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987B1 - 투사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투사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987B1
KR101447987B1 KR1020137009276A KR20137009276A KR101447987B1 KR 101447987 B1 KR101447987 B1 KR 101447987B1 KR 1020137009276 A KR1020137009276 A KR 1020137009276A KR 20137009276 A KR20137009276 A KR 20137009276A KR 101447987 B1 KR101447987 B1 KR 101447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tone correction
correction amount
image
output value
key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473A (ko
Inventor
신지 구보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투사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투사하는 화상 투사부와, 조작량에 따라서 출력값이 변화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출력값에 따라서 키스톤 보정량을 가변시키는 보정량 설정부와, 키스톤 보정량에 따라서, 투사하는 화상에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는 키스톤 보정부를 구비한다. 키스톤 보정량이 0인 영 기준 위치(zero reference position)가 조작부의 조작 범위 내에 설정된다. 영 기준 위치 및 영 기준 위치의 주변의 영역을 포함하는 불감대(dead zone)가 조작부의 조작 범위 내(inside)에 설정된다. 보정량 설정부는 불감대 내에 대응하는 출력값에 대하여,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한다.

Description

투사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스톤 보정(keystone correction)이 가능한 투사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사형 표시 장치(프로젝터)에는, 키스톤 보정(사다리꼴 왜곡 보정)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있다. 이 키스톤 보정에는, 상하 방향의 보정인 수직 키스톤 보정과, 좌우 방향의 보정인 수평 키스톤 보정이 있다. 이 키스톤 보정 기능을 구비한 투사형 표시 장치에는, 2개의 독립된 회전 손잡이를 형성하여, 이들 회전 손잡이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수직 키스톤 보정량과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하는 수동식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9038호
그런데, 투사형 표시 장치를 투사 스크린에 정밀도 좋게 마주시켜 배치한 경우, 수평 키스톤 보정이 불필요해진다. 이 경우, 유저는, 수평 키스톤 보정의 양(이후,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라함)이 0이 되도록 회전 손잡이를 조작한다. 그러나, 회전 손잡이 등의 아날로그 조작 디바이스를, 키스톤 보정의 양(이후, '키스톤 보정량'이라함)이 0이 되는 일점의 조작 위치로 조작하는 것이 실제로는 어렵다. 유저가 그런 0의 위치로 회전 손잡이를 조작하려는 의도라도, 실제로는 그 손잡이는 그 위치로부터 조금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다.
가령, 키스톤 보정량이 0인 0 위치에서 메커니컬한 클릭 상태(클릭음 및 클릭감)를 발생시키도록 표시장치에 클릭 기구를 형성했을 경우라도, 유저가 0의 위치로 손잡이를 조작하려는 의도라도 실제로는 0의 위치에서 조금 어긋난 위치로 회전 손잡이를 조작할 수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단순히 클릭 기구의 추가만으로 보정량을 0으로 조작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는 없다.
만일 이런 조작 디바이스에 비교적 염가의 부품인 가변 저항기를 포함하여, 가변 저항기를 통하여 변화되는 전압값으로 키스톤 보정량을 설정하도록 한 경우에는, 가변 저항기 사이의 개체 편차에 따라 전압값에 편차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각 가변 저항기마다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해진다. 게다가, 가변 저항기에 의해서 설정된 전압값은, 예를 들어, 전원 전압의 변동이나 온도 드리프트 등에 따라서 바뀌어 버린다. 이 때문에, 가변 저항기를 이용한 경우에는,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어려워진다.
한편, 표시 장치가 현재의 키스톤 보정량을 투사 화상 내에 표시하는 구성이면, 유저가 키스톤 보정량을 용이하게 0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처리가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게다가, 그 표시는 유저가 보고 있는 화상의 일부와 겹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에 무관하게, 유저가 키스톤 보정량을 용이하게 0으로 조정할 수 있는 투사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투사형 표시 장치를 구비하며, 이 투사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투사하는 화상 투사부와, 조작량에 따라서 출력값이 변화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출력값에 따라서 키스톤 보정량을 변화시키는 보정량 설정부와, 키스톤 보정량에 따라서, 투사하는 화상에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는 키스톤 보정부를 구비하고, 조작부의 조작 범위 내에서, 키스톤 보정량이 0인 영 기준 위치(zero reference position)가 설정되어 있고, 영 기준 위치 및, 영 기준 위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불감대(dead zone)를 조작부의 상기 조작 범위 내에 설정하고, 보정량 설정부는 불감대 내에 대응하는 출력값에 대하여,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의 영 기준 위치 및, 영 기준 위치의 주변의 영역을 포함하는 불감대를 조작부의 조작 범위 내로 설정하고, 불감대 내에 대응하는 조작부의 출력값에 대하여,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한다. 따라서, 유저는 키스톤 보정량의 표시에 의지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가의 가변 저항기를 이용하면서, 용이하게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유저가 감각적으로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스톤 보정량에 관한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하지 않고 용이하게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가 불감대 내에서 조작되는 경우에, 화소 보간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화상을 충실하게 표시할 수 있어, 화질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는, 불감대 내에 클릭 상태를 형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시각에 의지하지 않고 용이하고 그리고 확실하게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는, 영 기준 위치에서 클릭 상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다 용이하고 그리고 확실하게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량에 의존하여 출력값을 변화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조작부의 출력값에 따라서 키스톤 보정량을 변화시키고, 키스톤 보정량에 따라서 투사되는 화상에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고, 조작부의 조작 범위 내에 키스톤 보정량이 0인 영 기준 위치를 설정하고, 조작부의 조작 범위 내에, 영 기준 위치와 그 영 기준 위치의 주변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불감대를 설정하고, 불감대 내에 대응하는 출력값에 대하여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의 0 기준 위치와 그 영 기준 위치 주변의 영역을 포함하는 불감대가 조작부의 조작 영역 내에 설정되고 키스톤 보정량이, 불감대 내에 대응되는, 조작부의 출력값에 따라서 0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유저는 키스톤 보정량의 표시에 의존하지 않고 키스톤 보정량을 용이하게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상을 투사하는 화상 투사부와, 조작량에 의존하여 출력값이 변화되며, 화상이 화상 투사부에 의하여 투사되는 투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는 슬라이드식 조작 디바이스인 조작부와, 투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키스톤 보정량을 설정하고 조작부의 출력값에 따라서 키스톤 보정량을 변화시키는 보정량 설정부와, 키스톤 보정량에 따라서 투사된 화상에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는 키스톤 보정부를 구비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키스톤 보정량을 직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는 키스톤 보정량의 표시에 의지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키스톤 보정량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프로젝터가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프로젝터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로젝터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키스톤 조작부와 수평 키스톤 보정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동작 모드 변경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a는 비조정 모드(non-adjustment mode)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조정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필터의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투사형 표시 장치; 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프로젝터(10)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광을 투사하여 투사면이 되는 스크린(SC)에 화상(투사 화상; PM)을 표시한다. 이 프로젝터(10)는, 프로젝터(10)와 스크린(SC)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의해 발생하는 투사 화상(PM)의 사다리꼴 왜곡을 보정하는 키스톤 보정(사다리꼴 왜곡 보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투사 화상(PM)은, 정지 화상 및 동화상 중 어느 쪽일 수도 있다.
