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373B1 - 실구조 - Google Patents

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373B1
KR101420373B1 KR1020110085167A KR20110085167A KR101420373B1 KR 101420373 B1 KR101420373 B1 KR 101420373B1 KR 1020110085167 A KR1020110085167 A KR 1020110085167A KR 20110085167 A KR20110085167 A KR 20110085167A KR 101420373 B1 KR101420373 B1 KR 10142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lusal
occlusal surface
gasket
chamb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415A (ko
Inventor
구리타 히로타카
마츠시마 가즈야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1/00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1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by means of granular or plastic material, o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02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 F16J15/004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forming of recuperation chamber for the leaking flui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교합면(9,109,209,309)을 갖는 제1부재(2,102,202,302,402); 상기 제1부재(2,102,202,302,40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교합면(10,110,210,310)을 갖는 제2부재(4,104,204,304); 상기 제1부재(2,102,202,302,402) 및 제2부재(4,104,204,304)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3교합면(11,111,211,311)을 갖는 제3부재(8,108,208,308,408) 및; 상기 제1교합면(9,109,209,309)과 제3교합면(11,111,211,311)사이와 상기 제2교합면(10,110,210,310)과 제3교합면(11,111,211,311) 사이에 배치된 액상개스킷(30,130,230,3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교합면(9,109,209,309), 제2교합면(10,110,210,310) 및 제3교합면(11,111,211,31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액상개스킷(30,130,230,330)과 분리하는 체임버(27,127,227,327,427)가 형성되어 있는 실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구조{SEAL STRUCTURE}
본 발명은 실구조(seal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개의 교합면(접합면)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실구조는 제1부재, 제2부재, 상기 제1 및 제 2 부재로 샌드위치형성되도록 배치된 개스킷, 및 액상개스킷을 통해 상기 제1부재 및 와 제2부재 와 대향, 대면하도록 배치된 제3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부재간의 간극 제3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3개의 면이 서로 접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실구조가 일본특허공개공보 제H7-167302A(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실구조는 볼트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사이를 개스킷으로 샌드위치형식으로 구성한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포함한다. 교합부(접합부)의 일 단부는 그 접합부의 볼트고정부로 부터 떨어져 위치하여 그로 인해 제1및 제2부재는 캔틸레버상태로 즉, 제1및 제2부재가 교합부(접합부)의 단부에서 서로 고정되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주비드(main bead)와 부비드(sub bead), 즉 두 라인의 비드가 접합부의 단부에 구비된다.
3개의 면이 서로 접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다른 공지의 실구조가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9-264476A(이하 특허문헌 2 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이 특허문헌 2 개시되어 있는 실구조에 따르면 제1부재및 제3부재는 액상실물질을 통해 서로 접하고 있으며, 제2부재 및 상기 제3부재는 액상실물질을 통해 서로 접하고 있다. 제3부재의 실링면에는 액상실부재로 채워지게 될 액상 실물질을 안내하는 홈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실구조에 따르면, 비드가 구비되어 있어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접하게 되는 부분을 교차하는 부분에서 조립으로 기인되는 단차(step)와 틈새(gap)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생성될 수 있는데 즉, 단차등이 열변형으로 인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생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비드는 실링표면에서 갑작스럽거나 부분적인 변화에 대응 또는 따를 수 없게 되며, 그로 인해 틈새 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어 실링성능을 저하시킬수 있다.
특허문헌 2의 실구조에 따르면,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실링표면과 제1실부재와 제3실부재간의 실링표면에는 액상실물질로 채워져있는 액상 실물질 안내홈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액상물질을 통해 또는 따라서 오일이 누설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일본특허공개공보 제H7-167302A호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9-264476A호
따라서 실링표면간에 발생되는 갭(틈새)으로 기인한 실링성능저하를 제한하고 또 오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유체가 액상개스킷을 통하거나 따라서 실구조로 부터 누설을 제한하는 실구조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실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1교합면을 갖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교합면을 갖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및 제2부재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3교합면을 갖는 제3부재 및 상기 제1교합면과 제3교합면 사이와 상기 제2교합면과 제3교합면 사이에 배치된 액상개스킷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교합면, 제2교합면 및 제3교합면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액상개스킷과 분리하는 체임버가 형성되어 있는 실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교합면과 제3교합면 사이와 상기 제2교합면과 제3교합면 사이에 액상 개스킷을 제공함으로써, 교합면사이에 조립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차나 갭은 상기 액상 개스킷으로 채워지게 되고 그로 인해 실링성능의 저하가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1교합면, 제2교합면 및 제3교합면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액상개스킷과 분리하는 체임버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체임버는 개스킷을 통해서 또는 개스킷을 따라서 누설되어 상기 체임버로 유입되는 액체를 축적하며, 상기 체임버내의 액체가 상기 체임버로 부터 누설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부재는 제1교합면상에 형성된 제1홈부(the first recessed portion)를 포함하며, 제2부재는 제2교합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홈부와 대향하는 제2홈부(the second recessed portion)를 포함하며, 제3부재는 제3교합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홈부 및 제2홈부와 대향하는 제3홈부(the third recessed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체임버는 상기 제1홈부,제2홈부 및 제3홈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임버는 상기 제1홈부,제2홈부 및 제3홈부로 구성되며 상기 체임버에는 큰 공간이 확보된다. 그 결과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제3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3부재와 연결되면 각각의 연결부재사이에서 상기 체임버의 각 내부면으로 압출된 액상개스킷은 서로 접촉되는 것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체임버는 액상개스킷을 포함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하게도 액체는 체임버로 부터 누출되는 것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체임버는 상기체임버로 부터 체임버로 유입하는 액체를 배출하는 연통로(communication passage)를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체임버는 체임버로 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연통로를 포함한다.
