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937B1 - 항균 소취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항균 소취 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소취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항균 소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937B1
KR101433937B1 KR1020070038726A KR20070038726A KR101433937B1 KR 101433937 B1 KR101433937 B1 KR 101433937B1 KR 1020070038726 A KR1020070038726 A KR 1020070038726A KR 20070038726 A KR20070038726 A KR 20070038726A KR 101433937 B1 KR101433937 B1 KR 10143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antimicrobial
component
deodorant compositio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325A (ko
Inventor
유코 스즈키
쇼헤이 후지무라
히로시 야마기시
요오스케 이즈미카와
히로노부 코오노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불쾌한 냄새를 소취하는 소취 효과와 불쾌한 냄새 발생 원인을 억제하는 항균 효과를 겸비하고,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불쾌한 냄새를 소취할 수 있는 항균 소취 조성물 및 항균 소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항균성 무기금속 함유 성분(A)과, 질소 함유 고분자(B)와, α-1,4-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고분자 수용성 글루칸 또는 당알코올(C)을 함유하는 항균 소취 조성물로 한다.
항균 소취 조성물, 항균 소취 방법

Description

항균 소취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항균 소취 방법{Composition and methods for disinfectant and deodrant}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항균 소취(消臭)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항균 소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항균을 소구(訴求)한 상품은, 세계적 규모의 감염증의 유행 등에도 수반하여, 근래, 높은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다. 한편, 주택의 고기밀화와 생활자의 청결 의식의 변화에 수반하여, 공간의 취기(臭氣)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의 불쾌한 냄새로서는, 화장실 공간의 분뇨 유래 냄새, 부엌의 음식 쓰레기 냄새, 리빙룸의 담배 냄시, 현관의 신발 냄새, 침구 등 천(布)제품의 냄새, 생활자의 땀이나 체취 등, 다종다양한 취기를 들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통상의 생활중에서 생기는 생활취(生活臭)이다. 이들 생활취의 대부분에는 미생물이 관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부엌의 음식 쓰레기 냄새는, 미생물이 음식을 영양원으로 하여 번식하고, 음식을 부패시킨 부패취이다. 또한, 화장실 공간이 깃들여진 냄새는, 비산된 오줌을 영양원으로 하여 미생물이 번식할 때에 발생한 암모니아 냄새가 그 원인의 하나이다. 나아가서는, 천제품의 악취는, 천제품에 부착한 피지(皮脂)를 미생물이 분해하여 중쇄(中鎖) 알데하이드를 발생시키는 것이 원인의 하나이다.
종래로부터, 이와 같은 불쾌한 취기 성분을 지우기 위해, 다양한 소취제나 주거용 세제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이미 발생하여 버린 냄새에 대해서는, 물리적 방법 및 화학적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
물리적 방법으로서는,
(방법 1) 창의 개폐에 의한 환기, 공조 설비에 의한 강제 환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방법 2) 활성탄 등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불쾌 성분을 흡착 소취하는 흡착제나,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대표되는, α-1,4-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고분자 수용성 글루칸의 포접력(包接力)을 이용한 소취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한편, 화학적 수법으로서는,
(방법 3) 각종, 방향·소취제 등의 약제 처리법이나,
(방법 4) 마스킹법이 있다.
(방법 3)로서는, 산, 알칼리, 효소 등에 의해 소취(취기 성분을 화학적 중화 또는 분해)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특정한 효소를 함 유함에 의해 변기 등의 악취를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규산 금속염 또는 함(含)알루미늄 규산 금속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산화·환원 반응과 흡착 작용의 상승 효과에 의해 소취한다고 생각된 소취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방법 4)는, 일반 가정에서 가장 실시되고 있는 방법이고, 소취제 자신이 가지는 향기 등에 의해 불쾌한 냄새를 마스크함에 의해 소취하는 것이다.
