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790B1 - 전자 사진 감광 부재, 그의 제조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 감광 부재, 그의 제조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790B1
KR101449790B1 KR1020110110423A KR20110110423A KR101449790B1 KR 101449790 B1 KR101449790 B1 KR 101449790B1 KR 1020110110423 A KR1020110110423 A KR 1020110110423A KR 20110110423 A KR20110110423 A KR 20110110423A KR 101449790 B1 KR101449790 B1 KR 101449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member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layer
formula
charg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794A (ko
Inventor
와따루 기따무라
겐이찌 가꾸
마이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09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03Inert supplements
    • G03G5/051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G03G5/0517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mprising one or more cyclic groups consisting of carbon-ato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58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 C07C49/703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 C07C49/747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a keto groups being part of a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8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 G03G5/0532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ed bonds
    • G03G5/0542Polyvinylalcohol, polyallylalcoh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vinylesters, polyvinylethers, polyvinylam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96Phthalocyan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전하 발생층은 전하 발생 물질, 폴리비닐 아세탈 및 플루오레논 유도체를 함유한다.

Description

전자 사진 감광 부재, 그의 제조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사진 장치에 사용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로서, 전하 발생 물질을 함유하는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 물질을 함유하는 전하 수송층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유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전위 특성(대전성 및 감도)은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에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에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재료의 구조 및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전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의 전자 사진 장치의 프로세싱 속도의 고속화에 수반하여, 대전성 및 감도의 증가 등의 전위 특성의 향상 이외에도, 반복 사용 후의 전위 변동(대전성 및 감도의 변화)을 추가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1) 및 (2)의 관점에서의 전위 변동(대전성 및 감도의 변화)을 추가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1)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초기 사용으로부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수명 종료까지의 장기 반복 사용; 및
(2) 비교적 단기 반복 사용(예를 들어, 최초 화상 출력으로부터 연속 출력 약 1000매 완료까지).
상기 (1)의 관점에서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구성에 따라 전위 변동이 증가될 수 있다(전위 특성이 유의하게 열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장기 반복 사용 후에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방치하더라도, 전위 특성은 원래 수준으로 복귀되지 않으며, 이는 회복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2)의 관점에서 전위 변동이 큰 경우, 예를 들어 1매째의 출력 용지에 형성된 화상의 색과 1000매째의 출력 용지에 형성된 화상의 색이 상이해질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기 전위 변동에서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방치함으로써, 전위 특성은 비교적 단시간 내에 원래 수준으로 쉽게 복귀된다.
(2)에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방치하는 경우에도 단시간 내에 회복되지 않는 전위 변동이 축적됨으로써 (1)의 전위 변동이 발생한다고 여겨진다.
상기 (1) 및 (2)의 전위 변동을 억제하여, 항상 안정하게 화상을 출력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상기 (2)의 전위 변동이 문제가 되며, 색의 변화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작을 필요가 있다.
즉,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사용 개시에서의 상기 (2)의 전위 변동이 억제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장기 반복 사용 후의 상기 (2)의 전위 변동이 억제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2-97961호에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전하 발생층에 특정한 플루오레논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전위 변동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2-97961호는 상기 (2)의 전위 변동에 대해서는 주목하고 있지 않다.
확실히,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2-97961호에 개시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사용 개시에서는 단시간 사용한 경우의 (2)의 전위 변동이 작았다. 그러나,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장기 반복 사용(상기 (1)) 후의 단기 전위 변동(상기 (2))을 측정한 경우, 전위 변동은 초기에 측정한 전위 변동에 비해 증가되었다.
장기 반복 사용 후의 전위 변동의 정도와 무관하게, 장기 반복 사용 후의 단기 전위 변동은 초기에 측정한 단기 전위 변동에 비해 증가되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2-97961호에 개시된 플루오레논 화합물은, 결착 수지로서 폴리비닐 아세탈을 함유하는 전하 발생층에 사용한 경우, 출력 화상에 스폿 형상 화상 결함이 발생하기 쉬웠다. 이 현상은 또한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을 고온 환경에 저장했을 때에 현저하게 일어났다.
