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256B1 -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256B1
KR101413256B1 KR1020130021968A KR20130021968A KR101413256B1 KR 101413256 B1 KR101413256 B1 KR 101413256B1 KR 1020130021968 A KR1020130021968 A KR 1020130021968A KR 20130021968 A KR20130021968 A KR 20130021968A KR 101413256 B1 KR101413256 B1 KR 101413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valve
air
accommodating portion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안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문이엔이
Priority to KR102013002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8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 B65G53/22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the systems comprising a reservoir, e.g. a bunk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원은 종래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점성이 큰 슬러지라도 슬러지임시수용부 내에서 원활하게 배출되어 슬러지 이송차량의 적재함까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슬러지 투입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로 밀폐유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와 밸브 하부로 슬러지임시수용부를 포함하고 슬러지임시수용부 내부에 공기압을 주입하여 슬러지물을 이송시키는 종래의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밀폐구조를 이루기 위해 밸브가 설치되고 밸브 상부에는 공기주입관과 연계되는 에어분사구가 마련되어 밸브가 개구 될 때 밸브 및 밸브수용프레임부에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을 갖도록 제공되고,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의 이음연결부에는 소음저감기가 부설시켜 소음저감구조를 이루며,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의 후단에 충격방지판 및 공기배출구를 갖는 이송보조장치를 추가하여 적재함에 마련되는 무게측정기(로드셀)에 충격을 저감하는 완충수단을 갖는 슬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Sludge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transport sludge using air pressure}
본원은 점성을 갖는 슬러지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압으로 주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슬러지수용부 내의 협잡물 또는 탈수케이크 등 고형화한 슬러지를 원활하게 예를 들면 운송차량 등의 소정 장소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압을 이용한 탈수된 슬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소정의 장소인 폐기물하치장으로 운반하여 폐기시키고 있으나 점점 폐기물의 양이 증가하면서 폐기물하치장에 적재되는 폐기물의 양이 감당하기 어려을 정도로 되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폐기물을 수분이 포함된 상태로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폐기물의 수분을 제거시켜서 고형화된 폐기물을 폐기물하치장으로 운반하여 폐기시킴으로써 폐기물하치장에 적재되는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하며 운전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수분제거장치에 의하여 수분을 제거한 슬러지를 운반차에 적재하기 위한 수단으로 벨트콘베이어나 스크루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왔는바, 벨트콘베이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장치에 의하여 수분을 제거한 슬러지를 벨트콘베이어의 상부에 올려놓으면 상기 벨트콘베이어에 의하여 운반차량의 상부까지 탈수된 슬러지가 이송되고, 상기 운반차량까지 이송된 슬러지가 상기 운반차량에 의하여 폐기물 하치장으로 이송되는 구성으로 적용되어 왔다.
또한, 스크루콘베이어 역시 상기 슬러지를 수분제거장치에서 운반차량까지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스크루콘베이어는 폐기물의 수분제거장치에 의하여 고형화된 슬러지를 스크루에 의하여 슬러지를 이동시켜서 운반차량까지 이송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슬러지 이송장치 중에서 벨트콘베이어는 벨트를 연속적으로 운반차의 상부까지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벨트를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기가 어려웠으며, 상기 벨트의 경사 높이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슬러지가 상승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고, 또한 벨트에 의한 운반이기 때문에 벨트에서 상기 벨트의 좌 우측으로 탈락되는 슬러지도 많이 발생되며, 상기 탈락된 슬러지는 작업장을 불결하게 하고, 상기 슬러지가 음식물 등 부패가 되는 폐기물인 경우 악취가 발생하게 되어 주변환경을 나쁘게 하고 민원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어 왔다.
