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739B1 -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739B1
KR100717739B1 KR1020060029819A KR20060029819A KR100717739B1 KR 100717739 B1 KR100717739 B1 KR 100717739B1 KR 1020060029819 A KR1020060029819 A KR 1020060029819A KR 20060029819 A KR20060029819 A KR 20060029819A KR 100717739 B1 KR100717739 B1 KR 100717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housing
cover
sim card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혁
서승종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739B1/ko
Priority to PCT/KR2007/001551 priority patent/WO2007114591A1/en
Priority to CN2007800166306A priority patent/CN10150705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flash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84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the grinding wheel support being angular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4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liquid or gas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 G06K7/004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the plurality of cards be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SD card and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두 종류의 메모리카드가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메모리카드를 하우징의 수납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심카드와 마이트로에스디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심카드가 수납되는 상부측 수납공간 후방벽 중앙에는 수납된 심카드를 전방으로 밀어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재로 성형되어 상기 하우징의 심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커버링하고, 일측에는 수납된 심카드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 홈이 형성된 제1커버; 금속재로 성형되어 상기 하우징의 마이트로에스디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커버링하는 제2커버; 상기 심카드 및 마이트로에스디카드가 각각 접속되는 접속단자; 상기 마이트로에스디카드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 및 상기 마이트로에스디카드의 장착유무를 감지하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분리홀 및 취출용 홈에 의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된 심카드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접속단자, 취출홈, 심카드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Dual card type connector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아랫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상부측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하부측 커버, 록킹수단, 스위치단자 및 피팅네일을 분해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저면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을 아랫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하우징의 하부측 수납공간에 마이트로에스디카드를 삽입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9는 하우징의 상부측 수납공간에 심카드를 삽입하고 추출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101, 102 : 수납공간
103 ; 고정돌기 105 : 분리홀
200, 300 : 커버 205 : 취출용 홈
400, 500 : 접속단자
600 : 록킹수단 601 : 하트캠
602 : 몸체부 603 : 안내그루브
604 : 계합부 605 : 록킹돌기
607 : 탄성스프링 608 : 핀로드
700, 800 : 스위치단자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두 종류의 메모리카드가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메모리카드를 하우징의 수납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는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에 대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카드와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시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카드가 각각 구비된다.
전술한 메모리카드중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로는 심카드, 알유아이엠카드, 모네타카드, 뱅크온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위한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되는 메모리카드로는 미니 에스디카드, 스마트 미디어카드, 메모리스틱, 엑스디픽쳐카드, 마이트로에스디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카드중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를 위해 사용되는 인증용 메모리카드는 분실에 의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하여 배터리팩이 밀착되는 백 케이스의 결합면에 실장되어 배터리팩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모리카드의 교체가 불가능하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용 메모리카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에서 바로 교체할 수 있도록 실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인증용 메모리카드와 데이터용 메모리카드를 고정하여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해당위치에 각각 실장되는 바, 각 커넥터를 각각 실장하기 위한 실장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나아가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부품들의 설치에 제약이 따랐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나의 커넥터에 인증용 메모리카드와 데이터용 메모리카드를 동시에 고정 접속할 수 있는 듀얼카드형 커넥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100874호 및 제2005-0100875호에 ‘저장매체 접속용 듀얼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라는 명칭으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의 소형화로 인 하여 메모리카드가 수납공간에 수납된 후 취출하는데 어려운 구조를 이루고 있다. 특히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심카드(SIM card)등의 메모리카드의 경우 상기와 같은 취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커넥터 및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에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심카드가 수납공간에 수납된 후 용이하게 탈취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수납공간을 커버링하는 커버에 취출 공간을 형성하여, 수납된 메모리카드를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는, 메모리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을 커버링하는 금속재질의 커버 및 접속부가 상기 수납공간 내로 노출되어 상기 메모리카드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에 있어서, 심카드(SIM card)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수납되고, 마이트로에스디카드(MICRO SD card)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심카드가 수납되는 상부측 수납공간 후방벽 중앙에는 수납된 심카드 를 전방으로 밀어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재로 성형되어 상기 하우징의 심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커버링하고, 일측에는 상기 심카드를 취출하기 위하여 심카드가 수납되는 반대편의 제1커버 절곡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취출 홈이 형성된 제1커버; 금속재로 성형되어 상기 하우징의 마이트로에스디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커버링하는 제2커버; 상기 각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심카드 및 마이트로에스디카드가 각각 접속되는 접속단자; 상기 수납공간중 하부측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트로에스디카드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 및 상기 하부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마이트로에스디카드가 수납되는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트로에스디카드의 장착유무를 감지하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정위치에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외측 절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돌기에 끼워지기 위한 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정위치 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아랫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상부측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하부측 커버, 록킹수단, 스위치단자 및 피팅네일을 분해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을 아랫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하우징의 하부측 수납공간에 마이트로에스디카드를 삽입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1)는, 수납공간(101)(102)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1)(102)을 각각 차폐하는 커버(200)(300)와, 수납공간(101)(102) 내에서 메모리카드(10)(20)와 각각 접속되는 접속단자(400)(500)와,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서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하부측 수납공간(102)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700)(800) 및 하우징(100)을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는 피팅네일(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우징(100)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것으로, 상부에는 심카드(10)가 전후방향으로 탈거 가능하게 수납되는 수납공간(10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탈거 가능하게 수납되는 수납공간(102)이 형성된다.
