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720A - 2침 재봉틀 - Google Patents

2침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720A
KR20100082720A KR1020100001070A KR20100001070A KR20100082720A KR 20100082720 A KR20100082720 A KR 20100082720A KR 1020100001070 A KR1020100001070 A KR 1020100001070A KR 20100001070 A KR20100001070 A KR 20100001070A KR 20100082720 A KR20100082720 A KR 2010008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needle
clamping
sewing machine
clamp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9445B1 (ko
Inventor
파벨 메이트잭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8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2침 재봉틀은 2개의 재봉 니들을 수용하기 위한 니들 수용 유닛을 포함한다. 재봉선 형성 시 양 니들 중 하나와 상호 작용하는 그리퍼(25, 26)를 각각 보유하는 2개의 그리퍼 장착부(90, 91)가 하부축(31)에 이격되어 고정된다. 하부축(3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축(92, 93)에 의해 둘러싸인다. 중공축(92, 93)은 그리퍼(25, 26)의 그리퍼 팁부(27)가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에 대해 동기식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양 그리퍼 장착부(90, 91)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하기 위해 하부축(31)에는 클램핑 나사핀(95)이 존재하며, 상기 클램핑 나사핀(95)의 클램핑 구간의 단부측 클램핑면은 중공축(92, 93)의 구멍을 통해 관통하고, 상기 클램핑면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 대향면에 인접하며, 상기 대향면은 하부축(31)의 커버벽에 형성된다. 대향면은 하부축(31)의 회전축 주위로 회전 대칭과 상이하게 형성된다. 고정 장치는 클램핑 나사핀(95)의 클램핑면이 대향면으로부터 분리될 때에도 클램핑 나사핀(95)에 대한 중공축(92, 93)의 주연방향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도록 사용된다. 추후에 그리퍼 회전이 니들 바의 루프 행정 운동에 대해 동기화될 필요 없이 양 그리퍼 장착부의 서로에 대한 간격 설정이 가능하게 되는 재봉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2침 재봉틀{TWO-NEEDLE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2개의 재봉 니들을 수용하기 위한 니들 수용 유닛과, 하부축에 고정된 2개의 이격된 그리퍼 장착부를 포함하는 2침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2침 재봉틀에 의해 사전 설정된 간격을 갖는 이중 재봉선이 재봉될 수 있다. 이중 재봉선을 형성하는 각 재봉선의 간격이 변화되어야 한다면, 그에 상응하게 양 그리퍼 장착부의 서로에 대한 간격도 변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후에 그리퍼 회전이 니들 수용 유닛의 루프 행정 운동에 대해 동기화될 필요 없이 상기 간격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본원의 청구범위 제1항에 개시된 특징을 포함하는 재봉틀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니들 수용 유닛과 동기화된 하부축에 대한, 그리퍼 팁부와 동기화된 중공축의 주연방향 상대적 위치가 한편으로 하부축에 대해 상보적인 클램핑 나사핀의 표면 구성 및 다른 한편으로 고정 장치를 통해 상기 클램핑 나사핀의 분리 후에도 보장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클램핑 나사핀을 다시 조였을 때 상기 주연방향 상대적 위치는 유지되므로, 그 후 그리퍼를 니들 바에 대해 새롭게 동기화할 필요 없이, 그리퍼 장착부 서로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2침 재봉틀에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게 적합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많은 수의 재봉 니들을 포함하는 복수-침 재봉틀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그리퍼 장착부들을 구비하는 그에 상응하는 수의 그리퍼 및 그에 상응하는 수의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나사핀 및 고정 장치가 존재하게 된다.
본원의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른 구동 슬리브 및 고정 수단은 구조면에서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형성된 고정 장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상응하게 본원의 청구범위 제3항에 따른 고정 수단에도 적용된다.
특히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는 본원의 청구범위 제4항에 따른 벽두께 테이퍼부는 다른 클램핑 나사핀에 의해 하부축에 대한 중공축의 주연방향 상대적 위치가 원하지 않게 조절됨이 없이 다른 클램핑 나사핀의 조임을 가능하게 한다.
본원의 청구범위 제5항 및 제6항에 따른 실시예의 대향면은 한정된 주연방향 상대적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본원의 청구범위 제7항에 따른 구성예는 각 그리퍼 장착부를 위한 전체 축방향 조절 영역에 걸쳐 주연방향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에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후에 그리퍼 회전이 니들 수용 유닛의 루프 행정 운동에 대해 동기화될 필요 없이 양 그리퍼 장착부의 서로에 대한 간격 설정이 가능하게 되는 재봉틀이 제공된다.
도1은 2침 재봉틀의 사용자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기부판에 장착된 상세를 보기 위해 기계 테이블이 생략된 도면.
도2는 도1에 따른 2침 재봉틀의 사시도.
도3은 도1에 따른 관찰 방향으로 바라본 재봉틀의 니들 바 전환 조립체의 확대 도면으로서, 양 니들 바가 상사점에서 활성화된 재봉 작동 상태에 있는 도면.
도4는 도3의 관찰 방향(IV)으로 바라본 니들 바 전환 조립체의 도면.
도5는 도4의 관찰 방향(V)으로 바라본 니들 바 전환 조립체의 도면.
도6은 하사점 영역에 있는 활성화된 좌측 니들 바 및 차단된 우측 니들 바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3과 유사한 도면.
도7은 도6에 따른 전환 상태에 있는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4와 유사한 도면.
도8은 니들 바가 니들 운반 선회 이동을 실행한 후의 상태에 있는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6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6과 비교하여 조립체의 하나의 부품이 생략되어 있는 도면.
도9는 도8에 따른 니들 운반 상태에 있는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7과 유사한 도면.
도10은 도9의 영역(X)의 부분 확대도.
도11은 니들 운반 선회 이동을 실행한 후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8과 유사한 도면.
도12는 도11에 따른 니들 운반 상태에 있는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7과 유사한 도면.
도13은 도12의 영역(XIII)의 부분 확대도.
도14는 물론 하나의 부품이 생략된 상태에서 회전축 영역이 관절식 연결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부분도로 도시된 니들 바 전환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4와 유사한 도면.
도15는 도14의 부분(XV)의 확대도.
도16은 도14의 관찰 방향(XVI)에 따른 조립체의 도면.
도17은 연결 로드의 운반 상태에서 재봉틀의 니들 바 운반 장치의 연결 레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8은 회전축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관찰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17에 따른 연결 레버의 측면도.
도19는 도18의 선(XIX-XIX)을 따른 단면도.
도20은 연결 로드가 중립 상태에 있는 연결 레버를 도시하는 도17과 유사한 도면.
도21은 도20에 따른 상태에 있는 연결 레버를 도시하는 도18과 유사한 도면.
도22는 도21의 선(XXII-XXII)을 따른 단면도.
도23은 연결 레버의 니들 운반 레버의 고정 나사가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 레버를 도시하는 도20과 유사한 도면.
도24는 도23에 따른 상태에 있는 연결 레버를 도시하는 도21과 유사한 도면.
도25는 재봉틀의 그리퍼 구동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6은 그리퍼 구동 조립체의 축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7은 도26에 따른 축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8은 도27의 선(XXVIII-XXVIII)을 따른 축 구조를 통한 축방향 길이 방향 단면도.
도29는 도28의 영역(XXIX)의 부분 상세도.
도30은 도27의 선(XXX-XXX)을 따른 단면도.
도31은 도27의 선(XXXI-XXXI)을 따른 단면도.
도32는 루프 행정의 조절을 위해 중공축의 선회 조절의 제1 에지 위치에 있는 축 구조를 도시하는 도31과 유사한 도면.
