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20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203B1
KR101445203B1 KR1020130078175A KR20130078175A KR101445203B1 KR 101445203 B1 KR101445203 B1 KR 101445203B1 KR 1020130078175 A KR1020130078175 A KR 1020130078175A KR 20130078175 A KR20130078175 A KR 20130078175A KR 101445203 B1 KR101445203 B1 KR 10144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refrigerator
path
compartmen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243A (ko
Inventor
료지 가와이
아키요시 오히라
신이치로 오카도메
조시로 고이케
신야 이와부치
히로카즈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저장실에 대한 풍로(風路)를 전환하여 냉각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높은 냉각 효율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장실(냉장실(2), 칠드실(3))과, 냉각기(21)와, 냉각기(21)와 열교환한 냉기를 송풍하는 축류 송풍기(22)와, 축류 송풍기(22)에 의해 송풍된 냉기를 저장실로 유도하는 송풍 경로(11)와, 저장실에 송풍된 냉기를 냉각기(21)로 되돌리는 복귀 경로(15)를 구비하고, 송풍 경로(11)와 복귀 경로(15) 중 적어도 한쪽은, 냉기가 통과하는 경로가 분기(分岐)된 분기 경로(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갖고, 분기 경로의 풍로 저항을 제어하는 풍로 저항 제어 수단(24)을 구비하며, 저장실은, 분기 경로 중 한쪽 경로(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1 독립 냉각 영역(2d)과, 분기 경로 중 다른쪽 경로(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2 독립 냉각 영역(2c)과, 분기 경로 중 어느 쪽의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서도 냉각되는 공통 냉각 영역(2e)을 갖고, 제1 독립 냉각 영역(2d), 제2 독립 냉각 영역(2c) 및 공통 냉각 영역(2e) 중 어느 1개 또는 복수를 조합시켜 냉각하는 복수의 송풍 모드를 갖고, 당해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 축류 송풍기(22)는 풍량-정압 특성 곡선의 극소점보다 소풍량측의 동작점이 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배경기술로서, 일본국 특개2012-26677호 공보(특허문헌 1) 및 일본국 특개평10-54642호 공보(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냉장실에 깊이측 분출 풍로(風路)와, 천정측 분출 풍로와, 풍로를 전환하는 트윈 덕트 댐퍼를 구비하고, 깊이측 분출 풍로의 깊이측 온도 센서와 천정측 분출 풍로의 천정측 온도 센서의 검출 온도에 의거하여 트윈 덕트 댐퍼를 제어하여 냉장실 내의 냉기량을 제어하는 냉동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제6도 등).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각 개소마다 온도 검출 수단과 각 구획마다 냉풍을 보내는 개폐 댐퍼와 덕트를 설치하여, 검출된 온도에 의해 냉풍을 보낼지 말지를 컨트롤한 냉동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제1도 등).
일본국 특개2012-26677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0-5464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냉장고(냉동 냉장고)이더라도, 풍로의 구성에 대한 배려가 충분히 되어 있지 않아, 냉각 효율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단일의 저장실에 대한 풍로를 전환하여 냉각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높은 냉각 효율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한다. 본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복수 포함하고 있지만, 그 일례를 들면, 저장실과,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와 열교환한 냉기를 송풍하는 축류 송풍기와, 당해 축류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유도하는 송풍 경로와, 상기 저장실에 송풍된 냉기를 상기 냉각기로 되돌리는 복귀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경로와 상기 복귀 경로 중 적어도 한쪽은, 냉기가 통과하는 경로가 분기(分岐)된 분기 경로를 갖고, 당해 분기 경로의 풍로 저항을 제어하는 풍로 저항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실은, 상기 분기 경로 중 한쪽의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1 독립 냉각 영역과, 상기 분기 경로 중 다른쪽의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2 독립 냉각 영역과, 상기 분기 경로 중 어느 쪽의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서도 냉각되는 공통 냉각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독립 냉각 영역, 상기 제2 독립 냉각 영역 및 상기 공통 냉각 영역 중 어느 1개 또는 복수를 조합시켜 냉각하는 복수의 송풍 모드를 갖고, 당해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 상기 축류 송풍기는 풍량-정압 특성 곡선의 극소점보다 소풍량측의 동작점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저장실에 대한 풍로를 전환하여 냉각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높은 냉각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고(庫)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순환 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고 내 송풍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 댐퍼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진공 단열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진공 단열재의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댐퍼 개폐 상태의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송풍기의 특성과 동작점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송풍기의 분출 흐름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풍량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고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순환 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고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냉기 순환 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냉장고의 댐퍼 개폐 상태의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정면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고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풍로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고 내 송풍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동실 댐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 본체(1)는 상방으로부터, 냉장실(2), 제빙실(4) 및 상단 냉동실(5), 하단 냉동실(6), 야채실(8)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빙실(4)과 상단 냉동실(5)은, 냉장실(2)과 하단 냉동실(6) 사이에 좌우로 나란히 설치하고 있다. 냉장실(2) 및 야채실(8)은, 일례로서 5℃ 정도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또한, 제빙실(4), 상단 냉동실(5) 및 하단 냉동실(6)은, 일례로서 -18℃ 내지 -20℃ 정도의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이다(이하, 제빙실(4), 상단 냉동실(5), 하단 냉동실(6)의 총칭을 냉동실(7)이라고 함).
냉장실(2)은, 전방측에 좌우로 분할된 여닫이형 냉장실문(2a, 2b)을 구비하고 있다. 제빙실(4), 상단 냉동실(5), 하단 냉동실(6), 야채실(8)은, 각각 서랍식 제빙실문(4a), 상단 냉동실문(5a), 하단 냉동실문(6a), 야채실문(8a)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고 외와 고 내는, 외부 상자(1a)와 내부 상자(1b) 사이에 발포 단열재(발포 폴리우레탄)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되는 단열 상자체(50)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배면(背面)에 진공 단열재(60)를 실장하고 있다(진공 단열재(60)의 실장 상태에 대해서는 후술).
냉장실문(2a, 2b)의 저장실 내측에는, 복수의 문 포켓(47a∼47c)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2) 내에는 복수의 선반(46a∼46f)(선반(46a, 46d)은 도 3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빙실(4), 상단 냉동실(5), 하단 냉동실(6) 및 야채실(8)은, 각각의 저장실의 전방에 구비된 문(4a, 5a, 6a, 8a)과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납 용기(4b, 5b, 6b, 8b)를 구비하고 있다. 문(4a, 5a, 6a, 8a)은, 각각 손잡이부(도시 생략)에 손을 대고 앞측으로 인출함으로써, 수납 용기(4b, 5b, 6b, 및 8b)를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2)과, 상단 냉동실(5) 및 제빙실(4)(도 1 참조)이 상측 단열 칸막이벽(51)에 의해 단열적으로 분리되고, 하단 냉동실(6)과 야채실(8)이 하측 단열 칸막이벽(52)에 의해 단열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한편, 선반(46f)과 상측 단열 칸막이벽(51) 사이에는, 일례로서 -1∼1℃ 정도로 유지되는 칠드실(3)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상측 단열 칸막이벽(51)의 상방의 저장 영역 중, 저온으로 유지되는 칠드실(3)을 제외한 영역이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 된다. 한편, 칠드실(3)을 감압 상태로 유지하여 식품의 산화를 억제하는, 감압 저장실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동실(7)의 배부(背部)에 증발기 수납실(9)을 구비하고, 증발기 수납실(9) 내에는 냉각 수단으로서 증발기(21)(일례로서, 핀튜브형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증발기(21)의 상방에는, 송풍 수단으로서 고 내 송풍기(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고 내 송풍기(2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경이 110㎜의 블레이드(91)를 중앙의 모터 수납부(92) 내의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하는 축류 송풍기(프로펠러 팬)이다. 한편, 모터 수납부(92)는 지지부(93)에 의해 하우징(94)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분출 면적(π×[0.5×블레이드 외경]2)은 일례로서 9503.3㎟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기 수납실(9)의 하방에는, 제상(除霜) 히터(56)가 구비되어 있다. 증발기(21) 및 그 주변의 증발기 수납실(9)의 벽에 성장한 성에는, 제상 히터(56)에 통전하는 제상 운전에 의해 제거된다. 성에가 융해함으로써 발생한 제상수는, 증발기 수납실(9)의 하부에 구비된 통(57)에 유입(流入)된 후에, 배수관(58)을 통해 기계실(10)에 배치된 증발 접시(59)에 이른다. 증발 접시(59) 내의 제상수는, 기계실(10) 내에 배설(配設)되는 압축기(23) 및 응축기(도시 생략)의 발열에 의해 증발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기계실(10) 내에 배설된 압축기(23)와, 응축기(일례로서, 핀튜브형 열교환기)와, 외부 상자(1a)와 내부 상자(1b) 사이에서 외부 상자(1a)면에 접하도록 배설된 방열 파이프(도시 생략)와, 단열 상자체(10)의 상부 단열 칸막이벽(51)의 전면(前面)이나 하부 단열 칸막이벽(52)의 전면 등에 배설된 결로 억제 파이프(도시 생략)와, 냉매 중의 수분을 건조 흡습하기 위한 드라이어(도시 생략)와, 캐펄러리 튜브(도시 생략)와, 증발기(21)를 냉매관으로 순차 접속함으로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냉매는 이소부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2)의 배면에는, 대략 중앙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재(延在)하는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구비하고 있다. 냉장실(2) 배면 좌측의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는, 최상단의 선반(46a, 46b)보다 하방에서, 최하단의 선반(46f)보다 상방의 영역(2d)(도 2 및 도 3 참조)으로 냉기를 분출하는 냉장실 분출구(31a∼31c)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냉장실 분출구(31a)의 개구 면적은 1000㎟, 냉장실 분출구(31b)의 개구 면적은 500㎟, 냉장실 분출구(31c)의 개구 면적은 200㎟이다. 또한, 냉장실(2) 배면 좌측의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는, 선반(46a, 46b)의 상방의 영역(2c)(도 2 및 도 3 참조)으로 분출하는 냉장실 분출구(31d, 31e)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냉장실 분출구(31d)의 개구 면적은 500㎟, 냉장실 분출구(31e)의 개구 면적은 500㎟이다. 또한,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및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의 최소 유로 단면적은, 각각 1640㎟ 및 1110㎟이다.