이 때, 하우징(100)의 양측면 및 후면에는 커버(200)(300)의 절곡된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고정돌기(103)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전단부에는 하부측 커버(300)의 절곡된 전단부 가장자리가 관통되는 관통홀(104)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104)의 일측벽에는 하부측 커버(300)의 절곡된 전단부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고정돌기(10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측 수납공간(101)의 후방벽 중앙에는 손가락 등으로 상부측 수납공간(101)에 수납되어 있는 심카드(10)를 전방으로 밀어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홀(105)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전후방향으로 수납되는 심카드(10)와 접속되는 인증용 접속단자(400)의 접속부가 상부측 수납공간(101) 내로 노출되는 제1노출홀(106)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또 다른 위치에는 좌우방향으로 수납되는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와 접속되는 데이터용 접속단자(500)의 접속부가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로 노출되는 제2노출홀(107)이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일측부 전후에는 후술할 피팅네일(900)의 고정부(901)가 삽입 고정되는 피팅네일 고정홈(108)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우측벽에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700)(800)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스위치단자 고정홈(109)(109′)이 형성되며,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후방측에는 하부 수납공간(102)의 후방측벽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하트캠(601)이 도면상 우측으로 밀릴 때 하트캠(601)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벽(110)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가 삽입되는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일측에는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가 삽입될 때 하트캠(601)의 일단이 후방으로 밀릴 수 있는 도피공간(111)이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일측부 저면 후방측 가장자리에는 하부측 커버(300)의 모서리부에 각각 접촉되는 변형방지돌부(113)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구조상 또는 납땜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100)의 일측부 저면 전후측 가장자리가 휠 염려가 있을 때 변형방지돌부(113)가 하부측 커버(300)의 모서리에 걸려 하우징(100)의 휨이 방지된다.
이 때, 변형방지돌부(113)는 도면에서처럼 하우징(100)의 일측부 저면 후방측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하우징(100)의 타측부 저면 후방측 가장자리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일측부 측면에는 상하부측 커버(200)(300)가 정위치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11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측 커버(200)(300)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214)을 가이드 하여 하우징(100)과 커버(200)(300)가 결합되는 경우 정위치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200)(300)는 하우징(100)의 상하부에 형성된 수납공간(101)(102)을 각각 차폐하는 것으로, 금속재로 제작되며 각 커버(200)(300)의 절곡된 가장자리에는 하우징(100)의 고정돌기(103)가 끼워지는 고정돌기 끼움홀(201)(301)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측 커버(300)의 일측에는 스위치단자(700)(800)의 접속부(703)(803) 단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도피홀(302)이 형성된다. 만일, 스위치단자(800)가 금속재로 된 하부측 커버(300)에 접촉되면 접속불량으로 인해 스위치 단자(700)(800)로부터 기대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부측 커버(200)의 소정 위치에는 단조에 의해 눌려 커버(200)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202)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강도 보강부(202)는 수납공간(101)측으로 돌출되어 심카드(10)의 수납시 심카드(10)를 눌러주어 심카드(10)의 들림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심카드(10)가 수납되는 반대편의 상부측 커버(200) 절곡부에는 수납공간(101)에 수납된 심카드(10)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용 홈(205)이 형성된다. 이러한 취출용 홈(205)은 상부측 커버(200)의 절곡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어, 손가락 등으로 상부측 수납공간(101)에 수납되어 있는 심카드(10)를 용이하게 전방으로 밀어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측 커버(200)의 절곡부 일측에는 하우징과 정위치 되어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홈(214)이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가이드 돌기(214)에 의하여 정위치되어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홈(214)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측 커버(300)의 절곡부에도 형성되어, 하우징(100)과 하부측 커버(300)가 정위치 되도록 한다.
전술한 접속단자(400)(500)는 상부측 수납공간(101) 및 하부측 수납공간(102)으로 각각 노출되어 심카드(10) 및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 각 접속단자(400)(500)의 일단부에는 각 수납공간(101)(102)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각각 형성되고 각 접속단자(400)(500)의 타단부에는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납땜되는 납땜부가 각각 하방으로 절곡 형성 된다.
