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922A - 지폐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922A
KR20140142922A KR20130064682A KR20130064682A KR20140142922A KR 20140142922 A KR20140142922 A KR 20140142922A KR 20130064682 A KR20130064682 A KR 20130064682A KR 20130064682 A KR20130064682 A KR 20130064682A KR 20140142922 A KR20140142922 A KR 20140142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anknote
bill
conveying path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호
이용철
황진용
김준영
박종성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2922A/ko
Publication of KR2014014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이 지폐정렬장치는 지폐를 반송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회전축과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 피동휠을 포함하는 제 1 방향 롤러와, 지폐를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회전축과 반송로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2 피동휠을 포함하는 제 2 방향 롤러와, 반송로를 이동하는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여 지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지폐 위치센서와, 지폐가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되도록 지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 1 방향 롤러 및 제 2 방향 롤러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폐정렬장치{APPARATUS FOR ALIGNING BILL}
본 발명은 지폐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연속적으로 이동 및 정렬할 수 있는 지폐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등에는 각종 금융자동화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 중 지폐수납처리기는 낱장의 지폐나 수표와 같은 지폐류를 투입받아 자동으로 수납처리하기도 한다.
예컨대, 고객 또는 은행원이 지폐류를 지폐수납처리기의 투입구에 투입하면, 투입된 지폐류는 지폐수납처리기 내 반송로를 따라 평면상태로 이송하면서 반송로의 일측으로 정렬되고, 지폐의 진위여부가 확인된 후, 지폐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수납 처리되지만 지폐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반출 처리하게 된다.
그런데, 지폐가 반송로의 일측을 기준으로 정렬되는 경우에는, 반송로 상의 지폐 위치에 따라 지폐가 반송로를 이동해야 하는 이동량이 많아질 수 있다.
이에, 지폐의 이동 시간을 줄이면서도 지폐의 이동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등록공보 10-1059143 (2011.08.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의 연속적인 이동 및 정렬을 통해, 지폐의 정렬성을 양호하게 구현할 수 하는 지폐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로서,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 피동휠을 포함하는 제 1 방향 롤러;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반송로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2 피동휠을 포함하는 제 2 방향 롤러; 상기 반송로를 이동하는 상기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지폐 위치센서; 및 상기 지폐가 상기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 롤러 및 상기 제 2 방향 롤러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폐 위치센서는 상기 지폐의 정렬이 시작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입구 위치센서; 및 상기 지폐의 정렬이 종료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출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출구 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방향 롤러와 상기 제 2 방향 롤러를 독립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 상에서 직각 형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방향 롤러와 상기 제 2 방향 롤러를 동시에 회전시켜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 상에서 사선 형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 롤러는 상기 반송로 상에 열과 행을 이루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방향 롤러는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상기 제 1 방향 롤러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방향 롤러는 상기 제 1 방향 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측과 정렬 출구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2 입구측 방향 롤러 및 제 2 출구측 방향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제 1 방향 롤러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구동전달수단을 통해 반송모터에 구동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방향 롤러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구동전달수단을 통해 정렬모터에 구동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제 1 방향 롤러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구동전달수단을 통해 반송모터에 구동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방향 롤러는 상기 반송로의 센터 