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250B1 - 시각 효과를 도입한 평면 터치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시각 효과를 도입한 평면 터치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250B1
KR101427250B1 KR1020110088511A KR20110088511A KR101427250B1 KR 101427250 B1 KR101427250 B1 KR 101427250B1 KR 1020110088511 A KR1020110088511 A KR 1020110088511A KR 20110088511 A KR20110088511 A KR 20110088511A KR 101427250 B1 KR101427250 B1 KR 10142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insulating layer
transparent
condu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161A (ko
Inventor
쿠에이-칭 왕
유-헹 시에
타-후 린
퉁-신 리우
Original Assignee
이터보터치 테크날로지 인코퍼레이티드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터보터치 테크날로지 인코퍼레이티드,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터보터치 테크날로지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27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터치 디바이스의 전극 및 절연층은 동일한 색상이므로, 터치 디바이스에 값비싼 광학 접착제 및 장식 필름을 채용하지 않고도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우수한 시각 효과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터치 디바이스에 사용된 프론트 베젤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 더욱 간단한 제조, 더욱 높은 수율, 및 더욱 낮은 비용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 효과를 도입한 평면 터치 디바이스 {FLAT SURFACE TOUCH DEVICE FOR INTRODUCING VISUAL EFFECTS}
본 발명은 평면 터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색상을 가지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flat surface touch device)의 전극과 절연층을 통해, 광학 접착제(optical adhesive) 및 장식판(decoration plate)를 사용하지 않고 평면 터치 디바이스의 기판(base plate) 상의 다른 전극을 차폐하여 우수한 시각 효과를 도입한 평면 터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치 디바이스는 저항식(resistive,), 정전용량식(capacitive), 적외선(infrared), 및 음파(sound-wave)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저항식 터치 패널은 4선식(four-wire), 5선식(five-wire), 및 6선식(six-wire)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종래, 완전 평면 시각 효과(full-planar visual effect)는 높은 투명성의 광학 접착제를 사용하여 장식판을 터치 패널에 결합시킴으로써 프론트 베젤(front bezel)을 사용하지 않고 터치 패널 상에서 달성될 수 있으며, 장식판은 터치 패널의 에지를 차폐시키는 데 사용된다.
도 1은 참조하면, 4선식/5선식/6선식/정전용량식 터치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아날로그 매트릭스형 터치 디바이스(200)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날로그 매트릭스형 터치 디바이스(200)는 장식판(210), 안료(220), 높은 투명성의 광학 접착제(230), 및 본체(100)를 포함한다. 장식판(210), 안료(220), 및 광학 접착제(230)는 완전 평면 시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체(100)의 수직 투시도(vertical and transparent view)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체(100)의 측면 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0) 상에는 적어도 복수의 전극(110)이 수평 바(horizontal bar) 형태로 정렬되어 있고 복수의 전극(120)이 수직 바(vertical bar) 형태로 정렬되어 있다. 정렬 시에 복수의 전극(110)은 복수의 전극(120)에 직교한다. 또, 복수의 전극(110, 120)에 대응하는 본체(100)의 측면 상에는 복수의 도선(conductive wire)(150)이 배치되어 있고, 아날로그 매트릭스형 터치 디바이스(200)의 감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전극(110, 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절단선 AMR_S를 따른 본체(100)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0)는 또한 기판((160, 165), 복수의 개별 전극(155), 복수의 제2 전극으로 간주되는 복수의 도선(150), 전극(175), 복수의 점 스페이서(dot spacer)(185), 및 접착층(190)을 포함한다. 제1 전극으로 간주되는 복수의 전극(155, 175)은 아날로그 매트릭스형 터치 디바이스(200) 상에 균일한 전개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선(150)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도선(150)은 복수의 전극(155, 175)보다 더 높은 전도성이 요구된다.
종래, 기판(160)은 투명하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선(150) 및 절연층(180)이 아날로그 매트릭스형 터치 디바이스(200)의 사용자에게 보인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아날로그 매트릭스형 터치 디바이스(200)의 에지에 있는 도선(15)을 보기 때문에 완전 평면 시각 효과는 충족될 수 없다.
종래의 터치 디바이스에서의 완전 평면 시각 효과를 실현할 수 없는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선된 완전 평면 터치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청구된 발명은 제1 기판, 투명 도전 필름, 제1 전극, 제1 절연층, 제2 전극, 제2 절연층, 접착층 및 제2 기판을 포함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상기 제1 기판은 투명 기판이다.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은 상기 제1 기판의 제1 측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의 제1 측 상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도전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절연층은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의 제1 측 및 상기 제1 전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전극의 색상은 상기 제1 전극의 색상과 상이하다.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2 전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절연층의 색상은 상기 제1 전극의 색상과 동일하다. 상기 접측층은 상기 제2 절연층의 제1 층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접착층의 제1 측 상에 형성된다.
