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097B1 -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097B1
KR101750097B1 KR1020170049562A KR20170049562A KR101750097B1 KR 101750097 B1 KR101750097 B1 KR 101750097B1 KR 1020170049562 A KR1020170049562 A KR 1020170049562A KR 20170049562 A KR20170049562 A KR 20170049562A KR 101750097 B1 KR101750097 B1 KR 101750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ontaminants
main body
compressed ai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경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경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경엔텍
Priority to KR102017004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기물 이송시스템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탈수케이크와 비닐을 포함한 협잡물을 협잡물 저장호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로부터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설정 중량까지 상기 협잡물이 저장되면 압축공기가 인입되어 인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협잡물이 하부에 형성된 하부배출 노즐부로 배출되는 탱크 본체부와; 상기 탱크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협잡물이 인입 시는 열리고, 상기 협잡물이 설정한 중량까지 인입 완료되면 상기 탱크 본체부의 하부배출 노즐부로 상기 협잡물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닫히는 탱크 밸브부와; 상기 탱크 밸브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에서 상기 협잡물이 배출되는 동안에는 인입되는 상기 협잡물을 일시 저장하며,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 내부로 인입 시에는 외부로 이탈 또는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협잡물이 걸리지 않고 상기 탱크 본체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로터리 호퍼부와;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로 인입되기 전의 상기 이송관부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 이송용 동력인 압축공기를 해압하고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로 배출될 때 튀는 것과 상기 협잡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과 소음을 방지하는 해압장치부와;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을 제어하고 운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운전 효율이 높은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르면 비닐을 포함한 협잡물이 걸리지 않고 탱크 본체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로터리 호퍼부를 가져 협잡물을 투입하는 시간을 줄여주며, 탱크 밸브부에 닫힘확인부를 두어 탱크밸브부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압축공기를 탱크 본체부에 인입시켜 이송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 발생을 차단하였고, 협잡물을 저장하기 전에 압축공기를 해압하는 해압장치부를 가져 협잡물의 비산과 소음을 방지하여 전반적으로 운전효율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Waste Transfer System with High Running Efficiency Applied Rotary Wing Hopper and Reducing Pressure Device}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용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입호퍼에 협잡물에 포함된 비닐이 걸려 투입이 지연되어 운전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협잡물 저장호퍼 전에 해압장치부를 두어 해압을 한 후 저장되도록 하여 협잡물 저장호퍼부에서 협잡물이 비산되거나 튀거나 넘쳐 운전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한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처리장이나 환경사업소등 폐수와 분뇨처리의 과정에 있어서,기계설치시 불필요한 공간이나 장소 및 기타 청결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공 기압을 이용한 컨베이어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압을 이용한 컨베이어는 압축된 공기를 사용하며, 기계구조상 밀폐용기 내부에 이송시키고자 하는 물체를 저장한 후, 상기 저장용기 상부의 투입구 을 봉쇄하여 압축된 공기를 기계 내부에 순간적으로 불어 주입하여 내부에 있는 이송물이 공기압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되고 있다.
이러한 이송방법은 기계 설치시 컨베이어 설치에 따른 장소 및 공간 등에 대한 규제가 없고, 수직, 수평 및 곡면관 이송 등이 자유로우며 밀폐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폐기물을 이송함으로써 악취 및 주변환경에 폐해를 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장거리 이송이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및 슬러지 이송장치는 이송배관 내부및 기계 내부에 점성 및 물성의 특성으로 인한 이송 중 막힘 현상이 발생된다.
즉, 공기압 콘베이어의 이송물중 점도가 강한 슬러지나, 협잡물 중 비닐성분같은 것이나, 공기가 밀어내기 어려운 이송물은 공기압의 컨베이어와 이송설비상 짧은 시간 내에 이송되지 못하면 관내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압축된 공기가 이송물을 밀어내지 못하면 투입밸브가 열릴 때 압축된 공기가 역으로 빠져나가면서 굉음과 함께 밀폐저장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이송 물이 그대로 외부로 튀어나와 컨베이어 주변 및 밀폐저장용기 내부를 더럽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적으로 자동 운전되는 방식으로 투입밸브가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며, 기계내부 및 관내에 있는 이송물이 이송여부에 관계없이 시간이 되면, 열고 닫히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작동하는 과정에서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종래 기술은 공기압 컨베이어의 막힘시 배관 라인을 사람이 직접 분리시켜 관내를 막고 있던 슬러지 이송물을 강제로 완전히 제거시켜 배관을 청소하고, 재조립하여야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청소 및 분해조립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해결책을 내놓았다.
첫째, 투입호퍼에 비닐이 걸리는 문제가 있어 운전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고,
둘째, 협잡물 저장호퍼에 협잡물을 저장하기 전에 압축공기가 압력을 가지고 있어 협잡물이 튀고 비산되는 문제가 있어 운전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647133 (등록일자 : 2016년 08월 03일) 압축공기를 이용 폐기물 이송시스템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71324 (등록일자 : 2011년 09월 30일) 마찰력 저감과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54039 (등록일자 : 2004년 06월 10일) 공기압을 이용한 탈수된 슬러지이송장치 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535906 (등록일자 : 2005년 12월 05일)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5.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32619 (등록일자 : 2006년 11월 29일) 내구성과 밀폐성이 강화된 스윙밸브 및 분리형 호퍼를 갖는 공기압 이송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호퍼부에서 비닐이나 협잡물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협잡물을 저장하기 전에 압축공기를 해압하는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폐기물 이송시스템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탈수케이크와 비닐을 포함한 협잡물을 협잡물 저장호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로부터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설정 중량까지 상기 협잡물이 저장되면 압축공기가 인입되어 인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협잡물이 하부에 형성된 하부배출 노즐부로 배출되는 탱크 본체부와; 상기 탱크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협잡물이 인입 시는 열리고, 상기 협잡물이 설정한 중량까지 인입 완료되면 상기 탱크 본체부의 하부배출 노즐부로 상기 협잡물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닫히는 탱크 밸브부와; 상기 탱크 밸브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에서 상기 협잡물이 배출되는 동안에는 인입되는 상기 협잡물을 일시 저장하며,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 내부로 인입 시에는 외부로 이탈 또는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협잡물이 걸리지 않고 상기 탱크 본체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로터리 호퍼부와;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로 인입되기 전의 상기 이송관부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 이송용 동력인 압축공기를 해압하고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로 배출될 때 튀는 것과 상기 협잡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과 소음을 방지하는 해압장치부와;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을 제어하고 운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 호퍼부는 상기 탱크 밸브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을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일시 저장하고 외부로 이탈 또는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탑 호퍼와; 상기 탑 호퍼의 중간 높이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로 인입되는 것을 도와주며 정역회전이 가능한 윙 회전부로 구성된다.