또한, 근래, 무기계 항균제도 근래 주목받고 있다. 은(銀)의 항균 작용은 잘 알려저 있고, 은 함유 성분에 관해서는 널리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내지 특허 문헌 5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표2002-50483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표평11-504977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특개소63-220874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국 특개평11-279453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국 특개평6-247817호 공보
그러나, 지금까지의 불쾌한 냄새를 소취하는 제안(방법 1 내지 방법 4)은, 냄새를 소취하는 것만을 제안하였다. 또한, 종래의 무기계 항균제에서는, 불쾌한 냄새의 원인인 냄새늬 발생에 관여한 미생물의 증식을 충분히 억제할 수가 없어서,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불쾌한 냄새를 소취한 소취 효과와 불쾌한 냄새 발 생 원인을 억제하는 항균 효과를 겸비하고,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불쾌한 냄새를 소취할 수 있는 항균 소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항균 소취할 수 있는 항균 소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미생물이 악취를 발생시키는 것이 악취의 주된 원인인 것에 착안하고, 항균성 무기금속 함유 성분과 특정한 고분자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함에 의해, 악취를 발생시키는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여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불쾌한 냄새를 소취할 수 있는 항균 효과 및 소취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함에 이르렀다. 즉, 이하의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은, 항균성 무기금속 함유 성분(A)과, 질소 함유 고분자(B)와, α-1,4-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고분자 수용성 글루칸 또는 당(糖)알코올(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에서는, 상기 (B)가 염기성 폴리아미노산을 함유함으로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에서는, 상기 (A)가, 은, 구리, 아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항균성 무기금속을 함유함으로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항균 소취 방법은, 상기한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균 소취 조성물을, 분무 직후의 항균 소취 조성물의 입자의 최대 입경이 300㎛ 이하가 되도록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불쾌한 냄새를 소취하는 소취 효과와 불쾌한 냄새 발생 원인을 억제하는 항균 효과를 겸비한 항균 소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항균 소취할 수 있는 항균 소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항균 소취 조성물》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은, 항균성 무기금속 함유 성분(A)과, 질소 함유 고분자(B)와, α-1,4-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고분자 수용성 글루칸 또는 당알코올(C)을 함유한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항균성 무기금속 함유 성분 : (A)성분>
본 발명의 (A)성분으로서는, 항균성을 갖는 무기금속을 함유하는 성분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고체상이고, 항균성 무기금속의 산화물, 염화물, 질산염, 황산염 또는 금속 그 자체를 담체(擔體)에 담지한 입자 상태의 것 등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여기서, 담체의 구체예로서는, 인산염류(인산 지르코늄, 인산 칼슘 등), 금속 산화물(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산화 티탄, 산화 아연, 산화철, 산화 지르코늄 등), 무기화합물(제오라이트, 점토광물, 실리카겔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담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그 중에서도, 금속 산화물의 담체에 항균성 무기금속 산화물을 담지시킨 것이, 담지 강도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A)성분중의 항균성 무기금속으로서는, 항균성을 갖는 금속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항균성에 우수한 은, 아연, 구리 등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서, 항균성의 효과의 점에서, 은이 선택된다. 이들 항균성 무기금속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항균성 무기금속 산화물과 담체와의 조합은, 콜로이드 상태 알루미나실리카에 산화은을 담지시킨 것이다.
(A)성분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촉매화성공업(주)제), 상품명 「ATOMYBALL-S」, 「ATOMYBALL-L」, 「ATOMYBALL-UA」의 나노입자 은계 무기항균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성분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항균성 무기금속으로서 은을 포함하는 (A)성분인 경우, 은 원소 농도로 환산하여 0.000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005질량%이다. 조성물 중에 항균성 무기금속으로서 은을 0.0001질량% 이상 함유함으로써 항균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성물 중의 은의 함유량이 0.005질량% 이하이면, 충분한 항균 능력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경제적으로도 허용된다.
또한, (A)성분이 입자 상태인 경우의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1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자경이란, 수평균 분자량(數平均) 입자경이고,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분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500㎚ 이하이면 입자의 분 산 상태태가 안정한 것으로 되고, 또한 100㎚ 이하이면 입자의 분산 상태가 보다 안정한 것으로 된다. 또한, 분산 입자의 입자경이 작을수록, 세균과 분산 입자와의 접촉이 용이해지는 관점에서 항균성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A)성분은, 상기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용제에 용해 가능한 항균성 무기금속을 함유하는 성분이라도 좋다. 용제에 용해 가능한 항균성 무기금속으로서는, 용제인 물에 가용한 아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아연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황산 아연, 염화 아연, 글루콘산 아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황산 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항균성 무기금속으로서 황산 아연을 포함하는 (A)성분인 경우, 조성물 중에서의 황산 아연의 함유량은, 무수물 환산으로 0.01 내지 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고분자 : (B)성분>
본 발명의 (B)성분으로서는, 질소 함유 고분자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비닐피롤리돈, 에틸렌이민, 아크릴아미드, 및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중합시켜서 이루어지는 호모폴리머나 코폴리머, 또는 아크릴산 및/또는 그 염과 아크릴아미드와의 코폴리머, 또는 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의 부분 가수분해물(「폴리(메타)아크릴아미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및/또는 메타크릴아미드를 나타낸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과 아크릴아미드의 코폴리머 외에, 염화 O-[2-하이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폴리아미노산 등의 염기성 고분자도 들 수 있다. 이들의 (B)성분은, 1 종 또는 2종 이상 을 사용할 수 있지만,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항균 소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B)성분중에서는, (A)성분을 안정적으로 배합할 수 있고, 착색이나 침강이 생기지 않는 염기성 폴리아미노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기성 폴리아미노산을 구성하는 모노머로서는, 리진, 히스티딘, 아르기닌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서, 항균 효과의 점에서, 폴리리진이 선택된다.
