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827B1 -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827B1
KR101522827B1 KR1020140195075A KR20140195075A KR101522827B1 KR 101522827 B1 KR101522827 B1 KR 101522827B1 KR 1020140195075 A KR1020140195075 A KR 1020140195075A KR 20140195075 A KR20140195075 A KR 20140195075A KR 101522827 B1 KR101522827 B1 KR 101522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insertion hole
main body
skew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4019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되고, 외측면으로 결합부재의 일단이 돌출되도록 결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게 조립되며, 발열부재가 내입되는 발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결합부재의 상단에 안착되어 조립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조립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부가 회전하며, 상기 이동부를 왕복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발열부, 이동부 및 작동부가 조립과 해체가능하여 해체 후 이동이 용이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체부, 발열부, 이동부 및 작동부가 조립과 해체가능하고, 해체 후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하여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Roaster}
본 발명은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 발열부, 이동부 및 작동부가 조립과 해체가능하고, 해체함에 따라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구이는 꼬치대에 육류나 채소 등 각종 음식물을 꽂아 꼬치대를 회전시키면서 하부 열원에 의해 골고루 익혀 조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꼬치구이는 꼬치대를 수작업으로 회전시켜 조리하기 때문에 조리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양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함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가 다수 형태로 알려진 바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서와 같이 하우징 상부 양측의 오목부에 각종 음식물을 꽂은 꼬치대를 안착 설치하고, 꼬치대 일측의 톱니바퀴 형성부를 회전유도 플레이트의 홈에 맞물리게 설치하여 회전유도 플레이트의 전후 이동에 의해 꼬치대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전후 회전시키므로 하부 열원에 의해 음식물을 고르게 가열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유도 플레이트의 전후 이동은 구동장치의 회전축을 단차 형성하고 회전축을 회전유도 플레이트 일측의 개구에 삽입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유도 플레이트를 전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특허문헌2는 특허문헌1을 개선한 것으로, 내부에 숯불과 같은 열원을 설치하는 본체 상부에 안착 설치하되, 상부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꼬치대 안착홈과 안착홈 외측에 전후 안내부를 형성하는 고정부재와, 고정부재 상부 양측의 전후 안내부를 따라 양측 가이더가 전후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부재와, 고정부재의 안착홈에 음식물을 꽂은 상태로 안착 설치하는 꼬치대로 구성하여; 작동부재를 고정부재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꼬치대 일측의 원형 톱니부가 작동부재 상부 양측의 가이더를 따라 형성된 톱니 걸림부에 걸려 전후 회전하면서 하부 열원에 의해 꼬치대의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도록 구성하되; 고정부재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모터축에는 회전원반을 수평 회전 작동하도록 설치하고, 회전원반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와 작동부재는 링크 양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로 연결 설치하여 회전원반의 회전에 의한 링크 작동으로 작동부재를 전후 이동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1과 특허문헌2는, 각각의 구성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크기를 줄일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캠핑과 같이 야외에서 꼬치구이를 하려면, 크기가 큰 구이 장치를 모두 챙겨야 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같은 이동수단에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기타 물품들을 싣는데 불편하고, 이동수단의 공간활용에 제약적인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185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342307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 발열부, 이동부 및 작동부가 조립과 해체가능하고, 해체 후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하여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의 최소화로 이동 시 편리함에 따라 캠핑과 같은 야외에서 용이하게 조립하고 전원을 연결함에 따라 꼬치구이를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한 보관 및 공간활용이 가능한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되고, 외측면으로 결합부재의 일단이 돌출되도록 결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게 조립되며, 발열부재가 내입되는 발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결합부재의 상단에 안착되어 조립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조립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부가 회전하며, 상기 이동부를 왕복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발열부, 이동부 및 작동부가 조립과 해체가능하여 해체 후 이동이 용이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측면에 개구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측면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고, 삽입공이 관통형성된 제1측면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단축방향 측면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가능한 제2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제1측면부재와 제2측면부재를 조립하고, 상기 제1측면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부재는, 상기 이동부의 왕동운동에 따라 꼬치대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단에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부재는, 상기 삽입공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일측면에 상기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측면부재의 외측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끼움공이 관통형성된 지지부재와, 외측단에 돌출형성된 끼움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끼움공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로 외측이 감싸지도록 조립되며, 상측에 상기 발열부재가 안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지지부재의 끼움공에 끼워졌을 때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삽입공이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기 받침부재와 지지부재를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공의 외측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 및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가압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한 쌍의 이동부재 일단부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되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꼬치대의 톱니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폭을 왕복운동하며 상기 꼬치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하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되, 회전축의 회전반경을 확대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본체부, 발열부, 이동부 및 작동부가 조립과 해체가능하고, 해체 후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하여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부피의 최소화로 이동 시 편리함에 따라 캠핑과 같은 야외에서 용이하게 조립하고 전원을 연결함에 따라 꼬치구이를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한 보관 및 공간활용이 가능한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본체부가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본체부가 일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발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발열부가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발열부가 일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이동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이동부와 작동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는, 본체부(1), 발열부(9), 이동부(19) 및 작동부(24)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부(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되고, 외측면으로 결합부재(15)의 일단이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본체부가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본체부가 일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는, 프레임(2)과, 제1측면부재(4)와, 제2측면부재(7) 및 받침부재(13)를 포함한다.