도33은 루프 행정의 조절을 위해 중공축의 선회 조절의 대향 에지 위치에 있는 축 구조를 도시하는 도31과 유사한 도면.
도34는 도30의 선(XXXIV-XXXIV)을 따른 단면도.
도35는 도34의 영역(XXXV)의 부분 상세도.
도36은 재봉틀의 실 절단기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7은 절단력 조절 나사 영역에서 관절식 연결되어 있는 실 절단기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38은 도37의 관찰 방향(XXXVIII)에 따른 실 절단기 조립체의 측면도.
도39는 실 절단기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로서, 실 절단 후의 대향 절단날에 대한 실 드로나이프의 위치에서 도38과 유사한 관찰 방향으로 바라본 절단날 구조의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40은 도39의 영역(XL)의 부분 상세도.
도41은 도39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절단력 조절 나사 영역의 내부 상세를 노출하는 도면.
도42는 도39에 따른 상대적 위치에 있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43은 실 절단 전의 대향 절단날에 대한 실 드로나이프의 상대적 위치에 있는 실 절단기 조립체의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4는 도43에 따른 상대적 위치에 있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도39와 유사한 도면.
도45는 도44의 영역(XLV)의 상세도.
도46은 도43에 따른 상대적 위치에 있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도42와 유사한 도면.
도47은 절단력 조절 나사에 대한 관찰 방향으로 바라본 절단날 구조의 부분에 대한 사시도.
도48은 절단력 조절 시 대향 절단날에 대한 실 드로나이프의 상대적 위치에 있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49는 도48에 따른 상대적 위치에 있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도44와 유사한 도면.
도50은 도49의 영역(L)의 상세도.
도51은 도48에 따른 상대적 위치에 있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도46과 유사한 도면.
도52는 도48에 따른 상대적 위치에 있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47과 유사한 도면.
도53은 하부 실 클램프에 대해 아래로부터 경사진 관찰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으로서, 대향 절단날이 생략되어 있는 도39에 따른 상대적 위치에 있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54는 클램핑력 조절 나사를 통해 최초 응력이 가해진 실 클램프를 포함하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도39와 유사한 도면.
도55는 클램핑력 조절 나사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도록 도시하는 도54의 관찰 방향(LV)에 따른 도면.
도56은 대향 절단날 및 하부 실 클램프에 대한 실 드로나이프의 실 클램핑력 조절 상대적 위치에 있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57은 도56에 따른 상대적 위치에 있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도54와 유사한 도면.
도58은 클램핑력 조절 나사가 실 클램프와 결합되어 있는 절단날 구조를 도시하는 도55와 유사한 도면.
도59는 도58의 하부 실 클램프 영역의 부분 확대도.
도60은 재봉판 및 여기에 접하는 2개의 재봉판 슬라이드 영역에서 위로부터 경사지게 바라볼 때 기부판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61은 도60에 따른 기부판 부분에 대한 평면도.
도62는 도61의 선(LXII-LXII)을 따른 단면도.
도63은 도61에서 우측에 도시된 재봉판 슬라이드가 기부판에 대한 상대적 변위가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고정 상태에 있는 도62의 영역(LXIII)의 상세도.
도64는 기부판에 대한 재봉판 슬라이드의 상대적 변위가 가능한 해제 상태에 있는 도63에 따른 상세도.
도65는 도61의 선(LXV-LXV)에 따른 단면도.
도66은 도65의 영역(LXVI)의 상세도.
메인 부품에 의해 도1 및 도2에 도시된 2침 재봉틀(1)은 상부 아암(2), 수직 칼럼(3) 및 기부판(4)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아암(2)에는 아암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아암축의 아암축 중심선(5)이 도14 및 도16에 도시되어 있다. 도14에서 아암축 중심선(5)은 2개의 보조선(5a, 5b)의 교차점으로 도시된다.
재봉틀(1)의 하우징(7) 및 기부판(4)은 재봉틀(1)의 프레임의 부품이다.
재봉틀(1)의 아암축 및 이에 따른 핵심적인 재봉 부품의 구동은 아암(2)에 장착된 구동 모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른 재봉 부품은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벨트 구동 장치를 통해 구동된다. 아암축 및 도3 내지 도6에 상세하게 도시된 크랭크 기구(8) 형태의 구동 장치를 통해 2개의 니들 바(9, 10)가 수직으로 상하 이동식으로 구동 가능하다. 도1에서 좌측에 도시된 니들 바는 이하에서 도면 부호 9로 도시되며, 도1에서 우측에 도시된 니들 바는 이하에서 도면 부호 10으로 도시된다. 니들 바(9, 10)는 각각 니들(11, 12)을 보유한다. 니들 바(9, 10)는 양 니들(11, 12)을 위한 니들 수용 유닛을 형성한다. 2개의 니들 바(9, 10) 대신에, 도시되지 않은 재봉틀(1)의 실시예에서는 양 니들(11, 12)을 수용하는 단일의 니들 수용 유닛도 구비될 수 있다.
니들 바(9, 10) 아래에서 기부판(4)의 상부 지지판(13)에는 재봉판(14)이 배치되고, 지지판(13)과 나사 결합된다. 재봉판(14)은 도60 및 도61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재봉판(14)은 재봉 방향(15)(도2 및 도61 참조)을 따라 장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피더 개구(16, 17)를 구비하며, 상기 피더 개구(16, 17)는 재봉 제품의 하부 운반부로 사용되는 2개의 피더 구간(18, 19)을 구비하는 피더가 통과되도록 사용된다. 피더 구간(18, 19)은 각각 배속된 니들(11, 12)이 통과되도록 각각 재봉 구멍(20, 21)을 구비한다.
재봉 제품은 상부로부터 가압기 기부(22)에 의해 재봉 공정 동안 유지된다. 자석 구동 장치(23)(도1 참조)를 통해 가압기 기부(22)의 자기적 환기가 가능하다.
재봉 공정 동안 재봉판(14)과 가압기 기부(22) 사이에서 재봉 제품이 이동하도록 선택적으로 피더 구간(18, 19) 또는 재봉 제품에 삽입된 니들(11, 12) 자체가 사용된다. 즉, 재봉틀(1)은 선택적으로 하부 운반부 또는 니들 운반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재봉판(14) 아래에서 기부판(4)에는 그리퍼 조립체(24)가 배치되는데, 상기 그리퍼 조립체(24)는 도25에서 대체로 서로 이격된 그리퍼(25, 26)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리퍼(25, 26) 사이의 이격 편차 및 이에 따라 니들(11, 12) 및 이에 배속된 그리퍼(25, 26)에 의해 재봉된 재봉선 사이의 이격 편차는 재봉틀(1)에서 1 내지 10 밀리미터 범위에서 가능하다.
그리퍼(25, 26)의 그리퍼 팁부(27)는 재봉 형성을 위해 니들(11, 12)의 이동과 동기식으로 상호 작용하며, 여기서 니들 이동을 통해 도시되지 않는 상부 실의 루프가 형성되며, 상기 루프 안으로 그리퍼 팁부(27)가 맞물린다.
그리퍼(25, 26)는 수직 및 서로 평행한 축에 대해 회전되는 그리퍼로서 형성되고, 각각 하부 실의 저장을 위한 니들 저장 하우징(28)을 포함하며, 상기 니들 저장 하우징(28)은 보빈 형태로 제공된다. 재봉선 형성 시 그리퍼(25, 26)에 의해 제공되는 양 하부 실 중 각각의 하부 실은 양 니들(11, 12)에 의해 제공되는 상부 실 중 하나와 결합된다.