또한 스크루콘베이어인 경우에도 상기 스크루를 연속하여 설치하기에는 설치비가 많이 들고 장거리인 경우에는 적당하지 않은 이송장치이며, 상기 스크루콘베이어도 45°를 초과하는 높이에서는 오히려 슬러지가 상승되지 못하고 낙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안출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20-0239939호에서는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러지가 투입되는 호퍼와 에어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개폐되는 버터플라이밸브와 버터플라이밸브의 하부에 슬러지임시수용부가 구성되고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이송부로 구성되며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의 소정부위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공기주입관이 형성되는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된 공기주입관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기주입관이 연결되어 있으면서 본체 상측의 외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측에 위치되어 있는 주관과 상기 본체와 주관을 연결해주는 연결관을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2011년 제0042780호 특허에서는 습윤성 슬러지 이송수단으로서 고압용 양방향제어를 위한 본 네트형 나이프게이트 밸브를 사용하는 기술구성으로 양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력이 작용하더라도 나이프게이트의 하부단은 편향되지 않고 상부단은 미세 이동하여 마모를 최소화하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끼임 및 적체를 방지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압용 양방향제어를 위한 본 네트형 나이프게이트 밸브의 씨트 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밸브몸체에 형성되는 유로의 가로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내주면의 중앙을 따라 바깥방향으로 함몰되는 쿠션 고무 홈을 형성하고, 상부로 돌출되는 쿠션단의 하부로 끼움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단면이 역 티자 형태의 쿠션고무를 형성하여 쿠션 고무홈에 끼움단을 삽입 끼움 결합하며 쿠션 고무홈이 형성된 유로의 양측 내주 면에 한 쌍의 씨트를 쿠션단의 너비와 나이프게이트의 두께만큼 이격시켜 마주보게 접착 결합하여 유도홈을 형성하고 스템의 하부 끝단 부분을 직경 방향을 따라 일부분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홈의 하부로 걸림단을 형성하여 나이프게이트의 상부 끝단 중앙 부분을 관통시켜 형성되는 관통홀의 상부에 걸림고리단을 형성하여 양방향으로 유동되는 유체를 차단 시 흐름 방향에 따른 유동력에 의해 일측으로 밀리면서 나이프게이트와 유로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압력손실을 없이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0368576호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에 관한 기술에서는 호퍼의 하부에 밀폐유지부를 주변에 구비한 밸브가 구비되고 건조슬러지보관부의 소정부위에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건조슬러지보관부의 하측 출구에 벤투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벤투리부에 외측으로 연결되도록 이송통로가 구성되어 있는 건조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양측에 건조된 협잡물 주입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탈취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에 감속기가 설치되고 파쇄물주입부가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감속기에 연결된 샤프트의 상, 하측에 파쇄용 블레이드가 부착된 임펠러가 각각 설치되어진 파쇄부와 파쇄물주입부 저부에 건조슬러지이송장치의 상부를 형성하는 호퍼가 결합되는 구성의 건조된 협잡물 이송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나이프게이트밸브를 적용하든 또는 버터플라이밸브를 적용하든 간에 호퍼 하부에서 밀폐유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와 밸브를 수용하는 프레임 사이의 간극부에 슬러지나 이물질이 점차적으로 쌓여서 밸브디스크의 밀착도를 떨어트려 압력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또한 상기 기술에서는 고압의 공기로 슬러지를 운반차량 등의 원하는 장소로 이송시킬 때 큰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슬러지임시수용부에서 슬러지 이송차량 적재함으로 직접 슬러지를 고압으로 이송하는 경우 이송차량의 적재함에 무게를 측량하기 위해 마련되는 로드셀에 충격을 줘서 잦은 고장을 유발하며 로드셀의 수명을 단축하여 고가의 로드셀을 자주 교체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점성이 큰 슬러지라도 슬러지임시수용부 내에서 원활하게 배출되어 슬러지 이송차량의 적재함까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고장발생 우려가 없는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슬러지 투입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로 밀폐유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와 밸브 하부로 슬러지임시수용부를 포함하고 슬러지임시수용부 내부에 공기압을 주입하여 슬러지물을 이송시키는 종래의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밀폐구조를 이루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고 밸브 상부에는 공기주입관과 연계되는 에어분사구가 마련되어 밸브가 개구 될 때 밸브 및 밸브수용 프레임부에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을 갖도록 