프레임(2)은, 상측면에 개구되고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2)은 한 방향으로 길도록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2)의 높이는, 후술할 제1측면부재(4)와 제2측면부재(7)와, 발열부(9), 이동부(19) 및 작동부(24)가 내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갖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프레임(2)의 내부에는, 제1측면부재(4)와 제2측면부재(7)를 비롯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발열부(9), 이동부(19) 및 작동부(24)가 내입됨에 따라 본 발명의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는, 부피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최소화된 부피에 의해서 이동이 간편한 동시에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2)의 외측면에는, 프레임(2)을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가 구비되어, 이동시 프레임(2)의 높이만큼 축소된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측면부재(4)는, 프레임(2)의 길이방향 측면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2)의 내부에 삽입가능하다.
또한, 제1측면부재(4)는 양측면이 관통된 삽입공(5)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제1측면부재(4)는, 이동부(19)의 왕동운동에 따라 꼬치대(31)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만될 수 있도록 상단에 회전홈(6)이 형성된다.
제2측면부재(7)는, 프레임(2)의 단축방향 측면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2)의 내부에 삽입가능하다.
또한, 제2측면부재(7)는, 삽입공(5)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공(8)이 형성된다.
후술할 작동부(24)는 제2측면부재(7)의 결합공(8)에 걸림부(25)가 삽입됨에 따라 제2측면부재(7)의 외측에 조립된다.
제1측면부재(4)와 제2측면부재(7)가 프레임(2)의 상단이 연장되도록 회전됨에 따라 내부에 발열부(9)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측면부재(4)와 제2측면부재(7)는, 후술할 발열부(9)의 지지부재(11)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발열부(9)에 안착되는 발열부재를 외부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일정크기의 구멍들이 다수 형성되어 발열부재의 발열시 필요한 공기가 공급된다.
결합부재(15)는, 제2측면부재(7)의 일측면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제1측면부재(4)의 삽입공(5)에 삽입된다.
즉, 결합부재(15)는, 프레임(2)의 상단이 연장되도록 제1측면부재(4)와 제2측면부재(7)를 조립한다.
그리고, 결합부재(15)의 일단은, 제1측면부재(4)의 삽입공(5)에 삽입됨에 따라 제1측면부재(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이동부(19)를 지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발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발열부가 조립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발열부가 일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발열부(9)는, 본체부(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게 조립되며, 발열부재가 내입된다.
여기서, 발열부(9)는, 지지봉(10)과, 지지부재(11)와, 받침부재(13) 및 결합부재(15)를 포함한다.
지지봉(10)은 본체부(1)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본체부(1)의 내측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지지봉(10)은, 지지부재(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11)는, 지지봉(1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지지부재(11)는, 제1측면부재(4)와 제2측면부재(7)에 대응되도록 4개로 구성된다.
또한, 지지부재(11)는, 양측면이 관통된 끼움공(12)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끼움공(12)은, 후술할 받침부재(13)가 결합되도록 관통형성된 것으로, 받침부재(13)가 지지부재(11)의 중간부에 위치되어 발열부재에 원활한 공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부재(11)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재(11)는, 후술할 받침부재(13)와 조립되어 발열부(9)가 본체부(1)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타단이 본체부(1) 즉, 프레임(2)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된다.
받침부재(13)는, 외측단에 돌출형성된 끼움부(14)가 지지부재(11)의 끼움공(12)에 끼워져 지지부재(11)로 외측이 감싸지도록 조립된다. 이때, 받침부재(13)는 지지봉(10)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지지봉(1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끼움부(14)는, 지지부재(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15)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5)이 형성된다.