여기서 염기성 고분자란, 측쇄 또는 구성 모노머 단위중에, 아미노기 등을 갖고 있고, 수용액으로 한 때에 염기성을 나타내고, 산성하에서 카티온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폴리리진은, 필수 아미노산인 L-리진의 중합체이다. 폴리리진에는, α-폴리리진이나 ε-폴리리진이 있지만, L-리진이 직쇄상으로 결합한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ε-폴리리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30019813-pat00001
본 발명에서, ε-폴리리진은 어느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라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특허 제1245361호에 기재된 스토레푸토마이세스·아르프래스 ·서브스피시즈·리지노포리메라스를, 글리세린 5질량%, 효모 엑기스 0.5질량%, 황산암모늄1질량%, 인산 수소2칼륨 0.08질량%, 인산 2수소칼륨 0.136질량%, 황산 마그네슘·7수화물 0.05질량%, 황산 아연·7수화물 0.004질량%, 황산 철·7수화물 0.03질량%, pH6.8로 조정한 배지(培地)에서 배양하고,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분리·채취함에 의해 얻어진 ε-폴리리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ε-폴리리진은, 펩티드 합성에 상용(常用)되는 고상법(固相法)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판의 펩티드 신시사어저 등에 의해서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ε-폴리리진은, 리진의 펩티드의 아미노산 배열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이용한 유전자공학적 수법을 이용하여, 미생물 세포, 식물 세포, 동물 세포에서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얻어진 조(粗)합성 펩티드는, 겔 여과, 순상(順相), 역상 HPLC, 이온 교환 칼럼 정제 등, 통상의 단백질·펩티드의 정제에 이용되는 수단에 의해, 더욱 고순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B)성분의 수평균 분자량은, 통상 500 내지 10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000이다.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ε-폴리리진인 칫소사제 폴리리진(수평균 분자량 약 4000, 25%수용액)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B)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염기성 고분자는, 수용액중에서 염기성을 나타내고, 산성하로 카티온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A)성분에 가함으로써 항균 효과를 향상한다. 특히, 염기성 폴리아미노산인 ε-폴리리진은, 높은 제균(除菌) 성능을 가지며, 식품 첨가물임과 동시에, 식품의 방부제로서 사용되고 있고, (B)성 분으로서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B)성분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0.001 내지 1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5질량%이다. (B)성분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을 0.001질량% 이상으로 함에 의해 항균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고, 상한치인 10질량% 이하로 함에 의해, 항균 소취 조성물을 사용한 후의 싱크, 벽, 바닥 등의 표면상에서, 끈적거림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막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A)성분 및 (B)성분은, 악취를 발생시키는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천제품에 부착한 피지를 분해하여 중쇄(中鎖) 알데하이드를 발생시키는 미생물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천제품에 부착한 피지를 분해하여 중쇄 알데하이드를 발생시키는 미생물으로서는, 예를 들면, 표피 포도구균을 들 수 있다.
<α-1,4-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고분자 수용성 글루칸 또는 당알코올 : (C)성분>
본 발명의 (C)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덱스트린, 클러스터덱스트린, α-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등의 α-1,4-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고분자 수용성 글루칸, 또는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갈락티톨 등의 당알코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C)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C)성분의 구체예로서는, 클러스터덱스트린(상품명 : 에자키구리코주식회사제)이나, 덱스트린인 산덱#30(상품명 : 산와전분공업주식회사제), 덱스트린인 산덱 #150(상품명 : 산와전분공업주식회사제), 덱스트린인 산덱#300(상품명 : 산와전분공업주식회사제), 덱스트린인 산덱#185N(상품명 : 산와전분공업주식회사제), α-사이클로덱스트린(미즈사와화학공업주식회사제), D-소르비톨액(液)(도와화성공업사제)을 들 수 있다.
