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345B1 -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 Google Patents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345B1
KR101426345B1 KR1020070008972A KR20070008972A KR101426345B1 KR 101426345 B1 KR101426345 B1 KR 101426345B1 KR 1020070008972 A KR1020070008972 A KR 1020070008972A KR 20070008972 A KR20070008972 A KR 20070008972A KR 101426345 B1 KR101426345 B1 KR 10142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ium
heat treatment
barium titanate
temperature
titanyl ox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981A (ko
Inventor
장동규
박지호
박연정
김수찬
지영훈
양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3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0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03Titanates
    • C01G23/006Alkaline earth tit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01P2004/52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highly monodisperse size distrib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이 개시된다. 개시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은 (a) 몰비(염화바륨/사염화티탄)가 1~1.5인 염화바륨(BaCl2) 수용액 및 사염화티탄(TiCl4) 수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수용액들을 분사하여 농도가 0.2~5.0 mol/l인 옥살산(H2C2O4) 수용액에 적가함으로써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BaTiO(C2O4)2ㆍ4H2O] 결정을 생성시키는 단계; (c) 상기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습식분쇄하는 단계; (d) 상기 습식분쇄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건조시키는 단계; (e) 상기 건조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1차 열처리하여 티탄산바륨 결정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1차 열처리로 생성된 티탄산바륨 결정을 상기 1차 열처리 온도이하의 온도에서 2차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은 균일한 입도 분포를 가지면서도 결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A method of preparing Barium-Titanate powder by Oxalate Process and Barium-Titanate powder prepared by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한 입도 분포를 가지면서도 결정성이 향상된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에 관한 것이다.
티탄산바륨 분말은 종래에는 이산화티탄(TiO2)과 탄산바륨(BaCO3)을 혼합하여 고온에서 열처리하는 고상반응에 의해 제조되었지만, 최근에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Multi Layer Ceramic Condenser: MLCC)의 소형 대용량화(고유전율조성, 유전체 박층화 및 고적층화), 저온소성화, 고주파 및 고성능화 등에 따라, 고순도/조성 균일성, 미립/입도균일성, 비응집성/고분산성 등이 요구되어 수열법, 공침법 등 다양한 합성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특히, 적층 세라믹 콘덴서가 박층화 및 고적층화 되면서 300nm이하에서도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면서 아울러 높은 결정성을 갖는 티탄산바륨 분말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티탄산바륨 분말을 제조하는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2-0051799호의 "미세 분말상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이 있다. 여기에서 제시된 방법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저온에서 미립의 분말을 생산할 수 있는 고상반응법인데,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탄산바륨의 분쇄공정이 길어져서 생산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분쇄된 형태의 탄산바륨을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료 가격의 상승으로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저순도, 조성 불균일성, 및 입도 불균일성 등 고상반응법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없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입도 균일성이 향상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정성이 향상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몰비(염화바륨/사염화티탄)가 1~1.5인 염화바륨(BaCl2) 수용액 및 사염화티탄(TiCl4) 수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수용액들을 분사하여 농도가 0.2~5.0 mol/l인 옥살산(H2C2O4) 수용액에 적가함으로써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BaTiO(C2O4)2ㆍ4H2O] 결정을 생성시키는 단계;
(c) 상기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습식분쇄하는 단계;
(d) 상기 습식분쇄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건조시키는 단계;
