809B1 KR 100656809 B1 KR100656809 B1 KR 100656809B1 KR 1020050107282 A KR1020050107282 A KR 1020050107282A KR 20050107282 A KR20050107282 A KR 20050107282A KR 100656809 B1 KR100656809 B1 KR 100656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roller
banknote
bill
fee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한
Original Assignee
이철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한 filed Critical 이철한
Priority to KR102005010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가 저장되어 있는 지폐 투입구와 상기 지폐를 방출하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 지폐 방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로 상기 지폐 방출 장치가 구동되고 지폐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롤러에 여러 다른 롤러가 맞물려 회전하여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가 필요 없어지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부품의 수도 적게 들어 비용이 절감되며, 갭 조절부가 있어 지폐의 두께에 따라서 롤러의 간격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는 지폐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폐, 방출, 갭 조절, 롤러

Description

지폐 방출 장치{Cash dispen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 장치의 갭 조절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 장치의 센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폐 투입구 101 : 모터
102 : 엔코더 103 : 제 1 풀리
104 : 제 2 풀리 105 : 킥 롤러
106 : 피딩 롤러 107 : 제 1 이송롤러
108 : 세퍼레이트 롤러 109 : 제 2 이송롤러
110 : 트랜스 롤러 111 : 지폐 방출구
200 : 갭 조절부 201 : 갭 볼트
202 : 갭 볼 203 : 플레이트 스프링
204 : 텐션 스프링 205 : 갭 암
300 : 니어 센서
본 발명은 지폐 방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로 상기 지폐 방출 장치가 구동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갭 조절부가 있어 지폐의 두께에 따라서 롤러의 조절이 가능한 지폐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지폐 방출 장치는 은행이나 역 등에 설치되어 은행 업무에 사용되는 자동 예금 지불기 또는 현금 인출기와 같은 기계에 내장되어 필요한 매수의 지폐를 수용하고 상기 지폐를 명령에 따라 적절한 매수씩 인출하는 것으로, 상기 지폐는 방출 장치 본체 내의 지폐 투입구에 저장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지폐 방출 장치는 지폐 투입구에 지폐가 저장되어 있는 투입구로부터 방출구로 이동하는 부분이 상부이송계와 하부이송계로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어 다수의 롤러 및 모터가 있어야 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다수의 기어가 필요로 하게 되어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장치의 전체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부품 수도 많아 제조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폐 방출 장치에서 사용하는 지폐의 두께를 센서로 감지하여 조절하므 로 두께가 다른 지폐로 교체하여 사용할 경우에 센서를 교체하거나 제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상기로 인해 추가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폐 방출 장치의 상단에는 지폐를 분리하고 이송하기 위한 롤러들을 내장하고 하단에는 상기 롤러들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의 모터를 내장하여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의 회전력의 전달을 기어 없이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롤러와 맞물려 회전시켜 구조를 간단히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의 지폐를 이송하기 위하여 롤러와 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갭 조절부를 롤러 축과 연결하여 지폐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상품권까지도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 방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 장치는 지폐가 저장되어 있는 지폐 투입구와 상기 지폐를 방출하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 지폐 방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방출 장치의 내부 하단에 위치하여 지폐를 각 롤러에 공급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Motor);와 