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055B1 -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055B1
KR101451055B1 KR1020137021959A KR20137021959A KR101451055B1 KR 101451055 B1 KR101451055 B1 KR 101451055B1 KR 1020137021959 A KR1020137021959 A KR 1020137021959A KR 20137021959 A KR20137021959 A KR 20137021959A KR 101451055 B1 KR101451055 B1 KR 101451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region
heat exchanger
pin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500A (ko
Inventor
마사노리 진도우
요시오 오리타니
?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2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with multip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12Fins with U-shaped slots for laterally inserting cond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열교환기(30)는, 복수의 편평관(扁平管)(33)과, 편평관(33)이 직교방향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핀(fin)(36)을 구비한다. 핀(36)은, 핀 본체(36a)와, 편평관(33)의 장착부(36b)를 구비하고, 핀 본체(36a)는, 편평관(33)의 삽입영역(40)과, 삽입영역(40) 풍하(風下)측의 연장영역(41)이 형성된다. 삽입영역(40)과 연장영역(41)의 쌍방에는, 각 핀(36)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48)가 핀(36)의 일부를 잘라 세워 형성된다.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 풍하측의 바로 후방(後方)에 배치된다.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스페이서 본체(48a)가 공기 흐름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편평관(扁平管)과 핀(fin)을 구비하고, 편평관 내를 흐르는 유체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하며, 특히, 열교환기의 핀 간격의 유지대책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편평관과 핀을 구비한 열교환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열교환기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편평관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로 나열되고, 판형상의 핀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편평관의 신장(伸長)방향으로 나열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핀과 접촉하면서 흐르는 공기가, 편평관 내를 흐르는 유체와 열교환한다.
상기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핀의 편평관 삽입부에는, 핀 칼라(fin collar)가 형성되어, 이 핀 칼라에 의해 핀 사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0-054060호 공보
종래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핀 칼라는, 편평관을 삽입하는 핀의 관삽입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절곡(折曲)하여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편평관이 얇아지면, 핀의 관삽입부 폭도 좁아지고, 핀의 관삽입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절곡하는 것만으로는, 핀 간격에 대응한 높이의 핀 칼라를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핀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측면이 대향하도록 평행으로 배치된 복수의 편평관(33)과, 이 편평관(33)의 배열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편평관(33)이 직교방향으로 끼워지는 노치(notch)부(45)를 갖는 복수의 핀(36)을 구비한 열교환기이다. 그리고, 제 1 발명은, 상기 핀(36)이, 판형상의 핀 본체(36a)와, 상기 편평관(33)이 접촉하여 이 편평관(33)을 장착하는 장착부(36b)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핀 본체(36a)가, 판형상의 본체부(36c)와, 상기 핀 본체(36a)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36c)에 연속되며 또한, 상기 각 핀(36)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서(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발명에서는, 스페이서(48)가 핀 본체(36a)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므로, 스페이서(48)의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어, 각 핀(36)의 간격이 소정의 간격이 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 본체(36a)는, 편평관(33)이 삽입되는 삽입영역(40)과, 이 삽입영역(40)의 공기 흐름방향의 일단(一端)에 연속되며 또한, 상기 삽입영역(40)을 연결하는 연장영역(41)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48)가, 상기 삽입영역(40)과 연장영역(41)의 쌍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발명에서는, 스페이서(48)가 삽입영역(40)과 연장영역(41)에 형성되므로, 각 핀(36)의 간격이 소정의 간격이 된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36)은, 공기가 상기 삽입영역(40)으로부터 상기 연장영역(41)을 향해 흐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 풍하(風下)측의 바로 후방(後方)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발명에서는,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 풍하측 바로 후방에 위치하므로,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에 대한 공기 흐름의 영향이 적어, 공기 흐름이 저해되는 일이 적다.
제 4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36)은, 공기가 상기 삽입영역(40)으로부터 상기 연장영역(41)을 향해 흐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상기 편평관(33)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발명에서는, 스페이서(48)가 편평관(33) 후방의 사수역(dead water region)에 위치하므로, 공기 흐름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제 5 발명은, 제 2∼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상기 핀 본체(36a)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평판형의 스페이서 본체(48a)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48)는, 공기 흐름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 발명에서는, 스페이서(48)가 공기 흐름에 대해 경사지므로, 공기저항이 저감된다.
제 6 발명은, 제 3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48)는, 핀 본체(36a)의 일부를 잘라 세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 발명에서는, 핀 본체(36a)의 일부를 잘라 세워 스페이서(48)를 형성하므로, 별도 부재 등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스페이서(48)가 형성된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풍상(風上)측에서 풍하측으로 잘라 세워지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풍하측에서 풍상측으로 잘라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7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와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와의 간격이 좁아지고, 각 핀(36)의 간격이 안정되게 유지된다.
제 8 발명은, 상기 제 2∼제 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은, 편평관(33)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영역(42)과, 이 중간영역(42)으로부터 연장영역(41)과는 반대측의 풍상측으로 돌출하는 돌출영역(4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상기 편평관(33) 사이의 중심선이 지나는 중앙부 상에서 상기 돌출영역(43)에 형성된다.