제공되고,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의 이음연결부에는 소음저감기가 부설되어 소음저감구조를 이루며,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의 후단에 충격방지판 및 공기배출구를 갖는 이송보조장치를 추가하여 적재함에 마련되는 무게측정기(로드셀)에 충격 완충수단을 갖는 슬러지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슬러지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서 밀폐유지부를 를 형성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 하부에는 슬러지임시수용부를 포함하여 제공되고 슬러지임시수용부 내부에 공기압을 주입하여 슬러지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슬러지 이송장치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밀폐구조를 이루기 위해 밸브가 설치되며 밸브 상부에는 원료유입호퍼의 하단부에 공기주입관이 원주형으로 하향분사구조를 이루는 에어분사구가 마련되어 밸브가 개구 될 때 밸브 및 밸브수용 프레임 사이로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을 갖고,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은 소음저감기를 경유하여 공기주입관이 슬러지임시수용부 하부쪽으로 향하는 공기분사구를 갖도록 제공되며,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의 후단에 충격방지판 및 공기배출구를 갖는 이송보조장치를 갖도록 구성되는 슬러지 이송장치를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의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이송보조장치로 사용되는 충격방지판은 상부쪽으로 원뿔 모양의 캡을 갖고 캡의 저부로는 스프링이 내장되는 구성을 이루며, 이송보조장치의 일측으로는 공기배출구를 갖고 공기배출구의 단부에는 소음저감기가 부착되어 민원을 해소하는 슬러지 이송장치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싸이크론이 사용되는 현장에서는 상기 이송보조장치인 충격방지판 대신에 싸이크론 외벽에 그래스 울(glass wool) 완충재가 50~100㎜ 범위의 두께로 채워져서 방음구조를 이루고 싸이크론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 배출관에 소음저감기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대체되어 적용되거나 또는 싸이크론 저부에 충격방지판이 함께 사용되는 구성으로 적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원의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밀폐구조를 이루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는 버터플라이밸브나 돔 밸브나 나이프게이트밸브 중에서 선택되는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와 밸브의 밀폐 구조를 외곽프레임 사이에 이물질이 많이 끼어 밀폐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원에서는 상기 밸브와 밸브의 밀폐 구조를 외곽프레임 사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분에 1차적 특징부를 갖는다.
본원은 슬러지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서 밀폐유지부를 를 형성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 하부에는 슬러지임시수용부를 포함하여 제공되고 슬러지임시수용부 내부에 공기압을 주입하여 슬러지물을 이송하는 슬러지 이송방법에서,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밀폐구조를 이루기 위해 버터플라이밸브나 돔 밸브나 나이프게이트밸브 중에서 선택되는 밸브가 사용되어 설치되며, 밸브 상부에는 공기주입관과 연계되는 에어분사구가 마련되어 밸브가 개폐될 시 밸브와 밸브수용 프레임에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1차적 특징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의 이음연결부에는 소음저감기가 부설되고 공기주입관은 슬러지임시수용부 하부쪽으로 향하는 공기분사구를 갖도록 제공되는 부분이 2차적 특징부를 이루며,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의 후단으로는 충격방지판 및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이송보조장치를 갖되, 충격방지판은 상부쪽으로 원뿔 모양의 캡을 갖고 캡의 저부로는 스프링이 내장되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공기배출구에는 소음저감기가 부착되어 소음을 저감시키며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되는 부분에 3차적 특징부를 갖는 슬러지 이송방법이 개시된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형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은 종래의 기술에서 나이프게이트밸브를 적용하든 또는 버터플라이밸브를 적용하든 간에 호퍼 하부에서 밀폐유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와 밸브를 수용하는 프레임 사이의 간극부에 슬러지나 이물질이 점차적으로 쌓여서 밸브디스크의 밀착도를 떨어트려 압력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버터플라이밸브나 돔밸브 상부에 공기주입관과 연계되는 에어분사구가 마련되어 밸브가 개구 될 때 밸브 및 밸브수용 프레임부에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여 압력손실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슬러지물 이송장치에서 큰 소음을 유발하여 슬러지물 처리장치 주변 주민들의 민원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슬러지임시수용부에서 슬러지 이송차량의 적재함으로 직접 슬러지를 고압으로 이송하는 경우 이송차량의 적재함에 무게를 측량하기 위해 마련되는 로드셀에 충격을 줘서 잦은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로드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 종래의 슬러지물 이송장치의 구성예시도.