도 2a는, 프로젝터(10)가 상하 방향(수직 방향, 세로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에서는, 투사광의 광축(OA)이 스크린(SC)의 법선(NL)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기울기각 θ1(이하, 수직 기울기각 θ1이라고 함)만큼 기울어져 있다. 키스톤 보정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의 상변 길이가 하변 길이와 상이하게 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왜곡된 투사 화상(PM1)이 표시된다. 도 2a의 우측은, 이 수직 기울기각 θ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키스톤 보정(수직 키스톤 보정)을 실행한 투사 화상(PM11)을 나타낸다.
도 2b는, 프로젝터(10)가 좌우 방향(수평 방향, 가로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에서는, 투사광의 광축(OA)이 스크린(SC)의 법선(NL)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기울기각 θ2(이하, 수평 기울기각 θ2라고 함)만큼 기울어져 있다. 키스톤 보정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b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의 좌변의 길이와 우변 길이가 상이하게 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왜곡된 투사 화상(PM2)이 표시된다. 도 2b의 우측은, 수평 기울기각 θ2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키스톤 보정(수평 키스톤 보정)을 실행한 투사 화상(PM22)이다.
도 1에서, 이 프로젝터(10)의 하우징(10A)에는, 키스톤 조작부(12)가 좌우 방향(투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그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키스톤 조작부(12)는, 수평 키스톤 보정용의 수동식 조작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이 키스톤 조작부(12)는, 슬라이드식의 가변 저항기를 포함하고, 유저가 손가락으로 잡고 수평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조작부재(1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작부재(12A)를 슬라이드 범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조작될 때, 조작부재(12A)의 조작량(슬라이드 스트로크(slide stroke))에 비례하여, 출력 전압이 변화한다.
이 키스톤 조작부(12)에는, 일정한 전원 전압(V1)(본 구성에서는 3.3V)이 인가된다.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부재(12A)의 위치에 따라서 출력 전압이 변화한다. 본 구성에서는, 이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유저에 의한 수동 조작으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설정된다.
본 구성에서는,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방향을, 광축(OA)이 기울어져서 수평 키스톤 보정이 실행되어야만 하는 좌우 방향과 일치시킨다. 이 때문에, 유저는 감각적으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키스톤 조작부(12)를 직감적으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위한 조작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프로젝터(1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0)는, 화상 처리부(21)와, 키스톤 보정부(사다리꼴 왜곡 보정부)(22)와, 패널 구동부(23)와, 액정 표시 패널(24A)을 갖는 화상 투사부(24)와, 센서부(26)와, 메모리(27)와, 제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처리부(21)는, 케이블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나 DVD 플레이어 등의 외부 디바이스(17)로부터 화상 신호(SA)를 입력한다. 화상 처리부(21)는 신호(SA)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는 프레임 버퍼에 1프레임마다 기입하고, 화상 데이터를 인터레이스 방식으로부터 프로그레시브 방식으로 변환하는 IP 변환, IP 변환된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해상도 변환, 그리고 예를 들어, 휘도나 채도의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색조 보정 등을 행한다. 프레임 버퍼에는, 화상 처리부(21)로부터 출력된 원(original)화상 데이터와, 원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21)에 의해 포맷 변환하여 얻은 미보정(uncorrected) 화상 데이터와, 미보정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키스톤 보정부(22)에 의해 키스톤 보정을 실행함으로써 얻은 보정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다.
키스톤 보정부(22)는, 스크린(SC)에 대하여 프로젝터(10)의 투사축(투사광의 광축(OA)에 상당)을 기울인 상태에서 화상이 투사될 때 발생하는 사다리꼴 왜곡의 보정, 즉, 수직 키스톤 보정과 수평 키스톤 보정을 실행한다. 이 키스톤 보정부(22)는, 수평 및/또는 수직 키스톤 보정에 대응하는 좌표 변환을 실행하는 좌표 변환부(31)와, 키스톤 보정에 수반되는 화소 보간을 실행하는 필터(화소 보간부; 32)를 구비하고 있다.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다리꼴 왜곡을 보상하도록 액정 표시 패널(24A)에 화상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프로젝터에서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는 경우, 액정 표시 패널(24A)에는, 사다리꼴 왜곡 보정이 가해진 원화상보다도 작은 화상이 표시된다. 기본적으로는 원화상이 축소된다. 또한, 원화상이 크게 기울어져 있다면, 화상의 부분을 확대할 수도 있다.