덧붙여서, 선반(46a∼46e)은 소정 범위에서 높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한편, 선반(46f)은 고정). 따라서, 영역(2c) 및 영역(2d)의 크기는 변화하지만, 선반(46a) 및 선반(46b)의 가변 범위는, 선반(46a) 및 선반(46b)으로부터 상벽에 이르는 각각의 거리(도 3 중에 나타내는 높이(H1) 및 높이(H2))가, 선반(46a) 및 선반(46b)의 각각의 깊이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선반(46a, 46b)의 설치 높이를 가장 낮게 한 상태에서의 영역(2c)의 용적은 50L, 영역(2d)의 용적은 140L, 문 포켓(47b, 47c)이나 제빙수 탱크(55)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2e)의 용적은 40L이다.
냉장실(2)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냉장실 댐퍼(24)(풍로 저항 제어 수단)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단열 칸막이벽(51)의 후방 투영 영역 내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식품 수납 스페이스의 감소를 억제하여 댐퍼를 실장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 댐퍼(24)는, 모터 수납부(81)의 좌우에 개구(82a, 82b)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82a)와 개구(82b)는, 개폐판(83a, 83b)에 의해 개폐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 수납부(81) 내에 설치된 스텝핑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개폐판(83a, 83b)은, 각각 개(開)각도 O도의 전체 폐쇄 상태로부터 개각도 90도의 전체 개방 상태의 범위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냉장실 댐퍼(24)의 기능 중, 개구(82a)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냉장실 제1 댐퍼(24a), 개구(82b)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냉장실 제2 댐퍼(24b)라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 제1 댐퍼(24a) 및 냉장실 제2 댐퍼(24b)는, 각각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및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의 입구에 구비되어,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및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에의 송풍이 제어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하단의 선반(46f)과 아래에서부터 두 번째단의 선반(46d)에 의해 구획된 영역의 배부에는, 주로 영역(2d)의 부하를 검지하는 냉장실 제1 온도 센서(41a)(온도 검지 수단)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2)의 상벽에는, 주로 영역(2c)의 부하를 검지하는 냉장실 제2 온도 센서(41b)(온도 검지 수단)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선반(46f)과 상측 단열 칸막이벽(51)에 의해 구획된 영역의 배부(칠드실(3)의 배부)에는, 칠드실 온도 센서(42)(온도 검지 수단)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냉장실 제1 온도 센서(41a), 냉장실 제2 온도 센서(41b), 칠드실 온도 센서(42)는, 비교적 유속이 높은 냉기가 직접 닫지 않는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검지 정밀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냉동실(7)의 배부와, 야채실(8)의 배부에는, 각각 냉동실 온도 센서(43)와, 야채실 온도 센서(44)가 구비되어 있다(도 2 참조).
한편, 선반(46f)과 상측 단열 칸막이벽(51)에 의해 구획된 영역의 좌단에는 제빙용의 물을 저류(貯留)하는 제빙수 탱크(55)가 구비되어 있다. 제빙수 탱크(55) 내의 물은, 펌프(도시 생략)를 구동함으로써, 배관(도시 생략)을 통해 제빙실(4) 내에 구비된 제빙 접시(도시 생략)에 공급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실장하고 있는 진공 단열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진공 단열재의 실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도 2에서의 영역 A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60)는, 코어재(61)(일례로서 글래스울(glass wool))를, 흡착제(62)(일례로서 합성 제올라이트)와 함께 압축 밀폐하고, 외포재(64)(알루미늄 증착 필름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 내에 삽입하여, 진공 흡입 후, 단부(端部)를 열용착함으로써 제조된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의 단부에는, 도 7에 나타내는 열용착부(60a)가 존재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용착부(60a)를, 고 내측(발포 단열재측)으로 접어 고정한 후에, 발포 단열재를 내부 상자(1b)와 외부 상자(1a) 사이에 충전하여, 단열 상자체(50)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진공 단열재(60)는, 외주(外周)에 열용착부(60a)를 접은 접음부(60b)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 단열재(60)를 외부 상자(1a) 내면에 핫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 첩부(貼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내부 상자(1b) 내면에 첩부하는 구성이나, 내부 상자(1b)와 외부 상자(1b)에 지지 부재를 통해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어느 구성이어도, 열용착부(60a)를 고 내측(발포 단열재측)으로 접어 배치한다.
한편, 내부 봉투(63)(일례로서 폴리에틸렌) 내에 코어재(61)를 수납하여 가압축 상태로서 외포재(64) 내에 수납한 후, 내부 봉투(63) 및 외포재(64) 내를 압축 밀봉하는 구성으로 하면, 코어재(61)의 취급성이 향상하여, 제조 공정을 효율화할 수 있다.
도 3 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60)는 냉장고의 배면 단열벽 내에 실장되지만, 외주에는 상술한 접음부(60b)(내측의 파선과 외측의 파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후방의 진공 단열재(60)에 투영했을 때에,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60)의 단부에 이르는 최단 거리 L을 100㎜로 하고 있다. 또한,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는 진공 단열재(60)의 접음부(60b)보다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진공 단열재(60)의 외포재(64)에 있어서의 금속층을 통하여 열이 전달되는, 소위 히트 브릿지 현상에 의한 영향이,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에 미치지 않도록 억제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4와, 적당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기 순환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기(21)와 열교환한 냉기는, 고 내 송풍기(22)에 의해 승압되고, 냉장실 제1 댐퍼(24a)가 개방 상태에서는,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흘러 냉장실 분출구(31a∼31c)로부터 냉장실 내의 영역(2d)(도 2 및 도 3 참조)으로 분출된다. 영역(2d)으로 분출된 냉기는, 문 포켓(47b, 47c)이나 제빙수 탱크(55)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2e)(도 2 및 도 3 참조), 칠드실(3)을 흘러, 냉장실 복귀구(35)에 이른다. 한편, 냉장실 제2 댐퍼(24b)가 개방 상태에서는,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흘러 냉장실 분출구(31d, 31e)로부터 냉장실 내의 영역(2c)(도 2 및 도 3 참조)으로 분출된다. 영역(2c)으로 분출된 냉기는, 문 포켓(47b, 47c)이나 제빙수 탱크(55)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2e)(도 2 및 도 3 참조), 칠드실(3)을 흘러, 냉장실 복귀구(35)에 이른다.
영역(2c, 2d, 2e) 및 칠드실(3)을 냉각한 냉기는, 냉장실 복귀구(35)로부터 냉장실 복귀 덕트(15)(일례로서 최소 유로 단면적 1700㎟)로 들어가, 증발기 수납실(9)에 이르러 다시 증발기(21)와 열교환한다.
