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811B1 -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811B1
KR101449811B1 KR1020120133277A KR20120133277A KR101449811B1 KR 101449811 B1 KR101449811 B1 KR 101449811B1 KR 1020120133277 A KR1020120133277 A KR 1020120133277A KR 20120133277 A KR20120133277 A KR 20120133277A KR 101449811 B1 KR101449811 B1 KR 101449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electrode active
transition metal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051A (ko
Inventor
조윤주
심재하
이미선
이성훈
문종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8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5/00Compounds of manganese
    • C01G45/12Manganates manganites or permanganates
    • C01G45/1221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 C01G45/125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of the type[MnO3]n-, e.g. Li2MnO3, Li2[MxMn1-xO3], (La,Sr)MnO3
    • C01G45/1257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of the type[MnO3]n-, e.g. Li2MnO3, Li2[MxMn1-xO3], (La,Sr)MnO3 containing lithium, e.g. Li2MnO3, Li2[MxMn1-xO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Haloge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층상구조의 Li2MnO3를 포함하고, 플루오르 화합물이 도핑되고, 1차 입자가 구형이며, 상기 1차 입자가 모여 이루어지는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2 ~ 5 ㎛ 범위 내에 있는 양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Cathode active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을 과량으로 함유하는 층상구조의 Li2MnO3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에 플루오르 화합물을 도핑하고, 구형의 1차 입자가 모여 이루어지는 2차 입자의 평균 크기를 2 ~ 5 ㎛ 범위 내로 제한하는, 고용량 장수명의 리튬 이차 전지에 사용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점차 IT 기술이 발달하면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배터리 용량과 수명 또한 함께 발달하고 있으나, 이는 기존 소재인 LCO를 기반으로 한 셀 설계의 발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셀 설계를 기반으로 발전해 온 고용량 배터리도 최근의 스마트 기기와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하기에는 용량 한계에 도달하여, 새로운 리튬 이차 전지 소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차 전지의 용량은 양극 활물질에 의존하는 바가 크며, 이에 최근 리튬을 과량으로 함유한 층상 구조의 Li2MnO3를 함유한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Li2MnO3는 Li을 기존 소재 대비 2배 가량 포함하고 있어도 1회 충전으로 상이 변화되고 산소가 발생하여 방전용량이 현격히 낮아지며, Mn의 산화수가 +4로 전체적으로 매우 안정한 화합물로 기존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대비 4.4 V 이상의 고전압에서만 Li이 탈리되어 음극으로 이동하고, 전기 음성도도 매우 낮아 빠른 충방전시에는 용량 발현이 어려운 소재로 단독으로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아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Li2MnO3를 함유한 양극 활물질은 초기 충전 시 Li이 탈리되면서 아래 식과 같은 비가역 반응이 진행되며, 이로 인해 초기 충전에서 탈리되어 음극으로 이동된 Li이 방전시 다시 양극으로 돌아오지 못해 실제 충방전시에는 용량이 낮아지는 문제점과 산소가 발생하여 전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 한다.