양 상부 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릴로부터 제공되고, 아암(2)의 장착판 상에 장착된 상부 실 인장 장치(29)(도1 및 도2 참조)를 통해 한정되어 조정 가능하게 인장된다.
피더 구간(18, 19)을 구비하는 피더를 구동하기 위해 재봉 구동 기어(30)가 사용되며, 상기 재봉 구동 기어(30)는 도1에서 기부판(4) 영역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퍼(25, 26)의 회전 구동은 하부축(31)을 통해 그리고 전환 기어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축(31) 및 전환 기어는 각각 그리퍼(25, 26)에 배속된 그리퍼 구동 하우징(32, 33)에 장착된다.
상부 및 하부 실을 절단하기 위해 2개의 실 절단기 조립체가 사용되며, 이들 중 하나의 실 절단기 조립체(34)가 일반적으로 도36에 도시되고, 도1 및 도2에서 절단 커브 몸체(35)를 볼 수 있으며, 상기 절단 커브 몸체(35)는 행정 자석(36)을 통해 실 드로나이프(drawknife)(37)(도36 참조)를 작동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절단 커브 몸체(35)는 회전 고정식으로 하부축(31)과 연결된다.
양 실 절단기 조립체(34) 각각은 서로 배속된 상부 실 및 하부 실의 쌍을 절단하기에 적합하다.
양 니들 바(9, 10) 중 하나의 재봉 작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니들 바 스위칭 조립체(39)의 스위칭 장치(38)가 사용되며, 상기 스위칭 장치(38)는 일반적으로 도3 내지 도7에 도시되고, 또한 상세하게는 도8 내지 도16에 도시된다. 스위칭 장치(38)에 의해 재봉틀(1)의 3개의 작동 상태 사이에 전환이 가능하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스위칭 장치(38)의 상태에서 양 니들 바(9, 10)는 활성화되는데, 즉, 재봉 작업에 관여하게 된다. 도6 내지 도12에 도시된 스위칭 장치(38)의 상태에서는 좌측 니들 바(9)가 활성화되는데, 즉, 재봉 작업에 관여하게 되고, 우측 니들 바(10)는 차단되는데, 즉, 상사점 영역에서 휴지 상태에 유지된다. 상응하게 스위칭 장치(38)를 통해 우측 니들 바(10)가 활성화되고 좌측 니들 바(9)가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는 제3 작동 상태도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장치의 기본적인 작동 방식은 DE-PS 955 023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3개의 작동 상태에 사이에서 스위칭 장치(38)를 전환하기 위해 스위칭 캠(40)이 사용된다. 양 니들 바(9, 10)가 활성화되는 작동 위치에서 스위칭 캠(40)은 2개의 스위칭 핀(41)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2개의 스위칭 핀(41)은 각각 양 니들 바(9, 10)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양 니들 바(9, 10) 중 하나가 각각 차단되는 스위칭 장치(38)의 각 차단 상태에서 스위칭 캠(40)은 하부 스위칭 작동면(42)(도10 및 도13 참조)을 통해 스위칭 핀(41)과 각 니들 바의 스위칭 단부(43)에서 상호 작용한다. 스위칭 캠(40)을 자체의 다른 스위칭 상태 사이에 변위시키기 위해 수동 작동 가능 작동 요소(45)(도3 참조)가 사용되며, 상기 작동 요소(45)는 스위칭 레버(46) 및 복귀 레버(47)를 포함한다. 작동 요소(45)는 기계적으로 수평축(48), 스위칭 기어(49) 및 결합 레버(50)(도10 참조)를 통해 스위칭 캠과 연결된다. 수평축(48) 상에서 스위칭 기어(49)의 연결 영역에 복귀 스프링(51)(도4 참조)이 배치되며, 상기 복귀 스프링(51)은 정지 유닛(52)과 상호 작용하며, 상기 정지 유닛(52)에 대해 복귀 스프링(51)의 스프링 단부(53)가 접촉한다. 양 스위칭 핀(41) 사이에서 스위칭 캠(40)을 중간에 위치시키기 위한 정지 핀(54)이 정지 유닛(52)에 포함된다.
재봉 방향 또는 운반 방향(15)을 따라 재봉이 이루어지는 동안 니들 바(9, 10)를 변위시키기 위해, 즉, 니들 운반을 위해, 니들 운반 장치(55)가 사용되는데, 상기 니들 운반 장치(55)의 니들 바측 부품이 예를 들면 도3 및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니들 운반은 양 니들 바(9, 10)를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링크 형태의 니들 바 캐리어(56)가 선회축(57) 주위로 경사짐으로써 이루어진다. 선회축(57)은 지지판(13)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선회축(57)은 스위칭 캠(40)으로부터 10 mm 이상,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쉬의 cm 만큼 이격되어 있다. 선회축(57) 주위로 경사지는 것은 상기 선회축(57)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58)을 통해 구동된다. 회전축(58)의 니들 바측 단부는 회전 고정식으로 가이드 링크(56)와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링크(56)는 상부 가이드 구간(59)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구간(59)은 하부 가이드 구간(60)과 연결된다. 하부 가이드 구간(60)은 다시 작동 아암(61)을 통해 회전 고정식으로 회전축(58)과 연결된다.
스위칭 캠(40)은 스위칭 작동면(42)이 니들 운반에 의해 발생하는 니들 바의 스위칭 단부(43)의 진자 운동을 따르도록 형성된다(도10 및 도13 참조). 여기서 도10은 니들 운반 공정의 말기로 향하는 스위칭 단부(43)의 니들 운반 상태, 즉, 니들 바(9, 10)의 니들측 단부(44)가 최대로 재봉 방향(15)으로 편의된 상태에 있는 스위칭 캠(40)을 도시한다. 도13은 재봉 방향(15) 반대쪽으로 니들 바가 최대로 편의된 상태에 상응하는 스위칭 단부(43)의 상태를 도시한다.
스위칭 캠(40)은 선회축(57)에 대해 평행한 스위칭 캠 선회축(62)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하우징 고정된 스위칭 캠 캐리어(63)에 지지된다. 스위칭 캠(40)의 스위칭 작동을 위해 결합 레버(50)는 결합 레버(50)와 고정 연결된 도그(64) 및 스위칭 캠(40)에 형성된 작동 홈(65)을 통해 스위칭 캠(40)과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 레버(50)와 스위칭 캠(40) 사이의 확실한 작동 마찰 결합이 스위칭 캠(40)의 스위칭 캠 선회축(62) 주위로의 선회 상태에 관계없이 보장된다.
결합 레버(50)는 복귀 스프링(66)을 통해 스위칭 바(49)와 결합된다(예를 들면 도7 참조). 복귀 스프링(66)은 스위칭될 각 니들 바(9, 10)의 스위칭 핀(41) 중 하나 상으로 스위칭 캠(40)이 측면 방향으로 충돌할 때 스위칭 캠(40)이 복귀 스프링(66)의 최초 응력에 대항하여, 상기 스위칭 핀(41)이 각 니들 바(9, 10)의 재봉 운동을 통해 스위칭 캠(40)의 스위칭 상태로의 변위를 위해 스위칭 핀(41)에 대해 충분히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스위칭 핀(41) 방향으로의 작동 이동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도3 내지 도16에 의해 니들 바(9, 10)의 상하 이동 재봉 작동을 위한 크랭크 기구(8)의 보다 상세한 구조가 명확해진다. 크로스헤드 형태의 상하 이동식 구동 가능한 도그(67)가 상기 크랭크 기구(8)에 포함되는데, 상기 도그(67)는 예를 들면 도5에 도시된 각 니들 바(9, 10)의 재봉 상태에서 양 니들 바(9, 10) 각각에 대해 정지 링(68)을 통해 형성된 상부 작동 정지부와 스위칭 장치(38)를 통해 스위칭 가능한 하부 작동 정지부(69) 사이에서 니들 바(9, 10)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하부 작동 정지부(69)는 3개의 각 정지볼(70)을 통해 형성되는데, 상기 정지볼(70)은 스위칭 핀(41)이 해제될 때 정지 상태로 분리된다. 이러한 정지 상태에서 정지볼(70)은 관련 니들 바(9, 10)의 커버벽 위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를 통해 생성된 니들 바(9, 10)의 유효 외경은 크로스헤드(67)의 각 니들 바 가이드의 내경보다 더 크게 된다.
