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456B1 -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456B1
KR101433456B1 KR1020120096322A KR20120096322A KR101433456B1 KR 101433456 B1 KR101433456 B1 KR 101433456B1 KR 1020120096322 A KR1020120096322 A KR 1020120096322A KR 20120096322 A KR20120096322 A KR 20120096322A KR 101433456 B1 KR101433456 B1 KR 101433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talyst
reactor
catalytic activity
polymer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349A (ko
Inventor
우동현
한중진
전병규
이주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3002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204Polyarylenethioethers
    • C08G75/0209Polyarylenethioether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on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14Polysulfides
    • C08G75/16Polysulfides by polycondensation of organic compounds with inorganic poly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4Poly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PAS(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제조 시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를 투입하여 폴리머의 열적 특성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열 특성이 우수하면서 고 분자량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polyarylene sulfides}
본 발명은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PAS) 수지 제조시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를 투입하여 폴리머의 열적 특성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열 특성이 우수하면서 고 분자량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효율적이면서 저렴하게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로도 공지되어 있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PAS)는, 다양한 제조, 판매 및 소비 응용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가열되어 성형될 수 있는 고-성능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물질이다. PAS는 섬유, 필름, 코팅, 사출 성형 화합물, 및 섬유-보강 복합재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전기제품, 자동차 및 전기/전자 산업에서 요청되는 응용들에 매우 적합하다. PAS는 단독으로 또는, 탄성중합체 재료, 코폴리머, 수지, 보강제, 첨가제, 그 밖의 다른 열가소성 물질 등과 같은 다른 재료들과 혼합되어, 제조 성분으로서 혼입될 수 있다.
PAS의 일반 분자 구조는 교대하는 방향족(페닐렌) 고리 및 황 원자들로(파라 치환 패턴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자 구조는 열적으로 안정한 결정질 격자로 용이하게 충진할 수 있으며, 약 285℃ 및 그 보다 더 높은 온도 이하의 높은 결정질 용융점을 가지는 반-결정질 폴리머인 PAS를 제공한다. 이러한 분자 구조로 인하여, PAS는 또한 연소하는 동안 까맣게 타기 쉬우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재료를 고유한 난연제로 만든다. 더욱이, 이러한 재료는 약 200 ℃ 미만의 온도에서 용매에 전형적으로 용해하지 않을 것이다.
반-결정질의 PAS를 포함하여, PAS 폴리머는, 탁월한 특성의 조합을 제공하므로 매력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예를 들면, PAS는 공격적인 화학적 환경에 대한 내성을 제공하며 또한 타이트한 허용오차에 대한 정밀한 몰딩을 제공한다.
더욱이, PAS는 열적으로 안정하며, 본래 난연제 첨가제가 없는 불연성이며, 탁월한 유전/절연 특성을 가진다. 그 밖의 다른 특성들에는 크기적 안정성, 높은 모듈러스, 및 내크리프성이 포함된다. PAS의 유리한 특성들은, 부분적으로는, 분자 구조의 안정한 화학적 결합에 기인하는데, 이러한 안정한 화학적 결합은, 예를 들면, 열분해 및 화학적 반응성 모두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정도의 분자적 안정성을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PAS는 극성 유기 화합물의 존재하의 중합 조건하에서 황 공급원과 디할로겐화 방향족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N-메틸 파이롤리돈 (NMP)과 같은 극성 유기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중합하는 동안 용액에 반응물과 PAS 폴리머를 유지시키는 유기 용매이다. 알칼리 금속염과 같은 분자량 개질제는 중합 혼합물에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중합 반응 혼합물은 수성상 및 유기상을 포함하는데, PAS 폴리머는 주로 유기상에 용해되어있다. 