라인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3 구동전달수단을 통해 정렬모터에 구동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피동휠 및 상기 제 2 피동휠은 상기 반송로의 센터 라인 출구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두 방향성을 갖는 롤러를 적용하여,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의 정지됨 없는 연속적인 이동 및 정렬을 구현함으로써, 기기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송로 상에서 지폐 정렬을 위한 추가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지폐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폐의 위치를 반송로 상에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지폐가 좌굴되거나 구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에서 직각 형태로 이동되는 지폐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에서 사선 형태로 이동되는 지폐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의 구동전달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의 구동전달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결합관계 및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에서는,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기기의 설계환경이나 주변장치의 설계변경에 따라, 지폐를 반송로의 일측에 정렬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에서 직각 형태로 이동되는 지폐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에서 사선 형태로 이동되는 지폐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제 1 방향 롤러(100), 제 2 방향 롤러(200), 지폐 위치센서(300) 및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피동휠(110, 210)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 피동휠(110, 210)의 실제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피동휠(110, 210)의 형태를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방향 롤러(100)는 반송로(1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반송로(10)에 진입한 지폐(20)를 반송로(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반송로(10)의 길이방향은 지폐정렬장치의 투입구에서 스캐닝헤드측까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후술되는 반송로(10)의 폭방향은 반송로(10)의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방향 롤러(100)는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되거나, 반송로(10)에서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 1 방향 롤러(100) 간 이격 거리는, 반송로(10) 상의 지폐(20)를 균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 및 정렬이 가능한 거리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방향 롤러(100)는 반송로(10) 상의 지폐(20)를 두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방향 롤러(100)는 반송로(10)의 지지프레임(40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폐(20)를 반송로(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회전축(110)과,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피동휠(120)과, 이들 제 1 회전축(110) 및 제 1 피동휠(120)이 장착되는 제 1 롤러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폐(20)는 제 1 회전축(110)의 회전력에 의해 반송로(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2 방향 롤러(200)의 회전시, 지폐(20)는 센터 라인(C)을 향해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제 1 방향 롤러(100)와 제 2 방향 롤러(200)가 동시에 회전되는 경우, 반송로(10) 상의 지폐(20)는 센터 라인(C)을 향해 사선 형태로 연속적인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향 롤러(100)에서, 제 1 피동휠(120)은 럭비공 형태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제 1 피동휠(120)이 제 1 롤러바디(130)의 테두리부를 따라 1열 구조로 배치되지만, 이 제 1 피동휠(120)의 형태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피동휠(120)은 원형의 롤러를 이루거나 복수의 제 1 피동휠(120)이 제 1 롤러바디(130)의 테두리부를 따라 2열 구조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제 2 피동휠(220)의 형태나 배치 구조 또한, 제 1 피동휠(120)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2 방향 롤러(200)는 반송로(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지폐(20)를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방향 롤러(200)는 반송로(10)의 지지프레임(40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폐(20)를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회전축(210)과, 반송로(1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피동휠(220)과, 이들 제 2 회전축(210) 및 제 2 피동휠(220)이 장착되는 제 2 롤러바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 2 방향 롤러(200)는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4개의 제 1 방향 롤러(1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방향 롤러(200)는 반송로(10)를 이동하는 지폐(20)에 적어도 접촉 가능한 지점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제 