즉,상기 체임버는 상기 체임버로 유입하는 액체를 상기체임버로 부터 배출하는 연통로(communication passage)를함한다.그래서 상기 체임버가 상기 액상개스킷을 통하거나 따라 누설되어 상기 체임버로 유입되는 액체로 채워지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실구조는 체임버의 내부면에 구비된 단차부를 추가로 포함한다.이 단차부는 제1교합면, 제2교합면 및 제3교합면중 어느 2개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액상개스킷은 상기 각 교합면사이로 부터 배출되어 상기 단차부로 이동하며, 그로 인해 기밀성이 더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부재는 내연기관의 실린더블록이며, 제2부재는 내연기관의 실린더헤드이며, 제3부재는 내연기관의 타이밍체인카버(timing chain cover )이다.
따라서 실린더블록과 타이밍체인카버 및 실린더헤드와 타이밍체인카버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의 액체는 상기 타이밍체인카버의 교합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갭(틈새)으로 기인한 실링성능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또 오일등의 유체가 액상개스킷을 통하거나 따라서 실구조로 부터 누설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는 실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과 추가 특징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헤드카버, 크랭크케이스, 오일팬 및 타이밍체인카버를 떼어낸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한 3교합면으로 된 교합부의 실구조의 부분확대도 이다.
도 4a는 조립될 타이밍체인카버, 즉 조립되기 전의 타이밍체인카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선IVA-IVA 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b는 타이밍체인카버가 조립된 후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선IVB-IVB 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조립될 타이밍체인카버, 즉 조립되기 전의 타이밍체인카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3교합면으로 된 교합부의 실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타이밍체인카버가 조립된후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3교합면으로 된 교합부의 실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타이밍체인카버가 조립된 후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3교합면으로 된 교합부의 실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타이밍체인카버가 조립된후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3교합면으로 된 교합부의 실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타이밍체인카버가 조립된후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따른 3교합면으로 된 교합부의 실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3교합면으로 된 교합부의 실구조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b는 타이밍체인카버가 조립된 후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9a의 선IXB-IXB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구조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교합면으로 된 교합부의 실구조(20)는 교합면(9)(즉,제1교합면)을 갖는 실린더블록(2)(즉,제1부재)과; 상기 실린더블록(2)과 연결되고 교합면(10)(즉,제2교합면)을 갖는 실린더헤드(4)(즉,제2부재)와; 상기 실린더블록(2)와 실린던헤드(4)와 연결되고 교합면(11)(즉,제3교합면)을 갖는 타이밍체인카버(8) 및; 상기 교합면(9)와 교합면(11)사이 및 교합면(10)와 교합면(11)사이에 위치하는 액상개스킷(30)을 포함한다. 상기 교합면(9)와 교합면(10),및 교합면(11)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액상개스킷(30)을 분단하는 체임버(27)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실구조(20)는 교합면(9)을 갖는 실린더블록(2)과 교합면(10)을 갖는 실린더헤드(4)와 교합면(11)을 갖는 타이밍체인카버(8)를 포함한다.상기 교합면(9)와 교합면(10),및 교합면(11)각각은 교합면(9)와 교합면(10),및 교합면(11)과 각각 대향하는 교합면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액상개스킷(30)을 상기 실린더블록(2)과 타이밍체인카버(8)사이 및 상기 실린더헤드(4)와 타이밍체인카버(8)사이에 도포 개재하는 동안 상기 실린더블록(2)과 실린더헤드(4)와 타이밍체인카버(8)는 서로 조립된다.상기 교합면(9)와 교합면(10),및 교합면(11)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액상개스킷(30)을 수용하기 위한 체임버(27)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액상개스킷(30)이 조립상태의 상기 실린더블록(2)과 실린더헤드(4)와 타이밍체인카버(8)의 각각의 교합면(9)과 교합면(10) 및 교합면(11)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체임버(27)는 액상개스킷(30)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 즉 예컨데 공기를 포함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실구조(20)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즉, 내연기관)은 실린더블록(2)를 포함하는데, 판상개스킷(3)이 실린더블록(2)과 실린더헤드(4)사이에 배치되고 이 실린더블록(2)위에는 실린더헤드(4)가 위치하도록 상기 실린더블록(2)에 실린던헤드(4)가 고정된다. 크랭크케이스(6)는 실린더블록(2)의 하부에 고정된다. 오일팬(7)은 상기 크랭크케이스(6)의 하부에 고정된다. 