일반적으로, 반응물의 대부분이 중합된 후, 중합을 종결시키고 용액으로부터 PAS 폴리머 고체를 떨어뜨리기 위하여 반응 혼합물은 냉각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 반응의 냉각은, 예를 들면, 반응 혼합물의 압력을 감소시켜 극성 유기 화합물(예컨대, NMP)을 급속하게 증발시키거나, 혼합물에 더 많은 NMP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냉각(급냉)시킴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존재하는 NMP를 급속히 증발시키는 것 또는 더 많은 NMP로 급냉시키는 것의 선택은 특수한 제조 설비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특수한 PAS 등급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선택은 공정 경제, 및 폴리머의 벌크 특성들, 형태, 입자 크기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종결 단계에서 또다른 대안의 방법은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냉각(또는 급냉)시키는 것이다. NMP 급냉에 비하여, 물 급냉은 전형적으로 더 큰 입자 크기의 PAS를 생성하며, 이것은 중합 반응에서 형성된 원하지 않는 고체 성분들로부터 PAS 산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원하지 않는 성분들, 예컨대, 잔류염 및 진액(slime)과 같은 성분들이 전형적으로 비교적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 급냉이 가지는 문제점은, 너무 많은 물이 첨가되는 경우, PAS 입자 크기(평균 직경)가 하위스트림 분리/취급 장치에 대하여 너무 커져서, 장치의 손상 또는 중단, 오프-스펙 PAS의 제조, PAS의 오염 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역으로, 너무 적은 물이 첨가되는 경우, PAS 입자 크기는 너무 작아져서, 원치않은 성분들의 분리된 스트림과 함께 빠져나가는 PAS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급냉 바로 직전에 반응기에 존재하는 물의 양은 변화하며, 이는 전형적으로 공지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PAS 특성들에 영향을 주는 것은 첨가된 급냉수의 양만이 아니라, 반응기에 있는 전체 물의 양이다. 물은 급냉 이전에 반응기에 존재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반응기에 유입하는 공급원료의 상위스트림 탈수에서의 비효율성 때문이며, 물이 반응기에서 PAS (축합) 폴리머의 산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급냉하는 동안 반응기에 있는 전체 물의 양 대 생성된 PAS 입자 크기 사이의 일반적인 상관관계는 공지되어 있으나, 또다시 얼마나 많은 급냉수가 첨가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존재하는 물의 양(및 농도)이 전형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문제이다. PAS 제조 과정에서, 작업하는 사람은 전형적으로 경험에 기초하여, 시행착오, 작업 조건들의 "분위기" 등과, 반응기에 얼마나 많은 물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급냉수가 첨가되어야 하는지를 예측한다.
물 함량에 관하여 실험하기 위한 반응기 혼합물의 실험실 또는 온-라인 시료화는 조잡한 반응기 조건으로 인하여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더욱이, 부분적으로 분산된 수성상 및 유기상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의 대표적인 시료를 얻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실험은 비용 및 시간이 소모될 수 있다. 더욱이, 시료화 및 분석하는 동안, 중합 반응이 진행될 수도 있으며, 때때로 조건들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변화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급냉 액체가 첨가된 이후에도 PAS 폴리머가 반응기 용액에 실질적으로 용해된 채 남아있을 수 있음이 설명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급냉 액체가 첨가된 후, 반응기 내용물은 PAS를 침전시키기 위하여 반응기 냉각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냉각될 수 있다. 정확한 급냉 액체의 양 또는 유형이 초기에 첨가되지 않는다면, 제어된 냉각을 하는 동안 용액으로부터 떨어지는 PAS 입자들은 원하는 크기가 아닐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PAS 폴리머의 입자 크기 또는 급냉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 2의 기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급냉 이전에 반응기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결정하는 것이 문제인데, 왜냐하면, 부분적으로는, NMP와 같은 다른 액체 성분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형적인 부피 측정법, 예를 들면, 반응기 레벨 지시장치의 사용을 통하여와 같은 전통적인 부피 측정장치는 혼합물의 부피를 제공하지만, 물의 부피는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반응의 급냉 (또는 냉각)에 앞서 반응기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이러한 기술은 PAS의 원하는 입자 크기 및 다른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급냉하는 동안 반응기에 있는 전체 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반응 혼합물에 얼마나 많은 급냉수가 첨가되어야 하는지를 또한 결정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자들은 모노머와 폴리머간 열적 특성의 제어 측면에 착안하여 연구를 계속한 결과, 열적 촉매 활성을 갖고 폴리머의 열적 특성을 적절하게 제어 가능한 촉매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열 특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s) 수지를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의 투입에 의해 폴리머의 열적 특성을 적절하게 제어하면서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라-할로겐화 벤젠(para-halogenated benzene) 모노머와 고체 황(elementary sulfur) 모노머를 중합하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폴리머를 제조함에 있어서,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를 중합개시 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되며, 유리전이온도가 93 ℃이상이고, 용융 온도(Tm)이 270 ℃ 이하이며, 결정화 온도(Tcc)가 161 ℃이상, 분자량(Mw)은 2만 내지 10만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파라-할로겐화 벤젠(para-halogenated benzene) 모노머와 고체 황(elementary sulfur) 모노머로부터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폴리머를 중합함에 있어,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를 투입하여 폴리머의 열적 특성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촉매는 중합 개시전 이종 모노머와 함께 일괄 투입된다.
