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136A - 지폐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136A
KR20150000136A KR1020130072155A KR20130072155A KR20150000136A KR 20150000136 A KR20150000136 A KR 20150000136A KR 1020130072155 A KR1020130072155 A KR 1020130072155A KR 20130072155 A KR20130072155 A KR 20130072155A KR 20150000136 A KR20150000136 A KR 20150000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conveying path
edge line
alignment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용
박종성
박창호
이용철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136A/ko
Priority to PCT/KR2013/011624 priority patent/WO2014208845A1/ko
Publication of KR20150000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65H9/166Roll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2Rollers with at least an active member on perip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4Rollers conveyor
    • B65H2404/1542Details of pattern of rollers
    • B65H2404/15422Quadrant or basket rolle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가장자리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이 지폐정렬장치는 반송로에서 가장자리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반송로에 위치하는 지폐의 일부분에 마찰력을 가해 지폐를 가장자리 라인을 향해 이동시키는 정렬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폐정렬장치{APPARATUS FOR ALIGNING BILL}
본 발명은 지폐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반송로의 가장자리 라인에 정렬할 수 있는 지폐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등에는 각종 금융자동화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 중 지폐수납처리기는 낱장의 지폐나 수표와 같은 지폐류를 투입받아 자동으로 수납처리하기도 한다.
예컨대, 고객 또는 은행원이 지폐류를 지폐수납처리기의 투입구에 투입하면, 투입된 지폐류는 지폐수납처리기 내 반송로를 따라 평면상태로 이송하면서 반송로의 일측으로 정렬되고, 지폐의 진위여부가 확인된 후, 지폐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수납 처리되지만 지폐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반출 처리하게 된다.
그런데, 정확한 스캐닝 작업을 위해서는, 반송로 상의 지폐류는 반송로 상에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하는 바, 반송로에 진입한 지폐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등록공보 10-1059143 (2011.08.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의 연속적인 이동 및 정렬을 통해, 지폐의 정렬성을 양호하게 구현할 수 하는 지폐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가장자리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로서, 상기 반송로에서 상기 가장자리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에 위치하는 상기 지폐의 일부분에 마찰력을 가해 상기 지폐를 상기 가장자리 라인을 향해 이동시키는 정렬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송로를 이동하는 상기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지폐 위치센서; 및 상기 지폐가 상기 반송로의 가장자리 라인에 정렬되도록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정렬 롤러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 롤러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반송로의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피동휠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 롤러는 상기 지폐를 상기 가장자리 라인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보정하는 피동휠; 및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이 마련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피동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로 제공되는 상기 정렬 롤러는, 상기 반송로 상에 열과 행을 이루고, 인접한 상기 정렬 롤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폐의 반송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 위치센서는 상기 지폐의 정렬이 시작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 정보를 제공하는 입구 위치센서; 및 상기 지폐의 정렬이 완료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출구 정보를 제공하는 출구 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동휠이 상기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정렬 롤러가 상기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의 여각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동휠이 상기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의 정지됨 없는 연속적인 이동 및 정렬을 구현함으로써, 기기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송로 상에서 지폐 정렬을 위한 추가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지폐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폐의 위치를 반송로 상에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지폐가 좌굴되거나 구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결합관계 및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에서는, 반송로(10)에 투입된 지폐(20)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지폐(20)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폐(20)를 반송로(10)의 가장자리 라인으로 정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지폐를 반송로(10)의 가장자리 라인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 롤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렬 롤러(100)는 반송로(10)의 일측에서 가장자리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반송로(10)의 일측에 위치한 지폐(20)를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가장자리 라인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가장자리 라인 방향은, 반송로(10) 상에 위치한 지폐(20)를 반송로(10)의 가장자리 라인, 보다 자세하게는 반송로(10)의 일측 가장자리 라인 또는 타측 가장자리 라인으로 수렴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도면에서는 반송로(10)의 일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롤러(100)는 반송로(10) 상의 지폐(20)를 가장자리 라인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정렬 롤러(100)는 지폐(20)를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가장자리 라인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반송로(10)의 지지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10)과, 반송로(10)의 일측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도록 회전 가능한 피동휠(120)과, 이들 회전축(110) 및 피동휠(120)이 장착되는 롤러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피동휠의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정렬 롤러(100)는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반송로(10)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로(10)의 폭방향으로 6개의 정렬 롤러(100)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피동휠(120)은 반송로(10) 상의 지폐(20) 이동이 원활해지도록 지폐(20)의 진행방향을 보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정렬 롤러(100) 간의 이격 거리(L)이 서로 이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정렬 롤러(100)를 통해 지폐에 연속적인 힘을 제공하기 위해, 이들 복수의 정렬 롤러(100) 간의 이격 거리(L)는 적어도 0 이하로 설계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복수의 정렬 롤러(100)는, 인접한 정렬 롤러(100)와 적어도 일부가 지폐(20)의 반송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정렬 롤러(100)의 피동휠(120)은 럭비공 형태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피동휠(120)이 롤러바디(130)의 테두리부를 따라 1열 구조로 배치되지만, 이 피동휠(120)의 형태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피동휠(120)은 원형의 롤러를 이루거나 복수의 피동휠(120)이 롤러바디(130)의 테두리부를 따라 2열 구조 배치될 수 있다.