본 발명의 양상은, 스폿 형상 화상 결함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장기 반복 사용 후에도 단기 전위 변동이 억제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상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하 발생층은 전하 발생 물질, 폴리비닐 아세탈, 및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11084328179-pat00001
화학식 1에서,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고, n은 1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을 갖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제조 방법이며, 전하 발생 물질, 폴리비닐 아세탈, 및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갖는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으로 상기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대전 유닛, 현상 유닛, 전사 유닛 및 클리닝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포함하고, 전자 사진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실장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일체로 지지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자 사진 장치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대전 유닛, 노광 유닛, 현상 유닛 및 전사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스폿 형상 화상 결함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장기 반복 사용 후에도 단기 전위 변동이 억제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갖는 전자 사진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예시적인 층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전하 발생층은 전하 발생 물질, 폴리비닐 아세탈, 및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플루오레논 유도체)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84328179-pat00002
화학식 1에서,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고, n은 1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전하 발생층에 첨가함으로써 스폿 형상 화상 결함이 억제되는 기전을 하기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플루오레논의 벤젠환에 결합하는 치환기로서 히드록실기만을 갖는 화합물이다. 따라서, 이 화합물은 폴리비닐 아세탈과의 상용성이 높으므로, 이러한 화합물은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 중에서 서로 쉽게 응집되지 않는다. 그 결과, 스폿 형상 화상 결함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전하 발생층에 첨가함으로써 장기 반복 사용 후의 단기 전위 변동이 향상되는 기전을 하기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 전하 발생 물질과 상호작용함으로써, 분자내 전하 이동 착체를 형성하고, 상기 화합물은 전자를 쉽게 수취한다. 예를 들어, 이 상호작용으로 인해 상기 화합물은 전하 발생 물질로부터 전자를 원활하게 수취한다.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구체예를 하기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양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1-1>
Figure 112011084328179-pat00003
<화학식 1-2>
Figure 112011084328179-pat00004
<화학식 1-3>
Figure 112011084328179-pat00005
<화학식 1-4>
Figure 112011084328179-pat00006
<화학식 1-5>
Figure 112011084328179-pat00007
<화학식 1-6>
Figure 112011084328179-pat00008
<화학식 1-7>
Figure 112011084328179-pat00009
이들 화합물 중에서도, 화합물 1-1 내지 1-4가 제공될 수 있고, 특히 화합물 1-1 및 1-2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전하 발생층은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전하 발생 물질의 양에 대해 0.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양이 0.1질량% 이상이면, 상기 화합물과 전하 발생 물질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전위 변동 억제 효과가 커진다. 상기 양이 20질량% 이하이면, 화합물 사이의 상호작용이 억제되어, 상기 효과가 커진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전하 발생층에 사용되는 결착 수지는 폴리비닐 아세탈이다.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 폴리비닐 아세탈을 결착 수지로서 사용하는 전하 발생층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이 화합물은 스폿 형상 화상 결함을 쉽게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으로 그 기능이 분리된 적층형의 감광층을 포함한다.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은 지지체 상에 이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101은 지지체를 나타내고, 102는 전하 발생층을 나타내고, 103은 전하 수송층을 나타낸다. 지지체와 전하 발생층/전하 수송층 사이에는, 후술하는 도전층 및 중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는 도전성을 갖는 한(도전성 지지체), 임의의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합금으로 제조된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산화인듐-산화주석 합금 등을 사용하여 진공 증착에 의해 형성된 층을 갖는 상기 금속 지지체 또는 플라스틱 지지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지지체의 다른 예로는, 카본 블랙, 산화주석 입자, 산화티타늄 입자 또는 은 입자 등의 도전성 입자를 적당한 결착 수지와 함께 플라스틱 또는 종이에 함침시켜 얻어진 지지체, 및 도전성 결착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지지체를 들 수 있다. 지지체는 원통형 또는 벨트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원통형 형상이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지지체의 표면에는 레이저빔의 산란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 줄무늬를 억제하기 위해, 절삭 처리, 조면화 처리 또는 양극산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지지체와 감광층(전하 발생층 또는 전하 수송층) 또는 후술하는 중간층 사이에는, 레이저빔의 산란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 줄무늬의 억제, 및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흠집의 피복을 위해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층은, 카본 블랙 등의 도전성 입자를 결착 수지에 분산시켜 형성할 수 있다. 도전층의 두께는 5 내지 40㎛, 예를 들어 10 내지 30㎛일 수 있다.
지지체 또는 도전층과 감광층(전하 발생층 또는 전하 수송층) 사이에는,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은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중간층 코팅 용액을 도포한 후, 얻어진 층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에 사용되는 수지의 예로는, 아크릴 수지, 알릴 수지, 알키드 수지, 에틸 셀룰로오스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폭시 수지, 카제인 수지, 실리콘 수지, 젤라틴 수지, 페놀 수지, 부티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알릴 에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부타디엔 및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로서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중간층 코팅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의 예로는, 알코올, 술폭시드, 케톤, 에테르, 에스테르, 지방족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방향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중간층은 임의로, 금속 산화물 입자, 유기 수지 입자 또는 레벨링제를 함유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입자의 예로는,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알루미늄의 입자를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 입자는 금속 산화물을 실란 커플링제 등의 표면 처리제로 표면 처리하여 얻어진 입자일 수 있다.
중간층의 두께는 0.5 내지 20㎛, 예를 들어 0.6 내지 5㎛일 수 있다.
지지체, 도전층 또는 중간층 상에는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이 형성된다.