도 2a : 본원에서 개시되는 슬러지물 이송장치의 처리흐름도.
도 2b : 본원에서 제시되는 슬러지물 이송장치의 예시도.
도 2c : 본원에서 제시되는 슬러지물 보조장치의 예시도.
도 3 : 본원에서 적용되는 또 다른 구성의 보조장치 구성예시도.
도 4a : 본원에서 사용되는 버터플라이밸브의 사용예시도.
도 4b : 상기 버터플라이밸브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5 : 본원에서 적용되는 소음저감기 적용예시도.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원에서 제시되는 도면은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적용예를 제시한 것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나 본원에서 제시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적용예를 제시한 것이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적용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서 공기압을 이용하여 슬러지물을 이송하는 장치를 예시한 것으로, 상부로 슬러지가 투입되는 호퍼(1a)와 상기 호퍼(1a)의 하부에 형성된 밀폐유지부(1b)에는 나이프게이트(2c)가 일측에 설치된 에어실린더(2a) 및 연결축(2c)의 작동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나이프게이트(2c)의 하부에는 슬러지가 임시로 보관될 수 있는 슬러지임시수용부(3a)가 구성되어 있고, 슬러지임시수용부 상부에는 에어컴프레서에 불어주는 공기압이 주입되는 공기공급관(3b)을 통하여 슬러지임시수용부에 공기압이 차서 슬러지물을 출구(3c)로 밀어주게 되며, 슬러지임시수용부 하부로는 경사벽면을 이루며 축소되어 출구(3c)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출구(3c) 하부로는 이송통로가 좁아지도록 구성된 벤투리부(4a)가 형성되어 있는 이송부(4b)로 구성되어 이송차량의 적적함으로 슬러지물을 이송하도록 제공되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상기 본체와 본체에 적재되는 슬러지의 무게와 에어컴프레서에 불어주는 공기압 등에 대해서 본체를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 하측에 보강부(5a)와 지지축(5b)을 갖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원에서 슬러지물을 효과적으로 이송시켜 적재함이나 운송차량으로 보내주기 위한 개선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에서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슬러지 이송시스템이 슬러지물 이송장치(50)와 이송보조장치(60)가 합쳐진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본원에서 제시되는 슬러지물 이송장치(50)의 특징부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도 2b의 슬러지물 이송장치에 부설되는 이송보조장치(60)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슬러지물 이송장치(50)는 외부 에어컴프레서에서 불어주는 고압공기가 이송배관(41)은 메인공급관(44)과 분기공급관(42)으로 구분되는 구조를 이루고, 분기공급관(42)에는 솔레노이드밸브1(S1)가 설치되어 슬러지원료 투입호퍼(20) 하단부로 고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메인공급(44)에는 솔레노이드밸브2(S2)가 설치되고 소음저감기(51)를 경유하여 슬러지임시수용부로 공기압을 공급되는 장치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상기 구조의 슬러지물 이송장치(5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물이 이송보조장치(60)를 거쳐 슬러지무게를 계량하는 계량조(70)를 거쳐 차량(80)으로 배출될 수 있는 처리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슬러지물 이송장치(50) 및 이송보조장치(60) 각각에 대하여는 도 2b, 도 2c에서 각각 상세히 설명되며 또한 도 2a에서는 계량조(70)가 단순히 숫자로만 표시되어 있으나 슬러지 배출량 무게를 측정하여 배출되는 계량장치는 도 3에 설명된다.