이때 사용된 용어 "열적 특성"이란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유리전이온도(Tg), 용융 온도(Tm), 및 결정화 온도(Tcc)를 특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는 주기율표 상의 6족(크롬족), 7족(망간족), 9족(코발트족), 10족(니켈족), 11족(구리족), 12족(아연족), 13족(붕소족) 및 14족(탄소족) 중에서 선택된 금속 또는 그 합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황 함량 기준으로 0.1 내지 5 wt%로 투입될 수 있다. 일례로 황 함량 기준으로 1 내지 3 wt%로 될 수 있으며, 1 wt% 미만에서는 중합 반응 속도가 늦어지고, 3 wt% 초과시엔 반응 속도는 빨라지나 제품의 색상이 어두워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또는 그 합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구리, 은, 아연, 카드뮴, 크롬, 몰리브덴, 망간, 및 레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그 합금일 수 있고, 다른 예로 니켈, 팔라듐, 백금, 루테늄, 로듐, 이리듐, 코발트, 철, 및 오스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그 합금일 수 있고, 또다른 예로 알루미늄, 주석, 및 납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그 합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금속 촉매와 더불어, 중합 조촉매를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조촉매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금속 촉매의 열적 촉매 활성을 고려할 때, 디페닐디설파이드(DPDS), 2,2-디티오비스벤조티아졸(MTBS), 및 4-모르폴리닐-2-벤조티아졸 디설파이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디설파이드계 조촉매; 및 술펜아미드계; 투란계; 티오우레아계; 및 디티오카바메이트계;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조촉매; 중에서 선택된 1종 혹은 2종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촉매 사용량으로는 황 함량 기준으로 1 내지 6 wt% 범위 내일 수 있다. 참고로, 1 wt% 미만에서는 중합 반응의 속도가 늦어질 수 있고, 6 wt%를 초과하면 반응 속도는 개선되나 제품의 색상이 어두워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촉매 하에 반응시키고자 하는 상기 파라-할로겐화 벤젠(para-halogenated benzene) 모노머와 고체 황(elementary sulfur) 모노머는 0.6 내지 1.45의 몰비,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3의 몰비로 반응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한 범위 내에서 중합 반응시 사슬 반복구조가 규칙적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형성할 수 있어 유리하다. 나아가 오르소- 및 메타-할로겐화 벤젠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파라-할로겐화 벤젠 100 중량부 기준으로 50 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는 20 중량부 이하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 황 모노머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Na2S, 혹은 K2S 등의 타입으로 반응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2종 이상의 모노머를 축중합의 형태로 제조하여 폴리머가 보다 우수한 열 특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반응기는 쉘-앤드 튜브 반응기로서, 상기 반응기 외부에는 내경이 반응기 내경 대비 0.1 내지 0.5배이고, 높이가 반응기 높이 대비 1 내지 3배인 자켓 타입 컬럼이 구비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켓 타입 컬럼은 SUS(steel use stainless), 글라스 비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충진물을 공극율 20 내지 90%,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60% 범위내로 충진시킨 것이 반응 효율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자켓 타입 컬럼은 수직 컬럼 높이가 반응기 높이의 1.5 내지 2.5배이고, 내경의 크기는 반응기 크기의 0.1 내지 0.3배인 것이 반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중합 조건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하기 실시예에서 규명된 바와 같이, 230 ℃ 및 200 torr 에서 승온 및 감압하여 320 ℃ 및 0 Torr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융 중합, 또는 용액 중합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중 하기 실시예에서도 규명된 바와 같이 용융 중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안정제 및 기타 첨가제로서 산화방지제, 레올로지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따르면, 유리전이온도가 93 ℃이상,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이고, 용융 온도(Tm)이 270 ℃ 이하이며, 결정화 온도(Tcc)가 161 ℃이상, 분자량(Mw)은 2만 내지 10만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경제적으로 수득하게 된다. 