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861B1 -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861B1
KR101418861B1 KR1020080024433A KR20080024433A KR101418861B1 KR 101418861 B1 KR101418861 B1 KR 101418861B1 KR 1020080024433 A KR1020080024433 A KR 1020080024433A KR 20080024433 A KR20080024433 A KR 20080024433A KR 101418861 B1 KR101418861 B1 KR 10141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ulley
controller
air conditioner
sup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9280A (ko
Inventor
김영길
이정엽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우리산업 주식회사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우리산업 주식회사,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861B1/ko
Priority to US12/402,676 priority patent/US20090229388A1/en
Priority to AT09290183T priority patent/ATE488389T1/de
Priority to EP09290183A priority patent/EP2103459B1/en
Priority to DE602009000360T priority patent/DE602009000360D1/de
Priority to CN2009101288424A priority patent/CN101539324B/zh
Publication of KR2009009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구동을 위해 컨트롤러측과 공조장치측을 케이블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상기 케이블과 함께 풀리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지지가이드를 구비한 연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플렉시블(FLEXIBLE)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 루트(ROUTE)에 제약이 없으며, 상기 케이블을 밀때 케이블의 절곡을 방지하여 플렉시블 케이블을 사용하면서도 케이블 로스(LOSS)를 없앨수 있고,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측과 컨트롤러측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의 구조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차량 컨트롤러(50)측에 설치되어 스위치(50a)와 연동하는 제1부재(101)와,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내의 도어와 연동하는 제2부재(102)와, 상기 제1부재(101)와 제2부재(102)를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외주면이 튜브(131)로 감싸여진 케이블(130)과, 상기 케이블(130)의 단부를 상기 제1부재(101) 또는 제2부재(102)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1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05)은, 외주면에 상기 케이블(13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제1부재(101) 또는 제2부재(102)와 결합되도록 회전축(121)이 형성된 풀리(120)와, 상기 튜브(131)로부터 인출된 케이블(130)을 밀착지지하는 지지수단(140)을 포함하 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장치, 컨트롤러, 케이블, 몸체, 풀리, 지지수단, 지지가이드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Cable connecting apparatus of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구동을 위해 컨트롤러측과 공조장치측을 케이블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상기 케이블과 함께 풀리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지지가이드를 구비한 연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플렉시블(FLEXIBLE)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 루트(ROUTE)에 제약이 없으며, 상기 케이블을 밀때 케이블의 절곡을 방지하여 플렉시블 케이블을 사용하면서도 케이블 로스(LOSS)를 없앨수 있고,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측과 컨트롤러측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의 구조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 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세미 센터 타입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측에는 내,외기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내,외기유입구(미도시)를 통해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공조케이스(10)내로 송풍하는 송풍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통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 통로(P2)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장치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풍통로(P1)를 통해 믹싱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16)에 의해 개방되는 각 벤트(12a~12c)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통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통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장치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통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16)에 의해 개방되는 각 벤트(12a~12c)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한편,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냉방모드, 즉 1/2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믹싱챔버(MC)에 대하여 상기 냉풍통로(P1) 및 상기 온풍통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가 믹싱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된 후, 공조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도어(16)에 의해 개방되는 각 벤트(12a~12c)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외기전환도어(미도시), 온도조절도어(15), 모드도어(16)들은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아암(28),레버(25),캠(21)에 의해 그 개폐 각도가 조절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도어(16)를 작동시키기 위한 아암(28),레버(25),캠(21)이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상기 캠(21)과, 레버(25)와, 아암(28)은 각각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캠(21)은 3개의 슬롯(22)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22)의 개수는 작동시키려고 하는 도어(16)의 수에 대응하여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아암(28)은 상기 각 도어(16)들의 회전축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도어(16)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25)는 상기 캠(21)과 아암(28)의 사이에 위치함과 아울러 일단부는 핀(26)을 통해 상기 슬롯(2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아암(28)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캠(21)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상기 아암(28)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21)은 별도의 케이블(23)을 통해 차량의 컨트롤러(50)측에 설치된 스위치(50a)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50)는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50a)가 하우징(51)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송풍 속도의 조절을 위한 풍량 스위치(미도시)와, 공기의 토출 방향을 결정하는 모드 스위치(50a)와, 송풍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 스위치(미도시) 및 공조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에어컨 스위치(미도시)가 하나의 하우징(51)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3은 차량용 컨트롤러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스위치(50a)는, 하우징(51)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형성된 보스(52)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어샤프트(60)와, 