전하 발생층에 사용되는 전하 발생 물질의 예로는, 모노아조, 디스아조 및 트리스아조 안료 등의 아조 안료; 금속 프탈로시아닌 및 비금속 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 안료; 인디고 및 티오인디고 등의 인디고 안료; 페릴렌 무수물 및 페릴렌 이미드 등의 페릴렌 안료; 안트라퀴논, 피렌퀴논 및 디벤즈피렌퀴논 등의 다환 퀴논 안료; 스쿠아릴륨 염료; 피릴륨염 및 티아피릴륨염; 트리페닐메탄 염료; 셀레늄, 셀레늄-텔루륨 및 아몰퍼스 실리콘 등의 무기 물질; 퀴나크리돈 안료; 아줄레늄염 안료; 퀴노시아닌 등의 시아닌 염료; 안탄트론 안료; 피란트론 안료; 크산텐 염료; 퀴논이민 염료; 스티릴 염료; 황화카드뮴; 및 산화아연을 들 수 있다. 이들 전하 발생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전하 발생 물질 중에서도, 감도의 관점에서,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아조 안료가 제공될 수 있고, 특히 프탈로시아닌 안료가 제공될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 안료 중에서도, 특히 옥시티타늄 프탈로시아닌, 클로로갈륨 프탈로시아닌 및 히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이 높은 전하 발생 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히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 중에서도, 전위 특성의 관점에서, CuKα 특성 X선을 이용하여 측정한 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 브래그각 2θ가 7.4°±0.3° 및 28.2°±0.3°에 강한 피크를 갖는 히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 결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CuKα 특성 X선을 이용하여 측정한 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 브래그각 2θ±0.2°가 7.4° 및 28.1°에 강한 피크를 갖는 히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 결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X선 회절 스펙트럼은 CuKα 특성 X선을 이용하여 하기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기기: 맥 사이언스사(MAC Science Co. Ltd.) 제조의 전자동 X선 회절 장치 MXP18
X선 관: Cu
관 전압: 50kV
관 전류: 300mA
스캔 방법: 2θ/θ 스캔
스캔 속도: 2deg./분
샘플링 간격: 0.020deg.
출발 각도(2θ): 5deg.
정지 각도(2θ): 40deg.
디버전스 슬릿: 0.5deg.
스캐터링 슬릿: 0.5deg.
리시빙 슬릿: 0.3deg.
만곡 모노크로메이터: 사용
전하 발생층은 전하 발생 물질을 폴리비닐 아세탈,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및 용매와 함께 분산시켜 얻어지는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을 도포한 후, 얻어진 층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분산은 예를 들어 호모게나이저, 초음파 분산기, 볼 밀, 샌드 밀, 롤 밀, 진동 밀, 아트라이터 또는 액체 충돌형 고속 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전하 발생 물질 대 폴리비닐 아세탈의 비율은 질량비로 0.3:1 내지 10:1일 수 있다.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은 전하 발생 물질, 폴리비닐 아세탈 및 용매를 분산시킨 후에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 전하 발생층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전하 발생 물질, 폴리비닐 아세탈 및 용매를 서로 혼합하고, 그 후 분산 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의 예로는, 알코올, 술폭시드, 케톤, 에테르, 에스테르, 지방족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방향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전하 발생층의 두께는 5㎛ 이하, 예를 들어 0.1㎛ 이상 2㎛ 이하일 수 있다. 전하 발생층에는, 증감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및 가소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전하 수송층에 사용되는 전하 수송 물질의 예로는, 트릴아릴아민 화합물, 히드라존 화합물, 스티릴 화합물, 스틸벤 화합물 및 부타디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도, 높은 전하 이동도를 얻는 관점에서, 트릴아릴아민 화합물이 제공될 수 있다.
전하 수송층에 사용되는 결착 수지의 예로는,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알릴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알릴 에테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페닐렌 옥시드, 폴리부타디엔, 폴리프로필렌 및 메타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아릴레이트 및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결착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로서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하 수송층은 전하 수송 물질과 결착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전하 수송층 코팅 용액을 도포한 후, 얻어진 층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전하 수송 물질 대 결착 수지의 비율은 질량비로 0.3:1 내지 10:1일 수 있다. 균열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건조 온도는 60℃ 이상 150℃ 이하, 예를 들어 80℃ 이상 120℃ 이하일 수 있다. 건조 시간은 10분 이상 60분 이하일 수 있다.
전하 수송층 코팅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의 예로는, 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의 알코올(특히 탄소 원자수 3 이상의 알코올); 아니솔, 톨루엔, 크실렌 및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및 메틸시클로헥산 및 에틸시클로헥산을 들 수 있다.