Li2MnO3 → 2Li+ + MnO2 + 1/2O2 → LiMnO2 + Li+ + 1/2O2
이에 따라 Li2MnO3를 일정량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 또한 Li2MnO3 함량이 증가할 수록 전기 음성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서는 저렴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Li2MnO3에서 산소 원소를 -1가 작용하는 원소로 일부 치환하여 화학식 Li2MnO3-xAx (여기서, A는 -1 가의 산화수를 갖는 원소로서, 불소와 염소 등의 할로겐 원소 또는 전이금속 원소이고, 0 < x < 1 이다)로 표시되는 리튬 망간 산화물이 양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어 있는 양극 활물질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리튬 망간 산화물은, 예를 들어, 리튬 공급원으로서의 '리튬 화합물', 망간 공급원으로서의 '망간 화합물', 및 도핑 원소 공급원으로서의 'A 함유 금속 화합물'을 소정의 함량 범위로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리튬 화합물, 망간 화합물, A 함유 금속 화합물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와 같이 개시하고 있을 뿐, 이와 같은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그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입자 크기, 비표면적 등 기본적인 특성 조건에 대하여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편, 전기 음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 소재를 이용하여 양극 활물질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 또한 비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밀도가 낮은 카본 소재가 표면에 코팅되어 있으므로 부피당 용량이나 에너지 밀도는 오히려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KR 10-2009-0006897 A
Li2MnO3를 일정량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에서, Li2MnO3 함량이 증가할 수록 전기 음성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 소재를 이용하여 표면을 코팅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 양극 활물질 분말 자체의 전기 음성도를 측정하면 전기 음성도는 개선된 것으로 측정되나 실제 전지 특성에서 용량과 율 특성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이는 실제 전지 특성은 전기 음성도 뿐만 아니라 양극 활물질 내부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하는 속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즉, 양극 활물질 내부의 리튬 이온이 탈리되어 전해액을 통해 음극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분말의 전기 음성도 뿐만 아니라 이온 전도도 또한 개선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층상구조의 Li2MnO3를 함유한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 길이를 줄여 주기 위해 구형의 1차 입자가 모여서 이루어지는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를 5 ㎛ 이하로 제한하고, 또한, 탈리된 리튬 이온이 전해액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양극 활물질의 비표면적이 3m2/g 이상이 되도록 한, 고용량 리튬 이차 전지에서 사용될 수 있는 리튬 과량의 양극 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층상구조의 Li2MnO3를 함유한 양극 활물질이 비가역 반응에 따라 실제 충방전시 용량이 낮아지는 문제점과 산소가 발생하여 전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층상구조의 Li2MnO3를 함유한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에 플루오르 화합물을 도핑함으로써 결정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수명 및 고율 특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층상구조의 Li2MnO3를 포함하고; 플루오르 화합물이 도핑되고; 1차 입자가 구형이며, 대형 상기 1차 입자가 모여 이루어지는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2 ~ 5 ㎛ 범위 내에 있는; 양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1차 입자는 구형에서 구형과 구형의 입자가 합성 과정에서 막대형으로 성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입자의 치밀도가 커져서 3m2/g 이상의 비표면적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1차 입자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2㎛ 이하인 경우에는 비표면적은 크게 확보할 수 있으나, 양극 표면과 전해액과의 부반응이 많아져 수명 특성이 열화되는 특성을 나타내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양극 활물질 분말의 전기 음성도 뿐만 아니라, 이온 전도도의 개선을 위하여, 구형의 1차 입자가 모여 이루어지는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5 ㎛ 이하로 한정되며, 이는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 길이를 줄여 주기 위함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양극 활물질을 구성하는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은 층상구조의 Li2MnO3를 포함하는 리튬 과량의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LiaNibCocMndO2-xFx (여기서, 1.1 ≤ a < 1.3, 0 < b ≤ 0.5, 0 ≤ c < 0.5, 0.1 < d < 0.7, 0 < x < 0.15) 로 표시되는 리튬 과량의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일 수 있고, 능면정(rhombohedral) LiMO2(여기서 M은 Ni, Co 및 Mn)와, 단사정 Li2MnO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비표면적이 3m2/g 이상, 바람직하게는, 3m2/g 이상 10m2/g 이하일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이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용량과 율 특성 측면에서는 비표면적이 증가할 수록 유리하지만, 비표면적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수명 특성이 낮아져 실제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양극 활물질 분말 표면에는 전해액과의 부반응으로 인해 저항으로 작용하는 피막이 형성되어 충방전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용량 저하가 발생하게 되는데, 비표면적이 10m2/g보다 큰 경우에는 이러한 경향이 가속화되어 안정적인 전지 사용이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상기 플루오르 화합물은 LiF 또는 NH4F이고, Li 당량의 1 ~ 10 mol% 도핑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르 화합물의 첨가량이 1 mol% 이하인 경우, 플루오르 화합물의 첨가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10 mol% 이상인 경우, 전지 특성이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플루오르 화합물을 첨가하면, 위 화학식 LiaNibCocMndO2-xFx (여기서, 1.1 ≤ a < 1.3, 0 < b ≤ 0.5, 0 ≤ c < 0.5, 0.1 < d < 0.7, 0 < x < 0.15) 처럼 플루오르가 산소를 치환한다.