상기 윙 회전부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며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 이하로 감속시기는 감속기를 포함한 회전동력부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과 결합되는 윙샤프트와; 상기 윙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윙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윙샤프트와 같이 회전되며 비닐이 감기지 않게 일정 높이의 호를 가져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도와주는 윙부와; 상기 윙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윙샤프트가 마찰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베어링과 베어링하우징을 포함한 베어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압장치부는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어 선회 흐름이 되어 나선상으로 하강하며 상기 협잡물은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분리되고, 상기 협잡물과 같이 인입된 압축공기는 속도가 떨어져 팽창되면서 해압되는 원통형의 해압본체와; 상기 해압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부를 막으며, 상기 해압본체와 볼트로 결합되는 플랜지 타입의 상부덮개와; 일단은 외경의 끝부분이 상기 해압본체의 측벽의 접선방향과 일치하게 수평으로 상기 해압본체와 용접 결합되어 상기 해압본체로 인입되는 상기 협잡물이 원심력을 갖게 하며, 타단은 상기 이송관부의 말단과 결합되는 플랜지 타입의 2개의 인입노즐과; 상기 상부덮개의 중앙에서 상기 해압본체의 일정 깊이까지 하부로 형성되어 상기 협잡물과 압축공기가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협잡물 이송용 압축공기가 해압되어 배출되는 중앙관부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관부는 상기 해압본체의 중앙의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는 수직중앙관과; 상기 수직중앙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해압본체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인입되지 못하게 하는 구스넥으로 구성된다.
상기 해압본체의 내벽 일정부분에는 상기 협잡물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마모에 의한 상기 해압장치부의 교체 또는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덮개를 열고 바로 교체할 수 있는 상기 해압본체의 20~30% 크기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곡면판과, 상기 곡면판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곡면판을 고정시키는 곡면판 끼움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곡면판은 내마모성이 있는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ltra 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으로 제작된다.
상기 탱크 밸브부는 상기 탱크 본체부를 개폐하는 돔(Dome) 형상, 나이프(Knife) 형상 또는 원판(Butterfly) 형상의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본체를 회전시켜 개폐하는 동력을 주며,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밸브본체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탱크 밸브부가 상기 탱크 본체부와 로터리 호퍼부 사이에 설치되고 움직일 수 있게 공간을 확보해주는 밸브케이싱과; 상기 밸브본체가 완전히 닫혔는지를 확인하는 닫힘확인부로 구성된다.
상술한 폐기물 이송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르면 비닐을 포함한 협잡물이 걸리지 않고 탱크 본체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로터리 호퍼부를 가져 협잡물을 투입하는 시간을 줄여주며, 탱크 밸브부에 닫힘확인부를 두어 탱크밸브부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압축공기를 탱크 본체부에 인입시켜 이송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 발생을 차단하였고, 협잡물을 저장하기 전에 압축공기를 해압하는 해압장치부를 가져 협잡물의 비산과 소음을 방지하여 전반적으로 운전효율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1실시예 시스템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1실시예 시스템 전체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2실시예 시스템 전체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2실시예 시스템 전체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로터리 호퍼부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로터리 호퍼부의 윙 회전부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해압장치부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2실시예의 해압장치부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탱크 본체부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탱크 밸브부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이송관부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이송관부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중량측정부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무게측정 소자부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압축공기 공급부 개략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1실시예 시스템 전체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1실시예 시스템 전체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2실시예 시스템 전체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2실시예 시스템 전체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로터리 호퍼부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로터리 호퍼부의 윙 회전부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1실시예의 해압장치부 개략도이며,도 8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2실시예의 해압장치부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탱크 본체부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탱크 밸브부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1실시예의 이송관부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이송관부 개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중량측정부 개략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무게측정 소자부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른 압축공기 공급부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폐기물 이송시스템(A)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탈수케이크와 비닐을 포함한 협잡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부언해서 설명하면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오니 또는 협잡물은 탈수기 또는 협잡물처리기에서 탈수 처리되며, 상기 탈수기 또는 협잡물처리기에서 탈수되어 나오는 탈수케이크와 비닐을 포함한 협잡물은 스크루 컨베이어에 인입되어 스크루를 타고 이송되어 본 발명의 폐기물 이송시스템(A)에 투입된다.
본 발명의 폐기물 이송시스템(A)은 비닐이나 협잡물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며, 탱크 밸브부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 압축공기가 누설되어 협잡물이 이송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고, 협잡물을 저장하기 전에 압축공기를 해압하여 협잡물의 비산과 넘침으로 인한 운전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해압장치부를 갖추었다.
제1실시예의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은 상부로부터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설정 중량까지 상기 협잡물이 저장되면 압축공기가 인입되어 인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협잡물이 하부에 형성된 하부배출 노즐부(14)로 배출되는 탱크 본체부(1)와; 상기 탱크 본체부(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협잡물이 인입 시는 열리고, 상기 협잡물이 설정한 중량까지 인입 완료되면 상기 탱크 본체부(1)의 하부배출 노즐부(14)로 상기 협잡물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닫히는 탱크 밸브부(2)와; 상기 탱크 밸브부(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에서 상기 협잡물이 배출되는 동안에는 인입되는 상기 협잡물을 일시 저장하며,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 시에는 외부로 이탈 또는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비닐을 포함한 상기 협잡물이 걸리지 않고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로터리 호퍼부(3)와;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인입되기 전의 상기 이송관부(4)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 이송용 동력인 압축공기를 해압하고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배출될 때 튀는 것과 상기 협잡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과 소음을 방지하는 해압장치부(8)와;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을 제어하고 운전하는 제어부(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 호퍼부(3)는 상기 탱크 밸브부(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을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일시 저장하고 외부로 이탈 또는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탑 호퍼(31)와; 상기 탑 호퍼(31)의 중간 높이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1)로 인입되는 것을 도와주며 정역회전이 가능한 윙 회전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의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은 상기 협잡물 일정 시간 내에 배출되지 않아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탱크 본체부(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의 내부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일정 압력에 도달한 후 일정 시간 내에 해압이 되지 않을 때 작동하는 압력해압부와; 상기 탱크 본체부(1)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와 이송관부(4)를 세척하는 세척수 인입라인부(15)와; 상기 이송관부(4)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협잡물의 응집을 위해 상기 이송관부(4)에 설치되는 응집제 투입부(45)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척수 인입라인부(15)에는 세척수를 원격으로 온오프할 수 있는 세척수 솔레노이드밸브(151)과,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협잡물이 세척수 인입라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척수 체크밸브(152)와, 세척수 인입라인부(15)를 해체할 수 있는 세척수 유니온(153)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관부(4)는 상기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의 후단에 상기 협잡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부(45)가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응집제 투입부(45)는 도 11과 도 12와 같이 응집제 저장탱크(451)과, 상기 응집제 저장탱크(45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응집제를 상기 이송관부(4)로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응집제 공급라인(452)로 구성된다.
