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588B1 -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0588B1 KR101740588B1 KR1020160106196A KR20160106196A KR101740588B1 KR 101740588 B1 KR101740588 B1 KR 101740588B1 KR 1020160106196 A KR1020160106196 A KR 1020160106196A KR 20160106196 A KR20160106196 A KR 20160106196A KR 101740588 B1 KR101740588 B1 KR 1017405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ewer
- grill
- handle
- wooden
- heat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고정장치는, 일측에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중심축의 외측면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와, 판재를 측면단부가 엎어진 'ㄹ'자 형태가 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나무꼬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나무꼬치를 이용하여 고기의 풍미를 더하고, 화상의 위험이나 자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무꼬치를 이용하여 고기의 풍미를 더하고, 화상의 위험이나 자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무꼬치가 불에 연소되지 않으면서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주로 육류를 익히는 다양한 방식 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방식은 직화라고 할 수 있으나 직화는 일반 가정에서는 쉽게 접하기 힘들기에 전문 업소나 야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서양과 아랍권에서의 전통 방식은 육류를 통으로 또는 큼직하게 덩어리로 썰고 이를 스큐어(Skewer)에 꽂은 다음 직화 위에서 서서히 돌려가면서 익은 겉부분을 잘라내어 먹고 속 부분은 다시 익히는 방식으로 한쪽은 직화와 접하여 바삭하게 익은 반면에 다른 한쪽은 부드러운 식감을 느낄 수 있는 꼬치구이방식이 아직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꼬치구이의 장점은 비교적 작은 덩어리의 육류를 순차적으로 스큐어에 끼우되 그 사이에 각종 야채나 과일을 같이 끼워 굽도록 하여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다만, 고르게 익도록 하기 위하여 스큐어를 계속 사람이 돌려주어야 하고, 불 조절이 용이하지 않으며, 철제 꼬치의 경우 과열되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으며, 잘못 사용하면 흉기가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00340호는 꼬치 자동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야외에서 인력으로 스큐어(Skewer)를 돌리지 않고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인력의 소모를 줄이고 스큐어를 용이하게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과 보관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의 경우에도 철제꼬치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위험성이 있으며, 열원과 스큐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스큐어를 수동으로 승하강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나무꼬치를 이용하여 고기의 풍미를 더하고, 화상의 위험이나 자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꼬치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나무꼬치를 절곡된 판재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고정결합시켜 나무꼬치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꼬치구이를 하는 경우에 나무꼬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꼬치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중 석쇠를 이용하여 나무꼬치의 고기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이 직접 열원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꼬치구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중 석쇠의 위치를 가변시켜 열원으로부터 나무꼬치에 전달되는 열기를 조절할 수 있어 고기를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는 자동꼬치구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고정장치는, 일측에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중심축의 외측면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와, 판재를 측면단부가 엎어진 'ㄹ'자 형태가 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나무꼬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중심판에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U'자 형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내측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상기 나무꼬치의 일측이 상기 끼움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꼬치고정장치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는,일측에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중심축의 외측면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와, 판재를 측면단부가 엎어진 'ㄹ'자 형태가 되도록 절곡하여 형성하고,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나무꼬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꼬치고정장치와, 거치홈을 통해 상기 나무꼬치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꼬치거치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하도록 상부에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가 평면상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나무꼬치가 상기 꼬치거치부 상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와, 열원이 수용되는 열원수용부의 상부에 복수의 석쇠가 중첩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나무꼬치로 공급되는 열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석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석쇠부는 단면이 '∨'자, '∪'자, '└┘'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절곡되는 복수의 선재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 석쇠부와, 단면이 '∨'자, '∪'자, '└┘'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절곡되는 복수의 