다음으로, 냉동실 댐퍼(26)가 개방 상태에서는, 고 내 송풍기(22)에 의해 승압된 냉기는, 냉동실 송풍 덕트(13)를 흘러 냉동실 분출구(33a∼33c)(도 2 참조)로부터 냉동실(7)로 분출된다. 냉동실(7)을 냉각한 냉기는, 냉동실 복귀구(36)로부터 증발기 수납실(9)로 돌아가 다시 증발기(21)와 열교환한다.
야채실 댐퍼(27)가 개방 상태에서는, 고 내 송풍기(22)에 의해 승압된 냉기는, 야채실 송풍 덕트(14)를 흘러 야채실 분출구(34)로부터 야채실(8)로 분출된다. 야채실(8)을 냉각한 냉기는, 야채실 복귀구(37)로부터 야채실 복귀 덕트(17)로 들어가, 증발기 수납실(9)에 이르러 다시 증발기(21)와 열교환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고 내 송풍기의 특성과, 고 내 각 풍로의 풍로 저항에 대해서 도 9∼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댐퍼의 개폐 상태의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고 내 송풍기(22)의 풍량-정압 특성과 동작점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고 내 송풍기(22)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분출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냉기 순환 경로의 풍로 저항은 댐퍼의 개폐 상태에 따라서 변화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냉장실 제1 댐퍼(24a), 냉장실 제2 댐퍼(24b), 냉동실 댐퍼(26), 야채실 댐퍼(27)를 구비하고, 각각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의 2개의 상태를 취하므로, 댐퍼의 개폐 상태의 조합은 16가지가 된다. 도 9는 이들 중, 냉장실 제1 댐퍼(24a), 또는,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적어도 한쪽이 개방 상태에서, 냉장실(2)에의 송풍이 행해지는 상태가 되는 조합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2)에의 송풍이 행해지는 상태는 상태 1∼상태 12의 12가지 있으며, 각 상태에서의 냉기 순환 경로의 풍로 저항을 R1∼R12로 한다. 한편, 「풍로 저항의 크기」란은, R1∼R12에 관하여, 풍로 저항이 작은 순으로 1∼12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 즉, R1∼R12의 대소 관계는, 「R6<R12<R4<R10<R5<R11<R3<R9<R1<R7<R2<R8」이 된다.
도 10은 고 내 송풍기(22)의 풍량-정압 특성과, 도 9 중에 나타내는 상태 1∼상태 6으로 했을 때의 동작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 내 송풍기(22)의 풍량-정압 특성은, 도 10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풍량측에 구배(勾配)가 상승으로부터 하강으로 변하는 극대점, 소풍량측에 구배가 하강으로부터 상승으로 변하는 극소점을 갖는다. 이는 일반적인 축류 송풍기에 보이는 특성이며, 정압이 O인 개방점으로부터 풍량을 감소시켜 가면, 소정 풍량에 도달한 시점에서 블레이드로부터 흐름이 박리(剝離)하는 실속(失速)이 발생한다. 실속이 발생하는 점을 실속점이라 하고, 일반적으로는 풍량-정압 특성의 극대점이 실속점으로 간주된다. 실속점보다 풍량을 감소시키면, 정압이 저하하는 영역(우상향 특성역)이 나타나고, 극소점에 이른 후에 다시 원심(遠心) 작용으로 정압이 상승하여, 풍량이 0인 마감점에 이른다. 또한, 개방점으로부터 극대점에 이르기까지의 대풍량측에서는, 도 11의 (a)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 내 송풍기(22)로부터의 분출되는 공기는 축 방향으로 흐르고, 극소점으로부터 마감점에 이르는 소풍량측에서는, 도 11의 (b)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 내 송풍기(22)로부터의 분출되는 공기는 지름 방향(원심 방향)으로 퍼져 흐른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개방점부터 극대점까지를 「축류역」, 극대점부터 극소점까지를 「우상향 특성역」, 극소점부터 마감점까지를 「원심류역」이라 하기로 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 1∼상태 6에서의 저항 R1∼R6의 저항 곡선과, 고 내 송풍기(22)의 풍량-정압 특성 곡선의 교점이 각 상태에서의 동작점이 된다. 따라서, 각 댐퍼를 상태 1∼상태 6으로 했을 경우의 풍량은, 도 10 중에 나타내는 Q1∼Q6이 되고, 어느 동작점도 원심류역이 된다. 또한, 풍량의 대소 관계는 「Q6>Q4>Q5>Q3>Q1>Q2」가 된다. 덧붙여서, 도 10 중에서는 생략했지만, 저항 R7∼R12의 풍량을 Q7∼Q12로 하여, 풍량의 대소 관계를 나타내면, 「Q6>Q12>Q4>Q10>Q5>Q11>Q3>Q9>Q1>Q7>Q2>Q8」이 된다. 즉, 각 상태의 풍로 저항의 크기가 작은 순으로, 풍량이 커지는 경향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냉장실(2), 칠드실(3), 냉동실(7)이나 야채실(8)의 온도 설정을 하는 온도 설정기 등(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으며, 냉장고 본체(1) 상벽의 상부 후방측에는 CPU, ROM이나 RAM 등의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탑재한 제어 기판(49)이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제어 기판(49)은, 상기한 냉장실 제1 온도 센서(41a), 냉장실 제2 온도 센서(41b), 칠드실 온도 센서(42), 냉동실 온도 센서(43), 야채실 온도 센서(44), 및 냉장실문(2a)이나 고 내에 설치된 온도 설정기 등과 접속된다.
압축기(23)의 ON/OFF, 냉장실 댐퍼(24), 냉동실 댐퍼(26), 및 야채실 댐퍼(27)를 가동하는 각각의 액츄에이터(도시 생략)의 제어, 고 내 송풍기(22)의 ON/OFF 제어나 회전 속도 제어, 문 개방 상태를 알리는 알람의 ON/OFF 등의 제어는, ROM에 미리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행해져, 이들에 의해 제어 장치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제어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각 운전 중의 제어를 나타내는 제어 플로우 차트이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전원의 투입에 의해 압축기(23)가 구동하여 냉각 운전이 개시된다(스타트). 여기에서는, 고 내가 충분히 차가워질 때까지의 제어 상태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고 내가 충분히 냉각되어, 압축기(23)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압축기(23)가 구동하는 조건이 만족한 시점부터 설명을 개시한다. 압축기(23)의 구동 조건이 만족했을 경우(압축기(23)의 구동 조건에 대해서는 후술), 압축기(23) 및 고 내 송풍기(22)가 구동하고(스텝 S101), 냉장실 제1 댐퍼(24a)의 개방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02).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냉장실 제1 댐퍼(24a)의 개방 조건은, 「압축기(23) 정지 상태, 냉장실 제1 온도 센서(41a) 검지 온도가 Tr1_a 이상(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r1_a=3℃)」, 또는, 「압축기(23) 구동 상태, 냉동실 댐퍼(26) 폐쇄 상태, 냉장실 제1 온도 센서(41a) 검지 온도가 Tr1_a 이상」, 또는, 「압축기(23) 구동 상태, 냉동실 댐퍼(26) 개방 상태, 냉장실 제1 온도 센서(41a) 검지 온도가 Tr1_b 이상(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r1_b=7℃)」일 경우에 성립한다. 스텝 S102가 성립했을 경우(Yes), 냉장실 제1 댐퍼(24a)가 개방되어(스텝 S103), 냉장실(2) 내의 영역(2d)(도 2 또는 도 3 참조)으로 냉기가 보내진다.
계속해서, 냉장실 제2 댐퍼(24b)의 개방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04).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냉장실 제2 댐퍼(24b)의 개방 조건은, 「압축기(23) 정지 상태, 냉장실 제2 온도 센서(41b) 검지 온도가 Tr2_a 이상(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r2_a=4℃)」, 또는, 「압축기(23) 구동 상태, 냉동실 댐퍼(26) 폐쇄 상태, 냉장실 제2 온도 센서(41b) 검지 온도가 Tr2_a 이상」, 또는, 「압축기(23) 구동 상태, 냉동실 댐퍼(26) 개방 상태, 냉장실 제2 온도 센서(41b) 검지 온도가 Tr2_b 이상(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r2_b=8℃)」일 경우에 성립한다. 스텝 S104가 성립했을 경우(Yes), 냉장실 제2 댐퍼(24b)가 개방되어(스텝 S105), 냉장실(2) 내의 영역(2c)(도 2 또는 도 3 참조)으로 냉기가 보내진다.
