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406B1 - 콘택트와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 및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콘택트와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 및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406B1
KR101415406B1 KR1020070124855A KR20070124855A KR101415406B1 KR 101415406 B1 KR101415406 B1 KR 101415406B1 KR 1020070124855 A KR1020070124855 A KR 1020070124855A KR 20070124855 A KR20070124855 A KR 20070124855A KR 101415406 B1 KR101415406 B1 KR 101415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tact
spring piece
plate spr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413A (ko
Inventor
아키히로 타나카
야스오 나카이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어댑터나 카드 커넥터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에 안정된 접촉압과 고수명을 확보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 수단에 있어서는, 카드 어댑터나 카드 커넥터의 카드삽입공간(5f)에 배치해서, 카드(1)의 편부 주요면에 형성된 접촉패드(2)에 접촉시키는 카드접촉용 콘택트(11)를, 한쪽에 제1 지점(支點)부(11b)를 가지는 제1 판스프링편부(11c)가, 카드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1 지점부(11b)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고, 이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다른 쪽을 제2 지점부(11d)로서 한쪽에 가지는 제2 판스프링편부(11e)가, 카드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2 지점부(11d)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제2 판스프링편부(11e)의 다른 쪽을 카드(1)의 접촉패드(2)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택트와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 및 카드 커넥터{CONTACT, AND CARD ADAPTER AND CARD CONNECTOR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 등의 카드의 편부 주요면에 형성된 접촉패드에 접촉시키는 콘택트와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 및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카드를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및 하나의 규격, 즉 소형화 이전의 메모리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 하나의 규격보다 소형화된 다른 규격의 메모리카드를 접속하기 위한 카드 어댑터의 각각의 카드삽입공간에는, 카드의 편부 주요면에 병설된 복수의 접촉패드의 각각에 접촉시키는 양호한 도전성의 금속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콘택트(접촉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콘택트는, 한쪽에 하중을 지지하는 지점(支點)부를 가지고, 그 지점부로부터 경사각을 갖게 해서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신하는 단순한 캔틸레버형상으로 형성되고, 콘택트의 다른 쪽을 카드의 접촉패드에 가압접촉해서 접촉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콘택트와 그것을 구비한 종래의 카드 어댑터 및 카드 커넥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에 의해서 공지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15000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6-269102호 공보
카드접촉용 콘택트의 현재의 상태로서는, 휴대전화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소형ㆍ박형화나 카드 자체의 소형ㆍ박형화에 의해, 콘택트도 소형화되며, 또한 콘택트 변위량도 한층더 억제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충분한 접촉압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접촉압은 훅의 법칙에 따라서 콘택트 변위량에 비례함).
종래의 콘택트는, 단순한 캔틸레버형상으로 형성된 대향형으로서, 카드삽입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이 있으며, 콘택트 변위량을 어느 일정이상으로 증대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충분한 접촉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프링 정수를 증대시킬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도 18에 도시한 콘택트의 접촉압 F(N)와 변위량 x(mm)의 관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콘택트의 스프링 정수 k를 증대시키면, 적정한 접촉압을 얻을 수 있는 변위량의 범위가 협소해지기 때문에(B < A), 접촉부의 위치를 엄밀히 관리해서 불균일을 억제하지 않으면 안정된 접촉압은 얻을 수 없으며, 안정된 접촉압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 구조적으로 1개소(1개의 지점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데에 부가해서, 발생하는 응력도 스프링 정수 k의 증대에 따라서 상승하기 때문에 수명이 단축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콘택트형상에서는, 안정된 접촉압과 고수명을 확보할 수 없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콘택트는, 카드삽입공간에 배치해서, 카드의 편부 주요면에 형성된 접촉패드에 접촉시키는 콘택트에 있어서, 한쪽에 제1 지점부를 가지는 제1 판스프링편부가, 카드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1 지점부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고, 이 제1 판스프링편부의 다른 쪽을 제2 지점부로서 한쪽에 가지는 제2 판스프링편부가, 카드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2 지점부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제2 판스프링편부의 다른 쪽을 카드의 접촉패드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콘택트는, 카드의 접촉패드에 접촉시키는 판스프링편부(제2 판스프링편부)가 이 지점부(제2 지점부)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순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비대향형으로 되기 때문에, 카드삽입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이 없고, 콘택트의 변위량을 증감함으로써, 접촉압을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의 스프링 정수를 증대시키지 않아도 충분한 접촉압을 확보할 수 있고, 적정한 접촉압을 얻을 수 있는 변위량의 범위가 좁아지지 않으며, 접촉부의 위치를 엄밀히 관리해서 불균일을 억제할 필요도 없어진다. 따라서, 콘택트의 안정된 접촉압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구조적으로 2개소(제1 판스프링편부의 제1 지점부와 제2 판스프링편부의 제2 지점부)에 응력을 분산할 수 있는 데에 부가해서, 발생하는 응력도 스프링 정수를 증대시키지 않음으로써 작게 억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응력완화에 의해 콘택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 다.
본 발명의 콘택트에 있어서는, 제2 판스프링편부는, 제1 판스프링편부의 다른 쪽으로 접어 꺾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제1 판스프링편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세워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는, 제2 판스프링편부를 제1 판스프링편부의 다른 쪽으로 접어 꺾은 부분(굽힘반경)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순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할 수 있어서, 보다 큰 콘택트의 변위량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콘택트의 안정된 접촉압이 보다 확보되기 쉬워진다.
또, 본 발명의 콘택트에 있어서는, 제1 판스프링편부의 제1 지점부에, 카드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에의 장착부를 일체적으로 연설(連設)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의 제1 판스프링편부와는 반대쪽으로, 외부접속용 단자를 일체적으로 연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는, 상기 본 발명의 콘택트를 구비하는 동시에, 카드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가, 카드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카드보다도 대형인 다른 카드의 외형형상을 구비한 어댑터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상기 본 발명의 콘택트를 구비하는 동시에, 카드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가, 콘택트를 장착하는 절연성의 하부케이스와 이 하부케이스에 피착하는 도전성의 상부케이스에 의해 상자형상을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택트에 의하면, 안정된 접촉압과 고수명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드 어댑터에 의하면, 그것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에 안정된 접촉압과 고수명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에 의하면, 그것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에 안정된 접촉압과 고수명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를 도 1 ~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규격, 즉 소형화 이전의 메모리카드, 예를 들면 메모리스틱 PRO Duo(소니 가부시키가이샤의 상표)(이하, 「대형카드」라고 함)를, 하나의 규격보다 소형화된 다른 규격의 메모리카드, 예를 들면 메모리스틱 마이크로(소니 가부시키가이샤의 상표)(이하, 「소형카드」라고 함)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 어댑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를 사용하는 소형카드의 (a) 표면도, (b) 측면도, (c) 이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카드(1)는, 이 소형카드(1)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나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에의 삽입 시에, 앞쪽에 위치하여, 위쪽과 아래쪽의 각각에 테이퍼부(1a, 1b)를 가지고 단면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단부(1c)와, 뒤쪽에 위치하여,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단부(1d)를 구비하고 있다. 또, 좌우 양쪽 가장자리부분의 각각에는, 후단부(1d)와 협동해서, 이 소형카드(1)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나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에의 앞뒤 반대의 오삽입 및 안팎 반대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단차부(1e, 1f)를 가지고, 이들 단차부(1e, 1f)의 후단부(1d)쪽에는, 이 소형카드(1)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의 삽입 시에, 소형카드(1)를 카드 커넥터의 장착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1g, 1h)가 형성되는 동시에, 도 1(a)에 있어서 우측의 단차부(1f)에 있어서의 오목부(1h)로부터 전단부(1c)쪽에는,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에의 삽입 시에, 소형카드(1)를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의 장착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1i)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편부 주요면)의 전단부(1c)쪽에는, 외부접속용 접촉패드(2)가 복수(11개) 병설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의 표면쪽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의 이면쪽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는, 안쪽에 소형카드(1)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어댑터 본체(4)가 대형카드의 외형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대형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어댑터 본체(4)는, 대형카드와 마찬가지로, 대형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의 삽입 시에, 앞쪽에 위치하고, 아래쪽에 테이퍼부(4a)를 가지는 전단부(4b)와, 뒤쪽에 위치하여,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단부(4c)를 구비하고 있다. 