(e) 상기 건조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1차 열처리하여 티탄산바륨 결정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1차 열처리로 생성된 티탄산바륨 결정을 상기 1차 열처리 온도이하의 온도에서 2차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염화바륨 수용액 및 사염화티탄 수용액의 농도는 각각 0.2~2.0 mol/l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는, 상기 생성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과량의 물로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의 습식분쇄는 암모니아, 아민, 암모늄화합물, 및 아미노산 중에서 선택된 질소함유 첨가제가 추가되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의 건조는 상기 (c) 단계의 습식분쇄에 사용된 용매의 끓는점 보다 높은 온도로서 40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의 1차 열처리는 800~10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의 건조 온도에서 상기 (e) 단계의 1차 열처리 온도로의 승온 속도는 0.5~10℃/min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의 1차 열처리와 상기 (f) 단계의 2차 열처리 사이에 상기 1차 열처리로 생성된 티탄산바륨 결정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의 1차 열처리와 상기 (f) 단계의 2차 열처리 사이에 탄산바륨(BaCO3)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f) 단계의 2차 열처리는 600~10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의 1차 열처리 후 상기 (f) 단계의 2차 열처리 온도로의 승온 속도는 0.5~10℃/min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f) 단계의 2차 열처리를 거친 바 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염화바륨(BaCl2) 수용액 및 사염화티탄(TiCl4) 수용액을 마련한다(S10). 염화바륨 수용액은 보통 BaCl2ㆍ2H2O를 물에 녹여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농도범위는 0.2~2.0 mol/l이다. 염화바륨 수용액의 농도가 0.2mol/l 미만인 경우에는 염화바륨 수용액의 부피 대비 후술하는 티탄산바륨의 생산성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농도가 2.0mol/l를 초과할 경우에는 물에 대한 염화바륨의 용해도 범위를 벗어나 염화바륨이 석출될 가능성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사염화티탄 수용액은 보통 고농도의 사염화티탄 용액을 희석하여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농도범위는 0.2~2.0 mol/l이다. 사염화티탄 수용액의 농도가 0.2mol/l 미만인 경우에는 사염화티탄 수용액의 부피 대비 티탄산바륨의 생산성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 기 농도가 2.0mol/l를 초과할 경우에는 물에 대한 사염화티탄의 용해도 범위를 벗어나 사염화티탄이 석출될 가능성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염화바륨 수용액과 사염화티탄 수용액은 몰비(염화바륨/사염화티탄) 기준으로 1~1.5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1.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몰비가 1미만인 경우에는 최종 제품인 티탄산바륨의 몰비가 1미만으로 저하될 가능성이 매우 커서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몰비가 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이상(second-phase)(티탄산바륨 외에 다른 상, 예를 들면 Ba2TiO9)이 생성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최종 제품인 티탄산바륨의 몰비가 1미만으로 저하될 경우에는 제이상 생성 및 비정상입성장(abnormal Grain Growth) 등이 유발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에, 상기 염화바륨 수용액 및 사염화티탄 수용액의 혼합 수용액이나 이들 각각의 수용액을 고속분사 노즐을 사용하여 옥살산(H2C2O4) 수용액에 적가함으로써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BaTiO(C2O4)2ㆍ4H2O] 결정을 생성시킨다(S20). 이때, 옥살산 수용액은 염화바륨 수용액이나 사염화티탄 수용액 보다 많은 양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살산 수용액의 바람직한 농도범위는 0.2~5.0 mol/l이다. 옥살산 수용액의 농도가 0.2mol/l 미만인 경우에는 옥살산 수용액의 부피 대비 티탄산바륨의 생산성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농도가 5.0mol/l를 초과할 경우에는 물에 대한 옥살산의 용해도 범위를 벗어날 가능성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 경우, 옥살산 수용액의 온도는 20~10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90℃로 유지된다. 염화바륨 수용액과 사염화티탄 수용액이 혼합 용 액의 형태로 또는 각각 별도로 옥살산 수용액에 노즐 분사되어 적가되는 시간은 1~3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가 시간은 노즐의 분사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은 유체의 흐름에 따라 일류체 또는 이류체 노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류체 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성 면에서나 균일한 침전물을 획득하는데 있어서 더욱 유리하다. 일류체 노즐로는 풀콘(full con), 할로우 콘(hollow con), 또는 플랫(fla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륨(Ba)과 티타늄(Ti) 이온이 함유된 혼합용액을 옥살산에 첨가하여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생성하는 과정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반응식 1]
BaCl2ㆍ2H2O + TiOCl2 + 2H2C2O4ㆍ2H2O → BaTiO(C2O4)2ㆍ4H2O + 4HCl
