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723B1 -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723B1
KR101282723B1 KR1020130031053A KR20130031053A KR101282723B1 KR 101282723 B1 KR101282723 B1 KR 101282723B1 KR 1020130031053 A KR1020130031053 A KR 1020130031053A KR 20130031053 A KR20130031053 A KR 20130031053A KR 101282723 B1 KR101282723 B1 KR 10128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main body
container body
contaminants
inle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3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 B65G53/12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the gas flow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s in a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를 리듀스형 배출관의 배출 방향에 대해 반대 측 상면은 급격한 상부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만곡부 측의 하방부는 원만한 만곡부를 가지며 타측은 수직 형태를 갖도록 종단이 인체의 위(胃) 형상을 갖게 주물을 통해 성형하되,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인입밸브 및 가이드 호퍼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시키고, 저부에는 리듀스형 배출관을 일체로 성형함은 물론, 상기 밀폐용기 본체는 상면에 플랜지가 구비된 상부 본체와, 저면에 리듀스형 배출관이 일체로 구비된 하부 본체로 구분하여 성형하되, 상기 상부 본체의 저면과 하부 본체의 상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하부 본체를 상호 분해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를 각각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협잡물이 밀폐용기 본체 내면 일부에서 고착화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협잡물의 원활한 이송으로 인해 종래 본체가 콘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해 비교적 적은 압력으로도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또는 동력도 그만큼 절약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력에 취약한 부위에 대한 내구성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계적 마모 등으로 인해 특정 부위의 교체가 필요할 때 전체가 아닌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Pneumatic conveyor for transferring an adulteration}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케익를 포함하여 환경폐기물인 탈수케이크 또는 미세스크린 협잡물이나 침사 및 하수처리 협잡물(이하 "협잡물"로 통칭함)을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이용하여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탈수기 및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 물질을 처리하는 협잡물 처리기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을 일정량 슬러지 압축 저장조에 모은 후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이용하여 이송라인을 통해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케이크 저장 호퍼까지 이송하되, 압축공기 및 세정수의 절감하기 위하여 1회 이송할 수 있는 양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최적화된 상태에서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용기를 주물 성형 방법을 통해 협잡물을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즉, 리듀스형 배출관의 배출 방향에 대해 반대 측 상면은 급격한 상부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만곡부 측의 하방부는 원만한 만곡부를 가지며 타측은 수직 형태를 갖도록) 종단이 대략 인체의 위(胃)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여 협잡물이 밀폐용기 내면 일부에서 고착화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협잡물의 원활한 이송으로 인해 종래 본체가 콘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해 비교적 적은 압력으로도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또는 동력도 그만큼 절약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력에 취약한 부위에 대한 내구성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기계적 마모 등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때 전체가 아닌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밀폐용기의 폭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요인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처리장이나 환경사업소 등 폐수와 분뇨처리의 과정에 있어서, 기계설치시 불필요한 공간이나 장소 및 기타 청결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압을 이용한 컨베이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압을 이용한 컨베이어는 압축된 공기를 사용하며, 기계구조상 밀폐용기 내부에 이송시키고자 하는 물체를 저장한 후, 상기 저장용기 상부의 투입구 을 봉쇄하여 압축된 공기를 기계 내부에 순간적으로 불어 주입하여 내부에 있는 이송물이 공기압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되고 있다.
이러한 이송방법은 기계 설치시 컨베이어 설치에 따른 장소 및 공간 등에 대한 규제가 없고, 수직, 수평 및 곡면관 이송 등이 자유로우며 밀폐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폐기물을 이송함으로써 악취 및 주변환경에 폐해를 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장거리 이송이 매우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및 슬러지 이송장치 중 공기압 컨베이어는 도 1과 같이, 상광하협의 콘(Cone) 형상을 갖고 일정량의 협잡물이 투입 및 저장되고 압축공기가 인입되어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밀폐용기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협잡물을 인입시킬 때는 열리고 인입 완료 후 닫혀 압축공기가 인입될 때 상기 본체(10) 내에 압력이 걸려 협잡물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인입밸브(20)와; 상기 인입밸브(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시 생략한 계량 호퍼에서 배출되는 협잡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밀폐용기 본체(10) 내로 모두 인입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 호퍼(3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로 압축공기와 세정수가 인입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및 세정수 인입부(4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협잡물이 적은 저항을 받으며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방향을 90°로 전환시켜 주는 리듀스(reduce)형 배출관(50)으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및 슬러지 이송장치는 이송배관 내부및 기계 내부에 점성 및 물성의 특성으로 인한 이송중 막힘 현상이 발생된다.