상기 응집제 공급라인(452)의 상단에는 응집제의 공급을 수동으로 차단하며 노멀 오픈되는 볼밸브 타입의 응집제 차단밸브(4521)와; 상기 응집제 차단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노멀 크로즈되어 응집제 투입이 필요할 시 원격으로 상기 응집제 공급라인(452)를 개방시키는 응집제 솔레노이드밸브(4522)와; 상기 응집제 솔레노이드밸브(4522) 후단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협잡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응집제 체크밸브(452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은 상기 탱크 본체부(1)의 내부에 상기 협잡물이 부착되거나 중앙으로만 통로가 나는 랫트홀 현상을 방지하고, 내부의 상기 협잡물이 이송되기 쉬운 환경으로 만들기 위하여, 상기 탱크 본체부(1)가 압력이 걸렸을 때 상기 탱크 본체부(1)의 내부의 외벽을 타격하여 충격을 주는 1~3개의 에어노커로 이루어진 에어노커부가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기존 기술의 폐기물 이송시스템은 협잡물이 투입되는 탑 호퍼(31)에 비닐이 걸려 투입이 잘되지 않는 문제점과, 상기 탱크 밸브부(2)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 이송관부(4)가 막혀서 운전이 중단되는 문제 및 해압장치부(8)의 압축공기에 의한 마모가 문제가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터리 호퍼부(3)를 채택하여 상기 협잡물에 포함된 비닐 때문에 상부인입 노즐부(13)가 막히는 것을 해소하였고, 상기 탱크 밸브부(2)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는 닫힘확인부(24)를 두어 상기 탱크 밸브부(2)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게 하였고, 상기 해압장치부(8)의 마모에 의한 교체작업은 곡면판(811) 교체하기 쉽게 하고, 상기 곡면판(811)의 재질을 내마모성이 있는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ltra 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를 사용하여 교체 주기를 늘였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폐기물 이송시스템(A)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탈수케이크와 비닐을 포함한 협잡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제2실시예의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은 상부로부터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설정 중량까지 상기 협잡물이 저장되면 압축공기가 인입되어 인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협잡물이 하부에 형성된 하부배출 노즐부(14)로 배출되는 탱크 본체부(1)와; 상기 탱크 본체부(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협잡물이 인입 시는 열리고, 상기 협잡물이 설정한 중량까지 인입 완료되면 상기 탱크 본체부(1)의 하부배출 노즐부(14)로 상기 협잡물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닫히는 탱크 밸브부(2)와; 상기 탱크 밸브부(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에서 상기 협잡물이 배출되는 동안에는 인입되는 상기 협잡물을 일시 저장하며,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 시에는 외부로 이탈 또는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비닐을 포함한 상기 협잡물이 걸리지 않고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로터리 호퍼부(3)와;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인입되기 전의 상기 이송관부(4)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 이송용 동력인 압축공기를 해압하고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배출될 때 튀는 것과 상기 협잡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과 소음을 방지하는 해압장치부(8)와;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을 제어하고 운전하는 제어부(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로 상기 탱크 본체부(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의 상기 협잡물이 설정 중량 이상이 되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될 수 있게 하고, 수직으로 내려오는 협잡물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켜 상기 협잡물을 배출하며, 상기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을 포함하여 일측 라인이 막혔을 때 타측 라인으로 전환하여 운전 중단을 없게 하는 이송관부(4)와; 상기 탱크 본체부(1)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가 받는 하중을 지지해주는 4개의 서포팅 레그(Supporting Leg)(51)로 구성된 서포팅 레그부(5)와; 상기 탱크 밸브부(1)의 작동과, 상기 탱크 본체부에 압력을 걸기 위함과, 상기 이송관부(4)가 막혔을 때 또는 상기 협잡물의 이송을 돕기 위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6)와; 하중에 의해 변화하는 변형량을 측정하는 무게측정 소자부(71)가 상기 서포팅 레그(51)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서포팅 레그부(5)가 받는 중량에 의한 변형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로터리 호퍼부(3)에 적재된 협잡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중량측정부(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9)는 상기 중량측정부(7)에서 측정 신호를 받아 상기 탱크 밸브부(2)를 개폐시키고, 상기 탱크 본체부(1)의 내부에 임시 저장된 상기 협잡물을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6)와 이송관부(4)를 제어하고 운전한다.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은 추가로 상기 이송관부(4)가 협잡물에 의해 막혀 운전 중단이 빈번히 일어나는 것을 방향전환밸브(44)를 설치하여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 2개 라인을 사용하여, 이송라인이 막힐 시 자동으로 다른 이송라인으로 전환할 수 있게 대기 상태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운전이 중단되는 일이 거의 없게 하였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로터리 호퍼부(3)은 상기 탱크 밸브부(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에서 상기 협잡물이 배출되는 동안에는 인입되는 상기 협잡물을 일시 저장하며,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 시에는 외부로 이탈 또는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협잡물이 걸리지 않고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터리 호퍼부(3)는 상기 탱크 밸브부(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을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일시 저장하고 외부로 이탈 또는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탑 호퍼(31)와; 상기 탑 호퍼(31)의 중간 높이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1)로 인입되는 것을 도와주며 정역회전이 가능한 윙 회전부(32)로 구성된다.