양 정지 링(68) 각각은 클램핑 나사에 의해 축방향으로 관련 니들 바(9, 10)에 고정된다. 즉, 정지 링(68)은 크로스헤드(67)를 위한 상부 작동 정지부이다.
크랭크(71)를 통해 크로스헤드(67)는 아암축(예를 들면 도5의 아암축 중심선(5) 참조)과 구동 연결된다.
가이드 링크(56)의 상부 가이드 구간(59)은 하부 가이드 에지(72)를 구비한다(예를 들면 도5 참조). 가이드 링크(56)의 하부 가이드 구간(60)은 상부 가이드 에지(73)를 구비한다. 상부 가이드 에지(73)는 하부 가이드 에지(72) 아래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스위칭 장치(38)는 양 니들 바(9, 10) 각각을 위한 스위칭 가능한 하부 휴지 정지부(74)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휴지 정지부(74)는 각 스위칭 핀(41)의 작동을 통해 정지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도16 참조). 양 하부 휴지 정지부(74) 각각은 하부 작동 정지부(69)의 정지볼 유형에 따른 3개의 정지볼(70)을 포함한다. 하부 휴지 정지부(74)의 정지볼(70)은 각 니들 바(9, 10)의 외측 커버벽 위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정지 위치에서 하부 가이드 구간(60)의 상부 가이드 에지(73)의 내부 실과 상호 작용한다.
휴지 상태에서, 즉, 작동되는 스위칭 핀(41)에 의한 차단 상태에서, 차단된 니들 바(9, 10)는 상부 휴지 정지부(75)와 스위칭 가능 하부 휴지 정지부(7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가이드 링크(56)에 고정된다(도16 참조). 상부 휴지 정지부(75)는 각 정지 링(68)의 상부 에지를 통해 사전 설정된다.
각 스위칭 핀(41)의 작동을 통해 정지볼(70)은 정지 작용을 하지 않는 하강된 중립 위치와 정지볼(70)이 정지 작용을 하는 각 니들 바(9, 10)의 커버벽 위로 돌출된 정지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하부 휴지 정지부(74)와 관련하여, 상기 정지 작용은 정지볼(70)이 가이드 링크(56)의 하부 가이드 구간(60)의 상부 가이드 에지(73)에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부 작동 정지부(69)와 관련하여, 상기 정지 작용은 정지볼(70)이 크로스헤드(67)의 하부 접촉 에지에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부 작동 정지부(69) 또는 하부 휴지 정지부(74)의 각 니들 바(9, 10)의 커버벽 위로 외측으로 돌출된 정지 위치에서 정지볼(70)은 탄성으로 정지 상태 방향으로 최초 응력이 가해진다. 이에 상응하게 하부 휴지 정지부(74)는 차단된 각 니들 바(9, 10)를 탄성으로 상부 휴지 정지부(75) 방향으로 최초 응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니들 바(9 및/또는 10)의 작동 시 정지 링(68)의 상부 에지는 하부 가이드 에지(72)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것이 보장되기 위해, 크로스헤드(67)의 상사점에서 정지 링(68)의 상부 에지에 대한 가이드 링크(56)의 상부 가이드 구간(59)의 하부 가이드 에지(72)의 간격은 정확하게 사전 설정되어야 한다. 이 때, 니들 바(9, 10)가 차단되는 경우 크로스헤드(67)가 상부 휴지 정지부(75)와 하부 휴지 정지부(74) 사이에 고정된 정지 링(68)에 대해 접촉하지 않는 것도 보장된다.
이러한 간격 설정을 위해 간격 설정 장치(76)가 사용되는데, 상기 간격 설정 장치(76)는 편심 설정 장치로서 형성되며, 이는 도15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15에서 2개의 보조선(57a, 57b)의 교차점으로 도시되는 회전축(58)의 선회축(57)은 편심량(E)만큼 수평하게 아암축 중심선(5)의 수평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도15에서 보조선(5a) 참조). 회전축(58)의 회전 설정을 통해, 니들 바(9, 10)의 위치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의 가이드 링크(56)의 위치 및 이에 따른 크로스헤드(67)의 상부 가이드 에지에 대한 가이드 링크(56)의 상부 가이드 구간(59)의 하부 가이드 에지(72)의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최소한 니들 바(9, 10)를 따른 축방향으로의 정지 링(68)의 두께보다 더 크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편심량(E)은 0.2 mm인데, 즉, 1 mm보다 작다.
도17 내지 도24는 연결 레버(77) 형태의 니들 운반 장치(55)의 다른 부품을 도시한다. 연결 레버(77)는 재봉틀(1)의 칼럼(3)에 장착된다. 연결 레버(77)는 구동 레버(78)를 구비하는데, 상기 구동 레버(78)는 회전축(58)에 대해 수평 및 평행하게 연장하는 재봉 구동 기어(30)의 구동축(79)과 회전 동기식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조인트(80)를 통해 구동 레버(78)는 연결 로드(81)와 연결된다. 조인트 나사 유닛 형태의 다른 연결 조인트(82)를 통해 연결 로드(81)는 니들 운반 레버(83)와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니들 운반 레버(83)는 다른 연결 조인트(82)의 조인트 축(82a)(도19 참조)에 대향하는 자체의 단부에서 회전 고정식으로 회전축(58)과 연결된다. 도17 내지 도19에 도시되는 연결 레버(77)의 니들 운반 상태에서, 구동축(79)의 간헐적 운동이 구동 레버(78)의 진자 운동(이중 화살표(84) 참조) 및 이에 상응하게 니들 운반 레버(83)의 진자 운동(이중 화살표(85) 참조)으로 전환된다. 이에 상응하게 회전축(58)이 간헐적으로 구동되어, 예를 들면 도9 및 도12에 도시된 2개의 운반 위치 사이에서 진동하는 니들 바(9, 10)의 운반 운동이 이루어진다.
도20 내지 도22는 연결 레버(77)의 중립 상태를 도시하는데, 상기 중립 상태에서 니들 운반 장치(55)는 니들 운반이 이루어지지 않는 정지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중립 상태에서 연결 로드(81)는 니들 운반 레버(83)에 구동 작용을 가하지 않으므로, 상기 니들 운반 레버(83)는 구동 레버(78)의 진자 운동(84)에도 불구하고 휴지 상태에 유지된다. 상기 중립 상태에서 니들 운반 레버(83)는 조인트 나사(82)를 통해 재봉틀(1)의 프레임 부품(85a)과 고정식으로 나사 결합된다.