2 방향 롤러(200)는 지폐(20)를 반송로(10)의 폭방향, 보다 상세하게는 반송로(1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지폐(20)는 제 1 회전축(110)의 회전력에 의해 반송로(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2 방향 롤러(200)의 회전시, 지폐(20)는 센터 라인(C)을 향해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결국, 제 1 방향 롤러(100)와 제 2 방향 롤러(200)가 동시에 회전되는 경우, 반송로(10) 상의 지폐(20)는 센터 라인(C)을 향해 사선 형태로 연속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지폐 위치센서(300)는 반송로(10)를 이동하는 지폐(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지폐(20)의 위치 정보를 컨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지폐 위치센서(300)는 입구 위치센서(310), 출구 위치센서(320) 및 폭방향 위치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 위치센서(310)는 지폐(20)의 정렬이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되며, 반송로(10)를 따라 이동하던 지폐(20)가 정렬이 시작되는 위치에 다다르면, 해당 위치의 지폐(20)를 감지한 후 컨트롤러에 정렬 입구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출구 위치센서(320)는 지폐(20)의 정렬이 종료되는 반송로(10) 상에 위치되며, 반송로(10) 상의 지폐(20)가 정렬이 종료되는 위치에 다다르면, 해당 위치의 지폐(20)를 감지한 후 컨트롤러에 정렬 출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폭방향 위치센서(330)는 센터 라인(C)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위치되며, 지폐(20)의 양단부가 반송로(10)의 폭방향에서 정렬되는 위치에 다다르면, 해당 위치의 지폐(20)를 감지한 후 컨트롤러에 정렬 폭방향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폐 위치센서(300)는 입구 위치센서(310), 출구 위치센서(320) 및 폭방향 위치센서(330)를 통해, 지폐(20)의 정렬이 시작 및 종료되는 위치와 지폐(20)의 폭방향 이동이 종료되는 위치를 감지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반송로(10) 상에서 지폐(20)의 정확한 위치 감지를 위해서, 지폐 위치센서(300)는 반송로(10)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거나, 여러 가지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는 지폐 위치센서(300)로부터 지폐(20)의 위치정보를 인가받아, 지폐(20)가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으로 정렬되도록 제 1 방향 롤러(100) 및 제 2 방향 롤러(20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a에서 보듯이, 컨트롤러는 제 1 방향 롤러(100) 및 제 2 방향 롤러(200)에 시간 차를 둔 연속적인 작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이들 제 1 방향 롤러(100) 및 제 2 방향 롤러(200)를 독립적으로 회전킬 수 있다. 즉, 제 1 방향 롤러(100) 및 제 2 방향 롤러(200)의 회전에 의해, 반송로(10)의 일측에 위치한 지폐(20)는 반송로(10) 상에서 센터 라인(C)을 향해 직각 형태로 이동되고, 이후 지폐(20')는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b에서 보듯이, 컨트롤러는 제 1 방향 롤러(100) 및 제 2 방향 롤러(200)에 연속적인 작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이들 제 1 방향 롤러(100) 및 제 2 방향 롤러(200)가 연동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 1 방향 롤러(100) 및 제 2 방향 롤러(200)의 회전에 의해, 반송로(10)의 일측에 위치한 지폐(20)는 반송로(10) 상에서 센터 라인(C)을 향해 사선 형태로 이동되고, 이후 지폐(20')는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컨트롤러는 반송로(10) 상의 지폐(20) 위치나 상태에 따라 제 1 방향 롤러(100)나 제 2 방향 롤러(200)의 회전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지폐(20)의 좌굴이나 비틀어짐(skew)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지폐정렬장치에서는, 제 1 방향 롤러(100)와 제 2 방향 롤러(200)가 반송로(10) 상에서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하여, 지폐(20)가 센터 라인(C)에서 보다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2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반송로(10) 상에서 열과 행을 이루는 복수의 제 1 방향 롤러(100) 및 제 2 방향 롤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방향 롤러(100) 및 제 2 방향 롤러(200)는, 센터 라인(C)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지폐(20)가 센터 라인(C)을 중심으로 반송로(10)의 일측에 위치하거나 타측에 위치하더라도, 일측/타측에 치우쳐 위치한 지폐(20)를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제 2 방향 롤러(200)는 반송로(10)의 정렬 입구측과 정렬 출구측에 각각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입구측 방향 롤러(202) 및 제 2 출구측 방향 롤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2 입구측 방향 롤러(202) 및 제 2 출구측 방향 롤러(201)는 제 1 방향 롤러(100)를 사이에 두고 반송로(10)의 정렬 입구측과 정렬 출구측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반송로(10)의 정렬 입구측이나 정렬 출구측에 치우친 지폐(20)를 안정적으로 폭방향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 롤러(200)는 제 1 방향 롤러(100)를 사이에 두고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지폐(20)의 폭방향 이동은 제 2 방향 롤러(200)와 지폐(20) 간에 접촉이 가능한 위치에서 가능하므로, 제 2 방향 롤러(200)를 벗어난 위치에서는, 제 1 방향 롤러(100)를 통한 반송로(10)의 길이방향 이동만이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의 