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146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146B1
KR101438146B1 KR1020080091972A KR20080091972A KR101438146B1 KR 101438146 B1 KR101438146 B1 KR 101438146B1 KR 1020080091972 A KR1020080091972 A KR 1020080091972A KR 20080091972 A KR20080091972 A KR 20080091972A KR 101438146 B1 KR101438146 B1 KR 10143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ower shaft
needle
sprocket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278A (ko
Inventor
타다요시 미나카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6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38Shuttle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32Safety devices; Securi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과 가마의 위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봉기는, 바늘(56)을 상하이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상기 바늘 상하이동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축(10)과, 바늘(56)의 상하이동에 대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반회전가마(61)를 회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가마회동기구와, 상기 가마회동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하축(4)과, 상축(10)에 연결된 도시하지 않은 모터와, 상축 스프로킷(1)과, 하축 스프로킷(3)과, 타이밍 벨트(2)와, 위치결정 핀(31)과, 위치결정 핀을 삽입하는 핀 구멍(32) 및 핀 구멍(33)을 구비하며, 상축 스프로킷(1)은 상축(10)에 대하여 홀딩 고정된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의 바늘과 가마의 위상을 맞추기 위한 기구를 구비한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半)회전가마를 이용한 재봉기에서는, 모터의 회전운동에 의해 재봉기의 바늘을 상하이동시키는 동시에, 토대부의 아래에 구비된 가마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재봉기에 의한 봉제가 가능해진다(특허문헌 1).
도 7은 상술한 문헌에서의 재봉기의 상축 및 하축 기구의 구성예이다.
재봉기는 도시되지 않은 상축과, 상축 스프로킷(101)과, 타이밍벨트(102)와, 하축 스프로킷(103)과, 하축(104)과, 기어박스(105)와, 편심 캠(106)과, 크랭크로드(107)와, 대진자(大振子) 축(108)과, 대진자 기어(109)와, 각종 축받이, 와셔 및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여기에 기재하는 종래기술의 설명은 재봉기의 바늘과 가마를 구동하는 상축과 하축의 위상을 맞추는데 최저한으로 필요한 사항만을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또, 상축 및 하축이 상축 스프로킷(101) 및 하축 스프로킷(103)에 고정되는 방향을 X축 방향, 타이밍벨트가 상축 스프로킷과 하축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방향을 Z축 방향, X축 및 Z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다.
상축 스프로킷(101)은, 재봉기모터로부터 회전구동력이 부여되는 도시되지 않은 상축에 대하여 나사(101a,101a)에 의해 고정되며, 하축 스프로킷(103)은, 하축(104)에 대하여 나사(103a,103a)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축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회전운동은, 상축 스프로킷(101)과 하축 스프로킷(103)을 연결하는 타이밍벨트(102)에 의해 하축에 전달된다.
또, 하축(104)에는 기어박스(105)에 조립된 편심 캠(106)이 나사(106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편심 캠(106)은 하축(104)의 회전운동에 의해 편심 캠(106)으로 슬라이딩하는 크랭크로드(107)의 일단부에 대하여 하축(104)을 중심으로 하는 주회(周回)운동을 부여한다. 크랭크로드(107)는 타단부(107a)가, 대진자 축(108)에 나사(109a)에 의해 고정된 대진자 기어(109)의 핀부(109b)와 접속되어 있으며, 크랭크로드(107)의 요동에 의해 대진자 기어(109)는 대진자 축(108)을 중심으로 하여 왕복운동한다. 대진자 기어(109)의 기어부(109c)는 도시되지 않은 하축기어에 연결되어 있고, 하축기어는 도시되지 않은 가마를 구동시키는 기구에 연결되어, 대진자 기어(109)의 왕복운동에 의해 가마는 왕복운동을 한다.