이 원화상을 축소하기 위하여, 단순하게 화상 데이터를 솎아내면 들쭉날쭉한 화상이 되어 버린다. 필터(32)는, 이 들쭉날쭉한 왜곡을 회피하도록 화소 보간을 한다. 키스톤 보정에 따른 필터 처리 계수에 기초하여 화소 보간을 한다. 좌표 변환부(31) 및 필터(32)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 구동부(23)는, 화상 투사부(24)의 액정 표시 패널(24A)을 구동한다. 패널 구동부(23)는 화상 처리(키스톤 보정을 포함함)가 실행된 보정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24A)을 구동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화상 투사부(24)는,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 장치(25A)와, 액정 표시 패널(액정 라이트 밸브라고도 함)(24A)과, 투사 렌즈(25B)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24A)은, 복수의 화소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투과형 액정 표시 패널로 구성된다. 액정 표시 패널(24A)은 패널 구동부(23)에 의해 각 화소의 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을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광으로 변조한다.
여기에서, 프로젝터(10)가 3-칩 LCD 프로젝터인 경우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또는 RGB의 3색에 대응하는 3개의 액정 표시 패널(24A) 및 광원 장치(25A)의 빛을 분리 및 합성하는 미러 및 프리즘이 배열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개의 액정 표시 패널(24A)을 구비한다.
투사 렌즈(25B)는, 액정 표시 패널(24A)에 의해 변조된 화상광을 확대 및 투사한다. 화상 투사부(24)의 광학계는, 배광(light distribution)을 조정하는 렌즈 어레이, 편광 조정 소자, 미러, 방진(dustproof)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투사부(24)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6)는, 프로젝터(10)의 상하 방향(수직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기울기 각도, 즉, 도 2a에 나타낸 수직 기울기각 θ1을 검출하는 각도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센서부(26)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프로젝터(10)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G-센서를 갖고, 이 G-센서를 이용하여 수직 기울기각 θ1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수직 기울기각 θ1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어부(30)로 전송한다.
메모리(27)에는, 제어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기억된다. 이 메모리(27)에는, 후술하는 변환 데이터(27A)도 기억된다.
제어부(30)는, 메모리(27)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젝터(10)의 구성부품을 제어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프로젝터(10)에는, 아날로그 형태인, 키스톤 조작부(12)의 출력 전압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디지털(A/D) 컨버터(33)가 설치된다.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디지털값이, 조작 출력값(D1)으로서 A/D 컨버터(33)에서 제어부(30)로 전송된다. 제어부(30)는, 조작 출력값(D1)에 기초하여 키스톤 보정량을 설정하는 보정량 설정부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제어부(30)는, 키스톤 보정부(22)가, 센서부(26)에 의하여 검출된 수직 기울기각 θ1에 기초하여 수직 키스톤 보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자동 키스톤 보정 처리를 실행하게 하고,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 출력값(D1)에 기초하여 수평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는 수동 키스톤 보정 처리를 실행하게 한다.
본 프로젝터(10)는, 키스톤 보정량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현재의 키스톤 보정량의 값)를 유저에게 통지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유저가 표시에 의지하지 않고, 슬라이드식의 키스톤 조작부(12)를 통하여 프로젝터(10)에게 수평 키스톤 보정을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부재(12A)를 조작범위 내에서 좌우로 조작함으로써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30°∼+30°(좌우 어느 한쪽을 -측, 다른 한쪽을 +측으로 하고 있음)의 범위에서 설정한다.
이 경우, 조작 범위의 중간에 있는 일점을,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0인 0 위치로 설정하고, 조작 범위의 일단(one end)에, -30°의 보정량을 할당하고, 타단(other end)에, +30°의 보정량을 할당하고, 이들 양단 사이의 조작 위치에 -30°, 0° 및 +30°를 제외하는 수평 키스톤 각도의 보정량을 균등하게 할당하는 균등 할당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균등 할당 방법에 따르면, 유저가, 키스톤 보정량이 0인 일점의 중간 위치로 조작부재(12A)를 조작하는 것이 어렵다. 유저가 조작부재(12A)를 0의 위치로 조작하려고 하면, 조작부재(12A)는 0의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될 수 있다. 그러한 사태를, 유저의 의도와 무관하게 0 위치로부터 조작부재(12A)가 벗어나 있는 제 1 사태 알파(α)라고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유저가, 프로젝터(10)를 광축(OA)의 수평 기울기가 0이 되도록 정밀도 좋게 설치한 경우, 유저는 수평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지 않도록 0의 위치로 조작부재(12A)를 조작하려고 하지만, 조작부재(12A)는 0의 위치로부터 근소하게 어긋나게 된다. 이 경우에, 불필요하게 수평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1 사태 알파를 회피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키스톤 조작부(12)의 가변 저항기의 개체 편차, 전원 전압(V1)의 변동, 온도 드리프트 및 노이즈가, 제1 사태 알파를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부재(12A)의 조작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경우라도, 키스톤 조작부(12)로 인가되는 전원 전압(V1)의 변동, 온도 드리프트 및/또는 노이즈에 의해, 조작 출력값(D1)이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유저의 의도와 무관하게 바뀌어 버리는 사태가 발생된다. 이 사태를, 조작 이외의 요인으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변화되는 제2 사태 베타(β)라고 할 것이다. 이 제2 사태 베타도 회피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구성을 갖는 프로젝터(10)는, 제1 사태 알파 및 제2 사태 베타를 회피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사태 알파를 회피하는 구성>
본 구성에 따르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로 표시된, 조작 범위의 중간 위치를,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0인 영 기준 위치(C)로 설정하고, 이 영 기준 위치(C)와 이 영 기준 위치(C) 주변의 영역을 포함하는 연속되는 범위(CH, 이후 "센터 불감대"라고 함)를,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하는 대역으로 설정한다.