구동전달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의 구동전달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제 1 구동전달수단(610)을 통해 제 1 방향 롤러(100)에 구동 연결되는 반송모터(510)와, 제 2 구동전달수단(610)을 통해 제 2 방향 롤러(200)에 구동 연결되는 정렬모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송모터(510)는 지폐(20)를 반송로(1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제 1 방향 롤러(100)에 제공하는 구동 공급원으로, 이 반송모터(510)의 구동력은 제 1 구동전달수단(610)을 통해 제 1 방향 롤러(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구동전달수단(610)은 제 1 방향 롤러(100)의 제 1 회전축(11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구동축(611)과, 반송모터(51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 1 구동풀리(613)와, 복수의 제 1 구동축(611)과 제 1 구동풀리(613)를 서로 연동되게 연결하는 제 1 구동벨트(6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반송모터(510)가 컨트롤러로부터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되면, 반송모터(510)의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제 1 구동풀리(61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 구동풀리(613)의 회전력은 제 1 구동벨트(612)를 통해 제 1 구동축(611)이 전달된 후, 복수의 제 1 방향 롤러(100)의 제 1 회전축(11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정렬모터(520)는 지폐(20)를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력을 제 2 방향 롤러(200)에 제공하는 구동 공급원으로, 이 정렬모터(520)의 구동력은 제 2 구동전달수단(620)을 통해 제 2 방향 롤러(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구동전달수단(620)은 제 2 방향 롤러(200)의 제 2 회전축(21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2 구동축(621)과, 정렬모터(52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 2 구동풀리(623)와, 복수의 제 2 구동축(621)과 제 2 구동풀리(623)를 서로 연동되게 연결하는 제 2 구동벨트(6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정렬모터(520)가 컨트롤러로부터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되면, 정렬모터(520)의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제 2 구동풀리(62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제 2 구동풀리(623)의 회전력은 제 2 구동벨트(622)를 통해 제 2 구동축(621)이 전달되어, 복수의 제 2 방향 롤러(200)의 제 2 회전축(21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제 1 구동전달수단(610)을 통해 제 1 방향 롤러(100)에 구동 연결되는 반송모터(510)와, 제 3 구동전달수단(630)을 통해 제 2 방향 롤러(200)에 구동 연결되는 정렬모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구동전달수단(63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예컨대 제 1 구동전달수단(610), 반송모터(510) 및 정렬모터(520) 구성은 제 2 예에서 설명한 제 1 구동전달수단(610), 반송모터(510) 및 정렬모터(520) 구성과 유사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기 설명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유사 구성에 대하여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제 3 구동전달수단(630)은 복수의 제 2 방향 롤러(200)의 제 2 회전축(21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 3 구동축(631)과,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된 제 2 방향 롤러(200)의 제 3 구동축(631)에 연결되는 제 3 일측 구동벨트(632a)와,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을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 2 방향 롤러(200)의 제 2 구동축(621)에 연결되는 제 3 타측 구동벨트(632b)와, 정렬모터(520)의 회전력을 제 3 일측 구동벨트(632a)에 전달하는 제 3 구동풀리(633)와, 정렬모터(520)의 회전력을 정렬모터(520)의 구동기어(634a)로부터 전달받아 제 3 타측 구동벨트(632b)에 전달하는 연결기어축(63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모터(520)가 컨트롤러로부터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되면, 정렬모터(520)의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제 3 일측 구동벨트(632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3 타측 구동벨트(632b)는 구동기어(634a) 및 연결기어축(634b)의 간의 맞물림 회전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반송로(10)의 일측에 배치된 제 2 방향 롤러(200)의 제 2 구동축(621)은, 제 3 일측 구동벨트(632a)의 회전에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반송로(10)의 타측에 배치된 제 2 방향 롤러(200)의 제 2 구동축(621)은 제 3 타측 구동벨트(632b)의 회전에 연동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지폐정렬장치에서는, 제 1 방향 롤러(100)의 제 1 피동휠(120)과 제 2 방향 롤러(200)의 제 2 피동휠(220)이,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 출구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3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센터 라인(C) 출구측을 향하도록 제 1 피동휠(120')이 설치되는 제 1 방향 롤러(100')와, 센터 라인(C) 출구측을 향하도록 제 2 피동휠(220')이 설치되는 제 2 방향 롤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피동휠(120')은 