(C)성분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0.01 내지 2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질량%이다. (C)성분은, 천제품의 악취이고, 이미 발생하여 버리고 있는 중쇄 알데하이드에 화학적으로 작용하여 소취할 수 있는 것이다.
(C)성분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을 0.01질량% 이상으로 함에 의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을 천제품의 소취로서 도포한 경우에, 천제품에 발생하고 있는 중쇄 알데하이드의 소취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다. 또한, (C)성분은, 악취인 중쇄 알데하이드를 지속적으로 소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천제품 표면에 잔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점에 있어서도 (C)성분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을 상기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성분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을 상한치인 2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을 천제품의 소취로서 도포한 경우에, 천제품의 표면상에 가루가 생김이나 끈적거림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막는 것을 할 수 있다.
<그 밖의 임의 성분>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에는, 통상 첨가되는 첨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A)성분, (B)성분, (C)성분외, 이하에 예시한 계면활성제, 용제, 향료, pH 조정제나, 그 밖에 공지의 수용성 고분자, 안정화제, 천연 추출물, 색소 등을 임의로 배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세척 또는 기포 등의 목적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兩性)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알킬에테르황산 에스테르염, 알킬벤젠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α-술포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지방산염, 에테르카르본산염, 알킬인산염 등을 들 수 있고, 대(對) 이온(카티온)은, 알칼리금속 이온, 알칼리토류금속 이온, 알칸올아민 이온, 암모늄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카복시베타인, 알킬술포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세린에스테르, 지방산 자당(蔗糖) 에스테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알킬아민옥사이드, 알킬아미드아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용제]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에는, 성분의 용해 등의 목적에 따라, 용제를 적 절히 배합할 수 있다. 용제의 구체예로서는, 물 외에,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부탄올, t-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글리세린, 알킬글리세릴에테르,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용제중에서도 특히, 천제품이나 가구 등의 항균 소취의 대상물에 조성물을 도포함에 의한 주름 발생 등의 악영향이 없음의 점에서, 물 이외의 용제로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물 이외의 용제의 함유량으로서는, 5 내지 60질량%가 바람직하고, 또한, 10 내지 30질량%가 바람직하다. 용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향료]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에는, 부향(腑香) 등의 목적에 따라, 향료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향료 성분은,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구체예로서는, 지방족 탄화 수소, 테르펜 탄화 수소, 방향족 탄화 수소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알코올, 테르펜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지방족 에테르, 방향족 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지방족 옥사이드, 테르펜류의 옥사이드 등의 옥사이드류, 지방족 알데하이드, 테르펜계 알데하이드, 수소화 방향족 알데하이드, 티오알데하이드, 방향족 알데하이드 등의 알데하이드류, 지방족 케톤, 테르펜케톤, 수소화 방향족 케톤, 지방족 환상(環狀) 케톤, 비(非) 벤젠계 방향족 케톤, 방향족 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탈류, 케탈류, 페놀류, 페놀에테르류, 지방산, 테르펜계 카르본산, 수소화 방향족 카르본산, 방향족 카르본산 등의 산류(酸類), 산(酸) 아마이드류, 지방족 락톤, 대환상(大環狀) 락톤, 테르펜계 락톤, 수소화 방향족 락톤, 방향족 락톤 등의 락톤류, 지방족 에스테르, 푸란계 카르본산에스테르, 지방족 환상 카르본산 에스테르, 사이클로헥실카르본산족 에스테르, 테르펜계 카르본산 에스테르, 방향족 카르본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니트로무스크류, 니트릴, 아민, 피리딘류, 퀴놀린류, 피롤, 인돌의 함질소화합물 등등의 합성 향료 및 식물(植物)로부터의 천연 향료를 들 수 있다. 향료 성분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고, 통상 복수가 사용된다.
[pH 조정제]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에는, pH 조정 등의 목적에 따라, pH 조정제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pH 조정제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예로서는,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 및 그 염, 안식향산 및 그 염, 사과산 및 그 염, 염산, 황산 및 그 염, 인산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천제품이나 가구 등의 항균 소취의 대상물에 조성물을 도포함에 의한 가루 생김 등의 악영향이 없음의 점에서, 수산화 칼륨, 안식향산이 바람직하다.