타이밍체인카버(8)는 타이밍체인카버(8)가 도 1에서 볼때 좌측상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조립상태에서는 실린더블록(2), 판상개스킷(3), 실린더헤드(4) 및 크랭크케이스(6)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블록(2)과 실린더헤드(4)는 판상개스킷(3)이 그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는 동안 서로 조립된다. 실린더블록(2)는 판상개스킷(3)과 수직한 교합면(9)을 포함한다.실린더헤드(4)는 판상개스킷(3)과 수직하며 상기 교합면(9)과 맞닿아 접하는 교합면(10)을 포함한다. 타이밍체인카버(8)는 서로 맞닿아 접하는 상기 교합면(9)과 교합면(10)과 대향하는 교합면(11)(도 4참조)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블록(2)과 실린더헤드(4)와 타이밍체인카버(8)는 액상개스킷(30)을 통해 복수의 볼트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즉 액상개스킷(30)은 교합면(9)와 교합면(11)사이 및 교합면(10)와 교합면(11)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교합면(9)은 복수의 볼트중 하나가 삽입되는 볼트구멍(21)을 포함한다. 상기 교합면(9)은 복수의 볼트중 하나가 삽입되는 볼트구멍(22)을 포함한다. 타이밍체인카버가 회전함에 따라 엔진오일이 튀기게 되고 엔진내부면(40)에 부착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면(10)은 홈부(24)(즉, 제1홈부)를 포함한다.교합면(9)은 상기 교합면(10)의 홈부(24)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홈부(25)(즉,제2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24)의 개구의 횡단면형상, 즉 판상개스킷(3)에 평행한 단면형상은 상기홈부(25)의 형상과 일치한다. 교합면(11)은 상기 홈부(24,25)와 대향하도록 형성된 홈부(26)(즉,제3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26)의 개구의 횡단면형상, 즉 판상개스킷(3)에 수직한 단면형상은 상기 교합면(10, 9)의 홈부(24,25)의 형상과 일치한다.
도 3,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임버(27)는 상기 홈부(24), 홈부(25), 및 홈부(26)로 구성된다.이 체임버(27)는 내부면(50,51,52,53,53,55)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50)은 판상개스킷(3)과 수직하며, 엔진내부면(40)의 근처에 위치한다. 내부면(51)은 판상개스킷(3)과 수직하며, 엔진외부면(41)의 근처에 위치한다. 내부면(52)은 판상개스킷(3)과 수평하며, 볼트구멍(21)의 근처에 위치한다. 내부면(53)은 판상개스킷(3)과 수평하며, 볼트구멍(22)의 근처에 위치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면(54)은 판상개스킷(3)과 수평하며, 상기 홈부(24,25)에 위치한다. 내부면(55)은 판상개스킷(3)과 수평하며, 상기 홈부(26)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가상선인 개스킷도포선(60,61,62,63)은 체임버(27)주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교합면(9,10)상에 위치한다. 상기 개스킷도포선(60)은 상기 내부면(50)과 엔진외부면(40)사이의 중심에 위치한다. 상기 개스킷도포선(61)은 상기 내부면(51)과 엔진외부면(41)사이의 중심에 위치한다. 상기 개스킷도포선(62)은 상기 내부면(52)과 상기 개스킷도포선(62)간의 거리가 상기 내부면(50)과 상기 개스킷도포선(60)간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내부면(52)과 상기 볼트구멍(21)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개스킷도포선(63)은 상기 내부면(53)과 상기 개스킷도포선(63)간의 거리가 상기 내부면(50)과 상기 개스킷도포선(60)간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내부면(53)과 상기 볼트구멍(22)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 효과 및 이점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액상개스킷(30)은 개스킷도포선(60,61,62,6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타이밍체인카버(8)의 교합면(11)에 도포된다. 타이밍카버체인(8)이 볼트구멍(21,22)로 삽입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볼트에 의해 실린더블록(2)과 실린더헤드(4)에 고정된후에, 상기 교합면(9)은 상기교합면(11)과 면접촉하고 상기 교합면(10)은 상기교합면(11)과 면접촉한다. 이때 개스킷도포선(6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교합면(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30)의 일부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내부면(40)과 체임버(27)의 내부면(50)으로 가압배출, 즉 압출된다. 상기 엔진내부면(40)으로 가압배출된 액상개스킷(30)의 양은 대략 상기 내부면(50)으로 가압배출된 양과 동일하다.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교합면(9)이 상기교합면(11)과 면접촉하고 상기 교합면(10)은 상기교합면(11)과 면접촉한 후에 개스킷도포선(6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교합면(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30)의 일부가 엔진외부면(41)과 체임버(27)의 내부면(51)으로 가압배출되거나 압출된다. 상기 엔진외부면(41)으로 가압배출된 액상개스킷(30)의 양은 대략 상기 내부면(51)으로 가압배출된 양과 동일하다. 상기 교합면(9)이 상기교합면(11)과 면접촉하고 상기 교합면(10)은 상기교합면(11)과 면접촉한 후에 개스킷도포선(6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교합면(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30)의 일부가 상기 체임버(27)의 내부면(52)으로 가압배출되며, 개스킷도포선(6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교합면(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30)의 일부가 상기 체임버(27)의 내부면(53)으로 가압배출 된다.