다음에, 상기 생성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숙성하고, 여과한 다음, 물로 세척한다(S30). 숙성시간은 0.5~2시간 행하는 것이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여기서, 여과란, 구체적으로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슬러리 형태의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를 여과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후, 세척액의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과량의 물로 여과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를 세척한다.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5몰부 미만인 경우에는 분쇄후 슬러리의 산성화 및 고점도화 등의 현상이 나타나며, 20 몰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티타늄 성분이 빠져나와 바륨/티타늄 몰비가 불균형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에, 습식분쇄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를 40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사용된 용매를 제거한다(S50). 이 경우, 사용된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기 위해, 상기 건조온도가 상기 용매의 끓는점 이상이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다음에, 상기 건조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1차 열처리한다(S60). 1차 열처리는 800~10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800℃ 미만인 경우에는 티탄산바륨이 거의 형성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10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건조온도에서부터 1차 열처리 온도로의 승온속도는 0.5~10℃/min인 것이 바람직하며, 1~5℃/min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승온속도가 0.5℃/min 미만인 경우에는 티탄산바륨의 생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10℃/min를 초과할 경우에는 온도분포가 균일하지 않아 티탄산바륨 분말의 입도가 불균일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1차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내부에 결정수로 존재하는 수분과 과량의 탄산가스를 제거하여 하기 반응식 2 내지 3과 같은 과정을 거쳐 수십~수백 nm 크기의 티탄산바륨 분말을 얻는다.
[반응식 2]
BaTiO(C2O4)2ㆍ4H2O → BaTiO(C2O4)2 + 4H2O
[반응식 3]
BaTiO(C2O4)2 + 1/2 O2 → BaCO3 + TiO2 + 2CO2
[반응식 4]
BaCO3 + TiO2 → BaTiO3
이후, 상기 1차 열처리 과정을 통해 생성된 티탄산바륨 결정을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S70), 이러한 분쇄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쇄는, 소정의 용매와 함께 비즈밀(beads mill), 어트리션밀(Atrition mill), 및 볼밀(ball mill)과 같은 분쇄기를 사용하는 습식분쇄와, 젯밀(jet mill) 및 디스크밀(Disk mill)과 같이 용매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료간의 충돌이나 분쇄기와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건식분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분쇄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입자간 응집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습식분쇄를 행한 후에는 건조과정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건조를 위해 특별히 한정된 설비를 이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단계의 분쇄과정에서 분쇄효율이 지나치게 높은 설비를 사용할 경우, 입자의 파괴가 유발되어 작은 미분이 다량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오히려 입도분포와 결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능한한 분쇄 강도를 낮춰서 입자 자체의 파괴없이 입자간의 결합(necking)만을 끊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열처리 과정을 통해 생성된 티탄산바륨 결정에 탄산바륨(BaCO3)을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S70), 이러한 탄산바륨의 첨가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산바륨 첨가과정은 티탄산바륨 분쇄과정과 병행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분쇄과정 없이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탄산바륨 첨가과정이 분쇄과정과 병행하여 수행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XRF 등의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티탄산바륨 중의 바륨/티타늄(Ba/Ti) 몰비를 측정한 후 상기 몰비에 따라 적당량의 탄산바륨(BaCO3)을 티탄산바륨에 첨가하여 분쇄작업을 행한다. 예를 들어, 바륨/티타늄 몰비가 0.997~0.999 범위이면, 탄산바륨을 티탄산바륨 100중량부에 대하여 0.08~2.28중량부 범위에서 첨가하고, 상기 몰비가 0.999~1.001 범위이면 탄산바륨을 0.08~1.5중량부 범위에서 첨가하며, 상기 몰비가 1.001~1.003 범위이면 탄산바륨을 0.08~0.76중량부 범위에서 첨가한다.
이에 따라, 이후의 2차 열처리과정에서 입성장(grain growth)이 억제되어 티탄산바륨 분말이 더욱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질 뿐만 아니라 최종적인 바륨/티타늄 몰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1차 열처리후 티탄산바륨의 바륨/티타늄 몰비가 목표하는 범위내에 있으면 추가적인 탄산바륨의 첨가는 불필요하고, 또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입자간 결합 현상이 두드러지지 않으면 별도의 분쇄가 불필요하다.