산소 만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Li이 +1가, Ni의 산화수는 +2, Co의 산화수는 +3, Mn의 산화수는 +4를 이루고 있다. 리튬이 탈리되는 방전시에는 Li이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리튬 금속 산화물의 평균 전하를 맞추기 위해 Ni은 +2가에서 +4가로, Co는 +3가에서 +4가로 산화수 변경이 일어나지만, Mn은 +4가로 안정화된 상태로서 산화수가 변경되지 않는다. 하지만 4.4 V 이상에서는 Mn 주변의 전이금속층 내에 있었던 Li이 탈리되면서 Mn 주변의 산소가 전자를 잃고 중성 산소가 되어 가스로 배출된다. 이때 산소 대신 플루오르 화합물을 도핑하면, Mn의 산화수가 +4에서 +4이상으로 산화되면서 4.4 V 이상의 전압에서 산소의 산화수 변경을 억제하여 산소 발생량을 감소시키고, 플루오르의 원자 반경이 산소 대비 작아 전이금속 복합산화물의 결정 격자간에 간격이 증가하여 Li의 탈 삽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LiF, NH4F, ZrF4, AlF4 등의 플루오르 화합물을 양극 활물질의 표면에 코팅하는 경우에는 전해액과 양극 활물질의 부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로 본 발명과 같이 산소를 치환함으로써 Mn의 산화수 변화를 통한 용량 증가 현상 및 산소 발생 억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층상구조의 Li2MnO3를 포함하고, 1차 입자가 구형이며, 상기 1차 입자가 모여 이루어지는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2 ~ 5 ㎛ 범위 내에 있는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으로, 전이금속 화합물 전구체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전구체와 리튬 공급원 및 플루오르 화합물을 혼합한 후 600 ~ 800 ℃로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위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은 화학식 LiaNibCocMndO2-xFx (여기서, 1.1 ≤ a < 1.3, 0 < b ≤ 0.5, 0 ≤ c < 0.5, 0.1 < d < 0.7, 0 < x < 0.15) 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의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은 수산화물 형태인 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를 합성한 후, 합성된 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리튬 공급원으로서 Li2CO3 또는 LiOH, 및 플루오르 화합물인 LiF 또는 NH4F를 혼합한 후 600 ℃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전이금속 수산화물 형태의 전구체 합성을 위해서는, 물에 용해되는 염의 형태로, 니켈 황산염, 니켈 질산염, 니켈 탄산염들 중 1종과; 코발트 황산염, 코발트 질산염, 코발트 탄산염들 중 1종과; 망간 황산염, 망간 질산염, 망간 탄산염들 중 1 종을 일정 몰농도로 녹여서 수용액을 제조한 후, NaOH, NH4OH, KOH 등의 염기를 이용하여 pH 10 이상에서 수산화물의 형태로 침전시킨다.
이때, pH가 10보다 낮은 경우에는 입자의 핵생성 속도보다 입자 응집속도가 더 커서 입자의 크기가 3 ㎛ 이상 성장하게 되고, pH가 12보다 높은 경우에는 입자의 핵생성 속도가 입자 응집속도보다 커서 입자의 응집이 되지 않아 Ni, Co, Mn의 각 성분이 균질하게 혼합된 전이금속 수산화물을 얻기 어려우므로,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전구체는 pH 10 ~ 12 범위 내에서 합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침전된 분말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SO4 2-, NH4 +, NO3 -, Na+, K+ 등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수 차례 세정하여 고순도의 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를 합성한다. 이렇게 합성된 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를 150 ℃의 오븐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하여 수분 함유량이 0.1 wt%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전구체는 화학식 NiaCobMnc(OH)2 (0.1 ≤ a < 0.5, 0 ≤ b < 0.7, 0.2 ≤ c < 0.9, a + b + c = 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수산화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가 완료된 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와, 리튬 공급원 Li2CO3 또는 LiOH와, 플루오르 화합물 LiF 또는 NH4F 등을 균질하게 혼합한 후 열처리하면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600 ℃ 이하의 온도에서는 Li2CO3와 전이금속 수산화물 간의 고용이 되지 않으므로 XRD로 확인한 결과 이차상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800 ℃ 이상에서는 입자 사이즈가 5 ㎛ 이상, 또한 비표면적이 2m2/g 이하가 되어 전지 특성이 감소하므로, 열처리는 600 ~ 800 ℃ 범위 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루오르 화합물은 LiF 또는 NH4F이고, Li 당량의 1 ~ 10 mol% 도핑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르 화합물의 첨가량이 1 mol% 이하인 경우, 플루오르 화합물의 첨가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10 mol% 이상인 경우, 전지 특성이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튬 과량 층상구조 복합산화물 양극 활물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는 용량이 크고 가스 발생이 적어 수명 특성 및 고율 특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이차 전지의 열적 안정성도 높일 수 있다.