상기 기어샤프트(60)에 치합되도록 상기 보스(52)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공조케이스(10)에 설치된 캠(21)과 케이블(23)을 통해 연결되는 기어레버(70)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51) 외측으로 돌출된 기어샤프트(60)의 단부에 결합되는 노브(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샤프트(60)의 치형은 베벨치형으로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기어레버(70)의 치형은 호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상기 노브80()를 회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노브(80)의 회전에 의해 기어샤프트(60)가 회전함에 따라 여기에 치합된 기어레버(70)가 회전하므로, 상기 기어레버(70)에 연결된 케이블(23)이 연동하여 전,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23)이 전,후 이동하게 되면,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설치된 캠(2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캠(2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레버(25)의 핀(26)이 상기 캠(21)의 슬롯(22)의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레버(25)가 일정각도 회전 작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는 상기 아암(28)이 상기 도어(16)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25)를 생략하고 상기 캠(21)의 슬롯(22)에 상기 아암(28)이 직접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23)은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기어레버(70)의 회전시 전,후 이동하면서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설치된 캠(2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컨트롤러(50)의 스위치(50a)와 공조케이스(10)의 캠(21)을 연결하는 케이블(23)을 당길(PULL) 때는 물론 밀(PUSH) 때 케이블(23) 자체가 변형(벤딩)되어 힘을 전달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이상의 강성을 갖도록 소정 직경 이상의 크기로 설계된다. 또한, 이러한 케이블(23)의 강성에 의해 상기 케이블(23)의 루트(ROUTE)에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블(23)의 루트에 따라 스위치(50a)의 조작력 및 조작감에 영향을 미침은 물론 다른 부품과의 간섭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23)의 루트를 감안하여 공조장치(1) 및 컨트롤러(50)를 설계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구동을 위해 컨트롤러측과 공조장치측을 케이블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상기 케이블과 함께 풀리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지지가이드를 구비한 연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플렉시블(FLEXIBLE)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 루트(ROUTE)에 제약이 없으며, 상기 케이블을 밀때 케이블의 절곡을 방지하여 플렉시블 케이블을 사용하면서도 케이블 로스(LOSS)를 없앨수 있고,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측과 컨트롤러측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의 구조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컨트롤러측에 설치되어 스위치와 연동하는 제1부재와, 공조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도어와 연동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외주면이 튜브로 감싸여진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외주면에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와 결합되도록 회전축이 형성된 풀리와, 상기 튜브로부터 인출된 케이블을 밀착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의 스위치와 공조케이스의 캠을 케이블로 연결할 때, 상기 케이블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수단을 설치하여 탄성재질의 지지가이드가 튜브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과 함께 풀리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케이블을 밀착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플렉시블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 루트에 제약이 없으며, 상기 풀리에 케이블을 감거나(당기거나) 풀때(밀때) 상기 케이블이 휘거나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렉시블 케이블을 사용하면서도 케이블 로스(LOSS)를 없앨수 있고, 아울러 케이블의 직경을 대폭 줄일 수 있어서 원가절감 및 설계자유도가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루트에 제약이 없게 됨에 따라 공조장치 및 컨트롤러의 설계시 상기 케이블의 루트를 감안하여 설계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설계의 제약 도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측과 컨트롤러측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의 구조가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홈과 풀리수용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보스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가이드가 보스부의 외주면을 따라 U턴하여 상기 풀리에 감기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가이드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의 몸체가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종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공조케이스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서 연결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서 연결수단의 풀리가 케이블을 풀거나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8 및 도 9의 보스부를 롤러로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100)는, 종래기술에서 기재한 세미 센터 타입 뿐만 아니라 센터 마운팅 타입, 쓰리피스 타입 등 다양한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공조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벤트(12a~12c)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공기통로상에는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의 공기통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와, 상기 각 벤트(12a~12c)측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벤트(12a~12c)의 개도를 조절하는 다수의 모드도어(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벤트(12a~12c)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2a)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2b)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2c)가 차례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각 벤트(12a~12c)들은 차량 실내의 특정 토출구와 덕트(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5)와 모드도어(16)들은 도 4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아암(28),레버(25),캠(21)에 의해 그 개폐각도가 조절 되는데, 이하, 상기 아암(28),레버(25),캠(21)을 통해 상기 모드도어(16)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온도조절도어(15)를 제어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상기 캠(21)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가장자리에 3개의 슬롯(22)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22)의 개수는 작동시키려고 하는 도어(16)의 수에 대응하여 가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는 돌출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캠(21)의 일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0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홈(23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캠(21)의 타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수단(105)의 풀리(120)에 형성된 회전축(121)이 결합되도록 결합홈(23b)이 형성된다.