또, 대형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의 앞뒤 반 대의 오삽입이나 안팎 반대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단부(4b)쪽의 도 2에 있어서 좌단부에 각락부(4c)를 가지는 동시에, 이 각락부(4c)의 바로 뒤쪽의 이면(편부 주요면)에는, 앞쪽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오목부(4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의 전단부(4b)쪽에는, 외부접속용 단자보호용으로 앞쪽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오목부(4e)가 오삽입방지용 오목부(4d)와 병렬로 나열해서 복수(10개) 형성되고, 이 외부접속용 단자보호용 오목부(4e)의 각각의 바닥부에 외부접속용 단자(4f)가 배치되어서, 이면(편부 주요면)의 전단부(4b)쪽에, 외부접속용 단자(4f)가 복수(1O개) 병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어댑터 본체(4)에는, 이 후단부(4c)쪽의 측면에 소형카드(1)를 삽입하는 카드삽입구(4g)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1피스 구조의 하부케이스(5)와, 이 하부케이스(5)에 의해 어댑터 본체(4)를 구성하는 2피스 구조의 상부케이스, 즉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커버(6) 및 정전파괴대책이나 노이즈대책을 실시하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커버(7)와, 어댑터 본체(4)에 내장하고, 소형카드(1)를 어댑터 본체(4)의 장착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록스프링(8)과,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인슐레이터(절연체)(9)에 일체적으로 유지해서 어댑터 본체(4)에 내장하고, 금속커버(7)에 접촉시켜서 양쪽 단부의 외부접속용 단자(4f)를 도통 접속시키는 복수(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및, 소형카드(1)의 접촉패드(2)에 접촉시켜서 대응하는 외부접속용 단자(4f)를 도통 접 속시키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복수(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의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상부케이스 장착 전의 반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5)는, 바닥벽(底壁)(5a)과, 바닥벽(5a)의 전단부 가장자리부분 및 좌우 양쪽 가장자리부분에 세운 상태로 형성된 측벽(5b)을 일체적으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며, 측벽(5b)에는, 상부케이스 위치결정용 오목부(5c-1)를 복수 형성하는 동시에, 측벽(5b)의 상부에는, 상부케이스 용착(溶着)용 볼록부(5c-2)를 위쪽으로 돌출해서 복수 형성하고 있다. 또, 하부케이스(5)의 안쪽에는, 이 전단부쪽에 외부접속용 단자(4f)를 위치결정해서 지지하기 위한 외부접속용 단자장착부(5d)를 형성하고, 이 외부접속용 단자장착부(5d)의 뒤쪽에 인슐레이터(9)를 위치결정해서 지지하기 위한 인슐레이터장착부(5e)를 연통해서 연속 형성하고, 이 인슐레이터장착부(5)의 뒤쪽에 카드삽입공간(5f)을 연통해서 연속 형성하고, 이 카드삽입공간(5f)의 후단부쪽이 카드삽입구(4f)에 연통 접속된다. 또, 외부접속용 단자장착부(5d)의 바닥면에는, 외부접속용 단자보호용인 오목부(4e)의 각각에 관통하는 외부접속용 단자노출구멍(5g)이 복수(10개) 병설되어 있다. 또, 측벽(5b)에는, 인슐레이터장착부(5)의 후단부쪽에서 도 4에 있어서 좌측의 모서리부에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소형카드(1)의 카드삽입공간(5f)에의 삽입 시에, 소형카드(1)의 전단부(1c)를 멈추게 해서 그 소형카드(1)의 삽입규제를 실행하기 위한 스토퍼부(5h)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부(5h)의 두께 내에 는, 한쪽의 실드용 콘택트(10)를 장착하기 위한 콘택트장착부(5j)가 인슐레이터장착부(5)에 연통해서 연속 형성되는 동시에, 바닥벽(5a)에는, 인슐레이터장착부(5)의 후단부쪽에서 도 4에 있어서 우측의 모서리부 부근에 섬형상으로 세워 형성하고, 소형카드(1)의 카드삽입공간(5f)에의 삽입 시에, 소형카드(1)의 전단부(1c)를 멈추게 해서 이 소형카드(1)의 삽입규제를 실행하기 위한 스토퍼부(5k)가 형성되고, 인슐레이터장착부(5)의 후단부쪽에서 도 4에 있어서 우측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부(5k)와 측벽(5b)의 틈새에서, 다른 쪽의 실드용 콘택트(10)를 장착하기 위한 콘택트장착부(5m)가 인슐레이터장착부(5e) 및 카드삽입공간(5f)에 연통해서 연속 형성되어 있다. 또, 카드삽입공간(5f)의 바닥면에는, 이 전단부쪽(깊숙한 쪽)에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에 대응해서 앞뒤방향(카드삽발방향)으로 연신하는 미세 폭의 콘택트수용홈(5n)이 복수(9개) 병설되어 있다. 또한, 카드삽입공간(5f)의 도 4에 있어서 우측에 있는 측벽의 두께 내에는, 록스프링(8)을 장착하기 위한 록스프링장착부(5q)가 형성되고, 그 록스프링장착부(5q)의 후단부쪽이 카드삽입공간(5f)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의 소형카드 장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4,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커버(6) 및 금속커버(7)로 이루어지는 2피스 구조의 상부케이스는, 수지커버(6)에 의해 카드삽입공간(5f) 이외의 하부케이스(5) 상부를 일체적으로 피복하고, 금속커버(7)에 의해 카드삽입공간(5f)의 상 부를 피복하도록, 수지커버(6)는, 이 후단부쪽에 카드삽입공간(5f)에 대응하는 크기의 노치부(6a)를 가지고, 뒤쪽을 향해서 개구되는 대략 ㄷ자를 거꾸로 한 형상(コ)으로 형성되고, 금속커버(7)는, 수지커버(6)의 노치부(6a) 형상에 대응해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노치부(6a)에 끼워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수지커버(6)의 내부표면에는, 하부케이스(5)의 상부케이스 위치결정용 오목부(5c-1)의 각각에 끼워 맞추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상부케이스 위치결정용 볼록부 및 하부케이스(5)의 상부케이스용착용 볼록부(5c-2)의 각각에 끼워 맞추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상부케이스용착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금속커버(7)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부분의 각각에는, 카드삽입공간(5f)의 좌우 양쪽에 있는 하부케이스(5)의 측벽(5b) 상부에 중첩하는 고정편(7a, 7b)이, 단차부(7c, 7d)를 개재해서 1단 낮춰서 일체적으로 연설되고, 이들 고정편(7a, 7b)의 각각에는, 카드삽입공간(5f)의 좌우 양쪽에 있는 하부케이스(5)의 상부케이스용착용 볼록부(5c-2)에 끼워 맞추는 금속커버위치결정용 상하 관통의 걸어맞춤구멍(7e)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커버(7)의 전단부 가장자리부분은, 하향으로 굽힘 형성되어서 금속커버위치결정용 걸어맞춤편(7f)으로 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스프링(8)은,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금속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이 록스프링(8)의 일단부쪽에는, 금속판 스프링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산형상으로 구부려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8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의 조립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스프 링(8)을 하부케이스(5)의 록스프링장착부(5q)에 장착하고, 록스프링(8)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 걸어맞춤부(8a)를 록스프링장착부(5q) 후단부쪽의 카드삽입공간(5f)과의 연통부로부터 카드삽입공간(5f)으로 돌출시킨다. 또, 인슐레이터(9)를 하부케이스(5)의 인슐레이터장착부(5e)에 장착하고, 모든 외부접속용 단자(4f)와 함께 실드용 콘택트(10) 및 카드접촉용 콘택트(11)를 하부케이스(5)에 일괄적으로 장착한다. 이후, 금속커버(7)의 걸어맞춤구멍(7e)을 하부케이스(5)의 상부케이스용착용 볼록부(5c-2)에 끼워 맞추는 동시에, 금속커버(7)의 전단부 가장자리부분의 걸어맞춤편(7f)을 인슐레이터(9)의 후술하는 걸어맞춤홈에 끼워 맞추면서, 금속커버(7)의 고정편(7a, 7b)을 카드삽입공간(5f)의 좌우 양쪽에 있는 하부케이스(5)의 측벽(5b) 상부에 중첩해서, 금속커버(7)에 의해 카드삽입공간(5f)의 상부를 피복한 후, 수지커버(6)의 상부케이스 위치결정용 볼록부 및 상부케이스용착용 오목부를 하부케이스(5)의 상부케이스 위치결정용 오목부(5c-1) 및 상부케이스용착용 볼록부(5c-2)에 끼워 맞추는 동시에, 금속커버(7)를 수지커버(6)의 노치부(6a)에 끼워 맞추면서, 금속커버(7)의 고정편(7a, 7b)과 인슐레이터(9)를 하부케이스(5)와의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수지커버(6)에 의해 카드삽입공간(5f) 이외의 하부케이스(5)의 상부를 피복하고, 도 2,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커버(6)와 금속커버(7)로 이루어지는 2피스 구조의 상부케이스에 의해 하부케이스(5)의 상부 전체면을 피복한다. 그리고, 수지커버(6)에 의해 카드삽입공간(5f) 이외의 하부케이스(5)의 상부를 피복한 후에, 끼워맞춤상태의 하부케이스(5)의 상부케이스용착용 볼록부(5c-2)와 수지커버(6)의 상부케이스 위치결정용 볼록부를 초음파 용착해서, 수지커버(6)와 금속 커버(7)로 이루어지는 2피스 구조의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5) 상부에 고정시키고, 어댑터 본체(4)를 형성함으로써,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는, 어댑터 본체(4)가,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카드의 외형형상을 구비해서, 이 후단부(4c)쪽의 측면에 카드삽입구(4g)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스프링(8)이 어댑터 본체(4)에 내장되는 동시에, 인슐레이터(9)를 개재해서 모든 외부접속용 단자(4f)와 함께 실드용 콘택트(10) 및 카드접촉용(11)이 어댑터 본체(4)에 일괄적으로 내장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 본체(4) 내에 있어서의 인슐레이터(9)의 뒤쪽에는, 인슐레이터(9)에 의해 폐쇄된 전단부 및 카드삽입구(4g)에 의해 외부에 개방된 후단부를 가지는 카드삽입공간(5f)이 형성되고, 도 2,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카드(1)가 어댑터 본체(4)의 카드삽입구(4g)를 통과해서 카드삽입공간(5f)에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에 구비하는 콘택트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콘택트군의 (a) 평면도, (b) 정면도, (c) 측면도이다. 또, 도 10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에 구비하는 콘택트군을 성형한 후프(hoop)재의 (a) 평면도, (b) 단면도, (c)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에 구비하는 콘택트군, 즉 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및 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호한 도전성을 지닌 스프링재료로 이루 어지는 후프재(12)에 타발가공에 의해 병렬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성형된다. 이 성형상태에서는, 콘택트군의 좌우 양쪽 단부에 2개의 실드용 콘택트(10)가 형성되고, 이 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사이에 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가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실드용 콘택트(10)의 각각에는, 이 중간부에 어댑터 본체(4)에의 장착부(10a)가 형성되고,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에도, 이 중간부에 어댑터 본체(4)에의 장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0에 있어서 우측의 실드용 콘택트(10)의 장착부(10a)는, 도 10에 있어서 우단부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장착부(11a)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도 10에 있어서 좌측의 실드용 콘택트(10)의 장착부(10a)와 도 10에 있어서 좌단부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장착부(11a)의 사이 및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장착부(11a)의 사이에는, 인접하는 장착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2a)가 복수 형성되는 동시에, 실드용 콘택트(10)의 각각의 장착부(10a)와 후프재(12)의 사이에는, 일체로 연결된 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및 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콘택트군)를 후프재(캐리어)(12)에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2b)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0에 있어서 좌측의 실드용 콘택트(10)의 장착부(10a)와 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장착부(11a)에는, 이 일단부쪽에 외부접속단자(4f)가 일체적으로 연속 형성되어서, 일체로 연결된 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및 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콘택트군)의 일단부쪽에 외부접속단자(4f)가 복수(10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우단부의 외부접속단자(4f)는, 도 10에 있어서 우측의 실드용 콘택트(10)와 도 10에 있어서 우단부의 카드접촉용 콘택 트(11)와의 공통의 외부접속단자로 되어 있다.