즉, 모터에 의해 상축이 회전하면, 주지된 바와 같이 재봉기의 바늘이 상하이동하는 동시에, 상축 스프로킷의 회전운동은 타이밍벨트(102)를 통해 하축 스프로킷에 전달되며, 하축의 회전운동은 편심 캠(106) 및 크랭크로드(107)에 의해 요동운동이 되어 대진자 기어의 핀부(109b)를 요동시킴으로써 대진자 기어(109)를 왕 복운동시키며, 상기 왕복운동은 대진자 기어(109)에 연결된 하축 기어에 의해 가마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바늘과 가마를 소정의 위상으로 추종시켜 재봉기에 의한 봉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236280호
그런데, 통상적으로 가마를 사용하는 재봉기에서는, 재봉바늘이 소정 위치(하사점을 통과하여 약간 상승을 개시한 위치)에 있을 때 가마의 칼끝이 바늘의 상하이동경로와 교차하도록 가마의 부착상태를 조정하는, 이른바 가마맞춤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반회전가마에서는, 바늘이 하사점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승할 때 형성되는 실 루프를, 반회전가마의 칼끝이 전진요동하여 포획하기 때문에, 이 타이밍에서 바늘과 가마의 칼끝을 맞출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요동하는 반회전가마에서는, 상축과 하축 상호의 위상이 어긋났을 경우에는, 상기 가마의 칼끝에 의해 바늘실 루프를 포획하는 타이밍에 있어서 반회전가마가 후퇴요동을 개시하거나, 혹은 포획 타이밍에서 칼끝이 포획위치가 되도록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가마맞춤작업이 어려워진다.
즉, 반회전가마에서는, 상축과 하축의 위상일치가 필수이며, 이 때문에 상축과 하축의 위상이 어긋난 상태에서 가마맞춤작업을 할 경우에는 가마맞춤작업 이전에 상축과 하축의 위상맞춤작업을 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 상기 위상맞춤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축 스프로킷(101) 및 하축 스프로킷(103)은 도시되지 않은 상축 및 하축(104)에 설치된 평탄부에 대하여 나사(101a,101a 및 103a,103a)를 눌러 붙여 나사고정함으로써, 각 각의 축과 스프로킷은 회전방향에 대하여 각도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한편, 하축(104)의 둘레면에 눌러 붙이는 누름나사(106a)를 편심 캠(106)에 설치함으로써 편심 캠(106)을 하축에 고정하는데, 하축쪽에 평탄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고, 이로써 누름나사(106a)를 풀어 편심 캠(106)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위상맞춤을 수행한다.
그러나, 봉제작업중인 재봉기가 어떠한 이유로 돌연 정지하는 등으로 인해 회전운동 및 왕복운동을 하는 각 부에 대하여 급격한 부하가 작용하였을 경우, 누름나사(106a)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편심 캠(106)이 하축(104)에 대하여 의도하지 않게 회전방향으로 각도가 어긋남에 따라, 바늘과 가마의 위상이 어긋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상의 어긋남을 조정하려면, 재봉기 토대부의 심부(深部)에 구비된 기어박스(105)에 조립된 편심 캠(106)과 하축(104)간의 어긋남을 조정해야만 하여, 조정을 위해 토대부나 기어박스(105)의 부품을 몇 개씩이나 분리해야만 하고, 또한 조정작업중에 상축을 고정해야만 함에도 불구하고 상축을 고정할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등 작업성이 매우 불량하며, 또 조립오류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상축과 하축의 위상이 어긋나는 원인에는, 타이밍벨트가 경년(經年)변화에 기인하는 것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타이밍벨트 풀리의 위치를 변위시켜 타이밍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반회전가마를 이용하는 재봉기로서는, 바탕 천을 평면 자유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특수한 봉제형상을 형성하는 사이클재봉기가 많다. 이러한 사이클재봉기는, 재봉기 본체 내부에 천 이동기구 등의 많은 부품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재봉기 본체가 무거워져 벨트 풀리를 조정함에 있어서 재봉기 본체를 기울여 쓰러뜨리는 작업은, 작업이 곤란한 동시에 작업자에게 피로감을 주게 된다.
