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162Y1 -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162Y1
KR200351162Y1 KR20-2004-0005355U KR20040005355U KR200351162Y1 KR 200351162 Y1 KR200351162 Y1 KR 200351162Y1 KR 20040005355 U KR20040005355 U KR 20040005355U KR 200351162 Y1 KR200351162 Y1 KR 200351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sealed storage
pressure
solenoid valve
s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filed Critical 이태경
Priority to KR20-2004-0005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1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수케이크 및 협작물처리기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케익 또는 협잡물을 슬러지 밀폐저장용기에 모은 다음,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배관라인을 통해 지정된 소정의 장소까지 이송시켜주고, 만일 슬러지케익 또는 협작물이 슬러지저장용기의 배출구에 막힐 경우에는 수압과 공압을 동시에 이용하여 막힌곳을 뚫고 소정의 장소까지 밀어내어 이송시킬 수 있는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폐기물 이송장치는 밀폐저장용기(40)의 일측에 설치되고 밀폐저장용기(40) 내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게이지(10)와,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2)의 관로 상에 부착되어 소정의 수압 분출이 가능한 수압솔레노이드밸브(44)와, 상기 압력게이지(1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2) 및 수압솔레노이드밸브(44)를 연결하여 컨트롤이 가능한 컨트럴패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폐기물 이송시에 불필요한 에어의 소모를 방지하여 동력 손실을 예방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고, 공기압 컨베이어의 막힘시 배관라인을 분리하지 않고도 관내에 막힌 이송물을 손쉽게 제거하여 안정적이고 편리하며 신뢰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Factory Cake Conveyer System for Air Pressure and Water Pressure}
본 고안은 환경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탈수케이크 및 협작물처리기를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케익 또는 협잡물을 슬러지 저장용기에 모은 다음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배관라인을 통해 지정된 소정의 장소까지이송시켜주고, 만일 슬러지케익 또는 협작물이 슬러지저장용기의 내부에서 배출구에 막힐 경우에는 수압과 공압을 동시에 이용하여 막혔던 배출구를 뚫고 소정의 장소까지 밀어내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처리장이나 환경사업소등 폐수와 분뇨처리의 과정에 있어서, 기계설치시 불필요한 공간이나 장소 및 기타 청결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공기압을 이용한 컨베이어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압을 이용한 컨베이어는 압축된 공기를 사용하며, 기계구조상 밀폐용기 내부에 이송시키고자 하는 물체를 저장한 후, 상기 저장용기 상부의 투입구을 봉쇄하여 압축된 공기를 기계 내부에 순간적으로 불어 주입하여 내부에 있는 이송물이 공기압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되고 있다.
이러한 이송방법은 기계 설치시 컨베이어 설치에 따른 장소 및 공간 등에 대한 규제가 없고, 수직, 수평 및 곡면관 이송 등이 자유로우며 밀폐된 파이프라인을 통해 폐기물을 이송함으로써 악취 및 주변환경에 폐해를 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장거리 이송이 매우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압을 이용한 협작물 및 슬러지 이송장치는 이송배관 내부 및 기계 내부에 점성 및 물성의 특성으로 인한 이송중 막힘 현상이 발생된다.