다음으로, 냉장실 제1 댐퍼(24a)의 폐쇄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06).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냉장실 제1 댐퍼(24a)의 폐쇄 조건은, 「냉장실 제1 온도 센서(41a) 검지 온도가 Tr1_c 이하(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r1_c=2℃)」, 또는, 「칠드실 온도 센서(42) 검지 온도가 Tc_a 이하(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c_a=-1℃)」일 경우에 성립한다. 스텝 S106이 성립했을 경우(Yes), 냉장실 제1 댐퍼(24a)가 폐쇄된다(스텝 S107).
계속해서, 냉장실 제2 댐퍼(24b)의 폐쇄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08).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냉장실 제2 댐퍼(24b)의 폐쇄 조건은, 「냉장실 제2 온도 센서(41b) 검지 온도가 Tr2_c 이하(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r2_c=3℃)」, 또는, 「칠드실 온도 센서(42) 검지 온도가 Tc_a 이하」일 경우에 성립한다. 스텝 S108이 성립했을 경우(Yes), 냉장실 제2 댐퍼(24b)가 폐쇄된다(스텝 S109).
다음으로, 냉동실 댐퍼(26)의 개방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10).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냉동실 댐퍼(26)의 개방 조건은, 「압축기(23) 구동 상태, 냉장실 제1 댐퍼(24a) 폐쇄 상태, 냉장실 제2 댐퍼(24b) 폐쇄 상태」, 또는, 「압축기 구동 상태, 냉동실 온도 센서(43) 검지 온도가 Tf_a 이상(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f_a=-14℃)」일 경우에 성립한다. 스텝 S110이 성립했을 경우(Yes), 냉동실 댐퍼(26)가 개방되어, 냉동실(7)로 냉기가 보내진다(스텝 S111).
계속해서, 고 내 송풍기(22)의 정지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12).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고 내 송풍기(22)의 정지 조건은, 「압축기(23) 정지 상태, 냉장실 제1 댐퍼(24a) 폐쇄 상태, 냉장실 제2 댐퍼(24b) 폐쇄 상태」일 경우에 성립한다. 스텝 S112가 성립했을 경우(Yes), 고 내 송풍기(22)가 정지된다.
다음으로, 압축기(23)의 정지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14).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압축기(23)의 정지 조건은, 「냉동실 온도 센서(43) 검지 온도가 Tf_b 이하(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f_b=-20℃)」일 경우에 성립한다. 스텝 S114가 성립하지 않을 경우(No), 다시 스텝 S102의 판정으로 돌아간다.
스텝 S114가 성립했을 경우(Yes), 압축기(23)가 정지하여, 냉동실 댐퍼(26)가 폐쇄된다(스텝 S115). 계속해서 압축기(23)의 구동 조건이 성립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16).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압축기(23)의 구동 조건은, 「냉동실 온도 센서(43) 검지 온도가 Tf_c 이상(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f_c=-16℃)」일 경우에 성립한다. 스텝 S116이 성립하지 않을 경우(No), 다시 스텝 S102의 판정으로 돌아간다. 또한, 스텝 S116이 성립했을 경우(Yes), 스텝 S101에 의해 압축기(23), 고 내 송풍기(22)가 구동하여, 스텝 S102의 판정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상의 제어 플로우에서는, 야채실 댐퍼(26)의 동작의 설명을 생략했지만,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있어서 야채실 댐퍼(26)는, 냉장실 제1 댐퍼(24a), 또는, 냉장실 제2 댐퍼(24b)의 개방과 연동하여 개방되고, 야채실 온도 센서(44)의 검지 온도가 하한 온도 Tv(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Tv=3℃)보다 낮아졌을 경우에 폐쇄된다.
이상에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가 나타내는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냉장실 제1 댐퍼(24a), 또는,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적어도 한쪽이 개방 상태시에는, 동작점이 고 내 송풍기(22)의 풍량-정압 특성에 있어서의 극소점보다 소풍량측(원심류역)이 되도록 하고 있다(도 10 참조). 이에 따라, 냉각 효율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유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냉장실(2)에의 송풍 경로로서 독립한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와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구비하고 있으며, 주로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에 의해 냉각되는 영역(2d)에 온도를 검지하는 냉장실 제1 온도 센서(41a)와, 주로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에 의해 냉각되는 영역(2c)에 온도를 검지하는 냉장실 제2 온도 센서(42b)를 구비한다. 냉장실 제1 온도 센서(41a)와 냉장실 제2 온도 센서(42b)의 검지 온도에 의거하여, 냉장실 제1 댐퍼(24a), 냉장실 제2 댐퍼(24b)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고 있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냉장실(2) 내의 영역(2c)과 영역(2d)(도 2 또는 도 3 참조)은, 송풍량이 과대하면, 단시간에 냉각이 완료되고, 송풍량이 과소하면, 냉각 시간은 연장되지만 확실히 소정치까지 냉각할 수 있다. 즉, 영역(2c), 영역(2d)에 관해서는, 송풍량에 의하지 않고 냉각의 과부족이 없어지기 때문에 고효율의 냉각 상태를 얻을 수 있다. 한편으로, 냉장실 제1 댐퍼(24a)와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어느 것을 개방 상태로 해도 공통으로 냉기가 통과하는 영역(2e)은, 냉장실 제1 댐퍼(24a)와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어느 한쪽에서도 개방된 상태이면 냉각되기 때문에, 송풍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냉각의 과부족을 억제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영역(2e)에의 송풍량이 과대해지면, 영역(2c) 혹은 영역(2d)이 충분히 냉각된 시점에서, 영역(2e)은 과잉으로 냉각된 상태가 되고, 송풍량이 과소해지면 영역(2c) 혹은 영역(2d)이 충분히 냉각된 시점에서, 영역(2e)은 냉각 부족의 상태가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와 같이, 제빙수 탱크(55)를 공통으로 냉기가 통과하는 영역(2e)에 구비할 경우에는, 영역(2e)이 과잉으로 냉각되면, 제빙수 탱크(55) 내의 물이 동결될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빙수 탱크(55) 내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 등에 의한 가열을 요하기 때문에, 그만큼 열부하가 증가하여 냉각 효율이 저하한다.
그래서, 공통으로 냉기가 통과하는 영역(2e)을 과부족 없이 냉각할 수 있는 송풍량이 되도록, 냉장실 제1 댐퍼(24a), 냉장실 제2 댐퍼(24b)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냉기 순환 경로의 풍로 저항이나 고 내 송풍기(22)의 회전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고 내 송풍기의 풍랑-정압 특성과 풍로 저항(도 10에서의 저항 곡선)에 의해 정해지는 동작점이 안정되어 있으면, 송풍량은 고 내 송풍기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회전 속도를 바꿈으로써 용이하게 송풍량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동작점이 크게 변화할 경우에는, 고 내 송풍기의 회전 속도와 송풍량의 관계가 변화하기 때문에, 소정의 송풍량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종래의 냉장고(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혹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냉장고)에서는, 이하에 서술하는 이유에 의해, 냉기 순환 경로의 동작점이 크게 변화하는 경우가 있어, 그에 수반하는 냉각 효율의 저하가 문제가 되고 있었다.