즉, 공기압 컨베이어의 이송물중 점도가 강한 슬러지나, 협잡물 중 비닐성분 같은 것이나, 압축공기 및 세정수가 밀어내기 어려운 이송물은 공기압의 컨베이어와 이송설비 상 짧은 시간 내에 이송되지 못하면 관내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특히, 종래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용기 본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콘 형상을 갖고 있어 본체 내에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투입시켜 협잡물을 이송시킬 때 에어가 밀폐용기 본체의 상방부(즉, 하부 배출공 지름보다 대략 3배 정도 큰 지름은 갖는 상면 만곡부)에서 하방부를 향해 직각방향으로 가해지게 되므로 도 1의 화살표와 같이 에어 및 세정액이 분사 및 확산될 때 본체 내의 상방부를 포함하여 테이퍼진 내면과 접촉된 부위에 위치한 협잡물의 일부가 자체의 점도를 포함하여 경사지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배출되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결국 이들 협잡물이 장기간 경과시 가상선 c, d와 같이 차츰 많이 쌓이면서 고착화되는 형상을 낳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공기 및 세정수가 협잡물의 일부를 밀어내지 못하여 밀폐용기 본체 내에서 남아 고착화될 경위 본체 내의 내부면적이 적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입밸브가 열리면, 본체 내에서 압축된 공기가 역으로 빠져나가면서 굉음과 함께 밀폐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이송 물이 그대로 외부로 튀어나와 컨베이어 주변 및 밀폐용기 내부를 더럽히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폭발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적으로 자동 운전되는 방식으로 인입밸브가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며, 기계 내부 및 관내에 있는 이송물인 협잡물의 이송 여부에 관계없이 시간이 되면, 열고 닫히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 작동하는 과정에서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종래 기술은 공기압 컨베이어의 막힘시 배관 라인을 사람이 직접 분리시켜 관내를 막고 있던 슬러지 이송물을 강제로 완전히 제거시켜 배관을 청소하고, 재조립하여야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청소 및 분해조립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투입시켜 밀폐용기 본체 내에 투입된 협잡물을 이송시킬 때 콘 형상을 갖고 있는 본체 내에서 와류되는 압축공기가 밀폐용기 본체의 상방부인 상면 만곡부에서 큰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특히 협잡물이 배출되는 리듀스형 배출관과 90도 다른 위치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는 만곡부(도 1의 A부분)에 큰 압력 및 마찰력이 가해지고, 또한 리듀스형 배출관의 저면부(도 1의 B부분)에도 큰 압력 및 마찰력이 가해져 장기간 사용시 상기한 두 부분(A부분과 B부분)이 얇아지게 됨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공극이 발생하게 되어 공극을 통해 압력이 새게 되므로 인해 후방부의 배관이 막히게 되어 협잡물의 이송이 아예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본체 또는 리듀스형 배출관 자체가 폭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공기압 컨베이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리듀스형 배출관은 서로 다른 내경 및 경사각을 갖는 여러 개의 파이프를 제작하여 상호 용접을 통해 입구부의 지름 및 면적 대비 출구부의 지름은 대략 1/2로 감소되고 면적은 대략 1/4로 급격히 줄어드는 리듀스 형태로 제작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제작방법을 통해 제조된 리듀스형 배출관을 본체의 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였을 때 본체의 내면과 리듀수형 배출관의 내면 사이에서 원활한 만곡부가 형성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의 내면에 장기간동안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가해지는 높은 압력에 의해 도 1의 가상선과 같이 많은 용접선 중 일부 용접부위 손상되어 압력이 새거나 배출관 자체가 폭발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용기 본체는 여러 부분으로 분리 제작된 다음 용접을 통해 콘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용기 본체의 상부 만곡부(예를 들어 도 1의 A부분) 일부가 훼손 또는 파손되었을 경우 밀폐용기 전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만 되어 유지보수시 불필요하기 시간과 경비가 많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71324호(2011년 09월 30일)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35906호(2005년 12월 05일) 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05707호(2000년 04월 06일)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42088호(2012년 04월 25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는 탈수기 및 이물질이 혼입되어 있는 물질을 처리하는 협잡물 처리기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잡물을 