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892B1 - 어묵 구이기 - Google Patents

어묵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892B1
KR101446892B1 KR1020140072110A KR20140072110A KR101446892B1 KR 101446892 B1 KR101446892 B1 KR 101446892B1 KR 1020140072110 A KR1020140072110 A KR 1020140072110A KR 20140072110 A KR20140072110 A KR 20140072110A KR 101446892 B1 KR101446892 B1 KR 101446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holder
belt
sides
fish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광
Original Assignee
김형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광 filed Critical 김형광
Priority to KR102014007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Abstract

본 발명은 어묵에 결합된 꼬치를 수용하는 꼬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꼬치 홀더를 순환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입측으로 투입된 어묵을 이동시키며, 상기 어묵의 외측에 부품 방지 홀을 천공하는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의 출측에서 이송되는 상기 어묵을 이동시키며, 상기 부품 방지 홀이 천공된 상기 어묵의 양측에서 열을 가하여 상기 어묵의 표면에 구이 색깔을 구현시키는 구이부 및 상기 구이부의 출측에서 경사를 가지며 배치되어 상기 꼬치 홀더에서 상기 꼬치가 벗어나도록 하고, 상기 꼬치 홀더에서 벗어난 상기 어묵과 상기 꼬치를 각각 고정하며, 경사 변화에 의해 상기 어묵과 상기 꼬치를 분리시키는 꼬치 빼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묵 구이기{Boiled fish paste roaster}
본 발명은 어묵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꼬치가 결합된 판상의 어묵의 양면을 구워 노릇노릇한 구이 색깔을 구현하고, 구이 색깔 구현이 완료된 어묵의 꼬치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어묵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굽는 방법으로는 팬과 같은 조리용구를 매개로 가스렌지 등의 화기 위에서 굽거나, 숯불을 사용하여 직화 구이방식으로 굽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직화 구이방식은 강한 화력과 더불어 복사열전달방식으로 음식의 속 부분까지 골고루 전달되는 열에 의해 음식을 익히게 됨에 따라 음식의 맛이 향상되어, 직화 구이방식으로 조리된 음식을 많은 사람이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직화 구이방식은 음식의 양면이 노릇느릇한 색깔이 발현되도록 골고루 구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구워진 후 고온의 음식이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8-056913호(공개일 : 1998.10.15)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어묵 구이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꼬치가 결합된 어묵의 양면을 구워 노릇노릇한 구이 색깔을 구현할 수 있는 어묵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이 색깔 구현이 완료된 어묵의 꼬치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어묵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는 어묵에 결합된 꼬치를 수용하는 꼬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꼬치 홀더를 순환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입측으로 투입된 어묵을 이동시키며, 상기 어묵의 외측에 부품 방지 홀을 천공하는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의 출측에서 이송되는 상기 어묵을 이동시키며, 상기 부품 방지 홀이 천공된 상기 어묵의 양측에서 열을 가하여 상기 어묵의 표면에 구이 색깔을 구현시키는 구이부 및 상기 구이부의 출측에서 경사를 가지며 배치되어 상기 꼬치 홀더에서 상기 꼬치가 벗어나도록 하고, 상기 꼬치 홀더에서 벗어난 상기 어묵과 상기 꼬치를 각각 고정하며, 경사 변화에 의해 상기 어묵과 상기 꼬치를 분리시키는 꼬치 빼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꼬치 빼기부는 상기 꼬치 홀더의 상부에 배치되고,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꼬치의 양측을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꼬치 이송벨트 및 상기 꼬치 이송벨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묵의 양측을 가압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꼬치 이송벨트보다 큰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꼬치 이송벨트와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꼬치를 분리시키는 어묵 이송벨트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꼬치 이송벨트는 상기 어묵 이송벨트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꼬치 이송벨트는 상기 꼬치의 양측을 가압하는 가압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꼬치 빼기부는 상기 꼬치 이송벨트의 출측에 설치되고, 상기 어묵에서 분리된 상기 꼬치가 낙하되어 적재되도록 형성되는 배출슈트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천공부는 상기 꼬치 홀더의 상부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바늘이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이동하는 상기 어묵의 양측에 상기 부품 방지홀을 천공하는 천공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구이부는 상기 어묵의 양측에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 설치되고, 이동하는 상기 어묵의 표면을 화염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꼬치 홀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꼬치를 지지하며, 이동하는 상기 꼬치의 이동 높이를 고정하는 높이 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꼬치가 