이 때, 각 접속단자(400)(500)는 몰딩에 의해 하우징(100)과 일체화된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록킹수단은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 설치되어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 수납되는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를 록킹시키거나 록킹해제시키는 것으로,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하트캠(601)과, 하트캠(601)을 일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607), 및 하트캠(601)을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키는 핀로드(608)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트캠(601)은 하부측 수납공간(102)내 후방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의 삽입 및 탈거시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와 함께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부에 하트형상으로 형성되어 핀로드(608)의 일단이 당접 및 주회하는 안내그루브(603)가 형성된 몸체부(602)와, 일단부에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의 일측에 형성된 록킹홈(20a)에 삽입되는 록킹돌기(605)가 일체로 형성되어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와 함께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몸체부(602)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계합부(604), 및 계합부(604)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탄성스프링(607)의 일단이 끼워지는 제1끼움돌기(606)로 구성된다.
탄성스프링(607)은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 후방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하트캠(601)을 일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일단은 하트캠(601)의 제1끼움돌기(606)에 끼워지고 타단은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우측벽에 돌출 형성된 제2끼움돌기(112)에 끼워진다.
이러한 탄성스프링(607)은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의 삽입시 하트캠(601)이 도면상 우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압축되었다가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를 분리하기 위해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를 누르면 복원력에 의해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가 원활하게 분리된다.
핀로드(608)의 일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일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트캠(601)의 안내그루브(603)에 삽입된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스위치단자(700)(800)는 하부측 수납공간(102)에 삽입되는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가 하부측 수납공간(102)의 우측 즉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의 진행방향 후방에 설치된 접속단자(500)에 접속되기 전에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를 감지하여 김지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와 접속단자(500)의 접속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접속단자를 포함한 다른 전자회로의 오작동 등을 미연에 방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단자(700)(800)는,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서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가 수납되는 방향의 후방측벽에 각각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된 스위치단자 고정홈(109)(109′)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701)(801)와, 고정부(701)(801)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납땜되는 납땜부(702)(802), 및 고정부(701)(801)의 일단으로부터 각각 연장 되고 하부측 수납공간(102) 내에서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의 진행방향상에 전후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가 데이터용 접속단자(500)에 접속되기 전에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에 의해 밀려 서로 접속되는 접속부(703)(8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위치단자(700)(800)중 마이트로에스디카드(20)의 진행방향의 전방에 위치되는 스위치단자(700)의 타단부 즉, 접속부(703)의 단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넓이가 확장됨에 따라 후방에 위치되는 스위치단자(800)의 접속부(803)와의 접촉면적이 확장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피팅네일(900)은 하우징(100)을 이동통신단말기 내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일측 전후방에 형성되는 피팅네일 고정홈(108)에 삽입 고정되며 절곡된 그 하단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된다.
이러한 피팅네일(900)중 하나는 상부측 커버(200)에 접촉되고 다른 하나는 하부측 커버(300)에 접촉되어 커버(200)(300)에서 발생되는 정전기가 피팅네일(900)을 따라 그라운딩된다.
도 9는 하우징의 상부측 수납공간에 심카드를 삽입하고, 취출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9a 내지 9c를 참조하면, 상,하측에서 커버(200)(300)로 싸여 있는 하우징(100)의 상부측 수납공간(101)에 심카드(10)가 삽입되어 접속단자(400)에 접하게 된다. 한편, 수납된 심카드(1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하여 수납공간(101)에 서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 하우징(100)의 분리홀(105)과 상부측 커버(200)의 취출용 홈(205)에 돌출된 심카드(10)의 단부를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살짝 밀어줌으로써 심카드(10)는 수납공간(101)에서 분리되어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에 따르면, 심카드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에 분리홀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수납공간을 커버링하는 상부측 커버에 취출용 홈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홀 및 취출용 홈에 의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된 심카드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Claims (2)

  1. 메모리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을 커버링하는 금속재질의 커버 및 접속부가 상기 수납공간 내로 노출되어 상기 메모리카드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에 있어서,
    심카드(SIM card)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수납되고, 마이트로에스디카드(MICRO SD card)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심카드가 수납되는 상부측 수납공간 후방벽 중앙에는 수납된 심카드를 전방으로 밀어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홀이 형성된 하우징;
    금속재로 성형되어 상기 하우징의 심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커버링하고, 일측에는 상기 심카드를 취출하기 위하여 심카드가 수납되는 반대편의 제1커버 절곡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취출 홈이 형성된 제1커버;
    금속재로 성형되어 상기 하우징의 마이트로에스디카드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커버링하는 제2커버;
    상기 각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심카드 및 마이트로에스디카드가 각각 접속되는 접속단자;
    상기 수납공간중 하부측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트로에스디카드를 록킹시키는 록킹수단; 및