이 정렬 롤러(100)가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30도° ~ 60 °를 만족할 수 있고, 피동휠(120)이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정렬 롤러(100)가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의 여각을 만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렬 롤러(100)가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45°로 유지되고, 이때, 피동휠(120)이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45°를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폐(20)가 정렬 롤러(100)에 접촉되는 경우, 지폐는 반송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가장자리 라인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지폐(20)가 접촉되는 정렬 롤러(10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지폐가 안정적이고 균형있게 이동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지폐정렬장치에서는, 정렬 롤러(100) 가 반송로(10) 상에 열과 행을 이루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반송로(10) 상에서 열과 행을 이루는 복수의 정렬 롤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정렬 롤러(100)가 열과 행을 이루면서 가장자리 라인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면, 지폐(20)는 반송로(10)를 따라 이동하면서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가장자리 라인 방향으로 점차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로(10) 상에 6 × 3 형태로 정렬 롤러(100a),(100b),(100c)가 배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반송로(10)를 따라 이동하는 지폐(20)가 반송로(10)의 정렬 출구측 가장자리 라인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배열 구조를 만족한다면, 이들 정렬 롤러(100)는 반송로(10) 상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에서, 정렬 롤러(100')가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반송로(10)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정렬 롤러(100')가 반송로(10) 상에 6 × 3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2 행에 위치한 정렬 롤러(100b')의 경사 각도(θ2)는 1 행에 위치한 정렬 롤러(100a')의 경사 각도(θ1)보다 작고, 3 행에 위치한 정렬 롤러(100c')의 경사 각도(θ3)는 2 행에 위치한 정렬 롤러(100b')의 경사 각도(θ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송로(10) 상에 진입한 지폐(20)는 1 행에 위치한 정렬 롤러(100a')를 거쳐 2행 및 3행에 위치한 정렬 롤러(100b'),(100c')로 이동할수록, 반송로(10)의 가장자리 라인에 가까워지면서 보다 정밀하게 가장자리 라인에 접근할 수 있다.
도 4는 제 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피동휠(120)이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반송로(10)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렬 롤러(100")가 반송로(10) 상에 6 × 3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2 행에 위치한 피동휠(120)이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2')는 1 행에 위치한 피동휠(120)이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1')보다 작고, 3 행에 위치한 피동휠(120)이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3')는 2 행에 위치한 피동휠(120)이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반송로(10) 상에 진입한 지폐(20)는, 1 행에 위치한 정렬 롤러(100a")를 거쳐 2행 및 3행에 위치한 정렬 롤러(100b"),(100c")로 이동할수록, 반송로(10)의 가장자리 라인에 가까워지면서 보다 정밀하게 가장자리 라인에 접근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지폐정렬장치에서는, 반송로(10) 상의 지폐(20) 위치를 감지하여 정렬 롤러(100)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 예컨대, 정렬 롤러(100)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장치는, 정렬 롤러(100), 지폐 위치센서(300) 및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폐 위치센서(300)는 반송로(10)를 이동하는 지폐(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지폐(20)의 위치 정보를 컨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지폐 위치센서(300)는 입구 위치센서(310), 출구 위치센서(320) 및 폭방향 위치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 위치센서(310)는 지폐(20)의 정렬이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되며, 반송로(10)를 따라 이동하던 지폐(20)가 정렬이 시작되는 위치에 다다르면, 해당 위치의 지폐(20)를 감지한 후 컨트롤러에 정렬 입구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출구 위치센서(320)는 지폐(20)의 정렬이 종료되는 반송로(10) 상에 위치되며, 반송로(10) 상의 지폐(20)가 정렬이 종료되는 위치에 다다르면, 해당 위치의 지폐(20)를 감지한 후 컨트롤러에 정렬 출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폭방향 위치센서(330)는 가장자리 라인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되어 위치되며, 지폐(20)의 양단부가 반송로(10)의 폭방향에서 정렬되는 위치에 다다르면, 해당 위치의 지폐(20)를 감지한 후 컨트롤러에 정렬 폭방향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폐 위치센서(300)는 입구 위치센서(310), 출구 위치센서(320) 및 폭방향 위치센서(330)를 통해, 지폐(20)의 정렬이 시작 및 종료되는 위치와 지폐(20)의 폭방향 이동이 종료되는 위치를 감지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반송로(10) 상에서 지폐(20)의 정확한 위치 감지를 위해서, 지폐 위치센서(300)는 반송로(10)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거나, 여러 가지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는 지폐 위치센서(300)로부터 지폐(20)의 위치정보를 인가받아, 지폐(20)가 반송로(10)의 가장자리 라인으로 정렬되도록 정렬 롤러(10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는 정렬 롤러(100)에 연속적인 작동신호를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이들 정렬 롤러(100)가 연동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렬 롤러(100)의 회전에 의해, 반송로(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지폐(20)는 반송로(10) 상에서 가장자리 라인을 향해 사선 형태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컨트롤러는 반송로(10) 상의 지폐(20) 위치나 상태에 따라, 열과 행을 이루는 정렬 롤러(100)의 회전 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지폐(20)의 좌굴이나 비틀어짐(skew)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방향성을 갖는 롤러를 적용하여,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의 정지됨 없는 연속적인 이동 및 정렬을 구현함으로써, 기기의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송로 상에서 지폐 정렬을 위한 추가 시간이 불필요하므로, 지폐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으며, 지폐의 위치를 반송로 상에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지폐가 좌굴되거나 구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정렬 롤러 110 :회전축