청구된 발명은 또한 제1 기판, 투명 도전 필름, 제1 절연층, 제1 전극, 제2 전극, 제2 절연층, 접착층 및 제2 기판을 포함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상기 제1 기판은 투명 기판이다.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은 제1 기판의 제1 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1 기판의 제1 측 및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의 제1 측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의 제1 측 상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도전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1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전극의 색상은 상기 제1 전극의 색상과 상이하다.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2 전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절연층의 색상은 상기 제1 전극의 색상과 같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2 절연층의 제1 측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터치 디바이스에 사용된 프론트 베젤을 사용하지 않고도, 더욱 간단한 제조, 더욱 높은 수율, 및 더욱 낮은 비용을 달성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다양한 도면으로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나면 본 발명의 이 목적들 및 다른 목적을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아날로그 매트릭스형 터치 디바이스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체의 수직 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체의 측단면 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터치 디바이스의 상면 투시도(top and transparent view )이다.
본 발명은 목적은 높은 투명성의 광학 접착제 또는 프론트 베젤을 사용하지 않고, 터치 디바이스의 에지 프레임(edge frame)과 동일한 색상의 전극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여 도전 필름과 에지 프레임의 외관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완전 평면 시각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다음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내부 구조를 조정하며, 본체(100)의 조정은 도 2에 나타낸 절단선 AMR_S 또는 AMR_L에 따른 측단면도를 이용하여 소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300)의 측단면도이며, 이 측단면도는 터치 디바이스(300)의 내부 구조를 소개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절단선 AMR_L을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디바이스(300)는 기판(310, 380), 도전 필름(320), 제1 전극(330), 복수의 절연층(340, 360), 제2 전극(350) 및 접착층(370)을 포함한다. 제2 전극(350)은 도 2에 나타낸 도선(150)과 동일한 작용 및 재료를 가질 수 있고 금, 동, 몰리브덴, 알루미늄 및/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도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전극(330)의 색상은 제2 전극(350)의 색상과 다르다. 기판(310)은 투명 기판이다. 도전 필름(320)은 투명 기판이다. 그러므로, 기판(310)과 도전 필름(320)은 모두 사용자에게 투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판(310)의 재료로는 유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필름(320)의 재료로는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알루미늄 또는 아연 산화물(AZO)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투명 도전 폴리머 필름 또는 투명 금속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터치 디바이스(300)는 아래에서 위로 투명 기판(310), 도전 필름(320), 제1 전극(330), 절연층(340), 제2 전극(350), 절연층(360), 접착층( 370), 및 기판(380)을 포함하고, 제1 전극(330)의 색상은 제2 전극(350)의 색상과 상이하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도전 필름(320)은 기판(310)의 위쪽(top side)에 형성되고; 제1 전극(330)은 도전 필름(320)의 위쪽에 형성되고 도전 필름(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절연층(340)은 도전 필름(320) 위쪽 및 제1 전극(330)의 위쪽에 형성되고; 제2 전극(350)은 절연층(340)의 위쪽 및 제1 전극(330)의 위쪽에 형성되고; 절연층(360)절연층(340)의 위쪽 및 제2 전극(350)의 위쪽에 형성된다. 그러나, 어느 요소의 위쪽은 터치 디바이스(300)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터치 디바이스(300)가 거꾸로 되면, 전술한 요소의 위쪽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래쪽으로 바뀐다. 일관성을 위해, 설명 전체에서 전술한 요소의 위쪽은 제1 측으로 간주하고, 전술한 요소들의 아래쪽은 제2 측으로 간주하며, 역 또한 같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관찰자의 시선이 투명 기판(310) 및 도전 필름(320)을 지날 때, 동일한 색상을 가지는 제1 전극(330)과 절연층(340)만 보일 것이고, 반면에 제2 전극(350)은 보이지 않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400)의 측단면 투시도를 나타내며, 이 측단면 투시도는 터치 디바이스(400)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절단선 AMR_L를 따라 나타낸 것이다. 터치 디바이스(300)와 터치 디바이스(400)의 차이는 제1 전극(330) 및 절연층(340)을 인쇄하는 순서가 거꾸로인 것이며; 다시 말해 도전 필름(320)의 제1 측 상에(즉, 위쪽에), 터치 디바이스(400)는 적어도 절연층(340), 제1 전극(330), 제2 전극(350), 절연층(360), 접착층(370) 및 기판(380)을 차례로 포함한다. 유의할 것은 제1 전극(330)이 또한 제2 전극(3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전극(330)과 절연층(340)의 색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관찰자도 또한 동일한 색상의 제1 전극(330)과 절연층(340) 둘 다를 관찰하고, 제2 전극(350)은 마찬가지로 관찰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절연층(340)의 재료는, 필요하면, 절연층(360)의 재료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절연층(340, 360)의 재료의 색상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는, 제2 전극(350)은 절연층(360)을 통해 연장될 수 있거나, 제2 전극(350)은 절연층(360)의 위쪽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즉 제2 전극(35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층(36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500)의 측단면 투시도를 나타내며, 이 측단면 투시도는 터치 디바이스(500)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절단선 AMR_H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전 필름(320)의 제1 측 상에, 터치 디바이스(500)는 적어도 절연층(340), 제2 전극(350), 투명 도전층(510), 절연층(360), 접착층(370), 및 기판(380)을 차례로 포함한다. 투명 도전층(510)은 제2 전극(3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판(310) 및 도전 필름(320)은 관찰자의 눈에는 모두 투명하기 때문에, 절연층(340)의 색상만이 관찰에 의해 관찰될 것이다.
