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259A -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259A
KR20090011259A KR1020070074667A KR20070074667A KR20090011259A KR 20090011259 A KR20090011259 A KR 20090011259A KR 1020070074667 A KR1020070074667 A KR 1020070074667A KR 20070074667 A KR20070074667 A KR 20070074667A KR 20090011259 A KR20090011259 A KR 20090011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car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rd
car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259A/ko
Publication of KR2009001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가 제공된다. 상기 제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는 카드몸체, 상기 카드몸체의 후면에 구비되고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IC 칩, 상기 카드몸체의 탈착시 사용되도록 상기 카드몸체의 후면의 반대면인 전면에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카드몸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할 시 상기 카드몸체의 전ㆍ후면 혼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드몸체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식별마크를 포함한다.
심카드,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SIM card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심카드(SIM card;Subscriber Identification Moudle card)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즉, 휴대폰의 이용방식에는 유럽이나 일본 등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과, 미국이나 대한민국 등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있다.
이들 방식들 중 GSM 방식은 다양한 네트워크 작동자(network operator) 간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규격으로서, 이 GSM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를 내장하는 심카드(SIM card)가 장착된다. 즉, 심카드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암호 등 가입자의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와 네트워크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인 심카드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심카드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심카드(10)는 평판 형상의 카드몸체(12)와, 상기 카드몸체(12)의 후면에 구비되며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IC 칩(17) 및, 상기 카드몸체(12)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할 시 상기 카드몸체(12)의 전면과 후면의 혼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드몸체(12)의 상단부 일측에 일정부분이 절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식별마크(11)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심카드(1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은 심카드 삽입부가 마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삽입부에 종래의 심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심카드 삽입부가 마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삽입부에 종래의 심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심카드(10)가 장착되도록 마련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20,30)는 크게 2가지 형태로 대별되는데, 그 하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그 다른 하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심카드(10)가 장착되도록 마련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20,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카드 삽입부(22)가 외부로 대부분 노출되도록 형성된 노출 타입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카드 삽입부(36)가 일부분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비노출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종래 심카드(10)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대부분이 노 출되도록 심카드 삽입부(22)에 삽입되어 장착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분 즉, 상단부 측만이 노출되도록 심카드 삽입부(36)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참조부호 24는 심카드(10)의 IC 칩(17)에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의 단자들을 지칭한다.
한편, 이상과 같이 장착된 심카드(10)를 이동통신 단말기(20,30)로부터 분리해야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0,30)의 사용자 등은 대부분 그 외부로 노출된 부분 곧, 이동통신 단말기(20,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심카드(10)의 전면 부분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서 앞으로 밀어냄으로써, 심카드(10)를 분리하고 있다.
하지만,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20)는 그에 장착된 심카드(10)가 대부분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상과 같은 심카드(10)의 분리 작업은 대체로 어려움 없이 진행되고 있지만,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30)는 그에 장착된 심카드(10)가 그 일부분 곧, 상단부 측만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상과 같은 심카드(10)의 분리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30)의 경우, 그에 장착된 심카드(10)가 그 일부분 곧, 상단부 측만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사용자 등은 부득이하게 이 외부로 노출된 상단부 측만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서 앞으로 밀어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 경우, 심카드(10)와 이에 접촉되는 손가락 등의 접촉면적(도 6의 A)은 매우 적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사용자 등은 심카드(10)를 분리하기 위하여 매우 큰 힘을 주어 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 이 매우 큰 힘으로 인하여 심카드(10)가 파손되어지는 문제도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심카드가 장착될 시 그 일부분 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도 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일면에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IC 칩이 구비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는 그의 탈착을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타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돌기이거나 상기 타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만큼 함몰된 홈일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카드몸체, 상기 카드몸체의 후면에 구비되고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IC 칩, 상기 카드몸체의 탈착시 사용되도록 상기 카드몸체의 후면의 반대면인 전면에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카드몸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할 시 상기 카드몸체의 전ㆍ후면 혼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드몸체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식별마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카드몸체의 전면의 상단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카드몸체의 전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돌기이거나 상기 카드몸체의 전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만큼 함몰된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에는 그의 탈착시 사용되는 걸림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 걸림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심카드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에는 그의 탈착시 사용되는 걸림부가 그 카드몸체의 상단부 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심카드가 장착될 시 그 상단부 측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걸림부는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 걸림부를 통하여 매우 용이하게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심카드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 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심카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심카드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5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삽입부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50)는 카드몸체(52), 상기 카드몸체(52)의 후면에 구비되는 IC 칩(57), 상기 카드몸체(52)의 전면에 형성되는 걸림부(54) 및, 상기 카드몸체(52)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식별마크(51)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카드몸체(52)는 심카드(5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심카드 삽입부(36) 즉, 이동통신 단말기(30)에 형성된 심카드 삽입부(36)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몸체(52)는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심카드 삽입부(3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에 비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드몸체(52)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IC 칩(57)의 후면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커버체 역할도 한다.
상기 IC 칩(57)은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심카드 삽입부(36)에 마련된 단자 들에 접속되는 부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30)의 가입자에 대한 제반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IC 칩(57)에는 개인인증번호(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와 개인 차단해제 키(PUK;Personal Unblocking Key)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54)는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심카드 삽입부(36)에 심카드(50)를 장착하거나 이로부터 심카드(50)를 분리할 시 사용되는 부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잘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왜냐하면, 심카드(50)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심카드(50)를 누르면서 앞으로 밀어내거나 당김으로써 심카드(50)를 탈착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54)는 상기 카드몸체(52)의 전면의 상단부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카드몸체(52)의 전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돌기(56)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심카드(50)를 장착하거나 분리하고자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심카드(50)의 걸림부(54) 즉, 돌기(56)를 누르면서 앞으로 밀어내거나 당김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심카드(50)를 이동통신 단말기(3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별마크(51)는 상기 심카드(50)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심카드 삽입부(36)에 장착할 시 상기 심카드(50)의 전면과 후면의 혼용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 즉, 심카드(50)를 심카드 삽입부(36)에 장착할 시 반드시 심카드(50)의 IC 칩(57)이 심카드 삽입부(36)에 마련된 단자들에 접속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카드몸체(52)의 상단부 일측에 일정부분이 절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사용자 등은 이 식별마크(51)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오도록 한 다음, 심카드(50)를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심카드 삽입부(36)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사용자 등은 이동통신 단말기(30)에 미리 새겨진 위치대로 심카드(50)의 식별마크(51)를 위치시킨 다음, 심카드(50)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별마크(51)는 다른 형태로도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심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50')는 이동통신 단말기(30)에 심카드(50')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시 사용되는 부분 즉, 걸림부(54')가 카드몸체(52)의 전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만큼 함몰된 홈(58)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심카드(50')의 걸림부(54')가 상기 카드몸체(52)의 전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만큼 함몰된 홈(58)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50')를 이동통신 단말기(30)에 장착하거나 분리하고자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사용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카드(50')의 걸림부(54') 즉, 홈(58)을 누르면서 앞으로 밀어내거나 당김으로써 심카드(50')를 이동통신 단말기(3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사용자는 걸림부(54)로 돌기(56)를 이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매우 용이하게 심카드(50')를 이동통신 단말기(3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인 심카드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심카드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심카드 삽입부가 마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삽입부에 종래의 심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심카드 삽입부가 마련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삽입부에 종래의 심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심카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심카드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삽입부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심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5)