상기 아암(28)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각 도어(16)들의 회전축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도어(16)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25)는 상기 캠(21)과 아암(28)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부는 핀(26)을 통해 상기 슬롯(2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아암(28)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캠(21)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상기 아암(28)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25)를 생략하고 상기 캠(21)의 슬롯(22)에 상기 아암(28)이 직접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차량의 센터페시어 패널에는 컨트롤러(50)가 설치되는데, 상기 컨트롤러(50)는, 일정형태의 하우징(51)에 스위치(50a)가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하우징(51)에는 송풍 속도의 조절을 위한 풍량 스위치(미도시)와, 공기의 토출 방향을 결정하는 모드 스위치(50a)와, 송풍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 스위치(미도시) 및 공조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에어컨 스위치(미도시) 등 다양한 스위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하우징(51)에 모드 스위치(50a)가 설치된 경우를 일예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위치(50a)는, 상기 하우징(51)의 전방측에 노브(8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51)의 후방측에는 상기 노브(80)의 회전시 케이블(13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수단(105)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블(130)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수단(105)이 상기 노브(80)와 함게 스위치(50a)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노브(80)에는 상기 연결수단(105)의 풀리(120)에 형성된 회전축(121)과 결합되도록 결합부(8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풀리(120)의 회전축(121)은 상기 노브(80)의 결합부(8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상기 풀리(120)의 회전축(121)과 상기 노브(80)의 결합부(81)를 연결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100)는, 차량 컨트롤러(50)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50a)와 연동하는 제1부재(101) 와,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내의 도어(16)와 연동하는 제2부재(102)와, 상기 제1부재(101)와 제2부재(102)를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외주면이 튜브(131)로 감싸여진 케이블(130)과, 상기 케이블(130)의 단부를 상기 제1부재(101) 또는 제2부재(102)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1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101)는 상기 스위치(50a)의 노브(80)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부재(102)는 상기 공조케이스(10)내의 도어(16)와 연동하는 캠(21)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2부재(102)는 상기 도어(16)와 연동하는 아암(28) 또는 레버(25)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130)은 자유롭게 휘거나 절곡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케이블(13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케이블(130)의 루트(ROUTE)에 제약이 없게 되고, 이로인해 공조장치(1) 및 컨트롤러(50)의 설계시 상기 케이블(130)의 루트를 감안하여 설계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설계의 제약도 없게 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블(130)은 상기 튜브(131)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케이블(130) 한 가닥으로 되어 있어서 케이블(130)의 수량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105)은, 외주면에 상기 케이블(13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제1부재(101) 또는 제2부재(102)와 결합되도록 회전축(121)이 형성된 풀리(120)와, 상기 튜브(131)로부터 인출된 케이블(130)을 밀착지지하는 지지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105)은, 상기 풀리(12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내부에 풀리수용부(1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수단(140)이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케이블(130)의 일단부가 풀리수용부(111)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된 몸체(1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풀리수용부(111)는 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풀리수용부(111)에 삽입된 상기 풀리(120)가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13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블(130)을 감싸는 튜브(131)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튜브결합부(11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튜브결합부(112)의 일측에는 상기 튜브(131)에서 인출된 케이블(130)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케이블지지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지지홈(113)은 상기 튜브(131)와 풀리(120)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130)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가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립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리(120)는 외주면에 상기 케이블(130)과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가이드(141)가 감길수 있도록 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중심에는 회전축(12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부재(101) 또는 제2부재(102)와 결합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요철부(12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부재(101)인 노브(80)에는 상기 회전축(121)의 요철부(121a)와 결합되도록 결합부(81)의 내주면에 요홈부(8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102)인 