유의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기 위해 제2 전극(350)은 또한 은, 동, 몰리브덴, 알루미늄, 및 합금 외에, 다른 전도성 금속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구조는 4선식, 5선식, 6선식, 및 8선식 저항식 터치 디바이스, 또는 매트릭스형 저항식 터치 디바이스 등의 각종 저항식 터치 디바이스 또는 정전용량식 터치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 디바이스(300, 400)의 요소의 수 및 배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성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디바이스(300, 400, 500)에 사용된 제1 전극(330) 또는 투명 도전층(510)의 수는 다수일 수 있고, 제1 전극(330) 또는 투명 도전층(510)을 사용하여 전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제1 전극(330)은 점, 선, 4각형, 또는 임의의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도 4에 나타낸 터치 디바이스(300)의 상면 투시도를 나타내며, 이 상면 투시도는 도 4의 절단선 AMR_R을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전극(330)은 점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7에 나타낸 복수의 제1 전극(330)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선 배열된(line-arranged)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도전 필름(320)의 제2 측 상에, 즉 도전 필름(320)의 제1 측의 반대 측에, 투명한 면(clear surface) 또는 눈부심 방지면(anti-glare surface)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코팅(hard coat)이 배치될 수 있다. 배치된 하드코팅의 프로세스는 모든 종래의 투명 기판 상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간결함을 위해 추가적인 설명 또는 도면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복수의 완전 평면 터치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전극 및 절연층 모두 동일한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평면 터치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광학 접착제 및 장식판을 사용하지 않고 우수한 시각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완전 평면 터치 디바이스에서는 종래의 프론트 베젤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결과로서 터치 디바이스의 제조가 더욱 간단하고, 수율은 더욱 높으며, 제조 비용이 더욱 낮아진다.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수많은 변경 및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6)

  1. 투명 기판인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의 제1 측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 필름;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의 제1 측 상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도전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투명 도전 필름 상의 제1 측 및 상기 제1 전극 상의 제1 측 상에 형성된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전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
    상기 제2 절연층의 제1 측 상에 배치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제1 측 상에 형성된 제2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의 색상은 상기 제1 전극의 색상과 상이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색상은 상기 제1 전극의 색상과 동일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투명 도전 필름 상에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제2 측 상에 배치된 하드코팅을 더 포함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은 투명한 면 또는 눈부심 방지면인, 평면 터치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제1 측 및 상기 제1 전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고, 상기 제1 기판의 재료로는 유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투명 도전 폴리머 필름, 또는 투명 금속 필름을 포함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점 또는 선으로 분포되어 있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은, 동,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 도선(conductive matal wire)인, 평면 터치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전도성 유리 또는 전도성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고, 상기 제2 기판의 재료로는 유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10. 투명 기판인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의 제1 측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 필름;
    상기 제1 기판의 제1 측 및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의 제1 측 상에 형성된 제1 절연층;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의 제1 측 상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도전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