도 2b는 본원에서 제시되는 슬러지물 이송장치(50)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로 슬러지원료가 투입되는 원료호퍼(20)와 원료호퍼 저부의 슬러지 임시수용부(40) 사이에 밀폐부를 형성하기 위해 밸브(30)가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공기공급타임을 조절하여 밸브(30)와 밸브프레임(31) 사이로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원료적체가 없도록 해주기 위한 고압공기 분사배관(43)이 원료투입 호퍼(20) 하단부에 설치되되, 고압공기 분사배관(43)은 투입호퍼(20) 저부에 설치되는 밸브(30) 와 밸브프레임 사이로 고압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부를 향해 0.1~2.0 ㎜ 범위의 공기분사 간극부(43a)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슬러지 임시수용부(40)에 공기압을 공급하기 위해 에어컴프레서에 불어주는 공기압이 주입되는 이송배관(41)의 메인공급관(44)에는 소음저감기(51)가 부설되어 소음저감기1(51)을 거쳐 슬러지임시수용부(40)로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공급관(44)의 단부는 슬러지 임시수용부 내부가 하부로 좁아지는 콘 형상의 경사면(40a)을 따라 하부 쪽으로 향하는 공기분사 노즐부(44a)를 갖도록 제공되고 슬러지 임시수용부(40)의 경사벽면(40a) 외측으로는 글라스울(48)로 감싸서 방음구조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러지 임시수용부의 출구(45) 하부로는 이송통로가 좁아지도록 구성된 벤튜리부(46)가 형성되어 있는 이송관(47)을 갖되, 이송관은 이송차량의 적재함으로 슬러지물을 이송하기 전 단계에서 도 2c에서 제시되는 슬러지물 이송보조장치(60)나 도 3에 제시되는 사이클론보조장치(80)를 경유하여 보내지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는 슬러지물 이송장치(50)의 배출물을 받는 슬러지물 이송보조장치(60)로서 슬러지물 이송장치(50)에서 슬러지임시수용부에서 이송차량의 적재함으로 직접 슬러지를 고압으로 이송하는 경우 이송차량의 적재함이나 슬러지계량조(70)에 무게를 측량하기 위해 마련되는 로드셀에 충격을 줘서 계량장치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며 로드셀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되는 이송보조장치(60)는 원뿔 형상의 충격방지판(61)을 갖고 상부의 이송관(47)에서 투입되는 슬러지를 잘게 분산/파쇄시켜 하부배출구(66)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제공되고, 충격방지판(61)의 저부로는 스프링(62)이 지지판(63)에 내장되고 지지판은 지지축(64)을 통하여 몸체의 하부쪽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전단계의 이송장치(50)에서 슬러지가 떨어지며 충격을 받을 때는 충격방지판(61)이 하부로 내려왔다가 다시 스프링(62)이 밀어줘서 상승되는 구성을 반복하며 충격을 흡수/완충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며 이송보조장치의 일측으로 공기배출구(65)를 갖고 공기배출구의 단부에는 소음저감기2(52)가 부착되어 이송보조장치에서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소음을 떨어트려 저감시키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2c의 구성으로 제공되는 이송보조장치(60)를 대체하여 슬러지물 이송장치(50)의 배출물이 직접 스크류날개형보조장치(80)로 배출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슬러지물 이송장치(50)의 배출물이 스크류날개형보조장치(80)를 경유하여 슬러지물 이송보조장치(60)로 보내지거나 또는 슬러지물 이송장치(50)의 배출물이 먼저 이송보조장치(60)를 경유하고 스크류날개형보조장치(80)를 거쳐 슬러지무게를 계량하는 계량조(70)를 거쳐 차량(9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시되는 스크류날개형보조장치(80)는 외벽(82)에 그래스 울(glass wool) 완충재(82)가 50~100㎜ 범위의 두께로 채워져서 방음구조를 이루고 이송보조장치(60)의 하부배출구(66)와 연결된 유입구(67)로부터 스크류날개형보조장치(80)로 슬러지물이 유입될 때 배출관(81) 외부로 감싸진 스크류날개(81a)에 부딪쳐 파쇄되는 구조를 이루고, 퍼쇄된 슬러지물이 하부로 배출될 때는 슬러지 배출량 