상기 탑 호퍼(31)의 측면에는 상기 탑 호퍼(31)의 내부를 점검하고, 협잡물이 내벽에 부착되었을 때는 상부에 설치되는 협잡물 슈트와 같은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호퍼점검구(3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로터리 호퍼부(3)는 상기 협잡물에 포함된 비닐에 의해 상기 탑호퍼(31) 또는 상기 탱크 밸브부(2)나 상기 상부인입 노즐부(13)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화된 것이다. 비닐이 포함되지 않는 협잡물에 대해서는 상기 윙 회전부(32)가 아닌 다른 타입을 사용하여야 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윙 회전부(32)는 상기 탑 호퍼(31)의 중간 높이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1)로 인입되는 것을 도와주며 정역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상기 윙 회전부(32)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며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3211)와, 상기 모터(3211)의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 이하로 감속시기는 감속기(3212)를 포함한 회전동력부(321)와; 상기 감속기(3212)의 출력축과 결합되는 윙샤프트(322)와; 상기 윙샤프트(322)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윙샤프트(322)에 결합되어 상기 윙샤프트(322)와 같이 회전되며 비닐이 감기지 않게 일정 높이의 호를 가져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도와주는 윙부(323)와; 상기 윙샤프트(322)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윙샤프트(322)가 마찰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베어링과 베어링하우징을 포함한 베어링부(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윙샤프트(322)에는 상기 윙부(323)과의 결합을 위한 윙부결합편(3221)이 형성된다.
상기 윙부(323)에는 상기 윙부결합편(3221)과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 개의 결합편 결합홀(3231)이 형성된다.
상기 윙부(323)는 상기 협잡물에 포함된 비닐이 감기지 않게 특화된 형상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실시예의 상기 해압장치부(8)는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인입되기 전의 상기 이송관부(4)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 이송용 동력인 압축공기를 해압하고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배출될 때 튀는 것과 상기 협잡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과 소음을 방지한다.
상기 해압장치부(8)는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어 선회 흐름이 되어 나선상으로 하강하며 상기 협잡물은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분리되고, 상기 협잡물과 같이 인입된 압축공기는 속도가 떨어져 팽창되면서 해압되는 원통형의 해압본체(81)와; 상기 해압본체(8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부를 막으며, 상기 해압본체(81)와 볼트로 결합되는 플랜지 타입의 상부덮개(82)와; 일단은 상기 해압본체(81)의 측벽의 접선방향과 일치하게 수평으로 상기 해압본체(81)와 용접 결합되어 상기 해압본체(81)로 인입되는 상기 협잡물이 원심력을 갖게 하며, 타단은 상기 이송관부(4)의 말단과 결합되는 플랜지 타입의 1개의 인입노즐(83)과; 상기 상부덮개(82)의 중앙에서 상기 해압본체(81)의 일정 깊이까지 하부로 형성되어 상기 협잡물과 압축공기가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협잡물 이송용 압축공기가 해압되어 배출되는 중앙관부(84)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관부(84)는 상기 해압본체(81)의 중앙의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는 수직중앙관(841)과; 상기 수직중앙관(84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해압본체(81)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인입되지 못하게 하는 구스넥(84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해압본체(81)의 내벽 일정부분에는 상기 협잡물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마모에 의한 상기 해압장치부(8)의 교체 또는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덮개(82)를 열고 바로 교체할 수 있는 상기 해압본체(81)의 20~30% 크기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곡면판(811)과, 상기 곡면판(811)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곡면판(811)을 고정시키는 곡면판 끼움고정부(812)가 형성된다.
상기 곡면판(811)은 내마모성이 있는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ltra 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으로 제작된다.
상기 해압장치부(8)는 상기 협잡물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해압본체(81)의 내벽을 때려 마모로 인해 내벽에 구멍이 뚫리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여 상기 해압장치부(8)의 교체나 보수로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을 운전이 중지되는 시간이 많이 발생되므로 상기 곡면판(811)을 쉽게 교체 가능하게 끼워서 고정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또한 상기 곡면판(811)의 내마모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내구성을 높여 실 운전시간이 늘게 하였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2실시예의 상기 해압장치부(8)는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인입되기 전의 상기 이송관부(4)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 이송용 동력인 압축공기를 해압하고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배출될 때 튀는 것과 상기 협잡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과 소음을 방지하며,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으로 이송라인이 2개여서 상기 인입노즐(83)이 2개이다.
상기 해압장치부(8)는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어 선회 흐름이 되어 나선상으로 하강하며 상기 협잡물은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분리되고, 상기 협잡물과 같이 인입된 압축공기는 속도가 떨어져 팽창되면서 해압되는 원통형의 해압본체(81)와; 상기 해압본체(8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부를 막으며, 상기 해압본체(81)와 볼트로 결합되는 플랜지 타입의 상부덮개(82)와; 일단은 상기 해압본체(81)의 측벽의 접선방향과 일치하게 수평으로 상기 해압본체(81)와 용접 결합되어 상기 해압본체(81)로 인입되는 상기 협잡물이 원심력을 갖게 하며, 타단은 상기 이송관부(4)의 말단과 결합되는 플랜지 타입의 2개의 인입노즐(83)과; 상기 상부덮개(82)의 중앙에서 상기 해압본체(81)의 일정 깊이까지 하부로 형성되어 상기 협잡물과 압축공기가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협잡물 이송용 압축공기가 해압되어 배출되는 중앙관부(84)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관부(84)는 상기 해압본체(81)의 중앙의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는 수직중앙관(841)과; 상기 수직중앙관(84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해압본체(81)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인입되지 못하게 하는 구스넥(84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해압본체(81)의 내벽 일정부분에는 상기 협잡물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마모에 의한 상기 해압장치부(8)의 교체 또는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덮개(82)를 열고 바로 교체할 수 있는 상기 해압본체(81)의 20~30% 크기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곡면판(811)과, 상기 곡면판(811)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곡면판(811)을 고정시키는 곡면판 끼움고정부(812)가 형성된다.
상기 곡면판(811)은 내마모성이 있는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ltra 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으로 제작된다.
상기 해압장치부(8)는 상기 협잡물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해압본체(81)의 내벽을 때려 마모로 인해 내벽에 구멍이 뚫리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여 상기 해압장치부(8)의 교체나 보수로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을 운전이 중지되는 시간이 많이 발생되므로 상기 곡면판(811)을 쉽게 교체 가능하게 끼워서 고정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또한 상기 곡면판(811)의 내마모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내구성을 높여 실 운전시간이 늘게 하였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탱크 본체부(1)는 상부로부터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설정 중량까지 상기 협잡물이 저장되면 압축공기가 인입되어 인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협잡물이 하부에 형성된 하부배출 노즐부(14)로 배출된다.