제 1 롤러바디(130')의 테두리부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되며, 제 1 롤러바디(130')의 테두리부에서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 출구측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피동휠(220')은 제 2 롤러바디(230')의 테두리부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되며, 제 2 롤러바디(230')의 테두리부에서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 출구측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방향 롤러(100') 및 제 2 방향 롤러(200')에 장착된 제 1 피동휠(120) 및 제 2 피동휠(220')은, 센터 라인(C) 출구측을 향하도록 반송로(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피동휠(120') 및 제 2 피동휠(220')은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 출구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제 2 방향 롤러(200') 및 제 2 방향 롤러(200')의 동시 회전에 의해 지폐(20)가 센터 라인(C)을 향해 사선 형태로 이동되는 경우, 지폐(20)는 센터 라인(C)을 향해 사선 형태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방법은, 정렬 개시 단계, 정렬 이동 단계, 정렬 확인 단계 및 정렬 종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 개시 단계는 반송로(10)에 투입된 지폐(20)를 감지하는 단계로, 반송로(10)의 정렬 입구측에 배치된 입구 위치센서(310)를 통해, 정렬이 시작되는 위치에 다다르는 지폐(20)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정렬 이동 단계는 반송로(10)의 정렬 입구측에 다다른 지폐(20)를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으로 위치시키는 단계로, 반송로(10)에 설치된 제 1 방향 롤러(100)와 제 2 방향 롤러(200)를 통해 지폐(20)를 센터 라인(C)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 롤러(100)는 지폐(20)를 반송로(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이고, 제 2 방향 롤러(200)는 지폐(20)를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이다.
예컨대, 정렬 이동 단계는 제 1 방향 롤러(100)와 제 2 방향 롤러(200)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시켜 지폐(20)를 반송로(10) 상에서 직각 형태로 이동시켜 지폐(20)를 센터 라인(C)에 정렬시키거나, 제 1 방향 롤러(100)와 제 2 방향 롤러(200)를 동시에 회전시켜 지폐(20)를 반송로(10) 상에서 사선 형태로 이동시켜 지폐(20)를 센터 라인(C)에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정렬 확인 단계는 지폐(20)가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 상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센터 라인(C)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 설치된 폭방향 위치센서(330)와, 반송로(10) 상의 지폐(20)가 정렬이 종료되는 위치에 설치된 출구 위치센서(320)를 통해 지폐(20)의 정렬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폐(20)가 폭방향 위치센서(330) 및 출구 위치센서(320)에서 동시에 감지되면, 지폐(20)가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 상에 바르게 정렬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지폐(20)가 센터 라인(C)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된 폭방향 위치센서(330)에서만 감지되면, 지폐(20)를 반송로(10)의 타측으로 이동시켜야 지폐(20)가 바르게 정렬될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지폐(20)가 센터 라인(C)을 기준으로 타측에 설치된 폭방향 위치센서(330)에서만 감지되면, 지폐(20)를 반송로(10)의 일측으로 이동시켜야 지폐(20)가 바르게 정렬될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정렬 종료 단계는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 상에 위치한 지폐(20)의 폭방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로, 상기 정렬 확인 단계에서, 지폐(20)가 폭방향 위치센서(330) 및 출구 위치센서(320)에서 동시에 감지되면, 지폐(20)가 반송로(10)의 센터 라인(C) 상에 바르게 정렬된 것으로 판단되므로, 제 2 방향 롤러(200)의 회전을 정지하여 지폐(20)의 폭방향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방향 롤러(100)는 지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지폐(20)가 출구 위치센서(320)에 의해 감지되면 지폐(20)의 정렬을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방향성을 갖는 롤러를 적용하여,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의 정지됨 없는 연속적인 이동 및 정렬을 구현함으로써, 기기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송로 상에서 지폐 정렬을 위한 추가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지폐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으며, 지폐의 위치를 반송로 상에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지폐가 좌굴되거나 구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제 1 방향 롤러 110 :제 1 회전축
120 :제 1 피동휠 200 :제 2 방향 롤러
210 :제 2 회전축 220 :제 2 피동휠
300 :지폐 위치센서 310 :입구 위치센서
320 :출구 위치센서 330 :폭방향 위치센서
510 :반송롤러 520 :정렬모터
610 :제 1 구동 전달수단 620 :제 2 구동 전달수단
630 :제 3 구동 전달수단

Claims (9)

  1.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로서,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 피동휠을 포함하는 제 1 방향 롤러;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반송로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2 피동휠을 포함하는 제 2 방향 롤러;