일정량 슬러지 압축 저장조에 모은 후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이용하여 이송라인을 통해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케이크 저장 호퍼까지 이송하되, 압축공기 및 세정수의 절감하기 위하여 1회 이송할 수 있는 양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최적화된 상태에서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용기를 주물 성형 방법을 통해 협잡물을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리듀스형 배출관의 배출 방향에 대해 반대 측 상면은 급격한 상부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만곡부 측의 하방부는 원만한 만곡부를 가지며 타측은 수직 형태를 갖게 되어 종단이 대략 인체의 위(胃)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여 줌으로써 협잡물이 밀폐용기 내면 일부에서 고착화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협잡물의 원활한 이송으로 인해 종래 본체가 콘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해 비교적 적은 압력으로도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또는 동력도 그만큼 절약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력에 취약한 부위에 대한 내구성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용기 본체를 주물을 통해 제작할 때 호퍼가 설치되는 상부 본체와, 리듀스형 배출관이 일체로 구비된 하부 본체로 분리 성형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적 마모 등으로 인해 특정 부위의 교체가 필요할 때 전체가 아닌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한 압력이 특히 많이 가해지는 부분은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두껍게 성형시켜 주어 밀폐용기의 폭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요인을 해결(즉, 안전성을 대폭 확보)할 수 있는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용기 본체의 상방부에 압력검출센서와 전자식 에어배기밸브를 설치하여 본체 내에 협잡물을 투입하고 정해진 시간 동안 정해진 압력으로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주입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본체 내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알람 등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에어 및 세정수 공급을 차단하고 인입밸브를 잠김상태를 유지시키면서 공기압 컨베이어 전단에 설치된 기계들의 작동을 중지시킴은 물론 상기 전자식 에어배기밸브를 열어 본체내의 압축공기를 강제 배기시켜 본체 내 협잡물이 완전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해진 시퀀스에 의해 인입밸브가 다시 열리게 되므로 인해 본체 내에서 압축된 공기가 역으로 빠져나가면서 발생될 수 있는 폐단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 및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량의 협잡물이 투입 및 저장되고 압축공기가 인입되면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밀폐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협잡물을 인입시킬 때는 열리고 인입 완료 후 닫혀 압축공기가 인입될 때 상기 본체 내에 압력이 걸려 협잡물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인입밸브와; 상기 인입밸브의 상부에 설치되어 협잡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밀폐용기 본체 내로 모두 인입되도록 하는 가이드 호퍼와;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로 압축공기와 세정수가 인입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및 세정수 인입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협잡물이 적은 저항을 받으며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방향을 90°로 전환시켜 주는 리듀스형 배출관으로 구성된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를 리듀스형 배출관의 배출 방향에 대해 반대 측 상면은 급격한 상부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만곡부 측의 하방부는 원만한 만곡부를 가지며 타측은 수직 형태를 갖도록 종단이 인체의 위(胃) 형상을 갖게 주물을 통해 성형하되,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인입밸브 및 가이드 호퍼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시키고, 저부에는 리듀스형 배출관을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밀폐용기 본체는 상면에 플랜지가 구비된 상부 본체와, 저면에 리듀스형 배출관이 일체로 구비된 하부 본체로 구분하여 성형하되, 상기 상부 본체의 저면과 하부 본체의 상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하부 본체를 상호 분해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를 각각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과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밀폐용기 본체의 상면 