상기 제 8 발명에서는,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가 각 편평관(33) 사이의 중앙부 상에 위치하므로, 각 핀(36)의 간격이 안정되게 유지된다.
제 9 발명은, 제 2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은, 편평관(33)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영역(42)과, 이 중간영역(42)으로부터 연장영역(41)과는 반대측의 풍상측으로 돌출하는 돌출영역(4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상기 돌출영역(43)의 단연(端緣)이며 또한, 공기 흐름과 평행한 평행단연(43b)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9 발명에서는, 스페이서(48)가 공기 흐름과 평행인 돌출영역(43)의 평행단연(43b)에 형성되므로, 공기 흐름이 저해되지 않아, 공기저항이 더욱 저감된다.
제 10 발명은,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핀 본체(36a)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평판형의 스페이서 본체(48a)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48)는, 공기 흐름과 평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0 발명에서는, 스페이서(48)가 공기 흐름과 평행하므로, 공기 흐름이 저해되지 않아, 공기저항이 한층 저감된다.
제 11 발명은, 제 1∼제 10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48)는, 선단(先端)이 긴 변이 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1 발명에서는, 스페이서(48)의 선단이 긴 변이므로, 서로 인접하는 핀(36)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된다.
제 12 발명은, 제 1∼제 11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48)에는, 이 스페이서(48)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48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2 발명에서는, 스페이서(48)에 리브(48d)가 형성되므로, 스페이서(48)의 내력(耐力)이 향상한다.
제 13 발명은, 제 1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브(48d)가, 상기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로부터 상기 스페이서(48)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3 발명에서는, 상기 리브(48d)가, 상기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에서 상기 스페이서(48)에 걸쳐 형성되므로, 상기 스페이서(48)의 접힌 부분(48c)의 강도(强度)가 향상한다.
제 14 발명은, 제 6∼제 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48)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본체(36a)에 대해, 선단(先端)부가 상기 스페이서(48)의 잘라 세움에 대응하여 상기 핀 본체(36a)에 형성된 개구(36d)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4 발명에서는, 상기 스페이서(48)의 선단부가 개구(36d)로부터 어긋나는 선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본체(36a)의 개구(36d)에 삽입되는 일이 없다.
제 15 발명은, 공기 조화기(10)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제 1∼제 1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열교환기(30)가 설치된 냉매회로(20)를 구비하고, 상기 냉매회로(2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것이다.
제 15 발명에서는, 상기 제 1~제 1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열교환기(30)가 냉매회로(20)에 접속된다. 열교환기(30)에 있어서, 냉매회로(20)를 순환하는 냉매는, 편평관(33)의 통로(34)를 흘러, 예를 들어, 공기와 열교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 본체(36a)의 일부를 절곡하여 스페이서(48)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48)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각 핀(36)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48)를 핀 본체(36a)의 삽입영역(40)과 연장영역(41)에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핀(36) 전체에 걸쳐 각 핀(36)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의 풍하측 바로 후방에 위치하므로,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에 대한 공기 흐름의 영향이 적어, 공기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4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48)가 편평관(33) 후방의 사수역에 위치하므로, 공기 흐름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제 5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48)가 공기 흐름에 대해 경사지므로, 공기저항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 6 발명에 의하면, 핀 본체(36a)의 일부를 잘라 세워 스페이서(48)를 형성하므로, 별도 부재 등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스페이서(48)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가 풍상측에서 풍하측으로 잘라 세워지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풍하측에서 풍상측으로 잘라 세워지므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와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와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각 핀(36)의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8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가, 상기 편평관(33) 사이의 중심선이 지나는 중앙부 상에서 상기 돌출영역(43)에 형성되므로, 각 핀(36)의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9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48)가 공기 흐름과 평행한 돌출영역(43)의 평행단연(43b)에 형성되므로, 공기 흐름이 저해되지 않아, 공기저항을 한층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핀(36)을 형성할 시, 폐기하는 부위를 이용하여 스페이서(48)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효율 좋게 스페이서(48)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0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48)가 공기 흐름과 평행하므로, 공기 흐름이 더욱 저해되지 않아, 더욱 공기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48)의 선단이 긴 변이므로, 서로 인접하는 핀(36)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각 핀(36)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2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페이서(48)에 리브(48d)를 형성하므로, 상기 스페이서(48)의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페이서(48)의 찌그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각 핀(36)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3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브(48d)가 상기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에서 상기 스페이서(48)에 걸쳐 형성되므로, 접힌 부분(48c)의 강도가 향상되어, 상기 스페이서(48)의 쓰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4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페이서(48)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본체(36a)에 대해, 선단부가 상기 스페이서(48)의 잘라 세움에 대응하는 상기 핀 본체(36a)의 개구(36d)로부터 어긋나므로, 선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본체(36a)의 개구(36d)에 삽입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상기 스페이서(48)가 각 핀(36)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확실하게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냉매 회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정면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열환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 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정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교환기 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를 잘라 세우기 전의 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를 잘라 세운 후의 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페이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는, 공기 조화기(10)의 실외 열교환기(23)를 구성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10)에 대해,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의 구성-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실외유닛(11) 및 실내유닛(12)을 구비한다. 상기 실외유닛(11)과 실내유닛(12)은, 액측 연결배관(13) 및 가스측 연결배관(14)을 통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유닛(11)과 실내유닛(12)과 액측 연결배관(13)과 가스측 연결배관(14)에 의해 냉매회로(20)가 형성된다.