또한, 실드용 콘택트(10)의 각각의 장착부(10a)에는, 이 타단부쪽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이 굴곡부를 하중을 지지하는 지점부(10b)로서 한쪽(근원(根元)부)에 가지고, 후프재(12)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점부(10b)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단면 대략 「へ」자 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편부(10c)가 형성되고, 이 판스프링편부(10c)의 다른 쪽(자유단부쪽)에 금속커버(7)에 접촉시키는 접촉부(1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장착부(11a)는, 이 타단부쪽이 실드용 콘택트(10)의 각각의 접촉부(10d)의 사이까지 연신되고, 이 선단부쪽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이 굴곡부를 하중을 지지하는 제1 지점부(11b)로서 한쪽(근원부)에 가지고, 후프재(12)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1 지점부(11b)로부터 장착부(11a)와의 사이에 단차를 가지고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판스프링편부(11c)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제1 판스프링편부(11c)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세움으로써, 이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다른 쪽(자유단부쪽)에 형성되는 굴곡부를 하중을 지지하는 제2 지점부(11d)로서 한쪽(근원부)에 가지고, 후프재(12)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2 지점부(11d)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제1 판스프링편부(11c)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단면 대략 「へ」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판스프링편부(11e)가 형성되고, 이 제2 판스프링편부(11d)의 다른 쪽(자유단부쪽)에 소형카드(1)의 대응하는 접촉패드(2)에 접촉시키는 접촉부(11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후프재(캐리어)(12)에 타발가공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성형된 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및 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콘택트군)는, 다음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실드용 콘택트(10) 및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장착부(1Oa, 11a)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일체적으로 몰드되어서, 이 몰드수지에 의해서 성형된 인슐레이터(9)와 일체화된다.
인슐레이터(9)는, 하부케이스(5)의 인슐레이터장착부(5e)에 끼워 맞추도록,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케이스(5)의 외부접속용 단자장착부(5d)의 후단부쪽(인슐레이터장착부(5e)의 전단부쪽)에 위치하는 평탄면인 전단부(9a)와, 하부케이스(5)의 콘택트장착부(5j, 5m)의 각각의 전단부쪽에 위치하는 후단부의 양쪽 단부(9b, 9c) 및 이 후단부의 양쪽 단부(9b, 9c)의 사이에서 뒤쪽으로 돌출해서 하부케이스(5)의 스토퍼부(5h, 5k)의 사이에 위치하는 후단부의 중앙부(9b)를 가지는 계단식의 후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후단부의 중앙부(9b)쪽의 상부면에는, 금속커버(7)의 전단부 가장자리부분의 걸어맞춤편(7f)을 끼워 맞추는 걸어맞춤홈(9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몰드부에는, 실드용 콘택트(10)와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연결부(12a)를 인슐레이터(9)의 상하부면에 노출시키는 상하 관통의 빼기구멍(9f)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후프재(캐리어)(12)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인서트 성형된 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및 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콘택트군)는, 다음에, 타발가공에 의해, 인슐레이터(9)의 빼기구멍(9f)의 각각에 공구를 통과해서 실드용 콘택트(10)와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연결부(12a)를 절단하고, 일체로 연 결된 상태의 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및 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를 개별적으로 분리한다. 또, 그것과 동시에 인슐레이터(9)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후프재(캐리어)(12)와의 연결부(12b)도 절단하고, 후프재(캐리어)(12)로부터도 분리함으로써, 도 5,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에 구비하는 콘택트군, 즉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인슐레이터(9)에 일체적으로 유지된 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및 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를 가지는 전기접속부품으로서 완성한다.
인슐레이터(9)에 일체적으로 유지된 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및 9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는, 각각의 장착부(10a, 11a)가 인슐레이터(9) 내에 매설되고, 각각의 외부접속용 단자(4f)가 인슐레이터(9)의 전단부(9a)의 측면에서 앞쪽으로 길이를 맞춰서 병렬로 돌출되어 있다. 또, 실드용 콘택트(10)의 각각의 지점부(10b)와 그것보다 앞쪽인 판스프링편부(10c), 접촉부(10d)는, 인슐레이터(9)의 후단부의 양쪽 단부(9b, 9c)의 각각의 측면에서 뒤쪽으로 병행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지점부(11b)와 그것보다 앞쪽인 제1 판스프링편부(11c), 제2 지점부(11d), 제2 판스프링편부(11e), 접촉부(11f)는, 인슐레이터(9)의 후단부의 중앙부(9d)의 측면에서 뒤쪽으로 병렬로 돌출되어 있다.
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를 조립할 때에, 인슐레이터(9)를 하부케이스(5)의 인슐레이터장착부(5e)에 장착함으로써, 인슐레이터(9)(실드용 콘택트(10) 및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장착부(10a, 11a))가 인슐레이터장착부(5e)에 위치결정되어서 지지된다. 또, 외부접속용 단자장 착부(5d)의 후단부쪽의 측면이 되는 인슐레이터(9)의 전단부(9a)쪽의 측면에서 앞쪽으로 병렬로 돌출되어 있는 실드용 콘택트(10) 및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외부접속용 단자(4f)가, 외부접속용 단자장착부(5d)에 외부접속용 단자노출구멍(5g)의 각각의 위에서 위치결정되어서 지지된다. 또한, 인슐레이터(9)의 후단부의 양쪽 단부(9b, 9c)쪽의 각각의 측면에서 뒤쪽으로 병행해서 돌출되어 있는 실드용 콘택트(10)의 각각의 지점부(10b)와 그것보다 앞쪽인 판스프링편부(1Oc), 접촉부(10d)가, 콘택트장착부(5j, 5m) 내에 수납 배치된다. 또, 카드삽입공간(5f)의 전단부쪽(깊숙한 쪽)의 측면이 되는 인슐레이터(9)의 후단부의 중앙부(9d)쪽의 측면에서 뒤쪽으로 병렬로 돌출되어 있는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지점부(11b)와 그것보다 앞쪽인 제1 판스프링편부(11c), 제2 지점부(11d), 제2 판스프링편부(11e), 접촉부(11f)와 함께 카드삽입공간(5f) 내의 전단부쪽(깊숙한 쪽)에 수납 배치된다.
또한,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의 조립 최종단계에서, 수지커버(6)와 금속커버(7)로 이루어지는 2피스 구조의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5) 상부에 고정시켜서 어댑터 본체(4)를 형성함으로써, 인슐레이터(9)와 실드용 콘택트(10) 및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외부접속용 단자(4f)는, 그들의 상부가 수지커버(6)에 의해 압압되어서, 어댑터 본체(4) 내에 고정된다. 또, 도 5에 있어서 좌측의 실드용 콘택트(10)의 접촉부(10d)가 금속커버(7)의 고정편(7a)에 의해 압압되어서 접촉되고, 도 5에 있어서 우측의 실드용 콘택트(10)의 접촉부(10d)가 금속커버(7)에 의해 압압되어서 접촉되고, 실드용 콘택 트(10)의 각각이 금속커버(7)를 양쪽 단부의 외부접속용 단자(4f)에 상시 도통 접속시킨다.