만곡부와,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의 저면 만곡부에는 다른 부위의 면 두께보다 2∼4배 더 두꺼운 파손방지부를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밀폐용기 본체의 상방부에 본체 내 압력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검출센서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개폐되는 전자식 에어배기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의 출력단자에는 경보기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인입밸브를 열어 본체 내에 협잡물을 투입하고 인입밸브를 다시 닫은 다음, 정해진 시간 동안 정해진 압력으로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주입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정해진 시간 내에 본체 내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경보기를 작동시키고, 본체 내로의 에어 및 세정수 공급을 차단한 다음, 상기 인입밸브는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공기압 컨베이어 전단에 설치된 기계들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전자식 에어배기밸브를 열어 본체내의 압축공기를 강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에 의하면, 첫째 공기압 컨베이어의 밀폐용기 본체를 주물 성형 방법을 통해 협잡물을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리듀스형 배출관의 배출 방향에 대해 반대 측 상면은 급격한 상부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만곡부 측의 하방부는 원만한 만곡부를 가지며 타측은 수직 형태를 갖게 되어 종단이 대략 인체의 위(胃) 형상을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협잡물이 밀폐용기 본체 내면 일부에서 고착화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협잡물의 원활한 이송으로 인해 종래 본체가 콘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해 비교적 적은 압력으로도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또는 동력도 그만큼 절약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력에 취약한 부위에 대한 내구성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밀폐용기 본체를 주물을 통해 제작할 때 호퍼가 설치되는 상부 본체와, 리듀스형 배출관이 일체로 구비된 하부 본체로 분리 성형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적 마모 등으로 인해 특정 부위의 교체가 필요할 때 전체가 아닌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셋째 압력이 특히 많이 가해지는 부분은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두껍게 성형시켜 주어 밀폐용기의 폭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요인을 해결(즉, 안전성을 대폭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밀폐용기 본체의 상방부에 압력검출센서와 전자식 에어배기밸브를 설치하여 본체 내에 협잡물을 투입하고 정해진 시간 동안 정해진 압력으로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주입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본체 내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알람 등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에어 및 세정수 공급을 차단하고 인입밸브를 잠김상태를 유지시키면서 공기압 컨베이어 전단에 설치된 기계들의 작동을 중지시킴은 물론 상기 전자식 에어배기밸브를 열어 본체내의 압축공기를 강제 배기시켜 줌으로써 밀폐용기 본체 내 협잡물이 완전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해진 시퀀스에 의해 인입밸브가 다시 열리게 되므로 인해 본체 내에서 압축된 공기가 역으로 빠져나가면서 발생될 수 있는 폐단 및 안전사고(즉, 굉음과 함께 밀폐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협잡물이 그대로 외부로 튀어나와 컨베이어 주변 및 밀폐용기 내부를 더럽히게 되는 경우는 물론 심할 경우 발생되는 폭발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 및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및 슬러지 이송장치 중 공기압 컨베이어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정량의 협잡물이 투입 및 저장되고 압축공기가 인입되면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밀폐용기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부(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협잡물을 인입시킬 때는 열리고 인입 완료 후 닫혀 압축공기가 인입될 때 상기 본체(10) 내에 압력이 걸려 협잡물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인입밸브(20)와; 상기 인입밸브(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협잡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밀폐용기 본체(10) 내로 모두 인입되도록 하는 가이드 호퍼(30)와; 제어부(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본체(10)의 상부로 압축공기와 세정수가 