축류 송풍기는, 일반적으로, 실속점보다 대풍량측의 축류역(도 10 참조)에서 사용하는 송풍기이다. 따라서, 비교를 위해, 우선, 냉기 순환 경로의 풍로 저항을 작게 억제하여, 동작점이 축류역이 되도록 풍로를 구성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냉장고에서는, 냉각 운전 중에 증발기에 성에가 성장하기 때문에, 풍로 저항은 성에의 성장에 수반하여 점차 증가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때, 동작점을 축류역으로 하기 위해 풍로 저항이 작게 억제되어 있으면, 증발기에 성장한 성에에 기인하는 풍로 저항의 증가 정도가 커져, 성에의 성장에 수반하여 동작점이 크게 소풍량측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냉장실 제1 댐퍼(24a)와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어느 것을 개방 상태로 해도 공통으로 냉기가 통과하는 영역(2e)에의 송풍량이 크게 변화하여, 냉각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와 같이, 풍로 저항을 비교적 크게 하여, 동작점이 원심류역이 되도록 풍로를 구성했을 경우, 성에가 성장해도, 베이스가 되는 풍로 저항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성에의 성장에 기인하는 풍로 저항의 증가 정도는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풍량의 감소 정도는 작아지기 때문에, 냉장실 제1 댐퍼(24a)와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어느 것을 개방 상태로 해도 공통으로 냉기가 통과하는 영역(2e)의 냉각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류역과 원심류역 사이의 우상향 특성역은 동작이 불안정해질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안정된 송풍량을 얻기 위해서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작점이 축류역이 되도록 풍로를 구성했을 경우, 성에의 성장에 수반하여 풍로 저항이 증가하여, 우상향 특성역으로 동작점이 들어감으로써 영역(2e)에의 안정된 송풍량을 얻을 수 없게 되는 사태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와 같이, 동작점이 원심류역이 되도록 하면, 성에의 성장에 수반하여 풍로 저항이 증가해도, 풍량의 감소 정도는 작게 억제되며, 또한, 동작이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는 우상향 특성역으로 들어가는 것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실 제1 댐퍼(24a)와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어느 것을 개방 상태로 해도 공통으로 냉기가 통과하는 영역(2e)을 과부족 없이 냉각할 수 있는 냉각 효율이 높은 냉장고가 된다.
한편, 동작점이 원심류역에 있는 것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판별하면 된다.
먼저, 고 내 송풍기 단체(單體)의 풍랑-정압 특성을, JISB 8330:2000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다음으로, 냉장고의 풍량을 측정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 복귀구(35)를 흐르는 풍량을 측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문(2a, 2b)을 개방하여, 덕트(100)가 냉장실 복귀구(35)를 덮도록 설치하고, 덕트(100)의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대기압)의 차압(差壓)을 측정하는 제1 차압계(103)와, 상류측과 하류측의 차압에 의거하여 풍량을 산출할 수 있는 오리피스(102)와, 오리피스(102)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차압을 측정하는 제2 차압계(104)와, 오리피스의 상류측에 송풍기(101)에 의해 구성되는 풍량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풍량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차압계(103)의 차압이 제로가 되도록 송풍기(101)를 조정하여, 그때의 제2 차압계(104)에 의거하여 냉장실 복귀구(35)를 흐르는 풍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냉장실문(2a, 2b)은 개방 상태가 되지만, 제1 차압계의 차압이 제로가 되도록 조정하고 있으므로, 냉장실문(2a, 2b)을 폐쇄한 상태와 거의 동등한 상태로 간주할 수 있다. 덧붙여서, 오리피스(102)와, 송풍기(101)를 도 13에 기재된 설치 상태로부터 반전시켜 덕트(100) 내의 공기를 흡출하도록 함으로써,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풍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의 분출구(31a∼31c)로부터의 송풍을 유도하도록 덕트(100)를 설치하여, 제1 차압계(103)의 차압이 제로가 되도록 송풍기(101)를 조정하면, 제2 차압계(104)의 차압에 의거하여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로부터의 분출 풍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스로틀 기구에 의한 풍량 측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열식 유량계 등의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풍량을 측정해도 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송풍기 단체의 풍량-정압 특성과, 냉장고의 동작 풍량이 분명해지므로, 양자로부터, 동작점이 원심류역이 되는지의 여부를 실용상 충분한 정밀도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축류 송풍기의 단체 성능에 있어서, 극대점과 극소점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을 경우, 다음과 같이 하여 원심류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축류 송풍기는, 일반적으로, 축류역에서는 축 방향으로 흐름이 분출하고, 원심류역에서는 지름 방향으로 흐름이 분출된다(도 11 참조). 따라서, 극대점과 극소점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 풍량-정압 특성을 갖는 송풍기일 경우에는, 분출 흐름의 변화에 따라 축류역과 원심류역을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류 송풍기(22)의 블레이드 외주의 전연(前緣)(91a)의 전방으로부터 45도 경사진 가상면(원추대면)을 생각하여, 면의 내측(전방)을 전방 영역, 면의 외측을 지름 방향 영역으로 하여, 전방 영역으로 흐름이 분출할 경우에는 동작점이 축류역에 있고, 지름 방향 영역으로 흐름이 분출할 경우에는 원심류역에 동작점이 있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송풍기 단체의 풍량-정압 특성의 측정과 함께, 블레이드 외주의 전연(91a)으로부터 일정 거리의 자오면(子午面)상의 풍속을 측정하여, 풍속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점이 전방 영역으로 들어갈 경우에는 축류역, 지름 방향 영역으로 들어갈 경우에는 원심류역이라 판정하면 된다. 덧붙여서, 송풍기로부터 분출되는 풍속은, 축 방향 성분, 지름 방향(원심 방향) 성분, 및 둘레 방향 성분을 갖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무지향성 풍속계로 측정하면, 이들 성분이 합성된 풍속이 계측되지만, 축 방향을 향하는 흐름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지름 방향을 향하는 흐름이 형성되는 원심류역에 있는 것은 판별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배면 단열벽 내에 진공 단열재(60)를 구비하여,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후방의 진공 단열재(60)에 투영했을 때에,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60)의 단부에 이르는 최단 거리 L을 50㎜ 이상(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L=lOO㎜) 이간(離間)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1 댐퍼(24a)를 개방 상태,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2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2 댐퍼(24b)를 폐쇄 상태로 하는 운전 모드를 실시한다(도 3 및 도 12 참조). 이에 따라, 냉각 효율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유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진공 단열재(60)(도 7 참조)와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층을 포함하는 외포재(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알루미늄 증착 필름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해 덮인 진공 단열재는, 외주로부터 50㎜ 미만의 영역은, 외포재를 통해 열이 많이 이동하기 때문에 단열 성능이 낮아지는, 소위 히트 브릿지 영역이 된다. 따라서, 히트 브릿지 영역의 전방에 덕트를 배설하면, 열손실이 커져 냉각 효율이 저하한다. 따라서, 히트 브릿지 영역의 전방에 덕트를 배설하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냉장실 내의 냉각을 양호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소정 위치까지 덕트로 냉기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특히, 자연 대류에 의해 냉기가 전해지기 어려워지는 냉장실의 상방의 영역(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있어서의 영역(2c))에 확실히 냉기를 전하기 위해서는, 덕트를 냉장실의 상부에까지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수반하여, 히트 브릿지 영역의 전방에 덕트가 배설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후방의 진공 단열재(60)에 투영했을 때에,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60)의 단부에 이르는 최단 거리 L을 50㎜ 이상 이간시키도록 하여,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열손실이 작은 고단열 풍로로 하고, 영역(2c)의 냉각을 행할 필요가 없는 상태에서는,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1 댐퍼(24a)를 개방 상태,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2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2 댐퍼(24b)를 폐쇄 상태로 하는 운전 모드를 실시함으로써, 히트 브릿지에 의한 열손실을 억제한 냉각 효율이 높은 냉장고가 된다.
또한, 배면 단열벽 내에 진공 단열재(60)를 구비하여,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후방의 진공 단열재(60)에 투영했을 때에, 진공 단열재(60)의 접음부(60b)의 내측의 영역에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가 들어가도록 구성하여,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1 댐퍼(24a)를 개방 상태,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2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2 댐퍼(24b)를 폐쇄 상태로 하는 운전 모드를 실시한다(도 2, 도 3, 도 8 및 도 12 참조). 진공 단열재의 접음부는, 외포재가 겹치기 때문에 히트 브릿지의 영향이 커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접음부(60b)에 기인하는 히트 브릿지에 의한 열손실을 억제한 냉각 운전을 실시함으로써,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열손실이 작은 고단 열풍로로 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최상단의 선반(46a, 46b)보다 상방의 영역(2c)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와, 최상단의 선반(46a, 46b)보다 하방의 영역(2d)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구비하여,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1 댐퍼(24a)를 개방 상태,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2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2 댐퍼(24b)를 폐쇄 상태로 하는 운전 모드를 실시한다(도 2, 도 3 및 도 12 참조). 이에 따라, 영역(2c)의 냉각을 행할 필요가 없는 상태에서는, 최상단의 선반(46a, 46b)보다 상방의 영역(2c)의 공기층이, 냉장실(2)의 상벽으로부터의 열 영향이 영역(2d)에 미치는 것을 억제하는 단열층으로서 작용하므로,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해진다.