다음에, 1차 열처리로 생성된 티탄산바륨 결정을 2차 열처리한다(S80). 이러한 2차 열처리 과정은 상기 1차 열처리 온도이하의 온도에서 행해진다. 즉, 2차 열처리는 600~10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600℃ 미만인 경우에는 2차 열처리 효과가 거의 없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10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형성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1차 열처리 후 2차 열처리 온도로의 승온 속도는 0.5~10℃/min인 것이 바람직하며, 1~5℃/min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승온속도가 0.5℃/min 미만인 경우에는 티탄산바륨의 생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10℃/min를 초과할 경우에는 온도분포가 균일하지 않아 티탄산바륨 분말의 입도가 불균일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2차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균일한 입도분포와 높은 결정성을 갖는 티탄산바륨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2차 열처리 과정을 거친 티탄산바륨 결정을 추가로 분쇄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분쇄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8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 생성 및 숙성)
1mol/ℓ 농도의 염화바륨 수용액 1320ℓ와 1mol/ℓ 농도의 사염화티탄 수용액 1200ℓ를 4M3 글래스-라인(Glass-lined) 반응조에서 잘 섞어서 혼합 수용액을 만들었다. 이후, 상기 혼합 수용액을 6M3 반응기에 충진된, 미리 만들어둔 1mol/ℓ 농도의 옥살산 수용액 2520ℓ에 풀콘(full con) 타입의 노즐을 이용하여 2.5ℓ/min의 속도로 분사하였다. 이때, 옥살산 용액을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분사하였으며, 교반기의 교반속도는 150rpm으로 유지하였고, 옥살산 용액의 온도는 90℃로 유지하였다.
2시간 동안 상기 혼합 수용액을 적가후 1시간 동안 반응온도를 유지한 다음, 교반을 유지한 채로 공냉시켜 1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결과로서, 슬러리 상태 의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이 얻어졌다.
(생성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슬러리의 여과 및 세척)
상기에서 제조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슬러리를 원심분리기로 여과하고 과량의 물로 세척액의 pH가 6이상이 되도록 세척하여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얻었다.
(생성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의 습식분쇄 및 건조)
상기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 50kg에, 탈수이온 250kg과 29부피% 암모니아수 0.5kg(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100몰부 대비 8.4 몰부)를 첨가하고 결과로서 생성된 슬러리를 혼합조에서 교반하였다. 이때, 슬러리의 pH는 9.3이었다. 이후, 20ℓ의 수평식 비즈밀로 최대 입경이 5um 이하가 되도록 상기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습식분쇄하였다. 분쇄 후 슬러리의 pH는 5.1, 점도는 1800cP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슬러리를 오븐안에서 20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염소 이온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염소 이온 함량은 200ppm이었다.
(1차 열처리)
건조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전기로에서 800℃~1000℃의 온도범위에서 각 실시예별로 온도를 변경해가면서 열처리하였다. 결과로서, 티탄산바륨 결정을 얻었다.
(1차 열처리후 티탄산바륨 결정의 분쇄)
1차 열처리를 행한후 티탄산바륨 결정에 탄산바륨을 0~0.5wt% 범위내에서 각 실시예별로 차등 첨가하여 비즈밀로 최저 rpm으로 100분간 분쇄작업을 수행하였 다. 분쇄 후 슬러리는 150℃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2차 열처리)
1차 열처리후 분쇄작업을 거친 티탄산바륨 결정을 600~1000℃의 온도범위에서 각 실시예별로 온도를 변경해가면서 2차 열처리하였다.
(생성된 티탄산바륨 분말의 결정성 및 입도분포 평가)
생성된 티탄산바륨 분말의 결정성 및 입도분포를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c/a와 k-factor는 XRD를 이용하여 티탄산바륨의 결정성을 평가한 지표로서, 이들 값들이 클수록 결정성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티탄산바륨 분말의 입자 크기는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촬영한 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한 실측 크기의 분포로서 나타내었다.