인입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및 세정수 인입부(4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협잡물이 적은 저항을 받으며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방향을 90°로 전환시켜 주는 리듀스형 배출관(50);으로 구성된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를 리듀스형 배출관(50)의 배출 방향에 대해 반대 측 상면은 급격한 상부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만곡부 측의 하방부는 원만한 만곡부를 가지며 타측은 수직 형태를 갖도록 종단이 인체의 대략 위(胃) 형상을 갖게 주물을 통해 성형하되,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인입밸브(20) 및 가이드 호퍼(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101)를 일체로 구비시키고, 저부에는 리듀스형 배출관(50)을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밀폐용기 본체(10)는,
상면에 플랜지가 구비된 상부 본체(10a)와, 저면에 리듀스형 배출관(50)이 일체로 구비된 하부 본체(10b)로 구분하여 성형하되, 상기 상부 본체(10a)의 저면과 하부 본체(10b)의 상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볼트(71)와 너트(72)를 이용하여 상,하부 본체(10a)(10b)를 상호 분해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102)(103)를 각각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50)과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밀폐용기 본체(10)의 상면 만곡부와,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50)의 저면 만곡부에는 다른 부위의 면 두께보다 2∼4배 더 두꺼운 파손방지부(104)(501)를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밀폐용기 본체(10)의 상방부에 본체 내 압력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60)로 전달하는 압력검출센서(80)와, 상기 제어부(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개폐되는 전자식 에어배기밸브(9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60)의 출력단자에는 경보기(61)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60)에서 인입밸브(20)를 열어 본체(10) 내에 협잡물을 투입하고 인입밸브(20)를 다시 닫은 다음,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7∼10초) 동안 정해진 압력(예를 들어 9kgf/cm²)으로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주입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정해진 시간 내에 본체(10) 내 압력이 정해진 압력(예를 들어 1∼2)kgf/cm²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경보기(61)를 작동시키고, 본체(10) 내로의 에어 및 세정수 공급을 차단한 다음, 상기 인입밸브(20)는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공기압 컨베이어 전단에 설치된 기계들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전자식 에어배기밸브(90)를 열어 본체(10)내의 압축공기를 강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5는 밀폐용기 본체(1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케이스이고, 16은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를 지면 상에 세워 설치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저면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에 있어서, 밀폐용 본체(10)를 리듀스형 배출관(50)의 반대 측 상면만 만곡지도록 종단이 인체의 대략 위(胃) 형상을 갖게 주물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인입밸브(20) 및 가이드 호퍼(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101)를 일체로 구비시키고, 저부에는 리듀스형 배출관(50)을 일체로 성형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는 밀폐용기 본체(10)와 제어부(60), 인입밸브(20), 가이드 호퍼(30), 압축공기 및 세정수 인입부(40) 및 리듀스형 배출관(50)을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
이들 중 상기 밀폐용기 본체(10)는 상면에 인입밸브(20) 및 가이드 호퍼(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101)를 구비하고, 일정량의 협잡물이 투입 및 저장되고 압축공기가 인입되면 협잡물을 이송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인입밸브(20)는 밀폐용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부(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협잡물을 인입시킬 때는 열리고 인입이 완료된 후에는 닫혀 압축공기가 인입될 때 상기 밀폐용기 본체(10) 내에 압력이 걸려 협잡물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호퍼(30)는 상기 인입밸브(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협잡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밀폐용기 본체(10) 내로 모두 