120 :피동휠 300 :지폐 위치센서
310 :입구 위치센서 320 :출구 위치센서
330 :폭방향 위치센서

Claims (8)

  1. 반송로에 투입된 지폐를 반송로의 가장자리 라인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지폐정렬장치로서,
    상기 반송로에서 상기 가장자리 라인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에 위치하는 상기 지폐의 일부분에 마찰력을 가해 상기 지폐를 상기 가장자리 라인을 향해 이동시키는 정렬 롤러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를 이동하는 상기 지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지폐 위치센서; 및
    상기 지폐가 상기 반송로의 가장자리 라인에 정렬되도록 상기 지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정렬 롤러의 작동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롤러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반송로의 가장자리 라인을 향하는 피동휠이 구비되는 지폐정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롤러는
    상기 지폐를 상기 가장자리 라인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보정하는 피동휠; 및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이 마련되고, 테두리부에 상기 피동휠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바디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 개로 제공되는 상기 정렬 롤러는, 상기 반송로 상에 열과 행을 이루고, 인접한 상기 정렬 롤러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폐의 반송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지폐정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위치센서는
    상기 지폐의 정렬이 시작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 정보를 제공하는 입구 위치센서; 및
    상기 지폐의 정렬이 완료되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출구 정보를 제공하는 출구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지폐정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휠이 상기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정렬 롤러가 상기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의 여각을 만족하는 지폐정렬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휠이 상기 가장자리 라인과 이루는 경사각도(θ')는, 상기 반송로의 정렬 입구측에서 정렬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지폐정렬장치.
KR1020130072155A 2013-06-24 2013-06-24 지폐정렬장치 KR20150000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155A KR20150000136A (ko) 2013-06-24 2013-06-24 지폐정렬장치
PCT/KR2013/011624 WO2014208845A1 (ko) 2013-06-24 2013-12-16 지폐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155A KR20150000136A (ko) 2013-06-24 2013-06-24 지폐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36A true KR20150000136A (ko) 2015-01-02

Family

ID=5214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155A KR20150000136A (ko) 2013-06-24 2013-06-24 지폐정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00136A (ko)
WO (1) WO2014208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0165A (en) * 2020-10-26 2022-04-27 Highcon Systems Ltd Sheet feeding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88400T3 (es) * 1989-12-07 1996-08-16 Mars Inc Dispositivo para la orientacion de hojas.
JPH0733285A (ja) * 1993-07-14 1995-02-03 Mars Inc シート整列装置
JP4361821B2 (ja) * 2004-03-15 2009-11-11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の斜行修正装置及び紙幣入出金装置
KR20070068547A (ko) * 2005-12-27 2007-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입금기의 자동정렬장치
KR101059143B1 (ko) * 2006-02-03 2011-08-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지폐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845A1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303B2 (en) Conveying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US20100314217A1 (en) Posture converting device and paper-like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EP2801542B1 (en) Apparatus for aligning bill and method for aligning bill using the same
EP2006226A2 (en) Sheet processing device
KR20220050409A (ko) 매체 입금기의 번들모듈
KR101258773B1 (ko) 매체 정렬 장치
KR10241703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KR101455238B1 (ko) 지폐정렬장치
KR20150000136A (ko) 지폐정렬장치
US9098089B2 (en) Media alignment
US20180265318A1 (en) Apparatus for Aligning Notes of Value
CN105492355A (zh) 纸页类蓄积装置和纸页类处理装置
KR101414754B1 (ko) 지엽류 속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KR20160001063A (ko) 금융자동화기기용 지폐 정렬 장치
KR20140133220A (ko) 지폐정렬장치
US10543998B2 (en) Apparatus for aligning notes of value
KR101153639B1 (ko) 매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금융기기
KR20140142922A (ko) 지폐정렬장치
KR20160149778A (ko) 매체 이송 장치
JP2014069896A (ja) 姿勢補正装置
US9472041B2 (en) Clamping of media items
US20240034589A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JP6748801B2 (ja) 紙葉類整列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WO2018163649A1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578772B1 (ko) 방향전환이 가능한 회전롤러를 이용한 매체정렬장치 및 매체정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