<양극 활물질>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은 층상구조의 Li2MnO3를 포함하고; 플루오르 화합물이 도핑되고; 1차 입자가 구형이며, 상기 1차 입자가 모여 이루어지는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2 ~ 5 ㎛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을 구성하는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은 층상구조의 Li2MnO3를 포함하는 리튬 과량의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LiaNibCocMndO2-xFx (여기서, 1.1 ≤ a < 1.3, 0 < b ≤ 0.5, 0 ≤ c < 0.5, 0.1 < d < 0.7, 0 < x < 0.15) 로 표시되는 리튬 과량의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이고, 능면정 LiMO2(여기서 M은 Ni, Co 및 Mn)와, 단사정 Li2MnO3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의 비표면적은 3m2/g 이상, 바람직하게는, 3m2/g 이상 10m2/g 이하이다.
상기 플루오르 화합물은 LiF 또는 NH4F이고, Li 당량의 1 ~ 10 mol% 가 혼합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층상구조의 Li2MnO3를 포함하고, 1차 입자가 구형이며, 상기 1차 입자가 모여 이루어지는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2 ~ 5 ㎛ 범위 내에 있는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으로, 전이금속 화합물 전구체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전구체와 리튬 공급원 및 플루오르 화합물을 혼합한 후 600 ~ 800 ℃로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화학식 LiaNibCocMndO2-xFx (여기서, 1.1 ≤ a < 1.3, 0 < b ≤ 0.5, 0 ≤ c < 0.5, 0.1 < d < 0.7, 0 < x < 0.15) 로 표시되고, 이와 같은 조성의 양극 활물질은 수산화물 형태인 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를 합성한 후, 리튬 공급원으로서 Li2CO3 또는 LiOH와, 플루오르 화합물인 LiF 또는 NH4F를 혼합한 후 600 ℃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으로 제조한다.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전구체는 pH 10 ~ 12 범위 내에서 합성되고, 화학식 NiaCobMnc(OH)2 (0.1 ≤ a < 0.5, 0 ≤ b < 0.7, 0.2 ≤ c < 0.9, a + b + c = 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수산화물 형태이다.
건조가 완료된 전이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리튬 공급원 Li2CO3 또는 LiOH, Li 당량의 1 ~ 10 mol%의 플루오르 화합물 LiF 또는 NH4F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600 ~ 800 ℃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하여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을 제조한다.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고, 양극 활물질 조성 및 결정 구조 등을 제외하고는 공지의 이차 전지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공지의 동일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①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합성
Ni : Co : Mn 의 몰비를 2 : 2 : 6의 조성이 되도록 전이 금속 혼합 용액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전이 금속 혼합 용액은 pH가 5로, pH 11로 제어되는 연속 반응기에 일정 속도로 주입한다. 이때 NH4OH와 NaOH를 이용하여 pH가 11이 되도록 유지하며, 연속 반응기 내부에서 10시간 가량 머무를 수 있도록 반응 시간을 제어한다. 이때 반응기 온도는 40 ℃로 조절하고, 전이 금속 수산화물 침전물이 산화되지 않도록 N2 가스를 반응기 내로 주입한다. 이렇게 합성된 전이 금속 수산화물 분말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수용성 이온들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세정하고, 필터 종이를 이용하여 분말을 거른 후, 150 ℃ 오븐에서 건조하여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를 얻었다.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의 조성은 화학식 NiaCobMnc(OH)2 (0.1 ≤ a <0.5, 0 ≤ b < 0.7, 0.2 ≤ c < 0.9, a + b + c = 1)로 나타낼 수 있다.