《항균 소취 방법》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은, 적절한 용기에 수용되어 제품으로 된다. 여기서 이용되는 용기로서는, 항균 소취 조성물을 항균 소취의 대상물에 분무 가능한 분무 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 의 사용 방법은,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임의의 방법에 의해 항균 소취의 대상물에 분무하는 방법 등에 의해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분무 장치로서는, 트리거식 스프레이어에 의해 분무하는 방식의 것, 포상(泡狀) 또는 무상(霧狀)의 에어졸로 분무하는 방식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뮤상 트리거식 스프레이어, 무상 에어졸, 무상 디스펜서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무상 트리거식 스프레이어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을 분무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분무 직후의 항균 소취 조성물의 입자의 최대 입경이,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특히 100㎛이하로 한다. 분무 직후의 항균 소취 조성물의 입자의 최대 입경을 300㎛ 이하로 함에 의해, 항균 소취 조성물이 재빠르게 마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300㎛ 이하로 함에 의해, 분무 후의 항균 소취 조성물의 응집을 막고,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다. 또한, 항균 소취 조성물의 입경이 작을수록, 속건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그 관점에서는 하한치를 규정하는 기술적 의의는 없지만, 최소 입경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특히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무 직후의 항균 소취 조성물의 입자의 최대 입경이 10㎛ 이상인 것에 의해, 분무 후의 날려 올라감을 효과적으로 막고, 불필요 부분에의 여분의 분무를 막아, 효율적으로 분무할 수 있다.
또한, 분무 직후의 항균 소취 조성물의 입자의 입경은 동일컴퓨터어플리케이션스주식회사제의 입자분포측정장치(LDSA-1300A : 상품명)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다. 사용 렌즈 : 300㎜ 초점 거리 : 30㎝ 분무 거리 : 10㎝ 해 석모델식 : 로진·람라식
또한, 분무 직후의 항균 소취 조성물의 입자의 입경은, 예를 들면, 분무 장치를 변경하는 것, 스프레이라면 노즐 부분의 구경을 바꾸는 것, 압력밸브에 의해 분무 압량(壓量)을 조정하는 것 등, 에어졸이라면, 가스압을 조정하는 것 등의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항균 소취의 대상물에 무상 트리거식 스프레이어에 의해 분무하는 방법에 의해 이용할 수 있지만, 보틀 주둥이(口)로부터 세제를 토출하는 방법이나, 항균 소취 조성물을 함침시킨 부직포 등의 시트에 의해 항균 소취의 대상물에 도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의 사용 장소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화장실, 욕실, 키친, 세면장 등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에 의해 항균 소취하는 대상물로서는, 예를 들면, 불쾌한 냄새가 나는 공기나, 불쾌한 냄새가 나는 장소에 있는 침구·커튼 등의 천제품, 가구 등을 들 할 수 있고, 특히, 침구·커튼 등의 천제품으로부터의 중쇄 알데하이드에 기인하는 악취의 소취, 중쇄 알데하이드를 발생시키는 미생물의 항균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는, 특히 거절이 없 는 한 순분(純分) 환산의 「질량%」이다.
(실시예 1 내지 11)(비교예 1 내지 4)
항균 소취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원료를 이하에 열거한다.
원료(메이커, 상품명) :
(A)성분
은(銀) 나노콜로이드 : 「ATOMYBALL UA」, 은 나노콜로이드 함유량*1 : 1.5질량%, Ag 함유량*2 : 0.0686질량%, (촉매화성사제)
또한, 상기 및 이하에 표시하는 표 1 및 표 2에 있어서, 부호 *1로 나타내는 은 나노콜로이드 함유량이란, 건조·강열(强熱) 잔분(殘分)의 고형분 환산치(140℃, 2시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한 부호 *2로 나타내는 Ag 함유량의 측정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2 : Ag 함유량의 측정 방법
ATOMYBALL UA의 원액을 질산(시약특급, 와코순약공업) 및 증류수로 0.1M 질산 수용액으로 되도록 희석하고, 측정 시료를 작성하였다. 한편, 은 이온 표준 용액(1000ppm 용액, 와코순약공업)을 측정 시료와 같은 조작으로 0.1M 질산 수용액이 되도록 희석하고, 1ppm 및 0.01ppm의 표준 용액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측정 시료와 표준 시료의 은 농도를 유도결합 플라즈마 원자발광분석장치(Perkin Elmer사제(Optima5300DV)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시료의 발광 강도를, 표준 용액을 이용한 검량선법에 의하여 Ag 농도로 환산하여 정량치를 얻었다.
(B)성분
폴리리진 : (칫소사제)
(C)성분
덱스트린 A : 「클러스터덱스트린」 DE값*3 : 5% 미만(에자키구리코사제)
덱스트린 B : 「산덱#300」 DE 값*3 : 26 내지 30%(산와전분공업 사제)
덱스트린 C : 「산덱#185N」 DE 값*3 : 16 내지 21%(산와전분공업사제)
α-사이클로덱스트린 : DE 값*3 : 5% 미만(미즈사와화학사제)
소르비톨 : 「D-소르비톨 액」(도와화성공업사제)
*3 : DE 값(Dextrose Equivalent) 전분 당류의 가수분해률의 지표가 되는 단위로 하기식에 의해 구하여진된다.