상기 탱크 본체부(1)는 상기 협잡물이 정체되지 않고 배출되도록 하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원뿔기둥형의 내부콘부(11)와; 셸(Shell)을 이루는 원통 형상의 원통부(121)와, 상기 원통부(12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는 상부경판(122)과, 상기 원통부(121)의 하부에 용접 결합되는 하부경판(123)을 가지고, 상기 내부콘부(11)의 상단이 상기 상부경판(122)에서 하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내부에 용접되며, 상기 내부콘부(11)의 하단이 상기 하부경판(123)의 중앙에 용접되어 상기 내부콘부(11)를 지지해주며 상기 서포팅 레그부(5)가 상기 원통부(121)의 외벽에 설치되는 탱크바디부(12)와; 상기 상부경판(122)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밸브부(2)와 결합되는 상부인입 노즐부(13)와; 상기 내부콘부(1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관부(4)와 결합되는 하부배출 노즐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탱크 본체부(1)는 상기 탱크 본체부(1)와 이송관부(4)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 인입라인부(15)를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인입라인부(15)에는 세척수를 원격으로 온오프할 수 있는 세척수 솔레노이드밸브(151)과,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협잡물이 세척수 인입라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척수 체크밸브(152)와, 세척수 인입라인부(15)를 해체할 수 있는 세척수 유니온(153)이 형성된다.
상기 탱크 본체부(1)는 일정 압력까지 압력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압력탱크에 준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상기 내부콘부(11)와 원통부(121)와 상부경판(122) 및 하부경판(123)의 살두께는 6mm 이상은 되어야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바디부(12)에는 상기 압축공기가 인입되는 압축공기인입노즐(1211)과, 상기 서포팅 레그부(5)가 설치되는 다수 개의 레그패드(1212)와, 상기 탱크 밸브부(2)의 에어실린더(22)가 설치되는 실린더브래킷(1213)와, 상기 세척수 인입라인부(15)가 결합되는 세척수인입노즐(1214)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탱크 밸브부(2)는 상기 탱크 본체부(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협잡물이 인입 시는 열리고, 상기 협잡물이 설정한 중량까지 인입 완료되면 상기 탱크 본체부(1)의 하부배출 노즐부(14)로 상기 협잡물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닫힌다.
상기 탱크 밸브부(2)는 상기 탱크 본체부를 개폐하는 돔(Dome) 형상, 나이프(Knife) 형상 또는 원판(Butterfly) 형상의 밸브본체(21)와; 상기 밸브본체(2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본체(21)를 회전시켜 개폐하는 동력을 주며,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에어실린더(22)와; 상기 밸브본체(21)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탱크 밸브부(2)가 상기 탱크 본체부(1)와 로터리 호퍼부(3) 사이에 설치되고 움직일 수 있게 공간을 확보해주는 밸브케이싱(23)과; 상기 밸브본체(21)가 완전히 닫혔는지를 확인하는 닫힘확인부(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실린더(22)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조정하는 에어레귤레이터(2211)와, 공급되는 압축공기에서 수분과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에어필터(2212)를 포함하는 에어유니트(221)를 가진다.
도 10은 돔(Dome) 형상의 밸브본체(21)를 도시한 것으로 나이프(Knife) 형상 또는 원판(Butterfly) 형상의 밸브본체(21)는 생략하였다.
상기 닫힘확인부(24)는 마그네틱 센서나 근접센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지정하지 아니하였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실시예의 상기 이송관부(4)는 상기 탱크 본체부(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의 상기 협잡물이 설정 중량 이상이 되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될 수 있게 하고, 수직으로 내려오는 협잡물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켜 상기 협잡물을 배출하며, 상기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이송시키며 말단이 상기 해압장치부(8)의 인입노즐(83)에 결합된다.
상기 이송관부(4)는 상기 탱크 본체부(1)의 하부배출 노즐부(14)에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이 일정 무게 이상이 되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협잡물이 최소한의 저항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방향을 90°로 전환시키는 이송관엘보우부(41)와;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의 후단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이 이송되는 상태를 볼 수 있게 하고, 상기 중량측정부(7)에서 중량 측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의 후단 부분과의 중량 분리를 위한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와; 상기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이송시키는 관로인 이송라인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부(4)는 상기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의 후단에 상기 협잡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부(45)가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응집제 투입부(45)는 응집제 저장탱크(451)과, 상기 응집제 저장탱크(45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응집제를 상기 이송관부(4)로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응집제 공급라인(4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응집제 공급라인(452)의 상단에는 응집제의 공급을 수동으로 차단하며 노멀 오픈되는 볼밸브 타입의 응집제 차단밸브(4521)와; 상기 응집제 차단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노멀 크로즈되어 응집제 투입이 필요할 시 원격으로 상기 응집제 공급라인(452)를 개방시키는 응집제 솔레노이드밸브(4522)와; 상기 응집제 솔레노이드밸브(4522) 후단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협잡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응집제 체크밸브(4523)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는 라인이 막혔을 때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마모시 교체를 위해 플랜지 타입을 사용하며,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고 인입된 상기 협잡물의 방향을 90°로 전환시키는 엘보우(411)와; 일단은 상기 엘보우(411)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와 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협잡물이 압축되어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협잡물을 밀고 나갈 수 있고 상기 협잡물 사이로 상기 압축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듀서(412)로 구성되며, 라인이 막혔을 때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마모시 교체를 위해 플랜지 타입을 사용한다.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에는 마모에 대응하기 위한 보강패드(4111)와, 내부의 세척 및 막힘을 뚫을 수 있는 고압수나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세척공급노즐(4112)과, 최하부에는 하절기 물이 고여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잔류된 물이나 압축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밸브를 포함한 드레인라인(4113)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는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의 후단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이 이송되는 상태를 볼 수 있게 하고, 상기 중량측정부(7)에서 중량 측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의 후단 부분과의 중량 분리를 위한 것이며,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과 방향전환밸브(44)와 플랜지 결합하는 플랜지 타입이고, 투명한 호스로 되어 상기 협잡물이 이송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플렉서블하여 양단에 결합된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과 방향전환밸브(44)와 중량 분리를 하는 투명호스부와, 상기 투명호스부의 일단을 끼워 결합할 수 있게 하며,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2개의 호스프레임부와, 상기 호스프레임부에 상기 투명호스부가 끼워 빠지지 않고 끼운 부분에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밴딩시키는 밴딩부로 구성된다.