상세하게는, 본 구성의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 범위(H)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0.1m이다. 조작부재(12A)가, 각 단으로부터 0.05m의 거리에 있는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영 기준 위치(C)로부터, 각 단으로 0.01m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는 영역이 센터 불감대(CH)이다. 이 때문에, 조작부재(12A)가 센터 불감대(CH) 내에 있으면, 수평 키스톤 보정량은 0(0도의 수평 키스톤 각도에 대응)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재(12A)가, 도 4의 (I) 또는 (Ⅱ)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수평 키스톤 보정량은 0으로 설정된다.
센터 불감대(CH)의 일단(좌단)과 조작 범위(H)의 일단(좌단) 사이의 영역(도 4에서의 좌측 조작 범위 (LH))은, 0°∼-30°(일단에서 최대 수평 키스톤 각도까지)의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하도록 할당된다.
이 범위(LH)에서는, 조작부재(12A)가 일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평 키스톤 보정량은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본 구성에서는, 이 범위(LH)에 있어서는 일단을 향하여 조작부재(12A)가 이동하는 것에 비례하여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감소한다. 예를 들면, 조작부재(12A)가, 도 4의 위치(Ⅲ)에 있으면, 수평 키스톤 보정량은 -15°의 보정량으로 설정된다.
센터 불감대(CH)의 타단(우단)과 조작 범위(H)의 타단(우단) 사이의 영역(도 4에서의 우측 조작 범위 (RH))은, 0°∼+30°(타단에서 최대 수평 키스톤 각도까지)의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하도록 할당된다.
이 범위(RH)에서는, 조작부재(12A)가 타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평 키스톤 보정량은 연속적으로 증가된다. 본 구성에서는, 이 범위(RH)에 있어서, 타단으로의 조작부재(12A)의 이동에 비례하여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증가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재(12A)가, 도 4의 위치 (Ⅳ)에 있으면, 수평 키스톤 보정량은 +20°의 보정량으로 설정된다.
전술한 할당은,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 출력값(D1)과 수평 키스톤 보정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형식의 변환 데이터(27A)(도 3 참조)를, 메모리(27)에 미리 기억해 둠으로써 실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가, 이 변환 데이터(27A)를 참조하여, 현재의 조작 출력값(D1)에 대응하는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결정하고, 키스톤 보정부(22)를 제어한다. 변환데이터(27A)는,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식을 표시하는 정보(변환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유저가 조작부재(12A)를 센터 불감대(CH) 내에 들어가도록 조작하면,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영 기준 위치(C)에서만 0으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에 비하여,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용이하고 그리고 확실하게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방향은, 광축(OA)이 기울어져서 수평 키스톤 보정이 실행되어야만 하는 방향인 좌우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유저는 직감적으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따르면, 프로젝터(10)에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클릭 기구(4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부재(12A)가 영 기준 위치(C)로 조작된 경우에 키스톤 조작부(12)가 메커니컬한 클릭 상태가 되게 한다. 이 클릭 기구(41)는, 사용자가 클릭 위치를 촉각 및 청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스프링 재료 및 래치 기구를 이용하여 클릭감이나 클릭음을 발생하는 기구이다. 이 클릭 기구(41)는 공지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종류의 클릭 기구(41)는, 메커니컬 구성부품이기 때문에, 오차나 경시 변화(change over time) 등의 영향에 따라서, 클릭감을 발생하는 위치가 변화된다.
본 구성에서는, 이 클릭 기구(41)를 이용함에 있어서, 키스톤 조작부(12)는 적어도 영 기준 위치(C) 근방에서 클릭 상태가 된다. 즉, 키스톤 조작부(12)는 센터 불감대(CH) 내에서 확실하게 클릭 상태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시각에 의지하지 않고,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부재(12A)를 영 기준 위치(C) 근방, 즉, 센터 불감대(CH) 내로 확실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암실에서 프로젝터(10)의 투영 화상을 시청하면서, 용이하고 그리고 확실하게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센터 불감대(CH)는, 조작 범위(H)의 20%의 영역에 할당된다.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부재(12A)를 영 기준 위치(C) 근방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키스톤 조작부(12)의 가변 저항기의 개체 편차, 전원 전압(V1)의 변동, 온도 드리프트 또는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조작 출력값(D1)에서의 변동이, 초기 설정한 센터 불감대(CH)에 대응하는 전압 범위를 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키스톤 조작부(12)의 가변 저항기의 개체 편차, 전원 전압의 변동, 온도 드리프트 또는 노이즈가 발생해도,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터 불감대(CH)는, 조작 범위(H)의 20%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변 저항기의 개체 편차, 전원 전압(V1)의 변동, 온도 드리프트 또는 노이즈가 발생해도, 조작 출력값(D1)의 변동이 초기 설정의 범위를 넘지 않도록 센터 불감대(CH)를 조작 범위(H)의 20% 이하로 해도 좋고, 20% 이상으로 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사태 알파를 회피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제2 사태 베타를 회피하는 구성>
본 구성에 따르면, 프로젝터(10)는, 동작 모드로서, 키스톤 보정량을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출력값(D1)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조정 모드 및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 즉 조작 출력값(D1에 의존하지 않고 키스톤 보정량을 고정하는 비조정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동작 모드 변경 처리는, 제어부(30)에 의해 실행된다.
도 5는, 동작 모드 변경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이들 모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동작 모드 변경 처리는, 프로젝터(10)의 턴온(turn-on) 중에 반복된다. 유저로부터의 설정에 따라서, 이 동작 모드 변경 처리를 정지할 수도 있다.
동작 모드 변경 처리의 전제조건으로서, 키스톤 조작부(12)가 소정의 설정 시간(본 구성에서는 2초, T0)동안 조작되지 않는 경우, 즉,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 출력값(D1)이 설정 시간(T0) 이상동안 변화하고 있지 않을 때, 조작 모드는 비조정 모드로 변경된다. 따라서, 유저가 키스톤 조작부(12)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면, 조작 모드는 비조정 모드로 변경된다. 이하, 비조정 모드의 동작이 설명된다.