상기 냉매회로(20)는, 압축기(21)와, 사방전환밸브(22)와, 실외 열교환기(23)와, 팽창밸브(24)와, 실내 열교환기(25)를 구비한다. 상기 압축기(21), 사방전환밸브(22), 실외 열교환기(23), 및 팽창밸브(24)는, 실외유닛(11)에 수용된다. 실외유닛(11)에는, 실외 열교환기(23)로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15)이 설치된다. 한편, 실내 열교환기(25)는, 실내유닛(12)에 수용된다. 실내유닛(12)에는, 실내 열교환기(25)로 실내공기를 공급하는 실내팬(16)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21)는, 그 토출측이 사방전환밸브(22)의 제 1 포트로, 그 흡입측이 사방전환밸브(22)의 제 2 포트로, 각각 접속된다. 또, 냉매회로(20)에서, 사방전환밸브(22)의 제 3 포트에서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실외 열교환기(23)와, 팽창밸브(24)와, 실내 열교환기(25)가 배치된다.
상기 압축기(21)는, 스크롤형 또는 로터리형의 전(全)밀폐형 압축기이다. 사방전환밸브(22)는, 제 1 포트가 제 3 포트와 연통하며 또한, 제 2 포트가 제 4 포트와 연통하는 제 1 상태(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제 1 포트가 제 4 포트와 연통하며 또한, 제 2 포트가 제 3 포트와 연통하는 제 2 상태(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한다. 팽창밸브(24)는, 이른바 전자 팽창밸브이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3)는, 실외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실외 열교환기(23)는,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실내 열교환기(25)는, 실내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실내 열교환기(25)는, 원관(圓管)인 전열관(傳熱管)을 구비한 이른바, 크로스 핀형의 핀(36) 앤 튜브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된다.
-냉방운전-
공기 조화기(10)는, 냉방운전을 행한다. 냉방운전 중에는, 사방전환밸브(2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또, 냉방운전 중에는, 실외팬(15) 및 실내팬(16)이 운전된다.
냉매회로(20)에서는, 냉동 사이클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사방전환밸브(22)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23)로 유입하여, 실외공기로 방열하고 응축된다. 실외 열교환기(23)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팽창밸브(24)를 통과할 시에 팽창하고 나서 실내 열교환기(25)로 유입하여, 실내공기로부터 흡열하고 증발된다. 실내 열교환기(25)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사방전환밸브(22)를 통과 후에 압축기(21)로 흡입되고 압축된다. 실내유닛(12)은, 실내 열교환기(25)에서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난방운전-
공기 조화기(10)는, 난방운전을 행한다. 난방운전 중에는, 사방전환밸브(2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또, 난방운전 중에는, 실외팬(15) 및 실내팬(16)이 운전된다.
냉매회로(20)에서는, 냉동 사이클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사방전환밸브(22)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25)로 유입하여, 실내공기로 방열하고 응축된다. 실내 열교환기(25)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팽창밸브(24)를 통과할 시에 팽창하고 나서 실외 열교환기(23)로 유입하여, 실외공기로부터 흡열하고 증발된다. 실외 열교환기(23)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사방전환밸브(22)를 통과 후에 압축기(21)로 흡입되고 압축된다. 실내유닛(12)은, 실내 열교환기(25)에서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서리 제거 동작-
상술한 바와 같이, 난방운전 중에는, 실외 열교환기(23)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외기기온가 낮은 운전조건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3) 냉매의 증발온도가 0?를 하회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실외공기 중의 수분이 서리가 되어 실외 열교환기(23)에 부착한다. 여기서, 공기 조화기(10)는, 예를 들어 난방운전의 지속시간이 소정값(예를 들어, 수십 분)에 도달할 때마다, 서리 제거 동작을 행한다.
서리 제거 동작을 개시할 시에는, 사방전환밸브(22)가 제 2 상태에서 제 1 상태로 전환하고, 실외팬(15) 및 실내팬(16)이 정지한다. 서리 제거 동작 중의 냉매회로(20)에서는,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고온의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23)로 공급된다. 실외 열교환기(23)에서는, 그 표면에 부착된 서리가 냉매에 의해 데워지고 융해된다. 실외 열교환기(23)에서 방열한 냉매는, 팽창밸브(24)와 실내 열교환기(25)를 차례로 통과하여, 그 후에 압축기(21)로 흡입되고 압축된다. 서리 제거 동작이 종료하면, 난방운전이 재개된다. 즉, 사방전환밸브(22)가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전환하고, 실외팬(15) 및 실내팬(16)의 운전이 재개된다.