전하 수송층이 적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측의 전하 수송층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연쇄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전하 수송 물질을 중합 및/또는 가교시킴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다. 연쇄 중합성 관능기의 예로는, 아크릴기, 알콕시실릴기 및 에폭시기를 들 수 있다. 연쇄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전하 수송 물질을 중합 및/또는 가교시키기 위해서는, 열, 광 또는 방사선(예를 들어 전자빔)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전하 수송층이 단일층 구조를 갖는 경우, 전하 수송층의 두께는 5㎛ 이상 40㎛ 이하, 예를 들어 8㎛ 이상 30㎛ 이하일 수 있다.
전하 수송층이 적층 구조를 갖는 경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지지체측의 전하 수송층의 두께는 5㎛ 이상 30㎛ 이하일 수 있고,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측의 전하 수송층의 두께는 1㎛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전하 수송층에는,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및 가소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감광층 상에는, 상기 감광층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은 상기 결착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보호층 코팅 용액을 도포한 후, 얻어진 층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지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용매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보호층 코팅 용액을 도포한 후, 얻어진 층을 경화 및/또는 건조시킴으로써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경화에는, 광, 열 또는 방사선(예를 들어 전자빔)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는 0.5㎛ 이상 10㎛ 이하, 예를 들어 1㎛ 이상 7㎛ 이하일 수 있다. 보호층에는, 도전성 입자 등을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각 층의 코팅 용액은 침지(침지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스피너 코팅, 롤러 코팅, 마이어 바 코팅, 블레이드 코팅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최외측 층(표면층)에는, 실리콘 오일, 왁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입자, 실리카 입자, 알루미나 입자 또는 질화붕소 등의 윤활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갖는 전자 사진 장치의 개략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원통형 전자 사진 감광 부재(1)는, 축(2) 주위를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주속(周速; 프로세싱 속도)으로 회전한다. 회전에 있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의 표면은 대전 유닛(3)(대전 롤러 등의 1차 대전 유닛)에 의해 소정의 정 또는 부의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어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에,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이며, 슬릿 노광 또는 레이저빔 주사 노광을 제공하는 노광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출력되고, 목적의 화상 정보의 시계열 전기 디지털 화소 신호에 따라 강도 변조된 노광 광(4)이 조사된다. 이렇게 하여,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의 표면 상에, 목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유닛(5) 내의 현상제에 함유되는 하전 입자(토너)로, 정규 또는 반전 현상에 의해 현상되어,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의 표면 상에 형성 및 담지되는 토너 화상은, 그 후 전사 유닛(예를 들어 전사 롤러)(6)으로부터의 전사 바이어스에 의해, 전사 매체(P) 상에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이 공정에서, 전사 매체(P)는 전사 매체 공급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의 회전과 동기하여,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와 전사 유닛(6) 사이의 부분(접촉부)에 공급된다. 또한, 전사 유닛(6)에는, 바이어스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토너의 전하 극성과는 반대 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전사 매체(P)가 최종 전사 매체(종이, 필름 등)인 경우, 전사 매체(P)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정착 유닛(8)에 반송되며, 여기서 토너 화상에 정착 공정이 실시된다. 정착 공정 후, 전사 매체(P)는 화상 형성물(프린트 또는 카피)로서 전자 사진 장치 외부로 프린트 아웃된다. 전사 매체(P)가 중간 전사 매체인 경우에는, 복수의 전사 공정 후에 정착 공정을 행하고, 최종 전사 매체가 프린트 아웃된다.
토너 화상을 전사 매체에 전사한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의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토너) 등의 부착물은 클리닝 유닛(7)(예를 들어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되어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의 표면이 청정화된다. 최근에는, 클리너리스 시스템이 연구되어, 전사되지 않고 잔류하는 토너를 현상 유닛 등에 의해 직접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의 표면은, 전노광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전노광 광(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전된 후, 화상 형성에 반복 사용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 유닛(3)이 대전 롤러 등을 사용하는 접촉 대전 유닛인 경우에는, 전노광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전자 사진 감광 부재(1), 대전 유닛(3), 현상 유닛(5) 및 클리닝 유닛(7) 등의 상술한 구성 요소 중 2가지 이상을 용기에 수납하고, 함께 일체로 결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복사기 또는 레이저빔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전 유닛(3), 현상 유닛(5) 및 클리닝 유닛(7)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전자 사진 감광 부재(1)와 함께 일체로 지지하여, 전자 사진 장치 본체에 포함되는 레일 등의 안내 유닛(10)에 의해 전자 사진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9)를 구성할 수 있다.