즉, 공기압 콘베이어의 이송물중 점도가 강한 슬러지나, 협작물 중 비닐성분 같은 것이나, 공기가 밀어내기 어려운 이송물은 공기압의 컨베이어와 이송설비상 짧은 시간 내에 이송되지 못하면 관내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압축된 공기가 이송물을 밀어내지 못하면 투입밸브가 열릴 때 압축된 공기가 역으로 빠져나가면서 굉음과 함께 밀폐저장용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이송물이 그대로 외부로 튀어나와 컨베이어 주변 및 밀폐저장용기 내부를 더럽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적으로 자동 운전되는 방식으로 투입밸브가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며, 기계내부 및 관내에 있는 이송물이 이송여부에 관계없이 시간이 되면, 열고 닫히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작동하는 과정에서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종래 기술은 공기압 컨베이어의 막힘시 배관 라인을 사람이 직접 분리시켜 관내를 막고 있던 슬러지 이송물을 강제로 완전히 제거시켜 배관을 청소하고, 재조립하여야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청소 및 분해조립의 번거럽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저장용기에 저장되는 슬러지케익 또는 협작물이 공기압에 의하여 순조롭게 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되지 못하고 밀폐저장용기에 적층된 상태를 계속 유지 하거나 배관라인에서 막힘 상태를 이를 때에 밀폐저장용기 내로 공압과 수압을 동시에 작용시켜서 막힌곳을 뚫어 원활한 소통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항상 안전하고 신뢰적인 이송장치의 사용을 이루게 하는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폐기물 이송장치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폐기물 이송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폐기물 이송장치를 적용한 폐기물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력게이지 20 : 컨트롤패널
30 : 이송파이프 40 : 밀폐저장용기
42 : 솔레노이드밸브 44 : 수압솔레노이드밸브
46 : 주름관 48 :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는 탈수기 및 협작물처리기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 또는 협작물 등을 모으는 밀폐저장용기와, 상기 밀폐저장용기의 하부중심부와 연결되고 밀폐저장용기 내의 배출물을 지정된 장소로 이송을 이루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밀폐저장용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밀폐저장용기 내로 공기압의 개폐를 이루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지는 공기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저장용기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밀폐저장용기 내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게이지와, 상기 밀폐저장용기의 내측에 부착되어 밀폐저장용기로 유입된 내용물의 압력으로 중량측정을 이루는 스트레인게이지와, 상기 밀폐저장용기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관로 상에 부착되어 소정의 수압분출이 가능한 수압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압력게이지와 스트레인게이지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및 수압솔레노이드밸브를 연결하여 컨트롤이 가능한 컨트롤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상기 밀폐저장용기는 하부중심부에 주름관을 설치하여 상기 이송파이프와 연결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폐기물 이송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정면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폐기물 이송장치를 평면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본 고안의 폐기물 이송장치를 적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를 개략적인 공정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탈수기(50) 및 협작물처리기(56)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52) 또는 협작물(58) 등을 모으는 밀폐저장용기(4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하부중심부와 연결되고 밀폐저장용기(40) 내의 배출물을 지정된 장소로 이송을 이루는 이송파이프(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밀폐저장용기(40) 내로 공기압의 개폐를 이루는 솔레노이드밸브(42)의 관로상에 수압솔레노이드밸브(44)가 일체성 있게 연결되어서 폐기물 이송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일측에는 밀폐저장용기(40) 내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게이지(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내측에는 밀폐저장용기(40)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압력으로 소정의 중량측정을 이루는 판상 형태의 스트레인게이지(48)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게이지(10)와 스트레인게이지(48)는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한다.
상기 수압솔레노이드밸브(44)는 밀폐저장용기(4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42)의 관로 상에 부착되어 소정의 수압분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게이지(10)와 스트레인게이지(48)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2) 및 수압솔레노이드밸브(44)는 컨트롤이 가능한 컨트럴패널(20)에 연결되어 자동컨트롤에 의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하부중심부에는 주름관(46)을 설치하여 폐기물을 배출하는 상기 이송파이프(30)와 연결되고, 이송파이프(30)의 진동이나 충격이 밀폐저장용기로 전달되지 못하고 차단되는 상태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저장용기(40)는 소정의 압력(최대 12kg/㎠)에 견딜 수 있는 용접구조물로 이루어진 원형이며, 이중탱크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하수, 공장폐수 및 협착물 등의 각종 환경폐기물들은 탈수기(50) 및 협작물처리기(56) 등을 통해 소량의 수분이 함유된 상태의 탈수케이크(52) 또는 협작물(58) 등으로 처리되어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탈수케이크(52) 또는 협착물(58)은 지정된 장소로 옮기기 위해 탈수기(50) 또는 협착물처리기(56)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밀폐저장용기(40)로 보내진다.