    상기 하부측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마이트로에스디카드가 수납되는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트로에스디카드의 장착유무를 감지하는 한 쌍의 스위 치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정위치에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외측 절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 돌기에 끼워지기 위한 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정위치 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KR1020060029819A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KR100717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819A KR100717739B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PCT/KR2007/001551 WO2007114591A1 (en) 2006-03-31 2007-03-30 Dual card type connector of mobile phone
CN2007800166306A CN101507059B (zh) 2006-03-31 2007-03-30 移动电话用的双卡型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819A KR100717739B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70U Division KR200419254Y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739B1 true KR100717739B1 (ko) 2007-05-18

Family

ID=3827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819A KR100717739B1 (ko) 2006-03-31 2006-03-31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17739B1 (ko)
CN (1) CN101507059B (ko)
WO (1) WO20071145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815B1 (ko) * 2006-07-31 2013-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7196B2 (ja) * 2011-01-12 2013-06-12 Smk株式会社 取出し機能付きカードコネクタ
US8855715B2 (en) 2011-03-11 2014-10-0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removable memory module
US9277864B2 (en) 2012-05-24 2016-03-08 Vital Connect, Inc. Modular wearable sensor device
CN104253327B (zh) * 2013-06-26 2017-12-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双卡连接器及具其电子装置
CN104037518A (zh) * 2014-04-28 2014-09-10 昆山鸿日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层手机卡座
US9183420B1 (en) 2014-06-20 2015-11-10 Nokia Technologies Oy Reader for electronic cards
AU2014402126B2 (en) 2014-07-31 2018-11-08 Godo Kaisha Ip Bridge 1 Three-in-two card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ree-in-two card connector
CN104702734A (zh) * 2015-01-07 2015-06-10 昆山捷皇电子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层手机卡座
EP3252677A1 (en) * 2016-06-01 2017-12-06 SmarDTV S.A. A pcmcia contacting unit
CN108701921A (zh) * 2016-11-03 2018-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Sim卡座和sim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2976A (ja) 2001-10-22 2003-05-09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050055412A (ko) * 2003-12-08 2005-06-13 김진의 이종 메모리 카드 겸용 소켓
KR20050087708A (ko) * 2004-08-10 2005-08-3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드장착소켓
KR20050100874A (ko) * 2004-04-16 2005-10-20 주식회사 팬택 저장매체 접속용 듀얼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13436A (ko) * 2006-01-16 2006-02-09 (주)넥스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0460B2 (ja) * 2000-04-27 2004-05-24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671484B2 (ja) * 2000-10-11 2011-04-20 ケル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CN2651960Y (zh) * 2003-09-02 2004-10-27 钜航科技股份有限公司 双卡连接器
TWM261893U (en) * 2004-08-27 2005-04-1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2976A (ja) 2001-10-22 2003-05-09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050055412A (ko) * 2003-12-08 2005-06-13 김진의 이종 메모리 카드 겸용 소켓
KR20050100874A (ko) * 2004-04-16 2005-10-20 주식회사 팬택 저장매체 접속용 듀얼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87708A (ko) * 2004-08-10 2005-08-3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드장착소켓
KR20060013436A (ko) * 2006-01-16 2006-02-09 (주)넥스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용 듀얼 카드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815B1 (ko) * 2006-07-31 2013-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4591A1 (en) 2007-10-11
CN101507059B (zh) 2011-04-20
CN101507059A (zh)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7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JP5049003B2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ハウジングSubAssyの製造方法
KR100682570B1 (ko) 메모리 카드용 어댑터
US6814596B2 (en) Card connector having low profile and vision indicator
KR101267845B1 (ko) 듀얼 메모리 카드형 소켓
EP1557781B1 (en) A card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act used therein
JP57495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TWI596833B (zh) Connector
US9124042B2 (en) Holder connected to an operation member via an elastic member
JP2008146873A (ja) コンタクトとそれを備えるカードアダプ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
KR10074100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JP5824357B2 (ja) コネクタ
JP422686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69854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의 접속단자 제조방법
KR1007177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JP4848980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071774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용 스위치단자 구조
KR101057236B1 (ko) 카드 커넥터
KR200419254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KR2007009831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용 커넥터의 접지구조
JP377278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19473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용 커넥터의 접지구조
KR200422916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용 스위치단자 구조
JP3768171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のイジェクト機構
KR101361740B1 (ko) 단말기용 듀얼 카드형 소켓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