또,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접촉부의 변위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접촉부의 변위 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삽입공간(5f)의 바닥면 전단부쪽(깊숙한 쪽)에 복수 병설되어 있는 콘택트수용홈(5n)의 각각에는, 그 깊이가 전단부쪽으로부터 후단부쪽을 향해서 점차 깊어지도록 경사진 바닥면(5p)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11c)는, 이 한쪽(근원부)에 가지는 제1 지점부(11b)를 형성하고 있는 굴곡부에 의해서 인슐레이터(9)의 후단부의 중앙부(9d)쪽의 측면으로부터 대응하는 콘택트수용홈(5n) 내에까지 내려가서, 제1 지점부(11b)를 콘택트수용홈(5n)의 바닥면(5p) 전단부쪽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콘택트수용홈(5n) 내에 있어서 이 전단부쪽으로부터 후단부쪽을 향해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신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지점부(11b)로부터 앞쪽인 제1 판스프링편부(11c)가 콘택트수용홈(5n)의 바닥면(5p)으로부터 점차 이반하고, 이 제1 지점부(11b)로부터 앞쪽인 제1 판스프링편부(11c)와 콘택트수용홈(5n)의 바닥면(5p)과의 사이에,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다른 쪽(자유단부쪽)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확대되는 틈새(13)를 형성하고 있다. 즉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11c)는, 이 한쪽에 가지는 제1 지점부(11b)를 지점으로 상하방향(소형카드(1)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카드삽입공간(5f)의 바닥면 전단부쪽(깊숙한 쪽)에 복수 병설된 콘택트수용홈(5n) 내에 배치되어서, 제1 지점부(11b)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신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11c)는, 이 한쪽에 가지는 제1 지점부(11b)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신하는 단순한 캔틸레버형상으로 형성되는 대향형이지만, 카드삽입공간(5f)에 삽입되는 소형카드(1)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이 없다.
또,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11c)에는, 이 자유단부 위쪽의 모서리부에 모따기를 실시해서 테이퍼부(11g)를 형성하는 한편, 콘택트수용홈(5n)의 각각의 후단부쪽의 홈벽 상부에는,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테이퍼부(11g)와 대면하는 테이퍼부(5n-1)를 아래쪽에 가지는 콘택트 부상(浮上)방지용 압압부(5n-2)가 콘택트수용홈(5n)의 전단부쪽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고, 콘택트수용홈(5n)의 각각의 후단부쪽을 주머니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자유단부는, 콘택트수용홈(5n)의 각각의 후단부쪽의 주머니형상부에 수용되고, 카드접촉용 콘택트(11) 제작 시의 불균일을 흡수하면서, 카드삽입공간(5f)에의 부상이 압압부(5n-2)에 의해서 방지되기 때문에, 카드삽입공간(5f)에 삽입되는 소형카드(1)의 전단부(1c)와 맞대임 접촉하는 일이 없다. 즉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카드삽입공간(5f)에 삽입되는 소형카드(1)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을 보다 확실히 없애 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2 판스프링편부(11e)는, 콘택트수용홈(5n)의 후단부쪽에 위치하는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다른 쪽을 제2 지점부(11d)로서 한쪽에 가지고, 이 제2 지점부(11d)로부터 앞쪽이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되어서, 제2 지점부(11d)를 지점으로 상하방향(소형카드(1)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카드삽입공간(5f)의 전단부쪽(깊숙한 쪽)에 전고후저(前高後低)의 경사상태에서 병렬로 돌출 배치되고, 이 다른 쪽(자유단부쪽)에 가지는 접촉부(11f)를 카드삽입공간(5f)에 삽입된 소형카드(1)의 대응하는 접촉패드(2)에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삽입공간(5f)에 배치해서, 카드삽입공간(5f)에 삽입된 소형카드(1)의 접촉패드(2)에 접촉시키는 제2 판스프링편부(11e)는, 이 한쪽에 가지는 제2 지점부(11d)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순방향)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비대향형으로 되기 때문에, 카드삽입공간(5f)에 삽입되는 소형카드(1)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이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에 소형카드(1)를 장착할 때에는, 소형카드(1)의 접촉패드(2)가 병설된 이면(편부 주요면)을 어댑터 본체(4)의 하부케이스(5)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소형카드(1)를 이 전단부(1c)로부터 어댑터 본체(4)의 카드삽입구(4g)를 통과해서 카드삽입공간(5f)에 정규삽입하면, 카드삽입공간(5f)의 한쪽 가장자리부분에는, 록스프링장착부(5q)에 장착된 록스프링(8)의 걸어맞춤부(8a)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소형카드(1)는, 이 오목부(1i)가 형성된 단차부(1f)쪽의 측면 가장자리부분에서, 록스프링(8)의 걸어맞춤부(8a)를 바 깥쪽으로 압압하고, 록스프링(8)을 바깥쪽으로 휨 변형시키면서, 이 걸어맞춤부(8a)를 록스프링장착부(5q) 내에 퇴입(退入)시킨 상태에서, 카드삽입공간(5f)의 전단부쪽(깊숙한 쪽)을 향해서 삽입된다. 계속해서 소형카드(1)를 삽입하면, 소형카드(1)의 전단부(1c)가 어댑터 본체(4)의 하부케이스(5)에 형성된 스토퍼부(5h, 5k)에 접촉되고, 이 시점에서, 소형카드(1)의 삽입이 규제되는 동시에, 소형카드(1)의 오목부(1i)에 록스프링(8)의 걸어맞춤부(8a)가 대향하고, 록스프링(8)의 탄성력에 의해 이 걸어맞춤부(8a)가 복귀해서 소형카드(1)의 오목부(1i)에 걸어 맞춘다. 이것에 의해, 도 2, 도 3,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카드(1)가 어댑터 본체(4)의 카드삽입공간(5f)에 완전히 삽입되는 동시에, 이 소형카드(1)의 부주의한 탈락이 록스프링(8)에 의해 방지된다.
또, 소형카드(1)를 어댑터 본체(4)의 카드삽입공간(5f)에 정규삽입하면, 카드삽입공간(5f)의 바닥면 전단부쪽(깊숙한 쪽)에 복수 병설되어 있는 콘택트수용홈(5n) 내에는,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11c)가, 이 한쪽(근원부)에 가지는 제1 지점부(11b)를 콘택트수용홈(5n)의 바닥면(5p) 전단부쪽에 접촉시키고, 이 제1 지점부(11b)로부터 앞쪽인 제1 판스프링편부(11c)와 콘택트수용홈(5n)의 바닥면(5p)과의 사이에,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다른 쪽(자유단부쪽)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확대되는 틈새(13)를 형성한 상태에서, 제1 지점부(11b)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신되어 있는 동시에, 카드삽입공간(5f)의 전단부쪽(깊숙한 쪽)에는, 콘택트수용홈(5n)의 각각의 후단부쪽에 위치하는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다른 쪽을 제 2지 점부(11d)로서 한쪽에 가지는 제2 판스프링편부(11e)가, 이 제2 지점부(11d)로부터 앞쪽이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되어서, 전고후저의 경사상태에서 병렬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카드(1)는, 이 전단부(1c) 아래쪽에서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2 판스프링편부(11e)의 경사표면을 접촉한 후에 슬라이딩해서 압하(押下)한다. 이것에 의해,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11c)가, 콘택트수용홈(5n)의 바닥면(5p) 전단부쪽에 접촉되어 있는 제1 지점부(11b)를 지점으로 아래쪽으로 휨 변형되어서, 콘택트수용홈(5n)의 바닥면(5p)에 접촉한 후,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2 판스프링편부(11e)가, 콘택트수용홈(5n)의 바닥면(5p) 후단부쪽에 접촉되어 있는 제2 지점부(11d)를 지점으로 아래쪽으로 휨 변형된다. 계속해서 소형카드(1)를 삽입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카드(1)의 전단부(1c) 아래쪽이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접점부(11)를 통과해서, 소형카드(1)가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휨 변형된 제1 판스프링편부(11c) 및 제2 판스프링편부(11e)에 얹혀지고,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접점부(11f)가 제1 판스프링편부(11c) 및 제2 판스프링편부(11e)의 탄성력에 의해 소형카드(1)의 이면(편부 주요면)에 병설된 접촉패드(2)에 아래쪽으로부터 가압해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어댑터 본체(4)의 카드삽입공간(5f)에 완전히 삽입된 소형카드(1)의 각각의 접촉패드(2)가 카드접촉용 콘택트(11)에 의해 대응하는 외부접속용 단자(4f)에 도통 접속된다. 또,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제1 판스프링편부(11c) 및 제 2판스프링편부(11e)는, 소형카드(1)를 어댑터 본체(4)의 카드삽입공간(5f)으로부터 제거하고, 소형카드(1)에 의한 압하가 해제됨으로써, 제2 판스프링편부(11e)가 이 탄성력에 의해 제2 지점부(11d)를 지점으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 후, 제1 판스프링편부(11c)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도 11에 도시한 자유상태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소형카드(1)를 장착한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를, 대형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를 정규삽입해서 장착함으로써, 어댑터본체(4)의 외부접속용 단자(4f)의 각각이 카드 커넥터의 카드삽입공간에 병설된 복수의 콘택트에 접촉해서, 소형카드(1)와 대형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대형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를 프린트회로기판에 실장한 전자기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그들 사이에서 신호전송을 실행할 수 있고, 소형카드(1)를 대형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전자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는, 카드삽입공간(5f)에 배치해서, 카드(1)의 편부 주요면에 형성된 접촉패드(2)에 접촉시키는 카드접촉용 콘택트(11)로서, 한쪽에 제1 지점부(11b)를 가지는 제1 판스프링편부(11c)가, 카드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1 지점부(11b)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고, 이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다른 쪽을 제2 지점부(11d)로서 한쪽에 가지는 제2 판스프링편부(11e)가, 카드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2 지점부(11d)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제2 판스프링편부(11e)의 다른 쪽을 카드(1)의 접촉패드(2)에 접촉시키는 카드접촉용 콘택트(11)를 구비하는 동시에, 카드삽입공간(5f)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5, 6, 7)가, 카드삽입공간(5f)에 삽입하는 카드(1)보다도 대형인 다른 카드의 외형형상을 구비한 어댑터 본체(4)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카드접촉용 콘택트(11)를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카드(1)의 접촉패드(2)에 접촉시키는 판스프링편부(제2 판스프링편부(11e))가 이 지점부(제2 지점부(11d))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순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비대향형으로 되기 때문에, 카드(1) 삽입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이 없고, 콘택트(11)의 변위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접촉압을 증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11)의 스프링 정수를 증대시키지 않아도 충분한 접촉압을 확보할 수 있고, 적정한 접촉압을 얻을 수 있는 변위량의 범위가 좁아지지 않으며(도 18 참조), 접촉부(11f)의 위치를 엄밀히 관리해서 불균일을 억제할 필요도 없어진다. 