선재가 상기 제1 석쇠부의 하부의 이격된 공간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2 석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석쇠부는 평면상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제1 석쇠부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열원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무꼬치를 이용하여 고기의 풍미를 더하고, 화상의 위험이나 자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나무꼬치를 절곡된 판재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고정결합시켜 나무꼬치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꼬치구이를 하는 경우에 나무꼬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석쇠를 이용하여 나무꼬치의 고기로부터 흘러나오는 기름이 직접 열원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석쇠의 위치를 가변시켜 열원으로부터 나무꼬치에 전달되는 열기를 조절할 수 있어 고기를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고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꼬치고정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 중 꼬치거치부 및 이송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 중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구동부의 세부 구성도,
도 7은 도 3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 중 석쇠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석쇠부 중 제2 석쇠부가 제1 석쇠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꼬치고정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 중 꼬치거치부 및 이송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 중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구동부의 세부 구성도,
도 7은 도 3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 중 석쇠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석쇠부 중 제2 석쇠부가 제1 석쇠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고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꼬치고정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고정장치(100)는 손잡이부(110), 회전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꼬치고정장치(100)는 손잡이부(110)의 일측과 연결부(130)와 연결된 나무꼬치(10)의 일단이 거치되면서, 회전부(120)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되면서 나무꼬치(10)에 끼워진 고기들을 회전하면서 구울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하, 손잡이부(110), 회전부(120) 및 연결부(1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손잡이부(110)는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110)는 원형, 삼각형, 구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10)의 외표면은 커버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손잡이부(110)는 원통형의 중심축의 일단을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분리 가능한 손잡이를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손잡이부(110)의 중심축에는 후술하는 회전부(120) 및 연결부(130)가 일체로 연결되거나, 탈착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120)는 손잡이부(110)의 중심축의 외측면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재이다. 회전부(120)는 기 설정된 두께로 형성되는 원형판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돌기(121)가 형성된다. 이 경우, 걸림돌기(121)는 외부의 동력부재에 걸려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손잡이부(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경우, 회전부(120)의 반경 및 걸림돌기(121)의 간격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회전부(120)는 다각형의 판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부(130)는 판재를 측면단부가 엎어진 'ㄹ'자 형태가 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며, 손잡이부(110)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나무꼬치(10)를 고정하는 연결부재이다. 연결부(130)의 일측은 손잡이부(110)의 중심축이 연결되고, 타측은 나무꼬치(10)가 삽입되는 관통공(13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관통공(131)을 통해 나무꼬치(10)가 삽입되면 연결부(130)를 통해 고정되면서 손잡이부(110)까지 연결되어 하나의 꼬치고정장치(100)를 형성한다. 연결부(130)는 엎어진 'ㄹ'자 형태 외에 'V'자, 'W'자, 'M'자 중 어느 한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30)의 중심판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U'자 형태의 끼움홈(13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손잡이부(110)의 중심축, 관통공(131) 및 끼움홈(132)의 중심이 동일 축상에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30) 중 끼움홈(132)에는 내측을 따라 톱니(133)가 형성되어 관통공(131)을 통해 삽입된 나무꼬치(10)의 일측이 끼움홈(13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 경우, 끼움홈(132)의 중심부는 나무꼬치(10)의 단면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공(131)을 통해 결합된 나무꼬치(10)는 끼움홈(132)의 중심으로 밀면서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나무꼬치(10)는 연결부(130)와 고정되면서 손잡이부(110)와도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 중 꼬치거치부 및 이송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 중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구동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3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 중 석쇠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석쇠부 중 제2 석쇠부가 제1 석쇠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꼬치구이장치(1000)는 꼬치고정장치(100), 꼬치거치부(200), 이송부(300), 구동부(400) 및 석쇠부(500)를 포함한다.