무게를 계량하는 계량조(70)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량을 로드셀(71)로 측정하고 무게가 확인되면 하부의 게이트(73)가 양측의 실린더(72)에 의해 열리고 도 2a와 같이 차량(90)에 적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 때 스크류날개형보조장치(80) 내부에 유입되는 슬러지물이 스크류날개(81a)에 부딪치며 소음이 발생하므로 내부공기가 속이 빈 배출관(8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 배출관에는 소음저감기(53)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원의 슬러지물 이송장치(50)에서 호퍼(20)와 슬러지임시수용부(40) 사이에서 밀폐유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밸브는 버터플라이밸브나 돔 밸브나 나이프게이트밸브 중에서 어느 것으로 선택되어 사용되는 상관이 없는 것이나, 도 4a에서는 본원에서 일 적용예로 사용될 수 있는 버터플라이밸브(30)의 일 적용예를 도시한 것으로, 버터플라이밸브(30)는 밸브몸체(31), 디스크(32), 스템(33), 스템 지지부(34), 기어 박스어셈블리(35) 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상기의 밸브몸체(31)내부에서 디스크(32)가 움직이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적용되는 버터플라이밸브(30)는 밸브몸체(31), 디스크(32), 스템(33), 스템지지부(34), 기어 박스어셈블리(35) 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는바, 상기 밸브몸체(31)는 원형의 플랜지로 관로 상에 연결 설치되는 구조로 내부에 원형의 유체통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스템(34)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위아래에 스템지지부(34)를 각각 구비하고 밸브몸체(31)는 주철제나 또는 내부식성이 강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템(33)은 밸브몸체(30)의 위 아래 스템지지부(34)에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이 관통되어 지지되는 회전부품으로서, 디스크의 중심축(32a)과 스템(34)과 기어박스 어셈블리(35)와 연계되어 디스크(32) 개폐를 위한 작동을 이루고, 기어박스 내부에는 웜과 웜 기어의 조합을 이용하여 핸들(36)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32)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밸브프레임(31) 내측으로는 제1패킹부재(31a) 및 제2패킹부재(31b) 이중구조를 이루고 디스크(32)가 제1패킹부재(31a) 및 제2패킹부재(31b)에 중심축(33)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며 개폐되는 작동상태를 예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원의 슬러지물 이송장치(50)나 이송보조장치(60) 또는 스크류날개형보조장치(80)에서 적용되는 부품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2의 슬러지 임시수용부 등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소음저감기(51,52,53)의 구조가 다수개의 미세구멍(54a)이 뚫린 공기유입 파이프(54)의 배출구가 막힌 상태에서 공기유입파이프(54)의 외부를 그라스울 등으로 감싼 소음흡수층(55)을 거쳐 개구(56)를 통하여 공기분사관(57)을 거쳐 배출되는 구성으로 고압공기를 배출시키으로 소음 저감효과를 얻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20 : 호퍼 30 : 밸브
31 : 밸브몸체 32 : 디스크
33 : 스템 34 : 스템지지부
35 : 기어박스 36 : 핸들
40 : 슬러지 임시수용부 41 : 이송배관
42 : 분기공급관 43 : 공기분사 원형관
44 : 메인공급관 45 : 슬러지 출구부
46 : 벤튜리부 47 : 이송관
48 : 글라스울 50 : 슬러지 이송장치
51,52,53 : 소음저감기 60 : 이송보조장치
61 : 충격방지판 62 : 스프링
63 : 지지판 64 : 지지축
65 : 공기배출구 70 : 슬러지 계량조
71 : 로드셀 72 : 게이트
73 : 실린더 80 : 스크류날개형 보조장치
81 : 배출배관 82 : 완충재
84 : 원료 유입부 90 : 이송차량

Claims (5)