또한, 선반(46a) 및 선반(46b)으로부터 상벽에 이르는 각각의 거리(도 3 중에 나타내는 H1 및 H2)가 선반(46a) 및 선반(46b)의 각각의 깊이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1 댐퍼(24a)를 개방 상태,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2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2 댐퍼(24b)를 폐쇄 상태로 하는 운전 모드를 실시하여, 영역(2c)의 공기층을 단열층으로서 작용시킬 때에, 영역(2c) 내의 대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영역(2c)에 의한 단열 효과가 높아져, 보다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해진다.
또한, 냉장실 제1 댐퍼(24a)와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어느 것을 개방 상태로 해도 공통으로 냉기가 통과하는 영역의 용적(영역(2e)의 용적)이, 냉장실 제1 댐퍼(24a)와 냉장실 제2 댐퍼(24b)의 개폐 상태에 의해 독립적으로 송풍이 제어되는 영역의 용적(영역(2c)과 영역(2d)을 합친 용적)보다 작아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성에의 성장에 수반하여 동작점이 약간 소풍량측으로 변화해도, 냉각 효율의 저하의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및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의 최소 유로 단면적을, 고 내 송풍기(22)의 분출 면적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덕트 점유 체적을 억제하면서, 냉장실(2)의 냉기 순환계로의 풍로 저항을 크게 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 효율과 스페이스 효율이 높은 냉장고가 된다.
또한, 냉장실 복귀 덕트(15)의 최소 유로 단면적을, 고 내 송풍기(22)의 분출 면적보다 작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덕트 점유 체적을 억제하면서, 냉장실(2)의 냉기 순환계로의 풍로 저항을 크게 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 효율과 스페이스 효율이 높은 냉장고가 된다.
또한,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의 최소 유로 단면적을,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의 최소 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장실 제1 댐퍼(24a)와 냉장실 제2 댐퍼(24b)의 쌍방이 개방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고단열 풍로인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에 보다 많은 냉기가 흐르므로, 열손실을 억제한 냉각 효율이 높은 냉각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로부터 송풍되는 냉기와,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로부터 송풍되는 냉기가 공통으로 흐르는 경로(영역(2e), 칠드실(3), 냉장실 복귀구(35), 냉장실 복귀 덕트(15))에 온도 센서(칠드실 온도 센서(42))를 구비하여, 소정 온도 이하(Tc_a 이하)로 센서 검지 온도가 저하했을 경우에는,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1 댐퍼(24a),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2a)에 송풍하는 냉장실 제2 댐퍼(24b) 모두 폐쇄 상태로 하도록 하고 있다(도 2, 도 3, 도 4 및 도 12 참조). 이에 따라,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와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공통으로 냉각되는 영역(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 내의 영역(2e)이나 칠드실(3))이 과도하게 냉각되어, 동결에 이른다는 문제점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칠드실(3)은 냉기의 분출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소정 온도로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칠드실로 분출하는 분출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혹은,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에 칠드실 분출구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칠드실 분출구로부터의 송풍을 제어하기 위한 칠드실 댐퍼를 구비하여, 소정 온도로 유지하기 쉬운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 실시형태를, 도 14∼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풍로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한편,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구성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4∼도 16에서,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와 동일 기능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냉장실(2)의 배면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신(延伸)하는 냉장실 송풍 덕트(11)(최소 유로 단면적 1700㎟)를 구비하고 있다(도 14 및 도 15 참조). 냉장실 송풍 덕트(11)에는 냉장실 분출구(31a∼31c)가 구비되어 있다(도 14 참조). 냉장실 송풍 덕트(11)의 우측에 인접하여 냉장실 제1 복귀 덕트(15a)(최소 유로 단면적 1640㎟)가 배설되어 있다. 냉장실 제1 복귀 덕트(15a)의 상부에는 복귀구(35a, 35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칠드실 배면에는 냉장실 제2 복귀 덕트(15b)(최소 유로 단면적 1400㎟)가 구비되어 있고, 냉장실 제2 복귀 덕트(15b)에는 복귀구(35c)가 구비되어 있다(도 15 참조). 냉장실 제1 복귀 덕트(15a)와 냉장실 제2 복귀 덕트(15b)에의 복귀 냉기의 유입은, 상측 단열 칸막이벽(51)의 후방 투영 영역 내에 배설된 냉장실 제1 댐퍼(24a), 냉장실 제2 댐퍼(24b)(도 15 참조)의 개폐 상태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으로 도 16과, 적당히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을 냉각하는 냉기의 순환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기(21)와 열교환한 냉기는, 고 내 송풍기(22)에 의해 승압되고, 냉장실 제1 댐퍼(24a)가 개방 상태에서는,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흘러 냉장실 분출구(31a∼31c)로부터 냉장실 내의 최상단의 선반(46a, 46b)보다 하방에서, 최하단의 선반(46f)보다 상방의 영역(2d)(도 14 및 도 15 참조)으로 분출된다. 영역(2d)으로 분출된 냉기는, 문 포켓(47b)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2e)(도 14 참조)을 흘러, 선반(46a, 46b)보다 상방의 영역(2c)(도 14 및 도 15 참조)을 거쳐, 냉장실 복귀구(35a, 35b)(도 15 참조)에 이른다. 냉장실 복귀구(35a, 35b)(도 15 참조)로부터 냉장실 제1 복귀 덕트(15a)(도 15 참조)로 유입한 냉기는, 증발기 수납실(9)로 돌아가 다시 증발기(21)와 열교환한다.
또한, 냉장실 제2 댐퍼(24b)가 개방 상태에서는, 냉기는,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흘러 냉장실 분출구(31a∼31c)로부터 영역(2d)으로 분출된다. 영역(2d)으로 분출된 냉기는, 영역(2e)을 흘러, 문 포켓(47c)이나 제빙수 탱크(55)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2f)(도 14 및 도 15 참조)을 거쳐, 칠드실(3)을 냉각하여 냉장실 복귀구(35c)(도 15 참조)에 이른다. 냉장실 복귀구(35c)로부터 냉장실 제2 복귀 덕트(15b)(도 15 참조)로 유입한 냉기는, 증발기 수납실(9)로 돌아가 다시 증발기(21)와 열교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후방의 진공 단열재(60)에 투영했을 때에, 냉장실 송풍 덕트(11)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60)의 단부에 이르는 최단 거리 L을 100㎜로 하고 있다. 또한,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는 진공 단열재(60)의 접음부(60b)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냉장실 송풍 덕트(11)와, 냉장실 제1 복귀 덕트(15a)와, 냉장실 제2 복귀 덕트(15b)를 구비하여,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후방의 진공 단열재(60)에 투영했을 때에, 냉장실 송풍 덕트(11) 단부로부터 진공 단열재(60)의 단부에 이르는 최단 거리 L을 50㎜ 이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후방의 진공 단열재(60)에 투영했을 때에, 진공 단열재(60)의 접음부(60b)의 내측의 영역에 냉장실 송풍 덕트가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온의 냉기가 흐르는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히트 브릿지에 의한 열손실을 억제한 위치에 배설함으로써, 냉각 효율이 높은 냉장고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냉장실 제2 댐퍼(24b)의 개폐 상태에 의해 제빙수 탱크(55) 설치부 주변(영역(2f))에의 송풍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냉장실 제1 댐퍼(24a) 및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어느 것이 개방 상태여도 공통으로 냉기가 통과하는 영역(영역(2d, 2f))에 제빙수 탱크(55)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제빙수 탱크(55) 주변이 과잉으로 냉각되기 어려워져, 제빙수 탱크(55) 내의 물이 동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 등에 의한 가열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냉각 효율이 높은 냉장고가 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3 실시형태를, 도 17∼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제3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고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8은 제3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장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는 제3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풍로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20은 제3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댐퍼의 개폐 상태의 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17∼도 20에서,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와 동일 기능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2)의 배면 대략 중앙에, 냉장실(2)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신하는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와,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최소 유로 단면적 1400㎟)의 상부에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최소 유로 단면적 1400㎟)를 구비하고 있으며,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및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의 입구부에는 각각 냉장실 제1 댐퍼(24a), 및 냉장실 제2 댐퍼(24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 제1 댐퍼(24a)는, 상측 단열 칸막이벽(51)의 후방 투영 영역 내에 배설되고, 냉장실 제2 댐퍼(24b)는, 선반(46a)의 대략 배부(선반(46a)의 높이 위치를 하단으로 했을 경우)에 배설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9와, 적당히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의 냉기 순환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기(21)와 열교환한 냉기는, 고 내 송풍기(22)에 의해 승압되고, 냉장실 제1 댐퍼(24a)가 개방 상태이고, 냉장실 제2 댐퍼(24b)가 폐쇄 상태에서는,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흘러 냉장실 분출구(31a∼31c)(도 18 참조)로부터 냉장실 내의 영역(2d)(도 17 및 도 18 참조)으로만 분출된다. 영역(2d)으로 분출된 냉기는, 문 포켓(47b, 47c)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2e)(도 17 참조), 칠드실(3)을 흘러, 냉장실 복귀구(35)에 이른다. 또한, 냉장실 제1 댐퍼(24a)가 개방 상태이며, 또한, 냉장실 제2 댐퍼(24b)가 개방 상태에서는, 냉기는,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흘러 냉장실 분출구(31a∼31c)로부터 영역(2d)으로 분출함과 함께,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흘러 냉장실 분출구(31d, 31e)로부터 냉장실 내의 영역(2c)(도 17 및 도 18 참조)으로 분출된다. 영역(2c)으로 분출된 냉기는, 문 포켓(47b, 47c)이나 제빙수 탱크(55)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2e), 칠드실(3)을 흘러, 냉장실 복귀구(35)에 이른다.