이 비조정 모드의 경우, 제어부(30)는, 키스톤 보정량을 고정한다. 도 6a에서는,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15°로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조정 모드에서, 제어부(30)는,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을 검출하여(스텝 S1), 조작 출력값이 소정 영역을 넘어서는 조작이 실행되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2). 이 조작은, 조작 출력값(D1)이 고정된 키스톤 보정량에 대응하는 조작 출력값(D1)과 그 출력값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연속되는 범위(이후, "출력값-기준-불감대" 라고 함; GH(도 6a 참조))를 넘어서는 조작을 의미한다. 이 출력값-기준-불감대(GH)는, 전원 전압(V1)의 변동, 온도 드리프트 또는 노이즈가 발생해도, 조작 출력값(D1)의 변동이, 불감대(GH)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출력값-기준-불감대(GH)는 조작 출력값(D1)의 변동 범위를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조작 이외의 요인(전압 변동, 온도 드리프트 또는 노이즈)에 의한 변동량이, -0.2V∼+0.2V의 전압 범위이면, 불감대(GH)는, 조작 출력값(D1)을 중심값(기준)으로 설정하는 변동범위(-0.2V∼+0.2V)로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스텝 S1의 처리로서, 조작 출력값(D1)을 검출하고, 스텝 S2의 처리로서, 조작 출력값(D1)이 출력값-기준-불감대(GH) 외부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 값이 출력값-기준-불감대(GH) 내에 있으면(스텝 S2: NO), 제어부(30)는 스텝 S1으로 처리를 되돌리고, 조작 출력값(D1)이 출력값-기준-불감대(GH)를 벗어날 때까지 현재의 동작 모드, 즉, 비조정 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조작 출력값(D1)이 출력값-기준-불감대(GH) 외에 있으면(스텝 S2: YES), 제어부(30)는, 키스톤 조정(수평 키스톤 보정)을 개시, 즉, 조작 모드를 조정 모드로 변경한다(스텝 S3).
조정 모드에서, 제어부(30)는,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즉, 조작 출력값(D1))에 따라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변화시켜, 키스톤 조정(키스톤 보정)을 실행한다(스텝 S4). 그런 후, 제어부(30)는 이 조정(보정)을 종료한다(스텝 S5).
이어서, 제어부(30)는, 소정 시간, 즉 설정시간(본 구성에서는 2초, T0) 내에 키스톤 조작부(12)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6).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 출력값(D1)을 시간 간격을 두고 취득하고, 전후의 조작 출력값(D1)의 차에 기초하여 키스톤 조작부(12)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키스톤 조작부(12)가 조작된 경우(스텝 S6: YES), 제어부(30)는, 스텝 S3의 처리로 이행하여 키스톤 조정, 즉, 조정 모드를 계속한다.
도 6b는 조정 모드에서, -5°의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설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조정 모드에서는, 키스톤 조작부(12)가 조작되면, 스텝 S3 내지 스텝 S6에서 조작부재(12A)의 위치에 따라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조정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재(12A)가, 센터 불감대(CH)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한다. 조작부재(12A)가 좌단에 있으면, 수평 키스톤 보정량은 -30°로 설정된다. 조작부재(12A)가 우단에 있으면, 수평 키스톤 보정량은 +30°로 설정된다.
한편, 키스톤 조작부(12)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스텝 S6: NO), 제어부(30)는, 이 조작 모드 변경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키스톤 보정량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즉, 조작 모드는 비조정 모드로 변경된다. 스텝 S6의 처리를 종료한 후에는, 조작 모드 변경 처리는 즉시 또는 소정의 인터럽트 간격으로 출력되는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서 스텝 S1으로부터 재개된다. 따라서, 비조정 모드시에, 조작 출력값(D1)이 소정 영역을 벗어나도록 조작이 실행되면(스텝 S2: YES), 조작 모드는 조정 모드로 변경되어서 키스톤 보정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조정 모드에서, 키스톤 조작부(12)가 조작되지 않게 되면, 키스톤 보정량을 고정하는 비조정 모드로 조작 모드가 변경된다. 조작 이외의 요인(전원 전압(V1)의 변동, 온도 드리프트 또는 노이즈)으로 조작 출력값(D1)이 변동해도, 키스톤 보정량이 변화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사태 베타를 회피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어떤 경우에는, 비조정 모드의 경우로 설정되어 있는 출력값-기준-불감대(제1 불감대; GH)가, 센터 불감대(제2 불감대; CH)와 겹쳐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조작 이외의 요인(전압 변동, 온도 드리프트 또는 노이즈)으로 조작 출력값(D1)이 센터 불감대(CH) 내에 들어가, 키스톤 보정량이 0으로 조정되면, 조작 이외의 요인으로 키스톤 보정량이 변동해 버리는 사태가 발생해 버린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 조정 모드에서, 조작 출력값(D1)이 센터 불감대(CH) 내에 있으면,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조정한다. 비조정 모드에서, 조작 출력값(D1)이 센터 불감대(CH) 내에 있으면, 제어부(30)는,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하지 않고, 변환 데이터(27A)에 기초하여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고정한다.
이 때문에, 조작 출력값(D1)이, 출력값-기준-불감대(제1 불감대, GH) 내에 있고, 그리고, 센터 불감대(제2 불감대)(CH) 내에 있는 경우, 비조정 모드에서는, 키스톤 보정량이 고정된다. 조정 모드에서는, 키스톤 보정량이 0으로 조정된다. 이에 따라, 조작 이외의 요인으로, 조작 출력값(D1)이 센터 불감대(CH) 내에 들어간 경우에, 키스톤 보정량이 0으로 조정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필터(32)에 의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필터(32)는, 제어부(30)의 제어 아래, 화소 보간용의 필터 처리 계수를 산출하고, 필터 처리 계수에 기초하여 화소 보간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필터(32)의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제어 처리는, 수직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 실행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모드가 조정 모드일 경우에(스텝 S11: YES), 제어부(30)는 키스톤 조작부(12)가 센터 불감대(CH) 외에서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12). 비조정 모드의 경우에는(스텝 S11: NO), 제어부(30)는, 이 처리를 종료하고, 즉시, 혹은, 소정의 인터럽트 간격으로 출력되는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서 당해 처리를 재실행한다.