중립 상태에서 연결 로드(81)는 니들 운반 레버(83)에 고정 장착된 활주핀(87) 및 연결 로드(81)에 형성된 길이방향 구멍(88)을 포함하는 길이방향 구멍/핀-연결 장치(86)를 통해 니들 운반 레버(83)와 연결된다. 활주핀(87)은 니들 운반 레버(83)에 가압된다. 길이방향 구멍(88)은 연결 로드(81)의 가이드 요크로서 형성된다. 길이방향 구멍/핀-연결 장치(86)에 의해 연결 로드(81)가 공간으로 길이 방향 이동되고(이중 화살표(89)), 동시에 연결 로드(81)는 니들 운반 레버(83)에 고정된다.
도23 및 도24는 도17 내지 도19에 따른 운반 상태 및 도20 내지 도22에 따른 중립 상태 사이에 연결 레버(77)를 전환시키기 위한 연결 레버(77)의 전환 위치를 도시한다. 여기서 조인트 나사 유닛(82)은 분리되어 있다. 니들 운반 레버(83)는 도20 내지 도22에 따른 자체의 고정된 위치로부터 도24에서 시계 방향으로 도23 및 도24에 따른 조립 위치가 달성될 때까지 선회될 수 있다. 상기 조립 위치에서 활주핀(87)은 길이방향 구멍(88)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연결 로드(81)는 도20 내지 도24에 도시된 중립 상태와 도17 내지 도19에 도시된 운반 상태 사이에 전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25 내지 도35에 의해 그리퍼 조립체(24)가 설명되는데, 상기 그리퍼 조립체(24)에는 양 그리퍼(25, 26) 외에 그리퍼 구동 조립체도 포함된다. 양 그리퍼(25, 26)는 각각 그리퍼 장착부(90, 91)에 의해 보유된다. 여기서 그리퍼 장착부(90)는 그리퍼(25) 및 니들 바(9)에 배속되고 그리퍼 구동 하우징(32)의 일부이다. 그리퍼 장착부(91)는 그리퍼(26) 및 니들 바(10)에 배속되고 그리퍼 구동 하우징(33)의 일부이다.
도26 내지 도35는 하부축(31)을 도시하며, 상기 하부축(31)은 그리퍼 장착부(90) 영역에서 상기 하부축(31)에 장착된 부품을 포함한다. 이에 상응하게 180ㅀ만큼 수직축 주위로 회전되어 이에 대칭으로 형성된 구조가 그리퍼 장착부(91) 영역에 위치된다.
양 그리퍼 장착부(90, 91)는 서로 이격되어 하부축(31)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축(31)은 니들(11, 12)의 이동과 동기식으로, 즉, 아암축과 동기식으로 회전된다.
양 그리퍼 장착부(90, 91) 각각의 영역에서 하부축(31)은 하부축(31)과 회전 고정식으로 연결된 각 중공축 구간(92, 93)에 의해 각각 둘러싸인다. 각 중공축 구간(92, 93)과 회전 고정식으로 연결된 각 피니언(94)(도26 내지 도28 참조)을 통해, 상기 중공축 구간(92, 93)은 그리퍼 구동축을 통해 각 그리퍼(25, 26)와 구동 결합된다. 즉, 각 중공축 구간(92, 93)은 각 그리퍼(25, 26)와 동기식으로 회전된다.
그리퍼 장착부(90, 91)를 하부축(31)에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나사핀(95)이 사용되는데, 상기 클램핑 나사핀(95)은 각 중공축 구간(92, 93)을 둘러싸는 구동 슬리브(96)를 통해 방사상으로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구동 슬리브(96)는 방사상 내부 나사선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상 내부 나사선은 나사핀(95)의 외부 나사선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양 구동 슬리브(96) 각각은 양 그리퍼 장착부(90, 91) 각각에 배속되고, 상기 양 그리퍼 장착부(90, 91) 각각에 고정된다.
단부측 클램핑면(97)을 포함하는 나사핀(95)의 클램핑 구간은 각 중공축 구간(92, 93)의 구멍(98)을 통해 관통한다. 한편으로 도28과 다른 한편으로 도31 내지 도33을 참조함으로써, 구멍(98)이 각 중공축 구간(92, 93)에 대해 축방향 공차를 가능케 하지는 않지만 하부축 중심선(98a) 주위로의 주연 방향의 공차를 가능케 하는 것이 도시된다.
클램핑면(97)은 클램핑면(97)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 대향면(99)에 위치되며, 상기 대향면(99)은 하부축(31)의 커버벽(10)에 예를 들면 편평 밀링부로서 형성된다. 편평 형성부에 대한 대안으로 대향면(99)은 또한 예를 들면 V-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경우에 대향면(99)은 하부축(31)의 회전축(98a)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구동 슬리브(96)는 클램핑 나사핀(95)의 클램핑면(97)이 대향면(99)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회전축(98a) 주위로 클램핑 나사핀(95)에 대한 각 중공축 구간(92, 93)의 주연방향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101)의 일부이다.
고정 장치(101)는 구동 슬리브(96) 외에 2개의 다른 클램핑 나사핀(102)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나사핀(102)은 구동 슬리브(96)를 각 중공축 구간(92, 93)에 대한 자체의 주연방향 상대적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다. 양 클램핑 나사핀(102)은 각 클램핑 나사핀(102)의 외부 나사선에 대해 상보적인 구동 슬리브(96)의 내부 나사선을 통해 각각 관통된다. 클램핑 나사핀(102)의 단부측 클램핑면(103)은 각 중공축 구간(92, 93)의 외부 커버벽(104)에 위치된다. 각 클램핑 나사핀(102)이 각 중공축 구간(92, 93)에 대해 클램핑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각 중공축 구간(92, 93)에는 구멍(105) 형태의 벽두께 테이퍼부가 형성된다. 대향면(99)은 하부축(31)의 회전축(98a)을 따라 연장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연장부는 도28에서 도면부호 S로 도시된다. 도28에 도시된 하부축(31)에 대한 클램핑 나사핀(95)의 축방향 상대적 위치에서 대향면(99)은 축방향으로 클램핑 나사핀(95)을 통해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가능한 축방향 변위 거리(U)만큼 돌출된다. 클램핑 나사핀(95)의 축방향 높이에서 중공축 구간(92, 93)은 각각 원형 밴드(105a) 형상의 내부 벽두께 보강부를 구비한다.
각 클램핑나사핀(95)의 분리를 통해, 관련 그리퍼 장착부(90, 91)는 축방향으로 하부축(31)에 대해 변위될 수 있으므로, 특히 양 그리퍼 팁부(27)의 서로에 대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과정 동안 서로 상보적으로 형성된 표면(97, 99)으로 인해 하부축(31)에 대한 클램핑 나사핀(95)의 주연방향 위치를 유지하므로, 이러한 조절 과정 시, 각 중공축 구간(92, 93)이 구동 슬리브(96) 및 양 다른 클램핑 나사핀(102)을 통해 클램핑나사핀(95)과 고정 연결되기 때문에, 하부축(31)에 대한 각 중공축 구간(92, 93)의 주연방향 상대적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양 그리퍼 장착부(90, 91)와 클램핑나사핀(95) 고정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 후에도, 올바른 상부 실 검출을 위해 그리퍼 팁부(27)가 니들 바(9, 10)의 루프 행정과 동기화되는 것이 보장된다.
루프 행정 조절을 위해, 도32 및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중공축 구간(92)은 회전축(98a) 주위로 도31에 따른 중앙 위치로부터 조절될 수 있다. 도32는 이와 같이 제1 주연 방향으로 주연방향 각도(V)만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하고, 도33은 주연방향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V)만큼 반대로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다. 조절 크기(V)에 따라, 관련 니들 바(9, 10)의 루프 행정 조절을 위한 그리퍼 팁부(27)의 동기화는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구멍(105)은 클램핑면(103)의 외부 에지 영역에서 각 클램핑 나사핀(102)의 클램핑면(103)의 마찰 결합식 접촉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클램핑 나사핀(102)의 고정 시 하부축(31)에 대한 각 중공축 구간(92, 93)의 의도되지 않은 회전을 방지한다.