더욱이, 상기 사이클재봉기에서는 상기 천 이동기구 등이 재봉기 베드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치가 상기 위상조정작업의 방해가 되어 작업효율을 현저히 저하시켰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바늘과 가마의 위상조정을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작업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아암부 및 기립 몸체부와 베드부로 이루어지는 재봉기 본체와, 상하이동이 가능한 바늘과, 상기 바늘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연결되며,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축과, 바늘의 상하이동경로에 대하여 교차가능한 칼끝을 갖는 반회전가마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하축과, 하축의 회전에 따라 반회전가마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요동시키도록, 반회전가마와 하축의 사이를 연결하는 가마요동기구와, 상기 상축 혹은 상기 하축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모터와, 상기 상축에 고정된 제 1 타이밍 풀리와, 상기 하축에 고정된 제 2 타이밍 풀리와, 상기 양 타이밍 풀리에 걸쳐져 상기 상축 혹은 상기 하축 중 한쪽의 회전을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타이밍벨트를 갖는 재봉기로서, 상기 하축의 회전을 소정 각도로 유지하는 위치와 상기 유지를 해방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한쪽의 위치로 베드부 외측으로부터 조작가능한 회전유지부재와, 상기 기립 몸체부 상방에서 상기 아암부 상면으로 개구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탈부착이 가능한 커버와, 상기 제 1 타이밍 풀리를 상기 상축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고정할 수 있으면서 또한 상기 고정을 해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암부 기기 프레임 외측으로부터 조작가능하도록 제 1 타이밍 풀리에 연결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유지부재에 의해 하축을 소정 각도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 또는 해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상축과 하축의 각도조정시에, 상축을 소정 각도에 맞추기 위한 지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반회전가마를 갖는 재봉기에 있어서, 회전유지부재에 의해 하축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축에 대하여 제 1 타이밍 풀리를 아암부 외측으로부터 조작하여 상축에 대한 부착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재봉기 토대부의 부품을 몇 개나 분리하지 않고 재봉기의 상면커버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상기 고정부재를 외측으로부터 조작하여 타이밍 풀리를 상축에 대하여 조립하거나, 위상의 어긋남에 따른 재조정을 매우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기어박스 내에 배치된 편심 캠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조정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 재봉기 본체를 들어올릴 필요도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자의 피로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베드부 외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하축의 회전을 소정 각도로 유지하는 회전유지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축의 전달휠을 상축에 대하여 조립하거나, 위상의 어긋남에 따른 재조정을 수행할 때에, 하축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양호해지는 동시에 위상맞춤의 조립오류가 저감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축과 하축의 각도조정시에, 상축을 소정 각도에 맞추기 위한 지표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회전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된 하축에 대하여, 상축과 상축의 전달휠을 지표수단이 나타내는 위치에 따라서 소정 각도로 홀딩 고정함으로써, 바늘과 가마의 위상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작업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지는 동시에 위상맞춤의 조립오류가 저감된다.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있어서, 재봉기의 본체 프레임(50)은 베드부(51)와, 베드부(51)의 일단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기립 몸체부(52)와, 기립 몸체부(52)의 상단부로부터 베드부(51)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 아암부(53)를 구비한다.
여기서, 기립 몸체부(52)가 세워 설치되는 방향을 Z축, 아암부(53)가 설치되는 방향을 Y축, Z축 및 Y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X축으로 한다.
아암부(53)는, 기립 몸체부(52)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개구부(53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53a)를 덮는 상면커버(54)를 구비한다. 상면커버(54)는 네 모서리를 나사고정함으로써 아암부(53)에 고정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50)은 상축(10)과 연결되며 작업자에 의해 상축(10)의 회전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풀리(55)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낸 각 부의 재봉기에 의한 봉제작업에 관한 특징에 대해서는 종래기술과 같으므로, 여기서는 위상조정에 관한 특징에 대해서만 기재하기로 한다.
또, 기어박스(105), 크랭크로드(107), 대진자 축(108), 대진자 기어(109) 및 그 부수부품은 종래기술과 같으므로, 종래기술의 설명과 부호를 동일하게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있어서 상축(10)은, 아암부(53)의 내부에 Y축 방향으로 설치되며, 도시되지 않은 모터 및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연결되어 있다. 모터는 도시되지 않은 재봉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회전운동하며, 상축(10)에 회전운동을 부여한다. 상축(10)의 회전운동이 전달된 바늘 상하이동기구는, 회전운동을 상하이동운동으로 변환하여 바늘(56)에 전달하여 봉제가 이루어진다.
하축(4)은 베드부(51)를 관통하여 Y축 방향으로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베드부(51)의 내부에 설치된 기어박스(105)에 조립된 편심 캠(6)을 지지한다. 편심 캠(6)을 지지하는 하축(4)의 소정 위치에는 평탄부(4b)가 설치되며, 평탄부(4b)에 나사(6a)를 눌러붙임으로써, 편심 캠(6)은 하축(4)에 대하여 각도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된다. 하축(4)이 회전운동하면, 하축(4)에 고정된 편심 캠(6)은, 편심 캠(6)으로 슬라이딩하는 크랭크로드(107)의 일단부에 대하여 하축(104)을 중심으로 하는 주회(周回)운동을 부여하여, 주지된 바와 같이 가마에 왕복운동을 부여한다. 또, 하축(4)이 회전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전달휠 및 동력전달수단)
상축 스프로킷(1)은, 상축(10)이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 양단에 상축(10)을 홀딩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1b,1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축 스프로킷(1)은 나사(1a)에 의해 상축(10)에 대하여 홀딩 고정되며, 나사(1a)를 풀어 각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축(10)이 회전하면, 상축 스프로킷(1)도 회전하여, 상축 스프로킷(1)과 하축 스프로킷(3)의 사이에 걸쳐진 무단(endless)의 타이밍 벨트(2)를 통해 하축 스프로킷(3)으로 회전운동이 전달된다.