영역(2c, 2d, 2e) 및 칠드실(3)을 냉각한 냉기는, 냉장실 복귀구(35)로부터 냉장실 복귀 덕트(15)(최소 유로 단면적 1700㎟)로 들어가, 증발기 수납실(9)에 이르러 다시 증발기(21)와 열교환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 있어서도, 냉장실 제1 댐퍼(24a), 냉장실 제2 댐퍼(24b), 냉동실 댐퍼(26), 야채실 댐퍼(27)를 구비하고, 각각이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의 2개의 상태를 취하므로, 댐퍼의 개폐 상태의 조합은 16가지가 되지만, 냉장실 제2 댐퍼(24b)는 냉장실 제1 댐퍼(24a)의 하류에 위치하기 때문에, 냉장실 제1 댐퍼(24a)가 개방 상태일 경우에만, 냉장실 제2 댐퍼(24b)를 개방하여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통한 송풍이 가능해진다.
도 20은 냉장실 제1 댐퍼(24a)가 개방 상태이고, 냉장실(2)에의 송풍이 행해지는 상태가 되는 조합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장실(2)에의 송풍이 행해지는 상태는 상태 1∼상태 8의 8가지 있으며, 각 상태에서의 냉기 순환 경로의 풍로 저항을 R1∼R8로 한다. 한편, 「풍로 저항의 크기」란은, R1∼R8에 관하여, 풍로 저항이 작은 순으로 1∼8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 즉, R1∼R8의 대소 관계는, 「R4<R8<R3<R7<R2<R6<R1<R5」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상태 1∼상태 8에서의 저항 R1∼R8의 저항 곡선과, 고 내 송풍기(22)의 풍량-정압 특성 곡선의 교점에 의해 정해지는 동작점은, 모두 원심류역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냉장실 제2 댐퍼(24b)는 냉장실 제1 댐퍼(24a)의 하류에 위치하기 때문에, 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와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병설(倂設)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냉장실 송풍 덕트를 콤팩트하게 배설할 수 있으므로 식품 수납 스페이스의 감소를 억제한 냉장고가 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이하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저장실(냉장실(2), 칠드실(3))과, 냉각기(21)와, 냉각기(21)와 열교환한 냉기를 송풍하는 축류 송풍기(22)와, 축류 송풍기(22)에 의해 송풍된 냉기를 저장실로 유도하는 송풍 경로(11)와, 저장실에 송풍된 냉기를 냉각기(21)로 되돌리는 복귀 경로(15)를 구비하고, 송풍 경로(11)와 복귀 경로(15) 중 적어도 한쪽은, 냉기가 통과하는 경로가 분기된 분기 경로(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갖고, 분기 경로의 풍로 저항을 제어하는 풍로 저항 제어 수단(24)을 구비하며, 저장실은, 분기 경로 중 한쪽 경로(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1 독립 냉각 영역(2d)과, 분기 경로 중 다른쪽 경로(냉장실 제2 송풍 덕트(b))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2 독립 냉각 영역(2c)과, 분기 경로 중 어느 쪽의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서도 냉각되는 공통 냉각 영역(2e)을 갖고, 제1 독립 냉각 영역(2d), 제2 독립 냉각 영역(2c) 및 공통 냉각 영역(2e) 중 어느 1개 또는 복수를 조합시켜 냉각하는 복수의 송풍 모드를 갖고, 당해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 축류 송풍기(22)는 풍량-정압 특성 곡선의 극소점보다 소풍량측의 동작점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풍량의 감소 정도는 작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냉장실 제1 댐퍼(24a)와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어느 것을 개방 상태로해도), 공통으로 냉기가 통과하는 영역(2e)의 냉각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냉장실(2), 칠드실(3)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저장실에도 상기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높은 냉각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저장실(냉장실(2), 칠드실(3))과, 냉각기(21)와, 냉각기(21)와 열교환한 냉기를 송풍하는 축류 송풍기(22)와, 축류 송풍기(22)에 의해 송풍된 냉기를 저장실로 유도하는 송풍 경로(11)와, 저장실에 송풍된 냉기를 냉각기(21)로 되돌리는 복귀 경로(15)를 구비하고, 송풍 경로(11)와 복귀 경로(15) 중 적어도 한쪽은, 냉기가 통과하는 경로가 분기된 분기 경로(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 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갖고, 분기 경로의 풍로 저항을 제어하는 풍로 저항 제어 수단(24)을 구비하며, 저장실은, 분기 경로 중 한쪽 경로(냉장실 제1 송풍 덕트(11a))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1 독립 냉각 영역(2d)과, 분기 경로 중 다른쪽 경로(냉장실 제2 송풍 덕트(11b))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2 독립 냉각 영역(2c)과, 분기 경로 중 어느 쪽의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서도 냉각되는 공통 냉각 영역(2e)을 갖고, 제1 독립 냉각 영역(2d), 제2 독립 냉각 영역(2c) 및 공통 냉각 영역(2e) 중 어느 1개 또는 복수를 조합시켜 냉각하는 복수의 송풍 모드를 갖고, 당해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 축류 송풍기(22)의 분출 흐름이 원심류역이 되는 동작점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동작점이 원심류역이 되도록 하면, 성에의 성장에 수반하여 풍로 저항이 증가해도, 풍량의 감소 정도는 작게 억제되고, 또한, 동작이 불안정해질 경우가 있는 우상향 특성역으로 들어가는 것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냉장실 제1 댐퍼(24a)와 냉장실 제2 댐퍼(24b) 중 어느 것을 개방 상태로 해도), 공통으로 냉기가 통과하는 영역(2e)을 과부족 없이 냉각할 수 있는 냉각 효율이 높은 냉장고가 된다.
