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692B1 -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692B1
KR102032692B1 KR1020160151367A KR20160151367A KR102032692B1 KR 102032692 B1 KR102032692 B1 KR 102032692B1 KR 1020160151367 A KR1020160151367 A KR 1020160151367A KR 20160151367 A KR20160151367 A KR 20160151367A KR 102032692 B1 KR102032692 B1 KR 102032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frame
housing
charcoal
sk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047A (ko
Inventor
오지영
Original Assignee
오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영 filed Critical 오지영
Priority to KR102016015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6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5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꼬치 걸이홈이 형성된 제1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이격된 제2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격벽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제2 측면 프레임, 연결 프레임 및 격벽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설치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꼬치 걸이홈에 안착된 꼬치를 회전시키는 동력부; 상기 설치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USB 단자부; 상기 USB 단자부와 착탈되며, 상기 동력부로 전원을 제공하는 이동식 배터리; 상기 이동 공간부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부에는 상부 걸림부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하부 걸림부가 구비된 숯 용기부; 상기 숯 용기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숯 용기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로 숯을 이격시키는 숯 받침대;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는 접이식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는 걸림 지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걸림부와 하부 걸림부는 상기 걸림 지지부에 의해 상기 숯 용기부의 이동이 구속되고, 상기 숯 용기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INSTANT SKEWERED FOOD ROASTER}
본 발명은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 구이 장치는 꼬치에 닭, 오리, 돼지고기 등의 조각을 끼워서 즉석에서 먹을 수 있도록 꼬치에 끼워진 고기 및 야채 등을 굽는데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꼬치 구이 장치는 재가 날리지 않는 숯을 화력매개체로 이용한다. 이와 같은, 꼬치 구이 장치에는 꼬치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는 일정 거리만큼 좌, 우로 왕복 이송되며, 꼬치에 끼워진 고기 및 야채 등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회전부재는 꼬치를 일방향으로만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꼬치를 360°로 1회전 시키되, 기준점을 기준으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180°씩 회전시키며 꼬치에 끼워진 고기 및 야채 등 굽게 된다.
이러한 회전부재가 구비된 종래의 꼬치 구이 장치는 꼬치에 끼워진 고기 및 야채가 균일하게 구워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로, 꼬치가 특정 기준점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180°회전된 상태에서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지점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180°만큼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 숯에 가까이 위치되는 고기 및 야채 부위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초기 지점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숯에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즉, 꼬치의 기준점으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 숯에 가까이 위치되는 고기 및 야채 부위는 다른 위치에 있는 고기 및 야채 부위 보다 숯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꼬치에 끼워진 고기의 위치에 따라 어느 부위는 고기가 탈 수도 있고, 어느 부위는 고기가 덜 구워지는 등 균일하게 고기가 구워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꼬치 구이 장치는 대개 음식점의 테이블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부피가 크며 구조가 복잡하다. 이에, 휴대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종래의 꼬치 구이 장치는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에 연결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꼬치 구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콘센트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꼬치 구이 장치는 전기 콘센트가 구비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276호(선행문헌 1)에는 꼬치 구이 장치에 대한 내용은 개시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꼬치 구이 장치에 대한 내용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276호(2012.10.1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꼬치 걸이홈이 형성된 제1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이격된 제2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격벽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제2 측면 프레임, 연결 프레임 및 격벽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설치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꼬치 걸이홈에 안착된 꼬치를 회전시키는 동력부; 상기 설치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USB 단자부; 상기 USB 단자부와 착탈되며, 상기 동력부로 전원을 제공하는 이동식 배터리; 상기 이동 공간부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상부에는 상부 걸림부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하부 걸림부가 구비된 숯 용기부; 상기 숯 용기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숯 용기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로 숯을 이격시키는 숯 받침대;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는 접이식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는 걸림 지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걸림부와 하부 걸림부는 상기 걸림 지지부에 의해 상기 숯 용기부의 이동이 구속되고, 상기 숯 용기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설치 공간부에 구비된 고정부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꼬치 걸이홈에 안착된 꼬치로 전달하는 체인; 및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며, 상기 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1 외측 프레임과 한 쌍을 이루되, 이격되어 상기 체인이 이동되는 체인 경로부를 형성하는 제1 내측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다리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와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프레임은, 제1 격벽 프레임; 상기 제1 격벽 프레임과 이격되는 제2 격벽 프레임; 및 상기 제1 격벽 