따라서, 콘택트(11)의 안정된 접촉압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구조적으로 2개소(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제1 지점부(11b)와 제2 판스프링편부(11e)의 제2 지점부(11d))에 응력을 분산할 수 있는 데에 부가해서, 발생하는 응력도 스프링 정수를 증대시키지 않음으로써, 작게 억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응력완화에 의해 콘택트(11)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제2 판스프링편부(11e)는,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다른 쪽으로 접어 꺾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제1 판스프링편부(11c)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세워서 형성함으로써, 제2 판스프링편부(11e)를 제1 판스프링편부(11c)의 다른 쪽으로 접어 꺾은 부분(굽힘반경)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순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할 수 있고, 보다 큰 콘택트(11)의 변위량 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콘택트(11)의 안정된 접촉압이 보다 확보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는, 그것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11)에 안정된 접촉압과 고수명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드 어댑터(3)에서는, 도 5에 있어서 좌우 양쪽 단부의 2개의 외부접속용 단자(4f)(2개의 실드용 콘택트(10) 및 도 5에 있어서 우단부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가 접지용이며, 이들 2개의 외부접속용 단자(4f)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분리한 것을 도시했지만, 이들 2개의 외부접속용 단자(4f)는, 연속일체로 성형해서 도통 접속하거나(단락), 별개의 부품으로서의 도전부재를 이용해서 도통 접속(단락)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도 13 ~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규격의 메모리카드, 예를 들면 micro SD카드(이하, 「제3 카드」라고 함)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커넥터를 사용하는 제3 카드의 (a) 표면도, (b) 측면도, (c) 이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카드(21)는, 이 제3 카드(21)를 이것보다 대형인 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 어댑터나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에의 삽입 시에, 앞쪽에 위치하고, 아래쪽에 테이퍼부(21a)를 가지는 전단부(21b)와, 뒤쪽에 위치하여,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단부(21c)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3(a)에 있어서 우측 가장자리부분의 전단부(21b)쪽에는, 이 제3 카드(21)를 이것보다 대형인 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 어댑터나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에의 앞뒤 반대의 오삽입 및 안팎 반대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노치부(21d)를 가지고, 이 오삽입방지용 노치부(21d)로부터 후단부(21c)쪽에는, 이 제3 카드(21)를 이것보다 대형인 카드에 대응하고 있는 카드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 어댑터나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에의 삽입 시에, 제3 카드(21)를 카드 어댑터나 카드 커넥터의 장착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노치부(2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면(편부 주요면)의 전단부(21d)쪽에는, 외부접속용 접촉패드(22)가 복수(8개) 병설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커넥터의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커넥터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23)는,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형성하는 카드삽입구부에 위치하는 전단부(25a)와 이 반대쪽의 후단부(25b)를 구비하고, 제3 카드(21)를 이 접촉패드(22)가 병설된 이면을 아래로 해서 전단부(21b)로부터 삽입되는 카드삽입구(24)를 전단부(25a)쪽의 측면에 개구한 상자형상의 커넥터 하우징(25)과, 커넥터 하우징(25)에 내장되고, 제3 카드(21)의 접촉패드(22)의 각각에 접촉시켜서 전자기기의 프린트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도통 접속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복수(8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26)와, 커넥 터 하우징(25)에 내장되고, 전자기기쪽에 있어서 제3 카드(21)의 장착을 전기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한 쌍의 금속편으로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카드인식스위치와, 커넥터 하우징(25)에 내장되고, 제3 카드(21)에 의한 1회째의 압입조작에 의해서 제3 카드(21)를 커넥터 하우징(25) 내의 정해진 위치에 유지해서 장착시키는 동시에, 제3 카드(21)에 의한 2번째의 압입조작에 의해서 커넥터 하우징(25)에 장착된 제3 카드(21)를 배출하는 푸쉬/푸쉬형카드배출기구(27)로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25)은, 카드삽입구(25)의 깊숙한 쪽(뒤쪽)의 내부공간이, 카드접촉용 콘택트(26) 및 카드인식스위치를 배치하는 카드삽입공간(28)이 되며, 이 카드삽입공간(28) 우측의 내부공간이, 카드배출기구(27)의 배치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 하우징(25)은,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 및 카드인식스위치용인 한 쌍의 금속편 등의 도전부재체를 장착하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부케이스(29)와, 하부케이스(29)에 위쪽으로부터 피착해서 정전파괴대책이나 노이즈대책을 실시하는 금속판을 타발 및 굽힘 가공해서 형성한 상부케이스(30)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29)는, 하우징 바닥벽(29a)과, 하우징 우측벽(29b)과, 하우징 뒤쪽벽(29c)과, 카드삽입구(24) 우측의 하우징 앞쪽벽(29d)을 일체적으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며, 하우징 바닥벽(29a)의 좌측 단부면 및 하우징 우측벽(29b)의 외부면에는, 상부케이스(30)와 결합하기 위해서 위치결정용 걸어맞춤부(29e) 및 복수의 고정용 걸어맞춤부(29f)를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형성하고 있다. 또, 제3 카드(1)의 접촉패드(22)가 병설된 이면에 대향하는 카드삽입공간(28)의 바닥면에는, 이 후단부쪽(깊숙한 쪽)에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에 대응해서 전후방향(카드삽발방향)으로 연신하는 미세 폭의 콘택트수용홈(29g)이 복수(8개) 병설되어 있다. 또한, 카드배출기구(27)의 배치공간의 전단부쪽 및 후단부쪽에는, 카드배출기구(27)의 슬라이드부재를 멈추게 하는 앞쪽 스토퍼부(29h) 및 뒤쪽 스토퍼부(29i)가 형성되고, 이 앞쪽 스토퍼부(29h)의 두께 내에는, 카드배출기구(27)의 캠핀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부(29j)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 앞쪽벽(29d)의 단부에는, 카드배출기구(27)의 제3 카드(21)에 대한 록스프링의 걸어맞춤부를 걸리게 하는 복귀쪽의 스토퍼부(29k)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수용홈(29g)의 각각은, 후단부쪽이 하우징 뒤쪽벽(29c)을 관통해서 그 외부면에 개방되어 있다. 또, 콘택트수용홈(29g)의 각각에는, 그 깊이가 후단부쪽으로부터 전단부쪽을 향해서 점차 깊어지도록 경사진 바닥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부케이스(30)는, 하우징 천정판(30a)과, 하우징 좌측벽(30b)과, 하부케이스(29)의 하우징 우측벽(29b) 외부면을 피복하는 하우징 우측벽 커버(30c)를 일체적으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며, 이 하우징 좌측벽(30b) 및 하우징 우측벽 커버(30c)에는, 하부케이스(29)쪽의 위치결정용 걸어맞춤부(29e)의 각각에 끼워 맞추는 위치결정용 걸어맞춤오목부(30d) 및 하부케이스(29)쪽의 고정용 걸어맞춤부(29f)의 각각을 끼워 맞추는 복수의 고정용 걸어맞춤구멍(30e)을 형성하고 있다. 또, 하우징 좌측벽(30b) 및 하우징 우측벽 커버(30c)의 각각에는, 이 하부 가장자리부분의 전후단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해서 대략 수평하게 돌출시키도록 절곡 형성된 커넥터실장용 단자부(30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천정판(30a)에는, 카드배출기구(27)의 캠핀을 상시 아래쪽으로 압압하기 위한 가요성을 지닌 캔틸레버형상의 판스프링편(30g)을 절단하여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은, 양호한 도전성을 지닌 스프링재료로 이루어지는 후프재에 타발가공에 의해 병렬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성형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에는, 이 후단부쪽에 하부케이스(29)에의 장착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장착부(26a)에는, 이 후단부쪽에 굴곡부(26b)를 개재해서 1단 낮춘 위치에서 연속해서 뒤쪽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신하는 외부접속용 단자(2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에는, 이 장착부(26a)의 전단부쪽을 하중을 지지하는 제1 지점부(26d)로서 한쪽(근원부)에 가지고, 후프재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1 지점부(26d)로부터 앞쪽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판스프링편부(26e)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제1 판스프링편부(26e)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세움으로써, 이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다른 쪽(자유단부쪽)에 형성되는 굴곡부를 하중을 지지하는 제2 지점부(26f)로서 한쪽(근원부)에 가지고, 후프재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2 지점부(26f)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제1 판스프링편부(26e)와는 반대방향(뒤쪽)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단면 대략 「へ」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판스프링편부(26g)가 형성되고, 이 제2 판스프링편부(26g)의 다른 쪽(자유단부쪽)에 제3 카드(21)의 대응하는 접촉패드(22)에 접촉시키는 접촉부(26h)가 형성되어 있다. 또, 성형상태에서는,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외부접속용 단자(26c)가 연 결부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는 동시에, 이 연결부가 복수의 연결편에 의해 후프재(캐리어)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8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26)가 후프재에 병렬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후프재(캐리어)에 타발가공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성형된 8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26)(콘택트군)는, 연결편을 절단해서 후프재(캐리어)로부터 분리하고,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다른 쪽(자유단부쪽)을 하부케이스(29)의 뒤쪽으로부터 대응하는 콘택트수용홈(29g)에 삽입하고,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장착부(26a)를 케이스(29)의 하우징 뒤쪽벽(29c)에 압입 고정시킨 후,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8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26)를 개별적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29)에 장착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상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은, 외부접속용 단자(26c)가 굴곡부(26b)를 개재해서 하부케이스(29)의 하부까지 낮춰서 하우징 뒤쪽벽(29c)의 외부면으로부터 뒤쪽으로 병렬로 돌출 고정되어 있다.