-열교환기의 구성-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실외 열교환기(23)를 구성하는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30)에 대해, 도 2~도 8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열교환기(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하나의 제 1 헤더 집합관(31)과, 하나의 제 2 헤더 집합관(32)과, 다수의 편평관(33)과, 다수의 핀(36)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헤더 집합관(31), 제 2 헤더 집합관(32), 편평관(33) 및 핀(36)은, 모두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고, 서로 납땜(brazing)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상기 편평관(33) 및 핀(36)은, 폭방향이 공기 흐름을 따르는 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편평관(33)과 핀(36)은, 서로 직교하는 격자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 1 헤더 집합관(31) 및 제 2 헤더 집합관(32)은, 모두 세로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한쪽이 열교환기(30) 좌측단에, 다른 쪽이 열교환기(30) 우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편평관(33)은, 도 4에 나타내듯이, 편평한 단면(斷面)형상의 전열관이며, 각각의 평탄한 측면이 마주 보는 상태에서 상하로 나열되어 평행으로 배치된다. 각 편평관(33)에는, 복수의 유체통로(34)가 형성된다. 상하로 나열된 각 편평관(33)은, 일단(一端)부가 제 1 헤더 집합관(31)에 삽입되고, 타단(他端)부가 제 2 헤더 집합관(32)에 삽입된다.
상기 핀(36)은, 판형상의 핀(36)이고, 편평관(33)의 신장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핀(36)은, 편평관(33)의 신장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핀(36)은, 도 5에 나타내듯이,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된 세로로 긴 판형상의 핀이다. 그리고, 상기 핀(36)은, 판형상의 핀 본체(36a)와, 이 핀 본체(36a)에 편평관(33)을 장착하는 장착부(36b)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핀(36)에는, 핀(36)의 전연(38)으로부터 핀(36)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노치(notch)부(45)가, 편평관(33)에 대응하여 다수 형성된다. 이 다수의 노치부(45)는, 핀(36)의 길이방향(상하방향)에 일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노치부(45)는, 편평관(33)이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노치부(45)의 풍하 쪽 부분은, 편평관(33)의 관삽입부(46)에 구성된다. 관삽입부(46)는, 상하방향의 폭이 편평관(33)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등하고, 길이가 편평관(33)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형성된다.
상기 핀(36)의 관삽입부(46)의 연부(緣部)는, 상기 장착부(36b)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삽입부(36)의 연부는, 칼라가 형성되어 장착부(36b)가 구성된다. 상기 편평관(33)은, 관삽입부(46)에 끼워져 장착부(36b)에 접촉하고, 이 편평관(33)이 납땜에 의해 장착부(36b)에 접합되어 편평관(33)이 핀 본체(36a)에 장착된다.
또, 상기 핀 본체(36a)는, 편평관(33)이 삽입되는 삽입영역(40)과, 이 삽입영역(40)의 공기 흐름방향의 일단에 연속되며 또한, 상기 삽입영역(40)을 연결하는 연장영역(4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영역(40)이 공기의 풍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영역(41)이 삽입영역(40)의 풍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영역(40)은, 편평관(33)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영역(42)과, 이 중간영역(42)으로부터 연장영역(41)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돌출영역(4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영역(43)이 가장 공기의 풍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영역(42)이 돌출영역(43)의 풍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장영역(41)이 중간영역(42)의 풍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핀 본체(36a)의 삽입영역(40)과 연장영역(41)에는, 복수의 루버(50)가 형성된다. 상기 각 루버(50)는, 전열 촉진부를 구성하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삽입영역(40)과 연장영역(41)의 일부를 잘라 세움으로써 형성된다. 즉, 각 루버(50)는, 삽입영역(40)과 연장영역(41)에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여, 인접하는 슬릿 사이의 부분을 비틀도록 소성(塑性)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각 루버(50)는, 길이방향이 돌출영역(43)의 전연(38)과 실질적으로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각 루버(50)의 길이방향은, 상하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복수의 루버(50)는, 풍상측에서 풍하측을 향해 나열 형성된다.
상기 핀 본체(36a)의 연장영역(41)에는, 도수(導水)용 리브(71)가 형성된다. 이 도수용 리브(71)는, 연장영역(41)의 풍하측 단부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홈이며, 연장영역(41)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핀 본체(36a)에는, 서로 인접하는 핀(36)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48)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48)는, 도 4∼도 7에 나타내듯이, 핀 본체(36a)의 연장영역(41)과 삽입영역(40)의 돌출영역(43)에 형성된다.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관삽입부(46)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편평관(33)의 후방, 즉, 편평관(33) 풍하측에 1개씩 배치된다.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각 돌출영역(43)에 1개씩 배치되고, 가장 풍상측에 위치하는 루버(50)의 풍상측에서 돌출영역(43)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즉,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상기 편평관(33) 사이의 중심선이 지나는 중앙부 상에서, 상기 돌출영역(43)에 형성된다. 이 중앙부 상은, 편평관(33) 사이의 중심선 상 외에, 중심선으로부터 다소 어긋난 범위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48)는, 핀 본체(36a)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핀 본체(36a)의 일부를 잘라 세워 형성된다. 즉, 상기 핀 본체(36a)는, 삽입영역(40)과 연장영역(41)을 갖는 판형상의 본체부(36c)와, 이 본체부(36c)에 연속된 스페이서(4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48)는, 접힌 부분(48c)을 개재하고 상기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로부터 직각으로 기립한다. 한편, 상기 핀 본체(36a)에는, 상기 스페이서(48)의 잘라 세움에 대응한 개구(36d)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48)는, 도 8에 나타내듯이, 핀 본체(36a)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평판형의 스페이서 본체(48a)와, 이 스페이서 본체(48a)의 선단부에 원호(圓弧)형으로 만곡(灣曲)된 만곡부(48b)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48)는, 선단(先端), 즉, 만곡부(48b)의 단변(端邊)이 긴 변이 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48)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본체(36a)에 대해, 선단부가 상기 스페이서(48)의 잘라 세움에 대응하는 상기 핀 본체(36a)의 개구(36d)로부터 어긋나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48)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본체(36a)에 대해, 선단부가 개구(36d) 근방의 본체부(36c)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편평관(33)에 의해 사수역이 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폭이 거의 편평관(33)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그 평탄면이 공기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 폭방향과 높이 방향이 공기 흐름과 직교한다.