각 그리퍼 장착부(90, 91)가 변위되기 전에, 그리퍼 장착부(90, 91)를 프레임측에서 기부판(4)과 나사 결합시키는 고정 나사(106)가 분리된다.
각 중공축 구간(92, 93)에서 피니언(94) 옆에는 각각 케이스 환기 커브 디스크(107)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퍼 장착부(90, 91) 영역에는 하부축(31)이 각각 베어링(108)을 통해 지지된다.
도36 내지 도59는 실 절단기 조립체(34)를 전체로 또는 서브 조립체로 도시한다. 실 드로나이프(37)의 절단 이동은 행정 자석(36)의 활성화 상태에서 절단 커브 몸체(35)의 절단 커브 부분(110) 상의 원형 몸체(109)의 롤링을 통해 이루어진다. 원형 몸체(109)는 전달 부재(111)를 통해 한편으로 행정 자석(36)의 행정 스탬프(112)와 다른 한편으로 실 드로나이프(37)과 작동 결합된다(도36 참조). 전달 부재(111)는 하우징 고정식으로 지지되므로, 전달 부재(111)의 축 구간(113) 주위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실 절단기 조립체(34)의 실 절단 장치(114)에는 가동식 실 절단날인 실 드로나이프(37) 외에 각 그리퍼 장착부(90, 91)를 통해 재봉틀(1)의 프레임에 고정 위치된 대향 절단날(115)도 포함되어 있다.
도39 및 도40은 실 절단이 이루어진 직후의 실 절단 장치(114)를 도시한다. 실 드로나이프(37)의 절단 에지(116)는 실 절단 시 대향 절단날(115)의 대향 에지(117)와 상호 작용한다. 절단 에지(116)는 한편으로 실 드로나이프(37)의 캐치홈(118)을 통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절단 이동 시 실 드로나이프(37)의 이동 평면(120)(도40 참조)과 일치하는 실 드로나이프(37)의 상부 실 드로나이프 벽부(119a)의 절단 벽 구간(119)을 통해 한정된다. 절단 에지(116) 위에서, 즉, 절단 벽 구간(119)에 대향된 측면상에서 실 드로나이프 벽부(119a)는 이동 평면(120)으로부터 이격된 간격 벽 구간(121)으로 전환된다. 간격 벽 구간(121)은 상부 실 드로나이프 벽부(119a)의 중공 연마를 통해 형성된다. 실 절단 시 도42에서 이중 화살표(122)에 상응하게 이동하는 실 드로나이프는 실 절단 시 간격 벽 구간(121)에 의해 절단 에지(116)에 바로 인접하여 대향 절단날(115)과 접촉하게 된다.
이동 평면(120)에 대한 간격 벽 구간(121)의 간격(A)(도40 참조)은 절단 에지(116)에 대한 간격 벽 구간(121)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수학적 의미로 강하게 증가한다.
간격 벽 구간(121)에는 절단 에지(116)에 인접한 조절 영역(123)이 구비된다(도50 참조). 상기 조절 영역(123)은 도50에서 간격 벽 구간(12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2개의 수직의 짧은 한계선을 통해 도시된다. 조절 영역(123)과 절단 에지(116)의 간격(B)(도50 참조)은 실 드로나이프(37)가 조절 영역(123)에서 힘없이, 즉, 압력을 가하지 않고 대향 절단날(115)에 접해 있을 때, 실 드로나이프(37)가 대향 절단날(115)에 대해 실 절단 시 절단 에지(116)에서 가하게 되는 올바른 절단력, 즉, 올바른 절단 압력이 존재하도록 설정된다. 조절 영역(123)은 상부 실 드로나이프 벽부(119a) 상에서 레이저 마킹을 통해 마킹된다. 실 절단을 위한 올바른 절단 압력은 조절 영역(123)에서의 대향 에지(117)의 높이와 절단 에지(116)의 높이 사이의 중첩부(C)(도50)에 의해 형성된다.
절단력 조절을 위해 대향 절단날(115)은 이동 평면(120)에 대한 대향 에지(117)의 다양한 간격, 즉, 다양한 중첩부(C)를 갖는 대향 절단날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대향 절단날(115)은 선회축(125)을 갖는 선회 조인트(124) 주위로 상이한 선회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며, 사전 설정된 절단력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 나사(126)를 통해, 즉, 절단력 조절 나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나사(126)는 이와 동시에 대향 절단날(115)을 대향 절단날 캐리어(127)에 이에 따라 각 그리퍼 장착부(90, 91)를 통해 재봉틀(1)의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동시에 고정 나사(126)를 분리함으로써, 도42에서 이중 화살표(128)를 통해 도시되는 이동 방향을 따라 대향 절단날 캐리어(127)에 대한 대향 절단날(115)의 상대적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위치 설정 방향(128)을 통해 선회축(125)을 따른 대향 절단날(115)의 축방향 상대적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선회 조인트(124)는 조인트 중심선(129)을 갖는 조인트축을 구비한다. 상기 조인트축에는 대향 절단날(115)이 고정 나사(130)를 통해 고정된다.
절단력 조절을 위해 고정 나사(126)가 우선 분리된다. 이 때 실 드로나이프(37)는 대향 에지(117)가 상부 실 드로나이프 벽부(119a) 상에서 조절 영역(123)에 대향하여 위치될 때까지 대향 절단날(115)에 대해 변위된다. 이 때 대향 절단날(115)은 대향 에지(117)가 조절 영역(123)에서 중간에 상부 실 드로나이프 벽부(119a)에 최초 응력 없이 인접할 때까지 선회축(125) 주위로 선회된다. 이 때 상기 대향 절단날 위치를 유지하면서 고정 나사(126)가 고정된다.
실 절단 시 실 드로나이프(37)는 우선 도43 내지 도47에 도시된 위치에서 존재한다. 간격 벽 구간(121) 영역의 중공 연마에 의해 실 드로나이프(37)는 우선 대향 절단날(115)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는 실 드로나이프(37)가 조절 영역(123)에서 대향 절단날(115)과 접촉되는 한 실 드로나이프(37)가 대향 절단날(115)에 대해 변위될 때까지 실 드로나이프(37)의 실 절단 이동의 개시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실 드로나이프(37)가 더욱 이동될 때 중첩부(C)에 의해 사전 설정된 절단력이 형성되어, 실 드로나이프(37)의 절단 에지(116)가 대향 절단날(115)의 대향 에지(117)에서 이동될 때 올바른 실 절단이 이루어진다.
간격 벽 구간(121)의 중공 연마에 의해 절단 이동 시 실 드로나이프(37)의 최초 이동 구간의 자유 이동성이 확보된다.
실 절단 장치(114)는 실 드로나이프(37) 및 대향 절단날(115) 외에 탄성 재료, 예를 들면 강철 스프링으로 형성된 실 클램프(131)를 구비한다. 상기 실 클램프(131)는 실 드로나이프(37)와 대향 절단날(115) 사이에서 절단되는 실을 클램핑하기 위한 대향 몸체인 실 드로나이프(37)와 상호 작용한다. 실 클램프(131)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지지 스프링 단부(132)(도59 참조) 및 자유 클램핑 단부(133)를 구비하는데, 상기 지지 스프링 단부(132)에 의해 실 클램프(131)는 이와 관련하여 지지 몸체로서 사용되는 대향 절단날 캐리어(127)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도55에 도시된 조절 요소(134)는 실 드로나이프(37)에 대한 실 클램프(131)의 클램핑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절 요소(134)는 변위 가능하며, 양 스프링 단부(132, 133) 사이에서 실 클램프(131)에 대해 조절 가능한 압력을 작용한다. 조절 요소(134)는 대향 절단날 캐리어(127)에 나사 결합되어 자체 고정식으로 형성된 조절 나사로서 형성된다.