스텝 S12에서, 센터 불감대(CH) 외에서 조작이 실행된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S12: YES), 제어부(30)는, 필터(32)가, 수평 키스톤 보정량에 따른 화소 보간용의 필터 처리 계수를 산출시켜, 화소 보간을 실행하도록 한다(스텝S13). 이에 따라, 수평 키스톤 보정에 따른 화소 보간이 실행된다.
한편, 센터 불감대(CH) 내에서 조작이 실행되는 경우(스텝 S12: NO), 제어부(30)는, 필터(32)가, 필터 처리 계수를 0으로 설정하게 한다(스텝 S14). 필터 처리 계수를 0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필터(32)의 입력은 출력과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처리가 실행되지 않는다. 즉, 화소 보간이 실행되지 않게 된다(화소 보간은 억제된다).
그러므로, 본 구성에서는, 센터 불감대(CH) 내에서 조작이 실행되었을 경우에, 화상 데이터의 처리 경로를 바꾸는 일 없이, 화소 보간이 억제될 수 있다. 수직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는 경우는, 이 처리는 수행되지 않고, 수직 및 수평 키스톤 보정에 따른 화소 보간이 실행된다. 어떤 경우에는, 화소 보간이, 화상의 들쭉날쭉한 왜곡을 감소시키기는 하나, 화상을 흐릿하게 한다. 본 구성에서는, 센터 불감대(CH) 내에서 조작이 실행되는 경우에, 화소 보간이 억제된다. 따라서, 입력된 화상을 충실하게 표시할 수 있어, 화질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제어부(30)가,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 범위 내의 일점인 영 기준 위치(C)를 포함하는 센터 불감대(CH)를 설정하고, 이 센터 불감대(CH) 내에 대응하는 조작 출력값(D1)에 대하여,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의 표시에 의지하는 일 없이, 유저는 용이하게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키스톤 조작부(12)는, 슬라이드식의 가변 저항기를 포함하며, 이 가변 저항기를 통하여 조작량에 따라서 조작 출력값(D1)을 변화시킨다. 제어부(30)는, 센터 불감대(CH)에 대응하는 전압 범위 내의 조작 출력값(D1)에 따라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염가의 가변 저항기를 이용하면서, 용이하게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가변 저항기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저항기의 개체 편차, 전압 변동, 온도 드리프트 또는 노이즈 등에 따라, 조작 출력값(D1)이 변동한다. 그러나, 조작 출력값(D1)이 변동한다해도, 이 변동은 센터 불감대(CH) 내에서의 변동이다. 따라서, 유저의 의도와 무관하게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0 에서 다른 값으로 변화해 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키스톤 조작부(12)는, 화상 투사부(24)에 의해 화상이 투사되는 투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유저는 이 키스톤 조작부(12)가 투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하도록 조작하기 때문에, 유저가 감각적으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유저는 키스톤 조작부(12)를 직감적으로 수평 키스톤 보정용의 조작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키스톤 조작부(12)는, 센터 불감대(CH) 내의 특정의 조작 위치인 영 기준 위치(C)에 클릭 상태를 제공하기 때문에, 메커니컬한 클릭 기구를 이용하여, 센터 불감대(CH) 내에서 클릭 상태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저는, 시각에 의지하지 않고 용이하고 그리고 확실하게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 출력값(D1)이 센터 불감대(CH) 내인 경우, 필터(32)는 화소 보간을 실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센터 불감대(CH) 내에서 조작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화소 보간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화상을 충실하게 표시할 수 있어, 화질을 향상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키스톤 조작부(12)의 조작 출력값(D1)에 따라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변화시키는 조정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30)는, 조작 출력을 감시하여, 키스톤 조작부(12)가 조작되지 않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키스톤 조작부(12)가 조작되지 않고 있다면, 제어부(30)는 조작 모드를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고정시키는 비조정 모드로 변경한다. 따라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유저의 작동 이외의 요인(전압 변동, 온도 드리프트 또는 노이즈)에 의해 변경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특히, 본 구성에서는, 키스톤 조작부(12)는, 전압 변동, 온도 드리프트 혹은 노이즈에 의해 출력값이 변동되는 경향이 있는 가변 저항기이다. 이 가변 저항기의 변동을 충분히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염가의 가변 저항기를 이용하면서, 유저의 조작 이외의 요인으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바뀌어 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 키스톤 보정량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 이외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된 키스톤 보정량의 변화를 유저가 깨닫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키스톤 보정량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지 않는 구성에 적합하다.
본 구성에 있어서, 비조정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30)는, 조작 출력값(D1)의 변동 범위를 포함하는 출력값-기준-불감대(제1 불감대; GH)를 설정한다. 출력값-기준-불감대(GH) 내에 조작 출력값(D1)이 있는 동안, 수평 키스톤 보정량은 고정된다. 조작 출력값(D1)이 출력값-기준-불감대(GH) 외에 있는 경우, 조작 모드는 조정 모드로 변경된다. 유저의 조작 이외의 요인으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이 바뀌어 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어, 사용의 용이성을 향상할 수 있다.