한편,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그 평탄면이 공기 흐름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공기저항이 작아지도록 스페이서(48)의 한쪽 측변에서 다른 쪽 측변을 향해 풍하측으로 경사진다. 즉,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 높이방향이 공기 흐름과 직교하고, 폭방향이 공기 흐름에 대해 경사진다.
또,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가 풍상측에서 풍하측으로 잘라 세워지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풍하측에서 풍상측으로 잘라 세워지며,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와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와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각 스페이서(4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영역(41)과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만곡부(48b)의 선단이 서로 인접하는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에 접촉하여 서로 인접하는 핀 본체(36a)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핀 본체(36a)의 일부를 절곡하여 스페이서(48)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48)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각 핀(36)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페이서(48)를 핀 본체(36a)의 삽입영역(40)과 연장영역(41)에 형성하도록 하므로, 핀(36) 전체에 걸쳐 각 핀(36)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편평관(33) 후방의 사수역에 위치하므로, 공기 흐름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 본체(48a)가 공기 흐름에 대해 경사지므로, 공기저항을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본체(36a)의 일부를 잘라 세워 스페이서(48)를 형성하므로, 별도 부재 등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스페이서(48)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가 풍상측에서 풍하측으로 잘라 세워지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풍하측에서 풍상측으로 잘라 세워지므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와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와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각 핀(33)의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가, 상기 편평관(33) 사이의 중심선이 지나는 중앙부 상에서 상기 돌출영역(43)에 형성되므로, 각 핀(33)의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48)의 선단이 긴 변이므로, 서로 인접하는 핀(36)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각 핀(36)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페이서(48)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본체(36a)에 대해, 선단부가 상기 스페이서(48)의 잘라 세움에 대응하는 상기 핀 본체(36a)의 개구(36d)로부터 어긋나므로, 선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본체(36a)의 개구(36d)에 삽입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상기 스페이서(48)가 각 핀(36)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확실하게 유지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제 1 실시형태에서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가 돌출영역(43)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 대신에,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를 돌출영역(43)의 단연(端緣)에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핀 본체(36a)의 돌출영역(43) 양측은, 노치부(45)에 의해 전연(38)으로부터 풍하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완경사(緩傾斜) 단연(43a)과, 이 완경사 단연(43a)에 연속되고, 공기 흐름과 평행한 평행단연(43b)와, 이 평행단연(43b)에 연속되며, 풍하측으로 급속히 경사지는 급경사 단연(43c)가 형성되고, 급경사 단연(43c)에 관삽입부(46)가 연속된다.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돌출영역(43) 양측의 평행단연(43b)으로부터 절곡 형성된다.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제 1 실시형태의 스페이서(48)와 마찬가지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페이서 본체(48a)와 만곡부(48b)를 구비하고, 스페이서 본체(48a)는, 돌출영역(43)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공기 흐름과 평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만곡부(48b)의 선단이 서로 인접하는 핀 본체(36a)의 돌출영역(43)의 연부(緣部)에 접촉하여 서로 인접하는 핀 본체(36a)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풍상측의 각 루버(50) 대신에, 핀 본체(36a)를 산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전열 촉진부인 팽출부(60)가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특히,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스페이서(48)가 공기 흐름과 평행한 돌출영역(43)의 평행단연(48b)에 형성되므로, 공기 흐름이 저해되지 않아, 공기저항을 한층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핀(36)을 형성할 시, 폐기하는 부위를 이용하여 스페이서(48)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효율 좋게 스페이서(48)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페이서 본체(48a)가 공기 흐름과 평행하므로, 공기 흐름이 한층 저해되지 않아, 한층 공기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 등 그 밖의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제 1 실시형태에서 연장영역(41) 스페이서(48)가 편평관(33)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 대신에,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를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 바로 후방에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편평관(33) 사이의 중심선이 지나는 중앙부 상에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와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 풍하측의 바로 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 상은, 편평관(33) 사이의 중심선 상 외에, 중심선으로부터 다소 어긋난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기 흐름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공기 흐름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가 풍상측에서 풍하측으로 잘라 세워지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풍하측에서 풍상측으로 잘라 세워진다.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와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와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각 스페이서(48)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핀 본체(36a)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풍상측의 각 루버(50) 대신에,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내듯이, 핀 본체(36a)를 산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전열 촉진부인 팽출(膨出)부(6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풍하측 각 루버(50) 중, 삽입영역(40)에 있어서 중간영역(42) 풍하측의 루버(50) 대신에, 전열 촉진부인 팽출부(60)가 형성된다.