도53 내지 도55에 따른 상태에서 조절 요소(134)는 중립 상태에 위치되며, 실 클램프(131)와 결합되어 있지 않다. 상기 상태에서 실 클램프(131)의 클램핑 단부(133)는 실 드로나이프(37)가 실 절단에 따른 위치에 존재하는 한 약간의 실 장력 하에 실 드로나이프(37)에 인접한다.
도56 내지 도59는 실 클램프(131)와 결합되어 있는 조절 요소(134)를 도시한다. 실 클램프(131)는 유지 스프링 단부(132)와 클램핑 단부(133) 사이에서 조절 요소(134)의 작용에 의해 대향 절단날 캐리어(127)의 인접벽(135)으로부터 상승되어, 클램핑 단부(133)는 실 드로나이프(37)가 실 절단에 따른 위치에 존재하는 한 실 드로나이프(37)에 대해 강하게 가압된다. 조절 요소(134)와 실 클램프(131)의 결합의 강도를 통해 클램핑 단부(133)와 실 드로나이프(37) 사이의 이러한 최초 응력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실 드로나이프(37)에 대한 실 클램프(131)의 클램핑 상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60 내지 도66은 재봉판(14) 영역의 지지판(13)의 상세를 도시한다. 재봉판(14)은 지지판(13)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기부판(4)에 고정된다. 재봉판(14)의 상부 측면은 재봉판(14)을 둘러싸는 지지판(13)의 상부 측면과 정렬된다.
도61에서 재봉판(14) 옆의 좌측 및 우측에는 지지판(13)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2개의 재봉판 슬라이드(136, 137)가 지지판(13) 및 이에 따라 기부판(4) 상에 고정된다. 양 재봉판 슬라이드(136, 137)의 상부 측면은 재봉판(14)의 상부 측면 및 재봉판 슬라이드(136, 137)를 둘러싸는 지지판(13)의 상부 측면과 정렬된다. 양 재봉판 슬라이드(136, 137)는 기부판 하우징에 장착된 재봉틀의 부품, 특히 그리퍼(25, 26)의 제거 가능한 커버이다.
고정 장치(138)(도63 및 도64 참조)를 통해 양 재봉판 슬라이드(136, 137)는 지지판(13) 및 이에 따라 기부판(4)에 대한 재봉판 슬라이드(136, 137)의 상대적 변위가 방지된다. 고정 장치(138)는 이하에서 도61의 우측의 재봉판 슬라이드(137)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도61의 좌측의 재봉판 슬라이드(136)를 위한 고정 장치(138)는 양 재봉 구멍(20, 21) 사이의 중앙에 대해 점대칭으로 배치된다.
고정 장치(138)는 재봉판에 고정된 결합 돌기(139)를 구비하는데, 상기 결합 돌기(139)는 재봉판 슬라이드(137)에 고정된 판스프링(140)의 일체형 부분이다. 판스프링(140)은 도63에 도시된 고정 상태에서 최초 응력이 가해진다. 상기 고정 상태에서 결합 돌기(139)는 결합 홈(141)의 후방 구간에 결합된다. 결합 홈(141)은 고정판(141a)의 일부이며, 상기 고정판(141a)은 고정 나사(141b)를 통해 지지판(13) 및 이에 따라 기부판(4)에 고정된다. 판스프링(140)은 재봉판 슬라이드(137)와 상기 재봉판 슬라이드(137)에 대해 수직으로 재봉판 슬라이드(137)의 상부면으로 변위 가능한 클램핑판(142) 사이에서 장착된다.
도63에 도시된 고정 장치(138)의 고정 상태에서 재봉판 슬라이드(137)가 이동 방향(143), 즉, 재봉판(14)으로부터 멀리 변위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즉, 고정 상태에서 재봉판 슬라이드(137)는 지지판(13) 및 이에 따라 기부판(4)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연동 고정 장치(144)에 의해 고정 장치(138)는 고정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데, 상기 해제 상태는 도64에 도시되며, 상기 해제 상태에서 재봉판 슬라이드(137)는 지지판(13) 및 이에 따라 기부판(4)에 대해 이동 방향(143)으로 상대적 변위가 가능하다. 해제 상태에서 도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39)는 결합 홈(141)으로부터 해제되어 있다.
연동 고정 장치(144)는 지지판(13)의 상부면 및 이에 따라 기부판(4)의 상부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결합 돌기(139)와 상호 작용하는 연동 고정 버튼을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도63에서 연동 고정 버튼(144)을 통해 압력을 가함으로써 위로부터 작동 스탬프(145)를 통해 클램핑판(142) 및 이에 따라 판스프링(140)이 결합 돌기(139)에 의해 아래쪽으로 도64에 따른 해제 상태로 변위됨으로써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 해제 상태에 도달된 후 재봉판 슬라이드(137)는 연동 고정 버튼(144)과 함께 지지판(13)에 대한 이동 방향(143)으로 이에 따라 재봉판(14)으로부터 멀리 변위된다.
재봉판 슬라이드(137)가 이동 방향(14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드 이동은 지지판(13) 및 이에 따라 기부판(4) 상에서 가이드 장치(146)를 통해 가이드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146)는 지지판(13) 및 이에 따라 기부판(4)에 존재하는 가이드 홈(147)을 통해 형성되는데, 판스프링(140)의 일부인 스프링(148)이 상기 가이드 홈(147)에 결합된다. 가이드 장치(146)에서 판스프링(140)의 스프링 작용으로 인해, 상응하는 조절 나사 결합에 의해 지지판(13)의 상부면에 대한 재봉판 슬라이드(137)의 상부면의 정렬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결합 돌기(139)와 결합 홈(141) 사이의 공차의 조절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서 재봉틀(1)의 공장 조립 시 핀(149)이 사용되는데, 상기 핀(149)은 상부로부터 공차 개구(150) 및 맞춤 개구(151)를 통해 한편으로 재봉판 슬라이드(137)를 통해 다른 한편으로 판스프링(140)을 통해 관통된다. 핀(149)의 선회 이동(도62의 이중 화살표(152) 참조)을 통해, 재봉판 슬라이드(137)가 재봉판(14)에 인접한 경우 이동 방향(143)을 따른 결합 돌기(139)의 결합 홈(141)에 대한 간격이 미세하게 사전 설정될 수 있다.
클램핑판(142)은 재봉판 슬라이드(137)와 고정 나사(153)를 통해 나사 고정된다.