하축 스프로킷(3)은, 하축(4)에 설치된 평탄부(4a)에 대하여 나사(3a) 중 하나를 눌러 붙임으로써 하축(4)에 대하여 각도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되며, 타이밍 벨트(2)를 통해 전달된 상축(10) 및 상축 스프로킷(1)의 회전운동에 의해 하축 스프로킷(3) 및 하축(4)도 회전한다. 또한, 하축(4)에는 평탄부(4a)를 설치하여 하축 스프로킷(3)이 하축(4)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는 구조이지만, 상축(10)에는 평탄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축(10)에 대하여 상축 스프로킷(1)을 임의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차이에 의해, 봉제작업중인 재봉기가 어떠한 이유로 돌연 정지하는 등으로 인해 회전운동 및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각 부에 대하여 급격한 부하가 작용하였을 경우, 하축 스프로킷(3)은 하축(4)에 대하여 각도의 어긋남이 보다 강고하게 방지되지만, 상축 스프 로킷(1)은 상축(10)에 대하여 홀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 후의 각도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상축 스프로킷(1)은 제 1 전달휠로서, 또한 하축 스프로킷(3)은 제 2 전달휠로서 기능하며, 타이밍벨트(2)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축 스프로킷(1)과 하축 스프로킷(3)의 지름 및 기어 수는 동일하며, 이에 따라 상축이 1회전하면 하축도 1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축 스프로킷(1)은 아암부(53) 내에 설치되는 상축(10)에 있어서, 개구부(53a)의 하방에 위치하는 장소에 고정된다. 즉, 작업자에 의해 상면커버(54)가 벗겨지면, 상축(10)에 고정된 상축 스프로킷(1)이 개구부(53a)를 통해 보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늘과 반회전가마의 위상)
다음으로, 재봉기의 위상조정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재봉기의 바늘(56)과 반회전가마(61)의 위상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바늘(56)은, 상술한 바늘 상하이동기구와 연결되어, 상축(10)이 회전하면 바늘 상하이동기구에 의해 회전운동이 상하이동운동으로 변환되고, 상하이동운동이 바늘(56)에 전달됨으로써 바늘(56)은 봉제작업시의 주지의 상하이동을 한다.
가마부(60)에 설치된 반회전가마(61)는, 가마부(60)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하축 기어에 의해 종래기술과 같은 기어박스(105)에 조립된 대진자(109)에 설치된 대진자 기어(109c)의 왕복운동이 전달됨에 따라, 대진자 축(108)에 접속된 반회전가마(61)가 왕복회동(요동)운동을 한다. 즉, 도시되지 않은 하축 기어 및 대진자(109)를 포함하는 기어박스(105)에 조립된 각 부는 「가마요동기구」로서 기능한다.
주지의 봉제작업에 있어서, 바늘(56)은 상술한 상하이동기구에 의해 하강하며, 도시되지 않은 봉제물을 관통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한 후에 상승한다. 이 때 재봉실(T)은 바늘(56)의 상하이동에 따라 루프(L)를 형성하고, 회동하는 반회전가마(61)가 루프(L)를 포획함으로써 주지된 바와 같이 바늘땀이 형성된다.
즉, 바늘(56)의 상하이동에 따라 재봉실(T)이 형성한 루프(L)를 반회전가마(61)가 포획하는 타이밍을 정확히 얻기 위하여, 바늘(56)의 상하이동과 반회전가마(61)의 왕복회동운동의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위상조정을 수행함으로써 비로소 올바른 바늘땀이 형성된다.
또한, 상축(10)이 1회전하면 바늘(56)의 상하이동운동이 1왕복되며, 하축(4)이 1회전하면 반회전가마(61)의 왕복회동운동이 1왕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축(10)이 1회전함에 따라 하축(4)도 1회전하고, 이로써 바늘(56)의 상하이동운동이 1왕복되는 동시에 반회전가마(61)의 왕복회동운동이 1왕복된다.