인입되도록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압축공기 및 세정수 인입부(40)는 제어부(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는 도시 생략한 압축공기 발생기와 세정액 투입용 펌프 등이 작동에 부응하여, 상기 밀폐용기 본체(10)의 상부로 압축공기와 세정수가 인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5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협잡물이 적은 저항을 받으며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방향을 90°로 전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밀폐용기 본체(10)를 철판으로 성형하던 종래와 달리 주물로 성형하되, 리듀스형 배출관(50)의 배출 방향에 대해 반대 측 상면은 급격한 상부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만곡부 측의 하방부는 원만한 만곡부를 가지며 타측은 수직 형태를 갖도록 종단이 인체의 대략 위(胃) 형상을 갖게 성형함은 물론 상기 밀폐용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인입밸브(20) 및 가이드 호퍼(3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101)를 일체로 구비시키고, 저부에는 종래와 달리 리듀스형 배출관(50)을 일체로 성형하여 주었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용기 본체(10)를 리듀스형 배출관(50)의 배출 방향에 대해 반대 측 상면은 급격한 상부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만곡부 측의 하방부는 원만한 만곡부를 가지며 타측은 수직 형태를 갖도록 종단이 인체의 대략 위(胃) 형상을 갖게 주물을 통해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밀폐형 본체(10)의 저부에 리듀스형 배출관(50)을 일체로 주물을 통해 성형하게 되면, 밀폐용기 본체(10)의 구조가 협잡물의 원활한 배출구조(즉, 밀폐용기 본체(10)의 원만한 만곡부와 리듀스형 배출관(50)의 저면 만곡부가 전체적으로 원활한 만곡면을 갖는 구조)가 되어 상기 밀폐용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인입밸브(20)를 통해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주입시키면 유입된 압축공기가 밀폐용기 본체(10) 내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므로 대부분의 협잡물이 밀폐용기 본체(10) 내에서 일제히 빠져나갈 수 있게 되므로 본체 내면에 협잡물이 남아있지 않게 되어 협잡물이 고착화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압력에 취약한 부위인 상기 밀폐용기 본체(10)의 상부 만곡부에서 리듀스형 배출관(50)의 하부 만곡부 사이 전체가 원만한 만곡부를 가지게 되므로 이 부위에 대한 내구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인입밸브(20)를 통해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주입시키면 유입된 압축공기가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상부 만곡부에서 리듀스형 배출관(50)의 하부 만곡부 사이 형성된 원만한 만곡부을 따라 조사됨은 물론 수직면 형태를 갖는 타측에서 직하방부를 향해 조사되므로 밀폐용기 본체(10) 내 전체를 포함하여 협잡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대부분의 협잡물이 도 2의 가상선 형태를 갖고 밀폐용기 본체(10) 내에서 일제히 빠져나갈 수 있게 되므로 본체 내면에 협잡물이 남아있지 않게 되어 협잡물이 고착화되는 것 자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협잡물의 원활한 이송으로 인해 종래 본체가 콘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해 비교적 적은 압력으로도 협잡물을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또는 동력도 그만큼 절약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폐용기 본체(10)를 주물을 통해 성형할 때, 하나로 성형하지 않고, 상면에 플랜지(101)가 구비된 상부 본체(10a)와, 저면에 리듀스형 배출관(50)이 일체로 구비된 하부 본체(10b)로 구분하여 성형하되, 상기 상부 본체(10a)의 저면과 하부 본체(10b)의 상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볼트(71)와 너트(72)를 이용하여 상,하부 본체(10a)(10b)를 상호 분해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102)(103)를 각각 성형한 것을 또 다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용기 본체(10)를 주물을 통해 제작할 때, 상면에 플랜지(101)가 구비된 상부 본체(10a)와, 저면에 리듀스형 배출관(50)이 일체로 구비된 하부 본체(10b)로 분리 성형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되면, 기계적 마모 등으로 인해 특정 부위의 교체가 필요할 때 전체가 아닌 상부 본체(10a) 또는 하부 본체(10b)만 교환하면 되므로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압 컨베이어의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와류되는 압력 및 배출되는 압력에 매우 취약한 부위인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50)과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밀폐용기 본체(10)의 상면 만곡부와,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50)의 저면 만곡부에 각각 본체의 다른 부위 면들의 두께보다 2∼4배 더 두꺼운 파손방지부(104)(501)를 각각 더 성형하여 주었다.