또,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는, 이 한쪽(근원부)에 가지는 제1 지점부(11b)를 콘택트수용홈(29g)의 바닥면 후단부쪽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콘택트수용홈(29g) 내에 있어서 이 후단부쪽으로부터 전단부쪽을 향해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신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지점부(26d)로부터 앞쪽인 제1 판스프링편부(26e)가 콘택트수용홈(29g)의 바닥면으로부터 점차 이반하고, 이 제1 지점부(26d)로부터 앞쪽인 제1 판스프링편부(26e)와 콘택트수용홈(29g)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다른 쪽(자유단 부쪽)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확대되는 틈새를 형성하고 있다. 즉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는, 이 한쪽에 가지는 제1 지점부(26d)를 지점으로 상하방향(제3 카드(21)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카드삽입공간(28)의 바닥면 후단부쪽(깊숙한 쪽)에 복수 병설된 콘택트수용홈(29g) 내에 배치되어서, 제1 지점부(26d)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신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는, 이 한쪽에 가지는 제1 지점부(26d)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신하는 단순한 캔틸레버형상으로 형성되는 대향형이지만, 카드삽입공간(28)에 삽입되는 제3 카드(21)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이 없다.
또,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에는, 이 자유단부 위쪽의 모서리부에 모따기를 실시해서 테이퍼부를 형성하는 한편, 콘택트수용홈(29g)의 각각의 전단부쪽의 홈벽 상부에는,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테이퍼부와 대면하는 테이퍼부를 아래쪽에 가지는 콘택트부상방지용 압압부를 콘택트수용홈(29g)의 후단부쪽을 향해서 돌출 형성하고, 콘택트수용홈(29g)의 각각의 전단부쪽을 주머니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자유단부는, 콘택트수용홈(29g)의 각각의 전단부쪽의 주머니형상부에 수용되고, 카드접촉용 콘택트(26) 제작 시의 불균일을 흡수하면서, 카드삽입공간(28)에의 부상이 압압부에 의해서 방지되기 때문에, 카드삽입공간(28)에 삽입되는 제3 카드(21)의 전단부(21b)와 맞대임 접촉하는 일이 없다. 즉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카드삽입공간(28)에 삽입되는 제3 카드(21)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을 보다 확실히 없애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2 판스프링편부(26g)는 콘택트수용홈(29g)의 전단부쪽에 위치하는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다른 쪽을 제2 지점부(26f)로서 한쪽에 가지고, 이 제2 지점부(26f)로부터 뒤쪽이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되어서, 제2 지점부(26f)를 지점으로 상하방향(소형카드(1)의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카드삽입공간(28)의 후단부쪽(깊숙한 쪽)에 전저후고(前低後高)의 경사상태에서 병렬로 돌출 배치되고, 이 다른 쪽(자유단부쪽)에 가지는 접촉부(26h)를 카드삽입공간(28)에 삽입된 제3 카드(21)의 대응하는 접촉패드(22)에 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삽입공간(28)에 배치해서, 카드삽입공간(28)에 삽입된 제3 카드(21)의 접촉패드(22)에 접촉시키는 제2 판스프링편부(26g)는, 이 한쪽에 가지는 제2 지점부(26f)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순방향)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비대향형으로 되기 때문에, 카드삽입공간(28)에 삽입되는 제3 카드(21)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이 없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푸쉬형카드배출기구(27)는, 슬라이드부재(31)와, 이 슬라이드부재(31)의 부세(付勢) 부재인 코일스프링(32)과, 하트형상의 캠홈(33) 및 캠핀(34)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31)의 위치유지기구와, 제3 카드(21)를 슬라이드부재(31)에 걸어맞춤 유지시키는 록스프링(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31)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하우징(25) 내의 카 드배출기구(27)의 배치공간에, 앞쪽 스토퍼부(29h)와 뒤쪽 스토퍼부(29i)와의 사이에서 하우징 우측벽(29b)을 따라서 전후방향(카드삽발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31)에는, 카드삽입공간(28)의 좌측으로 돌출해서, 카드삽입 시에, 제3 카드(21)의 오삽입방지용 노치부(21d)에 끼워 맞추는 돌출부(31a)와, 제3 카드(21)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1)를 깊숙한 쪽으로 압입하기 위해서, 제3 카드(21)의 전단부(21b)에 접촉하도록 돌출부(31a)의 뒷부분으로부터 카드삽입공간(28)으로 돌출된 조작부(31b)와, 위치유지기구의 하트형상의 캠홈(33)과, 록스프링(35)을 장착하기 위한 슬릿홈(31c)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코일스프링(32)은, 슬라이드부재(31)와 뒤쪽 스토퍼부(29i)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부재(31)를 앞쪽(카드배출방향)으로 상시 부세하고 있다.
위치결정기구의 캠핀(34)은, ㄷ자를 반대로 한 형상(コ)으로 굽힌 미세한 금속의 둥근 봉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를 슬라이드부재(31)에 형성한 캠홈(32)의 바닥부에 대략 직각으로 접하도록 하고, 타단부를 하부케이스(29)에 형성한 베어링부(29j)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서, 캠홈(33) 내를 슬라이드부재(31)의 이동에 맞춰서 이동시킨다. 또, 캠핀(34)은, 상부케이스(30)에 형성한 판스프링편(30g)에 의해 상시 아래쪽으로 압압되어서, 일단부가 캠홈(34)에 대략 직각으로 가압되고, 타단부가 베어링부(29j) 내에 압입되고 있다.
록스프링(35)은, 금속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이 일단부에는, 금속판 스프링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산형상으로 구부려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록스프링(35)은, 슬라이드부재(31)의 슬릿홈(31c)에 위쪽 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록스프링(35)의 한쪽이 슬릿홈(31c)을 개재해서 슬라이드부재(31)에 고정되고, 이 고정부로부터 앞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다른 쪽이 슬라이드부재(31)의 앞쪽에 카드 횡폭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돌출된다. 또, 록스프링(35)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부(35a)는, 슬라이드부재(31)의 돌출부(31a)의 바로 앞쪽에서 카드 횡폭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23)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내장되는 프린트회로기판에, 상부케이스(30)의 단자부(30f)의 각각과,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외부접속용 단자(26c)와, 카드인식스위치를 형성하는 한 쌍의 금속편의 외부접속단자의 각각을, 납땜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표면 실장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커넥터의 카드장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23)에 제3 카드(21)를 장착할 때에는, 제3 카드(21)의 접촉패드(22)가 병설된 이면(편부 주요면)을 하부케이스(29)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3 카드(21)를 이 전단부(21b)로부터 커넥터 하우징(25)의 카드삽입구(24)를 통과해서 카드삽입공간(28)에 정규삽입하면, 제3 카드(21)는, 이 제3 카드(21)의 오삽입방지용 노치부(31d)에 슬라이드부재(31)의 돌출부(31a)를 끼워 맞추면서, 하우징 좌측벽(30b)과 슬라이드부재(31)와의 사이에 끼워지고, 제3 카드(21)의 전단부(21b)가 슬라이드부재(31)의 조작부(31b)에 접촉된다. 또, 이와 같은 제3 카드(21)의 정규삽입에 따라서, 제3 카드(21)의 오삽입방지용 노치부(21d)가 슬라이 드부재(31)에 장착한 록스프링(35)의 걸어맞춤부(35a)를 통과할 때에, 이 걸어맞춤부(35a)는, 노치부(21d)의 측면에 슬라이딩 접촉해서 록스프링(35)의 바깥쪽(우측)으로의 휨을 수반하여 제3 카드(21)의 오삽입방지용 노치부(21d)와 록용 노치부(21e)와의 사이의 측면 가장자리부분에 얹혀진 후, 제3 카드(21)의 전단부(21b)가 슬라이드부재(31)의 조작부(31b)에 접촉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제3 카드(21)의 록용 노치부(21e)에 대향해서, 록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제3 카드(21)의 록용 노치부(21e)에 끼인다. 이것에 의해, 제3 카드(21)와 슬라이드부재(31)가 카드삽발방향에서 걸어맞춤 연결된다.