  1. 슬러지원료가 투입되는 투입호퍼와 슬러지를 수용하는 임시수용부 사이에 개폐 및 밀폐 기능을 수행하는 밸브를 수용한 프레임을 갖고 슬러지 임시수용부 내부에 공기압을 주입하여 슬러지물을 적재함이나 운송차량으로 배출하도록 적용되는 슬러지물 이송장치(50)가 이송보조장치(60)와 연결된 구조로 제공되는 슬러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슬러지물 이송장치(50)에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이송배관(41)이 메인공급관(44)과 분기공급관(42)으로 구분되는 구조를 이루며, 분기공급관(42)에는 솔레노이드밸브1(S1)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슬러지원료 투입호퍼(20)의 하단부에마련되는 공기분사원형관(43)이 원주형 하향분사구조를 이루고 밸브가 개구 될 때 밸브 및 밸브프레임 사이로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로 적용되고,
    슬러지 임시수용부(40) 내부로 공기압을 주입하도록 기능하는 메인공급관(44)은 솔레노이드밸브2(S2) 및 소음저감기(51)를 경유하여 슬러지 임시수용부(4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때 슬러지 임시수용부 하부 쪽으로 향하는 공기분사구를 갖도록 제공되며,
    상기 슬러지 임시수용부(4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이송보조장치(60)를 경유하여 배출되되 이송보조장치(60)는 원뿔 형상의 충격방지판(61)을 갖고 충격방지판(61)의 저부로는 스프링(62)이 지지판(63)에 내장되고 지지판은 지지축(64)을 통하여 몸체의 하부쪽에 고정되는 구성의 이송보조장치를 경유하는 배출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보조장치(60)의 일측으로는 공기배출구(65)를 갖고 공기배출구의 단부에는 소음저감기가 부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임시수용부에 밀폐구조를 이루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는 버터플라이밸브나 돔 밸브나 나이프게이트밸브 중에서 선택되는 밸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5. 슬러지원료가 투입되는 투입호퍼와 슬러지를 수용하는 임시수용부 사이에 개폐 및 밀폐 기능을 수행하는 밸브를 수용한 프레임을 갖고 슬러지 임시수용부 내부에 공기압을 주입하여 슬러지물을 적재함이나 운송차량으로 배출하도록 적용되는 슬러지 이송수단이 슬러지물 이송장치(50)와 이송보조장치(60)가 합쳐진 구조로 제공되는 슬러지 이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입호퍼와 슬러지 임시수용부 사이에 버터플라이밸브나 돔 밸브나 나이프게이트 밸브 중에서 선택되는 밸브가 사용되어 밀폐 또는 개폐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며,
    슬러지물 이송장치(50)에서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이송배관(41)은 메인공급관(44)과 분기공급관(42)으로 구분되는 구조를 이루고 분기공급관(42)은 솔레노이드밸브1(S1)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슬러지원료 투입호퍼(2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공기분사원형관(43)이 원주형 하향분사구조를 이루고 밸브가 개구 될 때 밸브 및 밸브프레임 사이로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조로 적용되고,
    슬러지 임시수용부(40) 내부로 공기압을 주입하도록 기능하는 메인공급관(44)은 솔레노이드밸브2(S2) 및 소음저감기(51)를 경유하여 슬러지 임시수용부(4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때 하향 분사구조를 이룬 공기분사구를 이용하여 슬러지 임시수용부에서 하향 분사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되며,
    상기 슬러지 임시수용부(4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이송보조장치(60)를 경유하여 배출되되 이송보조장치(60)는 원뿔 형상의 충격방지판(61)을 갖고 충격방지판(61)의 저부로는 스프링(62)이 지지판(63)에 내장되고 지지판은 지지축(64)을 통하여 몸체의 하부 쪽에 고정되고 이송보조장치(60)의 일측으로는 공기배출구(65)를 갖고 공기배출구의 중간부에 소음저감기가 부착되어 소음을 저감시키며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방법.