상기 교합면(9)과 교합면(10)사이 및 교합면(9)과 교합면(11)사이에 액상개스킷(30)을 제공함으로써, 교합면에 조립으로 인해 생기는 단차 또는 갭이 상기 액상개스킷(30)으로 충전되어 그로 인해 실링성능의 저하가 억제된다. 단일 체임버, 즉 체임버(27)가 교합면(9)의 홈부(24)와 교합면(10)의 홈부(25) 및 교합면(9)의 홈부(26)로 구성되기 때문에, 용량이 압출된 액상개스킷(30)의 양보다 큰 공간이 체임버(27)내에 확보된다. 따라서 내부면(50)과 내부면(51)로 가압배출된 액상개스킷(30)은 상기 체임버(27)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엔진내부면(40)에 부착된 엔진오일은 엔진내부면(40)과 내부면(50) 사이에 위치하는 액상개스킷(30)을 통하거나 따라서 상기 체임버(27)로 이동하여 상기 체임버(27)에 축적된다. 그러나 체임버(27)에 축적된 오일은 내부면(51)과 엔진외부면(41) 사이에 위치하는 액상개스킷(30)에 부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체임버(27)에 축적된 오일은 내부면(51)과 엔진외부면(41) 사이에 위치하는 액상개스킷(30)을 통해 또는 따라서 엔진외부면(41)으로 누설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5a 및 도 5b 에 도시한 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품,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의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개스킷도포선(60a)은 개스킷도포선(60)이 위치하는 곳 보다 엔진내부면(40) 에 더 가까운곳에 위치한다, 즉 개스킷도포선(60)보다 엔진내부면(40)측에 위치한다. 개스킷도포선(61a)은 개스킷도포선(61)이 위치하는 곳 보다 엔진외부면(41)에 더 가까운곳에 위치한다 즉 개스킷도포선(61)보다 엔진외부면(41)측에 위치한다. 개스킷도포선(62a)은 개스킷도포선(62)이 위치하는 곳보다 볼트구멍(21)에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즉 개스킷도포선(62)보다 볼트구멍(21)측에 위치한다. 개스킷도포선(63a)은 개스킷도포선(63)이 위치하는 곳보다 볼트구멍(22)에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즉 개스킷도포선(63)보다 볼트구멍(22)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대한 동작, 효과 및 이점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상기 액상개스킷(30)은 개스킷도포선(60a,61a,62a,63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타이밍체인카버(8)의 교합면(11)에 도포된다. 복수의 볼트에 의해 실린더블록(2)과 타이밍체인카버(8)를 고정하고 실린더헤드(4)와 타이밍체인카버(8)를 고정한후에, 상기 교합면(9)은 상기교합면(11)과 면접촉하고 상기 교합면(10)은 상기교합면(11)과 면접촉한다. 이때 개스킷도포선(60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교합면(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30)의 일부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내부면(40)과 체임버(27)의 내부면(50)으로 가압배출, 즉 압출된다. 이때 상기 엔진내부면(40)으로 가압배출된 액상개스킷(30)의 양은 대략 상기 내부면(50)으로 가압배출된 양보다 크다.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교합면(9)이 상기교합면(11)과 면접촉하고 상기 교합면(10)은 상기교합면(11)과 면접촉한 후에 개스킷도포선(61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교합면(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30)의 일부가 엔진외부면(41)과 체임버(27)의 내부면(51)으로 가압배출된다. 이 경우 상기 엔진외부면(41)으로 가압배출된 액상개스킷(30)의 양은 대략 상기 내부면(51)으로 가압배출된 양보다 크다. 개스킷도포선(62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교합면(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30)의 일부가 상기 체임버(27)의 내부면(52)으로 가압배출된다. 이때 상기 내부면(52)으로 가압배출된 액상개스킷(30)의 양은 제1실시예의 양보다 작다. 개스킷도포선(63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교합면(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30)의 일부가 상기 체임버(27)의 내부면(53)으로 가압배출된다. 이때 상기 내부면(53)으로 가압배출된 액상개스킷(30)의 양은 제1실시예의 양보다 작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에서, 상기 체임버(27)로 가압배출 즉 압출된 액상개스킷(30)의 양은 제1실시예의 양보다 작다. 그래서 내부면(50)으로 압출된 액상개스킷(30)과 내부면(51)으로 압출된 액상개스킷(30)과 내부면(52)으로 압출된 액상개스킷(30) 및 내부면(53)으로 압출된 액상개스킷(30)은 서로 접촉하게 되는것이 억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3개 교합면으로 되어 있는 실구조(120)의 타이밍체인카버(108)(즉, 제3부재)는 홈부(126)(즉, 제3홈부)를 포함한다. 이홈부(12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홈부(26)와 비교해보면 도 3의 선IVA-IVA 에 따른 방향으로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하여 그로인해 내부면(150)에 구비된 단차부(500)와 내부면(151)에 구비된 단차부(501)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면(150,151)의 단차부(500,501)는 도 6에서 볼때 타이밍체인카버(108)가 체임버(127)의 중심쪽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체임버(127)는 내부면(150), 내부면(151), 내부면(154) 및 내부면(1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대한 동작, 효과 및 이점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액상개스킷(130)은 타이밍체인카버(108)의 교합면(111)(즉, 제3교합면)에 도포된다. 