DE 값=직접환원당(글루코스 환산)÷고형분×100
에탄올 : 시약(관동화학)
99.5V/V%안식향산 : (후시미제약사제)
수산화나트륨 : (니혼소다사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 「레오콜C-120」(라이온사제)
<평가 방법>
조제한 항균 소취 조성물을 사용하여, 항균 시험, 소취 시험, 실(實)사용에서의 방취 시험을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항균 시험]
JIS Z 2801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균 : 대장균, 황색 포도구균
테스트 피스 : 항균 소취 조성물 2.0㎖을 도포한 5㎝×5㎝의 타일
「시험 방법」
배양한 시험균을 1/500NB의 액체 배지기에 의해 현탁하여 2.5 내지 10×105개/㎖의 농도로 조정한 균액 0.4㎖을, 멸균 샬레에 넣은 테스트 피스상에 올려놓고, 4㎝×4㎝의 강화 폴리에틸렌 필름(스토메카필름 400형, 오르가노제)을 밀착시키고, 온도 35±1℃, 습도 90% 이상의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생균 수를 측정하고, 제균 활성치를 구하였다.
(평가 기준) ○제균 활성치가 2 이상 △제균 활성치가 1 이상 2 미만 ×제균 활성치가 1 미만
[소취 시험][중쇄 알데하이드 냄새 억제 시험]
450㎖의 유리병 내에, 5㎝×5㎝의 면포(綿布)(옥양목(金巾) 3호)를 넣고, 1% 노난알/에탄올 수용액 1㎖을 흘리고, 항균 소취 조성물 1㎖을 넣고, 밀폐하여 실온에 2시간 방치 후, 뚜껑을 개방하여, 병 내의 냄새 강도를 6단계 취기 강도 표시법에 의해 패널러 5명이 평가하고, 그 평균에 의해 중쇄 알데하이드취 억제 효과를,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효과가 있다(6단계 취기 강도 평균치 : 2 미만) △ : 효과 가 약간 있다(6단계 취기 강도 평균치 : 2 이상 4 미만) × : 효과가 거의 없다(6단계 취기 강도 평균치 : 4 이상)
[실사용에서의 방취 시험]
60명의 주부에게 안개스프레이 용기(라이온(주)제 에핀500 내츄럴 세트 워터 용기)에 넣은 항균 소취 조성물을 2주간 사용하게 하여, 천제품의 방취 효과에 관해, 「효과가 있다」, 「어느쪽이라고도 할 수가 않다」, 「효과가 없다」의 3단계 평가를 하여 받았다. (평가 기준) ○ : 효과가 있다(3단계 평가에서 효과가 있다고 회답한 비율이 50% 이상) △ : 약간 효과가 있다(3단계 평가에서 효과가 있다고 회답한 비율이 30% 이하) × : 효과가 거의 없다(3단계 평가에서 효과가 있다고 회답한 비율이 10% 이하)
또한, 상기 안개스프레이 용기로 분무한 경우의 입경의 측정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행하였다.
(입경 측정)
동일컴퓨터어플리케이션스주식회사제의 입자분포측정장치 LDSA-1300A(상품명)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사용 렌즈 : 300㎜ 초점 거리 : 30㎝ 분무 거리 : 10㎝ 해석 모델식 : 로진·람라식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다.
최소 입경 : 15㎛
최대 입경 : 250㎛
이상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각 평가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표시한. 표 3 및 표 4에는, 임의 성분의 하나인 향료 조성물의 조성(질량%)을 표시한다.
표 1로부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로는, 항균 시험, 소취 시험, 실사용에서의 방취 시험의 결과에 ×의 평가가 없고, 소취 효과와 항균 효과를 겸비한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항균성 무기금속 함유 성분(A)으로서 은 나노콜로이드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1에서는, 항균 시험, 소취 시험, 실사용에서의 방취 시험의 결과에 △ 및×의 평가가 없고, 보다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고,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α-1,4-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고분자 수용성 글루칸(C)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2, 4에서는, 소취 효과의 평가가 ×로 되었다. 또한, 질소 함유 고분자(B)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에서는, 항균 효과 및 실사용에서의 방취 시험의 평가도 ×로 되었다. 또한, 항균성 무기금속 함유 성분(A)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에서는, 항균 효과 및 실사용에서의 방취 시험의 평가가 ×로 되었다. 또한, 항균성 무기금속 함유 성분(A)으로서 황산 아연을 사용한 비교예 4에서는, 항균 효과의 평가가 △로 되고, 실사용에서의 방취 시험의 평가가 ×로 되었다.