KR1020130021968A 2013-02-28 2013-02-28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KR101413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68A KR101413256B1 (ko) 2013-02-28 2013-02-28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68A KR101413256B1 (ko) 2013-02-28 2013-02-28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256B1 true KR101413256B1 (ko) 2014-06-27

Family

ID=5113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968A KR101413256B1 (ko) 2013-02-28 2013-02-28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2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7329A (zh) * 2017-08-04 2017-11-10 南京航空航天大学 水泥窑协同处置工业污泥的全密闭储存及预处理装置
CN108639794A (zh) * 2018-07-03 2018-10-12 上海城投污水处理有限公司 输料对接装置
KR20220055908A (ko) 2020-10-27 2022-05-04 최행숙 슬러지 이송장치
KR102625411B1 (ko) * 2023-11-02 2024-01-16 주식회사 태경엔텍 자동 세정 기능이 적용된 폐기물 이송 시스템
KR102659503B1 (ko) * 2023-12-19 2024-04-22 주식회사 태경엔텍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CN108639794B (zh) * 2018-07-03 2024-06-04 上海城投污水处理有限公司 输料对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098Y1 (ko) 1997-08-14 1999-10-01 윤창진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슬러지이송장치
KR200351606Y1 (ko) 2004-02-27 2004-05-28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탈수된 협잡물이송장치
KR200432619Y1 (ko) 2006-08-30 2006-12-05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내구성과 밀폐성이 강화된 스윙밸브 및 분리형 호퍼를 갖는공기압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098Y1 (ko) 1997-08-14 1999-10-01 윤창진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슬러지이송장치
KR200351606Y1 (ko) 2004-02-27 2004-05-28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탈수된 협잡물이송장치
KR200432619Y1 (ko) 2006-08-30 2006-12-05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내구성과 밀폐성이 강화된 스윙밸브 및 분리형 호퍼를 갖는공기압 이송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7329A (zh) * 2017-08-04 2017-11-10 南京航空航天大学 水泥窑协同处置工业污泥的全密闭储存及预处理装置
CN107337329B (zh) * 2017-08-04 2023-11-07 南京航空航天大学 水泥窑协同处置工业污泥的全密闭储存及预处理装置
CN108639794A (zh) * 2018-07-03 2018-10-12 上海城投污水处理有限公司 输料对接装置
CN108639794B (zh) * 2018-07-03 2024-06-04 上海城投污水处理有限公司 输料对接装置
KR20220055908A (ko) 2020-10-27 2022-05-04 최행숙 슬러지 이송장치
KR102414646B1 (ko) 2020-10-27 2022-06-29 최행숙 슬러지 이송장치
KR102625411B1 (ko) * 2023-11-02 2024-01-16 주식회사 태경엔텍 자동 세정 기능이 적용된 폐기물 이송 시스템
KR102659503B1 (ko) * 2023-12-19 2024-04-22 주식회사 태경엔텍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256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방법
EA016346B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бурового шлама
TW451050B (en) A device for discharging dust from a dry dust collector of a blast furnace
PH12018000425A1 (en) Pump-storage device and transportation tool including the same
US10227837B2 (en) Drilling waste treatment
KR20080012879A (ko) 컨테이너
KR20150012280A (ko) 로타리 성형기구로의 재료공급방법 및 장치
KR100823999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JP2005314022A (ja) 焼却飛灰積込みシステム
KR20170081476A (ko) 차량용 푸셔 액슬 시스템의 콘트롤박스
KR101750097B1 (ko)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CA1197536A (en) Vibrating pressurized feeder system for coarse, abrasive materials
KR20210088393A (ko) 슬러지 저장조에 저장된 슬러지 이송 배출용 스크류 컨베이어
KR100598611B1 (ko) 누수방지용 이중하우징을 이용한 베어링 보호장치
KR20010062794A (ko) 생 쓰레기 파쇄장치 및 방법
CN105365644B (zh) 一种防漏料自卸车
CZ2021313A3 (cs) Zařízení pro řízenou vykládku sypkých materiálů z autocisterny
KR101198361B1 (ko) 주물사 재생설비용 이송장치
JP7487030B2 (ja) パイライト処理装置及びパイライト処理方法
KR200156098Y1 (ko)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슬러지이송장치
US9080309B2 (en) Device for removing sea bed
JP7178305B2 (ja) 排水床及び処理装置
KR102414646B1 (ko) 슬러지 이송장치
KR200383114Y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0414533B1 (ko) 전기집진기의 더스트 컨베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