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815B1 -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815B1
KR101217815B1 KR1020060071947A KR20060071947A KR101217815B1 KR 101217815 B1 KR101217815 B1 KR 101217815B1 KR 1020060071947 A KR1020060071947 A KR 1020060071947A KR 20060071947 A KR20060071947 A KR 20060071947A KR 101217815 B1 KR101217815 B1 KR 101217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ocket
portable terminal
groov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523A (ko
Inventor
서호수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815B1/ko
Publication of KR2008001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적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다양한 방식의 착탈식 카드가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소켓의 저부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카드가 완전히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홈을 통해 카드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하여, 분리시, 상기 홈을 통해 돌출된 카드를 밀어냄으로써 분리가 원활하도록 하여, 적용되는 착탈식 카드의 크기에 관계 없이 항상 원활한 분리가 가능해짐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Figure 112006054969968-pat00001
휴대용 단말기, SIM, UIM, T-Flash, 카드, 홈, 소켓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HYBRID SOCKET FOR ATTACHABLE CARD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장치에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SIM card)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장치에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착탈식 카드를 위한 소켓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양한 길이의 착탈식 카드를 원활히 장착시키고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는 그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착탈식 카드 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SM방식의 단말기에는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CDMA 방식의 단말기에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럽형 GSM(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의 이동 무선 단말기에는 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SIM card; Subscriber Identify Module card)가 적용된다.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는 단말기 가입자의 정보 및 단말기 시스템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상술한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가 적용되면 적용되는 단말기에 관계없이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에 저장된 정보에 따른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 내역, 단말기 사용자 설정 정보, 시스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어서, 해당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를 호환이 가능한 다른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이전 사용자의 정보를 그대로 해당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편리성을 주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장점때문에 CDMA 방식의 이동 무선 단말기에 역시 사용자 식별 모듈(UIM; User Identify Module) 카드를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술한 식별 모듈 카드 이외에, 단말기의 보조 메모리 장치로써 메모리 카드가 적용될 수 있다. 최근 들어, 그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으면서 용량이 큰 T-Flash 카드가 적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를 장착함으로써 저장 공간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별 카드 및 메모리 카드는 단말기에 구비되는 별도의 소켓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별도의 소켓 장착에 따른 단말기 부피 증가와 더불어 부품수의 증가, 조립 공수의 증가 등 다양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하나의 소켓에 상술한 각종 착탈식 카드가 장착되는 하이브리드 소켓(hybrid socket)이 적용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 소켓에 적용되는 착탈식 카드는 그 폭은 동일하나 길이가 서로 다르므로, 예를 들어, SIM 카드를 적용할 경우 소켓의 외측으로 상기 카드의 일부가 돌출되어 쉽게 분리가 가능하나, 상대적으로 길이가 작은 T-Flash 카드를 적용할 경우 상기 소켓에 카드의 대부분이 삽입되어 분리시에 어려움이 따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용 카드의 크기에 관계 없이 항상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킨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적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다양한 방식의 착탈식 카드가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저부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카드가 완전히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홈을 통해 카드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하여, 분리시, 상기 홈을 통해 돌출된 카드를 밀어냄으로써 분리가 원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장치의 사시도로써, 적용되는 단말기는 대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소켓이 장착되는 단말기의 후면상에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말기의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드 바디가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슬라이드 바디의 후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켓(10)은 단말기(1)의 후면(2)에 설치된다. 상기 소켓(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미도시되었으나, 장착되는 착탈식 카드(20, 30)의 접속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하여, 그 내부에 다수의 컨넥터가 설치될 것이다. 