[표 1]
Figure 112007030019813-pat00002
[표 2]
Figure 112007030019813-pat00003
[표 3]
Figure 112007030019813-pat00004
[표 4]
Figure 112007030019813-pat00005
본 발명에서는, 불쾌한 냄새를 소취하는 소취 효과와 불쾌한 냄새 발생 원인을 억제하는 항균 효과를 겸비한 항균 소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소취 조성물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항균 소취할 수 있는 항균 소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항균성 무기금속 또는 그 산화물, 염화물, 질산염 또는 황산염을 담체에 담지한 항균성 무기금속 함유 성분(A)과, 염기성 폴리아미노산(B)과, α-1,4-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고분자 수용성 글루칸 또는 당알코올(C)을 함유하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소취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무기 금속이 은이며,
    상기 (A)를 은 원소 농도로 환산하여 0.0001 내지 0.005질량%와,
    상기 (B)를 0.001 내지 10질량%와,
    상기 (C)를 0.01 내지 20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소취 조성물.
  3. 제 1항에 기재된 항균 소취 조성물을, 분무 직후의 항균 소취 조성물의 입자의 최대 입경이 300㎛ 이하가 되도록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소취 방법.
  4. 삭제
KR1020070038726A 2006-05-17 2007-04-20 항균 소취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항균 소취 방법 KR101433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38002 2006-05-17
JP2006138002 2006-05-17
JPJP-P-2007-00052911 2007-03-02
JP2007052911A JP5101135B2 (ja) 2006-05-17 2007-03-02 抗菌・消臭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抗菌・消臭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325A KR20070111325A (ko) 2007-11-21
KR101433937B1 true KR101433937B1 (ko) 2014-08-26

Family

ID=3893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726A KR101433937B1 (ko) 2006-05-17 2007-04-20 항균 소취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항균 소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01135B2 (ko)
KR (1) KR101433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771B1 (ko) * 2019-01-02 2020-03-06 이승진 고기능성의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1136B2 (ja) * 2006-08-09 2012-12-19 ライオン株式会社 害虫忌避エアゾール製品
JP2009233074A (ja) * 2008-03-26 2009-10-15 Fujifilm Corp 有害物質除去材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化装置
JP5612818B2 (ja) * 2008-11-13 2014-10-22 花王株式会社 エアゾール消臭剤物品
US9273427B2 (en) * 2009-09-18 2016-03-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esh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malodor binding polymers
US9260817B2 (en) * 2009-09-18 2016-0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esh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malodor binding polymers and malodor counteractants
US20120183489A1 (en) * 2011-01-14 2012-07-19 Ricky Ah-Man Woo Compositions comprising metallated malodor control polymers
US9248209B2 (en) * 2011-01-14 2016-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phobically modified malodor control polymers
JP5787587B2 (ja) * 2011-04-18 2015-09-30 株式会社ネオス 塩素イオンを含有する溶液中でヒスチジン銀錯体の殺菌活性を維持する方法および液状抗菌剤組成物
JP5787589B2 (ja) * 2011-04-19 2015-09-30 株式会社ネオス 塩素イオンを含有する溶液中でヒスチジン銀錯体の殺菌活性を発揮させる方法、液状添加剤組成物および液状抗菌性組成物
DE102011077070A1 (de) * 2011-06-07 2012-12-13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Epsilon-Polylysin und einem oder mehreren Estern mit Terpenstruktur
JP5863114B2 (ja) * 2012-10-15 2016-02-16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液体処理剤組成物
JP6159988B2 (ja) * 2012-05-25 2017-07-12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処理剤組成物
JP5863113B2 (ja) * 2012-09-21 2016-02-16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処理剤組成物
MY167638A (en) * 2012-05-25 2018-09-21 Lion Corp Treatment composition for textile goods
JP5903334B2 (ja) * 2012-05-30 2016-04-13 ライオン株式会社 燻煙剤及び燻煙装置
KR101397225B1 (ko) * 2012-08-07 2014-05-20 차재국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스프레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스프레이 조성물