캠(21)의 일측면에도 상기 회전축(121)의 요철부(121a)와 결합되도록 요홈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0)측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수단(105)의 경우,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브라켓(117)이 더 구비되며, 상기 풀리(120)의 회전축(121)은 상기 제2부재(102)인 캠(21)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는 상기 브라켓(117)이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높이의 보스부(10b)가 복수개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캠(21)에는 상기 보스부(10b)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슬롯(24)이 형성되되 상기 슬롯(24)의 길이는 상기 캠(21)의 작동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50)측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수단(105)의 경우, 상기 몸체(110)가 상기 컨트롤러(50)를 구성하는 하우징(51)의 후방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풀리(120)의 회전축(121)은 상기 제1부재(101)인 노브(80)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140)은 상기 케이블(130)이 풀리(120)에 감기거나 풀릴 때 케이블(1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블(130)을 밀착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수단(140)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풀리수용 부(111)의 둘레에 인접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부가 상기 풀리수용부(111)의 내부와 연통하는 슬라이딩홈(142)과, 상기 슬라이딩홈(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부가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풀리(120)의 회전 작동시 상기 케이블(130)과 함께 풀리(12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케이블(130)을 밀착지지하는 탄성재질의 지지가이드(14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블(130)이 감길수 있도록 홈(12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가이드(141)의 일단부는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122)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지지가이드(141)의 일단부를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가이드(141)의 일단부는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서 상기 케이블(130)의 단부가 결합된 부분에 인접하여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풀리(120)의 홈(122)에 감긴 케이블(130)과 상기 풀리수용부(111)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가이드(141)가 개재되어 상기 케이블(130)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142)과 상기 풀리수용부(111)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지지가이드(141)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142)의 반경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가이드(141)가 U턴하여 상기 풀리(120)에 감기게 하는 보스부(14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드(141)는 상기 슬라이딩홈(142)의 내부에서 상기 풀 리(1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가이드(141)의 일단부가 상기 보스부(145)의 외주면에서 U턴하여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홈(142)의 삽입된 지지가이드(141)는 상기 풀리(1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풀리(1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상기 지지가이드(141)가 상기 보스부(145)의 외주면을 따라 U턴하면서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기 때문에 지지가이드(141)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재질의 지지가이드(141)를 한 가닥만 사용하면서 상기 케이블(130)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홈(142)과 상기 풀리수용부(111)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지지가이드(141)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가이드(141)가 U턴하여 상기 풀리(120)에 감기게 하는 롤러(146)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보스부(145)가 설치된 부분에 보스부(145) 대신 롤러(146)를 설치하여 상기 보스부(145)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롤러(146)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풀리(1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상기 지지가이드(141)가 상기 롤러(146)를 회전시키면서 롤러(146)의 외주면을 따라 U턴하여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의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튜브(131)와 케이블(130), 풀리(120), 지지가이드(141)를 조립한 후에 개방된 일측을 밀폐하도록 커버(115)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장치(100)는, 상기 컨트롤러(50)의 스위치(50a)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캠(21)을 케이블(130)로 연결할 때 상기 케이블(13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수단(105)을 설치하여 상기 튜브(131)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130)이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릴때 상기 탄성재질의 지지가이드(141)도 함께 감기거나 풀리면서 케이블(130)을 밀착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플렉시블 케이블(130)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130) 루트에 제약이 없으며, 상기 풀리(120)에 케이블(130)을 감거나(당기거나) 풀때(밀때) 상기 케이블(130)이 휘거나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렉시블 케이블(130)을 사용하면서도 케이블(130) 로스(LOSS)를 없앨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0)측과 컨트롤러(50)측에 설치되는 연결수단(105)의 구조가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탑승자가 차량 컨트롤러(50)의 스위치(50a)의 노브(8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50)의 하우징(51)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브(80)와 연결되는 연결수단(105)의 