전자 사진 장치가 복사기 또는 프린터일 경우에는, 노광 광(4)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과광이다. 대안적으로, 노광 광(4)은 센서에 의해 판독되는 원고가 변환되는 신호에 따른 레이저빔의 주사, 또는 LED 어레이 또는 액정 셔터 어레이의 구동에 의해 적용되는 광이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전자 사진 복사기, 레이저빔 프린터, LED 프린터, FAX기, 액정 셔터 프린터 등의 각종 전자 사진 장치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전자 사진 기술을 응용한 디스플레이, 기록, 니어프린트, 제판 및 팩시밀리 장치 등의 장치에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상을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중에서, "부"란 용어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지지체로서, 직경 30mm, 길이 357.5mm의 인발 관인 알루미늄 실린더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10% 산화안티몬을 함유하는 산화주석으로 코팅된 산화티타늄 입자 50부, 레졸 페놀 수지 25부, 메틸 셀로솔브 20부, 메탄올 5부 및 실리콘 오일(폴리디메틸실록산-폴리옥시알킬렌 공중합체, 평균 분자량 3000) 0.002부를, 직경 0.8mm의 유리 비즈를 사용한 샌드 밀로 2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계속해서, 여기에 실리콘 수지 입자(상품명: 토스펄(Tospearl) 120, 도시바 실리콘사(Toshiba Silicone Co., Ltd.) 제조) 3.8부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여 도전층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지지체로서 기능하는 알루미늄 실린더(직경 30mm, 길이 357.5mm의 인발 관) 상에 이 도전층 코팅 용액을 침지 코팅에 의해 도포하고, 얻어진 층을 140℃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두께 20㎛의 도전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하기 방법에 의해 중간층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하기 재료를 서로 혼합한 후, 직경 0.3mm의 지르코늄 비즈 60부를 사용한 페인트 셰이커로 15시간 동안 분산시켜 중간층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금속 산화물 입자: 산화티타늄 입자(상품명: TKP-101, 테이카사(TAYCA Corporation) 제조) 4부;
수지 용액: N-메톡시메틸화 6-나일론(상품명: 토레진(Toresin) EF-30T, 나가세 켐텍스사(Nagase ChemteX Corporation) 제조, 메톡시메틸화율: 28 내지 33질량%) 10부를 메탄올 90부에 용해시켜 제조한 용액 30.8부(용액 중, N-메톡시메틸화 6-나일론의 함유량은 3.08부, 금속 산화물 입자에 대해 77질량%); 및
용매: 1-부탄올 14부.
이 중간층 코팅 용액을 도전층 상에 침지 코팅에 의해 도포하고, 얻어진 층을 100℃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켜 두께 1.2㎛의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CuKα 특성 X선을 이용하여 측정한 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 브래그각 2θ±0.2°가 7.4° 및 28.1°에 강한 피크를 갖는 히드록시갈륨 프탈로시아닌 결정(전하 발생 물질) 4부, 하기 화학식 A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04부, 및 화학식 1-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004부(전하 발생 물질에 대해 0.1질량%)를, 시클로헥사논 100부에 폴리비닐 아세탈(폴리비닐 부티랄)(상품명: S-LEC BX-1, 세키스이 가가꾸사(Sekisui Chemical Co., Ltd.) 제조) 2부를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직경 1mm의 유리 비즈를 사용한 샌드 밀로 23±3℃에서 1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그 후, 여기에 에틸 아세테이트 100부를 첨가하여,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을 40℃의 환경에서 1개월 동안 저장하였다. 그 후, 이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을 중간층 상에 침지 코팅에 의해 도포하고, 얻어진 층을 90℃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켜 두께 0.21㎛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화학식 A>
Figure 112011084328179-pat00010
이어서, 하기 화학식 B로 나타내어지는 아민 화합물(전하 수송 물질) 50부, 하기 화학식 C로 나타내어지는 아민 화합물(전하 수송 물질) 50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상품명: 유피론(Iupilon) Z400, 미쓰비시 가스 가가꾸사(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제조) 100부를, 클로로벤젠 650부와 메티랄 150부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전하 수송층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전하 수송층 코팅 용액을, 상기 용액이 균일해진 후 1일 동안 방치하고, 전하 발생층 상에 침지 코팅에 의해 도포하고, 얻어진 층을 110℃에서 60분 동안 건조시켜 두께 18㎛의 전하 수송층(제1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화학식 B>
Figure 112011084328179-pat00011
<화학식 C>
Figure 112011084328179-pat00012
이어서, 하기 화학식 D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연쇄 중합성 관능기인 아크릴기를 갖는 전하 수송 물질(정공 수송성 화합물)) 45부 및 n-프로판올 55부를 초고압 분산기로 혼합 및 분산시켜 표면층(제2 전하 수송층)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D>
Figure 112011084328179-pat00013