US9821081B2 (en) 2012-11-27 2017-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fume-free malodor reducing compositions
JP5953580B2 (ja) * 2012-12-13 2016-07-20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柔軟剤組成物
JP6175359B2 (ja) * 2013-11-21 2017-08-02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処理剤
JP6171202B2 (ja) * 2013-11-25 2017-08-02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の処理方法
JP6171201B2 (ja) * 2013-11-25 2017-08-02 ライオン株式会社 固形状繊維製品処理剤組成物
JP6251911B2 (ja) * 2013-11-25 2017-12-27 ライオン株式会社 消臭剤組成物
JP6171200B2 (ja) * 2013-11-25 2017-08-02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処理剤組成物
JP6742914B2 (ja) * 2014-04-28 2020-08-19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望ましくない分子除去用の組成物
FR3025106B1 (fr) * 2014-08-27 2017-12-08 Dermaconcept Jmc Composition antimicrobienne
WO2019065134A1 (ja) * 2017-09-29 2019-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消臭剤組成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5356A (ja) * 1998-04-27 2003-08-2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シワおよび悪臭減少組成物
JP2004161632A (ja) * 2002-11-11 2004-06-10 Daiwa Fine Chemicals Co Ltd (Laboratory) 銀コロイド抗菌性、殺菌性又は防黴性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利用した製品
JP2004357746A (ja) * 2003-06-02 2004-12-24 Kao Corp 液体消臭剤組成物
JP2006087903A (ja) * 2004-08-25 2006-04-06 Nippon Gosei Senzai Kk 消臭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773A (ja) * 1993-02-26 1994-09-06 Sintokogio Ltd 抗菌性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
JPH0797302A (ja) * 1993-09-29 1995-04-11 Tokuyama Corp 抗菌剤組成物
WO1998056888A1 (en) * 1997-06-09 1998-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complexed cyclodextrin compositions for odor control
JP2002209995A (ja) * 2001-01-18 2002-07-30 Hosoda Shoten:Kk 抗菌消臭剤
JP2005154323A (ja) * 2003-11-25 2005-06-16 Hosoda Shc:Kk 抗菌消臭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5356A (ja) * 1998-04-27 2003-08-2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シワおよび悪臭減少組成物
JP2004161632A (ja) * 2002-11-11 2004-06-10 Daiwa Fine Chemicals Co Ltd (Laboratory) 銀コロイド抗菌性、殺菌性又は防黴性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利用した製品
JP2004357746A (ja) * 2003-06-02 2004-12-24 Kao Corp 液体消臭剤組成物
JP2006087903A (ja) * 2004-08-25 2006-04-06 Nippon Gosei Senzai Kk 消臭剤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771B1 (ko) * 2019-01-02 2020-03-06 이승진 고기능성의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325A (ko) 2007-11-21
JP5101135B2 (ja) 2012-12-19
JP2007332130A (ja)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937B1 (ko) 항균 소취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항균 소취 방법
CN101455849B (zh) 空气净化剂
CN109481713B (zh) 一种液体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10810434A (zh) 一种除味杀菌ab剂
KR20150013700A (ko) 활성화된 알켄을 갖는 악취 제어 조성물 및 그의 방법
CN109777647A (zh) 一种衣物去异味组合物
US9615572B1 (en) Disinfectant spray comprising copper iodide
JP2009221177A (ja) 抗菌・抗カビ性組成物およびその応用品
WO2015093566A1 (ja) 消臭剤とその製造方法
JP2014069064A (ja) 天然系由来の成分からなる消臭効果、消臭持続性、安全性に優れた消臭製品
JP2010246905A (ja) 尿臭生成抑制用組成物
JP2006149892A (ja) 尿臭抑制用組成物
US8298482B2 (en) Vapor phase hydrogen peroxide deodorizer
JP6141063B2 (ja) 脱臭剤、脱臭装置及び脱臭方法
JPH0624952A (ja) 浴室用静菌芳香剤
EP1651278A1 (en) Disinfection of a contaminated environment
CN1282488C (zh) 一种公用场合空气清新除菌剂
JP2012024537A (ja) 高分子ポリマー系消臭剤組成物
CN115043723A (zh) 一种衣康酸锌的用途及含有衣康酸锌除味剂的制备工艺
JP2006296807A (ja) 消臭材
CN113842764A (zh) 一种甲醛和异味清除剂及其制备方法
JP2018158053A (ja) 消臭、防臭剤組成物
CN116509732B (zh) 一种清洁杀菌除臭宠物卫生湿巾浓缩液及其制备方法
JP2000169317A (ja) 微生物消臭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692652A (zh) 一种宠物家用的祛味除臭留香型消毒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