[표 1] 티탄산바륨의 결정성 및 입도분포
1차 열처리 탄산바륨 첨가 습식
분쇄
2차
열처리
c/a K-factor 평균
입도(nm)
입도
분포
실시예 1 850℃ 0 wt% X 800℃ 1.008 3.11 179 우수
실시예 2 900℃ 0 wt% O 800℃ 1.008 2.32 192 우수
실시예 3 900℃ O.2 wt% O 800℃ 1.010 3.15 187 매우우수
실시예 4 900℃ 0.3 wt% O 850℃ 1.010 3.60 172 매우우수
실시예 5 900℃ 0.3 wt% O 900℃ 1.011 4.24 211 우수
실시예 6 950℃ O.2 wt% O 900℃ 1.011 3.83 253 매우우수
실시예 7 950℃ O.3 wt% X 900℃ 1.010 4.45 293 우수
실시예 8 950℃ O.5 wt% 0 950℃ 1.011 4.65 276 매우우수
단, 입도분포는 평균입도를 기준으로 이보다 크거나 작은 입자크기를 가지는 입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면 '불량', 매우 적으면 '매우 우수', 적으면 '우수', 그리고 중간 정도 수준이면 '보통'으로 표시하였다. 입도분포가 우수하다는 것은 입도 균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예 1~5
상기 실시예 1~8에서 1차 열처리 이후의 과정을 생략하고, 1차 열처리까지만을 수행한 결과를 비교예로서 나타내었다. 비교예 1~5의 열처리 온도는 각각 800℃, 900℃, 또는 1000℃이었다. 여기서, 생성된 티탄산바륨 분말의 결정성 및 입도분포를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티탄산바륨의 결정성 및 입도분포
열처리 온도 2차 열처리 온도 c/a K-factor 평균입도
(nm)
입도분포
비교예 1 800℃ 처리 안 함 1.000 - 119 불량
비교예 2 800℃ 900℃ 1.010 2.28 209 불량
비교예 3 900℃ 처리 안 함 1.007 2.12 183 보통
비교예 4 900℃ 950℃ 1.009 3.84 378 불량
비교예 5 1000℃ 처리 안 함 1.009 3.78 396 보통
단, c/a와 K-factor 값이 "-"인 것은 XRD 분석시 정방정상(tetragonal phase)이 아닌 입방정상(cubic phase)으로 관찰되어 값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이다. 입도분포는 평균입도를 기준으로 이보다 크거나 작은 입자크기를 가지는 입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면 '불량', 매우 적으면 '매우 우수', 적으면 '우수' 그리고 중간 정도 수준이면 '보통'으로 표시하였다. 입도분포가 우수하다는 것은 입도 균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를 요약하면, 2차 열처리를 1차 열처리 온도 이하에서 실시 한 것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결정성 및 평균입도, 입도분포의 측면에서 우수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또한, 1차 열처리후 탄산바륨을 첨가하고 습식분쇄를 행한 후 2차 열처리를 1차 열처리 온도이하로 실시 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도 균일성이 향상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결정성이 향상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4)

  1. (a) 농도가 각각 0.2~2.0 mol/l인 염화바륨(BaCl2) 수용액 및 사염화티탄(TiCl4) 수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수용액들을 염화바륨/사염화티탄 몰비가 1~1.5가 되는 비율로 분사하여 농도가 0.2~5.0 mol/l인 옥살산(H2C2O4) 수용액에 적가함으로써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BaTiO(C2O4)2ㆍ4H2O] 결정을 생성시키는 단계;
    (c) 상기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습식분쇄하는 단계;
    (d) 상기 습식분쇄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건조시키는 단계;
    (e) 상기 건조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1차 열처리하여 티탄산바륨 결정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1차 열처리로 생성된 티탄산바륨 결정을 상기 1차 열처리 온도이하의 온도에서 2차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염화바륨 수용액 및 사염화티탄 수용액은 분사 전에 미리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염화바륨 수용액 및 사염화티탄 수용액은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면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는,
    상기 생성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과량의 물로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습식분쇄는 암모니아, 아민, 암모늄화합물, 및 아미노산 중에서 선택된 질소함유 첨가제가 추가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건조는 상기 (c) 단계의 습식분쇄에 사용된 용매의 끓는점 보다 높은 온도로서 40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1차 열처리는 800~10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건조 온도에서 상기 (e) 단계의 1차 열처리 온도로의 승온 속도는 0.5~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1차 열처리와 상기 (f) 단계의 2차 열처리 사이에 상기 1차 열처리로 생성된 티탄산바륨 결정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1차 열처리와 상기 (f) 단계의 2차 열처리 사이에 탄산바륨(BaCO3)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2차 열처리는 600~10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1차 열처리 후 상기 (f) 단계의 2차 열처리 온도로의 승온 속도는 0.5~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2차 열처리를 거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결정을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14. 삭제