이 표면층(제2 전하 수송층) 코팅 용액을 제1 전하 수송층 상에 침지 코팅에 의해 도포하고, 얻어진 층을 50℃에서 5분 동안 건조시켰다. 그 후, 건조된 층을 가속 전압 70kV, 흡수선량 8000Gy에서 전자빔으로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이 층에, 상기 층의 온도가 120℃에 도달하는 조건 하에서 3분 동안 가열 처리를 실시하였다. 전자빔의 조사로부터 3분 가열 처리 완료까지의 산소 농도는 20ppm이었다. 계속해서, 이 층에, 상기 층의 온도가 100℃에 도달하는 조건 하에서 30분 동안 공기 중에서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두께 5㎛의 표면층(제2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지지체, 도전층, 중간층, 전하 발생층, 전하 수송층(제1 전하 수송층) 및 표면층(제2 전하 수송층)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6
실시예 1의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의 제조에 사용한 전하 발생 물질, 폴리비닐 아세탈, 및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종류 및 양을 표 1에 나타낸 것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전하 발생층을 하기와 같이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즉, CuKα 특성 X선을 이용하여 측정한 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 브래그각 2θ±0.2°가 9.0°, 14.2°, 23.9° 및 27.1°에 강한 피크를 갖는 옥시티타늄 프탈로시아닌 결정(전하 발생 물질) 4부, 및 화학식 1-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004부(전하 발생 물질에 대해 0.1질량%)을, 시클로헥사논 100부에 폴리비닐 아세탈(폴리비닐 부티랄)(상품명: S-LEC BX-1, 세키스이 가가꾸사 제조) 2부를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직경 1mm의 유리 비즈를 사용한 샌드 밀로 23±3℃에서 4시간 동안 분산시켰다. 그 후, 여기에 에틸 아세테이트 100부를 첨가하여,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을 40℃의 환경에서 1개월 동안 저장하였다. 그 후, 이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을 중간층 상에 침지 코팅에 의해 도포하고, 얻어진 층을 60℃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켜 두께 0.17㎛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8
화학식 1-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화학식 1-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84328179-pat00014
표 1에서, "S-LEC BM-1"은 세키스이 가가꾸사 제조의 폴리비닐 아세탈(폴리비닐 부티랄)(상품명: S-LEC BM-1)이고, "S-LEC BM-S"는 세키스이 가가꾸사 제조의 폴리비닐 아세탈(폴리비닐 부티랄)(상품명: S-LEC BM-S)이다.
비교예 1
화학식 1-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004부를 하기 화학식 E-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012부(전하 발생 물질에 대해 0.3질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E-1>
Figure 112011084328179-pat00015
비교예 2
상기 화학식 E-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012부를 상기 화학식 E-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8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화학식 1-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004부를 하기 화학식 E-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012부(전하 발생 물질에 대해 0.3질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E-2>
Figure 112011084328179-pat00016
비교예 4
상기 화학식 E-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012부를 상기 화학식 E-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0.8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평가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평가 방법을 하기에 설명한다.
<전위 변동>
평가 장치로서는, 복사기(상품명: GP4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CANON KABUSHIKI KAISHA) 제조, 프로세싱 속도: 210mm/s, (1차) 대전 유닛: 직류 전류에 교류 전류를 중첩하여 얻어지는 전류를 이용한 고무 롤러 접촉 대전기(대전 롤러), 노광 유닛: 레이저에 의한 화상 노광 유닛, 현상 유닛: 1성분 자성 네가티브 토너를 사용한 비접촉 현상 시스템, 전사 유닛: 롤러형 접촉 전사 시스템, 클리닝 유닛: 고무 블레이드를 반대 방향에 배치한 클리너, 및 전노광 유닛: 퓨즈 램프를 사용한 전노광 유닛)를 사용하였다. 이 평가 장치 내에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각각 설치하였다.
이 평가 장치를 23℃ 및 5%RH의 환경에 설치하였다. 대전 롤러의 교류 성분을 1500Vpp 및 1500Hz로 설정하고, 직류 성분을 -850V로 설정하였을 때 얻어지는 장기 내구 시험 전의 초기 암부 전위(Vda), 및 780nm 레이저에 의한 조사를 통해 얻어지는 장기 내구 시험 전의 초기 명부 전위(Vla)가, 각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서 -200V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 전위는, 평가 장치로부터 현상 카트리지를 꺼내고, 거기에 전위 측정 장치를 삽입하여 측정하였다. 전위 측정 장치는 현상 카트리지의 현상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위 측정 프로브를 포함한다. 전위 측정 프로브는, 드럼 형상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축 방향의 중앙에,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3mm 이격하여 설치하였다.
평가는 하기 (1) 및 (2)에 따라 행하였다. 여기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대한 교류 성분/직류 성분의 초기 조건 및 초기 노광 조건은 변경하지 않고 하기 (1) 및 (2)의 평가를 행하였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23℃ 및 5%RH의 환경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하여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가 상기 환경에 적응되도록 한 후 평가를 행하였다.