프레임과 제2 격벽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는 숯 용기부가 이동 공간부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하부 걸림부와 걸림 지지부가 맞닿은 상태를 이루도록 숯 용기부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즉,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는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지지하는 접이식 다리부 역시 접히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의 휴대가 간편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는 이동식 배터리를 통해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어느 지역에서라도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는 꼬치 걸이홈에 걸쳐진 꼬치를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에 꼬치에 끼워진 고기 및 야채 등은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걸림부와 걸림 지지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의 접이식 다리부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꼬치 거치대가 장착된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걸림부와 걸림 지지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의 접이식 다리부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1000)는 제1 하우징(100), 제2 하우징(200), 동력부(300), 이동식 배터리(400), 숯 용기부(500), 숯 받침대(600), 접이식 다리부(700) 및 USB 단자부(80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0)은 제1 측면 프레임(110), 제2 측면 프레임(120), 연결 프레임(130) 및 격벽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은 한 쌍을 이루며, 제1 하우징(100)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다. 그리고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꼬치 걸이홈(101)이 형성된다. 즉, 꼬치 걸이홈(101)은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기 또는 야채 등이 끼워진 꼬치(미도시)를 꼬치 걸이홈(101)에 안착시킴으로써, 꼬치에 끼워진 고기 또는 야채 등은 회전을 통해 자동으로 구워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 프레임(110)은 제1 외측 프레임(111)과 제1 내측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외측 프레임(111)과 제1 내측 프레임(112)은 한 쌍을 이룬다. 이러한 제1 외측 프레임(111)과 제1 내측 프레임(112)은 이격되며 체인 경로부(102)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체인 경로부(102)에는 동력부(300)에 의해 이동되는 체인(330)이 위치되어 꼬치 걸이홈(101)에 걸쳐진 꼬치는 회전될 수 있다. 즉, 꼬치의 일측에 형성된 톱니 형상을 이루는 톱니 회전부(미도시)는 체인의 홈부에 삽입 결합되어 체인(330)의 이동에 따라 꼬치는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측면 프레임(120)은 제1 측면 프레임(110)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연결 프레임(130)은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의 타단부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격벽 프레임(140)은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일단부를 연결하게 된다.
이에, 제1 측면 프레임(110), 제2 측면 프레임(120), 연결 프레임(130) 및 격벽 프레임(140)은 서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이동 공간부(103)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 공간부(103)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격벽 프레임(140)은 숯 용기부(50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제1 하우징(100)과 이웃하게 배치된 제2 하우징(200)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격벽 프레임(140)에는 단열부재(143)가 구비되어 제2 하우징(200)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세히, 격벽 프레임(140)은 제1 격벽 프레임(141), 제2 격벽 프레임(142) 및 단열부재(143)를 포함한다. 제1 격벽 프레임(141)은 이동 공간부(103)의 내측 일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2 격벽 프레임(142)은 제1 격벽 프레임(141)과 이격되며 단열부재(143)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단열부재(143)는 제1 격벽 프레임(141)과 제2 격벽 프레임(142) 사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 격벽 프레임(141)과 제2 격벽 프레임(142)으로부터 형성된 공간에는 단열부재(143)가 삽입되어, 숯 용기부(50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제2 하우징(2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즉, 단열부재(143)가 구비된 격벽 프레임(140)은 제2 하우징(200)에 설치되는 다양한 장치를 열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단열부재(143)는 특정 소재로 한정되지 않으며,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과 이웃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200)은 격벽 프레임(14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설치 공간부(20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설치 공간부(201)에는 꼬치 걸이홈(101)에 안착된 꼬치를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부(300)가 설치된다.
이러한 동력부(300)는 모터(310), 구동기어(320), 체인(330) 및 종동기어(340)를 포함한다.
모터(310)는 설치 공간부(201)에 구비된 고정부(202)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부(202)는 제2 하우징(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모터(310)는 제2 하우징(200)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부(202)에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310)는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에 각각 형성된 체인 경로부(102)로 이동되는 각각의 체인(33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구동기어(320)는 모터(310)와 연결되며, 모터(31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을 체인(3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기어(320)는 체인(330)과 치합되며, 구동기어(320)의 회전력에 의해 체인(330)은 이동될 수 있다.
종동기어(340)는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에 지지 고정되며, 체인(3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종동기어(340)는 구동기어(320)와 같이 체인(330)과 치합되며, 구동기어(320)에 의해 이동되는 체인(3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종동기어(34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체인(330)이 쳐지거나 흔들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동기어(340)는 체인(3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 이외에 체인(33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한편, USB 단자부(800)는 설치 공간부(201)에 설치된다. 이러한 USB 단자부(800)는 이동식 배터리(4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모터(310)로 전달하게 된다. 즉, USB 단자부(800)의 일단부는 제2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이동식 배터리(40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USB 단자부(800)의 타단부는 전선을 통해 모터(310)와 연결된다.