복수의 볼트에 의해 상기 타이밍체인카버(108)가 실린더블록(102)(즉,제1부재)과 실린더헤드(104)(즉,제2부재)에 고정된후에, 그로인해 교합면(109)(즉,제1교합면)은 제3교합면(111)과 면접촉하고 교합면(110)(즉,제2교합면)은 상기교합면(111)과 면접촉한후, 상기 교합면(1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130)의 일부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내부면(140)과 체임버(127)의 내부면(150)으로 가압배출, 즉 압출된다. 상기 체임버(127)의 내부면(150)으로 압출된 액상개스킷(130)은 상기 교합면(111), 내부면(150), 내부면(154)과 접촉하게 된다.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복수의 볼트에 의해 상기 타이밍체인카버(108)가 실린더블록(102)과 실린더헤드(104)에 고정된후에, 그로인해 상기 교합면(109)이 제3교합면(111)과 면접촉하고 상기교합면(110)이 상기교합면(111)과 면접촉한후, 상기 교합면(1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130)의 일부가 엔진외부면(141)과 체임버(127)의 내부면(151)으로 가압배출, 즉 압출된다. 상기 체임버(127)의 내부면(151)으로 압출된 액상개스킷(130)은 상기 교합면(111), 내부면(150), 내부면(154)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내부면(150)에 단차부(500)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액상개스킷(130)은 상기 교합면(111), 내부면(150), 내부면(154)과 접촉하게 되며 그로 인해 실링면이 형성된다.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내부면(151)에 단차부(501)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액상개스킷(130)은 상기 교합면(111), 내부면(151), 내부면(154)과 접촉하게 되며 그로 인해 실링면이 형성된다. 그래서 체임버(127)의 내부면(150)의 단차부(500)와 체임버(127)의 내부면(151)의 단차부(501)의 실링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에서 상기 홈부(12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홈부(24,25)와 비교해보면 도 3의 선IVA-IVA과 선IVB-IVB 에 따른 방향으로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상기 홈부(12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홈부(24,25)와 비교해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3개 교합면의 교합부로 이루어진 실구조(220)의 타이밍체인카버(208)(즉, 제3부재)는 홈부(226)(즉, 제3홈부)를 포함한다. 이 홈부(22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홈부(26)를 엔진 외주면방향으로 상기 타이밍체인카버(208)의 교합면(211)(즉, 제3교합면)과 평행하게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되며, 그로 인해 내부면(250)상에 단차부(502)와 내부면(251)상에 단차부(503)을 형성하게 된다. 도 7에서 볼때 상기 내부면(250)의 단차부(502)는 타이밍체인카버(208)가 체임버(227)의 중심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면(251)의 단차부(503)는 실린더블록(202)(즉, 제1부재)과 실린더헤드(204)(즉, 제2부재)가 체임버(227)의 중심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대한 동작, 효과 및 이점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액상개스킷(230)은 타이밍체인카버(208)의 교합면(211)에 도포된다. 상기 타이밍체인카버(208)가 복수의 볼트에 의해 실린더블록(202)과 실린더헤드(204)에 고정된 후에, 그로인해 교합면(209)(즉,제1교합면)은 제3교합면(211)과 면접촉하고 교합면(120)(즉,제2교합면)은 상기교합면(211)과 면접촉한후, 상기 교합면(2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230)의 일부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내부면(240)과 체임버(227)의 내부면(250)으로 가압배출, 즉 압출된다. 상기 체임버(227)의 내부면(250)으로 압출된 액상개스킷(230)은 상기 교합면(211), 내부면(250), 내부면(254)과 접촉하게 된다.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복수의 볼트에 의해 상기 타이밍체인카버(208)가 실린더블록(202)과 실린더헤드(204)에 고정된후에, 그로인해 상기 교합면(209)이 상기교합면(211)과 면접촉하고 상기교합면(210)이 상기교합면(211)과 면접촉한후, 상기 교합면(2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230)의 일부가 엔진외부면(241)과 체임버(227)의 내부면(251)으로 가압배출, 즉 압출된다. 상기 체임버(227)의 내부면(251)으로 압출된 액상개스킷(230)은 상기 교합면(209), 상기 교합면(210), 내부면(251), 내부면(255)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내부면(250)에 단차부(502)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액상개스킷(230)은 상기 교합면(211), 내부면(250), 내부면(254)과 접촉하게 되며 그로 인해 실링면이 형성된다.