꼬치고정장치(100)는 손잡이부(110), 회전부(120) 및 연결부(130)로 구성되며, 나무꼬치에 고기를 끼워서 고정한다. 이 경우, 손잡이부(110), 회전부(120) 및 연결부(1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나무꼬치의 선단은 후술하는 꼬치거치부(200)의 일측에 거치되고, 나무꼬치의 타단은 꼬치거치부(200)의 타측에 거치된다. 꼬치고정장치(100)의 회전부(120)는 후술하는 이송부(300)와 결합되어 이송부(30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꼬치거치부(200)는 거치홈(210)을 통해 나무꼬치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한다. 꼬치거치부(200)는 대향하는 두 개의 판재의 각각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거치홈(210)이 형성된다. 대향하는 거치홈(210)에는 나무꼬치의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거치된다. 꼬치거치부(200)에 형성되는 거치홈(210)의 크기, 위치, 개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거치홈(210)은 나무꼬치 또는 꼬치고정장치(100)의 중심축이 거치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꼬치거치부(200)는 상부거치대(22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거치대(220)는 꼬치거치부(200)의 상부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로 이격되어 나무꼬치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나무꼬치에 끼워진 고기가 다 구워진 경우 이를 거치홈(210)으로부터 분리하여 올려놓기 위함이다. 상부거치대(220)의 높이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꼬치거치부(200)는 상하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꼬치거치부(200)에 나무꼬치가 거치되면서 후술하는 석쇠부(500)의 상부로 기 설정된 높이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 경우, 꼬치거치부(200)는 승강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 경우, 꼬치거치부(200)는 이송부(300)와 함께 승하강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석쇠부(500)와의 이격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나무꼬치에 끼워진 고기를 보다 다양하게 굽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송부(300)는 꼬치고정장치(100)의 회전부(120)가 회전하도록 일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부재이다. 이송부(300)는 상부 평면에 복수의 걸림홈(310)이 형성된 복수의 레일이 대향하면서 배열되며, 평면이 'ㅁ'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이송부(300)의 천공된 내부 영역에는 꼬치거치부(200)가 위치하며, 천공된 영역은 꼬치거치부(20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송부(300)가 꼬치거치부(200)를 내부에 위치시킨 후, 평면상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송부(300)의 걸림홈(310)에는 꼬치고정장치(100) 중 회전부(120)의 걸림돌기가 맞물리면서 결합된다. 이송부(300)가 평면상에서 일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경우 걸림홈(310)의 이동에 따라 꼬치거치부(200)에 고정된 꼬치고정장치(100)는 거치홈(210) 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이송부(300)의 하부 일측에는 고정로드(320)가 형성된다. 고정로드(320)는 후술하는 구동부(400)와 연결되어 구동부(400)의 출력에 따라 이송부(300)가 왕복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송부(300)의 하부에는 복수의 롤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는 이송부(300)가 왕복운동하는 경우 테이블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줄이고, 이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경우, 복수의 롤러의 크기 및 배열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구동부(400)는 이송부(300)가 평면상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이동시켜, 나무꼬치가 꼬치거치부(200)의 거치홈(210) 상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구동부(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원수용부(6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이송부(300)의 고정로드(320)와 연결되어 이송부(300)와 맞닿는 꼬치고정장치(100)를 회전시킨다. 이송부(300)는 평면상의 어느 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이와 연동하여 꼬치고정장치(10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부(400)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하며, 이송부(300)를 이동시키는 속도 및 방향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4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410), 회전롤러(420) 및 왕복로드(430)를 포함한다. 모터(410)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기 설정된 회전속도로 정역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롤러(420)는 모터(41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이 경우, 회전롤러(420)는 왕복로드(430)와 링크부재로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왕복로드(430)는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이송부(300)의 고정로드(32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왕복로드(430)의 절곡된 상부에는 삽입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고정로드(3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왕복로드(430)는 회전롤러(420)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이송부(300)가 평면상에 일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한다.
석쇠부(500)는 열원이 수용되는 열원수용부(600)의 상부에 복수의 석쇠가 중첩적으로 위치하여 나무꼬치로 공급되는 열원의 세기를 조절한다. 석쇠부(500)는 이중의 석쇠로 구성되어 나무꼬치에 끼워진 고기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이 직접 열원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기가 고기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석쇠부(500)는 제1 석쇠부(510) 및 제2 석쇠부(520)를 포함한다.