  1. 일면에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IC 칩이 구비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는 그의 탈착을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타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돌기이거나 상기 타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만큼 함몰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3. 카드몸체;
    상기 카드몸체의 후면에 구비되고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IC 칩;
    상기 카드몸체의 탈착시 사용되도록 상기 카드몸체의 후면의 반대면인 전면에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카드몸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할 시 상기 카드몸체의 전ㆍ후면 혼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카드몸체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식별마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카드몸체의 전면의 상단부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카드몸체의 전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돌출된 돌기이거나 상기 카드몸체의 전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만큼 함몰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KR1020070074667A 2007-07-25 2007-07-25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KR20090011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667A KR20090011259A (ko) 2007-07-25 2007-07-25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667A KR20090011259A (ko) 2007-07-25 2007-07-25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259A true KR20090011259A (ko) 2009-02-02

Family

ID=4068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667A KR20090011259A (ko) 2007-07-25 2007-07-25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2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60Y1 (ko) * 2010-01-25 2011-04-15 현성균 휴대용 전자기기의 심카드
WO2022196979A1 (ko) * 2021-03-17 2022-09-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트레이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60Y1 (ko) * 2010-01-25 2011-04-15 현성균 휴대용 전자기기의 심카드
WO2022196979A1 (ko) * 2021-03-17 2022-09-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트레이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952B2 (en) SIM card carrier
KR100707715B1 (ko)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EP0967771A2 (en) Sim card terminal
US20020014528A1 (en) Drawab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holder
EP1148694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4811369B2 (ja) 携帯電子機器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US8244302B2 (en) Radio base station device
GB2328772A (en) SIM card locking in a portable telephone
KR20090011259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심카드
JP2015041230A (ja) 携帯端末
CN1980549A (zh) 芯片卡固持结构
JPH09247256A (ja) 異なるフォーマットのチップカードを読み取るためのアダプターをもつ着脱自在なケーシングを有する装置
KR1008168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심카드 접속장치
EP1241798B1 (en) Sliding SIM card holder
KR1008509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탈착장치
KR20070088492A (ko)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및 형상 변환 어댑터
JP2004192177A (ja) Sim用リーダライタ
WO2011063721A1 (en) Card with a plurality of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s
CN210609321U (zh) 电子设备保护壳
KR200416857Y1 (ko)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KR1012178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식 카드를 위한 하이브리드 소켓 장치
KR200299989Y1 (ko) 가입자정보모듈 카드 착탈장치
JP2010218345A (ja) Icカード逆入れ防止機構を具える電子機器
KR200351183Y1 (ko) 모바일 스마트 카드용 칩 어뎁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