②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양극 활물질) 합성
상기 ①에서 합성한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100g과, Li2CO3 56g, LiF 1.7g을 혼합한 후, 600 ℃에서 10시간 소성하여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을 얻었다.
③ 전지특성 평가
초기 충전과 방전 용량 및 수명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②에서 합성된 양극 활물질과, 도전재인 Denka Black, 바인더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를 92 : 4 : 4 비율로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알루미늄 (Al) 호일 위에 균일하게 코팅하여 양극 전극 극판을 제작하였다.
음극으로는, 리튬 메탈, 전해질로는, 1.3M LiPF6 EC /DMC / EC = 5 : 3 : 2 용액을 사용하여 코인 셀을 제작하였고,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 D50 : Malvern사의 Mastersizer 2000을 이용한 입자 사이즈 측정
* 비표면적 : Macsorb HM Model 1208 BET 측정기를 이용한 비표면적 측정
* 전지 용량 : 0.2C로 충방전 실시, 3 V ~ 4.6 V
* 고율 특성 : (3C에서의 방전 용량 / 0.33C에서의 방전 용량) * 100, 2.5 V ~ 4.7 V
* 수명 특성 : (50회 충방전 후 방전용량 / 초기 방전용량) * 100 , 1C로 충방전 실시, 2.5 V ~ 4.6 V
실시예 1과 동일한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100g과, Li2CO3 56g, LiF 1.7g을 혼합한 후, 700 ℃에서 10시간 소성하여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을 얻었고,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100g과, Li2CO3 56g, LiF 1.7g을 혼합한 후, 800 ℃에서 10시간 소성하여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을 얻었고,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100g과, Li2CO3 56.9g, LiF 0.2g을 혼합한 후, 700 ℃에서 10시간 소성하여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을 얻었고 (임계 하한 LiF 1몰),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100g과, Li2CO3 51.4g, LiF 4.0g을 혼합한 후, 700 ℃에서 10시간 소성하여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을 얻었고 (임계 상한 LiF 10몰),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100g과, Li2CO3 56.3g, NH4F 2.4g을 혼합한 후, 700 ℃에서 10시간 소성하여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을 얻었고 (NH4F 4몰),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100g과, Li2CO3 56.3g을 혼합한 후, 700 ℃에서 10시간 소성하여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을 얻었고,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100g과, Li2CO3 56g, LiF 1.7g을 혼합한 후, 550 ℃에서 5시간 소성하여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을 얻었고,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100g과, Li2CO3 56g, LiF 1.7g을 혼합한 후, 850 ℃에서 5시간 소성하여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을 얻었고,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전이 금속 수산화물 전구체 100g과, Li2CO3 56.3g을 혼합한 후, 700 ℃에서 10시간 소성하여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을 얻었고, 이후 LiF 4.0g을 소성이 완료된 리튬 금속 복합산화물 분말에 고르게 코팅하고, 코팅 분말이 잘 부착되도록 400 ℃에서 열처리를 해주었고,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D50
(um)
비표면적
(m2/g)
전지용량
(mAh/g)
고율 특성
3C
수명특성
1C, 50회
실시예1 3.0 4.8 243 80 88
실시예2 3.4 4.5 245 85 95
실시예3 4.5 3.6 235 83 95
실시예4 3.1 5.3 235 81 90
실시예5 3.8 4.1 235 82 93
실시예6 4.1 3.2 247 85 92
비교예1 2.9 5.3 232 68 47
비교예2 3.2 10.5 231 63 56
비교예3 5.9 1.2 186 75 85
비교예4 3.5 4.8 224 55 82

위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유사한 입자 크기 (D50) 및 비표면적을 갖지만 플루오르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할 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경우 전지 용량, 고율 특성, 수명 특성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표면적 및 입자 크기 조건이 본 발명에 따른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2 및 비교예 3과 비교할 경우에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은 전지 용량, 고율 특성, 수명 특성 모두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플루오르 화합물이 도핑되지 않고, 표면에 사후 코팅된 비교예 4의 경우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층상구조의 Li2MnO3를 포함하고,
    플루오르 화합물이 도핑되고,
    1차 입자가 구형이며, 상기 1차 입자가 모여 이루어지는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2 ~ 5 ㎛ 범위 내에 있고,
    비표면적이 3 m2/g 이상이고 10 m2/g 이하인 양극 활물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화학식 LiaNibCocMndO2-xFx (여기서, 1.1 ≤ a < 1.3, 0 < b ≤ 0.5, 0 ≤ c < 0.5, 0.1 < d < 0.7, 0 < x < 0.15) 로 표시되는 리튬 과량의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인 양극 활물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능면정 LiMO2(여기서 M은 Ni, Co 및 Mn)와, 단사정 Li2MnO3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 화합물은 LiF 또는 NH4F인 양극 활물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 화합물은 Li 당량의 1 ~ 10 mol% 도핑된 양극 활물질.