계속해서 제3 카드(21)를 삽입하면, 제3 카드(21)는, 이 전단부(21b)에 의해서 슬라이드부재(31)의 조작부(31b)를 뒤쪽으로 압입하고, 슬라이드부재(31)를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뒤쪽으로 압입하고, 뒤쪽 스토퍼부(29i)에 맞대임 접합하는 최대압입위치에 압입해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3 카드(21)에 의한 슬라이드부재(31)의 압입력을 제거하고, 슬라이드부재(31)를 개방하면, 슬라이드부재(31)는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최대압입위치로부터 앞쪽으로 되밀리고, 이것에 수반해서 제3 카드(21)도 앞쪽으로 되밀린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부재(31)의 초기위치(도 15에 도시한 위치)로부터의 일련의 동작에 의해, 캠핀(34)은, 캠홈(33)의 기점(起點)부(33a)로부터 왕로(往路)(33b)를 통과해서 기점부(33a)와 반대쪽에 있는 걸림부(33c)에 도입되어 걸리게 되고, 캠핀(34)이 캠홈(33)의 걸림부(33c)에 걸린 시점에서, 슬라이드부재(31)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31)는, 최대압입위치보다 바로 조금 앞쪽인 카드장착위치에 유지되고, 이 슬라이드부재(31)와 카드삽발방향에서 걸어맞춤 연결되어 있는 제3 카드(21)를 카드장착위치에 유지해서, 커넥터 하우징(25)에 장착한다.
또, 제3 카드(21)를 커넥터 하우징(25)의 카드삽입공간(28)에 정규삽입하면, 카드삽입공간(28)의 바닥면 후단부쪽(깊숙한 쪽)에 복수 병설되어 있는 콘택트수용홈(29g) 내에는,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가, 이 한쪽(근원부)에 가지는 제1 지점부(26d)를 콘택트수용홈(29g)의 바닥면 후단부쪽에 접촉시키고, 이 제1 지점부(26d)로부터 앞쪽인 제1 판스프링편부(26e)와 콘택트수용홈(29g)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다른 쪽(자유단부쪽)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확대되는 틈새를 형성한 상태에서, 제1 지점부(26d)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신되어 있는 동시에, 카드삽입공간(28)의 후단부쪽(깊숙한 쪽)에는, 콘택트수용홈(29g)의 각각의 전단부쪽에 위치하는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다른 쪽을 제2 지점부(26f)로서 한쪽에 가지는 제2 판스프링편부(26g)가, 이 제2 지점부(26f)로부터 뒤쪽이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속해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되어서, 전저후고의 경사상태에서 병렬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3 카드(1)는, 이 전단부(21b) 아래쪽에서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2 판스프링편부(26g)의 경사표면을 접촉한 후에 슬라이딩해서 압하한다. 이것에 의해,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가, 콘택트수용홈(29g)의 바닥면 후단부쪽에 접촉되어 있는 제1 지점 부(26d)를 지점으로 아래쪽으로 휨 변형해서, 콘택트수용홈(29g)의 바닥면에 접촉한 후,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2 판스프링편부(26g)가, 콘택트수용홈(29g)의 바닥면 전단부쪽에 접촉되어 있는 제2 지점부(26f)를 지점으로 아래쪽으로 휨 변형한다. 그리고, 제3 카드(21)의 전단부(21b) 아래쪽이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접점부(26h)를 통과해서, 제3 카드(21)가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휨 변형된 제1 판스프링편부(26e) 및 제2 판스프링편부(26g)에 얹혀지고,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접점부(26h)가 제1 판스프링편부(26e) 및 제2 판스프링편부(26g)의 탄성력에 의해 제3 카드(21)의 이면(편부 주요면)에 병설된 접촉패드(22)에 아래쪽으로부터 가압해서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5)에 장착된 제3 카드(21)의 각각의 접촉패드(22)가 카드접촉용 콘택트(26)에 의해,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23)를 프린트회로기판에 실장한 전자기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들의 사이에서 신호전송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23)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 및 제2 판스프링편부(26g)의 변위동작에 대해서는, 도 11, 도 12에 도시한 카드 어댑터(3)에 있어서의 카드접촉용 콘택트(11)의 각각의 제1 판스프링편부(11c) 및 제2 판스프링편부(11e)의 변위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한 카드장착상태에서 제3 카드(21)를 압입조작하면, 제3 카드(21)는, 이 전단부(21b)에 의해 슬라이드부재(31)를 카드장착위치로부터 뒤쪽(깊숙한 쪽)으로 압입하고, 뒤쪽 스토퍼부(29i)에 맞대임 접합하는 최대압입위치에 다시 압입해서 고정된다. 이 슬라이드부재(31)의 카드장착위치로부터 최대압입위치로의 동작에 의해, 캠핀(34)은, 캠홈(33)의 걸림부(33c)로부터 이탈해서 복로(復路)(33d)에 도입되어서, 슬라이드부재(31)의 위치유지를 해제한다. 이후, 제3 카드(21)에 의한 슬라이드부재(31)의 압입력을 제거하고, 슬라이드부재(31)를 개방하면, 슬라이드부재(30)는,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부(31b)에서 제3 카드(21)의 전단부(21b)를 앞쪽으로 압압하면서, 최대압입위치로부터 앞쪽으로 되밀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제3 카드(21)를 배출한다. 또, 캠핀(34)은, 캠홈(33)의 복로(33d)를 통과해서 기점부(33a)로 되돌아간다. 또한,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제1 판스프링편부(26e) 및 제2 판스프링편부(26g)는, 카드(21)의 배출에 수반하여, 제3 카드(1)의 전단부(21b) 아래쪽이 카드접촉용 콘택트(26)의 각각의 제2 판스프링편부(26g)의 경사표면으로부터 이탈한 시점에서, 제3 카드(21)에 의한 압하가 해제됨으로써, 제2 판스프링편부(26g)가 그 탄성력에 의해 제2 지점부(26f)를 지점으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 후, 제1 판스프링편부(26e)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자유상태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카드배출기구(27)에 의해 배출된 제3 카드(21)는, 카드삽입구(11)로부터 하우징(12)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카드(1)의 후단부(21c)쪽을 손가락으로 집어 당김으로써, 록스프링(35)의 걸어맞춤부(35a)는, 제3 카드(21)의 록용 노치부(21e)의 측면에 슬라이딩 접촉해서, 록스프링(35)의 바깥쪽(우측)으로의 휨을 수반하여 제3 카드(21)의 록용 노치부(21e)와 오삽입방지용 노치부(21d)와의 사이의 측면 가장자리부분에 얹혀지고, 제3 카드(21)와 슬라이드부재(31)의 카 드삽발방향에서의 걸어맞춤 연결이 해제되고, 제3 카드(21)를 커넥터 하우징(25)으로부터 카드삽입구(24)를 통과해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카드(21)의 제거 후에는, 도 15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상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23)는, 카드삽입공간(28)에 배치해서, 카드(21)의 편부 주요면에 형성된 접촉패트(22)에 접촉시키는 카드접촉용 콘택트(26)로서, 한쪽에 제1 지점부(26d)를 가지는 제1 판스프링편부(26e)가, 카드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1 지점부(26d)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고, 이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다른 쪽을 제2 지점부(26f)로서 한쪽에 가지는 제2 판스프링편부(26g)가, 카드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2 지점부(26f)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에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제2 판스프링편부(26g)의 다른 쪽을 카드(21)의 접촉패드(22)에 접촉시키는 카드접촉용 콘택트(26)를 구비하는 동시에, 카드삽입공간(28)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가, 카드접촉용 콘택트(26)를 장착하는 절연성의 하부케이스(29)와 이 하부케이스(29)에 피착하는 도전성의 상부케이스(30)에 의해 상자형상을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25)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카드접촉용 콘택트(26)를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카드(21)의 접촉패드(22)에 접촉시키는 판스프링편부(제2 판스프링편부(26g))가 이 지점부(제2 지점부(26f))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순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비대향성으로 되기 때문에, 카드(21) 삽입에 의한 좌굴의 위험성이 없고, 콘택트(26)의 변위량을 증감시킴으로써, 접촉압을 증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26)의 스프링 정수를 증대시키지 않아도 충분한 접촉압을 확보할 수 있고, 적정한 접촉압을 얻을 수 있는 변위량의 범위가 좁아지지 않으며(도 18 참조), 접촉부(26h)의 위치를 엄밀히 관리해서 불균일을 억제할 필요도 없어진다. 따라서, 콘택트(26)의 안정된 접촉압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구조적으로 2개소(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제1 지점부(26d)와 제2 판스프링편부(26g)의 제2 지점부(26f))에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데에 부가해서, 발생하는 응력도 스프링 정수를 증대시키지 않음으로써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응력완화에 의해 콘택트(26)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제2 판스프링편부(26g)는,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다른 쪽으로 접어 꺾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제1 판스프링편부(26a)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세워서 형성함으로써, 제2 판스프링편부(26g)를 제1 판스프링편부(26e)의 다른 쪽으로 접어 꺾은 부분(굽힘반경)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순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할 수 있고, 보다 큰 콘택트(26)의 변위량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콘택트(26)의 안정된 접촉압이 보다 확보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23)는, 그것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26)에 안정된 접촉압과 고수명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상,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콘택트와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 및 카드 커넥터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를 사용하는 소형카드의 (a) 표면도, (b) 측면도, (c) 이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의 표면쪽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의 이면쪽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의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의 소형카드장착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에 구비하는 콘택트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에 구비하는 콘택트군의 (a) 평면도, (b) 정면도, (c)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 되는 카드 어댑터에 구비하는 콘택트군을 성형한 후프(hoop)재의 (a) 평면도, (b) 단면도, (c)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접촉부의 변위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어댑터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접촉부의 변위 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커넥터를 사용하는 제3 카드의 (a) 표면도, (b) 측면도, (c) 이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커넥터의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커넥터에 구비하는 카드접촉용 콘택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카드 커넥터의 카드장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콘택트의 접촉압 F(N)와 변위량 x(mm)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드 2: 접촉패드
3: 카드 어댑터 4: 어댑터 본체
4f: 외부접속용 단자 5: 하부케이스
5f: 카드삽입공간 6: 수지커버(상부케이스)
7: 금속커버(상부케이스) 11: 카드접촉용 콘택트
11a: 장착부 11b: 제1 지점부
11c: 제1 판스프링편부 11d: 제2 지점부
11e: 제2 판스프링편부 11f: 접촉부
21: 카드 22: 접촉패드
23: 카드 커넥터 26: 카드접촉용 콘택트
26a: 장착부 26c: 외부접속용 단자
26d: 제1 지점부 26e: 제1 판스프링편부
26f: 제2 지점부 26g: 제2 판스프링편부
26h: 접촉부 28: 카드삽입공간

Claims (6)