    상기 제2 절연층의 제1 측 상에 배치된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제1 측 상에 형성된 제2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의 색상은 상기 제1 전극의 색상과 상이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색상은 상기 제1 전극의 색상과 동일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투명 도전 필름 상에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제2 측 상에 배치된 하드코팅을 더 포함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은 투명한 면 또는 눈부심 방지면인, 평면 터치 디바이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제1 측 및 상기 제1 전극의 제1 측 상에 형성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고, 상기 제1 기판의 재료로는 유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 필름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알루미늄 아연 산화물(AZO), 투명 도전 폴리머 필름, 또는 투명 금속 필름을 포함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점 또는 선으로 분포되어 있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은, 동,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 도선인, 평면 터치 디바이스.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전도성 유리 또는 전도성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고, 상기 제2 기판의 재료로는 유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평면 터치 디바이스.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10088511A 2011-05-12 2011-09-01 시각 효과를 도입한 평면 터치 디바이스 KR101427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16725 2011-05-12
TW100116725A TWI457652B (zh) 2011-05-12 2011-05-12 全平面觸控面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486A Division KR101455707B1 (ko) 2011-05-12 2013-06-28 시각 효과를 도입한 평면 터치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61A KR20120127161A (ko) 2012-11-21
KR101427250B1 true KR101427250B1 (ko) 2014-08-06

Family

ID=459528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511A KR101427250B1 (ko) 2011-05-12 2011-09-01 시각 효과를 도입한 평면 터치 디바이스
KR1020130075486A KR101455707B1 (ko) 2011-05-12 2013-06-28 시각 효과를 도입한 평면 터치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486A KR101455707B1 (ko) 2011-05-12 2013-06-28 시각 효과를 도입한 평면 터치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28605B2 (ko)
EP (1) EP2523079B1 (ko)
JP (1) JP5496974B2 (ko)
KR (2) KR101427250B1 (ko)
CN (1) CN102778970B (ko)
TW (1) TWI4576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0170B (zh) * 2011-10-05 2014-08-21 Wistron Corp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US20130113713A1 (en) * 2011-11-04 2013-05-0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mod art work for displays
TWM447522U (zh) * 2012-04-25 2013-02-21 Eturbotouch Technology Inc 可攜式電子裝置
TW201523367A (zh) * 2013-12-13 2015-06-16 Wintek Corp 觸控面板
KR102355326B1 (ko) * 2014-07-24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4656987A (zh) * 2015-01-21 2015-05-27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具有金属网格的透明导电结构
CN107037899A (zh) * 2015-07-16 2017-08-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控薄膜及应用触控薄膜的触控模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228A (ko) * 2006-06-14 200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JP4515118B2 (ja) 2004-03-12 2010-07-28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KR101013037B1 (ko) * 2010-06-16 2011-02-14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KR20110002223U (ko) * 2009-08-27 2011-03-07 민리드 엘티디. 저항성 터치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8893A (ja) * 1996-03-25 1997-10-03 Toshiba Corp 座標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入力表示装置
GB2336449A (en) * 1998-04-14 1999-10-20 Ibm A server selection method in an asynchronous client-server computer system
US6987502B1 (en) * 1999-01-08 2006-01-17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JP3726646B2 (ja) * 1999-07-21 2005-1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媒体
JP3719649B2 (ja) 2000-12-08 2005-11-24 株式会社タニタ 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用樹脂カバー
JP2002183232A (ja) * 2000-12-12 2002-06-28 Asahi Kasei Microsystems Kk Lsiレイアウトデータ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2003005226A (ja) * 2001-06-26 2003-01-08 Canon Inc 電気泳動表示装置
JP2007114624A (ja) * 2005-10-21 2007-05-10 Canon Inc 粒子移動型表示装置
JP2008070938A (ja) * 2006-09-12 2008-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US20080165139A1 (en) * 2007-01-05 2008-07-10 Apple Inc. Touch screen stack-up processing
TWI367437B (en) * 2007-09-29 2012-07-01 Au Optronics Corp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0919287A (en) * 2007-10-17 2009-05-01 Wintek Corp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352924B (en) * 2008-02-21 2011-11-21 Wintek Corp Touch panel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TWI361996B (en) * 2008-03-21 2012-04-11 Elan Microelectronics Corp Touch panel device
JP4720857B2 (ja) * 2008-06-18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US20100045625A1 (en) * 2008-08-21 2010-02-25 Tpo Displays Corp. Touch panel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utilizing the same