풀리(12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풀리(120)는 상기 노브(80)와 연동하여 상기 몸체(110)의 풀리수용부(111)내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0)측 연결수단(105)에 설치된 풀리(12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게 되면 상기 케이블(130)을 통해 연결된 상기 공조케이스(10)측 연결수단(105)에 설치된 풀리(120)도 연동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컨트롤러(50)측에 설치된 연결수단(105)의 풀리(120)에 상기 케이블(130)의 일단부가 감겨지면서 케이블(130)을 당기게 되면, 상기 케이블(130)의 타단부는 상기 공조케이스(10)측에 설치된 연결수단(105)의 풀리(120)를 회전방향으로 당기면서 풀리게 되고, 반대로 상기 컨트롤러(50)측에 설치된 연결수단(105)의 풀리(120)에서 상기 케이블(130)의 일단부가 풀려지면서 케이블(130)을 밀게 되면, 상기 케이블(130)의 타단부는 상기 공조케이스(10)측에 설치된 연결수단(105)의 풀리(120)를 회전방향으로 밀면서 감기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공조케이스(10)측에 설치된 연결수단(105)의 풀리(12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풀리(120)의 회전축(121)과 연결 결합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캠(21)이 회전 작동하게 되고, 상기 캠(21)이 회전하면, 상기 레버(25)의 핀(26)이 상기 캠(21)의 슬롯(22)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레버(25)가 일정각도 회전 작동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는 상기 아암(28)이 상기 도어(16)들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풀리(120)가 상기 몸체(110)의 풀리수용부(111)내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면서 상기 케이블(130)의 단부를 감거나(당기거나) 풀때(밀때),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 결합된 지지가이드(141)도 상기 케이블(130)과 함께 풀리(12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튜브(131)에서 인출된 케이블(130)의 측면을 밀착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케이블(130)이 휘거나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도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아암,레버,캠이 공조케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컨트롤러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공조케이스측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서 연결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서 연결수단의 풀리가 케이블을 풀거나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도 8 및 도 9의 보스부를 롤러로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케이블 연결장치 101: 제1부재
102: 제2부재 105: 연결수단
110: 몸체 111: 풀리수용부
112: 튜브결합부 115: 커버
117: 브라켓 120: 풀리
121: 회전축 121a: 요철부
122: 홈
130: 케이블 131: 튜브
140: 지지수단 141: 지지가이드
142: 슬라이딩홈 145: 보스부
146: 롤러

Claims (11)

  1. 차량 컨트롤러(50)측에 설치되어 스위치(50a)와 연동하는 제1부재(101)와,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0)내의 도어와 연동하는 제2부재(102)와, 상기 제1부재(101)와 제2부재(102)를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외주면이 튜브(131)로 감싸여진 케이블(130)과, 상기 케이블(130)의 단부를 상기 제1부재(101) 또는 제2부재(102)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1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05)은,
    외주면에 상기 케이블(13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제1부재(101) 또는 제2부재(102)와 결합되도록 회전축(121)이 형성된 풀리(120)와,
    상기 튜브(131)로부터 인출된 케이블(130)을 밀착지지하는 지지수단(140)과,
    상기 풀리(12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내부에 풀리수용부(1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상기 케이블(130)의 일단부가 풀리수용부(111)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된 몸체(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수단(140)은, 상기 풀리수용부(111)의 둘레에 인접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부가 상기 풀리수용부(111)의 내부와 연통하는 슬라이딩홈(142)과, 상기 슬라이딩홈(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됨과 아울러 일단부가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풀리(120)의 회전 작동시 상기 케이블(130)과 함께 풀리(12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케이블(130)을 밀착지지하는 지지가이드(1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가이드(141)는 상기 풀리(12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142)과 상기 풀리수용부(111)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지지가이드(141)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142)의 반경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가이드(141)가 U턴하여 상기 풀리(120)에 감기게 하는 보스부(1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142)과 상기 풀리수용부(111)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지지가이드(141)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가이드(141)가 U턴하여 상기 풀리(120)에 감기게 하는 롤러(14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블(130)이 감길수 있도록 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풀리(120)의 홈(122)에 감긴 케이블(130)과 상기 풀리수용부(111)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가이드(141)가 개재되어 상기 케이블(130)을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3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블(130)을 감싸는 튜브(131)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튜브결합부(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05)이 상기 공조케이스(10)측에 설치될 경우,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브라켓(117)이 더 구비되며, 상기 풀리(120)의 회전축(121)은 상기 제2부재(102)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05)이 상기 컨트롤러(50)측에 설치될 경우, 상기 몸체(110)는 상기 컨트롤러(50)를 구성하는 하우징(51)의 후방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풀리(120)의 회전축(121)은 상기 제1부재(101)의 회전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KR1020080024433A 2008-03-17 2008-03-17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KR10141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433A KR101418861B1 (ko) 2008-03-17 2008-03-17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US12/402,676 US20090229388A1 (en) 2008-03-17 2009-03-12 Cable connecting apparatus of controller for air conditoner in vehicle