상기 분자량(Mw) 조건은 열 특성을 구현하는 수지의 원활한 가공성과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득된 이들 폴리아릴렌 설파이드는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수지로서 전자제품의 부속품, 자동차 내장제, 각종 필터, 방열 소재, 기타 다양한 목적의 컴파운딩 재료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PAS(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제조 시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를 투입하여 폴리머의 열적 특성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열 특성이 우수하면서 고 분자량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PAS(폴리아닐렌-설파이드)를 중합함에 있어, 파라-디요오도벤젠 모노머 948.46g과 엘리먼터리 황 모노머 73.76g, 구리 촉매 2.21g을 2L SUS(steel use stainless) 쉘 앤 튜브 반응기(반응기의 내경: 10cm, 높이: 30 cm)에 일괄 투입하고, 반응 온도 및 압력을 230 ℃, 200 torr 에서 320 ℃, 0 torr 이하까지 차등 적용하였다.
반응기에 부착된 컬럼은 내경이 40 mm이고 높이가 550 mm인 자켓 형태이며, 내부에 3/8 인치 글라스비드를 50 cm (500mm) 높이로 충진하였다(공극율 40%).
중합 반응 후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의 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용융 온도(Tm), 결정화 온도(Tcc)와 함께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였다.
차등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A Instrument Q100)을 이용하여 10 ℃/min으로 320 ℃까지 승온하면서, 유리전이온도(Tg), 및 용융온도(Tmm)를 측정하고, 다시 상온으로 10 ℃/min으로 냉각하면서 결정화 온도(Tcc)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108 ℃이었고, 용융 온도(Tm)은 267 ℃, 결정화 온도(Tcc)는 161℃ 이었고, 중량평균 분자량은 3만 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구리 대신 망간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결과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99 ℃이었고, 용융 온도(Tm)은 266 ℃, 결정화 온도(Tcc)는 170℃ 이었고, 중량평균 분자량은 3만 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구리 대신 니켈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결과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98 ℃이었고, 용융 온도(Tm)은 263 ℃, 결정화 온도(Tcc)는 178℃ 이었고, 중량평균 분자량은 3만 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금속 촉매를 아예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결과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92 ℃이었고, 용융 온도(Tm)은 269 ℃, 결정화 온도(Tcc)는 측정되지 않았으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7만 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되, 구리 대신 알칼리 금속 중 1종인 리튬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결과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의 중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열 특성 및 분자량을 측정할 수 없었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결과로부터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를 투입하여 폴리머의 열적 특성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고 분자량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규명해내었다.