상기 모터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엔코더(Encorder);와 상기 엔코더와 벨트(Belt)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풀리(Pully);와 상기 제 1 풀리의 축에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풀리;와 상기 제 2 풀리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지폐 투입구의 방출될 지폐를 공급하는 킥 롤러(Kick Roller);와 상기 제 1 폴리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킥 롤러에서 공급된 지폐를 한 장씩 이동시키는 피딩 롤러(Feeding Roller);와 상기 피딩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지폐를 이동시키는 제 1 이송 롤러;와 상기 피딩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지폐의 두께에 대해 상기 피딩 롤러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지폐를 이동시키는 세퍼레이트 롤러(Seperate Roller);와 상기 세퍼레이트 롤러의 축과 연결되어 지폐 투입구의 지폐를 한 장씩 배출하기 위해 상기 피딩 롤러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갭 조절부;와 상기 갭 조절부의 갭 간격을 조절하는 갭 볼트(Gap Bolt);와 상기 갭 볼트의 홈과 접촉되어 있어 상기 갭 볼트의 회전으로 인한 갭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갭 볼(Gap Ball);과 상기 갭 볼트와 갭 볼을 접촉되게 상기 갭 볼을 눌러주는 플레이트 스프링(Plate Spring);과 상기 갭 볼트와 연결되어 상기 세퍼레이트 롤러를 상기 피딩 롤러와 갭이 생기도록 상기 지폐 방출 장치의 상단부 방향으로 올려주는 텐션 스프링(Tension Spring);과 상기 텐션 스프링의 힘을 받아 조정한 갭을 유지시켜주는 갭 암(Gap Arm);과 상기 피딩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지폐를 이동시키는 제 2 이송 롤러;와 상기 이동한 지폐를 지폐 방출구로 방출하는 상기 피딩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트랜스 롤러(Trans Roller)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폐 방출 장치의 지폐 투입구(100)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를 방출하는 과정은 지폐를 공급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01)가 회전하고, 상기 모터(101)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엔코더(102)와 상기 엔코더(102)의 축에 벨트로 연결되어 제 1 풀리(103)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 1 풀리(103)의 회전력을 벨트를 이용하여 제 2 풀리(104)에 전달하고 상기 제 2 풀리(104)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2개의 킥 롤러(105)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킥 롤러(105)가 회전하여 상기 지폐 투입구(100)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가 상기 킥 롤러(105)에 접촉되어 한 장의 지폐를 공급하게 되고, 상기 공급된 지폐는 피딩 롤러(106)와 맞물려 회전하고 있는 제 1 이송 롤러(107)와 세퍼레이트 롤러(108)와 제 2 이송 롤러(109)를 거쳐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딩 롤러(106)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제 1 이송 롤러(107)와 세퍼레이트 롤러(108)와 제 2 이송 롤러(109)를 이동한 지폐는 상기 피딩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트랜스 롤러(110)를 지나 지폐 방출구(111)로 지폐를 방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 장치의 갭 조절부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퍼레이트 롤러(108)의 축과 연결되어 지폐 투입구(100)의 지폐를 상기 킥 롤러(105)로부터 한 장씩 공급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의 지폐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세퍼레이트 롤러(108)와 상기 피딩 롤러(106)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갭 조절부(200)에 있어서, 상기 갭 조절부(200)는 갭 간격을 조절하는 갭 볼트(201)와 상기 갭 볼트(201)의 홈과 접촉되어 있어 상기 갭 볼트(201)의 회전으로 인한 갭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갭 볼(202)과 상기 갭 볼트(201)와 갭 볼(202)을 항상 접촉되게 상기 갭 볼(202)을 눌러주는 플레이트 스프링(203)과 상기 갭 볼트와 연결되어 상기 세퍼레이트 롤러(108)와 상기 피딩 롤러(106)사이에 간격이 생기도록 상기 지폐 방출 장치의 상단부 방향으로 상기 세퍼레이트 롤러(108)을 올려주는 텐션 스프링(204)과 상기 텐션 스프링(204)의 누르는 힘을 받아 조정한 갭을 유지시켜주는 갭 암(205)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갭 볼트(201)는 갭 간격을 상기 볼트의 머리 측면에 가공되어 있는 홈과 갭 