또, 상기 핀 본체(36a)의 연장영역(41)에는,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전열 촉진부인 팽출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영역(41)의 팽출부(60)는, 편평관(33)의 후방에 형성되고, 편평관(33)을 따라 이 편평관(33)과 루버(50) 및 팽출부(60)와의 사이를 흐르는 공기가 연장영역(41)의 팽출부(60)에서 열교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연장영역(41)의 팽출부(60) 사이에 배치된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특히,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 풍하측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므로,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에 대한 공기 흐름의 영향이 적고, 공기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가 풍상측에서 풍하측으로 잘라 세워지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풍하측에서 풍상측으로 잘라 세워지므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와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와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각 핀(36)의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가, 상기 편평관(33) 사이의 중심선이 지나는 중앙부 상에서 상기 돌출영역(43)이 형성되므로, 각 핀(36)의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가, 연장영역(41)의 팽출부(60) 사이에 배치되므로, 편평관(33)의 측방을 흐르는 공기의 열교환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핀(36)의 간격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 밖의 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2∼도 14에 나타내듯이, 제 3 실시형태의 스페이서(48)에 리브(48d)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리브(48d)는, 상기 스페이서(48)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상의 볼록부에 형성되고, 1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48d)는, 스페이서 본체(48a)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48d)의 선단은, 스페이서 본체(48a)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한편, 상기 리브(48d)의 기단(基端)은, 스페이서 본체(48a)로부터 접힌 부분(48c)을 거쳐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로 연장된다. 즉, 상기 리브(48d)는, 접힌 부분(48c)에서 절곡되는 한편, 상기 리브(48d)는, 상기 스페이서(48)의 만곡부(48b)에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리브(48d)는, 상기 핀(36)의 두께가 얇아, 상기 스페이서(48)를 단지 핀 본체(36a)로부터 잘라 세우는 것만으로는 내력(耐力)이 낮아, 찌그러지기 쉬우므로, 상기 스페이서(48)의 돌출방향 강도(强度)를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브(48d)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상기 스페이서(48)를 핀 본체(36a)로부터 잘라 세우기 전의 상태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48d)는, 팽출부(60)의 돌출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 후, 상기 스페이서(48)는, 도 13에 나타내듯이, 핀 본체(36a)로부터 잘라 세워진다.
그리고, 상기 리브(48d)는,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와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의 쌍방에 형성된다. 또, 상기 리브(48d)는, 복수개 형성되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 리브(48d)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스페이서(48)에 형성되어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스페이서(48)에 리브(48d)를 형성하므로, 상기 스페이서(48)의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페이서(48)의 찌그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각 핀(36)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리브(48d)는, 상기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에서 상기 스페이서(48)에 걸쳐 형성되므로, 접힌 부분(48c)의 강도가 향상되어, 상기 스페이서(48)의 쓰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작용 및 효과는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5에 나타내듯이, 제 4 실시형태에서 스페이서(48)를 스페이서 본체(48a)와 만곡부(48b)에 의해 구성하는 것 대신에, L자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스페이서(48)는, 기단(基端)측의 제 1 편부(片部)(48e)와 선단(先端)측의 제 2 편부(48f)를 구비하고, 이 제 1 편부(48e)와 제 2 편부(48f)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편부(48e)는,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로부터 접힌 부분(48c)을 개재하여 개구(36d) 방향에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 2 편부(48f)는, 상기 제 1 편부(48e)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개구(36d)의 반대방향에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48)는, 상기 제 2 편부(48f)의 선단이 서로 인접하는 핀 본체(36a)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스페이서(48)에는,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리브(48d)가 형성된다. 이 리브(48d)는,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로부터 제 1 편부(48e)를 거쳐 제 2 편부(48f)의 선단 근방까지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스페이서(48)는,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와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에 적용되는 한편, 제 1∼제 3 실시형태의 스페이서(48)에 적용하여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스페이서(48)는, 리브(48d)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16에 나타내듯이, 제 3 실시형태의 핀 본체(36a)에 전열 촉진부인 수평리브(61, 62)를 형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핀(36)에는, 돌출영역(43)에서 중간영역(42)에 걸치는 2개의 수평리브(61, 62)가 형성된다. 이 수평리브(61, 62)는, 돌기로 구성되고, 팽출부(60)의 팽출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수평리브(61, 62)는, 핀(36) 돌출영역(43)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고, 핀(36)의 전연(38)에서 풍상측의 두번 째 팽출부(60)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2개의 수평리브(61, 62)는, 핀(36)의 돌출영역(43)의 돌출방향(공기의 통과방향)에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들 수평리브(61, 62)는, 핀(36)의 돌출영역(43)이 서로 인접하는 핀(36)측에 굴곡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리브를 구성한다. 또한, 이들 수평리브(61, 62)는, 중간영역(42)보다 풍상측에서, 핀(36)과 공기와의 전열을 촉진시키는 전열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핀(36)의 돌출영역(43)으로부터 중간영역(42)에 걸치는 수평리브(61, 62)를 형성하므로, 각 핀(36) 사이에 유입하기 전의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핀(36)의 중간영역(42) 표면에서의 서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서리의 성장에 기인하여 핀(36)의 열전달률이 저하하거나, 통풍로(40)의 유로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스페이서(48)는, 제 1 발명에서는, 핀 본체(36a)의 삽입영역(40) 및 연장영역(4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핀 본체(36a)의 삽입영역(40)에만, 또는 핀 본체(36a)의 연장영역(41)에만 형성하여도 된다.