출력값-기준-불감대 범위(GH)는, 조작 모드가 비조정 모드로 변경했을 때 얻어진 조작 출력값(D1)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변경시의 조작 이외의 요인에 의하여 조작 출력값(D1)이 변동하더라도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바꾸지 않도록 적절한 불감대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 출력값(D1)이 출력값-기준-불감대(GH) 내에 있고 또한 센터 불감대 (제2 불감대; CH) 내에 있는 경우, 제어부(30)는 비조정 모드시에서,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고정한다. 조정 모드에서는, 제어부(30)는 수평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조정 모드에서는 키스톤 보정량을 용이하게 0으로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 이외의 요인으로, 조작 출력값(D1)이 센터 불감대(CH) 내에 들어간 경우에, 키스톤 보정량이 0으로 조정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는, 단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본질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키스톤 보정에 본 발명을 적용했다. 본 발명은 수직 키스톤 보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지된 키스톤 보정에 넓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키스톤 조작부(12)는 슬라이드식의 가변 저항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키스톤 조작부(12)는 회전식의 가변 저항기 또는 가변 저항기 이외의 조작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키스톤 조작부(12)가 영 기준 위치(C)로 조작된 경우에 클릭 상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영 기준 위치(C) 이외의 특정의 조작 위치에서 클릭 상태가 제공되도록 해도 좋다.
전술한 기능부, 예를 들어, 화상 처리부(21), 키스톤 보정부(22) 및 제어부(30)는, 프로젝터(10)의 기능적 구성부품으로서 사용된다. 이들의 구체적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부에 대응하는 하드웨어가 항상 실장될 필요는 없다. 하나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전술한 프로젝터(10)는, 투과형 액정 표시 패널(24A)을 이용하여 화상을 스크린(SC)에 투사하는 타입이다. 반사형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한 프로젝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DMD 방식의 프로젝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3개의 라이트 밸브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투사하는 3-칩 LCD 프로젝터에 더하여, 본 발명은, 1개의 액정 라이트 밸브를 이용하여 RGB에 대응하는 화상을 시분할 방법으로 표시하여 컬러 화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컬러 휠을 구비한 단판(single-chip) DMD 프로젝터 및, 3-칩 DMD 프로젝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광원에 대하여는, 제논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LED 램프 등, 각종의 광원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젝터(10)는, 투사면의 정면(front)측에 배치되어 투사면의 정면에 투사광을 투사하는 타입의 프로젝터(10)일 수도 있다. 또는, 투사면의 배면(rear)측에 배치되어 투사면의 배면에 투사광을 투사하는 타입의 프로젝터(10)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변조하는 기능을 갖는 투사형 표시 장치에 넓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기기(17)로부터 프로젝터(10)에 화상 신호(SA)가 공급된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10)는, 광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외부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그 판독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화상 신호(SA)를 취득할 수도 있다.
10 : 프로젝터(투사형 표시 장치)
12 : 키스톤 조작부
12A : 조작부재
21 : 화상 처리부
22 : 키스톤 보정부(사다리꼴 왜곡 보정부)
23 : 패널 구동부
24A : 액정 표시 패널
24 : 화상 투사부
26 : 센서부
27 : 메모리
30 : 제어부(보정량 설정부)
27A : 변환 데이터
31 : 좌표 변환부
32 : 필터
33 : A/D 컨버터
41 : 클릭 기구
C : 영 기준 위치
D1 : 조작 출력값(출력값)
CH : 센터 불감대(제2 불감대)
GH : 출력값-기준-불감대(제1 불감대)

Claims (15)

  1. 화상을 투사하는 화상 투사부와,
    조작량에 따라서 출력값이 변화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출력값에 따라서 키스톤 보정량을 변화시키는 보정량 설정부와,
    상기 키스톤 보정량에 따라서, 투사하는 화상에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는 키스톤 보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키스톤 보정량이 0인 영 기준 위치(zero reference position)가 상기 조작부의 조작 범위 내에 설정되고,
    상기 영 기준 위치 및 상기 영 기준 위치의 주변의 영역을 포함하는 불감대(dead zone)가 상기 조작부의 상기 조작 범위 내(inside)에 설정되고,
    상기 보정량 설정부는 상기 불감대 내에 대응하는 상기 출력값에 대하여, 상기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하고,
    상기 화상에 화소 보간을 실행하는 필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출력값이 상기 불감대 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필터는 화소 보간을 실행하지 않고, 상기 출력값이 상기 불감대 외(outside)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필터는 화소 보간을 실행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슬라이드식 혹은 회전식의 가변 저항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저항기를 통하여 조작량에 따라서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고,
    상기 보정량 설정부는, 상기 불감대에 대응하는 전압 범위 내의 상기 출력 전압에 따라서, 상기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화상 투사부에 의해 화상이 투사된 투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작될수 있는 슬라이드식의 조작 디바이스이며,
    상기 보정량 설정부는, 상기 투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키스톤 보정량을 설정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는, 상기 키스톤 보정량에 관한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지 않고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불감대 내의 특정의 조작 위치에서 클릭 상태를 제공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영 기준 위치에서 클릭 상태를 제공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8. 조작량에 의존하여 출력값을 변화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출력값에 따라서,키스톤 보정량을 변화시키고,
    상기 키스톤 보정량에 따라서, 투사되는 화상에 키스톤 보정을 실행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 범위 내에, 상기 키스톤 보정량이 0이 되는 영 기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 범위 내에, 상기 영 기준 위치 및 영 기준 위치 주변 영역을 포함하도록 불감대를 설정하고,
    상기 불감대 내에 대응하는 출력값에 대하여, 상기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하고,
    상기 출력값이 불감대 내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화소 보간이 화상에 실행되지 않으며, 상기 출력값이 불감대 외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화소 보간이 화상에 실행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슬라이드식 또는 회전식 가변 저항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량에 따라서, 출력전압을 가변 저항기를 통하여 변화시키고,
    불감대에 대응하는 전압 범위 내에서 상기 출력 전압에 따라서, 상기 키스톤 보정량을 0으로 설정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는 화상 투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화상 투사부에 의하여 화상이 투사되는 투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는 슬라이드식 조작 디바이스이며,
    키스톤 보정량은 상기 투사 방항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스톤 보정량에 관한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지 않으면서 키스톤 보정이 실행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불감대 내의 특정 조작 위치에서 클릭 상태를 제공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영 기준 위치에 클릭 상태를 제공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5. 삭제
KR1020137009276A 2010-09-15 2011-09-12 투사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447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6411 2010-09-15