또한, 끼움부(14)에 형성된 삽입공(5)은, 지지부재(11)의 끼움공(12)에 끼워졌을 때 지지부재(11)의 외측에 삽입공(5)이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재(13)의 상측에 발열부재가 안착된다.
또한, 발열부재에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부재(11)와 받침부재(13)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15)는 지지부재(11)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삽입공(5)에 삽입되어 조립된 받침부재(13)와 지지부재(11)를 고정결합시킨다.
한편, 결합부재(15)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삽입부(16)와 가압부(18)를 포함한다.
삽입부(16)는, 일단이 삽입공(5)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16)는 삽입공(5)의 외측프레임(2) 즉, 삽입공(5)과 삽입공(5)의 외측면 사이의 외측프레임(2)이 삽입되는 삽입홈(17)이 형성됨에 형성된다.
삽입홈(17)은, 삽입공(5)과 삽입공(5)의 외측면 사이의 외측프레임(2) 폭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18)는, 일측면에 돌출된다.
또한, 가압부(18)는 결합부재(15)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가압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가압부(18)를 파지한 다음 일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용이하게 삽입부(16)를 삽입공(5)에 삽입 또는 삽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이동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이동부와 작동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부(19)는, 본체부(1)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결합부재(15)의 상단에 안착되어 조립된다.
즉, 이동부(19)는, 한 쌍의 이동부재(20) 일단부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ㄷ'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이동부재(20)가 서로 개구된 개구부가 서로 마주하며 결합된다.
여기서, 이동부(19)는, 한 쌍의 이동부재(20) 하측면이 서로 마주하며 절첩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한 쌍의 이동부재(20) 하측면이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 수평 이상으로 일단부가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부(19)의 상측면이 180도 이하가 되도록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이동부(19)는, 결합부재(15)의 상단에 안착되되 본체부(1)의 길이방향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관통공(21)이 형성된다.
이는, 이동부(19)가 본체부(1)의 외측에 조립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되, 꼬치대(31)가 1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동부재(20)의 상부에 꼬치대(31)의 톱니가 고정되는 고정홈(22)이 형성된다.
꼬치대(31)는, 회전홈(6)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꼬치대(31)의 톱니는 고정홈(22)에 삽입됨에 따라, 이동부(19)가 본체부(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폭을 왕복운동할 때, 회전홈(6)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홈(22)에 의해서 회전된다.
꼬치대(31)를 회전시키는 원리 또는 작동관계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의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작동부(24)는, 이동부(19)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본체부(1)에 조립된다.
또한, 작동부(2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부가 회전하며, 이동부(19)와 조립되어 이동부(19)를 본체부(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킨다.
이때, 이동부(19)는, 작동부(24)와 조립되어 작동부(24)의 작동에 따라 본체부(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하부에 가이드홈(23)이 형성된다.
또한, 작동부(24)는, 일측면에 제2측면부재(7)의 결합공(8)으로 삽입되는 걸림부(25)가 형성되고, 결합공(8)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홈(2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동부(24)는, 제2측면부재(7)의 외측에 조립된다.
이러한, 작동부(24)는, 모터(27), 회전축(28), 회전부재(29) 및 가이드부재(30)를 포함한다.
모터(27)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28)을 회전시킨다.
회전축(28)은, 모터(27)의 작동으로 회전한다.
회전부재(29)는, 일측이 회전축(28)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되, 회전축(28)의 회전반경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30)는 회전부재(29)의 타측에 자유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가이드홈(23)에 삽입된다.
즉, 가이드부재(30)의 일측은 회전축(28)과의 회전반경이 갖되, 타측은 회전반경이 커졌기 때문에 회전부재(29)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반경이 커진 타측에 결합된 가이드부재(30)가 이동부(19)의 가이드홈(23)에 삽입된 채로 이동부(19)를 가이드한다.