볼(202)에 의해 한 클럭당 갭을 0.05 ~ 0.1㎜로 치수화 할 수 있으며 구동중 진동에 의한 상기 갭 조절부의 자동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텐션 스프링(204)은 상기 세퍼레이트 롤러(108)를 상기 피딩 롤러(106)사이에 간격을 만들어주고 상기 갭 볼트(201)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텐션 스프링(204)이 감겨져서 상기 갭 암(205)의 축과 연결되어 세퍼레이트 롤러(108)를 아래로 내려 상기 피딩 롤러(106)와의 갭을 좁히게 되고 반대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텐션 스프링(204)이 풀어져 상기 세퍼레이트 롤러(108)를 위로 올려 상기 피딩 롤러(106)와 의 갭을 넓히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롤러의 축은 상기 지폐 방출 장치의 좌우측 프레임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대 역할을 하며 하나의 롤러를 회전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 장치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방출 장치의 니어 센서를 나타낸 도면으로, 지폐 투입구(100)의 하단에 니어 센서(300)가 부착되어 있어 투입한 지폐가 니어 센서(300)의 위치보다 낮아졌을 때 오프 신호를 메인 피씨비(미도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발명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를 이송하기 위하여 하나의 모터로 다수의 롤러를 구동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 지고 제품의 단가를 줄이고 전력의 낭 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폐 방출 장치는 지폐 방출구로 방출하는 지폐의 두께를 갭 조절부에서 간단히 치수화하여 조작하므로 지폐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상품권의 방출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폐 방출 장치는 각 롤러의 축이 상기 지폐 방출 장치의 좌우측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대 역할을 하여 보다 견고하고 튼튼하게 만들어주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폐가 저장되어 있는 지폐 투입구와 상기 지폐를 방출하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 지폐 방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 방출 장치의 내부 하단에 위치에 위치하여 지폐를 각 롤러에 공급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엔코더;
    상기 엔코더와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의 축에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풀리;
    상기 제 2 풀리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지폐 투입구의 방출될 지폐를 공급하는 킥 롤러;
    상기 제 1 폴리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킥 롤러에서 공급된 지폐를 1장씩 이동시키는 피딩 롤러;
    상기 피딩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지폐를 이동시키는 제 1 이송 롤러;
    상기 피딩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지폐의 두께에 대해 상기 피딩 롤러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지폐를 이동시키는 세퍼레이트 롤러;
    상기 세퍼레이트 롤러의 축과 연결되어 지폐 투입구의 지폐를 한 장씩 공급하기 위해 상기 피딩 롤러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갭 조절부;
    상기 갭 조절부의 갭 간격을 조절하는 갭 볼트;
    상기 갭 볼트의 홈과 접촉되어 있어 상기 갭 볼트의 회전으로 인한 갭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갭 볼;
    상기 갭 볼트와 갭 볼을 접촉되게 상기 갭 볼을 눌러주는 플레이트 스프링;
    상기 갭 볼트와 연결되어 상기 세퍼레이트 롤러를 상기 피딩 롤러사이에 간격이 생기도록 상기 지폐 방출 장치의 상단부 방향으로 올려주는 텐션 스프링;
    상기 텐션 스프링의 힘을 받아 조정한 갭을 유지시켜주는 갭 암;
    상기 피딩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지폐를 이동시키는 제 2 이송 롤러;
    상기 이동한 지폐를 지폐 방출구로 방출하는 상기 피딩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트랜스 롤러;
    로 구성되어 있는 지폐 방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롤러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지폐를 이동시키는 다른 롤러와 기어 없이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갭 조절부는 갭 간격 조정을 위해 상기 갭 볼트 머리 측면에 가공되어 있는 홈과 갭 볼에 의해 치수화 할 수 있으며 구동중 진동에 의한 갭 조절부의 자 동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롤러의 축은 상기 지폐 방출 장치의 좌우측 프레임을 고정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방출 장치.