(1) 평가 장치에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전위 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장기 내구 시험에 앞서 급지하지 않고 999매의 인자와 동등한 단기 내구 시험을 행하여, 장기 내구 시험 전 999매째와 동등한 인자를 행한 때의 암부 전위(Vdb), 및 장기 내구 시험 전 999매째와 동등한 인자를 행한 때의 명부 전위(Vlb)를 측정하였다. 초기 암부 전위(Vda)와, 장기 내구 시험 전 999매째와 동등한 인자를 행한 때의 암부 전위(Vdb) 사이의 변동량, 및 초기 명부 전위(Vla)와, 장기 내구 시험 전 999매째와 동등한 인자를 행한 때의 명부 전위(Vlb) 사이의 변동량을 확인하였다. 상기 변동량을 각각 장기 내구 시험 전 ΔVd(ab), 및 장기 내구 시험 전 ΔVl(ab)로 칭하였다.
(장기 내구 시험 전 초기 암부 전위(Vda))-(장기 내구 시험 전 999매째와 동등한 인자를 행한 때의 암부 전위(Vdb))=장기 내구 시험 전 ΔVd(ab)
(장기 내구 시험 전 초기 명부 전위(Vla))-(장기 내구 시험 전 999매째와 동등한 인자를 행한 때의 명부 전위(Vlb))=장기 내구 시험 전 ΔVl(ab)
(2) 계속해서, 전위 측정 장치를 꺼내고, 현상 카트리지를 설치하고, 급지하여 50000매 장기 내구 시험을 행하였다. 장기 내구 시험 종료 후, 평가 장치를 23℃ 및 5%RH의 동일한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현상 카트리지를 꺼내고, 전위 측정 장치를 설치하였다. 급지하지 않고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장기 내구 시험 후 999매 인자와 동등한 단기 내구 시험을 행하였다. 이 단기 내구 시험에서는, 장기 내구 시험 후 초기 암부 전위(Vdc)와, 장기 내구 시험 후 999매째와 동등한 인자를 행한 때의 암부 전위(Vdd) 사이의 변동량, 및 장기 내구 시험 후 초기 명부 전위(Vlc)와, 장기 내구 시험 후 999매째와 동등한 인자를 행한 때의 명부 전위(Vld) 사이의 변동량을 확인하였다. 상기 변동량을 각각 장기 내구 시험 후 ΔVd(cd), 및 장기 내구 시험 후 ΔVl(cd)로 칭하였다.
(장기 내구 시험 후 초기 암부 전위(Vdc))-(장기 내구 시험 후 999매째와 동등한 인자를 행한 때의 암부 전위(Vdd))=장기 내구 시험 후 ΔVd(cd)
(장기 내구 시험 후 초기 명부 전위(Vlc))-(장기 내구 시험 후 999매째와 동등한 인자를 행한 때의 명부 전위(Vld))=장기 내구 시험 후 ΔVl(cd)
50000매 내구 시험(장기 내구 시험)은 A4 용지를 사용하여, 6% 인자 비율로, 1매마다 인자를 정지하는 간헐 모드(8초/매)로 행하였다.
표 2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흑색 스폿>
평가 장치로서는, 복사기(상품명: GP4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프로세싱 속도: 210mm/s, (1차) 대전 유닛: 직류 전류에 교류 전류를 중첩하여 얻어지는 전류를 이용한 고무 롤러 접촉 대전기(대전 롤러), 노광 유닛: 레이저에 의한 화상 노광 유닛, 현상 유닛: 1성분 자성 네가티브 토너를 사용한 비접촉 현상 시스템, 전사 유닛: 롤러형 접촉 전사 시스템, 클리닝 유닛: 고무 블레이드를 반대 방향에 배치한 클리너, 및 전노광 유닛: 퓨즈 램프를 사용한 전노광 유닛)를 사용하였다. 이 평가 장치 내에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각각 설치하였다.
이 평가 장치를 32℃ 및 85%RH의 환경에 설치하였다. 대전 롤러의 교류 성분을 1500Vpp 및 1500Hz로 설정하고, 암부 전위가 각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서 -800V가 되도록 설정하고, 780nm 레이저에 의한 조사를 통해 얻어지는 명부 전위가 각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서 -200V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 전위는, 평가 장치로부터 현상 카트리지를 꺼내고, 거기에 전위 측정 장치를 삽입하여 측정하였다. 전위 측정 장치는 현상 카트리지의 현상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위 측정 프로브를 포함한다. 전위 측정 프로브는, 드럼 형상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축 방향의 중앙에,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3mm 이격하여 설치하였다.
암부 전위 및 명부 전위를 상술한 전위가 되도록 설정한 후, 평가 장치로부터 전위 측정 장치를 꺼내고, 거기에 현상 카트리지를 삽입하였다. 현상 카트리지의 전위는 -700V로 설정하였다. 솔리드 흑색 화상을 5매에 출력한 후, 솔리드 백색 화상을 1매에 출력하였다. 솔리드 백색 화상을 육안을 통해 관찰함으로써, 흑색 스폿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표 2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A: 흑색 스폿이 형성되지 않음.