상기 밴딩부은 상기 투명호스부의 일단의 외부를 감싸는 밴드와, 상기 밴드를 조이는 조임나사로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2실시예의 상기 이송관부(4)는 상기 탱크 본체부(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의 상기 협잡물이 설정 중량 이상이 되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될 수 있게 하고, 수직으로 내려오는 협잡물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켜 상기 협잡물을 배출하며, 상기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을 포함하여 일측 라인이 막혔을 때 타측 라인으로 전환하여 운전 중단을 없게 하며, 상기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의 말단이 상기 해압장치부(8)의 인입노즐(83)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이송관부(4)는 상기 탱크 본체부(1)의 하부배출 노즐부(14)에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이 일정 무게 이상이 되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협잡물이 최소한의 저항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방향을 90°로 전환시키는 이송관엘보우부(41)와;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의 후단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이 이송되는 상태를 볼 수 있게 하고, 상기 중량측정부(7)에서 중량 측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의 후단 부분과의 중량 분리를 위한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와; 상기 협잡물이 막혀서 운전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번갈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으로 구성되며, 상기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이송시키는 관로인 이송라인부(43)와; 일측은 상기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에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이 막혀서 운전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협잡물이 이송되는 이송라인을 선택하는 3방밸브 타입의 방향전환밸브(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부(4)는 상기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의 후단에 상기 협잡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부(45)가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응집제 투입부(45)는 응집제 저장탱크(451)과, 상기 응집제 저장탱크(45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응집제를 상기 이송관부(4)로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응집제 공급라인(452)로 구성된다.
상기 응집제 공급라인(452)의 상단에는 응집제의 공급을 수동으로 차단하며 노멀 오픈되는 볼밸브 타입의 응집제 차단밸브(4521)와; 상기 응집제 차단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노멀 크로즈되어 응집제 투입이 필요할 시 원격으로 상기 응집제 공급라인(452)를 개방시키는 응집제 솔레노이드밸브(4522)와; 상기 응집제 솔레노이드밸브(4522) 후단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협잡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응집제 체크밸브(4523)가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의 말단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해압장치부(8)의 인입노즐(83)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는 라인이 막혔을 때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마모시 교체를 위해 플랜지 타입을 사용하며,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고 인입된 상기 협잡물의 방향을 90°로 전환시키는 엘보우(411)와; 일단은 상기 엘보우(411)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와 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협잡물이 압축되어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협잡물을 밀고 나갈 수 있고 상기 협잡물 사이로 상기 압축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듀서(412)로 구성되며, 라인이 막혔을 때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마모시 교체를 위해 플랜지 타입을 사용한다.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에는 마모에 대응하기 위한 보강패드(4111)와, 최하부에는 하절기 물이 고여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잔류된 물이나 압축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밸브를 포함한 드레인라인(4113)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는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의 후단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이 이송되는 상태를 볼 수 있게 하고, 상기 중량측정부(7)에서 중량 측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의 후단 부분과의 중량 분리를 위한 것이며,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과 방향전환밸브(44)와 플랜지 결합하는 플랜지 타입이고, 투명한 호스로 되어 상기 협잡물이 이송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플렉서블하여 양단에 결합된 상기 이송관엘보우부(41)과 방향전환밸브(44)와 중량 분리를 하는 투명호스부와, 상기 투명호스부의 일단을 끼워 결합할 수 있게 하며,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2개의 호스프레임부와, 상기 호스프레임부에 상기 투명호스부가 끼워 빠지지 않고 끼운 부분에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밴딩시키는 밴딩부로 구성된다.
상기 밴딩부은 상기 투명호스부의 일단의 외부를 감싸는 밴드와, 상기 밴드를 조이는 조임나사로 구성된다.
상기 방향전환밸브(44)는 일측은 상기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에 결합되어 상기 협잡물이 막혀서 운전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협잡물이 이송되는 이송라인을 선택하는 3방밸브 타입이고, 방향전환은 수동이나 모터라이즈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중량측정부(7)는 하중에 의해 변화하는 변형량을 측정하는 무게측정 소자부(71)가 상기 서포팅 레그(51)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서포팅 레그부(5)가 받는 중량에 의한 변형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로터리 호퍼부(3)에 적재된 협잡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중량측정부(7)는 열악한 환경에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부식방지 구조인 4개의 무게측정 소자부(71)를 사용하며, 설정된 일정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9)로 신호를 보내거나 수시로 신호를 보내 상기 제어부(9)에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상기 무게측정 소자부(71)는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서포팅 레그부(5)의 서포팅 레그(51)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팅 레그(51)가 받는 하중을 감지하며, 상기 탱크 본체부(1)과 로터리 호퍼부(3)가 완전히 빈 상태에서 영점을 잡은 후 투입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의 중량을 계량한다.
상기 무게측정 소자부(71)는 중량을 감지하는 무게측정 소자(711)과, 상기 무게측정 소자(711)를 지지해 주고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측정소자 프레임(712)과 상기 상기 무게측정 소자부(71)를 덮어주는 소자커버(7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소자 프레임(712)은 상기 서포팅 레그(51)이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무게측정 소자(711)가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7121)과, 상기 무게측정 소자(711)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해주는 지지로드(7122)와, 무게측정 소자(711)와 지지로드(7122)가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7123)과, 상기 하부플레이트(7123)이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서포팅 레그 기초(10)와 세트 앵커(101)로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7124)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4)에는 앵커볼트홀(71241)이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6)는 상기 탱크 밸브부(1)의 작동과, 상기 탱크 본체부(1)에 압력을 걸기 위함과, 상기 탱크 밸브부(2)의 탱크본체(21)의 작동을 위해 에어실린더(2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6)는 상기 탱크 본체부(1)에 상기 협잡물을 이송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탱크바디부 압축공기 공급라인(61)과; 상기 탱크 밸브부(2)의 개폐를 위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탱크 밸브부 압축공기 공급라인(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탱크바디부 압축공기 공급라인(61), 상기 탱크 밸브부 압축공기 공급라인(62)에는 상기 제어부(9)의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전동밸브(611, 621)와, 노멀 오픈되며 수동으로 온오프하기 위한 스톱밸브(612, 622)와, 부품의 교체를 위해 공급라인을 해체할 수 있게 유니온(613, 623)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6)는 추가로 압축공기를 생산하는 에어컴프레셔와, 생산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저장탱크와, 제어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압축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와 건조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건조압축공기저장탱크를 포함하거나, 포함되지 않을 때는 타 장소에 설치된 유틸리티 장치에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다.