다시말해, 회전부재(29)가 회전하면, 회전반경이 큰 가이드부재(30)가 가이드홈(23)에 결합된 채로 이동부(19)를 밀거나 당기게 되고, 이러한 이동부(19)는 본체부(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는, 본체부(1), 발열부(9), 이동부(19) 및 작동부(24)가 조립과 해체가능하여 해체 후 프레임(2)의 내부에 삽입하여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동이 용이하고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체부 2: 프레임
3: 손잡이 4: 제1측면부재
5: 삽입공 6: 회전홈
7: 제2측면부재 8: 결합공
9: 발열부 10: 지지봉
11: 지지부재 12: 끼움공
13: 받침부재 14: 끼움부
15: 결합부재 16: 삽입부
17: 삽입홈 18: 가압부
19: 이동부 20: 이동부재
21: 관통공 22: 고정홈
23: 가이드홈 24: 작동부
25: 걸림부 26: 걸림홈
27: 모터 28: 회전축
29: 회전부재 30: 가이드부재
31: 꼬치대 32: 톱니

Claims (8)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되고, 외측면으로 결합부재의 일단이 돌출되도록 결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게 조립되며, 발열부재가 내입되는 발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결합부재의 상단에 안착되어 조립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조립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부가 회전하며, 상기 이동부를 왕복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발열부, 이동부 및 작동부가 조립과 해체가능하여 해체 후 이동이 용이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상기 본체부는,
    상측면에 개구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 측면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가능하고, 삽입공이 관통형성된 제1측면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단축방향 측면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가능한 제2측면부재 및
    상기 제2측면부재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제1측면부재와 제2측면부재를 조립하고, 상기 제1측면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재는, 상기 이동부의 왕동운동에 따라 꼬치대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단에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부재는, 상기 삽입공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일측면에 상기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하단에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측면부재의 외측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끼움공이 관통형성된 지지부재와,
    외측단에 돌출형성된 끼움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끼움공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로 외측이 감싸지도록 조립되며, 상측에 상기 발열부재가 안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지지부재의 끼움공에 끼워졌을 때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삽입공이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조립된 상기 받침부재와 지지부재를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일단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공의 외측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 및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가압가능한 가압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한 쌍의 이동부재 일단부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에 안착되되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꼬치대의 톱니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폭을 왕복운동하며 상기 꼬치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하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되, 회전축의 회전반경을 확대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KR1020140195075A 2014-12-31 2014-12-31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KR10152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075A KR101522827B1 (ko) 2014-12-31 2014-12-31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075A KR101522827B1 (ko) 2014-12-31 2014-12-31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827B1 true KR101522827B1 (ko) 2015-05-27

Family

ID=5339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075A KR101522827B1 (ko) 2014-12-31 2014-12-31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8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772Y1 (ko) * 2015-09-09 2016-11-08 박문철 꼬치구이기
KR101907388B1 (ko) * 2018-05-04 2018-12-07 (주)브이씨엘 꼬치 구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690A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코베아 레저용 꼬치 구이기
KR20120103012A (ko) * 2011-03-09 2012-09-19 김석원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KR20130090520A (ko) * 2012-02-06 2013-08-14 연 일 성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690A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코베아 레저용 꼬치 구이기
KR20120103012A (ko) * 2011-03-09 2012-09-19 김석원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KR20130090520A (ko) * 2012-02-06 2013-08-14 연 일 성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772Y1 (ko) * 2015-09-09 2016-11-08 박문철 꼬치구이기
KR101907388B1 (ko) * 2018-05-04 2018-12-07 (주)브이씨엘 꼬치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0367B2 (en) Intermittent driving device for a rotating grill rack
AU2014229446B2 (en) Cooking assembly
KR101453962B1 (ko) 사용기능을 개선시킨 꼬치구이기
KR101522827B1 (ko) 조립식 꼬치구이 장치
CN105380534A (zh) 便携式自动化烧烤装置
KR101660647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CN205410949U (zh) 便携式自动化烧烤装置
CN107334387B (zh) 一种烤制烹饪设备
KR101342307B1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102032692B1 (ko)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CN209346740U (zh) 一种隐藏式马达烤炉
KR101636123B1 (ko) 유/무선 통합 제어기능을 갖는 꼬치구이기
KR20140140998A (ko) 바비큐 겸용 숯불구이기
US202103154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cooking of foodstuff for rotisserie grilling applications
CN209202897U (zh) 空气炸锅
CN208524503U (zh) 面包机式电饭煲及其烤篮
KR20170003950U (ko) 테이블용 꼬치구이장치
JP3174799U (ja) 串焼き装置
KR101756363B1 (ko) 회전식 숯불구이의 음식물 거취장치
KR101841133B1 (ko) 꼬치구이 장치
KR20200001130U (ko) 꼬치구이 장치
KR102111257B1 (ko) 꼬치구이기
KR200493253Y1 (ko) 자동 꼬치 구이기.
CN212186209U (zh) 用于烤箱的旋转烤架机构及应用有该旋转烤架机构的烤箱
KR101617437B1 (ko) 회전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