결합된 어묵의 양면을 구워 노릇노릇한 구이 색깔을 구현하고, 구이 색깔 구현이 완료된 어묵이 이동 경로를 따라 꼬치 빼기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어묵과 꼬치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어묵에 꼬치를 결합시켜 꼬치의 핸들링을 통해 어묵이 용이하게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이 색깔 구현을 위해 가열된 어묵의 꼬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 색깔 구현 이전에 어묵의 표면에 미세 구멍이 천공되도록 함으로써, 구이 색깔 구현 시 고온의 열에 의해 어묵의 표면이 부푸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이송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꼬치 수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천공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구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꼬치 빼기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꼬치 고정벨트의 상부 및 측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꼬치 고정벨트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어묵 고정벨트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이송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묵 구이기는 이송수단(100), 천공부(200), 구이부(300) 및 꼬치 빼기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이송수단(100)은 어묵(10)에 결합된 꼬치(12)를 수용하는 꼬치 홀더(110)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수단(100)은, 상기 꼬치 홀더(110)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꼬치(12)에 결합된 상기 어묵(1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꼬치 홀더(110)가 이송경로를 따라 순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이송수단(100)은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레일의 형태로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상기 꼬치 홀더(110)가 설치되어 상기 어묵(10)이 천공부(200), 구이부(300) 및 꼬치 빼기부(400)를 통과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200)는 상기 이송수단(100)의 입측으로 투입된 어묵(10)을 이동시키며, 상기 어묵의 외측에 부품 방지 홀(200a)을 천공한다.
다시 말해, 상기 천공부(200)는 상기 어묵(10)의 이송경로 상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통과하는 상기 어묵(10)의 외측에 상기 부품 방지 홀(200a)을 천공시킴으로써, 상기 어묵(10)이 구이부(300)를 통과하면서 열에 의해 부푸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공부(200)는 상기 어묵(10)의 길이와 같거나 긴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전에 의해 통과하는 상기 어묵(10)의 외측에 상기 부품 방지 홀(200a)을 천공시킨다.
구이부(300)는, 꼬치 홀더(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가열 구간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설치된다.
상기 구이부(300)는, 상기 부품 방지 홀(200a)이 천공된 상기 어묵(10)의 양측에서 기설정도 온도로 열을 가하여 상기 어묵(10)의 표면에 구이 색깔을 구현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이부(300)를 통과한 상기 어묵(10)은 꼬치 빼기부(400)로 이송되어 상기 어묵(10)과 꼬치(12)가 분리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꼬치 빼기부(400)는 상기 구이부(300)의 출측에서 경사를 가지며 배치되어 꼬치 홀더(110)에서 상기 꼬치(12)가 벗어나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꼬치 빼기부는(400)는 1차적으로 상기 꼬치 홀더(110)에서 상기 꼬치(12)가 벗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꼬치 홀더(110)에서 벗어난 어묵(10)과 상기 꼬치(12)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어묵(10)에서 상기 꼬치(12)를 분리시킨다.
즉, 상기 꼬치 빼기부(400)는 상기 꼬치 홀더(100)의 상부에서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며 상기 어묵(10)과 상기 꼬치(12)를 각각 고정하도록 형성되고,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점차적으로 상기 어묵(10)에서 상기 꼬치(12)가 분리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어묵 구이기는 상기 어묵(10)의 표면을 구워 노릇노릇한 구이 색깔을 구현하고, 구이 색깔 구현이 완료된 어묵이 상기 꼬치 빼기부(40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어묵(10)과 상기 꼬치(12)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어묵 구이기는 고온의 구이부(300)를 통과함에 따라 가열된 상태의 상기 꼬치(12)를 효과적으로 상기 어묵(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꼬치 수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묵 구이기는 어묵(10)에 결합된 꼬치(12)를 수용하는 꼬치 홀더(1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꼬치 홀더(110)는 상기 꼬치(20)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체결부재(500)를 통해 상기 꼬치(12)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꼬치 홀더(110)는 일측에 복수개의 체결 홀(110a)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꼬치(20)가 인입되면, 상기 체결 홀(110a)에 삽입된 상기 체결부재(5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꼬치(12)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꼬치 홀더(110)는 인입된 상기 꼬치(12)의 하부를 지지하고, 이동하는 상기 꼬치(12)의 이동 높이를 고정하는 높이 고정부(110b)를 구비한다.