본 발명의 운전 효율이 높은 폐기물 이송시스템에 따르면 협잡물이 걸리지 않고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상기 로터리 호퍼부(3)를 가져 협잡물을 투입하는 시간을 줄여주며, 상기 탱크 밸브부(3)에 닫힘확인부(24)를 두어 상기 탱크 밸브부(2)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압축공기를 상기 탱크 본체부(1)에 인입시켜 이송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 발생을 차단하였고, 협잡물을 저장하기 전에 압축공기를 해압하는 상기 해압장치부(8)를 가져 협잡물의 비산과 소음을 방지하여 전반적으로 운전효율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A : 폐기물 이송시스템 B : 협잡물 저장호퍼
1 : 탱크 본체부 11 : 내부콘부
12 : 탱크바디부 121 : 원통부
1211 : 압축공기인입노즐 1212 : 레그패드
1213 : 실린더브래킷 1214 : 세척수인입노즐
122 : 상부경판
123 : 하부경판 13 : 상부인입 노즐부
14 : 하부배출 노즐부 15 : 세척수 인입라인부
151 : 세척수 솔레노이드밸브 152 : 세척수 체크밸브
2 : 탱크 밸브부
21 : 밸브본체 211 : 패킹
22 : 에어실린더 221 : 에어유니트
2211 : 에어레규레이터 2212 : 에어필터
23 : 밸브케이싱 24 : 닫힘확인부
3 : 로터리 호퍼부
31 : 탑 호퍼 311 : 호퍼점검구
32 : 윙 회전부 321 : 회전동력부
3211 : 모터 3212 : 감속기
322 : 윙샤프트 3221 : 윙부결합편
323 : 윙부 3231 : 결합편 결합홀
324 : 베어링부 3241 : 베어링브래킷
4 : 이송관부
41 : 이송관엘보우부 411 : 엘보우
4111 : 내마모패드 4112 : 세척공급노즐
4113 : 드레인라인
412 : 리듀서 42 : 투명플렉서블호스부
43 : 이송라인부 431 : 제1이송라인
432 : 제2이송라인 44 : 방향전환밸브
45 : 응집제 투입부 451 : 응집제 저장탱크
452 : 응집제 공급라인 4521 : 응집제 차단밸브
4522 : 응집제 솔레노이드밸브 4523 : 응집제 체크밸브
5 : 서포팅 레그부 51 : 서포팅 레그
6 : 압축공기 공급부
61 : 탱크바디부 압축공기 공급라인 611 : 전동밸브
612 : 스톱밸브 613 : 유니온
614 : 플렉서블 투명에어호스 615 : 체크밸브
62 : 탱크 밸브부 압축공기 공급라인 621 : 전동밸브
622 : 스톱밸브 623 : 유니온
63 : 이송관부 압축공기 공급라인 631 : 전동밸브
632 : 스톱밸브 633 : 유니온
7 : 중량측정부
71 : 무게측정 소자부 711 : 무게측정 소자
712 : 측정소자 프레임 7121 : 상부플레이트
7122 : 지지로드 7123 : 하부플레이트
7124 : 베이스플레이트 71241 : 앵커볼트홀
713 : 소자커버
8 : 해압장치부
81 : 해압본체 811 : 곡면판
812 : 곡면판 끼움고정부 82 : 상부덮개
83 : 인입노즐 84 : 중앙관부
841 : 수직중앙관 842 : 구스넥
9 : 제어부 10 : 서포팅 레그 기초
101 : 셋트 앵커

Claims (6)

  1.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탈수케이크와 비닐을 포함한 협잡물을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이송하는 폐기물 이송시스템(A)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은 상부로부터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어 일시 저장되고, 설정 중량까지 상기 협잡물이 저장되면 압축공기가 인입되어 인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협잡물이 하부에 형성된 하부배출 노즐부(14)로 배출되는 탱크 본체부(1)와;
    상기 탱크 본체부(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협잡물이 인입 시는 열리고, 상기 협잡물이 설정한 중량까지 인입 완료되면 상기 탱크 본체부(1)의 하부배출 노즐부(14)로 상기 협잡물이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닫히는 탱크 밸브부(2)와;
    상기 탱크 밸브부(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에서 상기 협잡물이 배출되는 동안에는 인입되는 상기 협잡물을 일시 저장하며,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 시에는 외부로 이탈 또는 비산되지 않도록 하고, 비닐을 포함한 상기 협잡물이 걸리지 않고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로터리 호퍼부(3)와;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인입되기 전의 이송관부(4)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 이송용 동력인 압축공기를 해압하고 상기 협잡물이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배출될 때 튀는 것과 상기 협잡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과 소음을 방지하는 해압장치부(8)와;
    상기 폐기물 이송시스템(A)을 제어하고 운전하는 제어부(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로터리 호퍼부(3)는 상기 탱크 밸브부(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을 일정 중량이 될 때까지 일시 저장하고 외부로 이탈 또는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탑 호퍼(31)와;
    상기 탑 호퍼(31)의 중간 높이 부분에 설치되어 비닐을 포함한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1)로 인입되는 것을 도와주며 정역회전이 가능한 윙 회전부(32)로 구성되고,
    상기 탑 호퍼(31)의 측면에는 상기 탑 호퍼(31)의 내부를 점검하고, 협잡물이 내벽에 부착되었을 때는 상부에 설치되는 협잡물 슈트와 같은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호퍼점검구(311)이 형성되며,
    상기 윙 회전부(32)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며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3211)와, 상기 모터(3211)의 회전수를 일정 회전수 이하로 감속시기는 감속기(3212)를 포함한 회전동력부(321)와;
    상기 감속기(3212)의 출력축과 결합되는 윙샤프트(322)와;
    상기 윙샤프트(322)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윙샤프트(322)에 결합되어 상기 윙샤프트(322)와 같이 회전되며 비닐이 감기지 않게 일정 높이의 호를 가져 비닐을 포함한 상기 협잡물이 상기 탱크 본체부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도와주는 윙부(323)와;
    상기 윙샤프트(322)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윙샤프트(322)가 마찰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베어링과 베어링하우징을 포함한 베어링부(324)를 포함하며,
    상기 해압장치부(8)는 상기 협잡물이 인입되어 선회 흐름이 되어 나선상으로 하강하며 상기 협잡물은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분리되고, 상기 협잡물과 같이 인입된 압축공기는 속도가 떨어져 팽창되면서 해압되는 원통형의 해압본체(81)와;
    상기 해압본체(81)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부를 막으며, 상기 해압본체(81)와 볼트로 결합되는 플랜지 타입의 상부덮개(82)와;
    일단은 상기 해압본체(81)의 측벽의 접선방향과 일치하게 수평으로 상기 해압본체(81)와 용접 결합되어 상기 해압본체(81)로 인입되는 상기 협잡물이 원심력을 갖게 하며, 타단은 상기 이송관부(4)의 말단과 결합되는 플랜지 타입의 2개의 인입노즐(83)과;
    상기 상부덮개(82)의 중앙에서 상기 해압본체(81)의 일정 깊이까지 하부로 형성되어 상기 협잡물과 압축공기가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협잡물 이송용 압축공기가 해압되어 배출되는 중앙관부(84)로 구성되고,
    상기 탱크 밸브부(2)는 상기 탱크 본체부를 개폐하는 돔(Dome) 형상, 나이프(Knife) 형상 또는 원판(Butterfly) 형상의 밸브본체(21)와;
    상기 밸브본체(2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본체(21)를 회전시켜 개폐하는 동력을 주며,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에어실린더(22)와;
    상기 밸브본체(21)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탱크 밸브부(2)가 상기 탱크 본체부(1)와 로터리 호퍼부(3) 사이에 설치되고 움직일 수 있게 공간을 확보해주는 밸브케이싱(23)과;