KR1020070008972A 2007-01-29 2007-01-29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KR101426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972A KR101426345B1 (ko) 2007-01-29 2007-01-29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972A KR101426345B1 (ko) 2007-01-29 2007-01-29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981A KR20080070981A (ko) 2008-08-01
KR101426345B1 true KR101426345B1 (ko) 2014-08-07

Family

ID=39881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972A KR101426345B1 (ko) 2007-01-29 2007-01-29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932B1 (ko) * 2009-04-29 2016-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KR101580321B1 (ko) * 2009-04-29 2015-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KR101792278B1 (ko) * 2012-11-30 2017-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CN108675785A (zh) * 2012-11-30 2018-10-19 三星电机株式会社 制造钛酸钡的方法和通过该方法制造的钛酸钡
KR101770701B1 (ko) 2012-12-21 2017-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티탄산 바륨을 포함한 이산화탄소 흡착제, 이를 포함한 이산화탄소 포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807A (ko) * 1999-07-05 2001-02-05 이형도 옥살레이트법에 의한 티탄산바륨계 산화물 분말 제조방법
JP2003026423A (ja) 2001-07-10 2003-01-29 Rikogaku Shinkokai チタン酸バリウムの製造方法
KR20030015011A (ko) * 2001-08-14 2003-02-20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티탄산바륨계 파우더의 제조방법
JP2003212543A (ja) 2002-01-17 2003-07-30 Samsung Electro Mech Co Ltd オキサラート法による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807A (ko) * 1999-07-05 2001-02-05 이형도 옥살레이트법에 의한 티탄산바륨계 산화물 분말 제조방법
JP2003026423A (ja) 2001-07-10 2003-01-29 Rikogaku Shinkokai チタン酸バリウムの製造方法
KR20030015011A (ko) * 2001-08-14 2003-02-20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티탄산바륨계 파우더의 제조방법
JP2003212543A (ja) 2002-01-17 2003-07-30 Samsung Electro Mech Co Ltd オキサラート法によるチタン酸バリウム粉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981A (ko) 200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883B1 (ko) 티탄산바륨계 파우더의 제조방법
US6641794B2 (en) Method for producing barium titanate based powders by oxalate process
KR101426345B1 (ko)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KR101451987B1 (ko)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고결정성의 티탄산바륨 미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고결정성의 티탄산바륨 미분말
KR100414832B1 (ko) 고품질 티탄산바륨계 파우더의 제조방법
KR101548746B1 (ko)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CN112266012B (zh) 一种钛酸钡粉体及其制备方法
KR101606932B1 (ko)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KR20150060190A (ko)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티탄산바륨
KR20150060188A (ko)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KR20100113847A (ko) 연속식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 및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KR101792278B1 (ko)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KR101751081B1 (ko)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CN109369173B (zh) 一种四方相钛酸钡粉体的制备方法及产品
WO2014084429A1 (ko)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KR20150060189A (ko)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의 제조방법,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및 티탄산바륨
KR20110082859A (ko)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KR100435534B1 (ko)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KR20150060303A (ko) 바륨티타닐옥살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KR20060102928A (ko)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KR101792283B1 (ko) 입자의 크기가 작고 균일한 바륨지르코늄티타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바륨지르코늄티타네이트
KR102048839B1 (ko) 티탄산바륨의 제조방법
CN116283275A (zh) 一种钛酸钡粉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40044608A (ko)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용 세라믹 페이스트 제조방법
KR20050081316A (ko) 초미립 티탄산바륨계 분말 및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초미립 티탄산바륨계 분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