(회전유지수단)
도 4는 본체 프레임(50)의 베드부(51)와 기립 몸체부(52)가 접합되는 부분 주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드부(51) 측면의 소정의 위치에는 원형 구멍으 로서의 핀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축(4)에는 베드부(51)에 형성된 핀 구멍(32)으로부터 X축 방향에 대하여 거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부분에, 원형 구멍인 핀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핀 구멍(32)과 핀 구멍(33)의 내부지름은 거의 동일하다. 또, 별개 부품으로서 위치결정 핀(31)이 구비되어 있다. 위치결정 핀(31)은 핀 구멍(32) 및 핀 구멍(33)의 원형 구멍에 삽입가능한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핀이다.
핀 구멍(32)은 베드부(51)의 측면을 관통하며, 핀 구멍(32)에 삽입된 위치결정 핀(31)이 더욱이 하축의 핀 구멍(33)에 삽입됨에 따라 하축(4)의 회전을 고정한다. 이 때, 하축(4)은 위치결정 핀(31)에 의해 베드부(5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위치결정 핀(31)은 베드부(51)의 핀 구멍(32)과 하축(4)의 핀 구멍(33)에 의해 「회전유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즉, 상기 「소정의 각도」는 상술한 위상조정에서의 반회전가마(61)의 칼끝이 루프(L)를 포획하기 직전의 위치(칼끝의 선단이 최상 위치가 되는 상태(도 3의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하축(4)의 핀 구멍(33)은 베드부(51)에 형성된 핀 구멍(32)으로부터 X축 방향에 대하여 거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데, 더불어 하축(4)의 회전축과 겹치는 위치에 핀 구멍(33)의 중심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결정 핀(31)과 각 핀 구멍(32,33)의 사이에 발생하는 클리어런스(clearance)는 극력히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실시예에서 핀 구멍(33)은 하축(4)을 관통하지 않지만, 관통하여도 무방 하다. 이 경우, 베드부(51)의 하면부에 위치결정 핀(31)이 접촉함으로써 위치결정 핀(31)이 고정된다.
또한, 핀 구멍(32) 및 핀 구멍(33)은 원기둥 형상의 위치결정 핀(31)에 대응하기 위해 원형 구멍으로 되어 있으나, 위치결정 핀(31)의 형상에 핀 구멍(32) 및 핀 구멍(33)이 합치되어 있다면 형상은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회전유지수단에 의해 하축(4)이 소정의 각도로 유지되면, 하축 스프로킷(3)도 유지되며, 타이밍벨트(2)를 통해 상축 스프로킷(1)도 유지된다. 이 때, 상축 스프로킷(1)의 나사(1a)의 나사 헤드가 Z축 방향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회전유지수단에 의해 하축이 고정된 후에 상축 스프로킷(1)의 나사(1a)를 조이고 푸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지표수단)
도 5는 상면 커버(54)를 벗긴 상부체의 개구부(53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지표수단(20)은, 개구부(53a)의 내측에 설치된 측면 프레임에 있어서, 상축(10)이 관통하는 측면 중 풀리(55)가 설치되어 있는 쪽에 가까운 측면 프레임의, 상축(10)이 관통하는 구멍부의 원주상에 설치된 지표마크(21)와, 상축(10)에 설치되며 소정의 각도를 두고 지표마크(21)에 가장 근접하는 지표마크(22)에 의해 구성된다.
이때, 상술한 「소정의 각도」는, 상축(10)의 회전운동에 연동하여 상하이동운동을 수행하는 바늘(56)의 위치가, 상술한 위상조정에서의 바늘(56)을 통과하는 재봉실(T)이 루프(L)를 형성하는 위치(도 3의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회전유지수단에 의해 하축(4)을 유지함으로써 반회전가마(61)를 도 3의 위치에 유지하고, 상축 스프로킷(1)의 나사(1a)가 느슨해짐에 따라 상축 스프로킷(1)과 상축(10)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표마크(21)와 지표마크(22)를 일치시킴으로써 바늘(56)을 도 3의 위치로 조정하며, 그 후 나사(1a)를 조여 상축 스프로킷(1)을 상축(10)에 고정함으로써, 바늘(56)과 반회전가마(61)의 위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표마크(21)가 설치되는 개구부(53a) 내측의 측면 프레임은, 상축(10)이 관통하는 측면 중, 바늘(56)이 설치되어 있는 쪽에 가까운 쪽의 측면 프레임이어도 된다.