또, 삽입영역(40) 및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 수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1개씩 교대로 편평관(33)에 대응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돌출영역(43)의 편측(片側)에만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스페이서(48)의 형성은, 예를 들어, 제 1 발명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와 상기 돌출영역(43)의 스페이서(48)는, 편평관(33) 사이의 중심선이 지나는 중앙부 상에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고, 편방(片方)의 편평관(3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장영역(41)의 팽출부(61)는,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루버(50)라도 된다.
또,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브(48d)는, 스페이서(48)에만 형성하고,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에는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평관과 핀을 구비한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대해 유용하다.
30 : 열교환기 33 : 편평관
36 : 핀 36a : 핀 본체
36b : 장착부 36c : 본체부
36d : 개구 40 : 삽입영역
41 : 연장영역 42 : 중간영역
43 : 돌출영역 43b : 평행단연
45 : 노치부 46 : 관삽입부
48 : 스페이서 48a : 스페이서 본체
48b : 만곡부 48c : 접힌 부분
48d : 리브

Claims (16)

  1. 평행으로 배치된 복수의 편평관(33)과,
    이 편평관(33)의 배열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편평관(33)이 직교방향으로 끼워지는 노치(notch)부(45)를 갖는 복수의 핀(36)을 구비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핀(36)은, 판형상의 핀 본체(36a)와, 상기 편평관(33)이 접촉하여 이 편평관(33)을 장착하는 장착부(36b)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핀 본체(36a)는, 판형상의 본체부(36c)와, 상기 핀 본체(36a)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36c)에 연속되며 또한, 상기 각 핀(36)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서(48)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36c)는, 편평관(33)이 삽입되는 삽입영역(40)과, 이 삽입영역(40)의 공기 흐름방향의 일단(一端)에 연속되며 또한, 상기 삽입영역(40)을 연결하는 연장영역(41)이 형성되고,
    상기 핀(36)은 공기가 상기 삽입영역(40)으로부터 상기 연장영역(41)을 향해 흐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영역(41)에는, 편평관(33)의 풍하측에 위치하고 복수인 전열 촉진부(6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스페이서(48)는, 핀 본체(36a)의 일부를 잘라 세워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48)는, 적어도 상기 연장영역(41)의 전열 촉진부(60) 사이에 배치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전열 촉진부(60)의 공기 흐름의 하류단보다 풍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48)는, 상기 삽입영역(40)과 연장영역(41)의 쌍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 풍하측의 바로 후방(後方)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공기 흐름에 대해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삭제
  7.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풍상측에서 풍하측으로 잘라 세워지고,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풍하측에서 풍상측으로 잘라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은, 편평관(33)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영역(42)과, 이 중간영역(42)으로부터 연장영역(41)과는 반대측의 풍상측으로 돌출하는 돌출영역(4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영역(40)의 스페이서(48)는, 상기 편평관(33) 사이의 중심선이 지나는 중앙부 상에서 상기 돌출영역(43)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 및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선단(先端)이 긴 변이 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2.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 및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에는, 이 스페이서(48)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48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리브(48d)는, 상기 핀 본체(36a)의 본체부(36c)로부터 상기 스페이서(48)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4.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영역(40) 및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본체(36a)에 대해, 선단부가 상기 스페이서(48)의 잘라 세움에 대응하여 상기 핀 본체(36a)에 형성된 개구(36d)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5.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열교환기(30)가 설치된 냉매회로(20)를 구비하고,
    상기 냉매회로(20)에서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 사이클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영역(41)의 스페이서(48)는, 공기 흐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37021959A 2011-01-21 2012-01-23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KR101451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1299 2011-01-21
JPJP-P-2011-011299 2011-01-21
PCT/JP2012/000383 WO2012098916A1 (ja) 2011-01-21 2012-01-23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500A KR20130127500A (ko) 2013-11-22
KR101451055B1 true KR101451055B1 (ko) 2014-10-16

Family

ID=4651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959A KR101451055B1 (ko) 2011-01-21 2012-01-23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284416A1 (ko)
EP (1) EP2667140B1 (ko)
JP (1) JP5177307B2 (ko)
KR (1) KR101451055B1 (ko)
CN (1) CN103403487B (ko)
AU (1) AU2012208122B2 (ko)
ES (1) ES2558783T3 (ko)
WO (1) WO2012098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5315S1 (en) * 2012-08-02 2016-12-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in-plate for heat exchanger
USD749201S1 (en) * 2012-08-02 2016-02-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in-plate for heat exchanger