또한, 공통 냉각 영역(2e)의 용적이, 제1 독립 냉각 영역(2d) 및 제2 독립 냉각 영역(2c)의 용적보다 작아지도록 했다. 이에 따라, 성에의 성장에 수반하여 동작점이 약간 소풍량측으로 변화해도, 냉각 효율의 저하의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통 냉각 영역(2e), 또는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 공통으로 냉기가 흐르는 복귀 경로(15)의 영역에 온도 검지 수단(42)을 구비하여, 온도 검지 수단(42)에 의해 검지되는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가 되었을 경우, 저장실에의 송풍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공통 냉각 영역(2e), 또는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 공통으로 냉기가 흐르는 복귀 경로(15)의 영역을 과도하게 냉각하여 동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축류 송풍기의 풍량-정압 특성과 풍로 저항에 의해 정해지는 동작점이 원심류역이 되면, 사용하는 축류 송풍기의 풍량-정압 특성에 의거하여 풍로 구성을 정해도 되고, 풍로 구성을 정한 후에, 동작점이 원심류역이 되는 축류 송풍기를 설계 혹은 선정해도 된다. 혹은, 동작점이 원심류역이 되지 않는 댐퍼의 개폐 상태의 조합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 조합의 사용을 회피하도록 제어하거나, 댐퍼를 반개(半開) 상태(예를 들면 개각도 45°)로 하여, 축류역이나 우상향 특성역의 동작점을 원심류역이 되도록 조정해도 된다. 또한, 송풍 덕트나 복귀 덕트의 분할수를 늘려도 된다. 또한, 온도 검지 수단으로서, 서미스터(thermistor), 열전쌍, 반도체 온도 센서, 디지털 온도 센서, 아날로그 온도 센서 등, 공지의 온도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광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저장물을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검지한 저장물의 배치와 온도 검지 수단의 검지 온도를 조합시킴으로써, 이들에 의거하여 댐퍼의 개폐나 송풍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으로,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냉장고 본체
2: 냉장실
2c: 영역(제2 독립 냉각 영역)
2d: 영역(제1 독립 냉각 영역)
2e: 영역(공통 냉각 영역)
3: 칠드실
7: 냉동실
9: 증발기 수납실
11: 냉장실 송풍 덕트(송풍 경로)
11a: 냉장실 제1 송풍 덕트(분기 경로)
11b: 냉장실 제2 송풍 덕트(분기 경로)
15: 냉장실 복귀 덕트(복귀 경로)
21: 증발기(냉각기)
22: 고 내 송풍기(축류 송풍기)
24: 냉장실 댐퍼(풍로 저항 제어 수단)
24a: 냉장실 제1 댐퍼
24b: 냉장실 제2 댐퍼
31: 냉장실 분출구
35: 냉장실 복귀구
41a: 냉장실 제1 온도 센서(온도 검지 수단)
41b: 냉장실 제2 온도 센서(온도 검지 수단)
42: 칠드실 온도 센서(온도 검지 수단)
46: 선반
47: 문 포켓
49: 제어 기판
50: 단열 상자체
51: 상측 단열 칸막이벽(칸막이부)
52: 하측 단열 칸막이벽(칸막이부)
55: 제빙수 탱크
60: 진공 단열재

Claims (4)

  1. 저장실과,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와 열교환한 냉기를 송풍하는 축류 송풍기와, 당해 축류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유도하는 송풍 경로와, 상기 저장실에 송풍된 냉기를 상기 냉각기로 되돌리는 복귀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경로와 상기 복귀 경로 중 적어도 한쪽은, 냉기가 통과하는 경로가 분기(分岐)된 분기 경로를 갖고,
    당해 분기 경로의 풍로(風路) 저항을 제어하는 풍로 저항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실은, 상기 분기 경로 중 한쪽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1 독립 냉각 영역과, 상기 분기 경로 중 다른쪽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2 독립 냉각 영역과, 상기 분기 경로 중 어느 쪽의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서도 냉각되는 공통 냉각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독립 냉각 영역, 상기 제2 독립 냉각 영역 및 상기 공통 냉각 영역 중 어느 1개 또는 복수를 조합시켜 냉각하는 복수의 송풍 모드를 갖고,
    당해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 상기 축류 송풍기는 풍량-정압 특성 곡선의 극소점보다 소풍량측의 동작점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저장실과,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와 열교환한 냉기를 송풍하는 축류 송풍기와, 당해 축류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유도하는 송풍 경로와, 상기 저장실에 송풍된 냉기를 상기 냉각기로 되돌리는 복귀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경로와 상기 복귀 경로 중 적어도 한쪽은, 냉기가 통과하는 경로가 분기된 분기 경로를 갖고,
    당해 분기 경로의 풍로 저항을 제어하는 풍로 저항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저장실은, 상기 분기 경로 중 한쪽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1 독립 냉각 영역과, 상기 분기 경로 중 다른쪽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제2 독립 냉각 영역과, 상기 분기 경로 중 어느 쪽의 경로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서도 냉각되는 공통 냉각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독립 냉각 영역, 상기 제2 독립 냉각 영역 및 상기 공통 냉각 영역 중 어느 1개 또는 복수를 조합시켜 냉각하는 복수의 송풍 모드를 갖고,
    당해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 상기 축류 송풍기의 분출 흐름이 원심류역이 되는 동작점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냉각 영역의 용적이, 상기 제1 독립 냉각 영역 및 상기 제2 독립 냉각 영역의 용적보다 작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냉각 영역, 또는 상기 복수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경우에도 공통으로 냉기가 흐르는 상기 복귀 경로의 영역에 온도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온도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가 되었을 경우, 상기 저장실에의 송풍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30078175A 2012-08-23 2013-07-04 냉장고 KR101445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3740 2012-08-23
JP2012183740A JP5909426B2 (ja) 2012-08-23 2012-08-23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243A KR20140026243A (ko) 2014-03-05
KR101445203B1 true KR101445203B1 (ko) 2014-09-29

Family

ID=5021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175A KR101445203B1 (ko) 2012-08-23 2013-07-04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09426B2 (ko)
KR (1) KR101445203B1 (ko)
CN (1) CN1036298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3899B2 (en) 2016-09-19 2020-02-18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targeted cooling zone
US10627150B2 (en) 2016-09-19 2020-04-21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targeted cooling zone
CN114111202A (zh) * 2021-11-15 2022-03-01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冰箱的温控方法、温控装置、存储介质及冰箱
CN115164477A (zh) * 2022-07-05 2022-10-11 海信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642A (ja) * 1996-08-08 1998-0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
KR19990042520A (ko) * 1997-11-27 1999-06-15 구자홍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 공급장치
KR100570534B1 (ko) 2000-01-07 2006-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 조절장치
JP2011052910A (ja) 2009-09-02 2011-03-17 Sharp Corp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141B2 (ja) * 1989-03-14 1995-11-01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用送風装置
US5209073A (en) * 1990-11-01 1993-05-11 Fisher & Paykel Limited Cooling device and method with multiple cooled chambers and multiple expansion means
JP3315840B2 (ja) * 1995-08-29 2002-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遠心送風機及び冷蔵庫用遠心送風機
JP2983200B2 (ja) * 1997-04-25 1999-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2000274912A (ja) * 1999-03-25 2000-10-0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の送風装置
JP2000337749A (ja) * 1999-05-24 2000-12-08 Hitachi Ltd 冷蔵庫
JP2001263907A (ja) * 2000-03-17 2001-09-26 Hitachi Ltd 冷蔵庫
JP3775973B2 (ja) * 2000-04-21 2006-05-17 松下冷機株式会社 送風機とそれを用いた冷凍冷蔵庫
KR100404117B1 (ko) * 2001-08-03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 유동 발생구조
JP4279186B2 (ja) * 2004-03-31 2009-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KR20070071094A (ko) * 2005-12-29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873140B1 (ko) * 2007-03-31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4564994B2 (ja) * 2007-09-07 2010-10-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2010071563A (ja) * 2008-09-19 2010-04-02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JP2010230286A (ja) * 2009-03-30 2010-10-14 Sharp Corp ファンモータの取り付け構造及び冷蔵庫
JP5315179B2 (ja) * 2009-09-09 2013-10-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US9581377B2 (en) * 2010-02-26 2017-02-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642A (ja) * 1996-08-08 1998-0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冷蔵庫
KR19990042520A (ko) * 1997-11-27 1999-06-15 구자홍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 공급장치
KR100570534B1 (ko) 2000-01-07 2006-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 조절장치
JP2011052910A (ja) 2009-09-02 2011-03-17 Sharp Corp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9426B2 (ja) 2016-04-26
JP2014040966A (ja) 2014-03-06
KR20140026243A (ko) 2014-03-05
CN103629877A (zh) 2014-03-12
CN103629877B (zh)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277B1 (ko) 냉장고
JP5530852B2 (ja) 冷蔵庫
KR101445203B1 (ko) 냉장고
JP5836227B2 (ja) 冷蔵庫
KR20110011510A (ko) 냉장고
TWI716636B (zh) 冰箱
JP5315179B2 (ja) 冷蔵庫
US20100139307A1 (en) Refrigerator with an improved air handler for quickly chilling a bin
JP2013224777A (ja) 冷蔵庫
JP6343576B2 (ja) 冷蔵庫
JP6405526B2 (ja) 冷蔵庫
JP6165427B2 (ja) 冷蔵庫
JP2012237520A (ja) 冷蔵庫
JP7389615B2 (ja) 冷蔵庫
JP6975735B2 (ja) 冷蔵庫
JP6584525B2 (ja) 冷蔵庫
JP2006132820A (ja) 冷蔵庫
JP6533479B2 (ja) 冷蔵庫
JP2018124060A (ja) 冷蔵庫
JP2019020004A (ja) 冷蔵庫
JP7369520B2 (ja) 冷蔵庫
JP2018096647A (ja) 冷蔵庫
KR100597292B1 (ko) 냉장고
JP2007278660A (ja) 冷蔵庫
JP2013245844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