JP2010206411A JP5671901B2 (ja) 2010-09-15 2010-09-15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CT/JP2011/005115 WO2012035744A2 (en) 2010-09-15 2011-09-12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473A KR20130080473A (ko) 2013-07-12
KR101447987B1 true KR101447987B1 (ko) 2014-10-07

Family

ID=4552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276A KR101447987B1 (ko) 2010-09-15 2011-09-12 투사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386259B2 (ko)
EP (1) EP2617200B1 (ko)
JP (1) JP5671901B2 (ko)
KR (1) KR101447987B1 (ko)
CN (1) CN102404536B (ko)
BR (1) BR112013006978A2 (ko)
RU (1) RU2529645C1 (ko)
TW (1) TWI510094B (ko)
WO (1) WO20120357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1901B2 (ja) * 2010-09-15 2015-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3137368A (ja) * 2011-12-28 2013-07-11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投写表示装置およびその画像表示制御方法
JP5924020B2 (ja) * 2012-02-16 2016-05-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6070307B2 (ja) * 2012-05-21 2017-02-01 株式会社リコー パターン抽出装置、画像投影装置、パターン抽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79478B2 (en) * 2015-11-26 2018-05-22 Ping-Hung Yin Pico projector with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and method for VLC using the same
GB201713051D0 (en) * 2017-08-15 2017-09-27 Imagination Tech Ltd Low latency distortion unit for head mounted displays
CN108363507B (zh) * 2018-01-11 2020-06-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触摸屏死区的补偿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6844A1 (en) 2002-06-12 2004-02-26 Wood John S. Automatic keyston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JP3871905B2 (ja) * 2001-06-19 2007-01-24 Nec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装置
US20100100359A1 (en) * 2008-10-17 2010-04-22 Zeemote, Inc. Sensor Mappi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903A (ja) * 1984-01-07 1985-08-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駆動機械の自動・手動運転制御装置
JPH08251519A (ja) * 1995-03-07 1996-09-27 Nec Home Electron Ltd 投写型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光学系調整装置
KR0173704B1 (ko) * 1995-07-25 1999-03-20 배순훈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비대칭화면 보정장치
EP1811766A3 (en) * 1998-10-02 2008-11-05 Magic Pix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keystone distortion and equalizing luminance
JP2002158946A (ja) * 2000-11-20 2002-05-31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歪補正方法
JP3519393B2 (ja) * 2001-12-26 2004-04-12 株式会社東芝 投射型表示装置
US6974217B2 (en) * 2002-03-20 2005-12-13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executing keystone correction
JP2003345499A (ja) * 2002-05-22 2003-12-05 Nissan Motor Co Ltd 回転式入力処理装置
JP2004273268A (ja) * 2003-03-07 2004-09-30 Calsonic Kansei Corp ロータリスイッチ
US6916098B2 (en) * 2003-05-14 2005-07-12 Infocus Corporation Preset key for a projection device
JP2005223393A (ja) * 2004-02-03 2005-08-18 Casio Comput Co Ltd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投影プログラム
JP3960390B2 (ja) * 2004-05-31 2007-08-15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台形歪み補正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4148241B2 (ja) * 2004-06-03 2008-09-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4241797B2 (ja) * 2006-09-29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台形歪み補正方法
JP2008093271A (ja) * 2006-10-13 2008-04-24 Terumo Corp マニピュレータ
JP4611370B2 (ja) * 2007-12-28 2011-01-12 住友建機株式会社 旋回駆動制御装置及びこれを含む建設機械
JP5217537B2 (ja) * 2008-03-18 2013-06-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電子機器、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JP4826608B2 (ja) * 2008-08-06 2011-11-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及びプログラム
JP5266954B2 (ja) * 2008-08-19 2013-08-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0098728A (ja) * 2008-09-19 2010-04-30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5671901B2 (ja) * 2010-09-15 2015-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1905B2 (ja) * 2001-06-19 2007-01-24 Nec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装置
US20040036844A1 (en) 2002-06-12 2004-02-26 Wood John S. Automatic keyston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00100359A1 (en) * 2008-10-17 2010-04-22 Zeemote, Inc. Sensor Map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65075A (ja) 2012-03-29
KR20130080473A (ko) 2013-07-12
US9386259B2 (en) 2016-07-05
BR112013006978A2 (pt) 2016-07-26
EP2617200B1 (en) 2019-01-02
US20130169889A1 (en) 2013-07-04
TW201223280A (en) 2012-06-01
US9813685B2 (en) 2017-11-07
US20160373707A1 (en) 2016-12-22
CN102404536A (zh) 2012-04-04
WO2012035744A2 (en) 2012-03-22
TWI510094B (zh) 2015-11-21
RU2529645C1 (ru) 2014-09-27
WO2012035744A3 (en) 2012-07-12
JP5671901B2 (ja) 2015-02-18
EP2617200A2 (en) 2013-07-24
CN102404536B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987B1 (ko) 투사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8480237B2 (en) Projector,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rojector
JP4059271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2011205524A (ja) プロジェクター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装置の投写方法
US7484854B2 (en) Projector and pattern image display method
JP5310266B2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892536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adjustment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US991805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adjustment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1065025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2008590A (ja)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2005192188A (ja) プロジェクタ
JP602340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0039047A (ja) 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4756939B2 (ja) プロジェクタ
JP5685871B2 (ja)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7130779A (ja) プロジェクター、撮像装置、及び、撮像画像の補正方法
JP5224639B2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4595961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4238923B2 (ja) 画像表示装置
JP4683022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2016161798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