B: 흑색 스폿이 약간 형성됨.
C: 흑색 스폿이 명백히 형성됨.
Figure 112011084328179-pat00017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하기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 및 등가 구조 및 기능을 모두 포괄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이며,
    상기 전하 발생층은 전하 발생 물질, 폴리비닐 아세탈, 및 하기 화학식 1-1, 1-3 또는 1-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화학식 1-1>
    Figure 112014059982316-pat00030

    <화학식 1-3>
    Figure 112014059982316-pat00031

    <화학식 1-4>
    Figure 112014059982316-pat0003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층이 상기 화학식 1-1, 1-3 또는 1-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전하 발생 물질의 양에 대해 0.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 물질이 프탈로시아닌 안료인, 전자 사진 감광 부재.
  6.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제조 방법이며,
    전하 발생 물질, 폴리비닐 아세탈, 및 하기 화학식 1-1, 1-3 또는 1-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으로 상기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제조 방법.
    <화학식 1-1>
    Figure 112014059982316-pat00033

    <화학식 1-3>
    Figure 112014059982316-pat00034

    <화학식 1-4>
    Figure 112014059982316-pat00035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층 코팅 용액이 상기 화학식 1-1, 1-3 또는 1-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전하 발생 물질의 양에 대해 0.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하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 물질이 프탈로시아닌 안료인,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의 제조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대전 유닛, 현상 유닛, 전사 유닛 및 클리닝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닛을 포함하고, 전자 사진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실장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유닛을 일체로 지지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대전 유닛;
    노광 유닛;
    현상 유닛; 및
    전사 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장치.
KR1020110110423A 2010-11-04 2011-10-27 전자 사진 감광 부재, 그의 제조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 KR101449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7863 2010-11-04
JPJP-P-2010-247863 2010-11-04
JPJP-P-2011-227037 2011-10-14
JP2011227037A JP5562313B2 (ja) 2010-11-04 2011-10-14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794A KR20120047794A (ko) 2012-05-14
KR101449790B1 true KR101449790B1 (ko) 2014-10-13

Family

ID=4601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423A KR101449790B1 (ko) 2010-11-04 2011-10-27 전자 사진 감광 부재, 그의 제조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03371B2 (ko)
JP (1) JP5562313B2 (ko)
KR (1) KR101449790B1 (ko)
CN (1) CN1025407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1439B2 (ja) * 2011-11-30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タロシアニン結晶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JP6004930B2 (ja) * 2012-12-14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6921651B2 (ja) * 2017-06-29 2021-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5477A2 (en) * 1996-01-22 1997-07-23 Fuji Xerox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process
US20050142472A1 (en) * 2003-12-26 2005-06-3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8439B2 (ja) 1988-10-05 1998-05-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方法
US5153085A (en) 1988-10-05 1992-10-06 Fuji Xerox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image forming process
JPH02146050A (ja) * 1988-11-28 1990-06-05 Ricoh Co Ltd 電子写真感光体
JP3256948B2 (ja) * 1993-04-30 2002-02-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US5780194A (en) * 1995-04-18 1998-07-14 Mita Industrial Co., Ltd. Electrophotosensitive material
US5795690A (en) * 1995-11-21 1998-08-18 Fuji Xerox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process
JP3336846B2 (ja) * 1996-01-22 2002-10-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KR100503083B1 (ko) 2003-01-10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용 정대전형 유기 감광체
US7169520B2 (en) * 2003-10-31 2007-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ophotoreceptor with charge transport material with a hydrazone group linked to a heterocyclic group
JP5623212B2 (ja) * 2009-11-18 2014-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5477A2 (en) * 1996-01-22 1997-07-23 Fuji Xerox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process
US20050142472A1 (en) * 2003-12-26 2005-06-3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62313B2 (ja) 2014-07-30
CN102540786A (zh) 2012-07-04
CN102540786B (zh) 2013-07-03
JP2012113288A (ja) 2012-06-14
US20120115076A1 (en) 2012-05-10
KR20120047794A (ko) 2012-05-14
US8703371B2 (en)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3212B2 (ja)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EP1792232B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KR101548788B1 (ko) 전자사진 감광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
US8936892B2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method of producing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KR101449790B1 (ko) 전자 사진 감광 부재, 그의 제조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장치
JP4717665B2 (ja)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4641505B2 (ja)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電子写真感光体、アミン化合物、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6095457B2 (ja)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5473554B2 (ja)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EP2450747B1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5268295B2 (ja) アミン化合物、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9282302A (ja)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5089188B2 (ja) アミン化合物、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2005055729A (ja) 電子写真感光体、その製造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6622553B2 (ja)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5164936A (ja)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8239571A (ja) アミン化合物、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