  8. 층상구조의 Li2MnO3를 포함하고, 1차 입자가 구형이며, 상기 1차 입자가 모여 이루어지는 2차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2 ~ 5 ㎛ 범위 내에 있고, 비표면적이 3 m2/g 이상이고 10 m2/g 이하인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으로,
    전이금속 화합물 전구체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전구체와 리튬 공급원 및 플루오르 화합물을 혼합한 후 600 ~ 800 ℃로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 화합물은 LiF 또는 NH4F인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르 화합물은 Li 당량의 1 ~ 10 mol% 도핑된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화학식 LiaNibCocMndO2-xFx (여기서, 1.1 ≤ a < 1.3, 0 < b ≤ 0.5, 0 ≤ c < 0.5, 0.1 < d < 0.7, 0 < x < 0.15) 로 표시되는 리튬 과량의 리튬 금속 복합화합물인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 전구체는 pH 10 ~ 12 범위 내에서 합성되는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15.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존재하는 전해질;
    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120133277A 2012-11-22 2012-11-22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449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277A KR101449811B1 (ko) 2012-11-22 2012-11-22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277A KR101449811B1 (ko) 2012-11-22 2012-11-22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051A KR20140066051A (ko) 2014-05-30
KR101449811B1 true KR101449811B1 (ko) 2014-10-13

Family

ID=5089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277A KR101449811B1 (ko) 2012-11-22 2012-11-22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5691B4 (de) * 2015-09-17 2020-10-01 Zentrum für Sonnenenergie- und Wasserstoff-Forschung Baden-Württemberg Gemeinnützige Stiftung Lithium-Nickel-Mangan-basierte Übergangsmetalloxidpartikel,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als Elektrodenmaterial
US10727532B2 (en) * 2015-12-15 2020-07-28 Gs Yuasa International Ltd.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precursor of positive active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positive activ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11740103A (zh) * 2020-06-30 2020-10-02 高点(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掺杂锰酸锂及其制备方法、应用
CN113193187A (zh) * 2021-04-27 2021-07-30 安徽锂桥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容量锰酸锂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145A (ko) * 2008-10-15 2010-04-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145A (ko) * 2008-10-15 2010-04-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Power Sources 146, 2005, pp654-657 (2005.05.25.) *
PBFC-2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lymer Batteries and Fuel Cells, Abstract#57, (2005.06.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051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885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74618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400593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1121168A1 (zh) 四元正极材料、正极、电池
JP6433438B2 (ja) ナトリウムイオン電池用のドープされたナトリウム酸化マンガンカソード材料
KR101989633B1 (ko) Li-Ni 복합 산화물 입자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KR102210892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70102293A (ko) 리튬 이온 배터리용 분급 구조를 갖는 다성분 재료, 이의 제조 방법, 리튬 이온 배터리 및 리튬 이온 배터리의 양극
KR20140066052A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5737513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粒子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7408794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40119621A (ko)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제조용 전구체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WO2015001957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2082516B1 (ko) 나트륨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나트륨 이차 전지
KR20140148269A (ko)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WO2019124943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리튬 이차전지
KR102152370B1 (ko)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439638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Zhang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ono-dispersion LiNi0. 8Co0. 1Mn0. 1O2 micrometer particles for lithium-ion batteries
KR20130058342A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전구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035693A (ja) 遷移金属複合水酸化物、遷移金属複合水酸化物の製造方法、リチウム遷移金属複合酸化物活物質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449811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66053A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161288B1 (ko)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152882B1 (ko)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