AT09290183T ATE488389T1 (de) 2008-03-17 2009-03-13 Kabelverbindungsvorrichtung einer steuerung für klimaanlagen in fahrzeugen
EP09290183A EP2103459B1 (en) 2008-03-17 2009-03-13 Cable connecting apparatus of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DE602009000360T DE602009000360D1 (de) 2008-03-17 2009-03-13 Kabelverbindungsvorrichtung einer Steuerung für Klimaanlagen in Fahrzeugen
CN2009101288424A CN101539324B (zh) 2008-03-17 2009-03-17 用于车用空调器的控制器的缆线连接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433A KR101418861B1 (ko) 2008-03-17 2008-03-17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280A KR20090099280A (ko) 2009-09-22
KR101418861B1 true KR101418861B1 (ko) 2014-07-15

Family

ID=4112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433A KR101418861B1 (ko) 2008-03-17 2008-03-17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8861B1 (ko)
CN (1) CN1015393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03312A2 (pt) * 2009-09-29 2011-06-14 Valeo Sistemas Automotivos sistema de cabo de traÇço dupla a ser aplicado em uma unidade de controle de climatizaÇço de veÍculos automotivos e dispositivo de controle de uma unidade de controle de climatizaÇço de veÍculos automotivos
DE102013207340B4 (de) * 2012-04-30 2020-03-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Halterung mit einem sekundären verriegelungsmerkmal für die anbringung eines schaltseils an einem getriebe und getriebe mit einer halterungsanordnung
US9273719B2 (en) 2012-04-30 2016-03-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racket having a secondary locking feature for attachment of a shift cable to a transmission
CN105835659B (zh) * 2016-04-07 2018-06-08 重庆松芝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
CN105904935A (zh) * 2016-05-31 2016-08-31 北汽银翔汽车有限公司 一种空调冷热控制中软拉索固定座
US11220156B2 (en) * 2017-09-25 2022-01-11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545125B1 (ko) * 2017-09-25 2023-06-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251A (ja) * 1995-08-25 1997-03-04 Toyoda Gosei Co Ltd ダイヤル式ワイヤ駆動装置
JP2001347824A (ja) * 2000-06-08 2001-12-18 Denso Corp 手動操作機構
JP2004210188A (ja) 2003-01-07 2004-07-29 Tokai Rika Co Ltd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251A (ja) * 1995-08-25 1997-03-04 Toyoda Gosei Co Ltd ダイヤル式ワイヤ駆動装置
JP2001347824A (ja) * 2000-06-08 2001-12-18 Denso Corp 手動操作機構
JP2004210188A (ja) 2003-01-07 2004-07-29 Tokai Rika Co Ltd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9324B (zh) 2011-01-26
KR20090099280A (ko) 2009-09-22
CN101539324A (zh)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861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EP2103459B1 (en) Cable connecting apparatus of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1467263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KR1017587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3001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KR101492148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KR1014816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3000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캠 및 구동유닛의 조립체
KR10119979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128831A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KR1015780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4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캠 및 구동유닛 조립체
KR10144555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캠 및 구동유닛의 조립체
KR1012002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7480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캠 구동유닛
JP4239433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751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44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715323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507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66570B1 (ko) 자동차용 냉방장치의 이베퍼레이터 장착 구조
KR10136448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9263120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1737921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구동장치
KR1013645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