이동식 배터리(400)는 USB 단자부(800)와 결합되며, 모터(310)로 전원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식 배터리(400)는 충전 가능한 구성으로, 특정한 제품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에너지 저장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장치라도 사용가능하다. 즉, 이동식 배터리(400)는 USB 단자부(800)와 탈착을 통해 동력부(300)로 제공되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숯 용기부(500)는 이동 공간부(103)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숯 용기부(500)의 상부에는 상부 걸림부(510)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하부 걸림부(5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숯 용기부(500)는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 지지부(104)에 의해 제1 하우징(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동 공간부(103)에 배치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숯 용기부(500)가 상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걸림 지지부(104)는 상부 걸림부(510)와 하부 걸림부(520)를 통해 숯 용기부(50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걸림 지지부(104)는 숯 용기부(500)의 이동 거리를 구속하게 된다.
여기서 숯 용기부(5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걸림부(520)가 걸림 지지부(104)에 맞닿은 경우, 숯 용기부(500)의 상부 걸림부(510)는 제1 하우징(100)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거나, 그보다 낮게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숯 용기부(50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걸림부(510)가 걸림 지지부(104)에 맞닿은 경우, 숯 용기부(500)의 바닥부는 이동 공간부(103)의 하부가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숯 용기부(500)는 걸림 지지부(104)에 의해 상하 이동이 구속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캠핑을 위해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1000)를 휴대하고 이동할 경우에는 숯 용기부(500)가 제1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됨없이 이동 공간부(103)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숯 용기부(50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1000)의 부피는 최소화될 수 있어, 사용자는 손쉽게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1000)를 가지고 다닐 수 있다. 이 경우, 숯 용기부(500)의 하부 걸림부(520)는 걸림 지지부(104)와 맞닿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1000)를 사용할 경우에는 숯 용기부(500)가 제1 하우징(100)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이동된다. 이 경우, 숯 용기부(500)의 상부 걸림부(510)는 걸림 지지부(104)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숯 용기부(500)는 이동 공간부(103)의 하부로 이동되며, 제1 하우징(10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숯 받침대(600)에 안착된 숯은 제1 하우징(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꼬치 걸이홈(101)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꼬치에 끼워진 고기 및 야채 등을 알맞은 온도에서 굽게 된다.
그리고 숯 용기부(500)의 바닥면에는 공기 조절부(530)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조절부(530)는 숯 용기부(50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502)의 선택적인 개폐 조절을 통해 숯 용기부(500)에 형성된 수용 공간부(501)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숯 받침대(600)는 수용 공간부(501)의 바닥면에 안착 지지된다. 이러한 숯 받침대(600)는 숯 용기부(500)의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로 숯을 이격시킨 상태로, 숯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접이식 다리부(700)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하부에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접이식 다리부(700)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을 지지함에 있어, 숯 용기부(500)가 상하로 이동됨에 있어,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접이식 다리부(700)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고,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접이식 다리부(700)는 접히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10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꼬치 거치대가 장착된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 따른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1000)에 꼬치 거치대(900)가 더 구비된 형태이다.