Claims (10)

  1. 파라-할로겐화 벤젠(para-halogenated benzene) 모노머와 고체 황(elementary sulfur) 모노머를 중합하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폴리머를 제조함에 있어서,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로서 주기율표 상의 6족,7족, 9족, 10족, 11족, 12족, 13족 및 14족 중에서 선택된 금속 또는 그 합금 중에서 선택된 촉매를 중합개시 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는 황 함량 기준으로 0.1 내지 5 wt%로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는 구리, 은, 아연, 카드뮴, 크롬, 몰리브덴, 망간, 및 레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그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는 니켈, 팔라듐, 백금, 루테늄, 로듐, 이리듐, 코발트, 철, 및 오스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그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적 촉매 활성을 갖는 촉매는 알루미늄, 주석, 및 납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그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할로겐화 벤젠(para-halogenated benzene) 모노머와 고체 황(elementary sulfur)모노머는 0.6 내지 1.45의 몰비로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쉘-앤드 튜브 반응기를 사용하고, 상기 반응기 외부에는 내경이 반응기 내경 대비 0.1 내지 0.5배이고, 높이가 반응기 높이 대비 1 내지 3배인 자켓 타입 컬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 타입 컬럼은 SUS(steel use stainless), 글라스 비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충진물을 공극율 20 내지 90% 범위내로 충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230 ℃ 및 200 torr 에서 승온 및 감압하여 320 ℃ 및 0 Torr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으로, 용융 중합, 또는 용액 중합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의 방법에 의해 수득되며, 유리전이온도가 93 ℃이상이고, 용융 온도(Tm)이 270 ℃ 이하이며, 결정화 온도(Tcc)가 161 ℃이상, 분자량(Mw)은 2만 내지 10만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KR1020120096322A 2011-09-01 2012-08-31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KR101433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49 2011-09-01
KR20110088249 2011-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349A KR20130025349A (ko) 2013-03-11
KR101433456B1 true KR101433456B1 (ko) 2014-08-22

Family

ID=4817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322A KR101433456B1 (ko) 2011-09-01 2012-08-31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448B1 (ko) 2017-05-15 2020-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방법
KR102251404B1 (ko) 2018-07-03 2021-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626A (ja) * 1982-04-23 1983-10-29 Asahi Glass Co Ltd ポリアリ−レンスルフイドの製造方法
KR920000205B1 (ko) * 1988-09-24 1992-01-10 주식회사 럭키 고중합도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방법
KR20080064736A (ko) * 2007-01-05 2008-07-0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백색도가 높은 폴리아릴렌설파이드 수지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아릴렌설파이드 수지
WO2011013686A1 (ja) * 2009-07-30 2011-02-03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626A (ja) * 1982-04-23 1983-10-29 Asahi Glass Co Ltd ポリアリ−レンスルフイドの製造方法
KR920000205B1 (ko) * 1988-09-24 1992-01-10 주식회사 럭키 고중합도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방법
KR20080064736A (ko) * 2007-01-05 2008-07-0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백색도가 높은 폴리아릴렌설파이드 수지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아릴렌설파이드 수지
WO2011013686A1 (ja) * 2009-07-30 2011-02-03 東レ株式会社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349A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048B2 (en) Polyarylene sulf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WO2013147141A1 (ja) 粒状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49205B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EP0296877B1 (en) Poly(arylene thioetherketone)compositions improved in both melt stability and crystallinity
US20100105845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polyarylene sulfide resin with excellent luminosity and the polyarylene sulfide resin
WO2007034800A1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26473B (zh) 能夠回收再使用的聚芳硫醚及其製備方法
WO2011093685A2 (ko) 요오드 저감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WO2015098748A1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2011174033A (ja) 環状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からなる粉体塗料および粉体塗装方法
KR101433456B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KR910004765B1 (ko) 폴리아릴렌 티오에테르 조성물
EP0388327B1 (en) Blends of poly(arylene sulfide) and copoly(arylene sulfide) modified with diphenyl ether
KR20130025016A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EP0369620A2 (en) Poly(arylene thioether)block copolymer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KR20130025015A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JP6634684B2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5673807B2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の製造方法、環式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ペ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33001B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JP2017105981A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の製造方法
JP6354339B2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の製造方法
KR101630905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의 명도 조절 겸용 개질제,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CN1205256C (zh) 聚(亚芳硫醚)聚合物的脉动连续固化
KR20180035221A (ko)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6205750B2 (ja) 環式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ペ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