또한, 지표마크(21)의 위치는, 상축에 설치된 지표마크(22)와 일치시킬 수 있는 구멍부의 원주상이라면 어디라도 무방하지만, 상면 커버(54)를 벗긴 상태에서,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지표마크(21) 및 지표마크(22)는 모두 점형상의 마크로 되어 있으나, 상축(10)을 소정의 각도로 조정하기 위한 지표가 된다면 마크의 형상은 불문한다. 예컨대, 마주보는 화살표의 정점(頂点)들을 맞추는 것이어도 된다.
더욱이, 지표수단(20)을 설치함에 있어서, 재봉기는 부품가공 정밀도나 조립 오차에 따라 어긋날 수 있기 때문에, 재봉기의 각 기기체마다, 지표수단(20)을 설치하기 전에 한번 정확하게 위상을 조정하고, 그 다음에 지표수단(20)을 상축(10) 및 측면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부품 가공 정밀도나 조립 오 차에 좌우되지 않는 정확한 위상조정이 가능해진다.
(위상 조정의 순서)
다음으로, 위상을 조정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업자에 의해 바늘(56)과 반회전가마(61)의 위상이 어긋났음이 확인되면, 작업자는 상면 커버(54)를 벗겨 개구부(53a)로부터 상축 스프로킷(1)이 보이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풀리(55)를 조작하여 상축(10)을 회전시키고, 하축(4)의 핀 구멍(33)에 위치결정 핀(31)을 삽입할 수 있는 각도로 하축(4)을 회전하도록 조정한다.
다음으로, 베드부(51)의 핀 구멍(32)에 위치결정 핀(31)을 삽입하고, 하축(4)의 핀 구멍(33)과 위치결정 핀(31)을 걸림결합시켜, 반회전가마(61)가 도 3의 위치에 유지되는 소정의 회전각도로 하축(4)을 유지한다. 이 때, 상축 스프로킷(1)의 나사(1a)의 나사헤드는 상방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축 스프로킷(1)의 나사(1a)를 풀고, 이에 따라 상축 스프로킷(1)은 상축(1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 후, 상축(10)에 설치된 지표마크(22)와, 측면 프레임에 설치된 지표마크(21)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작업자에 의해 풀리(55)가 조작됨으로써 상축(10)의 각도가 조정된다. 지표마크(21)와 지표마크(22)가 일치하는 각도에서 상축 스프로킷(1)의 나사(1a)가 작업자에 의해 조여져 상축 스프로킷(1)이 상축(10)에 홀딩 고정된다.
또한, 이때 바늘과 가마의 위상을 눈으로 확인하며 풀리(55)를 조작함으로써 더욱 미세하게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바늘(56)과 반회전가마(61)의 위상의 어긋남이 해소되어 정확한 봉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축(10)에 대하여 고정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상축 스프로킷(1)은 조정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작용효과)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축 스프로킷(1)은, 상축(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홀딩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기어 박스(105) 내에 배치된 편심 캠(6)을 조정가능하게 하여 조정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재봉기의 베드부(51)의 부품을 몇 개나 분리하지 않고, 재봉기의 상면 커버(54)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상축 스프로킷(1)을 상축(10)에 대하여 조정하여, 위상의 어긋남에 따른 재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편심 캠(6)을 하축(4)의 둘레면에 대하여 눌러 붙이는 나사로 고정할 필요성이 없어졌으므로, 하축(4)에 평탄부(4b)를 설치함으로써 편심 캠(6)과 하축(4)을 각도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도 있게 되며, 미끄러짐으로 인한 위상의 오차도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상축 스프로킷(1)은 상축(10)에 대하여 홀딩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 따른 누름나사고정에 비해 체결력이 향상되어, 부하로 인한 위상의 어긋남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하축(4)의 회전을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는 위치결정 핀(31), 핀 구멍(32), 핀 구멍(33)을 구비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축 스프로킷(1)을 상 축(10)에 대하여 홀딩 고정하거나, 위상의 어긋남에 따른 재조정을 수행할 때에, 하축(4)은 회전하지 않아 작업성이 양호해지는 동시에 위상맞춤의 조립오류가 저감된다.
또한, 위상조정시에, 개구부(53a) 내측의 측면 프레임과 상축(10)의 각도조정에 있어서 지표수단이 되는 지표마크(21) 및 지표마크(22)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술한 작용효과에 더하여, 위치결정 핀(31)에 의해 반회전가마(61)가 소정의 위치가 되도록 유지된 하축(4)에 대하여, 지표마크(21) 및 지표마크(22)가 나타내는 위치에 따라 상축의 각도를 조정하여 상축 스프로킷(1)을 상축(10)에 대하여 홀딩 고정함으로써, 바늘(56)과 가마(61)의 위상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한층 더 작업성이 양호해지는 동시에 위상맞춤의 조립오류가 저감된다.