상기 높이 고정부(110b)는, 상기 꼬치(12)가 순환됨에 있어서, 일정한 높이로 순환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꼬치 홀더(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높이 고정부(110b)는 상기 꼬치(12)의 이동 시 체결부재(500)를 통해 가압력이 약해지더라도 상기 꼬치(12)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천공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묵 구이기는 어묵의 외측에 부품 방지 홀(200a)을 천공하는 천공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200)는 꼬치 홀더(110)의 상부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바늘(210a)이 구비되는 천공부재(21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천공부재(210)는 상기 꼬치 홀더(110)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결합 가이드(220)에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이동하는 어묵(10)의 양측에 부품 방지 홀(200a)을 천공한다.
다시 말해, 상기 천공부재(21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이 회전하여 이송수단(100)의 입측으로 투입된 상기 어묵(10)에 상기 부품 방지 홀(200a)을 천공함으로써, 상기 어묵(10)이 구이부(300)에 투입되어 열에 의해 부푸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이하,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구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묵 구이기는 부품 방지 홀(200a)이 천공된 어묵(10)이 양측에서 열을 가하여 상기 어묵(10)의 표면에 구이 색깔을 구현시키는 구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이부(300)는 상기 어묵(10)의 양측에 간격을 형성하며 복수개 설치되고, 이동하는 상기 어묵(10)의 표면을 화염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재(310)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부재(310)는, 동일한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고, 이동하는 상기 어묵(10) 전체로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구이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열부재(310)는 상기 어묵(10)의 표면에 노릇노릇한 구이 색깔이 구현되도록 기설정된 온도로 상기 어묵(10)을 가열하며, 상기 온도는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꼬치 빼기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꼬치 이송벨트 및 어묵 이송벨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묵 구이기는 구이부(300)의 출측에서 경사를 가지며 배치되어 꼬치 홀더(110)에서 꼬치(12)가 벗어나도록 하고, 상기 꼬치 홀더(110)에서 벗어난 어묵(10)과 상기 꼬치(12)를 각각 고정하며, 경사 변화에 의해 상기 어묵(10)과 상기 꼬치(12)를 분리시키는 꼬치 빼기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꼬치 빼기부는(400)는 경사 변화에 의해 상기 어묵(10)과 상기 꼬치(12)가 분리되도록 꼬치 이송벨트(410) 및 어묵 이송벨트(42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치 홀더(110)의 상부에 한 쌍이 레일(420)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꼬치(12)가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꼬치(12)의 양측을 가압하여 이송시킨다.
즉,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는 상기 꼬치 홀더(110)보다 큰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송수단(100)과 동일한 속도로 구동됨으로써, 경사 변화에 의해 상기 꼬치(12)가 자연스럽게 상기 꼬치 홀더(110)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꼬치(12)의 양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두께 조절판(410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두께 조절판(410b)은 한 쌍의 레일(420)을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꼬치(12)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한 쌍의 레일(410a)에 각각 설치된 상기 두께 조절판(410)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이동하는 상기 꼬치(12)에 대한 가압력을 확보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꼬치(12)가 직립된 상태로 꼬치 이송벨트(410)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어묵 이송벨트(420)는 꼬치 이송벨트(4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어묵(10)의 양측을 가압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보다 큰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어묵 이송벨트(420)는 경사 변화에 의해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와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어묵(10)과 꼬치(12)를 분리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어묵 이송벨트(420)는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를 통해 상기 꼬치(12)가 직립된 상태로 어묵(10)이 인입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묵(10)의 양측을 어묵 가압부재(420a)를 통해 가압하여 이송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어묵 이송벨트(420)는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와의 간격 차로 인해 상기 어묵(10)에서 상기 꼬치(12)가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어묵 가압부재(420a)는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와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 상기 어묵(10)과 상기 꼬치(12)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어묵(10)을 효과적으로 고정하도록 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묵 이송벨트(420)는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며, 상기 어묵(10)에서 상기 꼬치(12)가 