TWI373665B (en) * 2008-12-25 2012-10-01 Au Optronics Corp Touch panel structure
KR101040802B1 (ko) * 2009-01-16 2011-06-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윈도우 일체형 터치 스크린 패널
JP5175241B2 (ja) 2009-04-21 2013-04-0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CN201503581U (zh) * 2009-06-05 2010-06-09 中国南玻集团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控屏
CN101943965B (zh) 2009-07-08 2013-09-18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屏及具有触摸屏的电子装置
CN201725302U (zh) * 2009-07-15 2011-01-26 洋华光电股份有限公司 改良的触控面板构造
TWM375245U (en) * 2009-07-30 2010-03-01 Minlad Invest Ltd Resistance touch panel
WO2011021579A1 (ja) * 2009-08-20 2011-02-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JP5439114B2 (ja) * 2009-10-21 2014-03-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付き電気光学装置
EP2494430B1 (en) * 2009-10-27 2019-06-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jected capacitive touch sensing
TWI426426B (zh) * 2009-12-31 2014-02-11 Au Optronics Corp 觸控式顯示裝置及其包含之觸控模組
KR20110083381A (ko) * 2010-01-14 2011-07-2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입력장치
TW201102698A (en) * 2010-01-26 2011-01-16 Mastouch Optoelectronics Technologies Co Ltd Single-layer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TWI419022B (zh) * 2010-03-16 2013-12-11 Wintek Corp 觸控面板結構及製作方法
JP5370945B2 (ja) * 2010-03-19 2013-12-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および入力機能付き電気光学装置
JP2011198009A (ja) * 2010-03-19 2011-10-06 Sony Corp 入力機能付き電気光学装置
US8947399B2 (en) 2010-05-11 2015-02-03 Tpk Touch Solutions Inc. Dual-substrate capacitive touch panel
TW201102702A (en) * 2010-05-11 2011-01-16 Mastouch Optoelectronics Technologies Co Ltd Capacitive touch panel
EP2584437A2 (en) 2010-06-16 2013-04-24 Samwon St Touch panel sensor
JP5533364B2 (ja) 2010-07-06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KR101381815B1 (ko) * 2010-09-29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TWI452498B (zh) * 2011-11-02 2014-09-11 Innolux Corp 影像顯示系統及觸控感測裝置之製造方法
TWI446244B (zh) * 2011-11-25 2014-07-21 Wistron Corp 邊框無色差的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5118B2 (ja) 2004-03-12 2010-07-28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KR20070119228A (ko) * 2006-06-14 200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10002223U (ko) * 2009-08-27 2011-03-07 민리드 엘티디. 저항성 터치 패널
KR101013037B1 (ko) * 2010-06-16 2011-02-14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57652B (zh) 2014-10-21
US20140339067A1 (en) 2014-11-20
EP2523079A3 (en) 2016-06-08
US20120285810A1 (en) 2012-11-15
KR20130088813A (ko) 2013-08-08
EP2523079A2 (en) 2012-11-14
EP2523079B1 (en) 2019-10-23
KR20120127161A (ko) 2012-11-21
KR101455707B1 (ko) 2014-11-03
US8988382B2 (en) 2015-03-24
JP5496974B2 (ja) 2014-05-21
CN102778970B (zh) 2014-12-31
TW201245814A (en) 2012-11-16
CN102778970A (zh) 2012-11-14
US8928605B2 (en) 2015-01-06
JP2012238298A (ja)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707B1 (ko) 시각 효과를 도입한 평면 터치 디바이스
CN106249979B (zh) 触控电极结构以及触控显示装置
US20110007011A1 (en) Capacitive touch screen with a mesh electrode
TW201120712A (en) Capacitive touch device structure.
CN103389819B (zh) 触控面板及运用该触控面板的显示器
KR101350424B1 (ko) 접착부재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CN103198885B (zh) 导电膜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导电膜的触摸屏
CN101784982A (zh) 具有模拟电阻膜方式的触摸输入功能的保护面板
US20140126040A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CN101907940A (zh) 射出成型的触控面板
CN110162214A (zh) 触控面板
CN203179573U (zh) 导电膜以及包含该导电膜的触摸屏
US20150091819A1 (en) Touch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03677462A (zh)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CN203179572U (zh) 导电膜以及包含该导电膜的触摸屏
CN204667363U (zh) 触控装置
CN105874410A (zh) 触摸窗和包含该触摸窗的显示设备
KR102199613B1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6293174A (zh) 触控装置
CN104360786A (zh) 触摸屏及其制造方法、以及显示装置
CN213482856U (zh) 一种亮度均匀的电容触控显示模组
KR200466035Y1 (ko) 터치 패널 보호용 커버
CN209015124U (zh) 外贴式电阻屏及触摸显示屏
US20150022729A1 (en) Layered assembly of touch panel
KR10092789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122

Effective date: 201406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10082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122

Effective date: 201406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