(다른 실시예)
회전유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드부(51)에는 하축 고정 스위치(30A)가 설치되어 있다. 하축 고정 스위치(30A)는, 하축(4)의 핀 구멍(33)에 걸림결합가능한 원기둥형상의 핀부(31A)와, 베드부(51)의 상면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관통구멍으로서, 하축 고정 스위치(30A)가 끼워넣어짐에 따라 하축 고정 스위치(30A)가 Z축 방향으로 왕복동작할 수 있는 스위치 구멍(32A)과, 베드부(51)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축 고정 스위치(30A)가 하방으로 눌릴 때마다 하축 고정 스위치(30A)의 Z축 방향에서의 위치를 전환하는 제어부(34A)와, 하축 고정 스위치(30A)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부재인 스프링(35A)에 의해 구성된다.
하축 고정 스위치(30A)를 하방으로 누르면,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4A)에 의해 스프링(35A)이 줄어든 상태로 유지되고, 핀부(31A)가 하축(4)의 핀 구멍(33)에 걸림결합됨으로써, 하축(4)의 회전각도를 유지한다. 또한, 노크식의 볼펜 등에 적용되어 있는 주지의 복귀기구를 스위치(30A)에 설치함으로써, 다시 한 번 하축 고정 스위치(30A)를 누르면, 도 6의 (a)의 상태가 되어 하축(4)이 유지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에 추가하여, 위치결정 핀(31)을 별개의 부품으로서 설치할 필요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위치결정 핀(31)을 잘못하여 분실함에 따라 하축(4)을 고정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아,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기타)
또한, 베드부(51) 및 하축(4)에 형성된 핀 구멍(32, 33)은 구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축이 소정의 각도로 유지된다면 구조나 수단은 상관없다.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어떠한 해제가능한 끼움결합구조, 예컨대 홈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하축(4)과 베드부(51)를 결합하기 위한 위치결정 핀(31)은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나사 등이어도 된다.
또한, 회전유지수단은 하축(4)을 소정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으면 되며, 예컨대, 전용부품을 설치하여 하축(4)을 유지하여도 된다.
또한, 회전유지수단은 하축(4)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축 스프로킷(1)으로부터 가마에 이르기까지의 어떠한 구성 또는 부재에 대하여 가마에 대한 동작을 규제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모터는 상축에 연결되어 있는데, 하축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전달휠로서 스프로킷을 이용하고, 동력전달수단으로서 타이밍벨트를 이용하고 있는데, 한쪽의 축의 회전이 다른 쪽으로 전달된다면 실시형태는 상관없다.
도 1은 발명의 실시형태인 재봉기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체 프레임(50) 내부에 설치된 재봉기의 상축(10), 하축(4) 및 상축(10)과 하축(4)의 회전운동에 연동하는 각 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재봉기의 바늘(56)과 반회전가마(61)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체 프레임(50)의 베드부(51)와 기립몸체부(52)가 접합되는 부분 주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면 커버(54)를 벗긴 상체의 개구부(53a)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회전유지수단의 다른 실시예인, 하축 고정 스위치(30A)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재봉기의 상축(10), 하축(4) 및 상축(10)과 하축(4)의 회전운동에 연동하는 각 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축 스프로킷 2 : 타이밍 벨트
3 : 하축 스프로킷 4 : 하축
6 : 편심 캠 10 : 상축
21, 22 : 지표마크 31 : 위치결정 핀
32, 33 : 핀 구멍 54 : 상면 커버
56 : 바늘 61 : 반회전가마

Claims (2)

  1. 아암부 및 기립 몸체부와 베드부로 이루어지는 재봉기 본체와, 상하이동이 가능한 바늘과, 상기 바늘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연결되며,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축과, 바늘의 상하이동경로에 대하여 교차가능한 칼끝을 갖는 반(半)회전가마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하축과, 하축의 회전에 따라 반회전가마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요동시키도록 반회전가마와 하축의 사이를 연결하는 가마요동기구와, 상기 상축 혹은 상기 하축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모터와, 상기 상축에 고정된 제 1 타이밍 풀리와, 상기 하축에 고정된 제 2 타이밍 풀리와, 상기 양 타이밍 풀리에 걸쳐져 상기 상축 혹은 상기 하축 중 한쪽의 회전을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타이밍벨트를 갖는 재봉기로서,
    상기 하축의 회전을 소정 각도로 유지하는 위치와 상기 유지를 해방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한쪽의 위치로 베드부 외측으로부터 조작가능한 회전유지부재와,
    상기 기립 몸체부 상방에서 상기 아암부 상면으로 개구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탈부착이 가능한 커버와,