상기 컨넥터의 일단은 상기 소켓(1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단말기(1)의 메인 보드(미도시 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실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소켓(10)은 장착되는 착탈식 카드(20, 30)의 고정 수단으로써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장착되는 카드와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매개체로써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켓(10)은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상부에 형성되어 착탈식 카드 (20, 30)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12)과, 그 하측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홈(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부(12) 및 홈(13)은 상기 소켓(10)이 사출될 때 함께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소켓(10)은 하이브리드 소켓(hybrid socket)으로써 사용자/가입자 식별용 카드(20)가 삽입되거나, T-Flash 카드(30)와 같은 메모리 카드가 공용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카드들(20, 30)은 상기 소켓(10)에 장착되면, 상기 홈(13)을 통해 카드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장치에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SIM card)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장치에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가입자 식별 카드(SIM card)(20)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카드(20)는 상기 소켓(10)에서 절반 이상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소켓(10)에서 상기 카드(2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소켓(10)에 돌출된 카드(20)의 상부면을 잡고 이탈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T-Flash 카드(30)가 적용된 상태로써, 이러한 경우에 상기 카드(30)는 거의 대부분이 상기 소켓(10)의 수납부(12)에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도 2의 경우처럼 카드의 상단부를 잡고 분리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때, 사용자가 상기 소켓(10)에서 상기 카드(3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소켓(10)의 저부에 형성된 홈(13)을 통해 노출된 카드(30)의 단부를 손톱이나 도구를 사용해 상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손쉽게 분리가 가능할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hybrid socket)는 적용되는 착탈식 카드의 크기에 관계 없이 항상 원활한 분리가 가능해짐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용 단말기의 적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카드를 탈착시키는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다양한 크기의 상기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 및
    상기 바디의 하측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되,
    상기 카드가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경우, 수납된 상기 카드의 단부는 상기 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홈을 통해 노출된 상기 카드의 단부를 밀어내는 조작을 통해 수납된 상기 카드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사용자에게 허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홈은 상기 소켓을 사출시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카드는 SIM 카드, UIM 카드,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KR1020060071947A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KR10121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47A KR101217815B1 (ko)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47A KR101217815B1 (ko)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523A KR20080011523A (ko) 2008-02-05
KR101217815B1 true KR101217815B1 (ko) 2013-01-03

Family

ID=3934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947A KR101217815B1 (ko) 2006-07-31 2006-07-31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8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41Y1 (ko) * 2004-08-09 2004-11-17 주식회사 두레디앤이 모바일폰용 카드 접속장치
KR20050055412A (ko) * 2003-12-08 2005-06-13 김진의 이종 메모리 카드 겸용 소켓
KR100717739B1 (ko) * 2006-03-31 2007-05-1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KR20070098313A (ko) * 2006-03-31 2007-10-0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용 커넥터의 접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412A (ko) * 2003-12-08 2005-06-13 김진의 이종 메모리 카드 겸용 소켓
KR200368141Y1 (ko) * 2004-08-09 2004-11-17 주식회사 두레디앤이 모바일폰용 카드 접속장치
KR100717739B1 (ko) * 2006-03-31 2007-05-18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형 커넥터
KR20070098313A (ko) * 2006-03-31 2007-10-0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용 커넥터의 접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523A (ko) 200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708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hip card holder
US8801468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US7354285B1 (en) Card insertion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US7445510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CN201639080U (zh) 电子装置的芯片卡装卸结构
US7780464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079614B1 (ko) 쓰리인투 카드 홀더 및 카드 홀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EP1148694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P1406204A2 (en) Card holder for cellular phone
CN105186241A (zh) 用于电子卡的阅读器
KR1012178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CN1893287B (zh) 芯片卡固持结构
JP2003304313A (ja) カード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US805463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hip card
KR101476301B1 (ko) 카드 커넥터
CN102136655B (zh) 芯片卡锁持结构
KR20070021374A (ko) 외장형 카드기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60012862A (ko) 카드 커넥터
CN110429948B (zh) 卡盖及电子设备
KR100480056B1 (ko) 카드이탈방지브래킷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582339B1 (ko) 스마트 카드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24203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KR20050055412A (ko) 이종 메모리 카드 겸용 소켓
KR200235498Y1 (ko) 아이씨카드 컨넥터
US20130280939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