상기 밀폐저장용기(40)에 보내진 탈수케이크(52) 또는 협착물(58)은 소정 량이 저장되면 상부 컨트롤패널(20)과 연결되어 있는 에어실린더(60)의 동작으로 직선왕복운동으로 개폐밸브(62)로 밀폐저장용기(40)의 상부를 차단한 후 컨트롤패널(20)의 컨트롤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42)로 고압의 공기압력을 발생시켜서 밀폐저장용기(40)로부터 하부중심부의 이송파이프(30)를 통해 지정된 장소인 케이크호퍼(64)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저장용기(40)에 탈수케이크(52) 또는 협착물(58)이 수용되고 소정의 공기압력이 작용하였지만 탈수케이크(52) 또는 협착물(58)이 이송되지못하고 남아서 컨베이어가 막히게 되면 밀폐저장용기(40) 내에는 높은 압력의 공기빠져 나오지 못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에는 압력게이지(10)가 밀폐저장용기(40) 내의 공기압을 몇초동안(대략5초이상) 압력을 받는다면 압력스위치(10)의 안전장치가 열려(여기서 대략 10초정도 작동되고 공기를 투입하는 관의 구경과 바이패스관의 구경을 동일하다)내부의 압력이 에어 바이패스라인을 통해 압력배출이 된다.
이렇게 압력게이지(10)의 압력스위치 작동이 되고 나면 컨트롤패널(2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물 라인의 수압솔레노이드밸브(44)가 열려 밀폐저장용기(40)의 용량에 따라 물의 공급시간이 타이머로 조정된 상태에서 밀폐저장용기(40)내로 약간의 물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밀폐저장용기(40)로 물이 공급되고 나면 자동적으로 컨트롤패널(20)에 의하고 솔레노이드밸브(42)를 기초로 소정의 공기가 밀폐저장용기(40)에 투입되어 고압이 발생되면 배출관로를 막혀 있던 슬러지 등은 물과 혼합되면서 물성 및 점성의 특성화로 연질화 됨과 동시에 이송파이프(30)의 관로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관으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서 심한 막힘 현상일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물과 공기에 의한 수압과 공압을 반복적으로 2∼3회 정도 작동시키면 이송파이프(30) 관내의 슬러지가 물과 혼합되어 미끄러지면서 관을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밀폐저장용기(40)에 물이 유입되면서 물이 공기와 혼합되어 더 높은 압착력을 가지게 되어 막혀있는 슬러지를 밀어주고, 또한 점성이 강한 슬러지와 관내부의 마찰을 적게 해주어 슬러지가 미끄러지면서 이송을 시키므로 막힘 현상을 해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내측에는 시트형태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하중압력으로 중량측정을 이루는 스트레인게이지(48)가 부착되어 있어서 밀폐저장용기(40)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압력으로 소정의 중량을 측정하여 상기 컨트롤패널(20)에 의하여 개폐밸브(62)의 작동을 이루게 하여 항상 일정량의 내용물이 밀폐저장용기(40)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는 기존에 내용물의 수용량에 관계없이 소정시간에 의하여 개폐밸브를 작동을 닫기 때문에 작업량이 못미치게 되어 동력손실을 이루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결국 스트레인게이지(48)의 중량측정으로 정확한 작업량을 밀폐저장용기(40)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생산적인 작업을 이루게 한다.