    상기 제 1 타이밍 풀리를 상기 상축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고정할 수 있으면서 또한 상기 고정을 해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암부 기기 프레임 외측으로부터 조작가능하도록 제 1 타이밍 풀리에 연결된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유지부재에 의해 하축을 소정 각도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 또는 해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축과 하축의 각도조정시에, 상축을 소정 각도에 맞추기 위한 지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080091972A 2007-09-20 2008-09-19 재봉기 KR101438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44193 2007-09-20
JP2007244193A JP5149575B2 (ja) 2007-09-20 2007-09-20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278A KR20090031278A (ko) 2009-03-25
KR101438146B1 true KR101438146B1 (ko) 2014-09-05

Family

ID=4049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972A KR101438146B1 (ko) 2007-09-20 2008-09-19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49575B2 (ko)
KR (1) KR101438146B1 (ko)
CN (1) CN1013924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2188A (ja) * 2012-03-30 2013-10-17 Brother Ind Ltd ミシン
JP2018000520A (ja) * 2016-06-30 2018-0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下軸ユニットと縫製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1086A (en) * 1980-04-23 1981-11-21 Aisin Seiki Changing regulating device for timing of needle unit pattern for sewing machine
JPS56151087A (en) * 1980-04-24 1981-11-21 Aisin Seiki Changing regulating device for timing of needle unit pattern for sewing machine
JPH01166798A (ja) * 1987-12-24 1989-06-30 Aisin Seiki Co Ltd ミシンの針釜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H075578U (ja) * 1993-06-30 1995-01-27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半回転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2763U (ko) * 1980-08-22 1982-03-09
DE10035819C1 (de) * 2000-07-22 2001-11-15 Duerkopp Adler Ag Greifer für eine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einer Fadenabschneidvorrichtung
JP4054993B2 (ja) * 2003-04-23 2008-03-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針送りミシン
JP4455175B2 (ja) * 2004-06-08 2010-04-21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水平釜のオープナー
JP4674708B2 (ja) * 2005-03-23 2011-04-20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千鳥縫いミシ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1086A (en) * 1980-04-23 1981-11-21 Aisin Seiki Changing regulating device for timing of needle unit pattern for sewing machine
JPS56151087A (en) * 1980-04-24 1981-11-21 Aisin Seiki Changing regulating device for timing of needle unit pattern for sewing machine
JPH01166798A (ja) * 1987-12-24 1989-06-30 Aisin Seiki Co Ltd ミシンの針釜タイミング調整装置
JPH075578U (ja) * 1993-06-30 1995-01-27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半回転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49575B2 (ja) 2013-02-20
CN101392439B (zh) 2012-09-05
KR20090031278A (ko) 2009-03-25
CN101392439A (zh) 2009-03-25
JP2009072365A (ja)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689B2 (en) Clutch structure for presser foot of embroidery sewing machine
KR101438146B1 (ko) 재봉기
KR20100082720A (ko) 2침 재봉틀
CN110387643A (zh) 缝纫机
JP4747742B2 (ja) ミシンの針棒駆動装置及びミシン
CA3002269C (en) Sewing system
JP2009142610A (ja) ミシン
TWI683935B (zh) 縫紉機
KR20020066954A (ko) 재봉틀의 바늘대스트로크변경장치
JP2002219293A (ja) 針棒ストローク調整装置
JP3962750B2 (ja) ハンドル刺繍ミシン
KR101471985B1 (ko) 재봉기의 가마맞춤장치
KR101031088B1 (ko)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
US5253601A (en) Detachable top feed unit for sewing machines
JP2006075248A (ja) ミシンの上送り装置
CN115125678A (zh) 缝制装置、弯针的定位方法
JP4783529B2 (ja) ミシンの針振り装置
JP2006075250A (ja) ミシンおよびその針駆動力調整方法
KR200330685Y1 (ko) 재봉틀의 직물누름장치
KR20100082726A (ko) 실 절단 장치
KR101840236B1 (ko) 옷감 누름 부재 구동 장치
JP3101311U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RU2329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еттлевки
JPH0314138Y2 (ko)
KR20230144465A (ko) 재봉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