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내부면(251)에 단차부(503)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액상개스킷(230)은 상기 교합면(209), 교합면(210),내부면(251) 및 내부면(255)과 접촉하게 되며 그로 인해 실링면이 형성된다. 그래서 체임버(227)의 내부면(250)의 단차부(502)와 체임버(227)의 내부면(251)의 단차부(503)의 실링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에서 상기 홈부(226)는 오프셋되어 있으며, 즉 엔진외부면(241)쪽으로 이동하지만 반대로 상기홈부(226)는 오프셋될수 있으며 즉 엔진내부면(24))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따른 3개 교합면의 교합부로 이루어진 실구조(320)를 나타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면(309,310)(즉, 제1부재,제2부재)과 내부면(350)사이에 형성된 에지부는 챔퍼링부(모따기부)(72)를 형성하도록 챔퍼링(모따기)된다. 교합면(309,310)과 엔진외부면(341)사이에 형성된 에지부는 챔퍼링부(모따기부)(73)를 형성하도록 챔퍼링(모따기)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대한 동작, 효과 및 이점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액상개스킷(330)은 타이밍체인카버(308)(즉,제3부재)의 교합면(311)(즉,제3교합면)에 도포된다. 상기 타이밍체인카버(308)가 복수의 볼트에 의해 실린더블록(302)(즉,제1부재)과 실린더헤드(304)(즉,제2부재)에 고정된후에, 그로인해 교합면(309)(즉,제1교합면)은 제3교합면(311)과 면접촉하고 교합면(310)(즉,제2교합면)은 상기교합면(311)과 면접촉한후, 상기 교합면(3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330)의 일부가 엔진내부면(340)의 근처에 위치한 챔퍼링부(72)와 체임버(327)의 내부면(350) 근처에 위치한 챔퍼링부(70)로 가압배출, 즉 압출된다. 상기 엔진내부면(340)의 근처에 위치한 챔퍼링부(72)로 압출된 액상개스킷(330)은 상기 교합면(311)과 상기 챔퍼링부(72)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체임버(327)의 내부면(350) 근처에 위치한 챔퍼링부(70)로 압출된 액상개스킷(330)은 상기 교합면(311)과 상기 챔퍼링부(70)와 접촉하게 된다.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교합면(309)이 상기교합면(311)과 면접촉하고 상기교합면(310)이 상기교합면(311)과 면접촉한후, 상기 교합면(311)에 도포된 액상개스킷(330)의 일부가 엔진외부면(341)의 근처에 위치한 챔퍼링부(73)와 체임버(327)의 내부면(351)근처에 위치한 챔퍼링부(71)로 가압배출, 즉 압출된다. 상기 체임버(327)는 내부면(350), 내부면(351), 내부면(354) 및 내부면(355)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외부면(341)의 근처에 위치한 챔퍼링부(73)로 압출된 액상개스킷(330)은 상기 교합면(311)과 챔퍼링부(73)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내부면(351)의 근처에 위치한 챔퍼링부(71)로 압출된 액상개스킷(330)은 상기 교합면(311)과 챔퍼링부(71)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교합면(309,310)에 챔퍼링부(70,71,72,73)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액상개스킷(330)은 상기 교합면(311)과 챔퍼링부(70)사이, 상기 교합면(311)과 챔퍼링부(71)사이, 상기 교합면(311)과 챔퍼링부(72)사이 및 상기 교합면(311)과 챔퍼링부(73)사이에 각각 실링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엔진내부면(340), 내부면(350), 내부면(351) 및 엔진외부면(341)의 실링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에서 상기챔퍼링부(70,71,72,73)는 상기 교합면(309,310)에 형성되지만 상기챔퍼링부(70,71,72,73)는 상기 교합면(31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품,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의 참조번호가 부여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3개 교합면의 교합부로 이루어진 실구조(420)를 나타내는 도 9a 및 도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로(80)는 체임버(427)의 내부면(450)과 체임버(427)의 내부면(452)이 서로 대향되게 접하고 있는 부분의 실린더블록(402)(즉, 제2부재)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체임버(427)와 엔진내부면(440)간에 유체연통이 이루어진다. 상기 체임번(427)는 내부면(450), 내부면(451),내부면(452) 및 내부면(453)을 포함한다. 상기 연통로(80)는 체임버(427)에 구비된 제1개구부와 엔진내부면(450)에 구비된 제2개구부를 포함한다. 이 제1개구부는 제2개구부에 비해 중력방향으로 더 높은곳에 위치하며, 제2개구부는 제 1개구부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엔진내부면(440)에는 상기 연통로(80)의 제2개구부를 덮는 리브부재(81)가 구비되어 있어서 중력방향으로 제2개구부 하방에 있는 구역은 개방되며, 즉 상기 리브부재(81)는 하향방향으로 부터 상기 연통로(80)의 제2개구부를 덮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동작, 효과 및 이점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타이밍체인카버가 회전함에 따라 엔진오일은 튀기게 되어 엔진내부면(440)에 부착한다. 