따라서, 압력에 취약한 부분에 대한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특정부위에서 마모나 파손 또는 공극 등이 발생하는 것 자체를 아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부위를 통한 압축공기의 배출 및 폭발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공기압 컨베이어 자체의 안전성을 대폭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손방지부(104)(501)는 주물을 통해 상,하부 본체(10a)(10b)를 성형할 때 해당부위에 대한 두께를 정해진 두께로 조절만 하면 가능하므로 후 작업의 필요없이 밀폐용기 본체(10)를 주물을 통해 성형할 때 동시에 성형 가능하여 파손방지부(104)(501)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로 인건비 및 제조원가가 들게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밀폐용기 본체(10)의 상방부에 본체 내 압력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60)로 전달하기 위한 압력검출센서(80)와, 상기 제어부(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개폐되는 전자식 에어배기밸브(9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60)의 출력단자에는 경보기(61)를 설치하고 제어부(60) 내에는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부가 입력시켰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에서는 통상시 인입밸브(20)를 열어 밀폐용기 본체(10) 내에 정해진 중량 또는 용량의 협잡물을 투입(에를 들어 1∼3분)한 다음 인입밸브(20)를 다시 닫아(4∼6초) 밀폐시킨 후,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7∼10초) 동안 정해진 압력(예를 들어 9kgf/cm²)으로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주입함과 동시에 상기 압력검출센서(80)를 통해 밀폐용기 본체(10) 내의 압력을 계속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7∼10초) 동안 정해진 압력(예를 들어 9kgf/cm²)으로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주입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정해진 시간 내에 본체(10) 내 압력이 정해진 압력(예를 들어 1∼2)kgf/cm²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상기 밀폐용기 본체(10) 내에 협잡물이 일부 고착되었거나 또는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50) 등이 막힌 것으로 인지하고 경보기(61)를 작동시켜 공기압 컨베이어 주변에 있는 관리자에게 밀폐용기 본체(10) 내의 압력이 이상압력임을 알려주어 즉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60)에서는 밀폐용기 본체(10) 내로 공급되고 있는 에어 및 세정수 공급을 차단함은 물론 상기 인입밸브(20)는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공기압 컨베이어 전단에 설치된 기계들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전자식 에어배기밸브(90)를 열어 밀폐용기 본체(10) 내에 충진되어 있는 압축공기를 강제로 자동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10) 내 협잡물이 완전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정해진 시퀀스에 의해 인입밸브(20)가 다시 열리게 되므로 인해 아직 밀폐용기 본체(10) 내에서 압축된 상태에 있던 공기가 역으로 본체의 상방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발생될 수 있는 굉음을 포함하여, 상기 밀폐용기 본체(10) 내에 수용되어 있던 협잡물이 그대로 외부로 튀어나와 컨베이어 주변 및 밀폐용기 내부를 더럽히게 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심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폭발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 및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본체
10a : 상부 본체 10b : 하부 본체
101, 102, 103, : 플랜지 104 : 파손방지부
15 : 케이스 16 : 다리
20 : 인입밸브
30 : 가이드 호퍼
40 : 압축공기 및 세정수 인입부
50 : 리듀스형 배출관 501 : 파손방지부
60 : 제어부 61 : 경보기
71 : 볼트 72 : 너트
80 : 압력검출센서
90 : 전자식 에어배기밸브

Claims (4)

  1. 일정량의 협잡물이 투입 및 저장되고 압축공기가 인입되면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밀폐용기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협잡물을 인입시킬 때는 열리고 인입 완료 후 닫혀 압축공기가 인입될 때 상기 본체 내에 압력이 걸려 협잡물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인입밸브와; 상기 인입밸브의 상부에 설치되어 협잡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밀폐용기 본체 내로 모두 인입되도록 하는 가이드 호퍼와;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로 압축공기와 세정수가 인입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및 세정수 인입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협잡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리듀스형 배출관;으로 구성된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를 리듀스형 배출관의 배출 방향에 대해 반대 측 상면은 급격한 상부 만곡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 만곡부 측의 하방부는 원만한 만곡부를 가지며 타측은 수직 형태를 갖도록 종단이 인체의 위(胃) 형상을 갖게 주물을 통해 성형하되,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인입밸브 및 가이드 호퍼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시키고, 저부에는 리듀스형 배출관을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는,