이러한 꼬치 거치대(900)는 연결 프레임(1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꼬치 거치대(900)의 단부는 제1 하우징(100)에 형성된 삽입 결합홈(미도시)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꼬치 거치대(900)는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1000)를 통해 어느 정도 구워진 고기 및 야채가 더 구워지지는 않으며, 식지 않도록 숯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꼬치 걸이홈(101)에서 회전을 통해 다 구워진 고기를 직접 먹을 수도 있고, 꼬치 거치대(900)에 꼬치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시간을 두며 천천히 먹을 수도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하우징 200: 제2 하우징
300: 동력부 400: 이동식 배터리
500: 숯 용기부 600: 숯 받침대
700: 접이식 다리부 800: USB 단자부
900: 꼬치 거치대 1000: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Claims (5)

  1.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꼬치 걸이홈이 형성된 제1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이격된 제2 측면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격벽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제2 측면 프레임, 연결 프레임 및 격벽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
    상기 설치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꼬치 걸이홈에 안착된 꼬치를 회전시키는 동력부;
    상기 설치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USB 단자부;
    상기 USB 단자부와 착탈되며, 상기 동력부로 전원을 제공하는 이동식 배터리;
    상기 이동 공간부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 걸림부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하부 걸림부가 구비된 숯 용기부;
    상기 숯 용기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숯 용기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로 숯을 이격시키는 숯 받침대;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하부를 지지하는 접이식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상부 걸림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걸림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 지지부는 상기 숯 용기부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됨에 있어, 상기 숯 용기부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기 숯 용기부의 이동 거리를 구속하되,
    상기 숯 용기부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숯 용기부의 바닥부가 상기 이동 공간부의 하부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상부 걸림부는 상기 걸림 지지부에 지지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숯 용기부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하부에 구비된 상기 하부 걸림부가 상기 걸림 지지부에 맞닿을 경우, 상기 상부 걸림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거나, 그보다 낮게 위치된 상태로 상기 숯 용기부는 상기 이동 공간부 내에 수용되는 것인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설치 공간부에 구비된 고정부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꼬치 걸이홈에 안착된 꼬치로 전달하는 체인; 및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제2 측면 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며, 상기 체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은,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외측 프레임; 및
    상기 제1 외측 프레임과 한 쌍을 이루되, 이격되어 상기 체인이 이동되는 체인 경로부를 형성하는 제1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다리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와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프레임은,
    제1 격벽 프레임;
    상기 제1 격벽 프레임과 이격되는 제2 격벽 프레임; 및
    상기 제1 격벽 프레임과 제2 격벽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KR1020160151367A 2016-11-14 2016-11-14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KR102032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367A KR102032692B1 (ko) 2016-11-14 2016-11-14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367A KR102032692B1 (ko) 2016-11-14 2016-11-14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047A KR20180054047A (ko) 2018-05-24
KR102032692B1 true KR102032692B1 (ko) 2019-10-15

Family

ID=6229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367A KR102032692B1 (ko) 2016-11-14 2016-11-14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945Y1 (ko) * 2018-11-23 2022-02-08 김시웅 꼬치구이 장치
KR102111257B1 (ko) * 2018-12-10 2020-05-15 주식회사 성무 꼬치구이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960Y1 (ko) * 2010-07-26 2012-10-10 이상돈 구이기
US20140261013A1 (en) * 2013-03-15 2014-09-18 Corey John Murray Brown Cooking assembly
KR200474065Y1 (ko) * 2009-12-31 2014-09-23 권관일 친환경 휴대용 구이장치
KR101515228B1 (ko) 2014-09-30 2015-05-04 김재중 바비큐 그릴
KR101660647B1 (ko) * 2015-07-24 2016-10-10 박인희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184A (ja) * 1995-01-12 1996-07-23 Hara Seisakusho:Kk 串焼自動反転装置
KR20110017690A (ko) * 2009-08-14 2011-02-22 주식회사 코베아 레저용 꼬치 구이기
KR200463276Y1 (ko) 2010-08-20 2012-10-25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꼬치 구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65Y1 (ko) * 2009-12-31 2014-09-23 권관일 친환경 휴대용 구이장치
KR200462960Y1 (ko) * 2010-07-26 2012-10-10 이상돈 구이기
US20140261013A1 (en) * 2013-03-15 2014-09-18 Corey John Murray Brown Cooking assembly
KR101515228B1 (ko) 2014-09-30 2015-05-04 김재중 바비큐 그릴
KR101660647B1 (ko) * 2015-07-24 2016-10-10 박인희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047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6204B2 (ja) 多機能調理及びベーキングアセンブリ
KR101464629B1 (ko)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US9237827B2 (en) Cooking appliance of the grill or barbecue type
KR200466279Y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102032692B1 (ko) 휴대용 꼬치 구이장치
CN212089299U (zh) 煎烤机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JP4873350B2 (ja) 回転式の炭火焼き板
KR102076911B1 (ko) 구이장치
US8109205B1 (en) Vertical grilling apparatus
KR20110017690A (ko) 레저용 꼬치 구이기
CN112056950A (zh) 一种顶置分离式空气炸锅
KR20150080758A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101495738B1 (ko) 구이 장치
KR101636123B1 (ko) 유/무선 통합 제어기능을 갖는 꼬치구이기
KR101371137B1 (ko) 휴대용 오븐
KR101507277B1 (ko)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101273347B1 (ko) 숯불구이장치
KR101519722B1 (ko) 휴대용 숯불구이 장치
KR20110005302U (ko) 휴대용 접철식 고기구이장치
CN217659367U (zh) 一种多功能烤箱
CN219661477U (zh) 箱式烤炉
CN213588071U (zh) 多功能烧烤炉
KR102370951B1 (ko) 휴대용 식품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