석쇠부(500) 중 제1 석쇠부(510)는 단면이 '∨'자, '∪'자, '└┘'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절곡되는 복수의 선재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1 석쇠부(510)는 상부에 위치하는 석쇠를 의미한다. 제1 석쇠부(510)의 일측에는 석쇠손잡이(5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석쇠부(510)의 복수의 선재 간의 간격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제1 석쇠부(510)는 1차적으로 나무꼬치의 고기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석쇠부(510)의 상부에 직접 나무꼬치를 올려놓고 굽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석쇠부(510)는 중앙에서 외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나무꼬치의 고기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을 외곽으로 흐르게 하기 위함이다. 제1 석쇠부(510)는 석쇠레일(512)이 형성된다. 석쇠레일(512)은 제1 석쇠부(51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다. 석쇠레일(512)은 제2 석쇠부(520)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2 석쇠부(520)는 제1 석쇠부(5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석쇠부(500) 중 제2 석쇠부(520)는 단면이 '∨'자, '∪'자, '└┘'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절곡되는 복수의 선재가 제1 석쇠부(510)의 하부의 이격된 공간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2 석쇠부(520)는 하부에 위치하는 석쇠를 의미한다. 제2 석쇠부(520)는 제1 석쇠부(510)와 기 설정된 높이 차이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석쇠부(520)의 복수의 선재는 제1 석쇠부(510)의 복수의 선재와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석쇠부(510)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기름이 제2 석쇠부(520)에 수용되어 직접적으로 열원에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석쇠부(520)는 중앙에서 외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나무꼬치의 고기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을 외곽으로 흐르게 하기 위함이다. 제2 석쇠부(520)의 일측에는 걸이부(521)가 형성된다. 걸이부(521)는 제2 석쇠부(520)를 제1 석쇠부(5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갈고리 등에 의해 걸려져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석쇠부(520)의 하부에는 받침부(522)가 형성된다. 받침부(522)는 제2 석쇠부(5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1 석쇠부(510)의 석쇠레일(512)을 따라 이동한다.
한편, 제2 석쇠부(520)는 평면상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제1 석쇠부(510)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열원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400)와 제2 석쇠부(520)가 연결되어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제2 석쇠부(520)를 왕복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나무꼬치에 고기를 익히는 초반에는 제1 석쇠부(510)와 제2 석쇠부(520)를 나란하게 배열하여 열원으로부터 열기가 직접 고기에 닿도록 할 수 있다. 고기가 어느 정도 익은 상태에서는 제1 석쇠부(510)와 제2 석쇠부(520)를 엇갈리게 위치시켜 고기로부터 유출되는 기름이 열원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석쇠부(520)를 이동시켜 열원으로부터의 열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나무꼬치
100 : 꼬치고정장치
110 : 손잡이부
120 : 회전부
121 : 걸림돌기
130 : 연결부
131 : 관통공
132 : 끼움홈
133 : 톱니
1000 : 자동꼬치구이장치
100 : 꼬치고정장치
200 : 꼬치거치부
210 : 거치홈
220 : 상부거치대
300 : 이송부
310 : 걸림홈
320 : 고정로드
400 : 구동부
410 : 모터
420 : 회전롤러
430 : 왕복로드
500 : 석쇠부
510 : 제1 석쇠부
511 : 석쇠손잡이
512 : 석쇠레일
520 : 제2 석쇠부
521 : 걸이부
522 : 받침부
600 : 열원수용부
100 : 꼬치고정장치
110 : 손잡이부
120 : 회전부
121 : 걸림돌기
130 : 연결부
131 : 관통공
132 : 끼움홈
133 : 톱니
1000 : 자동꼬치구이장치
100 : 꼬치고정장치
200 : 꼬치거치부
210 : 거치홈
220 : 상부거치대
300 : 이송부
310 : 걸림홈
320 : 고정로드
400 : 구동부
410 : 모터
420 : 회전롤러
430 : 왕복로드
500 : 석쇠부
510 : 제1 석쇠부
511 : 석쇠손잡이
512 : 석쇠레일
520 : 제2 석쇠부
521 : 걸이부
522 : 받침부
600 : 열원수용부
Claims (5)
- 일측에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서 중심축의 외측면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 및
판재를 측면단부가 엎어진 'ㄹ'자 형태가 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나무꼬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중심판에 중심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U'자 형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의 내측을 따라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상기 나무꼬치의 일측이 상기 끼움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꼬치고정장치. - 삭제