분리되면 상기 어묵 이송벨트(420)의 출측에 설치된 배출 컨베이어(420b)에 의해 상기 어묵(10)이 제품 상태로 배출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어묵 구이기는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가 꼬치 홀더(110)보다 큰 경사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꼬치 홀더(110)에서 꼬치(12)가 벗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보다 상기 어묵 이송벨트(420)가 큰 경사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와 상기 어묵 이송벨트(420)의 간격 차에 의해 어묵(10)과 상기 꼬치(12)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하,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묵 구이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어묵 구이기는 꼬치 빼기부(400)를 형성하는 꼬치 이송벨트(410)와 어묵 이송벨트(420) 사이의 경사 변화에 의해 어묵(10)과 꼬치(12)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꼬치 빼기부(40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도 6을 통해 상술되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꼬치 빼기부(400)는 꼬치 이송벨트(410)의 출측에 설치되고, 어묵(10)에서 분리된 꼬치(12)가 낙하되어 적재되로고 형성되는 배출슈트(430)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슈트(43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각의 트레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꼬치 홀더(110)와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 사이의 지지부재(440)에 경사를 가지며 설치되며,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를 통과한 상기 꼬치(12)가 낙하되어 적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어묵 구이기는 꼬치 빼기부(400)를 통해 어묵(10)과 상기 꼬치(12)가 분리되면, 상기 꼬치 이송벨트(410)의 출측에서 분리된 상기 꼬치(12)가 낙하하여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묵(12)에서 분리된 상기 꼬치(12) 회수에 따른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꼬치가 결합된 어묵의 양면을 구워 노릇노릇한 구이 색깔을 구현하고, 구이 색깔 구현이 완료된 어묵이 이동 경로를 따라 꼬치 빼기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어묵과 꼬치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어묵에 꼬치를 결합시켜 꼬치의 핸들링을 통해 어묵이 용이하게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구이 색깔 구현을 위해 가열된 어묵의 꼬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 색깔 구현 이전에 어묵의 표면에 미세 구멍이 천공되도록 함으로써, 구이 색깔 구현 시 고온의 열에 의해 어묵의 표면이 부푸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어묵 12 : 꼬치
100 : 이송수단 110 : 꼬치 홀더
110a : 체결 홀 110b : 높이 고정부
200 : 천공부 200a : 부품 방지 홀
210 : 천공부재 210a : 바늘
220 : 결합 가이드 300 : 구이부
310 : 가열부재 400 : 꼬치 빼기부
410 : 꼬치 이송벨트 410a : 레일
410b : 두께 조절판 420 : 어묵 이송벨트
420a : 어묵 가압부재 420b : 배출 컨베이어
430 : 배출슈트 440 : 지지부재
500 : 체결부재

Claims (8)

  1. 어묵에 결합된 꼬치를 수용하는 꼬치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꼬치 홀더를 순환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입측으로 투입된 어묵을 이동시키며, 상기 어묵의 외측에 부품 방지 홀을 천공하는 천공부;
    상기 천공부의 출측에서 이송되는 상기 어묵을 이동시키며, 상기 부품 방지 홀이 천공된 상기 어묵의 양측에서 열을 가하여 상기 어묵의 표면에 구이 색깔을 구현시키는 구이부; 및
    상기 구이부의 출측에서 경사를 가지며 배치되어 상기 꼬치 홀더에서 상기 꼬치가 벗어나도록 하고, 상기 꼬치 홀더에서 벗어난 상기 어묵과 상기 꼬치를 각각 고정하며, 경사 변화에 의해 상기 어묵과 상기 꼬치를 분리시키는 꼬치 빼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꼬치 홀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꼬치를 지지하며, 이동하는 상기 꼬치의 이동 높이를 고정하는 높이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치 빼기부는,
    상기 꼬치 홀더의 상부에 배치되고,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꼬치의 양측을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꼬치 이송벨트; 및
    상기 꼬치 이송벨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묵의 양측을 가압하여 이송시키고, 상기 꼬치 이송벨트보다 큰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꼬치 이송벨트와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하여 상기 꼬치를 분리시키는 어묵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구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꼬치 이송벨트는,
    상기 어묵 이송벨트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구이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꼬치 이송벨트는,
    상기 꼬치의 양측을 가압하는 가압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구이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꼬치 빼기부는,
    상기 꼬치 이송벨트의 출측에 설치되고, 상기 어묵에서 분리된 상기 꼬치가 낙하되어 적재되도록 형성되는 배출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구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꼬치 홀더의 상부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바늘이 구비되며, 회전을 통해 이동하는 상기 어묵의 양측에 상기 부품 방지홀을 천공하는 천공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구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는,
    상기 어묵의 양측에서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 설치되고, 이동하는 상기 어묵의 표면을 화염으로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 구이기.