상기 밀폐저장용기(40)에 설치되는 압력게이지(10)와 스트레인게이지(48)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을 적용한 것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상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이송파이프(30)와 밀폐저장용기(40) 간에는 주름관(46)을 배치하여 밀폐저장용기(40)로 이송파이프(30)의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므로 밀폐저장용기(40)에서 압력게이지(10) 및 스트레인게이지(48)가 오작동되지 않도록 하면서 충격에 의한 손실 또는 비작동을 예방하여 안전한 상태로 정확한 압력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타이머에 의한 자동운전 방식에서 벗어나 컨베이어의 1회 이송량을 정확히 하고, 불필요한 공압 소모를 방지하여 동력 손실을 예방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고, 공기압 컨베이어의 막힘시 사람이 배관라인을 분리하지 않고도 관내의 이송물을 손쉽게 제거하여 안정적이고 편리하고 신뢰적인 폐기물 이송장치의 사용을 이루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탈수기(50) 및 협작물처리기(56)에서 배출되는 탈수케이크(52) 또는 협작물(58) 등을 모으는 밀폐저장용기(40)와,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하부중심부와 연결되고 밀폐저장용기(40) 내의 배출물을 지정된 장소로 이송을 이루는 이송파이프(30)와,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밀폐저장용기(40) 내로 공기압의 개폐를 이루는 솔레노이드밸브(42)로 이루어지는 공기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일측에 설치되고 밀폐저장용기(40) 내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게이지(10)와;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내측에 부착되어 밀폐저장용기로 유입된 내용물의 압축으로 중량측정을 이루는 스트레인게이지(48)와,
    상기 밀폐저장용기(4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2)의 관로 상에 부착되어 소정의 수압분출이 가능한 수압솔레노이드밸브(44)와;
    상기 압력게이지(10)와 스트레인게이지(48)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2) 및 수압솔레노이드밸브(44)를 연결하여 컨트롤이 가능한 컨트럴패널(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저장용기(40)는 하부중심부에 주름관(46)을 설치하여 상기 이송파이프(3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20-2004-0005355U 2004-02-25 2004-02-25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200351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355U KR200351162Y1 (ko) 2004-02-25 2004-02-25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355U KR200351162Y1 (ko) 2004-02-25 2004-02-25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727A Division KR100535906B1 (ko) 2004-03-29 2004-03-29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162Y1 true KR200351162Y1 (ko) 2004-05-20

Family

ID=4934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355U KR200351162Y1 (ko) 2004-02-25 2004-02-25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1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835B1 (ko) 2020-11-20 2021-05-27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공기압 컨베이어
CN114933112A (zh) * 2022-03-16 2022-08-23 冀东水泥璧山有限责任公司 一种水泥入库状态展示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835B1 (ko) 2020-11-20 2021-05-27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공기압 컨베이어
CN114933112A (zh) * 2022-03-16 2022-08-23 冀东水泥璧山有限责任公司 一种水泥入库状态展示系统
CN114933112B (zh) * 2022-03-16 2024-04-02 冀东水泥璧山有限责任公司 一种水泥入库状态展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9686A (ko) 슬러지 탈수 및 건조
AU2017293658B2 (en) Separation system
KR100308407B1 (ko) 폐수 슬러지 탈수 건조 시스템
KR101647133B1 (ko) 압축공기 이용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0535906B1 (ko)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JP2013519609A (ja) 空気式物質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及び装置
KR200351162Y1 (ko) 공압 및 수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100763650B1 (ko)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100823999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폐기물 이송장치
KR101282723B1 (ko) 협잡물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KR101071324B1 (ko) 마찰력 저감과 최적화된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 시스템
KR101750097B1 (ko)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1733573B1 (ko)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이송용 공기압 컨베이어장치
CN206156352U (zh) 一种带有块状物的粘稠物料输送系统
CN109432835A (zh) 一种农村污水处理装置
PL1702839T3 (pl) Sposób i urządzenie do przemieszczania i gromadzenia odpadów
KR200239939Y1 (ko) 공기압을 이용한 탈수된 슬러지이송장치
KR100712265B1 (ko) 수분함유 슬러지의 탈수장치
KR200264106Y1 (ko) 오니(汚泥)처리장치
CN210012168U (zh) 一种基于多肽合成的废液分类贮存装置
KR20140016700A (ko) 정화 설비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CN216743851U (zh) 一种具有自动分输功能的天然气管道系统
CN215853219U (zh) 应用于高浓度工业废水中污泥处理的输送装置
KR200454668Y1 (ko)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
CN210208063U (zh) 一种固废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