1: 재봉틀
2: 상부 아암
3: 수직 칼럼
4: 기부판
5: 아암축 중심선
7: 하우징
8: 크랭크 기구
9, 10: 니들 바
11, 12: 니들
13: 상부 지지판
14: 재봉판
15: 재봉 방향
16, 17: 피더 개구
18, 19: 피더 구간
20, 21: 재봉 구멍

Claims (7)

  1. 2침 재봉틀(1)이며,
    2개의 재봉 니들(11, 12)을 수용하기 위한 니들 수용 유닛(9, 10)과,
    재봉선 형성 시 양 니들(11, 12) 중 하나와 상호 작용하는 그리퍼(25, 26)를 각각 보유하고, 하부축(31)에 고정된 2개의 이격된 그리퍼 장착부(90, 9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부축(31)을 둘러싸는 중공축(92, 93)으로서, 그리퍼(25, 26)의 그리퍼 팁부(27)가 회전축(98a) 주위로 회전하는 것에 대해 동기식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구동되는 상기 중공축(92, 93)과,
    클램핑 나사핀(95)의 클램핑면(97)이 대향면(99)으로부터 분리될 때에도 클램핑 나사핀(95)에 대한 중공축(92, 93)의 주연방향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101)를 포함하며,
    양 그리퍼 장착부(90, 91) 중 적어도 하나를 하부축(31)에 고정시키기 위해 클램핑 나사핀(95)이 존재하며, 상기 클램핑 나사핀(95)의 클램핑 구간의 단부측 클램핑면(97)은 중공축(92, 93)의 구멍(98)을 통해 관통하고, 클램핑면(97)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 대향면(99)에 인접하며, 상기 대향면(99)은 하부축(31)의 커버벽(100)에 형성되며, 대향면(99)은 하부축(31)의 회전축(98a) 주위로 회전 대칭과 상이하게 형성되는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101)는 중공축(92, 93)을 둘러싸는 구동 슬리브(96)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슬리브(96)에는 클램핑 나사핀(95)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 방사상 내부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장치(101)에는 고정 수단(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수단(102)은 구동 슬리브(96)를 중공축(92, 93)에 대한 자체의 상대적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102)은 다른 클램핑 나사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 나사핀은 상기 클램핑 나사핀에 대해 상보적인 구동 슬리브(96)의 다른 내부 나사선을 통해 관통되며, 클램핑 나사핀의 단부측 클램핑면(103)은 중공축(92, 93)의 외부 커버벽(104)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클램핑 나사핀(95)이 중공축(92, 93)에 대해 클램핑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중공축(92, 93)에는 벽두께 테이퍼부(10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향면(99)은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향면은 V-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향면(99)은 축방향 조절 영역(S)을 따라 하부축(31)의 커버벽(1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100001070A 2009-01-09 2010-01-07 2침 재봉틀 KR101639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04217A DE102009004217A1 (de) 2009-01-09 2009-01-09 Zwei-Nadel-Nähmaschine
DEDE102009004217.2 2009-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720A true KR20100082720A (ko) 2010-07-19
KR101639445B1 KR101639445B1 (ko) 2016-07-13

Family

ID=4212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070A KR101639445B1 (ko) 2009-01-09 2010-01-07 2침 재봉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206816B1 (ko)
KR (1) KR101639445B1 (ko)
CN (1) CN101781835B (ko)
AT (1) ATE511562T1 (ko)
DE (1) DE102009004217A1 (ko)
TW (1) TWI49308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1212A3 (en) * 2016-09-30 2018-06-20 Chee Siang Industrial Co., Ltd. Thread trimmer of post-bed sewing machine
JP2023518323A (ja) * 2021-07-29 2023-04-28 河北奔発制衣有限公司 2本針環縫いミシ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43975B (zh) * 2011-10-27 2013-04-10 西安标准工业股份有限公司 双针机变位针杆的复位装置
CN102528850B (zh) * 2012-01-11 2012-12-26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个冲刀的冲孔机
CN102828359A (zh) * 2012-08-27 2012-12-19 吴江市中盛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缝纫机的针杆摆动曲柄
CN106592116B (zh) * 2017-01-13 2023-06-30 湖南兴德缝制股份有限公司 缝纫机倒针距误差调整结构
DE102017201929A1 (de) * 2017-02-08 2018-08-09 Dürkopp Adler AG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einem geringen Soll-Nahtüberstand
CN108265417A (zh) * 2018-03-30 2018-07-10 苏州胜璟电磁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用电磁铁
CN108265416A (zh) * 2018-03-30 2018-07-10 苏州胜璟电磁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电磁铁
CN111118757B (zh) * 2018-10-31 2021-11-09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针梭配合自动调节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U (ja) * 1993-06-07 1995-01-06 株式会社勝見商会 ミシンの垂直全回転釜
JPH08336687A (ja) * 1995-06-14 1996-12-24 Yuki Sewing Mach Shokai:Kk ミシン、およびこれにより形成される上飾り付き2本針本縫い縫目構造
KR20050086367A (ko) * 2002-12-28 2005-08-30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4652A (en) * 1935-12-09 1938-10-25 Union Special Machine Co Lockstitch sewing machine
DE813931C (de) * 1945-11-28 1951-09-17 Singer Mfg Co Greiferantriebseinrichtung fuer Naehmaschinen
US2772578A (en) * 1953-06-15 1956-12-04 Conitech Ltd Power transmission with declutching provision for manual operation
DE955023C (de) 1955-08-25 1956-12-27 Duerkoppwerke Ag Mehrnadelnaehmaschine, insbesondere Zweindelnaehmaschine, mit einer Einrichtung zum wahlweisen Ein- und Ausschalten der Nadelstangen
IT1173392B (it) * 1984-02-28 1987-06-24 Rockwell Rimoldi Spa Macchina per cucire con due barre ago di cui una disinnestabile rispetto all'altra
DE202009000251U1 (de) * 2009-01-09 2009-04-09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U (ja) * 1993-06-07 1995-01-06 株式会社勝見商会 ミシンの垂直全回転釜
JPH08336687A (ja) * 1995-06-14 1996-12-24 Yuki Sewing Mach Shokai:Kk ミシン、およびこれにより形成される上飾り付き2本針本縫い縫目構造
KR20050086367A (ko) * 2002-12-28 2005-08-30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재봉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01212A3 (en) * 2016-09-30 2018-06-20 Chee Siang Industrial Co., Ltd. Thread trimmer of post-bed sewing machine
JP2023518323A (ja) * 2021-07-29 2023-04-28 河北奔発制衣有限公司 2本針環縫い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6816B1 (de) 2011-06-01
ATE511562T1 (de) 2011-06-15
CN101781835A (zh) 2010-07-21
TWI493084B (zh) 2015-07-21
EP2206816A1 (de) 2010-07-14
CN101781835B (zh) 2013-01-16
TW201033430A (en) 2010-09-16
DE102009004217A1 (de) 2010-07-15
KR101639445B1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2720A (ko) 2침 재봉틀
KR20100082721A (ko) 재봉틀용 실 절단 장치
KR100683597B1 (ko) 모자 프레임 및 모자 프레임 설치 프레임
US8857354B2 (en) Gas carrying threading device of sewing machine
US9347163B2 (en) Gas carrying threading device of sewing machine
RU23836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ширины штопки для швейной машины
KR20100082726A (ko) 실 절단 장치
KR102463612B1 (ko) 재봉 바늘 클램프 장치
KR101757919B1 (ko) 재봉기
JP2010246841A (ja) ミシン
EP2241662B1 (en) Thread cut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2021013717A (ja) 下糸導入装置及びそのミシン
CN211005879U (zh) 一种锁眼机的辅助传动装置
KR100989740B1 (ko) 재봉틀의 실 끊기 장치
US5692447A (en) Knife mechanism drive for a buttonhole sewing machine
JP2004223005A (ja) ミシンの付属装置
JP2017080315A (ja) 糸切機構とミシン
KR101438146B1 (ko) 재봉기
JP7494636B2 (ja) 上送り装置
JP2021013718A (ja) ボビンユニットの運動機構
US4248166A (en) Sewing machine attachment
JP2008018001A (ja) ミシン
JP2003175289A (ja) ポスト型ミシン
CN115125678A (zh) 缝制装置、弯针的定位方法
EP2161362A1 (en) Cloth opening device for buttonho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