    상기 반송로를 이동하는 상기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지폐 위치센서; 및
    상기 지폐가 상기 반송로의 센터 라인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 롤러 및 상기 제 2 방향 롤러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위치센서는
    상기 지폐의 정렬이 시작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입구 위치센서; 및
    상기 지폐의 정렬이 종료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출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출구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방향 롤러와 상기 제 2 방향 롤러를 독립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 상에서 직각 형태로 이동시키는 지폐정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방향 롤러와 상기 제 2 방향 롤러를 동시에 회전시켜 상기 지폐를 상기 반송로 상에서 사선 형태로 이동시키는 지폐정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 롤러는 상기 반송로 상에 열과 행을 이루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방향 롤러는 상기 반송로의 폭방향으로 상기 제 1 방향 롤러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지폐정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 롤러는
    상기 제 1 방향 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측과 정렬 출구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2 입구측 방향 롤러 및 제 2 출구측 방향 롤러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1 방향 롤러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구동전달수단을 통해 반송모터에 구동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방향 롤러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구동전달수단을 통해 정렬모터에 구동 연결되는 지폐정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1 방향 롤러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구동전달수단을 통해 반송모터에 구동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방향 롤러는 상기 반송로의 센터 라인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3 구동전달수단을 통해 정렬모터에 구동 연결되는 지폐정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동휠 및 상기 제 2 피동휠은 상기 반송로의 센터 라인 출구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폐정렬장치.
KR20130064682A 2013-06-05 2013-06-05 지폐정렬장치 KR20140142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4682A KR20140142922A (ko) 2013-06-05 2013-06-05 지폐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4682A KR20140142922A (ko) 2013-06-05 2013-06-05 지폐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922A true KR20140142922A (ko) 2014-12-15

Family

ID=5246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4682A KR20140142922A (ko) 2013-06-05 2013-06-05 지폐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29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835B1 (ko) 다권종 지폐의 입금을 제어하기 위한 입금장치 및 입금방법
EP1188699A2 (en) A posture 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a posture of conveyed paper-like material and paper-like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osture correction device
JP2002316745A (ja) 紙葉類処理装置
KR20060135882A (ko) 종이류의 사행 수정 장치 및 지폐 입출금 장치
US8925919B2 (en) Apparatus for aligning bill and method for aligning bill using the same
KR20160041538A (ko)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KR101258773B1 (ko) 매체 정렬 장치
JP2007070085A (ja) 紙葉類整位装置
JP4809974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455238B1 (ko) 지폐정렬장치
EP2769948B1 (en) Media alignment
KR20140142922A (ko) 지폐정렬장치
US20180265318A1 (en) Apparatus for Aligning Notes of Value
KR20150000136A (ko) 지폐정렬장치
KR20140133220A (ko) 지폐정렬장치
US10543998B2 (en) Apparatus for aligning notes of value
JP2019119570A (ja)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及び紙葉類取扱方法
JP4694321B2 (ja) 紙幣の整列搬送機構
US10710831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ligning at least one note of value
KR101153639B1 (ko) 매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
KR20160149778A (ko) 매체 이송 장치
KR10155822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장치
JP452114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6748801B2 (ja) 紙葉類整列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WO2018163649A1 (ja) 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