  1. 카드삽입공간에 배치해서, 카드의 편부 주요면에 형성된 접촉패드에 접촉시키는 콘택트에 있어서, 한쪽에 제1 지점(支點)부를 가지는 제1 판스프링편부가, 카드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1 지점부로부터 카드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고, 이 제1 판스프링편부의 다른 쪽을 제2 지점부로서 한쪽에 가지는 제2 판스프링편부가, 카드두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제2 지점부로부터 경사각을 가지고 카드삽입방향으로 캔틸레버형상으로 연신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제2 판스프링편부의 다른 쪽을 카드의 접촉패드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2. 제 1항에 있어서,
    제2 판스프링편부는 제1 판스프링편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세워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3. 제 1항에 있어서,
    제1 판스프링편부의 제1 지점부에, 카드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에의 장착부를 일체적으로 연설(連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4. 제 3항에 있어서,
    장착부의 제1 판스프링편부와는 반대쪽으로, 외부접속용 단자를 일체적으로 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택트를 구비하는 동시에, 카드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가, 카드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카드보다도 대형인 다른 카드의 외형형상을 구비한 어댑터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어댑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택트를 구비하는 동시에, 카드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가, 콘택트를 장착하는 절연성 하부케이스와 이 하부케이스에 피착하는 도전성의 상부케이스에 의해 상자형상을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KR1020070124855A 2006-12-06 2007-12-04 콘택트와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 및 카드 커넥터 KR101415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9702A JP4385047B2 (ja) 2006-12-06 2006-12-06 コンタクトとそれを備えるカードアダプ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
JPJP-P-2006-00329702 2006-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413A KR20080052413A (ko) 2008-06-11
KR101415406B1 true KR101415406B1 (ko) 2014-07-04

Family

ID=3912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855A KR101415406B1 (ko) 2006-12-06 2007-12-04 콘택트와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 및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109794B2 (ko)
EP (1) EP1930984B1 (ko)
JP (1) JP4385047B2 (ko)
KR (1) KR101415406B1 (ko)
CN (1) CN101227035B (ko)
ES (1) ES2560089T3 (ko)
PT (1) PT1930984E (ko)
TW (1) TWI4042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1441B2 (ja) * 2006-03-03 2012-05-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CN101316014B (zh) * 2007-10-17 2012-02-01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装置及其组装方法
JP3149967U (ja) * 2009-02-09 2009-04-23 振亞 劉 Usbプラグのカードリーダー
JP4676006B2 (ja) * 2009-03-13 2011-04-27 株式会社東芝 記録媒体着脱装置
JP5446767B2 (ja) * 2009-11-19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炊飯器
JP5642477B2 (ja) * 2010-09-28 2014-12-1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カード用コネクタ
CN102685276B (zh) * 2011-03-11 2015-03-18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具有防呆功能的sim卡槽和包括该sim卡槽的电子设备
JP5602117B2 (ja) * 2011-10-13 2014-10-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94254B2 (ja) * 2012-09-13 2015-10-14 Smk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点ばね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カードコネクタ
JP6048045B2 (ja) * 2012-09-28 2016-12-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弾性式スライドロック部材
CN103311713A (zh) * 2013-05-22 2013-09-18 苏州华之杰电讯有限公司 一种手机卡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6142412B2 (ja) * 2013-06-06 2017-06-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367951B (zh) * 2013-06-28 2016-03-02 华为终端有限公司 数码卡固定装置
JP5718425B2 (ja) 2013-10-01 2015-05-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076130A (ja) 2013-10-04 2015-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236681B2 (en) * 2014-03-21 2016-01-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JP5733868B2 (ja) * 2014-07-11 2015-06-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558021B (zh) * 2014-09-26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卡槽結構
JP6309429B2 (ja) * 2014-10-31 2018-04-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CA169446S (en) * 2016-01-22 2017-02-21 Shenzhen Longsys Electronics Co Ltd Ssd storage module
US11157197B2 (en) * 2019-02-19 2021-10-2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ocket interconnector for high pad count memory cards
US10992073B1 (en) * 2019-12-20 2021-04-2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with increased contact are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2623A (ja) 2002-10-30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構造並びにコネクタ
JP2005209550A (ja) 2004-01-23 2005-08-04 Yamaichi Electronics Co Ltd 電子機器用カード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KR20060085174A (ko) * 2005-01-21 2006-07-26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메모리카드용 어댑터
US7232343B1 (en) * 2006-07-06 2007-06-19 Tai-Sol Electronics Co., Ltd. Terminal-protective c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0460B2 (ja) * 2000-04-27 2004-05-24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806499B2 (ja) * 2001-09-13 2011-11-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658689B2 (ja) * 2002-12-12 2005-06-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660710Y (zh) * 2003-07-11 2004-12-01 钜航科技股份有限公司 插卡连接器组合装置
JP4485173B2 (ja) 2003-11-19 2010-06-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メモリーカード用アダプタ
JP4039372B2 (ja) 2004-02-13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接続カード装着装置
JP2006134687A (ja) * 2004-11-05 2006-05-25 D D K Ltd カードコネクタ
US6955548B1 (en) 2004-11-30 2005-10-18 Advanced Connection Technology Inc. Electronic card connector
CN2779651Y (zh) 2004-12-01 2006-05-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6971918B1 (en) 2005-01-07 2005-12-0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JP4448468B2 (ja) 2005-03-22 2010-04-07 Smk株式会社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CN2805120Y (zh) * 2005-06-08 2006-08-09 泰硕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端子保护功能的卡片连接器
US7104846B1 (en) 2005-10-05 2006-09-12 Chant Sincere Co., Ltd. Multiple-in-one memory card insertion seat
US7320622B2 (en) * 2005-11-14 2008-01-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emory card adapter
JP2007249379A (ja) * 2006-03-14 2007-09-27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アダプタ装置
TWM300892U (en) * 2006-04-28 2006-11-11 Molex Taiwan Ltd Electric card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2623A (ja) 2002-10-30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構造並びにコネクタ
JP2005209550A (ja) 2004-01-23 2005-08-04 Yamaichi Electronics Co Ltd 電子機器用カード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KR20060085174A (ko) * 2005-01-21 2006-07-26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메모리카드용 어댑터
US7232343B1 (en) * 2006-07-06 2007-06-19 Tai-Sol Electronics Co., Ltd. Terminal-protective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53364A1 (en) 2008-06-26
EP1930984A2 (en) 2008-06-11
ES2560089T3 (es) 2016-02-17
TW200832827A (en) 2008-08-01
JP4385047B2 (ja) 2009-12-16
CN101227035A (zh) 2008-07-23
CN101227035B (zh) 2011-12-07
US8235753B2 (en) 2012-08-07
EP1930984B1 (en) 2015-11-04
US20120115368A1 (en) 2012-05-10
TWI404267B (zh) 2013-08-01
PT1930984E (pt) 2016-03-01
JP2008146873A (ja) 2008-06-26
EP1930984A3 (en) 2009-05-06
US8109794B2 (en) 2012-02-07
KR20080052413A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406B1 (ko) 콘택트와 그것을 구비한 카드 어댑터 및 카드 커넥터
US7220138B2 (en) Card connector
EP1605393B1 (en) Card connector
JP57495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7177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US9124042B2 (en) Holder connected to an operation member via an elastic member
KR20060031795A (ko) 메모리 카드용 어댑터
US6478630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polarization mechanism
US2010005597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s
US20070125855A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7195501B2 (en) Card connector with ejector
EP1406204B1 (en) Card holder for cellular phone
US8696370B1 (en) Card connector
US10014630B1 (en) Card connector
JP4489664B2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69854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접속단자 제조방법
US10164375B1 (en) Plug connector
KR1007177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US20090221184A1 (en) Card Connector
KR10071774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용 스위치단자 구조
JP2004349223A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KR200422916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용 스위치단자 구조
KR200419254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KR10073125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용 스위치단자 구조
KR200265524Y1 (ko) 집적회로모듈용 시험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