이 엔진내부면(440)에 부착된 엔진오일은 상기 엔진내부면(440)과 내부면(450)사이에 위치하는 액상개스킷을 통하거나 따라서 체임버(427)로 유입된다. 이 체임버(427)내의 엔진오일은 상기 내부면(450)을 따라 중력방향으로 하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연통로(80)를 통해 환류, 즉 배출된다. 상기 체임버(427)로 유입된 엔진오일은 엔진내부면(440)으로 적절하게 환류되므로 그로 인해 엔진오일은 체임버(427)내부에 축적되지 않는다. 연통로(80)의 제2개구를 하향방향외의 다른방향으로 부터 카버하는 리브부재(81)는 엔진오일이 상기 제2개구부로 부터 연통로(80O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엔진오일을 상기 체임버(427)로 부터 엔진내부면(440)으로 배출하는 연통로(80)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체임버(427)가 액상개스킷을 통하거나 따라서 누설되어 체임버로 유입되는 엔진오일로 채워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상기 체임버(427)에 축적된 엔진오일은 엔진외부면(441) 근처에 있는 액상개스킷과 접촉되는 것이 억제되어 상기 체임버로부터 엔진외부면(441) 근처에 있는 액상개스킷을 통하거나 따라서 엔진외부면(441)로 누설되는 것이 제한되게 된다.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연통로(80)는 실린더블록(402)에 형성되지만 연통로(80)는 타이밍체인카버(408)(즉 제3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연통로(80)는 체임버(427)의 내부면(450)과 체임버(427)의 내부면(452)이 서로 대향되게 접하고 있는 부분의 실린더블록(402)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체임버(427)와 엔진내부면(40)간에 유체연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연통로(80)가 상기 실린더블록(402)과 실린더헤드(4)사이에 배치된 판상개스킷(403)에 대해 중력방향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한 연통로(80)는 다른 곳에 형성될 수 있다.
1: 엔진(내연기관)
2,102,202,302,402: 실린더블록(제1부재)
3: 판상개스킷
4,104,204,304: 실린더헤드(제2부재)
6: 크랭크케이스
8,108,208,308,408: 타이밍체인카버(제3부재)
9,109,209,309: 교합면(제1교합면)
10,110,210,310: 교합면(제2교합면)
11,111,211,311: 교합면(제3교합면)
20: 실구조
21: 볼트구멍
22: 볼트구멍
24: 홈부(제1홈부)
25: 홈부(제2홈부)
26,126,226: 제3홈부
27,127,227,327,427: 체임버
30,130,230,330: 액상개스킷
60,61,62,63: 개스킷도포선
60a,61a,62a,63a: 개스킷도포선
70,71,72,73: 챔퍼링부
80: 연통로

Claims (7)

  1. 제1교합면(9,109,209,309)을 갖는 실린더 블록(2,102,202,302,402);
    상기 실린더 블록(2,102,202,302,402)와 연결되고 제2교합면(10,110,210,310)을 갖는 실린더 헤드(4,104,204,304);
    상기 실린더 블록(2,102,202,302,402) 및 실린더 헤드(4,104,204,304)와 연결되고 제3교합면(11,111,211,311)을 갖는 타이임 체인 커 버(8,108,208,308,408); 및
    상기 제1교합면(9,109,209,309)과 제3교합면(11,111,211,311)의 사이 및 상기 제2교합면(10,110,210,310)과 제3교합면(11,111,211,311)의 사이에 배치된 액상개스킷(30,130,230,3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교합면(9,109,209,309), 제2교합면(10,110,210,310) 및 제3교합면(11,111,211,31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액상개스킷(30,130,230,330)을 분리하는 체임버(27,127,227,327,427)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블록(2,102,202,302,402)은 제1교합면(9,109,209,309) 상에 형성된 제1홈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헤드(4,104,204,304)는 제2교합면(10,110,210,310)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24)와 대향하는 제2홈부(25)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임 체인 커버(8,108,208,308,408)는 제3교합면(11,111,211,311)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24) 및 제2홈부(25)와 대향하는 제3홈부(26,126,226)를 포함하고,
    상기 체임버(27,127,227,327,427)는 상기 제1홈부(24), 제2홈부(25) 및 제3홈부(26,126,226)를 포함하고,
    상기 체임버(27,127,227,327,427)의 내부면(150, 151, 152, 250, 251, 350,351,450,451)에 구비된 단차부(20,120,220,320,4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20,120,220,320,420)는 상기 제1교합면(9, 109, 209, 309), 제2교합면(10,110,210,310) 및 제3교합면(11,111,211,311) 중 어느 2개의 사이에 위치하는
    실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임버(27,127,227,327,427)는 상기 체임버(27,127,227,327,427)로 유입하는 액체를 상기 체임버(27,127,227,327,427)로부터 배출하는 연통로(80)를 포함하는