- 일측에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중심축의 외측면으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고, 타측에 나무꼬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꼬치고정장치;
거치홈을 통해 상기 나무꼬치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꼬치거치부;
상기 회전부의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하도록 상부에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가 평면상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나무꼬치가 상기 꼬치거치부 상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 및
열원이 수용되는 열원수용부의 상부에 복수의 석쇠가 중첩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나무꼬치로 공급되는 열원의 세기를 조절하되,
단면이 '∨'자, '∪'자, '└┘'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절곡되는 복수의 선재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 석쇠부와, 단면이 '∨'자, '∪'자, '└┘'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절곡되는 복수의 선재가 상기 제1 석쇠부의 하부의 이격된 공간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2 석쇠부를 포함하는 석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석쇠부는,
평면상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제1 석쇠부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열원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꼬치고정장치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6196A KR101740588B1 (ko) | 2016-08-22 | 2016-08-22 |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6196A KR101740588B1 (ko) | 2016-08-22 | 2016-08-22 |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5347A Division KR20180021638A (ko) | 2017-04-28 | 2017-04-28 | 자동꼬치구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0588B1 true KR101740588B1 (ko) | 2017-05-26 |
Family
ID=5905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6196A KR101740588B1 (ko) | 2016-08-22 | 2016-08-22 |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058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0515B1 (ko) * | 2019-11-22 | 2021-05-10 | 양진운 | 자동 꼬치구이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4799B2 (ja) * | 1992-11-30 | 2001-06-11 |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 スチームアイロン |
KR200433479Y1 (ko) * | 2006-09-30 | 2006-12-11 | 신명철 | 직화 구이 석쇠 |
-
2016
- 2016-08-22 KR KR1020160106196A patent/KR1017405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4799B2 (ja) * | 1992-11-30 | 2001-06-11 |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 スチームアイロン |
KR200433479Y1 (ko) * | 2006-09-30 | 2006-12-11 | 신명철 | 직화 구이 석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0515B1 (ko) * | 2019-11-22 | 2021-05-10 | 양진운 | 자동 꼬치구이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01971A (en) | Shish kabob rotisserie | |
US4572062A (en) | Rotisserie grill | |
US8087352B2 (en) | Rotisserie spit | |
US8850966B2 (en) | Food retainer for rotary grill | |
KR20120103012A (ko) |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 |
KR200475816Y1 (ko) | 양면 구이용 자동 꼬치구이기 | |
KR101740588B1 (ko) |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 |
WO2015109076A1 (en) | Automatic grill, in particular an automatic grill for evenly cooking food | |
KR101292452B1 (ko) | 구이판 높이조절대 | |
KR20180021638A (ko) | 자동꼬치구이장치 | |
KR20100090673A (ko) |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 |
KR101334913B1 (ko) | 자동 숯불구이장치 | |
KR20130021042A (ko) | 자석식 꼬치 구이 장치 | |
KR100610271B1 (ko) | 회전식 숯불 구이기 | |
KR101522827B1 (ko) |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 |
CN117396114A (zh) | 旋转烤肉夹具 | |
KR101636123B1 (ko) | 유/무선 통합 제어기능을 갖는 꼬치구이기 | |
KR101519722B1 (ko) | 휴대용 숯불구이 장치 | |
KR102097207B1 (ko) | 닭꼬치 구이가 가능한 꼬치구이기 | |
KR200386648Y1 (ko) |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 |
KR101756363B1 (ko) | 회전식 숯불구이의 음식물 거취장치 | |
AU2010203030B2 (en) | A rotisserie spit | |
KR200438565Y1 (ko) | 열분산 기능을 가진 바비큐 장치용 기름받이 | |
KR200493253Y1 (ko) | 자동 꼬치 구이기. | |
KR200374786Y1 (ko) | 회전식 숯불 구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