    상기 밸브본체(21)가 완전히 닫혔는지를 확인하는 닫힘확인부(24)으로 구성되며,
    상기 해압본체(81)의 내벽 일정부분에는 상기 협잡물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마모에 의한 상기 해압장치부(8)의 교체 또는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덮개(82)를 열고 바로 교체할 수 있는 상기 해압본체(81)의 20~30% 크기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곡면판(811)과, 상기 곡면판(811)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곡면판(811)을 고정시키는 곡면판 끼움고정부(812)가 형성되며,
    상기 곡면판(811)은 내마모성이 있는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ltra 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으로 제작되고,
    상기 중앙관부(84)는 상기 협잡물과 압축공기가 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해압본체(81)의 중앙의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는 수직중앙관(841)과;
    상기 수직중앙관(84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해압본체(81)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인입되지 못하게 하는 구스넥(8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실린더(22)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조정하는 에어레귤레이터(2211)와, 공급되는 압축공기에서 수분과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에어필터(2212)를 포함하는 에어유니트(221)를 가지고,
    상기 이송관부(4)는 상기 탱크 본체부(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의 상기 협잡물이 설정 중량 이상이 되면 상기 탱크 본체부(1) 내부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될 수 있게 하고, 수직으로 내려오는 협잡물을 수평방향으로 전환시켜 상기 협잡물을 배출하며, 상기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저장호퍼(B)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을 포함하여 일측 라인이 막혔을 때 타측 라인으로 전환하여 운전 중단을 없게 하며, 상기 제1이송라인(431)과 제2이송라인(432)의 말단이 상기 해압장치부(8)의 인입노즐(83)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이송관부(4)는 투명플렉서블호스부(42)의 후단에 상기 협잡물을 응집시키는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부(45)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응집제 투입부(45)는 응집제 저장탱크(451)과, 상기 응집제 저장탱크(45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응집제를 상기 이송관부(4)로 공급하는 통로가 되는 응집제 공급라인(452)로 구성되고,
    상기 응집제 공급라인(452)의 상단에는 응집제의 공급을 수동으로 차단하며 노멀 오픈되는 볼밸브 타입의 응집제 차단밸브(4521)와; 상기 응집제 차단밸브의 하부에 설치되며, 노멀 크로즈되어 응집제 투입이 필요할 시 원격으로 상기 응집제 공급라인(452)를 개방시키는 응집제 솔레노이드밸브(4522)와; 상기 응집제 솔레노이드밸브(4522) 후단에 설치되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협잡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응집제 체크밸브(452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49562A 2017-04-18 2017-04-18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1750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62A KR101750097B1 (ko) 2017-04-18 2017-04-18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62A KR101750097B1 (ko) 2017-04-18 2017-04-18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097B1 true KR101750097B1 (ko) 2017-07-03

Family

ID=5935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562A KR101750097B1 (ko) 2017-04-18 2017-04-18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0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11B1 (ko) * 2023-11-02 2024-01-16 주식회사 태경엔텍 자동 세정 기능이 적용된 폐기물 이송 시스템
KR102659503B1 (ko) * 2023-12-19 2024-04-22 주식회사 태경엔텍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88B1 (ko) * 2011-09-14 2012-07-12 주식회사성우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이송장치
KR101647133B1 (ko) * 2016-04-01 2016-08-09 주식회사 태경엔텍 압축공기 이용 폐기물 이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88B1 (ko) * 2011-09-14 2012-07-12 주식회사성우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이송장치
KR101647133B1 (ko) * 2016-04-01 2016-08-09 주식회사 태경엔텍 압축공기 이용 폐기물 이송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411B1 (ko) * 2023-11-02 2024-01-16 주식회사 태경엔텍 자동 세정 기능이 적용된 폐기물 이송 시스템
KR102659503B1 (ko) * 2023-12-19 2024-04-22 주식회사 태경엔텍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133B1 (ko) 압축공기 이용 폐기물 이송시스템
US4111492A (en) Pneumatic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50097B1 (ko)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WO2006042268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and reclamation of biomass fuel
CN103394238B (zh) 用于处理粪便废水的固液分离装置
KR100823999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101750098B1 (ko) 중량측정 제어부와 교차사용 투웨이 이송관 시스템을 적용한 장시간 운전형 폐기물 이송시스템
CN208232071U (zh)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充填搅拌桶
CN105903246A (zh) 固液分离吸污装置
KR101071324B1 (ko) 마찰력 저감과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KR101282723B1 (ko)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CA278349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grinding media to a grinding mill
CN205822442U (zh) 吸污车
KR20180056279A (ko) 무차단 자동 스트레이너
CN207446470U (zh) 改进型tbs干扰床粗煤泥分选机
CN204223197U (zh) 一种带有金属探测和分离装置的聚酯切片包装系统
CN205815238U (zh) 固液分离吸污设备
KR101733573B1 (ko)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CN209036784U (zh) 一种上料报警装置
CN209221578U (zh) 砂水分离器
KR100535906B1 (ko)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CN212746012U (zh) 一种漆渣收集输送装置
JPH06330628A (ja)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圧送装置
CN105971108A (zh) 强力吸污车
CN217354688U (zh) 一种自动打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