    상면에 플랜지가 구비된 상부 본체와, 저면에 리듀스형 배출관이 일체로 구비된 하부 본체로 구분하여 성형하되, 상기 상부 본체의 저면과 하부 본체의 상면 주연부에는 다수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하부 본체를 상호 분해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를 각각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과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밀폐용기 본체의 상면 만곡부와, 상기 리듀스형 배출관의 저면 만곡부에는 다른 부위의 면 두께보다 2∼4배 더 두꺼운 파손방지부를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 본체의 상방부에 본체 내 압력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검출센서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개폐되는 전자식 에어배기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의 출력단자에는 경보기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인입밸브를 열어 본체 내에 협잡물을 투입하고 인입밸브를 다시 닫은 다음, 정해진 시간 동안 정해진 압력으로 압축공기 및 세정수를 주입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정해진 시간 내에 본체 내 압력이 정해진 압력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경보기를 작동시키고, 본체 내로의 에어 및 세정수 공급을 차단한 다음, 상기 인입밸브는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공기압 컨베이어 전단에 설치된 기계들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전자식 에어배기밸브를 열어 본체내의 압축공기를 강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KR1020130031053A 2013-03-22 2013-03-22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KR10128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053A KR101282723B1 (ko) 2013-03-22 2013-03-22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053A KR101282723B1 (ko) 2013-03-22 2013-03-22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723B1 true KR101282723B1 (ko) 2013-07-05

Family

ID=4899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053A KR101282723B1 (ko) 2013-03-22 2013-03-22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835B1 (ko) 2020-11-20 2021-05-27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공기압 컨베이어
KR102625411B1 (ko) * 2023-11-02 2024-01-16 주식회사 태경엔텍 자동 세정 기능이 적용된 폐기물 이송 시스템
KR102659503B1 (ko) * 2023-12-19 2024-04-22 주식회사 태경엔텍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9024A (en) 1980-09-04 1982-07-13 Fiberdome Incorporated Dust-tight silo discharge pipe assembly
JP2007127179A (ja) 2005-11-02 2007-05-24 Denso Corp 粉体輸送配管の詰り防止構造
JP2012171742A (ja) 2011-02-22 2012-09-10 Ihi Corp パイライト排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9024A (en) 1980-09-04 1982-07-13 Fiberdome Incorporated Dust-tight silo discharge pipe assembly
JP2007127179A (ja) 2005-11-02 2007-05-24 Denso Corp 粉体輸送配管の詰り防止構造
JP2012171742A (ja) 2011-02-22 2012-09-10 Ihi Corp パイライト排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835B1 (ko) 2020-11-20 2021-05-27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공기압 컨베이어
KR102625411B1 (ko) * 2023-11-02 2024-01-16 주식회사 태경엔텍 자동 세정 기능이 적용된 폐기물 이송 시스템
KR102659503B1 (ko) * 2023-12-19 2024-04-22 주식회사 태경엔텍 이송물 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압 컨베이어 운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723B1 (ko)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CN102491094B (zh) 水平长距离超细粉料气力输送装置
KR100823999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CN204042450U (zh) 一种煤气排水器防泄漏装置及防泄漏煤气排水器
KR101142088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이송장치
KR101750097B1 (ko)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CN211988869U (zh) 一种计算机元器件回收用粉碎设备
KR101071324B1 (ko) 마찰력 저감과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KR100535906B1 (ko)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CN109432835A (zh) 一种农村污水处理装置
CN206701920U (zh) 一种建筑垃圾及杂填土污染修复系统
KR101750098B1 (ko) 중량측정 제어부와 교차사용 투웨이 이송관 시스템을 적용한 장시간 운전형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1428586B1 (ko) 여액 유출을 방지하는 슬러지 저장용 호퍼
KR101384646B1 (ko)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CN207734666U (zh) 一种箱式压滤机
CN209204752U (zh) 一种农村污水处理装置
KR20090008769U (ko) 세척물 자동 배출장비를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 세척장치
CN210253116U (zh) 一种用于水力洗浆的新型排渣沥水装置
CN207511849U (zh) 一种用于工业园区的水污染预防和治理装置
KR200351162Y1 (ko)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CN205528130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09601274U (zh) 废液存储装置
CN208485251U (zh) 一种砌块成型机的应急输送装置
JP2020081917A (ja) し渣搬送装置
CN207913350U (zh) 工厂污水固态垃圾收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