JP5445876B2 (ja) * 2012-08-21 2014-03-19 日高精機株式会社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JP5522419B2 (ja) 2012-08-30 2014-06-18 日高精機株式会社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WO2015058452A1 (zh) * 2013-10-21 2015-04-3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换热器翅片及采用该换热器翅片的换热器
KR102089099B1 (ko) 2014-09-08 2020-03-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열교환기
JP6036788B2 (ja) * 2014-10-27 2016-11-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JP6413760B2 (ja) * 2014-12-25 2018-10-3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器ユニット
JP6289729B2 (ja) 2015-03-02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ィンアンドチューブ型熱交換器及びこ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6641721B2 (ja) * 2015-04-27 2020-02-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6415721B2 (ja) * 2015-07-07 2018-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FR3038976B1 (fr) * 2015-07-17 2019-08-09 Valeo Systemes Thermiques Echangeur de chaleur a ailettes comprenant des persiennes ameliorees
CN205352165U (zh) 2015-12-16 2016-06-29 杭州三花微通道换热器有限公司 换热器芯体和具有它的换热器
JP6233540B2 (ja) 2016-04-20 2017-11-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空調機
CN106288911B (zh) * 2016-09-07 2018-08-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翅片及包括该翅片的散热器
JP6332377B2 (ja) * 2016-09-23 2018-05-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KR101888302B1 (ko) * 2017-04-07 2018-08-1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확장 핀 칼라와 비대칭 핀 칼라를 구비한 수평형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 및 그 장치의 제조 방법
AU2018427606B2 (en) 2018-06-13 2022-06-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7004814B2 (ja) 2018-06-13 2022-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09186304A (zh) * 2018-09-30 2019-01-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翅片及具有其的热交换器
KR20210001150A (ko) * 2019-06-27 202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482A (ja) * 1991-08-29 1993-03-09 Showa Alum Corp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0771890A (ja) * 1993-09-03 1995-03-17 Oak Japan:Kk 熱交換器
JPH09324995A (ja) * 1996-06-05 1997-12-16 Toshiba Corp 熱交換器
JPH109787A (ja) * 1996-04-25 1998-01-16 Denso Corp プレートフィン型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4278A (en) * 1929-11-27 1932-04-19 Carrier Construction Company I Heat exchange device
US3309763A (en) * 1962-12-20 1967-03-21 Borg Warner Method for making a heat exchanger
FR1480185A (fr) * 1966-03-09 1967-05-12 Chausson Usines Sa Radiateur de chauffage pour véhicule
HU181538B (en) * 1980-03-11 1983-10-28 Energiagazdalkodasi Intezet Turbulent heat exchanger
JPH02100074U (ko) * 1988-09-09 1990-08-09
JPH0650688A (ja) * 1992-07-29 1994-02-25 Toshiba Corp 熱交換器
US5975200A (en) * 1997-04-23 1999-11-02 Denso Corporation Plate-fin type heat exchanger
JP3417310B2 (ja) * 1998-08-31 2003-06-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レートフィン型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FR2832789B1 (fr) * 2001-11-27 2004-07-09 Valeo Thermique Moteur Sa Ailette de module d'echange de chaleur,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US7021370B2 (en) * 2003-07-24 2006-04-04 Delphi Technologies, Inc. Fin-and-tube type heat exchanger
FR2872891A1 (fr) * 2004-07-12 2006-01-13 Valeo Thermique Moteur Sas Ailette de dispositif d'echange de chaleur a persiennes et lanieres
JP4845943B2 (ja) 2008-08-26 2011-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482A (ja) * 1991-08-29 1993-03-09 Showa Alum Corp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0771890A (ja) * 1993-09-03 1995-03-17 Oak Japan:Kk 熱交換器
JPH109787A (ja) * 1996-04-25 1998-01-16 Denso Corp プレートフィン型熱交換器
JPH09324995A (ja) * 1996-06-05 1997-12-16 Toshiba Corp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03487A (zh) 2013-11-20
JP2012163318A (ja) 2012-08-30
EP2667140A1 (en) 2013-11-27
ES2558783T3 (es) 2016-02-08
WO2012098916A1 (ja) 2012-07-26
US20130284416A1 (en) 2013-10-31
AU2012208122A1 (en) 2012-07-26
EP2667140B1 (en) 2015-10-28
JP5177307B2 (ja) 2013-04-03
AU2012208122B2 (en) 2015-05-28
KR20130127500A (ko) 2013-11-22
CN103403487B (zh) 2015-11-25
EP2667140A4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055B1 (ko)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KR101521371B1 (ko)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KR101451056B1 (ko)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JP5177306B2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EP3279598B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WO2018078800A1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5031490A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WO2012098913A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JP5569409B2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5031491A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WO2012098915A1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5573698B2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CN218270316U (zh) 插片式微通道换热器及空调器
WO2021245734A1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