KR1020050107282A 2005-11-10 2005-11-10 지폐 방출 장치 KR100656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282A KR100656809B1 (ko) 2005-11-10 2005-11-10 지폐 방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282A KR100656809B1 (ko) 2005-11-10 2005-11-10 지폐 방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851U Division KR200407198Y1 (ko) 2005-11-10 2005-11-10 지폐 방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809B1 true KR100656809B1 (ko) 2006-12-14

Family

ID=3773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282A KR100656809B1 (ko) 2005-11-10 2005-11-10 지폐 방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80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299B1 (ko) 2008-12-31 2011-08-1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1301195B1 (ko) 2011-07-15 2013-08-29 이원철 지폐배출장치
CN105003641A (zh) * 2015-07-23 2015-10-28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分钞轮与摩钞轮间隙的调节装置
CN106384426A (zh) * 2016-10-13 2017-02-08 深圳市科美集成电路有限公司 纸币清分机
CN108053548A (zh) * 2018-01-24 2018-05-1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暂存装置及金融自助终端
KR20180082779A (ko) * 2017-01-11 2018-07-19 문병철 지폐공급기
KR20190085729A (ko) * 2018-01-11 2019-07-19 이원철 종방향 지폐 배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519B2 (ja) 1990-03-23 1997-03-0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出金機のリジェクト機構
KR20000007041A (ko) * 1999-11-22 2000-02-07 구자홍 지폐자동지급기
KR20010044111A (ko) * 2000-10-24 2001-06-05 함현철 지폐 방출장치
KR20050079570A (ko) * 2004-02-06 2005-08-10 류정은 지폐(상품권) 및 티켓 배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519B2 (ja) 1990-03-23 1997-03-0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出金機のリジェクト機構
KR20000007041A (ko) * 1999-11-22 2000-02-07 구자홍 지폐자동지급기
KR20010044111A (ko) * 2000-10-24 2001-06-05 함현철 지폐 방출장치
KR20050079570A (ko) * 2004-02-06 2005-08-10 류정은 지폐(상품권) 및 티켓 배출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299B1 (ko) 2008-12-31 2011-08-16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KR101301195B1 (ko) 2011-07-15 2013-08-29 이원철 지폐배출장치
CN105003641A (zh) * 2015-07-23 2015-10-28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分钞轮与摩钞轮间隙的调节装置
CN105003641B (zh) * 2015-07-23 2024-03-19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分钞轮与摩钞轮间隙的调节装置
CN106384426A (zh) * 2016-10-13 2017-02-08 深圳市科美集成电路有限公司 纸币清分机
KR20180082779A (ko) * 2017-01-11 2018-07-19 문병철 지폐공급기
KR101886557B1 (ko) 2017-01-11 2018-08-07 문병철 지폐공급기
KR20190085729A (ko) * 2018-01-11 2019-07-19 이원철 종방향 지폐 배출장치
KR102028178B1 (ko) * 2018-01-11 2019-10-04 이원철 종방향 지폐 배출장치
CN108053548A (zh) * 2018-01-24 2018-05-1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暂存装置及金融自助终端
CN108053548B (zh) * 2018-01-24 2024-04-05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暂存装置及金融自助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809B1 (ko) 지폐 방출 장치
CN104609266B (zh) 控制矩形单张纸分别输入至容器中和从容器中输出的单张纸处理设备
US77220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s of stack guide and stack roller
KR101681503B1 (ko)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US20020117528A1 (en) Lottery ticket dispenser transport mechanism
KR200407198Y1 (ko) 지폐 방출 장치
US6889972B2 (en) Banknote dispenser
KR20010044111A (ko) 지폐 방출장치
US7316306B2 (en) Currency note feeding apparatus for currency note handling machine
JPH10338367A (ja) シート送り装置
KR200378713Y1 (ko) 지폐류 취급기기용 지폐류 이송장치
JP4562265B2 (ja) 紙葉類識別収納装置
KR100333616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자동지급방법
JP2004083226A (ja) 紙葉送り出し装置
JPH0594575A (ja) エスカレーター付コイン送出装置
KR200194767Y1 (ko) 자동 고속날인기의 잉크 공급장치
KR100277997B1 (ko) 현금자동 지급기의 인자장치
KR101419057B1 (ko) 매체자동입출기용 매체환류장치의 콘트라롤러조정장치
KR101523496B1 (ko) 역회전 방지 구조를 갖는 지폐 방출장치
CN106427245A (zh) 一种用于金融自助设备中打印纸输出的纸张输送装置
KR101212109B1 (ko) 지폐 처리 장치
KR100584804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휠 브레이킹 장치
JP2002083341A (ja) 紙幣搬送装置
JP2832320B2 (ja) 紙片等の搬送装置
KR20210002798A (ko) 센터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