    실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085167A 2010-08-25 2011-08-25 실구조 KR101420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88158 2010-08-25
JP2010188158A JP2012047217A (ja) 2010-08-25 2010-08-25 シール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415A KR20120019415A (ko) 2012-03-06
KR101420373B1 true KR101420373B1 (ko) 2014-07-16

Family

ID=4493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167A KR101420373B1 (ko) 2010-08-25 2011-08-25 실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23540B1 (ko)
JP (1) JP2012047217A (ko)
KR (1) KR101420373B1 (ko)
CN (1) CN1023842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4852B (zh) * 2012-05-25 2016-09-28 付建中 用液体加压密封的防倒灌排油烟机
CN104343577A (zh) * 2014-09-28 2015-02-1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密封装置、发动机及车辆
JP6803259B2 (ja) * 2017-02-17 2020-12-23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媒体加熱装置、及び車両用空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5008A2 (en) * 2001-02-27 2002-08-28 Nippon Gasket Co., Ltd. Gasket for sealing tri-face area
EP1701069A1 (en) * 2005-03-09 2006-09-13 Nissan Motor Co., Ltd. Seal structure
JP2010138702A (ja) * 2008-12-09 2010-06-24 Toyota Motor Corp 3部材の接合部のシール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4074A (ja) * 1986-02-19 1987-08-26 Aisin Seiki Co Ltd シ−ル構造
JP3127730B2 (ja) 1993-10-21 2001-0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三面合わせ部のガスケット
JP4538213B2 (ja) * 2003-10-10 2010-09-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液状ガスケットを用いたシール構造
CN101360935A (zh) * 2006-01-31 2009-02-04 住重机器系统株式会社 压力容器的密封结构
JP4737224B2 (ja) * 2008-04-24 2011-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5008A2 (en) * 2001-02-27 2002-08-28 Nippon Gasket Co., Ltd. Gasket for sealing tri-face area
EP1701069A1 (en) * 2005-03-09 2006-09-13 Nissan Motor Co., Ltd. Seal structure
JP2010138702A (ja) * 2008-12-09 2010-06-24 Toyota Motor Corp 3部材の接合部のシー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415A (ko) 2012-03-06
EP2423540B1 (en) 2013-10-02
EP2423540A1 (en) 2012-02-29
CN102384268B (zh) 2015-05-20
JP2012047217A (ja) 2012-03-08
CN102384268A (zh)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819B2 (en) Sealing structure and gasket
KR100380533B1 (ko) 실린더 헤드 개스킷
US7677578B2 (en) Seal structure
JP2002502945A (ja) 内燃エンジン用の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US8443776B2 (en) Seal structure, chain case, and seal structure formation method
KR101420373B1 (ko) 실구조
JP5359770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US11035319B2 (en) Sealing assembly comprising a cylinder head, a cylinder head gasket and a crankcase
KR20130008027A (ko) 래버린스 스토퍼를 구비한 다층 개스킷
JP2008185211A (ja) リークコンジット付きガスケット
JP2004068672A (ja) エンジンのシール構造
US8596644B2 (en) Seal structure for engine
US10508616B2 (en) Oil flow control for an engine by deflection
US9719464B2 (en) Metal-elastomer seal with integrated dirt and media sealing
JP4645567B2 (ja) エンジンのシール構造
KR101639932B1 (ko) 판 형상 개스킷 및 시일 구조
JP5003660B2 (ja) 三面合わせ部のシール構造
JP5199957B2 (ja) エンジンのシール構造及びそのシール構造に使用されるガスケット
JP2007132197A (ja) シール構造
KR102394774B1 (ko) 실린더블록과 오일팬 간의 조인트부 씰링 장치
JP6398147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2002349344A (ja) 内燃機関のシール構造
WO2016002709A1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GB2542130A (en) A gasket
KR20090008640A (ko) 기어 케이스 일체형 실린더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