  8. 삭제
KR1020140072110A 2014-06-13 2014-06-13 어묵 구이기 KR101446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110A KR101446892B1 (ko) 2014-06-13 2014-06-13 어묵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110A KR101446892B1 (ko) 2014-06-13 2014-06-13 어묵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892B1 true KR101446892B1 (ko) 2014-10-01

Family

ID=5199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110A KR101446892B1 (ko) 2014-06-13 2014-06-13 어묵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761A (ko) * 2015-03-17 2016-09-27 드라이스팀 주식회사 연속 조리가 가능한 식품 조리 장치
KR101732887B1 (ko) 2016-07-22 2017-05-2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45A (ja) * 1991-07-24 1993-02-02 Yamazaki Koki Kk 竹輪焼成機
JPH08187063A (ja) * 1995-01-09 1996-07-23 Yamazaki Koki Kk 竹輪の焼成装置
JP2007007372A (ja) 2005-07-02 2007-01-18 Nanashimaya Engineering:Kk 串刺し食品焼成装置とその串ホルダ
KR101007237B1 (ko) 2009-11-13 2011-01-13 (주)이에스푸드 꼬치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45A (ja) * 1991-07-24 1993-02-02 Yamazaki Koki Kk 竹輪焼成機
JPH08187063A (ja) * 1995-01-09 1996-07-23 Yamazaki Koki Kk 竹輪の焼成装置
JP2007007372A (ja) 2005-07-02 2007-01-18 Nanashimaya Engineering:Kk 串刺し食品焼成装置とその串ホルダ
KR101007237B1 (ko) 2009-11-13 2011-01-13 (주)이에스푸드 꼬치구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1761A (ko) * 2015-03-17 2016-09-27 드라이스팀 주식회사 연속 조리가 가능한 식품 조리 장치
KR101695401B1 (ko) 2015-03-17 2017-01-11 드라이스팀 주식회사 연속 조리가 가능한 식품 조리 장치
KR101732887B1 (ko) 2016-07-22 2017-05-2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58917A1 (en) Grilling Oven
CN108463147A (zh) 用于烹饪或再加热食物的传送式烧烤器具
KR101446892B1 (ko) 어묵 구이기
US20080066734A1 (en) Grill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improved grill
US11284747B2 (en) Chop rack
EP3114973A1 (en) Multi-zone spit-rotisserie device for meat roasting and grilling
KR101334913B1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KR101798893B1 (ko) 장어구이용 조리 시스템
KR101620485B1 (ko) 구이용 불판
KR200433080Y1 (ko) 숯불 구이기
KR101023663B1 (ko) 자동 구이 장치
KR101366121B1 (ko) 어묵 양면 구이기
US3996847A (en) Apparatus for heating food products
WO2005048790A2 (en) A combination toaster/caramelizer oven
KR20120114207A (ko) 영양분과 유해성분을 분리하는 3중석쇠
KR101695401B1 (ko) 연속 조리가 가능한 식품 조리 장치
KR101857443B1 (ko) 구이장치
KR101118792B1 (ko) 바비큐 장치
CA2370871A1 (en) Robogrill
KR101521285B1 (ko) 꼬치용 스팀 가열장치
KR100593951B1 (ko) 고기구이 장치
CN107711931A (zh) 一种牛肉烘烤箱
KR200390600Y1 (ko) 구이용 숯판의 구조
KR101740588B1 (ko)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KR101823520B1 (ko) 훈연맛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